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310A -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 Google Patents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310A
KR20180131310A KR1020170094529A KR20170094529A KR20180131310A KR 20180131310 A KR20180131310 A KR 20180131310A KR 1020170094529 A KR1020170094529 A KR 1020170094529A KR 20170094529 A KR20170094529 A KR 20170094529A KR 20180131310 A KR20180131310 A KR 201801313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thylene
insulating layer
peroxide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4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6351B1 (ko
Inventor
정현정
남진호
유정석
양이슬
허성익
조민상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17/0140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8221803A1/ko
Publication of KR20180131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01B7/0241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helical wrapped layers of insulation
    • H01B7/025Disposition of insulation comprising one or more helical wrapped layers of insulation comprising in addition one or more other layers of non-helical wrapped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9/00Power cables
    • H01B9/02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 H01B9/027Power cables with screens or conductive layers, e.g. for avoiding large potential gradients composed of semi-conducting lay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절연체 내의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임펄스 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High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cable}
본 발명은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절연체 내의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임펄스 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용량과 장거리 송전이 요망되는 대형 전력계통에서는 전력손실의 감소, 건설용지 문제, 송전용량 증대 등의 관점에서 송전전압을 높이는 고압송전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송전방식은 크게 교류송전방식과 직류송전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 중 직류송전방식은 직류로 전기 에너지를 보내는 것을 말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직류송전방식은 먼저 송전 쪽의 교류전력을 적당한 전압으로 바꾸고 순변환장치에 의해 직류로 변환한 뒤 송전선로를 통해 수전 쪽으로 보내면, 수전 쪽에서는 역변환장치에 의해 직류전력을 다시 교류전력으로 변환하는 방식이다.
특히, 상기 직류전송방식은 대용량의 전력을 장거리 수송하는데 유리하고 비동기 전력계통의 상호 연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거리 송전에 있어서 직류가 교류보다 전력 손실이 적고 안정도가 높으므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직류송전방식에 사용되는 (초)고압 직류 송전 케이블의 절연체는 절연유에 함침된 절연지 또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될 수 있는데, 최근에는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케이블을 작동시킬 수 있어 송전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절연유 누유의 우려가 없는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 형성된 절연체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직선형 분자쇄 구조를 갖고 있어 가교 과정을 통해 기계적, 열적 특성을 향상시켜 케이블 절연층에 적용되며, 상기 가교과정에서 가교제가 분해되며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가교 부산물의 영향으로 케이블 절연층에 공간전하가 축적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공간전하는 (초)고압 직류 송전 케이블 절연체 내의 전기장을 왜곡시켜 최초 설계된 절연 파괴전압보다 낮은 전압에서 절연 파괴를 일으킬 수 있다.
송전 방향 전환을 위해 극성반전이 필요한 전류형 직류송전(LCC)에 사용되는 케이블의 경우에는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화마그네슘 등과 같은 무기 첨가제가 케이블 절연층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고, 직류 전기장 하에서 상기 무기 첨가제가 분극화되며 공간전하를 트랩(trap)하여 공간전하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전압형 직류송전(VSC)의 경우에는 극성반전이 불필요하며, 케이블 절연체가 받는 전기적 응력에 최적화되도록 유기 첨가제가 첨가된 절연 조성물을 사용하는바 절연층에서의 공간전하 함량을 정밀히 제어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절연체 내의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임펄스 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고 특히 전압형 직류송전(VSC)에 사용하기 적합한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절연체 내의 공간전하(space charge)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임펄스 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로서, 복수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된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은 이의 두께를 3등분하여 내층, 중층 및 외층으로 구분할 때 각 층에 포함된 가교 부산물 중 α-쿠밀알코올(α-cumyl alcohol; α-CA)에 대한 아래 수학식 1의 변동계수가 6.4 이하이고, α-메틸스티렌(α-methyl styrene; α-MS)에 대한 아래 수학식 1의 변동계수가 3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수학식 1]
변동계수 = (층별 포함된 가교 부산물 함량비율의 표준편차 / 층별 포함된 가교 부산물 함량비율의 평균값) × 100
여기서, 상기 내층에 포함되는 가교 부산물 중 아세토페논(acetophenone; AP)의 함량비율이 25.5% 이하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연층의 절연파괴전압이 560 kV/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물계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 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 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및 디-t-부틸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절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압출성 향상제 및 가교조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이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교제의 함량이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EMM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EMA), 에틸렌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EPA), 에틸렌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EPM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및 에틸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EBM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은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에 첨가되는 가교제의 함량과 베이스 수지의 적절한 개질에 의한 가교도 조절을 통해 가교시 생성되는 특정 가교 부산물의 함량을 정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절연체 내의 공간전하 축적에 의한 전계왜곡과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임펄스 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 케이블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종단면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전력케이블(200)은 복수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된 도체(210), 상기 도체를 감싸는 내부반도전층(212),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을 감싸는 절연층(214), 상기 절연층(214)을 감싸는 외부반도전층(216)을 포함하여, 상기 도체(210)를 따라 케이블 길이 방향으로만 전력을 전송하고, 케이블 반경 방향으로는 전류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케이블 코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도체(210)는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전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전율이 우수하고 케이블 제조 및 사용에 적절한 강도와 유연성을 가진 소재, 예를 들어 구리 또는 알루미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체(210)는 복수개의 원형소선을 연선하여 원형으로 압축한 원형 압축도체일 수 있고, 원형의 중심소선(210A)과 상기 원형 중심소선(210A)을 감싸도록 연선된 평각소선(210B)으로 이루어진 평각소선층(210C)을 구비하며 전체적으로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평각도체일 수 있으며, 상기 평각도체는 원형 압축도체에 비하여 점적율이 상대적으로 높아 케이블 외경을 축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도체(210)는 복수의 소선을 연선하여 형성되므로 그 표면이 평활하지 않아 전계가 불균일할 수 있으며, 부분적으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기 쉽다. 또한, 도체(210) 표면과 후술하는 절연층(214) 사이에 공극이 생기게 되면 절연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체(210) 외부에는 내부반도전층(212)이 형성된다.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은 절연성 물질에 카본블랙, 카본 나노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도전성 입자가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게 되며, 상기 도체(210)와 후술하는 절연층(214) 사이에서 급격한 전계변화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절연성능을 안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도체면의 불균일한 전하분포를 억제함으로써 전계를 균일하게 하고, 도체(210)와 절연층(214) 간의 공극 형성을 방지하여 코로나 방전, 절연파괴 등을 억제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상기 내부반도전층(212)의 바깥쪽에는 절연층(214)이 구비되어 도체(210)를 따라 흐르는 전류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외부와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준다. 일반적으로 상기 절연층(214)은 파괴전압이 높고, 절연성능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야 한다. 나아가 유전손실이 적으며 내열성 등의 열에 대한 저항 성능을 지니고 있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절연층(214)은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폴리에틸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가교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층(214)의 외부에는 외부반도전층(216)이 구비된다. 상기 외부반도전층(216)은 내부반도전층(212)과 같이 절연성 물질에 도전성 입자, 예를 들면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이 첨가되어 반도전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어, 상기 절연층(214)과 후술하는 금속시스(22) 사이의 불균일한 전하 분포를 억제하여 절연 성능을 안정화한다. 또한, 상기 외부반도전층(216)은 케이블에 있어서 절연층(214)의 표면을 평활하게 하여 전계집중을 완화시켜 코로나 방전을 방지하며, 상기 절연층(214)을 물리적으로 보호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상기 케이블 코어부, 특히 상기 내부반도전층(212), 절연층(214) 내지 외부반도전층(216)은 전술한 공간전하의 생성, 축적 내지 주입에 따른 전계왜곡 및 이로 인한 절연파괴가 가장 우려되는 부분으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별도로 후술한다.
상기 코어부는 케이블에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분흡수층을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분흡수층은 연선된 소선 사이 및/또는 도체(2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흡수층은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반도전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어부의 외부에는 보호시스부가 구비되며, 해저와 같이 수분에 노출이 많이 되는 환경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은 외장부를 추가적으로 구비한다. 상기 보호시스부 및 외장부는 케이블의 전력 전송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분침투, 기계적 외상, 부식 등의 다양한 환경요인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코어부를 보호한다.
상기 보호시스부는 금속 시스층(218)와 내부 시스(220)를 포함하여, 사고전류, 외력 내지 기타 외부환경 요인으로부터 상기 케이블 코어부를 보호한다.
상기 금속 시스층(218)는 전력케이블 단부에서의 접지되어 지락 또는 단락 등의 사고 발생시 사고 전류가 흐르는 통로 역할을 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보호하고, 전계가 케이블 외부로 방전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해저 등의 환경에 부설되는 케이블의 경우, 상기 금속 시스층(218)이 상기 코어부를 실링하도록 형성되어 수분과 같은 이물질이 침입하여 절연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어부 외부에 용융된 금속을 압출하여 이음새가 없는 연속적인 외면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차수성능이 우수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금속으로는 납(Lead)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하며, 특히 해저 케이블의 경우에는 해수에 대한 내식성이 우수한 납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계적 성질을 보완하기 위해 금속 원소를 첨가한 합금연(Lead alloy)을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시스층(218)은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고 상기 내부 시스(220)와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에 부식 방지 컴파운드, 예를 들어, 블로운 아스팔트 등이 도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금속 시스층(218)과 상기 코어부 사이에는 동선직입 테이프(미도시) 내지 수분 흡수층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선직입 테이프는 동선(Copper wire)과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외부반도전층(216)과 금속 시스층(218)간의 전기적 접촉을 원활히 하는 작용을 하며, 상기 수분흡수층은 케이블에 침투한 수분을 흡수하는 속도가 빠르고, 흡수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이 우수한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를 포함하는 분말, 테이프, 코팅층 또는 필름 등의 형태로 구성되어 케이블 길이방향으로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수분흡수층에서의 급격한 전계 변화를 방지하기 위해 수분 흡수층에 동선을 포함시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금속 시스층(218)의 외부에는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과 같은 수지로 구성된 내부 시스(220)가 형성되어 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 부터 케이블을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의 경우에는 차수성이 우수한 폴리에틸렌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난연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 시스부는 반도전성 부직포 테이프 등으로 이루어져 전력케이블에 가해지는 외력을 완충하는 금속보강층, 폴리염화비닐 내지 폴리에틸렌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외부 시스를 더 구비하여 전력케이블의 내식성, 차수성 등을 더욱 향상시키고, 기계적 외상 및 열, 자외선 등의 기타 외부 환경 요인으로 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해저에 포설되는 전력케이블은 선박의 닻 등에 의해 외상을 입기 쉬우며, 해류나 파랑 등에 의한 굽힘력, 해저면과의 마찰력 등에 의해서도 파손될 수 있으므로 이를 막기 위하여 상기 보호 시스부의 외부에는 외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장부는 아머층 및 써빙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머층은 강철, 아연도금강, 구리, 황동, 청동 등으로 이루어지고 단면 형태가 원형, 평각형 등인 와이어를 횡권하여 적어도 1층 이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아머층은 케이블의 기계적 특성과 성능을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외력으로부터 케이블을 추가적으로 보호한다. 폴리프로필렌 얀 등으로 구성되는 상기 써빙층은 상기 아머층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1층 이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을 보호하며, 최외곽에 형성되는 써빙층은 색상이 다른 2종 이상의 재료로 구성되어 해저에서 포설된 케이블의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내부 반도전층(212) 및 외부 반도전층(216)은 베이스 수지에 카본블랙, 카본나뉴튜브, 카본나노플레이트, 그라파이트 등의 전도성 입자가 분산되어 있고, 가교제, 산화방지제, 스코치 억제제 등이 추가로 첨가된 반도전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상기 반도전층(212,216)과 상기 절연층(214)의 층간 접착력을 위해 상기 절연층(214)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베이스 수지와 유사한 계열의 올레핀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도성 입자와의 상용성을 고려하여 올레핀과 극성 단량체, 예를 들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EMM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EMA), 에틸렌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EPA), 에틸렌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EPM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에틸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EBMA)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상기 반도전층(212,216)에 포함된 베이스 수지의 가교방식에 따라 실란계 가교제, 또는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 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 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디-t-부틸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계 가교제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212,216)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이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카본블랙 등의 전도성 입자를 45 내지 70 중량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입자의 함량이 4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충분한 반도전 특성이 구현될 수 없는 반면, 70 중량부 초과시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212,216)의 압출성이 저하되어 표면특성이 저하되거나 케이블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212,216)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이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0.1 내지 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부로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교제의 함량이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반도전 조성물에 포함된 베이스 수지의 가교시 필수적으로 생성되는 가교부산물의 함량이 과다하고, 이러한 가교부산물이 상기 반도전층(212,216)과 상기 절연층(214) 사이의 계면을 통해 상기 절연층(214) 내부로 이동하여 이종전하(heterocharge)를 축적시킴으로써 전계의 왜곡을 가중시켜 상기 절연층(214)의 절연파괴 전압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할 수 있는 반면,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가교도가 불충분하여 상기 반도전층(212,216)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14)은 예를 들어 베이스 수지로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의 압출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U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밀도 폴리에틸렌(MD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에틸렌 수지는 단독중합체, 에틸렌과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과의 랜덤 또는 블록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214)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가교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절연층(214)은 압출시 또는 압출 후 별도의 가교 공정에 의해 가교 폴리올레핀(XLPO), 바람직하게는 가교 폴리에틸렌(XLP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압출성향상제, 가교조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상기 반도전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와 동일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폴리올레핀의 가교방식에 따라 실란계 가교제, 또는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 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 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디-t-부틸 퍼옥사이드 등의 유기과산화물계 가교제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상기 절연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1 중량% 미만, 예를 들어, 0.1 중량% 이상 1 중량% 미만의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절연층(14)의 가교시 불가피하게 생성되는 가교 부산물 중 공간전하 생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특정한 가교 부산물이 α-쿠밀알코올(α-cumyl alcohol; α-CA) 및 이의 2차 반응으로 생성되는 α-메틸스티렌(α-methyl styrene; α-MS)임을 실험적으로 확인했고, 상기 절연층(14)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가교제의 함량을 1 중량% 미만으로 제한하고 상기 절연층(14)의 가교 후 탈가스화(degasing)를 통해 상기 특정한 가교 부산물의 함량을 제한할 수 있으며, 특히 절연층의 두께에서 위치별로 상기 특정한 가교 부산물의 함량을 제한할 수 있으며, 이러한 특정한 가교 부산물의 함량의 제한에 의해 공간전하 생성과 전계왜곡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기 절연층(14)의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임펄스 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가교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제한됨으로써 절연층(14)의 가교도가 저하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절연층(14)의 기계적, 열적 특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는 상기 절연층(14)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에 포함되는 베이스 수지의 비닐기 함량을 증가시켜 60% 이상, 예를 들어 60 내지 70%의 가교도를 달성하여 해결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연층(14)은 이의 두께를 3등분하여 도체(10) 직상에 배치되는 하층인 내층, 상기 내층 위에 배치되는 중층 및 상기 중층 위에 배치되는 외층으로 구분할 때, 각 층에 포함된 상기 2종의 특정한 가교 부산물 중 α-쿠밀알코올(α-cumyl alcohol; α-CA)의 함량비율의 편차를 나타내는 아래 수학식 1의 변동계수가 6.4 이하이고, α-메틸스티렌(α-methyl styrene; α-MS)의 함량비율의 편차를 나타내는 아래 수학식 1의 변동계수가 35.0 이하로 조절되어 상기 절연층(14) 내의 공간전하 생성이 억제됨으로써, 상기 절연층(14) 내에서의 전계왜곡이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절연층(14)의 직류 절연내력의 저하 및 임펄스 파괴강도의 저하를 동시에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함량비율은 각 층에 포함된 가교 부산물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한다.
[수학식 1]
변동계수 = (층별 포함된 가교 부산물 함량비율의 표준편차 / 층별 포함된 가교 부산물 함량비율의 평균값) × 100
나아가, 상기 절연층(14) 중 상기 내층은 도체(10) 직상에 배치되어 내부반도전층(12)과의 이종계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고전계가 인가되어 절연에 취약한 부분이므로 가교 부산물 중 상기 내층에 포함되고 직류 파괴전압(DC BDV)에 영향을 미치는 아세토페논(acetophenone; AP)의 함량비율이 25.5% 이하로 조절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함량비율은 내층에 포함된 가교 부산물의 총 함량을 기준으로 한다.
[실시예]
1. 모델 케이블의 제조예
내부반도전층, 절연층 및 외부반도전층을 포함하여 절연 두께가 약 4mm이며, 도체 단면적이 약 400SQ인 모델 케이블로서, 상기 절연층에 첨가된 가교제의 함량을 조절하고 가교 및 탈가스화를 통해 가교부산물의 함량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절연층의 두께를 3등분하여 구분되는 내층, 중층 및 외층의 층별/가교 부산물 종류별 가교 부산물의 함량비, 층별 표준편차 및 수학식 1에 의해 정의되는 변동계수가 아래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조절된 실시예 내지 비교예의 모델 케이블을 각각 제조했다. 상기 절연층의 내층, 중층 및 외층 각각에서의 중간 임의의 지점에서 채취된 시편에서 각 가교부산물의 함량을 측정하여, 각 가교 부산물의 함량비, 층별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를 산출하였다.

가교부산물 함량비
α-CA AP α-MS


비교예 1
내층 70.34 26.29 3.37
중층 60.61 28.06 11.34
외층 54.84 28.89 16.26
평균값 61.93 27.75 10.32
표준편차 7.83 1.33 6.50
변동계수 12.65 4.79 63.01


비교예 2
내층 68.74 27.04 4.22
중층 58.06 29.04 12.90
외층 55.66 28.48 15.86
평균 60.82 28.19 10.99
표준편차 6.96 1.03 6.05
변동계수 11.45 3.67 55.02


비교예 3
내층 66.58 26.88 6.54
중층 55.27 29.35 15.38
외층 56.89 27.46 15.65
평균 59.58 27.90 12.52
표준편차 6.12 1.29 5.18
변동계수 10.27 4.63 41.40


실시예 1
내층 67.34 25.01 7.65
중층 59.60 26.43 13.97
외층 61.57 22.73 15.70
평균 62.84 24.72 12.44
표준편차 4.02 1.87 4.24
변동계수 6.40 7.55 34.06


실시예 2
내층 66.94 25.36 7.69
중층 61.40 26.15 12.45
외층 61.34 23.49 15.17
평균 63.23 25.00 11.77
표준편차 3.22 1.37 3.79
변동계수 5.09 5.47 32.16


실시예 3
내층 68.21 18.45 13.35
중층 63.05 20.13 16.82
외층 62.59 15.63 21.78
평균 64.62 18.07 17.32
표준편차 3.12 2.27 4.24
변동계수 4.83 12.58 24.48
2. 절연파괴전압(BDV) 평가
상기 비교예 및 실시예 각각의 모델 케이블의 절연층에서 두께가 약 120 ㎛인 절연 시편을 채취한 후 상기 절연 시편에서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면에 전극을 연결하여 전압을 인가하고 1kV/s의 속도로 승압시켜 절연파괴가 일어나는 시점의 인가된 전압을 측정했고, 측정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BDV(kV/mm)
비교예 1 420.3
비교예 2 425.6
비교예 3 431.2
실시예 1 541.6
실시예 2 573.1
실시예 3 562.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2종의 특정 가교 부산물의 함량비율의 층별 편차가 일정 수준을 초과하여 층별 특정 가교 부산물의 함량비율이 균일하지 않고, 내층에 포함된 가교 부산물 중 아세토페논(AP)의 함량비율이 특정값을 초과하는 비교예 1 내지 3의 절연 시편은 공간전하 생성에 의한 전계왜곡으로 절연내력이 크게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절연 시편은 2종의 특정 가교 부산물의 함량비율의 층별 편차가 일정 수준을 이하로 조절되어 층별 특정 가교 부산물의 함량비율이 균일하고, 내층에 포함된 가교 부산물 중 아세토페논(AP)의 함량비율이 특정값 이하로 조절됨으로써 공간전하 생성에 의한 전계왜곡이 최소화되어 절연내력이 560 kV/mm 이상으로 유지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210 : 도체 212 : 내부 반도전층
214 : 절연층 216 : 외부 반도전층
218 : 금속시스층 220 : 내부 시스

Claims (9)

  1.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로서,
    복수의 소선이 연선되어 형성된 도체;
    상기 도체를 감싸는 내부 반도전층;
    상기 내부 반도전층을 감싸는 절연층; 및
    상기 절연층을 감싸는 외부 반도전층을 포함하고,
    상기 절연층은 폴리올레핀 수지 및 가교제를 포함하는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며,
    상기 절연층은 이의 두께를 3등분하여 내층, 중층 및 외층으로 구분할 때 각 층에 포함된 가교 부산물 중 α-쿠밀알코올(α-cumyl alcohol; α-CA)에 대한 아래 수학식 1의 변동계수가 6.4 이하이고, α-메틸스티렌(α-methyl styrene; α-MS)에 대한 아래 수학식 1의 변동계수가 3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수학식 1]
    변동계수 = (층별 포함된 가교 부산물 함량비율의 표준편차 / 층별 포함된 가교 부산물 함량비율의 평균값) × 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층에 포함되는 가교 부산물 중 아세토페논(acetophenone; AP)의 함량비율이 25.5% 이하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절연파괴전압이 560 kV/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폴리에틸렌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물계 가교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는 디큐밀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라우릴퍼옥사이드, t-부틸 큐밀퍼옥사이드, 디(t-부틸 퍼옥시 아이소프로필) 벤젠, 2,5-디메틸-2,5-디(t-부틸 퍼옥시)헥산 및 디-t-부틸 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압출성 향상제 및 가교조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 반도전층을 형성하는 반도전 조성물은 이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가교제의 함량이 0.1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에틸렌 메틸 메타크릴레이트(EMM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에틸 메타크릴레이트(EEMA), 에틸렌 (이소)프로필 아크릴레이트(EPA), 에틸렌 (이소)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EPM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및 에틸렌 부틸 메타크릴레이트(EBM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1020170094529A 2017-05-31 2017-07-26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10225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14069 WO2018221803A1 (ko) 2017-05-31 2017-12-04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67562 2017-05-31
KR1020170067562 2017-05-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310A true KR20180131310A (ko) 2018-12-10
KR102256351B1 KR102256351B1 (ko) 2021-05-26

Family

ID=64670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4529A KR102256351B1 (ko) 2017-05-31 2017-07-26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35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244A1 (ko) * 2020-07-07 2022-01-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전력 케이블
WO2023090466A1 (ko) * 2021-11-16 2023-05-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전력 케이블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8717A (ja) * 1991-06-14 1992-12-21 Hitachi Cable Ltd 直流電力ケーブル
JPH05120917A (ja) * 1991-06-14 1993-05-18 Hitachi Cable Ltd 直流ケーブル絶縁体用充填剤
JP2001522525A (ja) * 1998-02-25 2001-11-13 エービービー エービー 絶縁電力ケーブル
JP2001527266A (ja) * 1997-12-22 2001-12-25 エービービー エービー 絶縁システムを有するdcケーブル
JP2010121056A (ja) * 2008-11-20 2010-06-03 Viscas Corp 架橋ポリエチレン組成物及び直流電力ケーブル
US20100280664A1 (en) * 2007-07-05 2010-11-04 Skunkworks Laboratories Measurement and control by solid and gas phase raman spectroscopy of manufacturing processes for chemically crosslinked polyethylene for insulated electric cables and for other products
KR20120006797A (ko) * 2010-07-13 2012-01-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공간전하 저감 효과를 갖는 직류용 전력 케이블
KR20120086072A (ko) * 2011-01-25 2012-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전성 조성물과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량 전력 케이블
KR20120097685A (ko) * 2011-02-25 2012-09-05 주식회사 디와이엠 우수한 공간전하 축적 억제 특성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KR20120103497A (ko) * 2011-03-08 2012-09-19 넥쌍 중압 또는 고압 전기 케이블
JP2013026048A (ja) * 2011-07-22 2013-02-04 Viscas Corp 直流電力ケーブル及び直流電力線路の製造方法
KR101318457B1 (ko) * 2012-09-25 2013-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 전력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류 전력 케이블
KR20150016500A (ko) * 2012-05-10 2015-02-1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부타디엔 가교 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 중합체 전도체 코팅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68717A (ja) * 1991-06-14 1992-12-21 Hitachi Cable Ltd 直流電力ケーブル
JPH05120917A (ja) * 1991-06-14 1993-05-18 Hitachi Cable Ltd 直流ケーブル絶縁体用充填剤
JP2001527266A (ja) * 1997-12-22 2001-12-25 エービービー エービー 絶縁システムを有するdcケーブル
JP2001522525A (ja) * 1998-02-25 2001-11-13 エービービー エービー 絶縁電力ケーブル
US20100280664A1 (en) * 2007-07-05 2010-11-04 Skunkworks Laboratories Measurement and control by solid and gas phase raman spectroscopy of manufacturing processes for chemically crosslinked polyethylene for insulated electric cables and for other products
JP2010121056A (ja) * 2008-11-20 2010-06-03 Viscas Corp 架橋ポリエチレン組成物及び直流電力ケーブル
KR20120006797A (ko) * 2010-07-13 2012-01-1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공간전하 저감 효과를 갖는 직류용 전력 케이블
KR20120086072A (ko) * 2011-01-25 2012-08-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전성 조성물과 절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경량 전력 케이블
KR20120097685A (ko) * 2011-02-25 2012-09-05 주식회사 디와이엠 우수한 공간전하 축적 억제 특성을 갖는 초고압 직류 전력 케이블용 반도전성 조성물
KR20120103497A (ko) * 2011-03-08 2012-09-19 넥쌍 중압 또는 고압 전기 케이블
JP2013026048A (ja) * 2011-07-22 2013-02-04 Viscas Corp 直流電力ケーブル及び直流電力線路の製造方法
KR20150016500A (ko) * 2012-05-10 2015-02-1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폴리부타디엔 가교 조제를 사용하여 제조한 에틸렌 중합체 전도체 코팅
KR101318457B1 (ko) * 2012-09-25 2013-10-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직류 전력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직류 전력 케이블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10244A1 (ko) * 2020-07-07 2022-01-1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전력 케이블
WO2023090466A1 (ko) * 2021-11-16 2023-05-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전압 전력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6351B1 (ko)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2603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20160121873A (ko) 전력 케이블
JP2022037067A (ja) 直流電力ケーブル
KR102256323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102256351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CN110709946B (zh) 超高压直流电力电缆的中间连接系统
KR102371836B1 (ko) 직류 전력 케이블
US20200185122A1 (en) Insulation composition and direct-current power cable having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same
EP4181158A1 (en) High-voltage power cable
WO2018221803A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KR20180130161A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용 중간접속함 및 이를 포함하는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접속시스템
KR102604898B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시스템
WO2018221804A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의 중간접속시스템
WO2018221802A1 (ko) 초고압 직류 전력케이블
WO2018236013A1 (ko) 직류 전력 케이블
KR20220005831A (ko) 고전압 전력 케이블
KR20240072781A (ko) 열전도율이 높은 열가소성 고분자 복합재료로 이루어진 피복층을 갖는 친환경 절연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