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434A - 다목적 급유 장치 - Google Patents

다목적 급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434A
KR20180129434A KR1020170065460A KR20170065460A KR20180129434A KR 20180129434 A KR20180129434 A KR 20180129434A KR 1020170065460 A KR1020170065460 A KR 1020170065460A KR 20170065460 A KR20170065460 A KR 20170065460A KR 20180129434 A KR20180129434 A KR 201801294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post
pocket
oil chamber
supply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원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와이엘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와이엘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와이엘테크
Priority to KR102017006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9434A/ko
Publication of KR201801294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4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6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feed by pumping action of the member to be lubricated or of a shaft of the machine; Centrifugal lubrication
    • F16N7/363Centrifugal lubr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F16N7/36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feed by pumping action of the member to be lubricated or of a shaft of the machine; Centrifugal lubrication
    • F16N7/366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with feed by pumping action of the member to be lubricated or of a shaft of the machine; Centrifugal lubrication with feed by pumping action of a vertical shaft of the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윤활유와 같은 오일류를 베어링과 같은 윤활이 요구되는 곳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급유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유할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챔버; 상기 오일챔버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좌대와 상기 고정좌대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원을 이루는 복수의 포집홈이 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와 동축상으로 상기 오일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하게 되며, 하단부가 상기 포스트를 감싸도록 오목한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 내부와 연통되게 상방으로 향하는 오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로의 말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상기 오일을 상기 배출구로 급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다목적 급유 장치{multi-purpose oil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윤활유와 같은 오일류를 베어링과 같은 윤활이 요구되는 곳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급유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적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장비들은 구동을 위한 회전요소를 포함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회전요소들은 필연적으로 마모 현상이 동반되기 때문에 적절한 윤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베어링과 같은 부품들은 내부에 윤활성분이 내장되는 경우도 많지만 대부분의 베어링은 회전수에 따른 사용수명이 존재한다. 윤활성분을 가지는 베어링이라 할지라도 생산과정 중 불량품이거나 열악한 사용 환경하에서는 급격하게 윤활특성이 나빠져 결국 조기에 볼이 깨지거나 내륜 혹은 외륜이 파여져 심한 소음 및 진동을 유발하기도 한다.
베어링과 같은 부품들의 조기파손은 대부분 윤활특성이 나빠지기 때문이며, 윤활제가 지속적으로 소정량씩 공급될 수 있다면 베어링의 수명은 한층 연장될 수 있을 것이다.
그 외 산업용 기계들에는 오일의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곳이 상당히 많으며, 오일펌프를 이용하여 배관을 통해 오일을 공급하는 것은 흔한 방법 중 하나이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19303호의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의 배관 구성도이며, 도 2는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는, 케이싱(10) 내부에 진공날개(11), 베어링(13), 매커니컬실(14), 윤활유로(15), 윤활용 오일을 구비하는 진공펌프로서, 상기 케이싱(10)의 하측과 윤활유로(15)의 상측을 배관(18)으로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몸체(20) 및 상기 몸체(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로 오일의 일부를 배관(18) 상으로 순환시키는 작동부(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작동부(30)는 동일한 샤프트(32) 상에 구동임펠러(34)와 피동임펠러(36)를 구비하고, 구동임펠러(34)의 회전력을 받은 피동임펠러(36)로 오일을 이송하도록 한다.
이처럼 기계류에 있어 윤활유와 같은 오일을 급유하기 위해서는 배관을 통해 임펠러와 같은 펌핑수단을 이용하게 되는 것이다.
배관 및 펌핑수단을 구비하는 것은 부품의 증가를 유발하며, 이로 인한 비용 증가 및 고장 가능성의 증대 등의 문제점을 야기한다.
그리고 펌핑수단을 이용하는 경우는 대부분 상당한 양의 오일을 펌핑해야 하는 경우이거나 단속적인 급유를 필요로 하는 상황에서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소량의 오일이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도 많이 있는데, 종래기술들로는 이러한 소요처에 적합한 기술이 없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419303호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급유를 위한 수단으로서 비교적 간단한 구성으로 별도의 배관을 사용치 않고도 윤활이 필요로 하는 개소로 오일을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 급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소량의 오일을 지속적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는 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목적 급유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다목적 급유 장치는, 급유할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챔버; 상기 오일챔버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좌대와 상기 고정좌대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원을 이루는 복수의 포집홈이 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와 동축상으로 상기 오일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하게 되며, 하단부가 상기 포스트를 감싸도록 오목한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 내부와 연통되게 상방으로 향하는 오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로의 말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상기 오일을 상기 배출구로 급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켓의 내경면은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과 간극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포켓의 내경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오일챔버의 상단에는 덮개가 마련되며, 상기 덮개 위에 상기 회전체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는 간단한 구성요소를 통해 배관을 사용치 않고도 윤활유와 같은 오일을 적절히 공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비싼 오일펌프를 사용치 않아도 되므로 비용절감을 통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급하고자 하는 오일의 유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소량의 오일을 지속적으로 공급하고자 할 때 그 유용성이 크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의 배관 구성도.
도 2는 진공펌프의 무동력 오일공급장치의 내부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포스트 및 포켓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또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에 대해 보다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는 것으로 한다. 단, 제시되는 도면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하나의 실시 가능한 예를 설명하는 것인 바,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포스트 및 포켓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또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목적 급유 장치는 주요한 구성요소로 오일챔버(100), 고정체(200) 및 회전체(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목적 급유 장치는 특히 윤활유와 같은 오일류의 급유를 위한 장치로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다양한 개소로 오일을 급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산업기계나 설비 등의 급유가 필요한 개소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오일챔버(100)는 급유할 오일이 저장되는 곳이다. 오일챔버(100)는 박스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것이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 및 사이즈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오일챔버(100)의 일측으로는 오일이 소모됨에 따라 수위가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오일을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소정의 수위센서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오일챔버(100)의 내부에 고정체(200)가 마련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오일챔버(100)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체(200)가 설치되도록 한다.
고정체(200)는 고정좌대(210)와 포스트(220) 및 포집홈(230)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좌대(210)는 오일챔버(100) 내부 바닥면과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된다. 고정좌대(210)의 중앙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스트(220)가 마련되며, 포스트(220)는 소정의 외경을 갖는 원기둥 형태이며, 필요에 따라 그 높이나 외경은 변화될 수 있다.
특히, 포스트(220)의 외주면에는 다단으로 복수의 포집홈(230)이 형성되며, 포집홈(230)은 원을 이루게 된다. 포집홈(230)은 기본적으로 원을 이루게 되지만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나선홈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고정체(200)와 상호 작용하여 오일을 상승되게 하는 회전체(300)가 구비되며, 회전체(300)는 고정체(200)와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오일챔버(10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 동작하게 된다.
기본적으로 회전체(300)는 길다란 봉상부재로서, 샤프트(310)의 하단부에는 포켓(320)이 형성되고, 샤프트(310)의 상단부에는 동력전달을 위한 연결수단(330)이 형성된다.
설명의 편의상 회전체(300)의 하단을 포켓(320)이라 하며, 상단을 연결수단(330)이라 하고, 그 사이 영역을 샤프트(310)라 부르는 것으로 정의한다.
포켓(320)은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데, 포스트(220)를 감싸는 형상을 이루며, 샤프트(310)의 중심축을 따라 오일유로(311)가 형성된다. 포켓(320) 내부와 오일유로(311)는 서로 연통되어 있으며, 오일유로(311)는 샤프트(310)의 상단 부근까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일유로(311)의 말단에는 샤프트(310)의 외면으로 이어지는 배출구(312)가 하나 이상 형성된다. 배출구(312)는 상하 위치를 달리하여 복수개소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샤프트(3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연결수단(330)은 키홈이나 세레이션과 같은 것일 수 있으며, 모터(400)의 회전축이 직결되거나 기타 감아걸기전동수단을 이용한 간접적인 회전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챔버(100)의 상단에 덮개(110)를 마련할 수 있고, 덮개(110) 위에 회전체(300)의 구동을 위한 모터(400)를 장착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모터(400)는 적절한 감속기를 이용하여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목적 급유 장치는 고정된 고정체(200)에 대해 회전체(300)가 회전함에 따라 오일이 오일유로(311)를 통해 상승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위해 포켓(320)의 내경면은 포스트(220)의 외주면과 소정의 간극을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즉, 포켓(320)의 내경치수는 포스트(220)의 외경치수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한다.
특히, 포켓(320)의 내경면에는 나선홈(321)이 형성되도록 하는데, 나선홈(321)과 포스트(220)에 형성되는 포집홈(230)의 상호 작용에 의해 회전체(300)가 회전하게 되면 오일은 원활하게 상방으로 공급될 수 있다.
기본적으로 윤활유와 같은 오일은 특히 물에 비해 높은 점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회전체(300)의 낮은 회전수에 의해서도 급유가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된 고정체(200) 주위를 회전체(300)가 회전하게 되면, 포스트(220) 외면에 형성된 포집홈(230)과 포켓(320)에 형성된 나선홈(321)으로 인해 상승력이 작용하게 되며, 특히 포켓(320)의 내경과 포스트(220)의 외경간 간극이 좁기 때문에 회전체(300)의 회전력과 오일의 점성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오일은 상승 이동하게 되고, 포켓(320)과 연통된 좁은 오일유로(311)를 통해 오일은 상승 공급되어 배출구(312)로 급유를 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구체적인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챔버(100) 외부로 길게 회전체(300)가 연장되는 경우를 가정하며, 회전체(300)의 샤프트(310)에 동력전달을 위한 베어링(B)이 결합되도록 한다.
베어링(B)의 외륜에 기어나 풀리가 연결되며, 체인이나 벨트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런 경우 베어링(B)으로 급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면 장치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급유 장치로 베어링쪽으로 오일이 소량씩 급유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의 또 다른 사용예를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일챔버(100)의 내부에 비산되는 오일이 수집되어 오일챔버(100) 외부로 배출되게 할 수 있는 오일받이(120)를 두는 형태로 오일을 필요한 곳으로 공급되게 할 수 있다.
오일챔버(100) 내부로 회전체(300) 주위로 오일받이(120)를 두도록 하며, 오일받이(120)는 배출구(312)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시켜서 회전체(300)가 회전시 비산되는 오일이 오일받이(120)로 떨어져 수집될 수 있도록 하며, 오일받이(120)에는 오일챔버(100) 외부로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유출구(130)를 형성시켜서 오일의 급유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다목적 급유 장치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급유가 필요로 하는 기계장치나 설비에 널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급유가 요구되는 기계장치 등에 활용되기에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100 : 오일챔버
110 : 덮개 120 : 오일받이
130 : 유출구
200 : 고정체
210 : 고정좌대 220 : 포스트
230 : 포집홈
300 : 회전체
310 : 샤프트 311 : 오일유로
312 : 배출구 320 : 포켓
321 : 나선홈 330 : 연결수단
400 : 모터
B : 베어링

Claims (3)

  1. 급유할 오일이 저장되는 오일챔버;
    상기 오일챔버의 내부 바닥면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고정좌대와 상기 고정좌대 중앙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포스트를 포함하되,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에는 원을 이루는 복수의 포집홈이 형성되는 고정체;
    상기 고정체와 동축상으로 상기 오일챔버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 동작하게 되며, 하단부가 상기 포스트를 감싸도록 오목한 포켓을 형성하고, 상기 포켓 내부와 연통되게 상방으로 향하는 오일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유로의 말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오일유로를 통해 상기 오일을 상기 배출구로 급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유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포켓의 내경면은 상기 포스트의 외주면과 간극을 유지하게 되며, 상기 포켓의 내경면에는 나선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유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챔버의 상단에는 덮개가 마련되며, 상기 덮개 위에 상기 회전체의 구동을 위한 모터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목적 급유 장치.
KR1020170065460A 2017-05-26 2017-05-26 다목적 급유 장치 KR201801294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60A KR20180129434A (ko) 2017-05-26 2017-05-26 다목적 급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460A KR20180129434A (ko) 2017-05-26 2017-05-26 다목적 급유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434A true KR20180129434A (ko) 2018-12-05

Family

ID=64743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460A KR20180129434A (ko) 2017-05-26 2017-05-26 다목적 급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9434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1267B1 (ko) 콘형 크러셔
KR20130138170A (ko) 스크롤 유체 기계
US4488855A (en) Main bearing lubrication system for scroll machine
CN102368899A (zh) 作业装置润滑结构
EP3091231A1 (en) Open type compressor
CN205977712U (zh) 泵‑马达‑单元
JP6554926B2 (ja) スクロール圧縮機
US9879532B2 (en) Adaptation of a hydraulic motor
CN102052397B (zh) 组合轴承和旋转设备
CN103398165A (zh) 一种立式减速器的自循环润滑方法及装置
CN103775343A (zh) 卧式压缩机
CN103688057A (zh) 压缩机
JP6395157B2 (ja)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CN212536075U (zh) 涡旋压缩机
KR20180129434A (ko) 다목적 급유 장치
CN204591678U (zh) 涡旋压缩机和用于涡旋压缩机的驱动轴
CN100379987C (zh) 压缩机
EP2905469A1 (en) Hermetic scroll compressor
CN105317672A (zh) 集成式润滑泵
KR20180129435A (ko) 다목적 유체공급 장치
JP2013036409A (ja) 圧縮機
CN1018755B (zh) 轴承润滑的自输送装置
WO2022021644A1 (zh) 涡旋压缩机
CN205047436U (zh) 一种压缩机
CN106837745B (zh) 压缩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