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1220A -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 Google Patents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1220A
KR20180131220A KR1020170067919A KR20170067919A KR20180131220A KR 20180131220 A KR20180131220 A KR 20180131220A KR 1020170067919 A KR1020170067919 A KR 1020170067919A KR 20170067919 A KR20170067919 A KR 20170067919A KR 20180131220 A KR20180131220 A KR 20180131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refrigerant
electric element
inlet pipe
head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2040B1 (ko
Inventor
송준영
임홍영
이선미
조위삼
Original Assignee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79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2040B1/ko
Priority to DE102018112601.8A priority patent/DE102018112601A1/de
Priority to US15/992,768 priority patent/US10575447B2/en
Priority to CN201810536183.7A priority patent/CN108990368B/zh
Priority to JP2018104682A priority patent/JP2018207107A/ja
Publication of KR20180131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1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2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2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327Accessories for moving fluid, for connecting fluid conduits, for distributing fluid or for preventing leakage, e.g. pumps, tanks or manifo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8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power electronics, e.g. for inverters for controlling motor
    • H05K7/20936Liquid coolant with phase chan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각각의 전기소자를 냉각하는 냉매의 유량을 전기소자의 발열량에 대응하여 제어 가능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소자의 발열량에 대응하여 전기소자 냉각용 냉매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서 전기소자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 문제 대책의 일환으로서, 모터의 구동력을 이용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전지 차량, 전기 차량 등의 발전이 더욱 더 주목받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은 일반적으로, HSG 제어를 위한 전기소자와, 모터 제어를 위한 전기소자가 필수로 구비되며, 이러한 전기소자들은 구동을 위하여 전력(electricity) 공급 시 가열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냉각수단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 일본공개특허 제2001-245478호(공개일 2001.09.07, 명칭 : 인버터의 냉각 장치)에는 IGBT 등의 반도체 소자와 다이오드를 내장한 반도체 모듈이 사용되는 인버터가 개시된 바 있으며, 일본공개특허 제2008-294283호(공개일 2008.12.04, 명칭 : 반도체 장치)에는 반도체 소자의 하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흐르면서 열교환하도록 형성되는 히트싱크가 개시된 바 있다.
위의 단면 냉각방식의 경우 접촉 면적이 적어 냉각성능이 낮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도 1에 도시된 양면 냉각 방식의 열교환기(10)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양면 냉각 방식의 열교환기는 충분한 냉각 성능을 가지는 장점이 있었지만, 일반적으로 냉각하는 서로 다른 전기소자의 발열량이 동일하다는 전제를 가지고 제작되었기 때문에, 각각의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냉매가 흐르는 유로의 길이가 동일하여,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전기소자에 동일한 양의 냉매가 공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열교환기는 냉매 유량을 발열량이 많은 전기소자에 대응하여 설정해야 하기 때문에, 보다 많은 냉매를 필요로 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 1)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550730호(명칭: 차량의 공조시스템, 공개일: 2015.09.07)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각의 전기소자에 발열량에 대응하는 냉매를 공급하여 냉매가 낭비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로서, 냉매가 주입되는 입구파이프(100);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분배하는 헤더탱크(200); 상기 헤더탱크(2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임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 시키는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가 모여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00); 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탱크(200)와 상기 튜브(300)는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각유로를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냉각유로가 발열량이 큰 전기소자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효율적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유로가 형성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매가 주입되는 입구파이프(100);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분배하는 헤더탱크(200); 상기 헤더탱크(2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임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 시키는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가 모여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00); 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큰 전기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매가 주입되는 입구파이프(100);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분배하는 헤더탱크(200); 상기 헤더탱크(2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임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 시키는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가 모여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00); 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하는 상기 튜브(300)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또한, 상기 튜브(30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상기 전기소자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하는 벤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헤더탱크(200)상에 형성되는 헤더탱크 유로와, 각각의 상기 튜브(300) 상에 형성되는 튜브 유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튜브 유로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더탱크 유로는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각각의 상기 튜브(300)로 분배하는 복수개의 분배유로(210)와, 각각의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출구파이프(400)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통합유로(220)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상기 튜브(300)와 연결되는 상기 분배유로(210) 및 상기 통합유로(220)의 길이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발열량이 큰 전기소자와 열교환하는 튜브로 냉매가 더 많이 유입 가능하므로,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효율적으로 냉각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전기소자의 발열량에 대응하여 냉매를 효율적으로 분배 가능하므로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하여 필요한 총 냉매량이 최소화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냉매가 유입되는 입구파이프와 출구파이프의 위치를 제어하여 각 튜브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 가능하므로, 장치의 구성 요소가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냉매의 유로 길이 제어를 통하여 각 유로로 분배되는 냉매의 총 유량을 제어 가능하므로, 열교환기의 차량의 조립 위치에 따라 냉매의 입출구부 위치가 가변되어도 각 유로별 냉매 유량 제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케이스 결합 시)
도 3은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나타낸 사시도. (케이스 분리 시)
도 4는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상에 제1 유로 및 제2 유로를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상에 분배유로 및 통합유로를 나타낸 개념도.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냉매가 주입되는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분배하는 헤더탱크(200)와, 상기 헤더탱크(2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임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 시키는 복수개의 튜브(300)와,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가 모여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헤더탱크(200)와 상기 튜브(300)가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각유로를 형성하여, 각각의 튜브(300) 사이에 위치된 전기소자를 냉각하며, 전기소자의 발열량에 대응하여 튜브(300)를 통과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함으로서, 각각의 전기소자를 효율적으로 냉각 가능하다.
상세히 설명하면, 하이브리드 차량, 연료전지 차량, 전기 차량 등 모터를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 HSG 및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필요로 하고, 각각의 전기소자가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므로, 각각의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복수개의 냉각유로를 형성하되, 각각의 냉각유로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전기소자의 발열량에 대응하여 조절하여 줌으로서, 효율적인 전기소자 냉각이 가능하게 한 것이다.
이때, 냉각유로는 냉각하고자 하는 상기 전기소자의 개수에 대응하여 다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전기소자가 2개가 사용되고 이에 대응하여 2개의 냉각유로가 형성되는 구조를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상기 냉각유로(3)가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작은 제1 전기소자(1)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흐르는 제1 유로(4)와, 발열량이 상대적으로 제2 전기소자(2)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가 흐르는 제2 유로(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유로(5)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을 상기 제1 유로(4)를 흐르는 냉매의 유량보다 크게 함으로서 제1 전기소자(1) 및 제2 전기소자(2)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유로(4)와 상기 제2 유로(5)의 길이를 다르게 하여 제1 유로(4)와 제2 유로(5)가 서로 압력강하량 차를 가지게 함으로서, 압력강하량이 작은 유로 상에 보다 많은 냉매가 유입되게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1 유로(4)와 상기 제2 유로(5)의 길이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의 위치를 제어하는 방법과,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각각의 상기 튜브(300)로 분배하는 분배유로(210) 또는 각각의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출구파이프(400)로 모아주는 통합유로(220)의 길이를 제어하는 방법과, 각각의 튜브(300) 길이를 제어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하에서는 이러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상기 입구파이프(100) 및 출구파이프(40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로(4)와 상기 제2 유로(5)가 길이차이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헤더탱크(200)는 내부에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상기 제1 전기소자(1)를 냉각하는 제1 튜브(300A)로 분배하는 제1 분배유로(210A)와, 상기 제2 전기소자(2)를 냉각하는 제2 튜브(300B)로 분배하는 제2 분배유로(210A)를 포함하는 분배유로(210)와, 제1 튜브(300A)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냉매를 출구파이프(400)로 이동시키는 제1 통합유로(220A)와, 제2 튜브(300B)를 통과하여 배출되는 냉매를 출구파이프(400)로 이동시키는 제2 통합유로(220B)를 포함하는 통합유로(220)가 형성되고, 상기 제1 튜브(300A)와 상기 제2 튜브(300B)는 헤더탱크(200)의 상하방향 중심선(A)을 기준으로 좌우에 대칭 배치됨과 동시에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제2 전기소자(2)를 냉각시키는 제2 튜브(300B) 측에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인접하게 배치시켜, 제2 유로(5)의 길이가 제1 유로(4)의 길이보다 짧게 한 것이다.
이때,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튜브(300B)가 위치되는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다는 것은,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의 위치를 제어하여 상기 분배유로(210)와 상기 통합유로(220)를 최단거리로 형성할 경우, 상기 제2 분배유로(210A)와 상기 제2 통합유로(220B)의 총 길이를 더한 합이, 상기 제1 분배유로(210A)와 상기 제1 통합유로(220A)의 총 길이를 더한 합보다 짧아지는 것을 나타냄은 물론이다.
그리고, 위에서는 상기 제1 전기소자(1) 및 상기 제2 전기소자(2)의 발열량이 서로 다를 경우는 제1 전기소자(1)와 제2 전기소자(2)의 구성 차이에 의한 것일 수 있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차이에 의한 것일 수 있으므로,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3개의 소자가 모여 이루어진 상기 제2 전기소자(2) 또는 제2 전기소자(2)와 열교환하는 상기 제2 튜브(300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상기 제1 분배유로(210A)와, 상기 제2 분배유로(210A) 및 상기 제1 통합유로(220A)와 상기 제2 통합유로(220B)의 길이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유로(4)와 상기 제2 유로(5)가 길이차이를 가지게 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 유로(4)의 총 길이는 상기 제1 분배유로(210A)와, 상기 제1 통합유로(220A) 및 상기 제1 튜브(300A)에 형성된 유로의 합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유로(5)의 총 길이는 상기 제2 분배유로(210B)와, 상기 제2 통합유로(220B) 및 상기 제2 튜브(300B)에 형성된 유로의 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뷰트(300A)의 유로 길이와 상기 제2 튜브(300B)의 유로는 서로 동일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 분배유로(210B)와 상기 제2 통합유로(220B)의 총 길이를 상기 제1 분배유로(210A)와 상기 제1 통합유로(220A)의 총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의 위치가 차량의 조립 위치에 따라 가변될 경우에도, 제2 유로(5)의 길이가 제1 유로(4)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게 한 것이다.
이때, 도면상에는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가 상하방향 중심선(A)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 형성될 경우를 도시하였지만, 차량의 조립 위치에 따라 입구파이프(100) 및 출구파이프(400)가 제1 전기소자(1) 측에 인접 배치되더라도 분배유로(210)와 통합유로(220)의 길이를 제어하여 냉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인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는 상기 제1 튜브(300A) 및 상기 제2 튜브(300B)가 상기 전기소자(1, 2)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하는 벤딩 구조로 이루어져, 튜브(300)와 전기소자(1, 2)의 열교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 : 입구파이프
200 : 헤더탱크
210 : 분배유로
220 : 통합유로
300 : 튜브
400 : 출구파이프

Claims (6)

  1.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매가 주입되는 입구파이프(100);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분배하는 헤더탱크(200);
    상기 헤더탱크(2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임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 시키는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가 모여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00); 를 포함하며,
    상기 헤더탱크(200)와 상기 튜브(300)는 냉매가 통과하는 복수개의 냉각유로를 형성하되,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냉각유로가 발열량이 큰 전기소자와 열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2.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지는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매가 주입되는 입구파이프(100);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분배하는 헤더탱크(200);
    상기 헤더탱크(2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임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 시키는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가 모여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00); 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대적으로 발열량이 많은 상기 전기소자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3. 복수개의 전기소자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유로를 형성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에 있어서,
    냉매가 주입되는 입구파이프(100);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분배하는 헤더탱크(200);
    상기 헤더탱크(200)에서 유입된 냉매를 임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 시키는 복수개의 튜브(300); 및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가 모여 배출되는 출구파이프(400); 를 포함하며,
    상기 입구파이프(100)와 상기 출구파이프(400) 중 어느 하나 이상은 상대적으로 많은 개수의 전기소자와 열교환하는 상기 튜브(300) 측에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300)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이 상기 전기소자의 상면 및 하면과 접하는 벤딩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로는 상기 헤더탱크(200)상에 형성되는 헤더탱크 유로와, 각각의 상기 튜브(300) 상에 형성되는 튜브 유로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튜브 유로의 길이는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탱크 유로는 상기 입구파이프(100)에서 유입된 냉매를 각각의 상기 튜브(300)로 분배하는 복수개의 분배유로(210)와, 각각의 상기 튜브(300)를 통과한 냉매를 상기 출구파이프(400)로 이동시키는 복수개의 통합유로(220)를 포함하며, 서로 다른 상기 튜브(300)와 연결되는 상기 분배유로(210) 및 상기 통합유로(220)의 길이가 각각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0170067919A 2017-05-31 2017-05-31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KR102352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19A KR102352040B1 (ko) 2017-05-31 2017-05-31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DE102018112601.8A DE102018112601A1 (de) 2017-05-31 2018-05-25 Elektroelement-Kühlungsmodul
US15/992,768 US10575447B2 (en) 2017-05-31 2018-05-30 Electric element cooling module
CN201810536183.7A CN108990368B (zh) 2017-05-31 2018-05-30 电气元件冷却模块
JP2018104682A JP2018207107A (ja) 2017-05-31 2018-05-31 電気素子クーリングモジュール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919A KR102352040B1 (ko) 2017-05-31 2017-05-31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1220A true KR20180131220A (ko) 2018-12-10
KR102352040B1 KR102352040B1 (ko) 2022-01-18

Family

ID=64670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919A KR102352040B1 (ko) 2017-05-31 2017-05-31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20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544B1 (ko) * 2019-01-21 2019-07-09 최민아 임의 형상을 가지는 방열기구의 제조방법
WO2020153620A1 (ko) * 2019-01-21 2020-07-30 최민아 임의 형상을 가지는 방열기구의 제조방법
US20210091045A1 (en) * 2019-09-24 2021-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stack and a second semiconductor stack of different widths
KR102553898B1 (ko) * 2023-04-27 2023-07-10 주식회사 비에이솔루션즈 차량에 구비되며, 재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는 재밍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5682A (ja) * 2005-06-27 2007-01-11 Denso Corp 電子部品冷却ユニット
KR101550730B1 (ko) 2009-01-23 2015-09-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60109200A (ko) * 2015-03-10 2016-09-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쿨링모듈
JP2017092248A (ja) * 2015-11-10 2017-05-25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5682A (ja) * 2005-06-27 2007-01-11 Denso Corp 電子部品冷却ユニット
KR101550730B1 (ko) 2009-01-23 2015-09-07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시스템
KR20160109200A (ko) * 2015-03-10 2016-09-21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전기소자 쿨링모듈
JP2017092248A (ja) * 2015-11-10 2017-05-25 三菱アルミニウム株式会社 ヒートシンク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544B1 (ko) * 2019-01-21 2019-07-09 최민아 임의 형상을 가지는 방열기구의 제조방법
WO2020153620A1 (ko) * 2019-01-21 2020-07-30 최민아 임의 형상을 가지는 방열기구의 제조방법
US20210091045A1 (en) * 2019-09-24 2021-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stack and a second semiconductor stack of different widths
US11721669B2 (en) * 2019-09-24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package including a first semiconductor stack and a second semiconductor stack of different widths
KR102553898B1 (ko) * 2023-04-27 2023-07-10 주식회사 비에이솔루션즈 차량에 구비되며, 재밍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복수의 모듈을 효과적으로 냉각시키는 재밍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2040B1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7947B2 (en) Cool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having such a cooling system
US7191858B2 (en) Thermal management system
US10582649B2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electrical device
KR20180131220A (ko) 전기소자 냉각용 열교환기
WO2006075614A1 (ja) ヒートシンクおよびそれを用いた冷却ユニット
CN104709071A (zh) 用于车辆的冷却模块
CN112840497A (zh) 用于车辆电池模块的蛇形逆流冷却板
US20220153085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coo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120222429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CN102751250B (zh) 冷却装置
JP2019047548A (ja) 車両用温度管理装置
CN101111120A (zh) 用于等离子弧焊炬的冷却设备和系统以及相关的方法
CN100463266C (zh) 热管理系统
CN112158054A (zh) 车辆热管理系统和车辆
KR102470436B1 (ko) 차량용 히트펌프 시스템
CN113597202B (zh) 一种冷板和电子设备
CN109075244B (zh) 车用能量回收单元
JP2008235572A (ja) 電子部品冷却装置
CN214848770U (zh) 液冷板及散热装置
US20220196347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in particular a cool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US20180345754A1 (en) Heat exchanger
WO2019087800A1 (ja) 機器温調装置
CN219780758U (zh) 电力电子设备、散热器及其蒸发模块
CN220823599U (zh) 一种用于车辆控制器的模块紧凑型液冷散热器
CN220359596U (zh) 散热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