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0406A - 떡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떡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0406A
KR20180130406A KR1020170066452A KR20170066452A KR20180130406A KR 20180130406 A KR20180130406 A KR 20180130406A KR 1020170066452 A KR1020170066452 A KR 1020170066452A KR 20170066452 A KR20170066452 A KR 20170066452A KR 20180130406 A KR20180130406 A KR 201801304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ake
cylinder
outlet
rice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4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갑
Original Assignee
박종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갑 filed Critical 박종갑
Priority to KR10201700664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30406A/ko
Publication of KR20180130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4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20Extruding
    • A23P30/25Co-extrusion of different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게하게는 찐 쌀을 교반 압출하여 떡을 제조할 때 내부에 쌀 외에 다양한 식재료가 내입되게 함으로써 식품 영양소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동시에 식재료 종류를 달리 하여 상품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떡을 여러가지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표면을 고열로 익힘으로써 구운 떡과 같이 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제1실린더(11) 내에 제1스크류(12)가 구비되어 제1입구(14)로 투입된 식재료(1)를 제1출구(15)로 압출하는 제1이송부(10); 상기 제1실린더(11)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제2실린더(21)와 제1실린더(11)의 사이에 제2스크류(22)가 구비되어 제2입구(24)로 투입된 떡재료(2)를 제2출구(25)로 압출하는 제2이송부(30); 상기 제1이송부(10) 및 제2이송부(20)를 통해 압출되는 식재료(1)를 포함하는 떡재료(2)를 일정 길이로 절단 가능한 커터(30); 및 상기 커터(30)로 절단된 떡 제품(3)을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상/하부 성형틀(40)(50)을 포함하는 떡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떡 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OF RICE CAKE}
본 발명은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찐 쌀을 이용하여 떡을 제조하되, 떡 내부에는 쌀 외에 다른 식재료가 내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 가능한 동시에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떡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떡은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 중 하나로서 명절이나 관혼상제와 같은 잔치나 축제 행사에 항상 먹는 음식 중 하나이며 주로 멥쌀이나 찹쌀 또는 다른 곡식을 쪄서 찧거나 가루 내어 쪄서 빚어 만든 음식을 말한다. 이러한 떡의 종류는 여러 가지 것들이 있으며, 그 중 떡국용 가래떡이나 떡볶이를 만들어 먹는 떡볶이 떡은 잔치나 축제 이외에 한 끼 식사대용으로 먹는 것으로 소비성이 가장 많은 떡 중 하나이다.
이와 같이 소비성이 많은 떡의 경우 대량 생산에 의해 제조가 이루어지는 바, 종래 떡을 제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쌀을 불리고, 불린 쌀을 빻아 가루로 만들며 만들어진 가루를 다시 찜기에 넣어 스팀을 이용하여 쪄낸 다음, 쪄진 떡을 다시 성형기에 넣어 성형기에 의해 가래떡이나 떡볶이 떡이 압출되도록 하는 과정을 거쳐 떡을 제조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한 기술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478호(특허문헌 1)에서는 내부에 압출 공간부가 형성되며, 일측단에는 성형틀이 마련된 바디와; 상기 바디의 일측 상부에 바디의 압출 공간부와 연통되도록 설치되며, 반죽 형태의 밀가루를 바디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호퍼와; 상기 바디의 타측단에 길이 방향으로 대칭되게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나선형태의 제 1, 2 압출구간이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고, 제 1,2 압출구간 사이에는 직선 형태의 가압구간이 마련된 이송 스크류;를 포함하여 된 떡 제조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을 포함한 종래 기술에 따른 떡 제조장치에 의해 제조된 떡은 단순히 쌀로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항상 일정한 모양과 맛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종류의 식품 영양소를 동시에 취식할 수 없으므로 상품의 다양화를 이루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01478호(2003. 01. 24 공고)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이 내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찐 쌀을 교반 압출하여 떡을 제조할 때 내부에 쌀 외에 다양한 식재료가 내입되게 함으로써 식품 영양소의 균형을 맞출 수 있는 동시에 식재료 종류를 달리 하여 상품의 다양화를 꾀할 수 있으며, 또한 떡을 여러가지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면서도 표면을 고열로 익힘으로써 구운 떡과 같이 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떡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떡 제조장치는, 원통형 제1실린더 내에 제1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제1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제1실린더의 제1출구로 압출하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실린더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원통형의 제2실린더의 내면과 상기 제1실린더의 외면 사이에 제2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제2입구로 투입된 떡재료를 상기 제1출구의 외주연에 마련된 상기 제2실린더의 제2출구로 압출하는 제2이송부;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출구로 압출되는 원통형 떡재료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출구로 압출되는 상기 식재료가 내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출구 및 제2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이송부 및 제2이송부를 통해 압출되는 식재료를 포함하는 떡재료를 일정 길이로 절단 가능하게 하는 커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터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떡 제품을 지지하는 하부 성형틀과, 상기 하부 성형틀의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떡 제품을 프레싱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상부 성형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성형틀에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성형틀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떡 제품의 성형시 떡 제품의 표면에 열을 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하부 성형틀에는 상기 떡 제품의 하부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형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떡 제조장치는, 원통형 제3실린더 내에 제3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제3실린더의 제3입구로 투입된 떡재료를 상기 제3실린더의 제3출구로 배출하는 제3이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출구에서 배출된 떡재료는 상기 제1입구로 유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에 따르면, 간단한 방법으로 떡 내부에 식재료를 자동으로 내입할 수 있고, 식재료를 통하여 다양한 맛을 낼 수 있으며 영양소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식재료의 다양화 및 떡 형상의 다양화를 통해 상품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표면에 열을 가하여 구운 떡과 같이 제조하여 식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는 특히 전통적으로 애호하는 가래떡을 다양한 맛과 영양소의 균형 및 떡의 형상의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점에 여러가지 효과와 시장 경쟁력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떡 성형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의 구조를 예시하고 이에 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예시된 형태만으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는 예시된 형태의 통상적인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까지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떡 성형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는, 원통형 제1실린더(11) 내에 제1스크류(12)가 구비되어 상기 제1실린더(11)의 제1입구(14)로 투입된 식재료(1)를 상기 제1실린더(11)의 제1출구(15)로 압출하는 제1이송부(1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스크류(12)는 제1모터(13)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1입구(14)로 투입된 떡재료 이외의 각종 식재료(1)가 제1스크류(12)의 회전에 의해 교반, 압축된 상태에서 제1출구(15)로 압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는, 상기 제1실린더(11)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원통형의 제2실린더(21)의 내면과 상기 제1실린더(11)의 외면 사이에 제2스크류(22)가 구비되어 상기 제2실린더(21)의 제2입구(24)로 투입된 떡재료를 상기 제1출구(15)의 외주연에 마련된 상기 제2실린더(21)의 제2출구(25)로 압출하는 제2이송부(20)를 포함한다.
상기 제2스크류(22)는 제2모터(23)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2입구(24)로 투입된 떡재료(2)(예를 들면 찐 쌀)가 제2스크류(22)의 회전에 의해 교반, 압축된 상태에서 제2출구(25)로 압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2출구(25)로 연속 압출되는 원통형 떡재료(2)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출구(15)로 압출되는 상기 식재료(1)가 연속해서 내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출구(15)의 직경을 상기 제1실린더(1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식재료(1)가 제1출구(15)를 통해 압축되면서 배출되게 하는 한편, 상기 제2출구(25)의 직경을 상기 제2실린더(2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떡재료(2)가 제2출구(25)를 통해 압출되면서 배출되게 하면, 상기 식재료(1) 및 떡재료(2)의 밀도가 더 높아져서 식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는, 상기 제1출구(15) 및 제2출구(25)의 외측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상기 제1출구(15)와 제2출구(25)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 커터(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커터(30)는 상기 제1이송부(10) 및 제2이송부(20)를 통해 연속 압출되는 식재료(1)를 포함하는 떡재료(2)를 일정 길이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떡 제조장치는, 상기 커터(30)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떡 제품(3)을 지지하는 하부 성형틀(40)과, 상기 하부 성형틀(40)의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떡 제품(3)을 프레싱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상부 성형틀(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 성형틀(50)에 전기에 의해 발열하는 히터(51)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성형틀(50)을 고온으로 가열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떡 제품(3)을 프레싱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할 때 떡 제품(3)의 표면에 열을 가할 수 있게 하여 떡 제품(3)의 표면을 굽는 방식으로 성형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성형틀(40)은 평판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상부 성형틀(50)은 아치 형태로 될 수 있는데, 그 형태는 도시한 예를 비롯하여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떡 제품(3)의 형상을 다양하게 하기 위해, 도 3을 참조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성형틀(40)의 상면에 반원형의 형상부(41)가 구비될 수 있는데, 물론 상기 형상부(41) 역시 도시한 예에 제한됨 없이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의 구성도로서, 상기 떡재료(2)를 더 교반 및 압축하여 찐 쌀 알갱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떡 제조장치는, 원통형 제3실린더(61) 내에 제3스크류(62)가 구비되어 상기 제3실린더(61)의 제3입구(64)로 투입된 떡재료(2)를 상기 제3실린더(61)의 제3출구(65)로 배출하는 제3이송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출구(65)는 상기 제1입구(14)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3스크류(62)는 제3모터(63)와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이에 따라 제3입구(64)로 투입된 떡재료(2)는 제3스크류(62)의 회전에 의해 교반, 압축된 상태에서 제3출구(65)로 배출되고, 제3출구(65)에서 배출된 떡재료(2)는 상기 제1입구(14)로 유입된 후 제1이송부(10)를 통해 제1출구(15)로 압출된다.
이상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보인 한정된 실시 예에 따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시 예들의 구성요소 일부를 변경, 혼합하는 등,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고, 그러한 변형 실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 식재료 2 : 떡재료 3 : 떡 제품
10 : 제1이송부 11 : 제1실린더
12 : 제1스크류 13 : 제1모터
14 : 제1입구 15 : 제1출구
20 : 제2이송부 21 : 제2실린더
22 : 제2스크류 23 : 제2모터
24 : 제2입구 25 : 제2출구
30 : 커터
40 : 하부 성형틀 41 : 형상부
50 : 상부 성형틀 51 : 히터
60 : 제3이송부 61 : 제3실린더
62 : 제3스크류 63 : 제3모터
64 : 제3입구 65 : 제3출구

Claims (6)

  1. 원통형 제1실린더 내에 제1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제1실린더의 제1입구로 투입된 식재료를 상기 제1실린더의 제1출구로 압출하는 제1이송부;
    상기 제1실린더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 원통형의 제2실린더의 내면과 상기 제1실린더의 외면 사이에 제2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제2실린더의 제2입구로 투입된 떡재료를 상기 제1출구의 외주연에 마련된 상기 제2실린더의 제2출구로 압출하는 제2이송부;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2출구로 압출되는 원통형 떡재료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1출구로 압출되는 상기 식재료가 내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출구 및 제2출구를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제1이송부 및 제2이송부를 통해 압출되는 식재료를 포함하는 떡재료를 일정 길이로 절단 가능한 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에 의해 일정 길이로 절단된 떡 제품을 지지하는 하부 성형틀과, 상기 하부 성형틀의 상부에서 승하강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떡 제품을 프레싱하여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는 상부 성형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성형틀에 히터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 성형틀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떡 제품의 성형시 떡 제품의 표면에 열을 가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성형틀에는 상기 떡 제품의 하부를 소정 형상으로 성형하기 위한 형상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통형 제3실린더 내에 제3스크류가 구비되어 상기 제3실린더의 제3입구로 투입된 떡재료를 상기 제3실린더의 제3출구로 배출하는 제3이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3출구에서 배출된 떡재료는 상기 제1입구로 유입 가능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떡 제조장치.
KR1020170066452A 2017-05-29 2017-05-29 떡 제조장치 KR201801304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52A KR20180130406A (ko) 2017-05-29 2017-05-29 떡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452A KR20180130406A (ko) 2017-05-29 2017-05-29 떡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406A true KR20180130406A (ko) 2018-12-07

Family

ID=6466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452A KR20180130406A (ko) 2017-05-29 2017-05-29 떡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304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oscicki Extrusion-cooking techniques: applications, theory and sustainability
US5296247A (en) Method of making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by co-extrusion
US5216946A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US20190183132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Edible, Biodegradable Containers
CN100462014C (zh) 通过挤压制作冷面用面条的方法和设备
MX2008011471A (es) Produccion de articulos con contenido variable de aditivos.
KR101137914B1 (ko) 다중 구조의 속재료를 충진함과 동시에 외관을 땅콩 모양으로 성형하는 떡볶이용 떡 제조장치
US3138462A (en) Process of making quick-cooking pasta
JP6443911B2 (ja) 食品用真空押出成型装置
KR20180130406A (ko) 떡 제조장치
KR20000009635A (ko) 가래떡에 내부충진물을 주입한 떡볶이 제조방법 및 장치
KR100562801B1 (ko) 고기말이 성형기
KR100529831B1 (ko) 원형만두의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959984B1 (ko) 빵 반죽 굴림 성형장치
KR100340676B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08740794A (zh) 豆渣食品生产线
KR101191106B1 (ko) 칼라 뻥튀기의 제조방법
CN205611753U (zh) 夹心粉机
KR200201867Y1 (ko) 곡물국수의 제조장치
CN206629932U (zh) 荞片挤出生产线
KR20160007775A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AU648011B2 (en) Precooked filled pasta products made by co-extrusion
CN108576644A (zh) 豆渣食品生产系统
KR200346481Y1 (ko) 옥수수 및 메밀국수의 제조장치
KR102381820B1 (ko) 가래떡 제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