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938A -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 Google Patents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938A
KR20180130938A KR1020170067198A KR20170067198A KR20180130938A KR 20180130938 A KR20180130938 A KR 20180130938A KR 1020170067198 A KR1020170067198 A KR 1020170067198A KR 20170067198 A KR20170067198 A KR 20170067198A KR 20180130938 A KR20180130938 A KR 201801309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ing
product
work table
bending
cl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재
Original Assignee
정현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현재 filed Critical 정현재
Priority to KR1020170067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938A/ko
Publication of KR20180130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제품 또는 박스의 외부를 노끈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밴딩하는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밴딩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작업대의 선단에 놓이는 제품을 작업대의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작업대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제품의 둘레를 밴딩끈으로 밴딩하는 밴딩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작업대의 내부공간에는 밴딩끈을 밴딩부로 공급하는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에 적용하여 밴딩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사이즈가 바뀔 때마다 밴당장치를 바꾸거나 개조할 필요가 없어 생산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제품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제품을 하나의 단위로 묶음처리 하여 운반차량에 적재함으로써 차량적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Banding machine with adjustable vending length dowolnie}
본 발명은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밴딩하고자 하는 제품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추어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완성된 제품 또는 제품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박스 등을 밴딩한다는 의미는 작업대의 상면에 제품 또는 박스를 안치시킨 후, 제품 또는 박스의 외부둘레를 밴딩용 끈으로 감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밴딩장치 또는 밴딩방법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특허공고번호 제1993-0007845에 2조의 밴딩기를 프레임 전후에 설치하여 동시에 2회 밴딩작업을 행하게 하되, 전방 밴딩기의 고정석, 후방밴딩기는 전후 이동식으로 설치하고, 이들의 전후방에 각기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상하 회동밑판과 한쌍의 좌우 회동 차단 아암을 설치하고, 전후 밴딩기 사이의 프레임 상에는 역시 각각의 유압실린더로 작동되는 한쌍의 상하 왕복이동 가압판 및 좌우이동가압판을 설치하고, 전,후 밴딩기를 연결하는 이송벨트는 장치의 전체길이에 걸쳐 각 안내로울러에 안내되도록 하여 후방밴딩기의 이동시에도 틈새발생이 없도록 구성된 포장박스용 자동밴딩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615717호에 박스를 포장하기 위한 밴드를 정방향으로 공급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당겨 텐션을 가하는 유닛으로서, 고정 피딩롤러와 가압 피딩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가압 피딩롤러 사이로 상기 밴드를 공급하는 피딩 롤러부; 고정 텐션롤러와 가압 텐션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텐션롤러와 상기 가압 텐션롤러 사이의 상기 밴드를 잡아당기는 텐션 롤러부; 일단이 상기 고정 피딩롤러에 연결되어 정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피딩 구동모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피딩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피딩롤러를 움직여서 피딩을 제어하는 피딩 링크부;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텐션 링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압 텐션롤러를 움직여서 텐션을 제어하는 텐션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 구동모터는, 타단이 상기 고정 텐션롤러에 연결되어 역방향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상기 고정 피딩롤러와 상기 고정 텐션롤러는 하나의 상기 피딩 구동모터에 의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포장용 밴드의 피딩 및 텐션 유닛이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밴딩장치는 대부분 정해진 규격의 제품사이즈에 맞추어 일정하게 제품을 밴딩하는 것이 대부분으로서, 제품의 사이즈가 달라지면 밴딩장치의 설비를 바꾸거나 리폼(reform)을 하여야 하기 때문에 생산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양한 제품사이즈에 적용할 수 있도록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 육면체 형상의 제품 또는 박스의 외부를 노끈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밴딩하는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딩장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홀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와, 상기 작업대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작업대의 선단에 놓이는 제품을 작업대의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작업대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제품의 둘레를 밴딩끈으로 밴딩하는 밴딩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작업대의 내부공간에는 밴딩끈을 밴딩부로 공급하는 공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에 적용하여 밴딩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사이즈가 바뀔 때마다 밴당장치를 바꾸거나 개조할 필요가 없어 생산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제품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제품을 하나의 단위로 묶음처리 하여 운반차량에 적재함으로써 차량적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밴딩장치의 전체 사시사진.
도 2, 3은 본 발명 밴딩장치의 작동상태 개요도.
도 4는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이송부에 의해 제품이 이동되는 작업상태사진.
도 5는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밴딩부의 내부로 제품이 이송된 작업상태사진.
도 6은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밴딩부에 의해 제품을 밴딩하는 작업상태사진.
도 7은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제품을 밴딩 후, 밴딩부에 밴딩끈을 공급하는 작업상태사진.
도 8은 본 발명 밴딩장치의 클램퍼 선단에 설치된 이탈방지부재 상세 사진.
본 발명 육면체 형상의 제품 또는 박스의 외부를 노끈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밴딩하는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딩장치(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작업대(110)의 선단에 놓이는 제품(200)을 작업대(110)의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30)와, 상기 작업대(1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 제품(200)의 둘레를 밴딩끈(100)으로 밴딩하는 밴딩부(12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작업대(110)의 내부공간에는 밴딩끈(100)을 밴딩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밴딩부(100)는 수평프레임(121)과, 상기 수평프레임(121)이 작업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제품(200)이 이송되어오는 방향의 수평프레임(121)의 선단에 상하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제품(200)의 둘레를 감을 수 있도록 밴딩끈(300)이 고정되어 있는 클램퍼(123)와, 상기 클램퍼(123)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124)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클램퍼(123)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프레임(121)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것으로, 내측면을 따라 유도되는 밴딩끈(300)의 선단이 클램퍼(123)의 선단보다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를 첨부한 도면의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밴딩장치의 전체 사시사진, 도 2, 3은 본 발명 밴딩장치의 작동상태 개요도이다.
도 1, 2,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의 제품(200) 또는 박스의 외부를 노끈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밴딩하는 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밴딩장치를 설명함에 앞서 본 발명의 도면에는 박스가 예시되어 있으나, 명칭은 제품(200)으로 표기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 밴딩장치(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작업대(110)의 선단에 놓이는 제품(200)을 작업대(110)의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30)와, 상기 작업대(1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 제품(200)의 둘레를 밴딩끈(100)으로 밴딩하는 밴딩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작업대(110)의 내부공간에는 밴딩끈(100)을 밴딩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5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장홀(111)에 연장되어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안내홈(112)이 형성되어 후술한 밴당작업시 밴딩끈(300)이 제품(200)의 하중에 의해 눌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밴딩작업이 원활하도록 유도하였다.
도 4는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이송부에 의해 제품이 이동되는 작업상태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밴딩부의 내부로 제품이 이송된 작업상태사진이다.
도 4,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130)는 작업대(110)의 선단에 제품(200)이 놓이게 되면 제품(200)의 외부를 밴딩끈(300)으로 밴딩하기 위하여 작업대(1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있는 밴딩부(120) 측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에, 상기 이송부(130)는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작업대(110)에 나란하게 설치되어 있는 가이드레일(131)과, 상기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된 이동프레임(132)과, 상기 이동프레임(132)에 장착되어 제품(200)이 이동프레임(132)이 가이드레일(131)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제품(200)의 후면에 접촉된 채, 제품(200)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푸싱바(133)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상기 푸싱부(133)는 일단이 이동프레임(132)에 회동하도록 힌지결합되어 있어, 제품(200)을 밴딩부(120) 측으로 밀 때에는 작업대(110)의 상면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제품(200)를 민 후, 원위치로 돌아올 때에는 수직상태가 되도록 회동하게 된다.
상기 제품(200)은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복수 개를 일렬로 배열하여 이송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업대(110)의 상부에는 작업대(110)에 놓인 제품(200)이 이송부(130)에 의해 이동시 가이드 해주기 위한 가이드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40)는 작업대(110)의 상부에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42)과 상기 가이드프레임(142)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직이동수단(141)으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상기 가이드프레임(142)은 작업대(110)의 상면에 높이는 제품(200)의 높이에 따라 수직이동수단(141)에 의해 자유롭게 조정가능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밴딩부에 의해 제품을 밴딩하는 작업상태사진이며, 도 7은 본 발명 밴딩장치에서 제품을 밴딩 후, 밴딩부에 밴딩끈을 공급하는 작업상태사진, 도 8은 본 발명 밴딩장치의 클램퍼 선단에 설치된 이탈방지부재 상세 사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밴딩부(100)는 수평프레임(121)과, 상기 수평프레임(121)이 작업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제품(200)이 이송되어오는 방향의 수평프레임(121)의 선단에 상하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제품(200)의 둘레를 감을 수 있도록 밴딩끈(300)이 고정되어 있는 클램퍼(123)와, 상기 클램퍼(123)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124)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기 실린더(124)에 의해 클램퍼(123)를 상하로 회동시키는 관계는 널리 공지된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수직프레임(122)은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설치되고, 수평프레임(121)은 수직프레임(122)의 상단에 수직프레임(122)에 의해 지지받도록 고정되어 있다.
이에, 이송부(130)에 의해 제품(200)이 수직프레임(122) 사이로 이송되어 오면, 수평프레임(121)에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클램퍼(123)가 하부로 회동하여 제품(200)의 후면을 감싸게 된다.
즉, 상기 클램퍼(123)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프레임(121)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것으로, 클램퍼(123)의 내측면에는 클램퍼(123)의 내측면을 따라 유도되는 밴딩끈(300)의 선단이 클램퍼(123)의 선단보다 돌출되도록 장착되어 있다.
상기 밴딩끈(300)은 작업대(1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정역회전모터(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것으로, 상기 밴딩끈(300)의 일단이 작업대(110)의 상면에 형성된 장홀(111)을 통해 상부로 노출되어 클램퍼(123)의 내측면을 따라 선단이 클램퍼(123)의 선단보다 더 돌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클램퍼(123)에 밴딩끈(300)을 공급하는 것은 작업대(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공급부(150)의 가이드바(152)를 상부로 회동되는 동시에 수평프레임(121)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클램퍼(123)는 하부로 회동되어 클램퍼(123)의 선단이 작업대(110)에 형성된 장홀(111)에 일부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진행된다.
또한, 상기 클램퍼(123)의 외주면에는 밴딩끈(3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스토퍼(123-1)가 설치되어, 상기 클램퍼(123)의 선단으로 밴딩끈(300)이 일정길이 이상 돌출되면 스토퍼(123-1)로 밴딩끈(300)을 고정한다.
상기 스토퍼(123-1)에 의해 밴딩끈(300)이 고정되면, 상기 작업대(1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가이드바(152)가 다시 작업대(110)의 내부로 회동하게 되어 밴딩끈(300)과 분리되고, 상기 클램퍼(123)는 상부로 회동하게 된다.
이에, 작업대(110)와 수평프레임(121) 사이에는 밴딩끈(300) 만이 남아 있게 된다.
그리고 작업대(110)의 밴딩부(120)를 향하여 제품(200) 또는 제품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박스가 투입되면서 수평프레임(121)과 작업대(110) 사이에 있는 밴딩끈(300)을 밀게 되면서 제품(200)은 수평프레임(121)의 하부 측으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 제품(200)은 작업자가 조정 또는 세팅한 길이만큼 진행하게 되면 클램퍼(123)는 하부로 회동하여 제품(200)의 후면을 감싸게 된다.
이때, 클램퍼(123)의 선단이 작업대(110)의 장홀(111)로 삽입되어, 클램퍼(123)의 선단보다 더 돌출된 밴딩끈(300)이 작업대(110)의 내부공간에 위치한 정역회전모터에 의해 공급되는 밴딩끈(300)과 겹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밴딩끈(300)을 고정하고 있던 스토퍼(123-1)는 해제된다.
상기 스토퍼(123-1)는 클램퍼(123)에 고정되어 밴딩끈(300)을 파지하여 클램퍼(123)의 내측면에 고정하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클램퍼(123)의 외측면에 고정되는 고정체(123-11)와 상기 고정체(123-11)의 양측면에 직선운동하도록 결합되는 파지부재(123-12)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파지부재(123-12)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지부재(123-12)가 양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되면, 밴딩끈(300)을 파지하고 있던 것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스토퍼(123-1)의 동작과정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클램퍼(123)의 선단에는 밴딩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탈방지부(170)가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170)는 클램퍼(123) 선단의 좌, 우측에 각각 결합되는 수직부(171)와, 상기 수직부의 끝단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수평부(172)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램퍼(123) 선단의 좌, 우측에 각각 결합된 수직부는 토션스프링(173)에 의해 클램퍼(123)의 폭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정역회전모터가 역회전하여 밴딩끈(300)을 당기게되면, 클램퍼(123)의 선단에서 이탈방지부재(170)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던 밴딩끈(300)이 정역회전모터의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클램퍼(123)의 선단에 설치된 이탈방지부재(170)에서 분리되고, 상기 밴딩끈(300)은 제품 또는 제품이 내부에 구비되어 있는 박스의 둘레에 밀착하여 밴딩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역회전모터의 잡아당기는 힘이 클램퍼(123)의 선단에 설치된 이탈방지부재(170)의 토션스프링(173)의 장력보다 강하므로, 상기 밴딩끈(300)이 클램퍼(123)의 이탈방지부재(17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작업대(11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히팅기(180)가 설치되어 있어, 클램퍼(123)의 선단으로 돌출된 밴딩끈(300)과 정역회전모터에 의해 공급되는 밴딩끈(300)은 히팅기(180)에 의해 접합되면서, 상기 정역회전모터에 의해 공급되는 밴딩끈(300)은 끊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히팅기(180)는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이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엿다.
이후, 밴딩이 된 제품(200)은 밴딩부(120)로부터 배출수단(160)에 의해 이송이 용이한 장소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수단(160)은 수평프레임(121) 사이로 관통하는 샤프트(161)와, 상기 샤프트(162)의 끝단부에 샤프트(161)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장착되어 있는 회동바(162)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샤프트(161)는 관용의 구동수단에 의해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며, 상기 회동바(162)는 샤프트(161)에 상하로 회동할 수 있도록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제품(200)이 수평프레임(121)의 하부로 진행할 때에는 상기 회동바(162)는 작업대(110)의 상부에 수평상태로 유지하고 있게 되며, 밴딩작업이 끝이나면 회동바(162)는 하부로 회동하여 작업대(110)의 상면과 직교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샤프트(161)가 후진하여 제품(200)을 작업대(110)의 후단으로 이송시키게 되며, 제품(200)이 배출되면 다시 샤프트(161)는 전진하게 되고 회동바(162)는 작업대(110)의 상면에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또다시 이송되어오는 제품(200)을 밴딩하기 위하여 밴딩끈(300)을 클램퍼(123)의 내측면으로 유도시키기 위하여 장홀(111)을 통해 작업대(110)의 내부에서 가이드바(152)가 회동하여 돌출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152)를 통해 작업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밴딩끈(300)이 클램퍼(123)의 내측면을 따라 강제이송되어 선단이 클램퍼(123)보다 더 돌출되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152)는 작업대(110)의 내부에 수평상태로 위치하고 있되, 작업대(110)의 선단을 향하는 일단이 힌지결합되어 있어, 장홀(111)을 통해 상부로 돌출시는 힌지결합되어 있는 일단을 중심으로 하여 작업대(110)의 후단을 향하고 있는 타단이 돌출되되, 돌출된 끝단부가 후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돌출된 가이드바(152)의 끝단부는 수평프레임(121)에 힌지결합되어 있는 클램퍼(123)의 일단에 근접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152)를 회동시켜 장홀(111)을 통해 상부로 돌출시키는 과정 및 수단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기술로 실현 가능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에, 드럼(151)에 감겨 있는 밴딩끈(300)이 드럼(151)의 회전에 의해 풀리게 되면 가이드바(152)의 안내에 의해 클램퍼(123) 측으로 인입하여 밴딩끈(300)의 선단이 클램퍼(123)의 선단보다 돌출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드럼(151)은 상술한 정역회전모터(도면부호 미도시)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밴딩끈(300)을 밴딩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50)는 드럼(151)과, 상기 드럼(151)을 회전구동시키는 정역회전모터와, 상기 드럼(151)에 의해 인출되는 밴딩끈(300)을 클램퍼(123)로 유도하는 가이드바(152)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는 다양한 사이즈의 제품에 적용하여 밴딩작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사이즈가 바뀔 때마다 밴당장치를 바꾸거나 개조할 필요가 없어 생산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으며, 또한 하나의 제품뿐만 아니라 복수 개의 제품을 하나의 단위로 묶음처리 하여 운반차량에 적재함으로써 차량적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밴딩장치
110. 작업대 111. 장홀
120. 밴딩부 121. 수평프레임 122. 수직프레임
123. 클램퍼 123-1. 스토퍼 124. 실린더
130. 이송부 131. 가이드레일 132. 이동프레임
133. 푸싱바
140. 가이드부 141. 수직이동수단 142. 가이드프레임
150. 공급부 151. 드럼 152. 가이드바
160. 배출수단 161. 샤프트 162. 회동바
170. 이탈방지부재 171. 수직부 172. 수평부
173. 토션스프링
180. 히팅기
200. 제품(박스)
300. 밴딩끈

Claims (3)

  1. 육면체 형상의 제품 또는 박스의 외부를 노끈과 같은 수단을 이용하여 밴딩하는 밴딩장치에 있어서,
    상기 밴딩장치(100)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장홀(111)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대(110)와, 상기 작업대(110)의 길이방향의 일측에 장착되어 작업대(110)의 선단에 놓이는 제품(200)을 작업대(110)의 후단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130)와, 상기 작업대(110)의 후단에 설치되어 이송부(130)에 의해 이송된 제품(200)의 둘레를 밴딩끈(100)으로 밴딩하는 밴딩부(120)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작업대(110)의 내부공간에는 밴딩끈(100)을 밴딩부(120)로 공급하는 공급부(15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딩부(100)는 수평프레임(121)과, 상기 수평프레임(121)이 작업대(1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수직프레임(122)과 상기 제품(200)이 이송되어오는 방향의 수평프레임(121)의 선단에 상하로 회동하도록 설치되되, 제품(200)의 둘레를 감을 수 있도록 밴딩끈(300)이 고정되어 있는 클램퍼(123)와, 상기 클램퍼(123)를 상하로 구동시키는 실린더(124)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퍼(123)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평프레임(121)에 힌지결합되어 상하로 회동하는 것으로, 내측면을 따라 유도되는 밴딩끈(300)의 선단이 클램퍼(123)의 선단보다 돌출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특징인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KR1020170067198A 2017-05-30 2017-05-30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KR2018013093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8A KR20180130938A (ko) 2017-05-30 2017-05-30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198A KR20180130938A (ko) 2017-05-30 2017-05-30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38A true KR20180130938A (ko) 2018-12-10

Family

ID=6467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198A KR20180130938A (ko) 2017-05-30 2017-05-30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93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658479B1 (en) Strap feeding and tensio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098091B1 (ko) 전선 자동 바인딩 포장장치
JP2017088407A (ja) 導体輸送装置、とりわけケーブル処理マシンにて処理されるべきケーブル用の装置
CN103863600B (zh) 热成形包装机和方法
JP2014218280A (ja) グリップ幅調整機構
JP2002521290A (ja) 製品を包装するための機械にフィルムを装填する装置及び方法
US10807821B2 (en) Film supplying device in horizontal package making and filling machine
KR20180108141A (ko) 박스 다중 밴딩 포장장치
KR100525795B1 (ko) 밴드 포장기의 밴드 재이송 방법 및 재이송 장치를 구비한 밴드 포장기
KR100853492B1 (ko) 다발 묶음장치
KR20190047964A (ko) 강판 코일 랩핑용 포장재 공급장치, 이를 이용한 강판 코일 랩핑 장치 및 방법
EP1172298B1 (en) Packaging device
KR20180130938A (ko) 밴딩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밴딩장치
JP5896592B2 (ja) 梱包装置
CN109229481B (zh) 捆扎机
KR20190097522A (ko) 면봉 포장 가압 이송장치
WO2022166217A1 (zh) 捆扎机用机头及捆扎机
KR100601365B1 (ko) 스테플러 철침의 직선 보정장치
WO1989003271A1 (en) Wire driving apparatus for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s
KR100331041B1 (ko) 종이밴드 밴딩시스템
JP4355171B2 (ja) 自動梱包機のストッパー装置
CN215707354U (zh) 一种间距可调的纸箱打捆机
CN217624293U (zh) 一种药盒捆包机
US11459134B2 (en) Thermoforming packaging machine with space-saving film source
CN213620419U (zh) 一种纸板捆扎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