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420A - 보조 난간 - Google Patents

보조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420A
KR20180131420A KR1020180059774A KR20180059774A KR20180131420A KR 20180131420 A KR20180131420 A KR 20180131420A KR 1020180059774 A KR1020180059774 A KR 1020180059774A KR 20180059774 A KR20180059774 A KR 20180059774A KR 20180131420 A KR20180131420 A KR 20180131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auxiliary
user
auxiliary rail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사시 기시다
마코토 하야시
도모히코 사카구치
마사유키 데라시마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31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4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3Aids for getting into, or out of, bed, e.g. steps, chairs, cane-like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2003/001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on steps or stairw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rs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제 1 난간부의 높이 위치를 사용자의 체격 및 동작 등에 따른 적절한 높이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난간을 제공하는 것이다. 해결 수단으로서, 보조 난간(2)은, 베이스(8)와, 베이스(8)에 입설된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와,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을 따라서 기립하는 제 1 위치와,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에 대하여 젖혀지는 제 2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회동부(14)와, 회동부(14)의 제 1 단부(14a)에 마련된 제 1 난간부(16)와,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회동부(14)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20)를 구비한다. 제 1 난간부(16)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보조 난간{AUXILIARY HANDRAIL}
본 발명은 바닥면에 탑재하여 사용되고, 일어나기 및 보행 등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난간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신체 장애자, 고령자 및 부상자 등(이하, 「사용자」라 함)의 일어나기 및 보행 등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난간으로서, 바닥면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거치형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러한 종류의 보조 난간은, 바닥면에 탑재되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입설된 한쌍의 지주부와, 한쌍의 지주부 사이에 사다리 형상으로 고정된 복수의 난간부와, 한쌍의 지주부 각각을 상하로 신축시키기 위한 신축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최하단의 난간부로부터 최상단의 난간부까지 순서대로 손으로 파지하면서, 바닥면에 깐 이불 등으로부터 자력으로 일어날 수 있다. 이 때, 한쌍의 지주부 각각을 신축 기구에 의해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복수의 난간부의 바닥면으로부터의 높이 위치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일본 등록 실용신안 제 3127542 호 공보
그렇지만, 상술한 종래의 보조 난간에서는, 난간부의 높이 위치의 조절 가능 범위가 작기 때문에, 난간부의 높이 위치를 사용자의 체격 및 동작 등에 따른 적절한 높이 위치로 조절하는 것이 어렵다는 과제가 생긴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제 1 난간부의 높이 위치를 사용자의 체격 및 동작 등에 따른 적절한 높이 위치로 조절할 수 있는 보조 난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보조 난간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입설되며, 제 1 회동축을 갖는 제 1 지주부와, 상기 베이스에 입설되며, 제 2 회동축을 갖는 제 2 지주부와, 상기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2 회동축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지주부 및 상기 제 2 지주부 각각을 따라서 기립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지주부 및 상기 제 2 지주부 각각에 대하여 젖혀지는 제 2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1 난간부와,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부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난간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2 회동축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보조 난간에 의하면, 제 1 난간부의 높이 위치를 사용자의 체격 및 동작 등에 따른 적절한 높이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회동부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정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회동부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회동부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정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제 1 지주부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5는 회동부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로크 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사용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사용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c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사용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d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사용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e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사용예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f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의 사용예 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제 1 지주부 및 제 2 지주부를 베이스의 제 1 장착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9는 제 1 지주부 및 제 2 지주부를 베이스의 제 2 장착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제 1 지주부 및 제 2 지주부를 베이스의 제 3 장착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회동부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2는 회동부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실시형태 4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실시형태 5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실시형태 6에 따른 보조 난간을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구체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서 나타나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요소, 및 구성요소의 배치 위치나 접속 형태 등은 일 예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 요지는 아니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중, 본 발명의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요소로서 설명된다.
또한, 각 도면은 모식도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된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으며, 중복된 설명은 생략 또는 간략화한다.
(실시형태 1)
이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보조 난간의 전체 구성]
우선,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정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정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은, 사용자(4)(후술하는 도 7a 참조)의 일어나기 및 보행 등의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 난간으로서, 예를 들어 가옥 내의 현관, 침실, 부엌, 탈의소 및 거실 등의 바닥면(6)(후술하는 도 7a 참조)에 탑재하여 사용하는 거치형의 보조 난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난간(2)은, 베이스(8)와, 제 1 지주부(10)와, 제 2 지주부(12)와, 회동부(14)와, 제 1 난간부(16)와, 제 2 난간부(18)와, 로크 기구(20)와, 제 3 지주부(22)와, 제 4 지주부(24)와,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26b 및 26c(26a 내지 26c)]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보조 난간(2)의 이들 각 구성요소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1-2. 베이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베이스(8)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 1 지주부(10)를 베이스(8)로부터 분리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베이스(8)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를 하방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기대(基臺)이며, 바닥면(6)(후술하는 도 7a 참조)에 탑재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8)는, 예를 들어 장변(Y축 방향의 변)이 약 70㎝, 단변(X축 방향의 변)이 약 50㎝, 두께(Z축 방향의 크기)가 약 1.5㎝의,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상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8)는, 예를 들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장방형상의 금속판(28)의 상면을 천 시트(30)로 크로스하여 덮고, 또한 해당 금속판(28)의 주연부를 링 형상의 고무 부재(32)로 피복하는 것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 1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8)의 상면에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의 각 하단부를 각각 장착하기 위한 제 1 장착부(34) 및 제 2 장착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장착부(34) 및 제 2 장착부(36)는, 베이스(8)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Y축의 플러스측에 있어서의 단부)측으로 편향된 위치에 있으며, 베이스(8)의 단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장착부(34)에 있어서는, 천 시트(30)를 원 형상으로 절단하는 것에 의해, 금속판(28)이 노출되어 있다. 제 1 장착부(34)에는, 나사(38)를 끼워넣기 위한 나사 구멍(40)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나사 구멍(40)은 제 1 장착부(34)의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장착부(36)는 제 1 장착부(34)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1-3. 제 1 지주부 및 제 2 지주부]
다음에,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서,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는 회동부(14)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는 베이스(8)의 상면에 간격을 두고 입설되어 있다.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은, 단면 원 형상의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며, 베이스(8)의 상면으로부터 연직 방향(Z축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압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지주부(10)는 하측 지지부(42) 및 상측 지지부(44)를 갖고 있다. 하측 지지부(42)는 베이스(8)의 상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지지부(42)의 하단부에는, 장착용 플랜지(46)가 형성되어 있다. 장착용 플랜지(46)에는, 제 1 장착부(34)의 복수의 나사 구멍(40)에 대응하여, 나사(38)를 관통 삽입하기 위한 관통 삽입 구멍(48)이 복수 형성되어 있다. 나사(38)가 장착용 플랜지(46)의 관통 삽입 구멍(48)을 통과하여 제 1 장착부(34)의 나사 구멍(40)에 끼워넣어지는 것에 의해, 하측 지지부(42)의 하단부가 제 1 장착부(34)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지지부(42)의 하단부는 나팔 형상의 화장(化粧) 커버(54)로 덮여 있다.
상측 지지부(44)는, 하측 지지부(42)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하측 지지부(42)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지지부(44)는 복수의 나사(56)에 의해 하측 지지부(42)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나사(56) 각각을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상측 지지부(44)를 하측 지지부(42)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어, 제 1 지주부(10) 전체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44)의 상단부에는, 제 1 회동축(58)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지주부(12)는 하측 지지부(60) 및 상측 지지부(62)를 갖고 있다. 하측 지지부(60)는 베이스(8)의 상면으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하측 지지부(60)의 하단부는, 상술한 제 1 지주부(10)와 동일한 구성에 의해, 제 2 장착부(36)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측 지지부(60)의 하단부는 나팔 형상의 화장 커버(64)로 덮여 있다.
상측 지지부(62)는, 하측 지지부(60)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 삽입되며, 하측 지지부(60)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측 지지부(62)는 복수의 나사(66)에 의해 하측 지지부(60)에 고정되어 있다. 복수의 나사(66) 각각을 느슨하게 하는 것에 의해, 상측 지지부(62)를 하측 지지부(60)에 대하여 연직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킬 수 있어, 제 2 지주부(12) 전체를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신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측 지지부(62)의 상단부에는, 제 2 회동축(68)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을 신축시키는 것에 의해, 회동부(14)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의 각 높이 위치는 대략 동일하다. 즉,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은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한 회동 축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1-4. 회동부]
다음에,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회동부(1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회동부(14)는, 제 1 난간부(16) 및 제 2 난간부(18)를 지지하기 위한 것이며, 또한 사용자(4)(후술하는 도 7a 참조)가 착석하기 위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4)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부(14)는, 예를 들어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회동부(14)의 폭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는 각각 제 1 지주부(10)의 제 1 회동축(58) 및 제 2 지주부(12)의 제 2 회동축(6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회동부(14)는,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을 중심으로, 제 1 위치(도 1 및 도 2 참조)와 제 2 위치(도 3 및 도 5 참조)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회동부(14)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을 따라서 연직 방향으로 기립한다. 또한, 회동부(14)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젖혀진다.
회동부(14)의 깊이 방향(회동 축선에 대하여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4a)에는, 제 1 단부(14a)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오목부(70)(오목부의 일 예)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동부(14)의 깊이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단부(14a)와 반대측인 제 2 단부(14b)에는, 제 2 단부(14b)의 길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4)에는, 사용자(4)가 착석하기 위한 평면 형상의 좌면(74)이 형성되어 있다. 좌면(74)은,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회동부(14)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 때, 좌면(74)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어 35cm 내지 50cm이다.
또한,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4)에는, 좌면(74)의 폭 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으로부터 제 1 단부(14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출된 한쌍의 장출부(7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한쌍의 장출부(76)는 각각 제 3 지주부(22) 및 제 4 지주부(24)보다 좌우 외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한 형상 및 크기로 구성되어 있다.
[1-5. 제 1 난간부]
다음에, 도 1 내지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서, 제 1 난간부(16)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1 난간부(16)는, 사용자(4)(후술하는 도 7a 참조)에 의해 손으로 파지되며, 사용자(4)의 각종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난간부(16)는 단면 원 형상의 수지제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난간부(16)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3.2cm이며, 사용자(4)가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굵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난간부(16)는, 회동부(14)의 제 1 오목부(70)에 가설되어 있으며, 회동부(14)의 제 1 단부(14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난간부(16)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상측(Z축의 플러스측)에 배치된다. 이 때, 제 1 난간부(16)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어 55cm 내지 70cm이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난간부(16)는,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전방측(Y축의 마이너스측)에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4)가 제 1 난간부(16)를 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 1 난간부(16)의 표면을 예를 들어 고무제 또는 수지제의 튜브 등으로 피복하여도 좋다.
[1-6. 제 2 난간부]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제 2 난간부(18)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2 난간부(18)는 사용자(4)(후술하는 도 7a 참조)에 의해 손으로 파지되며, 사용자(4)의 각종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난간부(18)는 단면 원 형상의 수지제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난간부(18)의 직경은, 예를 들어 약 3.2cm이며, 사용자(4)가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굵기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난간부(18)는, 회동부(14)의 제 2 오목부(72)에 가설되어 있으며, 회동부(14)의 제 2 단부(14b)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난간부(18)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하측(Z축의 마이너스측)에 배치된다. 이 때, 제 2 난간부(18)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어 20cm 내지 35cm이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난간부(18)는,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후방측(Y축의 플러스측)에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4)가 제 2 난간부(18)를 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제 2 난간부(18)의 표면을 예를 들어 고무제 또는 수지제의 튜브 등으로 피복하여도 좋다.
[1-7. 로크 기구]
다음에,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로크 기구(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로크 기구(2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설명의 사정상, 도 6에서는, 회동부(14)의 두께 방향에 있어서의 좌면(74)과 반대측의 면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로크 기구(20)는 회동부(14)를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 로크하기 위한 기구이다. 회동부(14)를 제 1 위치에 로크한다는 것은,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회동부(14)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을 말한다. 한편, 회동부(14)를 제 2 위치에 로크한다는 것은,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 회동부(14)의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는 것을 말한다.
우선, 로크 기구(2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크 기구(20)는 회동부(14)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로크 기구(20)는,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과, 조작 레버(82)와, 한쌍의 링크(84 및 85)와, 한쌍의 링크(86 및 87)를 갖고 있다.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 각각은, 회동부(14)의 내부에 있어서, 도 6에서 화살표(P 및 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은 각각 회동부(14)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양 측면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관통하고 있다. 로크 핀(78)의 선단부는 제 1 회동축(58)에 형성된 제 1 구멍(도시하지 않음) 또는 제 2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로크 핀(80)의 선단부는 제 2 회동축(68)에 형성된 제 3 구멍(도시하지 않음) 또는 제 4 구멍(도시하지 않음)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 각각은,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화살표(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로크 핀(78)의 선단부가 제 1 회동축(58)에 형성된 제 1 구멍에 결합되며, 또한 로크 핀(80)의 선단부가 제 2 회동축(68)에 형성된 제 3 구멍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회동부(14)는 제 1 위치에 로크된다. 한편, 로크 핀(78)의 선단부가 제 1 회동축(58)에 형성된 제 2 구멍에 결합되며, 또한 로크 핀(80)의 선단부가 제 2 회동축(68)에 형성된 제 4 구멍에 결합되었을 때에는, 회동부(14)는 제 2 위치에 로크된다.
조작 레버(82)는 회동부(14)의 회동의 규제를 해제하기 위한 슬라이드식의 레버이다. 조작 레버(82)는 회동부(14)의 내부에 있으며, 도 6에 있어서 화살표 (R 및 S)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82)의 선단부는 회동부(14)의 제 1 오목부(70)의 주연부에 배치(노출)되어 있다.
한쌍의 링크(84 및 85)는 조작 레버(82)의 슬라이드 동작과 로크 핀(78)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쌍의 링크(86 및 87)는 조작 레버(82)의 슬라이드 동작과 로크 핀(80)의 슬라이드 동작을 연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링크(84 및 86)의 각 일단부는 조작 레버(82)의 기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84 및 86)의 각 타단부는 각각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링크(85 및 87)의 각 일단부는 각각 링크(84 및 86)의 길이방향 중앙부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링크(85 및 87)의 각 타단부는 회동부(1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조작 레버(82)가 도 6에 있어서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했을 때에는,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 각각은 링크(84, 85, 86 및 87)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화살표(P)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한편, 조작 레버(82)가 도 6에 있어서 화살표(S)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했을 때에는,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 각각은 링크(84, 85, 86 및 87)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화살표(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다.
다음에, 로크 기구(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 예로서, 회동부(14)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키는 경우에서의 로크 기구(2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4)(후술하는 도 7a 참조)는, 예를 들어 제 1 난간부(16)에 손의 엄지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을 조작 레버(82)의 선단부에 걸고, 조작 레버(82)를 바로 앞쪽으로 당겨서 도 6에 있어서 화살표(R)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이에 의해,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의 각 선단부는 각각 도 6에 있어서 화살표(P)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고, 제 1 회동축(58)에 형성된 제 1 구멍 및 제 2 회동축(68)에 형성된 제 3 구멍으로부터 인발된다. 조작 레버(82)를 바로 앞쪽으로 당긴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동안, 회동부(14)의 제 1 위치에 있어서의 로크가 해제된다. 사용자(4)는, 조작 레버(82)를 바로 앞쪽으로 당긴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동부(14)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킨다.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4)는 조작 레버(82)의 선단부로부터 손가락을 뗀다. 이에 의해, 한쌍의 로크 핀(78 및 80)의 각 선단부는, 각각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화살표(Q)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것에 의해, 제 1 회동축(58)에 형성된 제 2 구멍 및 제 2 회동축(68)에 형성된 제 4 구멍에 결합된다. 그 결과, 회동부(14)는 제 2 위치에서 로크된다. 이 때, 조작 레버(82)는, 코일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해, 도 6에 있어서 화살표(S)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하여 원래의 위치(도 6에 도시하는 위치)로 복귀한다.
[1-8. 제 3 지주부 및 제 4 지주부]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제 3 지주부(22) 및 제 4 지주부(24)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3 지주부(22) 및 제 4 지주부(24)는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3 지주부(22)는 제 1 회동축(58)을 거쳐서 제 1 지주부(10)의 상단부에 입설되어 있다. 또한, 제 4 지주부(24)는 제 2 회동축(68)을 거쳐서 제 2 지주부(12)의 상단부에 입설되어 있다. 제 3 지주부(22) 및 제 4 지주부(24) 각각은 단면 원 형상의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 3 지주부(22) 및 제 4 지주부(24) 각각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의 압출 성형 등에 의해 형성된다.
제 3 지주부(22)는 제 1 경사부(88) 및 제 1 연직부(90)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경사부(88)는, 제 1 지주부(10)의 상단부[제 1 회동축(58)]로부터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또한 제 1 위치에 있는 회동부(14)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경사부(88)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약 30°이다. 제 1 연직부(90)는 제 1 경사부(88)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4 지주부(24)는 제 2 경사부(92) 및 제 2 연직부(94)를 갖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경사부(92)는, 제 2 지주부(12)의 상단부[제 2 회동축(68)]로부터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또한 제 1 위치에 있는 회동부(14)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2 경사부(92)의 연직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약 30°이다. 제 2 연직부(94)는 제 2 경사부(92)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9. 제 3 난간부]
다음에,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서,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 각각은, 사용자(4)(후술하는 도 7a 참조)에 의해 손으로 파지되며, 사용자(4)의 각종 동작을 보조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 각각은, 단면 원 형상의 금속제의 파이프로 형성되며,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의 각 직경은, 예를 들어 약 3.2cm이며, 사용자(4)가 손으로 파지하기 쉬운 굵기로 구성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는 제 3 지주부(22)의 제 1 연직부(90)와 제 4 지주부(24)의 제 2 연직부(94) 사이에 사다리 형상으로 가설되어 있다. 즉,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는, 위로부터 이 순서대로, 제 1 연직부(90) 및 제 2 연직부(94)의 각 길이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 각각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최상단의 제 3 난간부(26a)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는, 예를 들어 70cm 내지 85cm이다. 또한, 인접하는 한쌍의 제 3 난간부(26a 및 26b) 사이[또는, 인접하는 한쌍의 제 3 난간부(26b 및 26c) 사이]에 사용자(4)의 머리부가 잘못하여 끼이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의 배치 간격은 사용자(4)의 머리부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예를 들면, 120㎜ 이하)로 구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최상단의 제 3 난간부(26a) 및 중단(中段)의 제 3 난간부(26b) 각각은,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난간부(16)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한편, 최하단의 제 3 난간부(26c)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난간부(16)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또한, 사용자(4)가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 중 어느 하나를 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손이 미끄러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의 각 표면을 예를 들어 고무제 또는 수지제의 튜브 등으로 피복하여도 좋다.
[1-10. 보조 난간의 사용예]
[1-10-1. 사용예 1]
다음에, 도 7a를 참조하면서, 보조 난간(2)의 사용예 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사용예 1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예 1에서는, 보조 난간(2)은 가옥 내의 현관의 토방(土間)(96)의 바닥면(6)에 탑재되어 있다. 이하, 사용예 1로서, 사용자(4)가 토방(96)에서 신발(98)을 벗고서 마룻귀틀(100)에 올라가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선, 사용자(4)는, 회동부(14)를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시킨 후에, 신발(98)을 신은 상태에서 회동부(14)의 좌면(74)에 착석한다. 이 때, 사용자(4)는,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를 등받이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그 후, 사용자(4)는, 베이스(8) 상에서 신발(98)을 벗고, 회동부(14)의 한쌍의 장출부(76)에 양손을 짚고서 몸을 지지하면서 일어선다.
그 후, 사용자(4)는, 회동부(14)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회동시켜 제 1 위치에 로크한 후에, 제 1 난간부(16)를 손으로 파지하면서, 토방(96)으로부터 마룻귀틀(100)로 올라간다. 이 때, 사용자(4)는 제 3 난간부(26a 또는 26b)를 손으로 파지하여도 좋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보조 난간(2)을 가옥 내의 현관의 토방(96)의 바닥면(6)에 탑재했지만, 예를 들어 가옥 내의 탈의소의 바닥면(6)에 탑재하여도 좋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4)는, 회동부(14)의 좌면(74)에 착석한 상태에서, 예를 들어 의복 등의 착탈을 실행할 수 있다.
[1-10-2. 사용예 2]
다음에, 도 7b를 참조하면서, 보조 난간(2)의 사용예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b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사용예 2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예 2에서는, 보조 난간(2)은 가옥 내의 거실의 바닥면(6)에 탑재되어 있으며, 회동부(14)는 제 2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이하, 사용예 2로서 사용자(4)가 거실의 바닥면(6)에 착석한 상태로부터 일어서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4)는, 제 1 난간부(16) 및 제 3 난간부(26a)를 순서대로 손으로 파지하면서, 거실의 바닥면(6)으로부터 일어설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4)는, 비스듬하게 상방으로 체중을 이동시키면서 안정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다. 또한, 사용자(4)는, 회동부(14)의 좌면(74)을 손을 짚으면서 일어서도록 하여도 좋다.
[1-10-3. 사용예 3]
다음에, 도 7c를 참조하면서, 보조 난간(2)의 사용예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c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사용예 3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예 3에서는, 보조 난간(2)은 가옥 내의 침실의 바닥면(6)에 탑재되어 있으며, 회동부(14)는 제 1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이하, 사용예 3으로서, 사용자(4)가 침실의 바닥면(6)에 깐 이불(도시하지 않음)에 옆으로 누운 상태로부터 일어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4)는, 제 2 난간부(18)를 손으로 파지지하면서, 침실의 바닥면(6)에 깐 이불로부터 자력으로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난간부(18)는,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하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4)는, 이불에 옆으로 누워 있는 상태라도, 제 2 난간부(18)를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다.
[1-10-4. 사용예 4]
다음에, 도 7d를 참조하면서, 보조 난간(2)의 사용예 4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d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사용예 4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예 4에서는, 보조 난간(2)은 가옥 내의 복도의 바닥면(6)에 탑재되어 있으며, 회동부(14)는 제 1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이하, 사용예 4로서, 사용자(4)가 복도를 보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4)는, 제 1 난간부(16)를 손으로 파지하면서, 복도를 보행할(잡고 걸을)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4)는 안정된 자세로 보행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4)는, 체격 또는 자세 등에 따라서, 제 3 난간부(26a)를 손으로 파지하여도 좋다.
[1-10-5. 사용예 5]
다음에, 도 7e를 참조하면서, 보조 난간(2)의 사용예 5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e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사용예 5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예 5에서는, 보조 난간(2)은 가옥 내의 침실의 바닥면(6)에 탑재되어 있으며, 회동부(14)는 제 1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이하, 사용예 5로서, 사용자(4)가 침실에 설치된 침대(102)로부터 일어서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조 난간(2)의 베이스(8)의 일부는 침대(102)와 바닥면(6)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이 때, 제 1 난간부(16) 및 제 3 난간부(26a 및 26b)는, 침대(102)의 옆에 배치되며, 침대(10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난간부(16) 등은 침대(102)의 단부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4)는, 침대(102) 상에 옆으로 누운 상태로부터, 제 1 난간부(16)를 손으로 파지하면서 침대(102) 위에서 상체를 일으킬 수 있다. 그 후, 사용자(4)는, 침대(102)의 단부에 착석한 상태로부터, 제 1 난간부(16)를 손으로 파지하면서 침대(102)로부터 일어설 수 있다. 이 때, 사용자(4)는, 체격 또는 자세 등에 따라서, 제 3 난간부(26a 또는 26b)를 손으로 파지하여도 좋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제 1 난간부(16) 등이 침대(102)의 단부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보조 난간(2)을 침대(102)의 옆에 배치했지만,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난간부(16) 등이 침대(102)의 단부에 대하여 수직이 되도록, 즉 베이스(8)의 장변이 침대(102)의 단부에 대하여 평행이 되도록, 보조 난간(2)을 침대(102)의 옆에 배치하여도 좋다.
[1-10-6. 사용예 6]
다음에, 도 7f를 참조하면서, 보조 난간(2)의 사용예 6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f는 실시형태 1에 따른 보조 난간(2)의 사용예 6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사용예 6에서는, 보조 난간(2)은, 예를 들어 가옥 내의 현관의 토방(96)(도 7a 참조)의 바닥면(6)에 탑재되며, 회동부(14)는 제 1 위치에 로크되어 있다. 중단의 제 3 난간부(26b)는, 예를 들어 우산(101) 및 지팡이(103) 등을 걸어서 매달기 위한 행거로서 이용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4)(도 7a 참조)가 보조 난간(2)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보조 난간(2)을, 물건을 매달기 위한 행거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조 난간(2)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사용예에서는, 중단의 제 3 난간부(26b)를 행거로서 이용했지만, 최상단의 제 3 난간부(26a)를 행거로서 이용하여도 좋다.
[1-11.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은, 베이스(8)와, 베이스(8)에 입설되며, 제 1 회동축(58)을 갖는 제 1 지주부(10)와, 베이스(8)에 입설되며, 제 2 회동축(68)을 갖는 제 2 지주부(12)와,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을 따라서 기립하는 제 1 위치와,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 각각에 대하여 젖혀지는 제 2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회동부(14)와, 회동부(14)의 제 1 단부(14a)에 마련된 제 1 난간부(16)와,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회동부(14)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20)를 구비한다. 제 1 난간부(16)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동부(14)가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회동하므로, 제 1 난간부(16)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 위치의 조절 범위가 커진다. 이에 의해, 제 1 난간부(16)의 높이 위치를, 사용자(4)의 체격 및 동작 등에 따른 적절한 높이 위치로 조절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4)는, 예를 들어 일어나기 및 보행 등의 동작을 실행할 때에, 제 1 난간부(16)를 확실히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 기구(2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사용자(4)가 제 1 위치에 있는 회동부(14)를 손으로 파지했을 때에, 회동부(14)가 갑자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 회동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난간(2)은 회동부(14)의 제 1 단부(14a)와 반대측의 제 2 단부(14b)에 마련된 제 2 난간부(18)를 구비한다. 제 2 난간부(18)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 및 제 2 회동축(68)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2 난간부(18)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 위치를 비교적 낮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4)는, 바닥면(6)에 깐 이불 등에 옆으로 누운 상태에서 제 2 난간부(18)를 손으로 파지하는 것에 의해, 자력으로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다.
또한, 회동부(14)는 좌면(74)을 갖는다. 좌면(74)은,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회동부(14)의 상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4)는 좌면(74)에 착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4)는, 좌면(74)에 착석하는 것에 의해, 안정된 자세로 신발(98) 또는 의복 등의 착탈을 실행할 수 있다. 혹은, 예를 들어 사용자(4)는, 좌면(74)을 손으로 짚으면서, 바닥면(6)에 착석한 상태로부터 안정된 자세로 일어설 수 있다.
또한, 회동부(14)는 좌면(74)의 양측으로부터 제 1 단부(14a)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출된 한쌍의 장출부(76)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4)는, 좌면(74)에 착석한 상태로부터, 한쌍의 장출부(76)를 양손으로 짚고서 몸을 지지하면서 용이하게 일어설 수 있다.
또한, 보조 난간(2)은, 제 1 지주부(10)의 상단부에 입설된 제 3 지주부(22)와, 제 2 지주부(12)의 상단부에 입설된 제 4 지주부(24)와, 제 3 지주부(22)와 제 4 지주부(24) 사이에 가설된 제 3 난간부[26a(26b, 26c)]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동부(14)가 제 2 위치에 있는 경우에, 사용자(4)는, 제 1 난간부(16) 및 제 3 난간부[26a(26b, 26c)] 중, 사용자(4)의 체격 및 동작 등에 따른 난간부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난간부[26a(26b)]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난간부(16)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또한, 제 3 난간부(26c)는, 회동부(14)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난간부(16)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1 난간부(16)의 높이 위치와 제 3 난간부[26a(26b, 26c)]의 높이 위치가 상이하므로, 사용자(4)는, 제 1 난간부(16) 및 제 3 난간부[26a(26b, 26c)] 중, 사용자(4)의 체격 및 동작 등에 따른 난간부를 손으로 파지할 수 있다.
또한, 제 3 지주부(22)는, 제 1 지주부(10)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또한 제 1 위치에 있는 회동부(14)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경사부(88)와, 제 1 경사부(88)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직부(90)를 갖는다. 제 4 지주부(24)는, 제 2 지주부(12)의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또한 제 1 위치에 있는 회동부(14)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92)와, 제 2 경사부(92)로부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직부(94)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동부(14)를 제 2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 회동시켰을 때에, 회동부(14)가 제 1 연직부(90) 및 제 2 연직부(94)에 부딪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회동부(14)는, 제 1 단부(14a)에 형성되며, 제 1 난간부(16)가 가설된 제 1 오목부(70)를 갖는다. 로크 기구(20)는, 회동부(14)의 제 1 오목부(70)의 주연부에 배치되며, 회동부(14)의 회동의 규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레버(82)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조작 레버(82)는 회동부(14)의 제 1 오목부(70)의 주연부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용자(4)가 제 1 난간부(16)를 손으로 파지할 때에, 조작 레버(82)가 사용자(4)의 손에 부딪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4)는, 예를 들어 제 1 난간부(16)에 손의 엄지 손가락을 건 상태에서, 다른 손가락으로 조작 레버(82)를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다음에,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2-1. 보조 난간의 전체 구성]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2A)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를 베이스(8A)의 제 1 장착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2A)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를 베이스(8A)의 제 2 장착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2A)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를 베이스(8A)의 제 3 장착 위치에 장착한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2에 따른 보조 난간(2A)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 도시하는 각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A)에서는, 베이스(8A)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베이스(8A)의 상면에는, 제 1 장착 위치와, 제 2 장착 위치와, 제 3 장착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제 1 장착 위치에는, 제 1 장착부(34a) 및 제 2 장착부(36a)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장착 위치에는, 제 1 장착부(34b) 및 제 2 장착부(36b)가 형성되어 있다. 제 3 장착 위치에는, 제 1 장착부(34c) 및 제 2 장착부(36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복수의 나사(38)(도 4 참조)를 분리하는 것에 의해,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를 제 1 장착 위치, 제 2 장착 위치 및 제 3 장착 위치중 어느 하나로 변경할 수 있다.
제 1 장착부(34a) 및 제 2 장착부(36a)는, 베이스(8A)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에 편향된 위치에 있으며, 베이스(8A)의 단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의 각 하단부는 각각 제 1 장착부(34a) 및 제 2 장착부(36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설명의 사정상, 도 8에서는, 제 1 장착부(34b 및 34c) 및 제 2 장착부(36a 및 36c) 각각은 원 형상의 천 시트로 덮이지 않으며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장착부(34b) 및 제 2 장착부(36b)는, 베이스(8A)의 장변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있으며, 베이스(8A)의 단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의 각 하단부는 각각 제 1 장착부(34b) 및 제 2 장착부(36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9에서는, 제 1 장착부(34a 및 34c) 및 제 2 장착부(36a 및 36c) 각각은 원 형상의 천 시트로 덮여 있다.
제 1 장착부(34c) 및 제 2 장착부(36c)는, 베이스(8A)의 단변 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측에 편향된 위치에 있으며, 베이스(8A)의 장변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의 각 하단부는 각각 제 1 장착부(34c) 및 제 2 장착부(36c)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10에서는, 제 1 장착부(34a 및 34b) 및 제 2 장착부(36a 및 36b) 각각은 원 형상의 천 시트로 덮여 있다.
[2-2. 효과]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A)에서는, 보조 난간(2A)의 용도 등에 따라서, 제 1 지주부(10) 및 제 2 지주부(12)의 베이스(8A)에 있어서의 장착 위치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다음에, 실시형태 3에 따른 보조 난간에 대하여 설명한다.
[3-1. 보조 난간의 전체 구성]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3에 따른 보조 난간(2B)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회동부(14B)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보조 난간(2B)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회동부(14B)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실시형태 3에 따른 보조 난간(2B)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B)에서는, 주로 회동부(14B)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 1과 상이하며,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제 3 지주부(22), 제 4 지주부(24), 제 2 난간부(18) 및 복수의 제 3 난간부(26a 내지 26c)는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제 1 지주부(10B) 및 제 2 지주부(12B) 각각은 단면 직사각 형상의 금속 파이프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지주부(10B) 및 제 2 지주부(12B)는 각각 베이스(8B)의 제 1 장착부(34B) 및 제 2 장착부(36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제 1 지주부(10B) 및 제 2 지주부(12B) 각각은 그들 길이방향을 따라서 신축 가능하다.
제 1 지주부(10B) 및 제 2 지주부(12B)의 각 상단부에는, 각각 제 1 회동축(58B) 및 제 2 회동축(68B)이 배치되어 있다. 제 1 회동축(58B) 및 제 2 회동축(68B)은 수평 방향(X축 방향)으로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0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회동부(14B)는, 제 1 아암(106)과, 제 2 아암(108)과, 면 난간부(110)를 갖고 있다. 제 1 아암(106)의 일단부는 제 1 회동축(58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2 아암(108)의 일단부는 제 2 회동축(68B)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제 1 아암(106) 및 제 2 아암(108)은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제 1 아암(106) 및 제 2 아암(108)의 각 타단부에는, 제 1 난간부(16B)가 가설되어 있다.
면 난간부(110)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 개구부를 갖고 있다. 면 난간부(110)는 제 1 아암(106), 제 2 아암(108) 및 제 1 난간부(16B)에 의해 둘러싸인 영역 내에 배치되어 있다. 면 난간부(110)의 3개의 변은 각각 제 1 아암(106), 제 2 아암(108) 및 제 1 난간부(16B)와 접속부(112)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회동부(14B)는, 제 1 회동축(58B) 및 제 2 회동축(68B)을 중심으로, 제 1 위치(도 11 참조)와 제 2 위치(도 12 참조) 사이를 회동할 수 있다. 회동부(14B)는,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지주부(10B) 및 제 2 지주부(12B) 각각을 따라서 연직 방향으로 기립한다. 또한, 회동부(14B)는, 제 2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 1 지주부(10B) 및 제 2 지주부(12B) 각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젖혀진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난간부(16B)는, 회동부(14B)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B) 및 제 2 회동축(68B)보다 상측(Z축의 플러스측)에 배치된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난간부(16B)는, 회동부(14B)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제 1 회동축(58B) 및 제 2 회동축(68B)보다 전방측(Y축의 마이너스측)에 배치된다.
또한, 회동부(14B)는, 제 2 회동축(68B)의 내부에 배치된 로크 기구(20B)에 의해, 제 1 위치 또는 제 2 위치에서 로크된다. 로크 기구(20B)는 제 2 회동축(68B)의 측면에 배치된 조작 버튼(114)을 갖고 있다. 이러한 조작 버튼(114)은 상기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조작 레버(82)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 푸시식의 버튼이다. 조작 버튼(114)을 제 2 회동축(68)을 향하여 압입하는 것에 의해, 회동부(14B)의 회동의 규제가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기구(20B)를 제 2 회동축(68)에만 마련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 1 회동축(58B)에만 마련하여도 좋고, 혹은 제 1 회동축(58B) 및 제 2 회동축(68B)의 양쪽에 마련하여도 좋다.
[3-2. 효과]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B)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4B)가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4)(도 7a 참조)는, 예를 들어 제 1 난간부(16B)를 손으로 파지하면서 보행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동부(14B)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사용자(4)는, 예를 들어 제 1 난간부(16B)를 손으로 파지하면서, 또는 면 난간부(110)의 상면(좌면의 일 예)을 손으로 짚으면서, 착석 자세로부터 일어설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형태 1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4)는, 회동부(14B)가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면 난간부(110)에 착석하여도 좋다.
(실시형태 4)
다음에, 도 13을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4에 따른 보조 난간(2C)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실시형태 4에 따른 보조 난간(2C)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C)에서는, 최상단의 제 3 난간부(26Ca)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제 3 난간부(26Ca)의 길이방향(X축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각각 제 3 지주부(22) 및 제 4 지주부(24)보다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3 난간부(26Ca)의 파지 가능한 영역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4)(도 7a 참조)의 다양한 체격 및 동작 등에 적응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다음에, 도 14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5에 따른 보조 난간(2D)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실시형태 5에 따른 보조 난간(2D)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D)에서는, 최상단의 제 3 난간부(26Da)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실시형태 3과 마찬가지로, 제 3 난간부(26Da)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는 각각 제 3 지주부(22) 및 제 4 지주부(24)보다 좌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제 3 난간부(26Da)는 수평 방향(X축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제 3 난간부(26Da)의 베이스(8)로부터의 높이 위치는, 제 3 난간부(26Da)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일단부로부터 타단부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변화하므로, 사용자(4)(도 7a 참조)의 다양한 체격 및 동작 등에 적응할 수 있다.
(실시형태 6)
다음에, 도 15를 참조하면서, 실시형태 6에 따른 보조 난간(2E)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실시형태 6에 따른 보조 난간(2E)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보조 난간(2E)에서는, 회동부(14E)의 구성이 상기 실시형태 1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회동부(14E)의 좌면(74)(도 2 참조)과 반대측의 면에는, 대략 L자 형상의 복수의 후크(116)가 장착되어 있다. 복수의 후크(116) 각각에는, 예를 들면 휴대용 봉지(118) 등을 걸어서 매달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4)(도 7a 참조)가 보조 난간(2E)을 사용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보조 난간(2E)을, 물건을 매달기 위한 행거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결과, 보조 난간(2E)의 범용성을 높일 수 있다.
(변형예 등)
이상, 본 발명에 대해 실시형태 1 내지 6에 기초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 1 내지 6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로크 기구[20(20B)]는, 회동부[14(14B, 14E)]를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로크하도록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회동부[14(14B, 14E)]를 제 1 위치에서만 로크하도록 하여도 좋다. 혹은, 로크 기구[20(20B)]는, 회동부[14(14B, 14E)]를 i) 제 1 위치, ii) 제 2 위치, 및 iii)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의 중간 위치 중 어느 하나에서 로크하도록 하여도 좋다.
기타, 상기 실시형태에 대하여 당업자가 고려하여 각종 변형을 실시해서 얻어지는 형태나,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및 기능을 임의로 조합함으로써 실현되는 형태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2, 2A, 2B, 2C, 2D, 2E : 보조 난간
8, 8A, 8B : 베이스 10, 10B : 제 1 지주부
12, 12B : 제 2 지주부 14, 14B, 14E : 회동부
14a : 제 1 단부 14b : 제 2 단부
16, 16B : 제 1 난간부 18 : 제 2 난간부
22 : 제 3 지주부 24 : 제 4 지주부
26a, 26b, 26c, 26Ca, 26Da : 제 3 난간부
20, 20B : 로크 기구 58, 58B : 제 1 회동축
68, 68B : 제 2 회동축 70 : 제 1 오목부(오목부)
74 : 좌면 76 : 장출부
82 : 조작 레버 88 : 제 1 경사부
90 : 제 1 연직부 92 : 제 2 경사부
94 : 제 2 연직부

Claims (8)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입설되며, 제 1 회동축을 갖는 제 1 지주부와,
    상기 베이스에 입설되며, 제 2 회동축을 갖는 제 2 지주부와,
    상기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2 회동축 각각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제 1 지주부 및 상기 제 2 지주부 각각을 따라서 기립하는 제 1 위치와, 상기 제 1 지주부 및 상기 제 2 지주부 각각에 대하여 젖혀지는 제 2 위치 사이를 회동하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의 제 1 단부에 마련된 제 1 난간부와,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회동부의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상기 제 2 위치로의 회동을 규제하기 위한 로크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난간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2 회동축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보조 난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간은 또한, 상기 회동부의 상기 제 1 단부와 반대측의 제 2 단부에 마련된 제 2 난간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난간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회동축 및 상기 제 2 회동축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보조 난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좌면을 갖고,
    상기 좌면은,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 2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회동부의 상면에 배치되는
    보조 난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또한, 상기 좌면의 양측으로부터 상기 제 1 단부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장출된 한쌍의 장출부를 갖는
    보조 난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난간은 또한,
    상기 제 1 지주부의 상단부에 입설된 제 3 지주부와,
    상기 제 2 지주부의 상단부에 입설된 제 4 지주부와,
    상기 제 3 지주부와 상기 제 4 지주부 사이에 가설된 제 3 난간부를 구비하는
    보조 난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난간부는, 상기 회동부가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 1 난간부보다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되는
    보조 난간.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지주부는,
    상기 제 1 지주부의 상기 상단부로부터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또한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기 회동부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경사부와,
    상기 제 1 경사부로부터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직부를 갖고,
    상기 제 4 지주부는,
    상기 제 2 지주부의 상기 상단부로부터 상기 연직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며, 또한 상기 제 1 위치에 있는 상기 회동부로부터 퇴피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경사부와,
    상기 제 2 경사부로부터 상기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직부를 갖는
    보조 난간.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 1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난간부가 가설된 오목부를 갖고,
    상기 로크 기구는, 상기 회동부의 상기 오목부의 주연부에 배치되며, 상기 회동부의 회동의 규제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레버를 갖는
    보조 난간.
KR1020180059774A 2017-05-30 2018-05-25 보조 난간 KR2018013142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06363A JP6861386B2 (ja) 2017-05-30 2017-05-30 補助手すり
JPJP-P-2017-106363 2017-05-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420A true KR20180131420A (ko) 2018-12-10

Family

ID=64542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774A KR20180131420A (ko) 2017-05-30 2018-05-25 보조 난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61386B2 (ko)
KR (1) KR20180131420A (ko)
CN (1) CN108969248A (ko)
TW (1) TW20190013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23554A (ja) * 2019-08-06 2021-02-22 雅昭 久保 折畳み式テーブル付き置き型手摺
WO2022131326A1 (ja) * 2020-12-16 2022-06-23 株式会社Magic Shields 手すり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0454U (ja) * 1994-10-20 1995-05-02 正昭 林 折り畳み式シ−ト
JP3930692B2 (ja) * 2001-03-30 2007-06-13 パラマウントベッド株式会社 ベッド装置における着脱型移乗補助装置
JP3984612B2 (ja) * 2004-12-22 2007-10-03 住友林業株式会社 手すり付きベンチ
JP2011172708A (ja) * 2010-02-24 2011-09-08 Shikoku:Kk 椅子付き手摺装置
KR100986251B1 (ko) * 2010-04-15 2010-10-07 이선영 야외용 접이식 벤치
US8733838B2 (en) * 2010-06-07 2014-05-27 Scott Suprina Floor track for seating system
JP6061786B2 (ja) * 2013-06-04 2017-01-18 マツ六株式会社 手摺スタンド用のカバー、ならびに手摺スタンド
CN204814561U (zh) * 2015-07-27 2015-12-02 中山市康利宝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带平台的床边扶手
CN204951472U (zh) * 2015-09-28 2016-01-13 王秀莲 一种消化内科护理架
JP2017070439A (ja) * 2015-10-06 2017-04-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動作支援補助具
CN205019363U (zh) * 2015-10-09 2016-02-10 杨晓静 一种新型骨科助行器
CN205041312U (zh) * 2015-10-10 2016-02-24 北京正信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快速上锁的可折叠坐便椅
CN105455712A (zh) * 2015-12-17 2016-04-06 东南大学 折叠式辅助洗澡椅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8201543A (ja) 2018-12-27
JP6861386B2 (ja) 2021-04-21
TW201900132A (zh) 2019-01-01
CN108969248A (zh) 2018-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05773A (en) Mobility assist device
US7779850B2 (en) Anti-tipping device for walkers
WO2012070260A1 (ja) 移動型点滴スタンド
US10272005B2 (en) Bedside assistant and its attachment to a bed
US7445291B2 (en) Chair footrest mechanism
US20180187486A1 (en) Safety ladder
KR20180131420A (ko) 보조 난간
US20080149000A1 (en) Adjustable table
JP2003509148A (ja) 携帯用浴槽シート
US20140103691A1 (en) Handicap accessible bar stool
US20160302988A1 (en) Exercising Implements and Methods of Use for Performing Muscular Stretching Exercises, Respiration Exercises, and Resistance Training
US20170367540A1 (en) Rotary bathtub grab-bar chair
US200800678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Persons Between a Sitting and a Standing Position
US20110120352A1 (en) Table
US20230200599A1 (en) Retractable platform
US20150041605A1 (en) Clamping device
US20200029696A1 (en) Leg Extension for Procedure Chair
JP2005230031A (ja) 歩行補助具
JP2013066707A (ja) 支持組立体およびその中で使用する支持装置
JP2012217718A (ja) 便器用手摺
DK2617404T3 (en) Bed with a fold-down grille provided with a point for technical assistance for rolling
JP2910853B1 (ja) 入浴用担架または車椅子
GB2598916A (en) Toilet Frame
JP2000333885A (ja) 手すり装置
KR102507623B1 (ko) 휠체어용 안전 발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