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626A - 추출 기판 및 이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추출 기판 및 이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626A
KR20180131626A KR1020187033589A KR20187033589A KR20180131626A KR 20180131626 A KR20180131626 A KR 20180131626A KR 1020187033589 A KR1020187033589 A KR 1020187033589A KR 20187033589 A KR20187033589 A KR 20187033589A KR 20180131626 A KR20180131626 A KR 20180131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mer film
flexible substrate
microns
glass layer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훈
박후근
Original Assignee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filed Critical 사빅 글로벌 테크놀러지스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131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4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scattering means
    • H01L51/5275
    • H01L51/0097
    • H01L51/526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5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 H10K50/858Arrangements for extracting light from the devices comprising refractive means, e.g. lens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4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liphatic or olefinic chains, e.g. poly N-vinylcarbazol, PVC or PTF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31Nanoparticles used in non-emissive layers, e.g. in packaging laye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리 층;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폴리머 필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추출 기판 및 이의 제작 방법
본 개시내용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에 유용한 가요성 기판에 관한 것이다.
전자 산업의 새로운 추세는 가요성의 얇고 가벼우며 비용 경쟁력 있는 물품을 사용하는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조명 적용분야에서, 유리 기판은 WVTR(수증기 투과율, g/m2/day)에 있어 고성능 성질을 위해 사용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OLED 디바이스는 증발 방법을 사용하여 유리 기판 상에 제작되어 왔다. 가요성 OLED 디바이스는 이의 저전력 소비, 높은 응답 속도, 높은 명암비, 및 가요성으로 인해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또는 웨어러블 조명과 같은 다양한 가요성 디바이스 적용과 관련하여 상당한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유리는 깨지기 쉽고 가요성이 부족하다. 또한, 기존 기판 재료가 이들 성질 모두를 만족시키지 못하더라도, 조명기구 형상의 설계 자유를 실현하기 위해, 가요성의 더 얇고 가벼운 기판이 요구된다.
이들 및 다른 단점은 본 개시내용의 양태에 의해 다루어진다.
특정 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은 OLED 디바이스용 기판에 관한 것이다. 기판은 폴리머 필름(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판은 OLED 디바이스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높은 추출 효과를 갖는 가요성 기판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폴리머 필름을 갖는 기판은, 적어도 폴리머 필름에 의해 수득된 취성의 감소에 기반하여 종래의 유리-단독 기판에 비해 개선된 가요성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폴리머 필름은 다양한 형상(텍스처화된 형상, 높은 굴절률을 갖는 형상, 높은 내열성을 갖는 형상, 백화 (whitening)를 갖는 산란 효과를 갖는 형상 등)으로 제작될 수 있다. 필름 및/또는 전체 기판의 형상은 기판을 포함하는 OLED 디바이스로부터 추출 효율을 개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개시내용은 또한 이러한 가요성 기판을 포함하는 물품 및 이러한 물품 및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정 양태에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은 유리 층;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에 배치된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폴리머 필름을 포함한다.
추가 양태에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은 유리 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제1 폴리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제2 폴리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폴리머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기판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주기적 또는 무작위 (random) 패턴을 갖는 폴리머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기판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하나의 폴리머 필름은 단일 측면(도 2A) 또는 양 측면(도 2B) 상에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2C, 2D2E는 폴리머 필름에 대한 다양한 가능한 경우를 나타낸다.
도 3은 높은 굴절률을 갖는 분산된 나노입자(ZrO2, ZnO, TiO2 등)를 갖는 폴리머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기판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높은 내열성을 가지며 백화 및 산란 효과를 위해 백색 입자를 사용하는, 폴리머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기판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추출 효율, 내스크래치성, 방현성 및 물 반발을 위한 소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입자에 적용되는 원자 층 증착 방법의 예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1은 한 쌍의 폴리머 필름(104, 106)(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층(102)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기판(10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폴리머 필름(104, 106)은 유리 층(102)에 대향하는 표면(105, 10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머 필름(104, 106)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CA)를 사용하여 유리 층(102)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기판(100) 또는 기판(100)의 개별 층(102, 104, 106)은 텍스처화된 형상, 높은 굴절률을 갖는 형상, 높은 내열성을 갖는 형상, 백화를 갖는 산란 효과를 갖는 형상 및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다른 형상과 같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로서, 기판(100) 또는 기판(100)의 개별 층(102, 104, 106)은 판(100)을 포함하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OLED 디바이스)로부터 추출 효율을 개선시키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도 2A 내지 2E는 예시적인 기판(200a-e)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아, 기판(200a)은 한 쌍의 폴리머 필름(204a, 206a)(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층(202a)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폴리머 필름(204a, 206a)은 유리 층(202a)에 대향하는 표면(205, 20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머 필름(204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CA)를 사용하여 유리 층(202a)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204a)은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머 필름(204a-e) 중 하나는 OLED 디바이스용 추출 필름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다른 폴리머 필름(206a)은 OLED 디바이스를 형성하기 위해 전극과 OLED 층을 증착시키기 위해 평평한 기판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204a) 중 하나는, 예를 들어, 열 나노-임프링팅 방법을 사용하여 단일 측면 상에 형성된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204a)은 폴리머 필름(204a)의 유리전이 온도보다 더 높은 일정한 온도에서 핫 플레이트로 가열될 수 있다. 가열된 폴리머 필름(204a)은 열 나노-임프링팅 방법을 통해 일정한 압력을 갖는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화된 금형에 의해 임프링팅될 수 있다. 수분 후에, 가열된 폴리머 필름(204a)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다음,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도 2B는 폴리머 필름(204b, 206b)에 대해 유사한 패턴을 나타낸다.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은 금형의 분리 후에 폴리머 필름(204a)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동일한 방식으로, 폴리머 필름(204c, 206c) 중 하나는 도 2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면(예를 들어, 대향 표면) 상에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머 필름(204a-e, 206a-e) 중 하나 이상의 양 측면 상에 2개의 패턴이 제작될 수 있다. 2개의 패턴은 각각 요철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요철 구조는 금형 형상에 따라 제작될 수 있다. 예로서, 도 2D 및 2E는 폴리머 필름(204d-e, 206d-e)에 대한 금형 형성을 나타낸다.
도 3은 한 쌍의 폴리머 필름(304, 306)(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층(302)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기판(300)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폴리머 필름(304, 306)은 유리 층(302)에 대향하는 표면(305, 307)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머 필름(304)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CA)를 사용하여 유리 층(302)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나타낸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304)은 높은 굴절률을 갖는 분산된 나노입자(308)(예를 들어, 이산화지르코늄 ZrO2, 산화아연 ZnO, 이산화티탄 TiO2 등)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304)은 혼합 방법으로부터 형성된 균일하게 분산된 나노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나노입자의 포함은 폴리머 필름(304, 306)이 나노입자 없이 종래의 폴리머 필름에 비해 더 높은 굴절률을 나타날 수 있도록 한다. 폴리머 필름(304)의 굴절률은 나노입자의 농도를 변경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도 4A 내지 4c는 한 쌍의 폴리머 필름(404a-c, 406a-c)(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층(402a-c)을 포함하는 예시적인 기판(400a-c)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각각의 폴리머 필름(404a-c, 406a-c)은 유리 층(402a-c)에 대향하는 표면(405, 407)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머 필름(404a-c, 406a-c)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CA)를 사용하여 유리 층(402)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404a-c, 406a-c)은 높은 내열성을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404)은 백화 및 산란 효과를 위한 백색 입자(410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404a-c)은 높은 내열성을 갖는 폴리에테르이미드(예를 들어, ULTEMTM)를 포함하거나 이로부터 형성될 수 있으며, 종래의 폴리머 필름에 비해 고온을 사용한 공정에 보다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폴리에테르이미드 필름은 일반적으로 황색 외관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백색 입자(410a-c)는 폴리머 필름(406a-c)의 황색 외관을 백색 외관으로 변화시킬 뿐만 아니라 추출 효율을 개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백화 층(백색 입자(410a-c)를 포함함)은 OCA를 사용하는 접착제 전달(AT) 방법을 통해 개별적으로 제작된 다음, 후속적으로 폴리머 필름(404)에 부착될 수 있다.
OLED 디바이스 적용 및 미래의 산업적 적용을 위해, 폴리머 필름(404) 사이에 개재된 유리 층(402a-c)은, 예를 들어, 가요성 추출 기판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는 다기능성 효과(예를 들어, 더 높은 가요성, WVTR 성질, 광 추출 효율 및 내열성)를 나타낼 수 있다. 백색 입자(410a-c)와 같은 입자는 도 4A, 4B, 및 4C에 나타낸 것들과 같은 다양한 배치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도 5는 기판 상에 층 증착을 위한 공정의 개략도를 나타낸다. 도 5A에서, 기판(500a)은 한 쌍의 폴리머 필름(504a, 506a)(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PC) 필름) 사이에 개재된 유리 층(502a)을 포함한다. 각각의 폴리머 필름(504a, 506a)은 유리 층(502a)에 대향하는 표면(505a, 507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폴리머 필름(504a, 506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OCA)를 사용하여 유리 층(502a) 상에 적층될 수 있다. 다른 접착제 및/또는 커플링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백화 층을 형성하는 백색 입자(510)와 같은 입자는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 예를 들어, 폴리머 필름(506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폴리머 필름(504a, 506a)은 층상 기판(500b)을 형성하기 위해, 예를 들어, 추출 효율, 내스크래치성, 방현성, 및/또는 물 반발을 위한 소수성을 강화하기 위한 원자 층 증착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음영처리된 층으로서 명백한, 증착된 층(512)은 기판(500a)에 부가되어 층상 기판(500b)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착된 층(512)은 원자 층 증착에 의해 증착된 층을 나타내며, 여기서, 두께는 약 5 나노미터(nm) 내지 약 500 nm 범위이다. 추가 예로서, 층(510)의 재료는 산화알루미늄 Al2O3, ZrO2, 이산화규소 SiO2, 질화산화규소 SiON, TiO2, ZnO 및 다른 산화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은 유리인 베이스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유리 베이스 기판은 약 20 마이크로미터(마이크론, μm) 내지 약 100 μm(또는 20 μm 내지 100 μm)의 두께를 갖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는 이의 하나 이상의 표면에 도포된 폴리머 필름을 가질 수 있다. 폴리머 필름은 높은 투명도를 갖는 폴리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폴리머 재료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폴리페닐렌 에테르(P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등을 포함한다.
OLED 디바이스 제조에 있어서,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기판은 하나 이상의 복수의 층일 수 있다. 예로서, 그러한 층은 산란 층(예를 들어, 마이크로렌즈 층), 장벽 층, 전극 층, 및 형광체 층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복수의 층 및 이의 관련된 기능(들)은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이 기판의 양태들에 통합될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 층
일부 양태에서, 마이크로렌즈 층은 베이스 물질 및 내부에 분산된 복수의 산란 물질을 갖는 광 산란 층으로서 기능한다. 베이스 물질과 광 산란 물질의 굴절률은 상이하다. 일반적으로, 베이스 물질의 굴절률은 1.4 내지 1.6의 범위이며, 산란 물질의 굴절률은 1.8 내지 2.0 초과 범위이다. 따라서, 산란 물질(예를 들어, 복수의 산란 입자)을 베이스 폴리머에 첨가함으로써, 총 굴절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전형적으로, 광 산란 층은 5 마이크로미터(마이크론, μm) 내지 50 μm, 또는 약 5 μm 내지 약 50 μm 두께이다.
산란 물질은 베이스 물질과 상이한 물질의 입자 또는 기포를 포함할 수 있다. 산란 물질은 유기 입자 또는 무기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무기 입자는 TiO2, 산화니오븀 Nb2O5, 삼산화텅스텐 WO3, 산화비스무트(III) Bi2O3, 산화란탄 La2O3, 산화가돌리늄(III) Gd2O3, 산화이트륨 Y2O3, ZrO2, ZnO, 산화바륨 BaO, 산화납(II) PbO 및 산화안티몬(III) Sb2O3, 오산화인 P2O5, SiO2, 삼산화붕소 B2O3, 이산화게르마늄 GeO2, 이산화텔루륨 TeO2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첨가된 산란 물질의 양은 일부 양태에서 베이스 물질의 양을 기준으로 0.1 중량 퍼센트(wt.%) 내지 90 wt.%, 또는 약 0.1 wt% 내지 약 90 wt% 범위이다. 일부 양태에서, 첨가된 산란 물질의 양은 0.5 wt.% 내지 80 wt.%, 또는 약 0.5 내지 약 80 wt%, 또는 1 wt.% 내지 70 wt.% 또는 약 1 내지 약 70 wt%, 또는 5 wt.% 내지 60 wt.%, 또는 약 5 내지 약 60 wt%, 또는 10 wt.% 내지 50 wt.% 또는 약 10 내지 약 50 wt%, 또는 20 wt.% 내지 75 wt.%, 또는 약 20 내지 약 75 wt%의 범위, 또는 상기 언급된 백분율의 임의의 조합이다.
베이스 물질은 일부 양태에서 투명한 유기 폴리머를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폴리머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장벽 층(barrier layer)
장벽 층(들)은 무기 및 유기 물질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특정 양태에서, 장벽 층(들)은 폴리머 매질 중에 무기 입자를 포함한다. 층(들)은 일부 양태에서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산화아연, 산화티탄, 및 산화규소(예를 들어, Al2O3, ZrO2, ZnO, TiO2, TiOx, SiO2, 및 SiOx)와 같은 금속 산화물, 아크릴레이트-폴리머, 파릴렌, p-크실렌, 또는 에틸렌 글리콜을 포함하는 폴리머,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층은 분자 층 증착(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의 분자 층 증착), 플라즈마 폴리머(예를 들어, 플라즈마에 의한 직접적인 라디칼 중합)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른 적용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층은 0.5 μm 내지 50 μm, 또는 약 0.5 μm 내지 약 50 μm의 두께를 갖는다.
전극 층
전극은 일부 양태에서 투명하다. 특정 양태에서 전극은 산화주석인듐 ITO, 이산화주석 SnO2, ZnO, 산화아연이리듐, ZnO-Al2O3(알루미늄으로 도핑된 산화아연), ZnO4Ga2O3(갈륨으로 도핑된 산화아연), 니오븀 Nb-도핑된 TiO2, 탄탈럼 Ta-도핑된 TiO2, 금 Au 및 백금 Pt와 같은 금속, 및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층은 특정 양태에서 50 nm 내지 1 μm, 또는 약 50 nm 내지 약 1μm, 또는 100 nm 내지 1 μm 또는 약 100 nm 내지 약 1μm의 두께를 갖는다.
형광체 층
형광체 층은 일부 양태에서 층이 형성될 때 투명한 폴리머 내에 인광 도펀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이한 인광 도펀트는 당해 기술에 공지되어 있으며 원하는 색상 출력 및 다른 특성에 기반하여 선택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형광체 층은 황색용 YAG:Ce 형광체 및 적색용 CASN:Eu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YAG는 이트륨 알루미늄 석류석(Y3Al5O12)이다. YAG:Ce는 세륨-도핑된 YAG(YAG:Ce)이다. CASN은 CaAlSiN3이고 CASN:Eu는 유로퓸-도핑된 CASN이다.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또는 아크릴 또는 우레탄계 물질과 같은 실리콘은 결합제 물질 특정 양태에서 결합제 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폴리머는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입수 가능하다. 본원에 제공된 바와 같은,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은 하나 이상의 폴리머 층 또는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머 필름은 본원에 기재된 유리 층에 적층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기판은 10 μm 내지 100 μm, 또는 약 10 μm 내지 약 100 μm의 두께를 갖는 제1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양태에서, 기판은 10 μm 내지 100 μm, 또는 약 10 μm 내지 약 100 μm의 두께를 갖는 제2 폴리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용어들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들"은 코폴리카보네이트, 호모폴리카보네이트 및 (코)폴리에스테르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용어 폴리카보네이트는 화학식 (1)의 반복 구조 단위를 갖는 조성물로서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Figure pct00001
(1)
여기서, R1 기의 총 수의 적어도 60%는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며, 그 나머지는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라디칼이다. 추가 양태에서, 각각의 R1은 방향족 유기 라디칼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화학식 (2)의 라디칼이다:
─A1─Y1─A2─ (2)
여기서, 각각의 A1 및 A2는 모노사이클릭 2가 아릴 라디칼이며, Y1은 A2로부터 A1을 분리하는 1개 또는 2개의 원자를 갖는 브릿징 라디칼이다. 다양한 양태에서, 하나의 원자는 A2로부터 A1을 분리한다. 예를 들어, 이러한 유형의 라디칼은 라디칼, 예를 들어, -SO-, -O-, -S-, -SO2-, -C(O)-,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메틸렌, 2-[2.2.1]-바이사이클로헵틸리덴, 에틸리덴, 이소프로필리덴, 네오펜틸리덴, 사이클로헥실리덴, 사이클로펜타데실리덴, 사이클로도데실리덴, 및 아다만틸리덴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브릿징 라디칼 Y1은 바람직하게는 탄화수소 그룹 또는 포화된 탄화수소 그룹, 예를 들어, 메틸렌, 사이클로헥실리덴, 또는 이소프로필리덴이다. 폴리카보네이트 물질은 미국 특허 제7,786,246에 개시되고 기재된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특허는 다양한 폴리 카보네이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는 특정 목적을 위해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일부 양태에서, 용융 폴리카보네이트 생성물이 이용될 수 있다. 용융 폴리카보네이트 공정은 용융 단계에서 디하이드록시 화합물 및 카보네이트 공급원의 연속 반응에 기반한다. 반응은 촉매, 온도, 진공, 및 진탕의 조합된 효과가 모노머 반응 및 반응 부산물의 제거를 허용하여 반응 평형을 대체하고 효과 폴리머 사슬을 성장시키는 일련의 반응기에서 발생할 수 있다. 용융 중합 반응에서 제조되는 통상의 폴리카보네이트는 디페닐 카보네이트(DPC)와의 반응을 통해 비스페놀 A(BPA)로부터 유래된다. 이 반응은, 예를 들어, 제1 중합 단위에 도입되기 전에 모노머 혼합물에 첨가될 수 있는 테트라 메틸 암모늄 하이드록사이드(TMAOH) 또는 테트라부틸 포스포늄 아세테이트(TBPA), 및 제1 반응기에 또는 제1 반응기의 업스트림에 그리고 모노머 믹서 후에 첨가될 수 있는 수산화나트륨(NaOH)에 의해 촉매화될 수 있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
용어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PMMA)는 용어들 폴리(메틸 2-메틸프로파노에이트) 및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동의어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용어는 호모폴리머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에틸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와 같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와 다른 아크릴 모노머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며, 이때 다른 아크릴 모노머는 조성물의 35 중량% 이하, 또는 약 35 중량% 이하의 정도로 존재한다.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는 자외선 및 열 안정제로 안정화될 수 있으며, 본원에 논의된 다른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이미드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조성물은 폴리에테르이미드를 포함할 수 있다. 폴리에테르이미드는 폴리에테르이미드 코폴리머를 포함한다. 폴리에테르이미드는 (i) 폴리에테르이미드 호모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이미드, (ii) 폴리에테르이미드 코-폴리머,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이미드설폰, 및 (iii) 이들의 조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폴리에테르이미드는 공지된 폴리머이며, 예를 들어, SABIC Innovative Polymers에 의해 ULTEMTM, EXTEMTM, 및 SiltemTM 상표하에 시판된다.
일 양태에서, 폴리에테르이미드는 화학식 (3)일 수 있다:
Figure pct00002
(3)
여기서, a는 1 초과, 예를 들어 10 내지 1,000 이상, 또는 더 구체적으로 10 내지 500이다. 일부 양태에서, a는 10-100, 10-75, 10-50 또는 10-25일 수 있다.
화학식 (3)에서 V 기는 에테르기(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은 "폴리에테르이미드") 또는 에테르기와 아릴렌설폰기의 조합("폴리에테르이미드설폰")을 함유하는 4가 링커이다. 그러한 링커는 하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탄소수가 5 내지 50이고 선택적으로 에테르기, 아릴렌설폰기, 또는 에테르기와 아릴렌설폰기의 조합으로 치환되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포화, 불포화 또는 방향족의 모노사이클릭 및 폴리사이클릭기; 및 (b) 탄소수가 1 내지 30이고 선택적으로 에테르기, 또는 에테르기, 아릴렌설폰기 및 아릴렌설폰기의 조합으로 치환되는,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선형 또는 분지형, 포화 또는 불포화 알킬기; 또는 전술한 것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 적합한 추가의 치환은 에테르, 아미드, 에스테르, 및 전술한 것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화학식 (3)에서 R 기는 하기와 같은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2가 유기 기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탄소수 6 내지 2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및 이의 할로겐화 유도체; (b) 탄소수 2 내지 2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렌기; (c) 탄소수 3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렌기, 또는 (d) 화학식 (4)의 2가 기:
Figure pct00003
여기서, Q1은 -O-, -S-, -C(O)-, -SO2-, -SO-, -CyH2y-(y는 정수 1 내지 5의 정수이다)와 같은 2가 모이어티, 및 퍼플루오로알킬렌기를 포함하는 이의 할로겐화 유도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개시내용은 또한 미국 특허 제8,784,719호에 개시된 폴리이미드를 이용하며, 상기 특허는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또한,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875,116호; 제6,919,422호 및 제6,355,72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에테르이미드, 예를 들어, 미국 특허 4,690,997; 4,808,686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실리콘 폴리에테르이미드, 미국 특허 제7,041,77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은 폴리에테르이미드설폰 수지,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각각의 이들 특허들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
폴리에테르이미드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로 측정된 바와 같이 5,000 내지 100,000 그램/몰(g/mole)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Mw는 10,000 내지 80,000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분자량은 절대 중량 평균 분자량(Mw)을 지칭한다.
다른 폴리머
본원에서 논의된 다른 폴리머는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입수 가능하거나,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폴리페닐렌 에테르(P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등이 일부 양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가요성 기판 내의 층 형성
일부 양태에서, 개시내용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에 관한 것으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장벽 층; 투명 전극 층; 및 입자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층을 포함하며; 여기서, 상기 장벽 층, 전극 층, 및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층은 접착제 층 없이 단일 시트로 형성된다.
특정 양태는 장벽 층; 투명 전극 층; 입자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층; 적어도 하나의 굴절률 정합 층; 및 형광체 층을 포함하는 단일 층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부 구조물에서, 장벽 층, 전극 층, 및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층은 접착제 층 없이 단일 시트로 형성된다. 일부 구조물에서, 다층을 단일 시트로 형성하는데 접착제가 사용되지 않는다.
층은 잉크젯 인쇄, 폴리머 용액 또는 슬러리의 도포, 롤 대 롤 인쇄, 진공 증착 작업 또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된 다른 기술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추가로, 에어로졸-증착 공정은 형광체 층 코팅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 어레이 필름은, 예를 들어, 슬롯 다이 코팅 및 압출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특정 층이 적층될 수 있다. 개시내용은 각 층의 적층된 및 비-적층된 어셈블리의 모든 조합을 단일 시트로 간주한다.
양태
본 개시내용 적어도 하기 양태를 포함한다.
양태 1.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으로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리 층;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2.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으로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본질적으로 유리 층;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폴리머 필름으로 이루어진,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3.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으로서, 상기 가요성 기판은 유리 층;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폴리머 필름으로 이루어진,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4. 양태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유리 층은 약 2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5. 양태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6. 양태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7. 양태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유리 층에 적층되어 있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8. 양태 1 내지 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그 내부에 형성된 구조적 패턴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9. 양태 8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패턴은 반구형 오목한 형상 또는 반구형 볼록한 형상,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0. 양태 8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패턴은 형상화된 구조의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1. 양태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분산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2. 양태 11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나노입자는 ZrO2, ZnO, TiO2, Al2O3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3. 양태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백화 입자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4. 양태 13에 있어서, 상기 백화 입자는 ZrO2, ZrO, ZnO, TiO2, Al2O3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5 양태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폴리페닐렌 에테르(P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6. 양태 1 내지 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원자 층 증착을 사용하여 도포된 기능성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양태 17.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리 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제1 폴리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제2 폴리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양태 18. 양태 17에 있어서, 상기 유리 층은 약 2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양태 19. 양태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양태 20. 양태 17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양태 21. 양태 17 내지 2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유리 층에 적층되어 있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양태 22. 양태 17 내지 2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그 내부에 형성된 구조적 패턴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정의
본원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 양태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제한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명세서 및 청구항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는"은 "이루어진" 및 "본질적으로 이루어진"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이 속하는 당해 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본 명세서와 하기 청구항에서, 본원에 정의되는 다수의 용어들이 참조될 것이다.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 ("a," "an" 및 "the")는 문맥상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의 등가물을 포함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에 대한 언급은 2종 이상의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조합"은 블렌드, 혼합물, 합금, 반응 생성물 등을 포함한다.
범위는 본원에서 하나의 특정 값에서 또 다른 특정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그러한 범위가 표현되는 경우, 또 다른 양태는 하나의 특정 값에서 및/또는 다른 특정 값까지 포함한다. 유사하게, 값이 근사치로 표현되는 경우, 선행된 '약'의 사용에 의해, 특정 값은 또 다른 양태를 형성함이 이해될 것이다. 각 범위의 종점은 다른 종점과 관련하여 둘 다 중요하며 다른 종점과는 독립적임을 더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원에 다수의 값이 개시되어 있으며 각 값은 또한 값 그 자체 이외에 특정 값에 대해 "약"으로서 본원에 개시되어 있음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값 "10"이 개시되면, "약 10"도 개시된다. 또한 2개의 특정 유닛 사이의 각 유닛이 또한 개시됨이 이해된다. 예를 들어, 10과 15가 개시되면, 11, 12, 13, 및 14 또한 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약" 및 "~에서 또는 약"은 해당 양 또는 값이 대략적으로 일부 다른 값 또는 거의 동일한 값으로 나타낸 값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달리 나타내지 않거나 추론되지 않는 한 이는 ±5% 변동으로 표시된 명목 값임이 일반적으로 이해된다. 용어는 유사한 값이 청구항에 인용된 것과 등가의 결과 또는 효과를 촉진하는 것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즉,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및 다른 양 및 특징이 정확하지 않고 반드시 정확할 필요도 없지만 필요에 따라 허용 오차, 환산 계수, 반올림, 측정 오차 등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인자를 반영하여, 근사치 및/또는 더 크거나는 더 작을 수 있음이 이해된다. 일반적으로, 양, 크기, 제형, 파라미터 또는 다른 양 또는 특징은 명확히 언급되던 아니던 "약" 또는 "근사치"이다. "약"이 정량적 값 앞에 사용되는 경우, 달리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파라미터는 또한 특정 정량적 값 자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원에 개시된 방법 내에서 사용될 조성물 자체뿐만 아니라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성분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및 다른 물질은 본원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물질의 조합, 서브세트, 상호작용, 그룹 등이 개시되는 경우 이들 화합물의 각각의 다양한 개별 및 집단적인 조합 및 순열의 특정한 언급이 명백하게 개시되어 있지 않지만 각각은 본원에 구체적으로 고려되고 기재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정 화합물이 개시되고 논의되며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다수의 분자에 대해 행해질 수 있는 다수의 변형이 논의된다면, 화합물의 각각의 모든 조합 및 순열 및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가능한 변형이 구체적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분자 A, B, 및 C의 부류 뿐만 아니라 분자 D, E, 및 F의 부류 및 조합 분자 A-D 의 예가 개시된다면, 각각이 개별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경우에도, 각각은 개별적으로 그리고 집합적으로 조합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며, A-E, A-F, B-D, B-E, B-F, C-D, C-E, 및 C-F가 개시된 것으로 간주된다. 마찬가지로, 이들의 임의의 서브세트 또는 조합이 또한 개시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A-E, B-F, 및 C-E의 하위-그룹이 개시된 것으로 간주된다. 이 개념은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을 제조하고 사용하는 방법의 단계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본원의 모든 양태에 적용된다. 따라서, 수행될 수 있는 여러 추가의 단계가 존재하는 경우, 각각의 이들 추가의 단계는 본 개시내용의 방법의 임의의 구체적인 양태 또는 양태들의 조합으로 수행될 수 있음이 이해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투명한"은 개시된 조성물에 대한 투과율 수준이 50% 초과임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투과율은 적어도 60%, 70%, 80%, 85%, 90%, 또는 95%, 또는 상기 예시된 값으로부터 유래된 임의의 범위의 투과율 값일 수 있다. "투명한"의 정의에서, 용어 "투과율"은 ASTM D1003에 따라 두께 3.2 밀리미터로 측정된 샘플을 통과하는 입사광의 양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들 "굴절률(refractive index)" 또는 "굴절률(index of refraction)"은 해당 물질 또는 매질에서 광의 속도를 측정하는 무차원의 숫자를 지칭한다. 이는 전형적으로, 고려되는 물질 또는 매질에서 광의 속도에 대한 진공에서의 광의 속도의 비로 표현된다. 이것은 수학적으로 다음과 같이 작성될 수 있다:
n = 진공에서 광의 속도/매질에서 광의 속도.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접착제"는 2개의 필름이 함께 접착할 수 있는 점착성, 접착성 또는 끈적한 물질을 지칭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접착제는 투명하다. 접착제에서, WVTR 성질을 개선시키기 위해 건조제 물질이 첨가될 수 있다. 그리고, UV 또는 열에너지가 접착제 층을 경화시키는데 필요할 수 있다.
본원에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시험 표준은 본원의 출원시점에서 시행 중인 가장 최신 표준이다.

Claims (20)

  1.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으로서, 상기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은:
    유리 층;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배치된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배치된 제2 폴리머 필름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리 층은 약 2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유리 층에 적층되어 있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그 내부에 형성된 구조적 패턴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패턴은 반구형 오목한 형상 또는 반구형 볼록한 형상, 또는 둘 다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조적 패턴은 형상화된 구조의 주기적 또는 무작위 패턴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분산된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분산된 나노입자는 ZrO2, ZnO, TiO2, Al2O3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11.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백화(whitening) 입자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백화 입자는 ZrO2, ZrO, ZnO, TiO2, Al2O3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우레탄(PU), 폴리페닐렌 에테르(PPE), 폴리스티렌(PS),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테르이미드(PEI),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1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자 층 증착을 사용하여 도포된 기능성 층을 추가로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
  15. 유기 발광 다이오드 소자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유리 층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유리 층의 제1 표면 상에 제1 폴리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표면에 대향하는 상기 유리 층의 제2 표면 상에 제2 폴리머 필름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유리 층은 약 2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17. 청구항 15 또는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18.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폴리머 필름은 약 10 마이크론 내지 약 100 마이크론의 두께를 갖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19.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상기 유리 층에 적층되어 있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20. 청구항 15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폴리머 필름 및 상기 제2 폴리머 필름 중 하나 이상은 그 내부에 형성된 구조적 패턴을 포함하는, 다기능성 가요성 기판의 제조 방법.
KR1020187033589A 2016-04-29 2017-04-27 추출 기판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1801316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29463P 2016-04-29 2016-04-29
US62/329,463 2016-04-29
PCT/IB2017/052451 WO2017187386A1 (en) 2016-04-29 2017-04-27 Extraction substrate and method for fabrication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626A true KR20180131626A (ko) 2018-12-10

Family

ID=58701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3589A KR20180131626A (ko) 2016-04-29 2017-04-27 추출 기판 및 이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90140214A1 (ko)
EP (1) EP3449517A1 (ko)
KR (1) KR20180131626A (ko)
CN (1) CN109155374A (ko)
WO (1) WO20171873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77492B2 (en) * 2016-09-21 2023-02-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Protective display film with glass
CN110611044A (zh) * 2019-08-27 2019-12-24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Oled显示面板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5116A (en) 1970-12-29 1975-04-01 Gen Electric Polyetherimides
US4690997A (en) 1984-01-26 1987-09-01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tardant wire coating compositions
US4808686A (en) 1987-06-18 1989-02-28 General Electric Company Silicone-polyimides, and method for making
GB2335884A (en) * 1998-04-02 1999-10-06 Cambridge Display Tech Ltd Flexible substrates for electronic or optoelectronic devices
US6355723B1 (en) 2000-06-22 2002-03-12 General Electric Co. Dark colored thermoplastic compositions, articles molded therefrom, and article preparation methods
US6919422B2 (en) 2003-06-20 2005-07-1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imide resin with reduced mold deposit
US7041773B2 (en) 2003-09-26 2006-05-09 General Electric Company Polyimide sulfones, method and articles made therefrom
EP1548856A3 (en) * 2003-12-26 2012-08-08 Nitto Denko Corporation Electroluminescence device, planar light source and display using the same
US7666972B2 (en) 2007-10-18 2010-02-23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 V. Isosorbide-based polycarbonates, method of making, and articles formed therefrom
WO2012108384A1 (ja) * 2011-02-10 2012-08-16 シャープ株式会社 蛍光体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照明装置
US8784719B2 (en) 2011-06-30 2014-07-22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Flow in reinforced polyimide compositions
KR101657604B1 (ko) * 2012-06-11 2016-09-30 제이엑스 에네루기 가부시키가이샤 유기 el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TWI472076B (zh) * 2012-07-31 2015-02-01 Mitsubishi Rayon Co El元件用光取出膜、面發光體及el元件用光取出膜的製造方法
CN103022354B (zh) * 2012-12-28 2016-05-11 昆山工研院新型平板显示技术中心有限公司 一种柔性衬底
JP6479375B2 (ja) * 2013-09-19 2019-03-06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7386A1 (en) 2017-11-02
CN109155374A (zh) 2019-01-04
US20190140214A1 (en) 2019-05-09
EP3449517A1 (en) 2019-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76399A1 (en) Multi-functional substrate for oled lighting application
US8859715B2 (en) Polyimide polymer solution, polyimide polymer, transparent film, displaying device and solar cell
KR20130014492A (ko) 적층체
EP2684907B1 (en) Resin, optical material, and optical device
CN104541195B (zh) 特殊聚碳酸酯制偏振眼镜
KR20180131626A (ko) 추출 기판 및 이의 제작 방법
TW201130649A (en) Transparent substrate
KR20090128377A (ko) 말단 변성 폴리카보네이트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37512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광학 필름
JP7193272B2 (ja) 表面保護フィルム用基材、該基材の製造方法、該基材を用いた表面保護フィルム、および表面保護フィルム付光学フィルム
KR102590694B1 (ko) 백색 반사 필름
KR20180133513A (ko) 고굴절률 (hri) 기판 및 그의 제작 방법
US20190023897A1 (en) High texture replication rate sheet compositions, methods of manufacture, and articles made therefrom
JP2014205335A (ja) 三次元構造を有するポリカーボネート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品
KR101869179B1 (ko) 백색 폴리에스터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및 태양 전지 모듈과 그 제조 방법
KR20180092263A (ko) 위상차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
KR20150027068A (ko) 접착제 및 그것을 사용한 투명 기판
US9835892B2 (en) Protective sheet for liquid crystal display screens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WO2017187363A1 (en) Method of fabricating porous oled substrate for extraction
US11446899B2 (en) Transparent film and transparent electrode
KR20150035214A (ko) 기판 적층체,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및 이의 제조방법
JP6829096B2 (ja) 防眩フィルムおよび成形体の製造方法
TWI478813B (zh) 樹脂積層體
JP5746558B2 (ja) 樹脂積層体
CN114729173A (zh) 树脂组合物、平板状成型体、多层体和防反射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