KR20180132374A - 데코 시트 - Google Patents

데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2374A
KR20180132374A KR1020170069221A KR20170069221A KR20180132374A KR 20180132374 A KR20180132374 A KR 20180132374A KR 1020170069221 A KR1020170069221 A KR 1020170069221A KR 20170069221 A KR20170069221 A KR 20170069221A KR 20180132374 A KR20180132374 A KR 201801323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eth
pattern
printing
acry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9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현
이명준
서영식
박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70069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2374A/ko
Publication of KR201801323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23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4Pressing or stamping ornamental designs on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specially treated, e.g. irradi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a sequence of laminating steps, e.g. by adding new layers at consecutive laminat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6Embo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14Printing or colouring
    • B32B38/145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16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for applying transfer pictur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층 상의 일면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면에 임프린팅으로 엠보 패턴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것, 상기 기재층 상의 다른 일면에 인쇄 패턴을 갖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과 상기 제조 방법을 통하여 제조된 데코 시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데코 시트{DECORATION SHEET}
본 발명은 데코 시트에 관한 것이다.
데코 시트(decorative sheet)란, 건축 내외장재로서, 표면에 장식성을 부여하기 위해 부착되는 시트 형태를 말한다. 현재 데코시트 또는 벽지(wallpaper)와 같은 주택용 내장재로는, 대부분 폴리염화비닐(PVC)계 수지를 포함하는 내장재들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데코레이션과 인테리어 표면 마감재는 유색 PVC 시트에 인쇄를 하고 투명 PVC 시트를 라미네이션하면서 무정형의 엠보를 부여하였으며, 이는 단조롭고 입체적 질감을 나타내는 데 한계가 있다.
또한, PVC, PETG,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통하여 인쇄무늬와 엠보를 일치화시키려는 노력을 하였으나 열과 장력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늘어나고 폭 방향으로 수축되는 현상으로 입체적인 질감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의 제1 기술적 과제는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데코 시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기재층 상의 일면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면에 임프린팅으로 엠보 패턴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것, 상기 기재층 상의 다른 일면에 인쇄 패턴을 갖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데코 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은 임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형성된 엠보 패턴과, 인쇄 패턴의 위치 또는 모양이 상호 일치됨으로써, 동조 효과를 구현하여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데코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데코 시트의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은 기재층 상의 일면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면에 임프린팅으로 엠보 패턴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것, 상기 기재층 상의 다른 일면에 인쇄 패턴을 갖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은 임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형성된 엠보 패턴과, 인쇄 패턴의 위치 또는 모양이 상호 일치됨으로써, 동조 효과를 구현하여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데코 시트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기재층은 투명한 필름 형태의 층으로서, 엠보 패턴 및 인쇄 패턴을 보다 선명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VC(poly vinyl chlorid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polycarbonate), 및 SAN(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투명도가 우수하고, 후술하는 경화층과의 우수한 접합성 확보의 측면에서 투명 PET 필름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30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가 30㎛ 미만일 경우, 후가공 시 가공성이 저하 될 수 있고, 100㎛를 초과할 경우, 외관 저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재층 상에 형성되는 경화층은 기재층 상의 일면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면에 임프린팅으로 엠보 패턴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는 것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경화성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20 내지 35 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30 내지 45 중량부 및 광 개시제 1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테르 (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로 구성되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메타)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수산기 함유(메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의 반응물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수산기 함유(메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로서는 분자 중에 1개 이상의 수산기를 가지는(메타)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면 되고, 예를 들면, 2-하이드록시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4-하이드록시부틸(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 아크릴로일 포스페이트, 2-(메타) 아크릴로일 옥시에틸-2-하이드록시프로필 프탈레이트, 글리세린 디(메타) 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3-(메타) 아크릴로일옥시 프로필(메타)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타)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 아크릴레이트, 카프로락톤 변성2-하이드록시에틸(메타) 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 모노(메타) 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나토기를 가지는 화합물이면 되고 방향족, 지방족, 또는 지방족 고리형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 예를 들면,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폴리페닐 메탄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변성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넨 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 사이클로헥산,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트리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이들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켜서 이루어지는 말단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우레탄 프레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그 제조방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일례로 다양한 원료로 합성된 폴리에스테르 디올의 양 말단을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로 변환한 폴리머나 올리고머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가격이 저렴하고, 저점도형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25℃에서의 점도가 1,000 내지 7,000 cps이며, 예를 들어 3,000 내지 6,000 cps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스터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00 내지 3,000 g/mol이며, 예를 들어 1,000 내지 2,500 g/mol 일 수 있다. 전술한 점도와 분자량 범위에서 경화물 제조시 가공성, 내열성, 내습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광경화성 폴리머는 (메타)아크릴 폴리머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당 분야에 알려진 통상적인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상의 용액 중합법이나 현탁 중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메타)아크릴 폴리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n-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데실(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2 종 이상의 혼합 형태 등이 있다.
상기한 아크릴계 단량체 성분에 더하여, 공중합 성분으로서 아크릴아미드,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에틸렌, 프로필렌, 이소부틸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클로로프렌 등의 비닐 모노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3,4-에폭시 사이클로헥실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에폭시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및 하이드록시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2-하이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에틸렌성 불포화 모노머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유리전이온도(Tg)가 30 내지 110℃이며, 예를 들어 50 내지 85℃, 또는 65 내지 85℃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도막이 충분한 경도를 유지하여 외부 충격에 의해 도막이 손상되거나 쉽게 부스러져 기재로부터 박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동시에 너무 딱딱하여 다른 기재와의 합지 작업성이 저하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타)아크릴 수지의 유리전이온도는 FOX 식을 이용하여 계산된 값과 열분석 등에 의한 실측치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타)아크릴 폴리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내지 100,000 g/mol이며, 예를 들어 10,000 내지 70,000 g/mol, 또는 20,000 내지 50,000 g/mol 일 수 있다. 전술한 중량 평균 분자량 범위를 가질 경우, 우수한 반응성 및 내열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광반응성 중합체의 반응성 희석제로 사용되어 수지 조성물의 점도 조절을 통한 작업성을 부여하며, 고분자간 가교밀도를 조절하는 가교제 역할을 하는 성분을 수행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1 분자 내에 포함된 중합성 관능기, 예컨대 (메타)아크릴레이트기의 개수에 따라 단관능 아크릴계 모노머(1개), 이관능 아크릴계 모노머(2개),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3개 이상)로 분류될 수 있고, 상술한 단관능, 이관능, 다관능 아크릴계 모노머를 각각 구별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단관능, 이관능 및 다관능 아크릴 모노머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아크릴계 모노머는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IBOA), 이소보닐 메타크릴레이트(isobonyl methacrylate:IBOMA), 테트라히드로퓨릴 아크릴레이트(tetrahydrofuryl acrylate: THFA), 아크릴로일 모르폴린(Acryloyl morpholine: ACMO), 2-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2-phenoxyethyl acrylate),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tripropyleneglycoldiacrylate: TPGDA),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HDDA), 헥사메틸렌 디아크릴레이트(HEXAMETHYLENE DIACRYLATE: HEMA),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triacrylate: TMPTA),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아크릴레이트(pentaerythritoltriacrylate: PETA),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dipentaerytritolhexaacrylate: DPHA)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개시제는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크산톤, 4,4'-디메톡시벤조페논, 4,4'-디아미노벤조페논, 미히라케톤,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질디메틸케탈, 1-(4-이소프로필페놀)-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티오크산톤, 디에틸티오크산톤, 2-이소프로필티오크산톤, 2-클로로티오크산톤,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및 비스-(2,6-디메톡시벤조일)-2,4,4-트리메틸펜틸포스핀옥시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예 따르면, 상술한 광경화성 조성물은 무용제형 조성물로서, 별도의 용매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지만, 부수적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위하여, 상기 광경화성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대비 30 내지 45중량부로 광경화성 조성물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메틸 알코올,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프로필 알코올, 2-메톡시에탄올, 2-에톡시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등의 알콜류, 메틸에틸케톤, 메틸부틸케톤, 메틸아이소부틸케톤, 디에틸케톤, 디프로필케톤의 케톤류,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류 및 톨루엔, 크실렌 등의 방향족 용매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 본 발명의 광경화성 조성물은,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당 분야에 공지된 첨가제를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첨가제의 함량은 당 분야에 공지된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면, 부착증진제, 산화 방지제, 윤활제, 레벨링제, 계면 활성제, 부착증진제, 소포제, 슬립제, 용제, 습윤제, 광안정제, 얼룩 방지제, 유연제, 증점제, 폴리머 등이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2종 이상 혼용할 수 있다.
상기 경화층은 기재층 상의 일면에 상술한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면에 임프린팅으로 엠보 패턴을 형성한 후 UV 광을 조사하여 경화시키는 것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임프린팅은 광경화성 조성물이 도포된 도포면에 엠보 패턴을 지닌 몰드 또는 성형롤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상기 몰드 또는 성형 롤러를 통해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로 이루어진 도포면이 몰드 또는 성형 롤러의 엠보 패턴과 반전되는 형상으로 성형되고, 그 이후, 상기 도포면을 경화시키기 위하여 UV 광을 조사하고, 도포면을 경화시켜서 엠보 패턴이 형성된 경화층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엠보 패턴이 형성된 경화층의 평균 두께는 3 내지 10㎛일 수 있다. 상기 경화층의 두께가 3㎛ 미만일 경우, 내스크래치성 및 외관 저하, 부착성 저하 문제를 발생할 수 있고, 10㎛를 초과할 경우, 미경화 및 외관 저하 문제를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기재층 상의 다른 일면, 즉, 경화층이 형성된 반대면에는 인쇄 패턴을 갖는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인쇄층의 인쇄 패턴은 상기 경화층에 형성된 엠보 패턴과 위치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상호 일치되는 패턴으로 기재층의 다른 일면에 인쇄되어 동일한 패턴으로 인한 동조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은 상기 엠보 패턴과 일치되는 형상을 가지기 위하여, 인쇄 패턴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그라비아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다중색상 그라비어 인쇄 윤전기(Multi-color Gravuer Printing Machine)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다중색상 그라비어 인쇄 윤전기에서 정해진 인쇄 도수에서 운전된다. 이때, 인쇄층은 1 내지 5㎛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인쇄 패턴을 보호하고, 내후성 및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호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구체적으로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polycarbonate), SAN(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인쇄층의 인쇄 패턴 유지 및 최종 제조된 데코 시트의 물성 확보 측면에서, PVC(polyvinyl chloride)을 이용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의 두께는 50 내지 150㎛ 일 수 있고, 상기 보호층의 두께가 50㎛ 미만일 경우, 은폐력저하, 부착기재의 표면상태 외부노출우려가 있으며, 150㎛를 초과할 경우, 전체두께를 증가시켜 후가공시 외관에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은 접착제 조성물이 도포된 PVC 필름을, 인쇄층까지 형성된 시트와 상호 적층한 후, 라미네이션 롤러(Lamination Roller)에 120 내지 180℃의 온도에서 통과시켜서 열압착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공정으로 제조된 데코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데코 시트(100)는 기재층(110), 상기 기재층 상의 일면에 엠보 패턴(121)이 형성된 경화층(120), 상기 기재층 상의 다른 일면에 인쇄 패턴(미도시)이 형성된 인쇄층(130),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14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기 엠보 패턴(121)과 상기 인쇄 패턴(미도시)의 위치 또는 모양은 상호 일치되게 형성되어 동조 효과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데코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50㎛의 두께를 갖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의 일면에 광경화성 올리고머로서,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30 중량부, 광 개시제로서,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을 8 중량부 및 아크릴계 모노머로서 아크릴로일 모르폴린(Acryloyl morpholine: ACMO) 30 중량부 및 헥사메틸렌디아크릴레이트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을 5㎛의 두께로 도포하고, 패턴이 형성된 성형 롤러에 통과 시켜서 엠보 패턴이 형성되도록 임프린팅한 후, 200mJ의 UV 광에서 경화시켜서 엠보 패턴이 형성된 경화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시트의 다른 일면에 다중색상 그라비어 인쇄 윤전기(Multi-color Gravuer Printing Machine)로 엠보 패턴과 위치 및 모양이 상호 일치되도록 인쇄 패턴이 형성된 인쇄층을 2㎛의 두께로 형성하였다.
상기 인쇄층 상에 접착제가 도포된 20㎛ 두께의 PVC 필름을 접합 후, 150℃의 온도에서 라미네이션 롤러(Lamination Roller)를 통과시켜 데코 시트를 얻었다.
100 데코 시트
110 기재층
120 경화층
121 엠보 패턴
130 인쇄층
140 보호층

Claims (10)

  1. 기재층 상의 일면에 광경화성 조성물을 도포하고, 도포된 면에 임프린팅으로 엠보 패턴을 형성한 후 UV를 조사하여 경화층을 형성하는 것,
    상기 기재층 상의 다른 일면에 인쇄 패턴을 갖는 인쇄층을 형성하는 것, 및
    상기 인쇄층 상에 보호층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엠보 패턴과 상기 인쇄 패턴의 위치 또는 모양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호 일치되게 형성되는 것인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BT(polybut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PVC(poly vinyl chloride), PMMA(poly methyl methacrylat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polycarbonate), 및 SAN(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데코 시트의 제조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경화성 조성물은 광경화성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20 내지 35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30 내지 45중량부 및 광개시제 1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인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그라비아 인쇄 또는 스크린 인쇄로 형성되는 것인 데코 시트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라미네이션으로 형성되는 것인 데코 시트의 제조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은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C(polycarbonate), SAN(styrene-acrylonitrile copolymer),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데코 시트의 제조방법.
  8. 기재층,
    상기 기재층 상의 일면에 엠보 패턴이 형성된 경화층,
    상기 기재층 상의 다른 일면에 인쇄 패턴이 형성된 인쇄층, 및
    상기 인쇄층 상에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데코 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엠보 패턴과 상기 인쇄 패턴의 위치 또는 모양은 상호 일치되게 형성된 것인 데코 시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경화층은 광경화성 올리고머 또는 폴리머 20 내지 35중량부, 아크릴계 모노머 30 내지 45 중량부 및 광개시제 1 내지 15중량부를 포함하는 광경화성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데코 시트.
KR1020170069221A 2017-06-02 2017-06-02 데코 시트 KR2018013237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21A KR20180132374A (ko) 2017-06-02 2017-06-02 데코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9221A KR20180132374A (ko) 2017-06-02 2017-06-02 데코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2374A true KR20180132374A (ko) 2018-12-12

Family

ID=64670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9221A KR20180132374A (ko) 2017-06-02 2017-06-02 데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237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685A (ko) 2019-10-17 2021-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포밍이 가능한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얼 소재의 모사 필름
KR20210057400A (ko) * 2019-11-12 2021-05-21 (주)엘지하우시스 디지털 엠보싱 공정 및 엠보싱 장식재
KR20210153213A (ko) 2020-06-10 2021-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포밍이 가능한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얼 소재의 모사 필름
KR102391508B1 (ko) * 2020-11-03 2022-05-04 지디에스 주식회사 데코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5685A (ko) 2019-10-17 2021-04-2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포밍이 가능한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얼 소재의 모사 필름
US11767390B2 (en) 2019-10-17 2023-09-26 Hyundai Motor Company UV-curable resin composition enabling thermoforming and replica film of real material comprising same
KR20210057400A (ko) * 2019-11-12 2021-05-21 (주)엘지하우시스 디지털 엠보싱 공정 및 엠보싱 장식재
KR20210153213A (ko) 2020-06-10 2021-12-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포밍이 가능한 uv 경화형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리얼 소재의 모사 필름
US11680129B2 (en) 2020-06-10 2023-06-20 Hyundai Motor Company UV-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vacuum forming and replica film of real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KR102391508B1 (ko) * 2020-11-03 2022-05-04 지디에스 주식회사 데코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3929B2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形成用シート
JP4003800B2 (ja) フィルム保護層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フィルム
US9387610B2 (en) Hard coating forming method
KR100864349B1 (ko) 필름 보호층용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그것을 이용한 필름 및 광학 시트
KR101585269B1 (ko) 하드코팅 형성용 수지 조성물
KR20180132374A (ko) 데코 시트
JP4956167B2 (ja) 塗膜形成用転写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被覆塗膜の形成方法
JP5633511B2 (ja) 親水性プラスチック用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接着剤組成物
KR102017142B1 (ko) 플렉서블 윈도우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4205345A (ja) 樹脂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成形方法
JP2012521476A (ja) ハードコーティング組成物、これを用いた多層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929651B1 (ko) 경화성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임프린트 필름
JP5662005B2 (ja)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当該組成物を用いて作製された多層構造体
JP5889179B2 (ja) 加飾成型品の製造方法
KR102382349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JP2020203383A (ja) フィルム及び積層体の製造方法
KR102374285B1 (ko) 3d 커버글라스 스마트폰용 풀커버 보호필름
JPH11138735A (ja) リコート性のある化粧シート
KR20150078040A (ko) 고점도를 갖는 광경화형 점접착제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3157B1 (ko) 점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점착 시트
CN114364722A (zh) 装饰膜及装饰成型品
KR20230050643A (ko) Imd 필름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 필름
JP2012001629A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組成物
KR20200061112A (ko) 윈도우 데코 필름용 점착 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데코 필름
JP2010046948A (ja) 樹脂積層体および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