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9174A -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 Google Patents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9174A
KR20180129174A KR1020170064803A KR20170064803A KR20180129174A KR 20180129174 A KR20180129174 A KR 20180129174A KR 1020170064803 A KR1020170064803 A KR 1020170064803A KR 20170064803 A KR20170064803 A KR 20170064803A KR 20180129174 A KR20180129174 A KR 20180129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ed liquid
code layer
code
layer
storage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48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357B1 (ko
Inventor
민준기
박종돈
Original Assignee
민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준기 filed Critical 민준기
Priority to KR10201700648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35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9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3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3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4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 B29C35/045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using liquids, gas or steam using gas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86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93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0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special character, e.g. for Chinese characters or barc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7Forms or constructions including a machine-readable marking, e.g. a bar c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는, 3D코드층과 그 둘레의 2D코드층을 포함하는 물리적 복제방지(PFU) 라벨 중 3D코드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상기 3D코드층을 이루게 되는 혼합액상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혼합액상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혼합액상물을 제공받고,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에 정량제어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3D코드층을 프린팅하는 분사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혼합액상물의 토출 및 상기 분사수단에 의한 상기 혼합액상물의 정량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제방지(PUF) 라벨의 3D코드층을 이루게 되는 혼합액상물을 최적의 용액상태로 저장하면서 교반하며 혼합액상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저장수단이 마련됨에 따라 혼합액상물 즉, 3D코드층의 원재료에 대한 통합적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첨가물의 추가나 변경을 통해 3D코드층에 다양한 특성 내지 기능성의 부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3D코드층의 품질 내지 인식률 저하의 주요 원인인 기포의 제거로 인해 정밀한 고품질의 3D코드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3D CODE PRINTING DEVICE FOR 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본 발명은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용 카드나 본인 식별용 카드 또는 고가의 재화에 대한 인증 및 관리 등에 이용되는 물리적 복제방지(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 라벨의 일요소를 이루는 3D코드층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프린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물인터넷(IoT) 시대가 다가오면서 스마트 홈 가전, 커넥티드 카 등 인간 생활에 편리함을 제공해주는 다양한 기기들이 등장하고 있으나, 이들의 안전한 사용과 관련된 보안기술은 아직까지 미흡하여 근래 해킹을 통한 인증키 복제에 따른 피혜 사례가 심심치 않게 보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렇게 보안을 위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인증키를 통해 복호화하는 등의 소프웨어적 처리로 본인이나 재화를 인증하던 종래의 방식은, 해킹으로부터 완전히 안전하다고 볼 수 없어, 최근에는 IoT 기기뿐만 아니라 다양한 재화에도 손쉽게 적용이 가능한 하드웨어 기반 보안기술인 PUF(Physically Unclonable Function)가 크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PUF기술 중에는, 종래 고가의 재화, 신용카드, 유가증권, 여권 등에 부착하여 사용되던 특수잉크로 인쇄된 라벨 또는 홀로그램 등과 같은 2D코드에 불규칙하면서도 고유하게 광을 반사하는 입자를 다수 함유한 3D코드를 하나의 라벨로 일체화하여 거의 하드웨어적으로 복제할 수 없도록 한 라벨기술이 있다.
이러한 PUF 라벨은 라벨 자체의 복제가 기술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기술적 상용화 단계인 관계상 3D코드를 형성하는 기술, 제조된 라벨을 광학적으로 인식하여 디지털화된 인증코드를 생성하는 기술, 진위여부를 판별을 위해 촬상장비를 통해 라벨을 감지하는 기술, 생성된 인증코드에 기초하여 촬상된 라벨의 진위여부를 실시간 판별하는 기술 등에 대한 지속적인 보완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한 선행기술중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30036호(공개일: 2016년 11월10일)는 복제방지코드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선행기술은, 구체적으로 두 장의 필름을 롤투롤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서 점착성을 갖도록 가열하고, 두 장의 필름 중 어느 하나의 필름에 이종의 반사 패턴을 띄는 반사입자들을 배치한 후 합지하는 형태로 3D코드를 제작하여, 품질 보장과 연속 제조 공정을 통해 양산성 및 제조성 향상, 제조단가 절감 등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행기술에서 제시하는 복제방지코드의 제조 방법 및 장치는, 반사입자들의 고정을 위해 2장의 필름에 각각 열을 가하여 합지한다는 점에서 필름의 열변형이 필연적이고, 이러한 필름의 열변형은 반사입자에 의한 광반사를 불균일하게 하여 라벨의 촬상시 인식률을 저하시키는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또한, 입자 분사 장치를 통해 분사되는 반사입자는 아주 미세한 가루형태인 관계상 필름상에 분사시 주변으로 분산될 우려가 커서 3D코드를 필요한 위치에 정밀하고 깔끔하게 형성하기 어렵고, 분사로 인해 반사입자가 작업장 내 공기 중에 분진형태로 부유할 수 있어 작업환경을 크게 저해할 소지가 크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해상도나 정밀도 등에서 다소 성능이 떨어지는 휴대단말기 등에 탑재된 촬상장치로도 3D코드에 의한 광반사 패턴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제조 공정 또는 3D코드 조성물 자체의 근본적이고 구조적인 개선이나 개량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6-0130036호(공개일: 2016년 11월10일)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복제방지(PUF) 라벨 중 3D코드층에 포함된 반사입자에 의한 광반사를 불균일하게 하거나 저해할 수 있는 제조공정상의 요인이나 조성물 등을 제거 또는 변경 및 개선하여 촬상시 3D코드에 대한 인식률을 향상시키는 한편, 저비용으로 정밀하고 깔끔한 고품질의 3D코드층을 연속적으로 양산할 수 있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3D코드층과 그 둘레의 2D코드층을 포함하는 물리적 복제방지(PFU) 라벨 중 3D코드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상기 3D코드층을 이루게 되는 혼합액상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혼합액상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혼합액상물을 제공받고,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에 정량제어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3D코드층을 프린팅하는 분사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혼합액상물의 토출 및 상기 분사수단에 의한 상기 혼합액상물의 정량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혼합액상물은, 규칙성 있게 광을 반사하도록 이루어진 구형의 반사비드 및 불규칙하게 광을 반사하도록 이루어진 부정형의 반사플레이크가, UV경화성 투명잉크 내에 다수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사비드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구체입자에 은이 표면에 증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플레이크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다면체입자에 은이 표면에 증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비드 및 상기 반사플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상기 3D코드층의 광반사 인식률을 증대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150㎛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혼합액상물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분사수단 및 상기 공압제공수단과 각각 연통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내측에서 회전하며 상기 혼합액상물을 섞어주는 교반장치; 상기 교반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혼합액상물에서 토출된 기포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 일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탈포장치; 및 상기 혼합액상물이 최적의 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액상물의 온도를 증감시키는 히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전달받는 유로가 내부에 구비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내측에서 왕복하며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플러그가 단부에 구비된 샤프트를 포함하는 유량조절밸브;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유출측과 연통되되 일자형 슬릿을 통해 상기 혼합액상물을 플랫형태로 분사하는 플랫노즐; 및 상기 공압제공수단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상기 밸브몸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의 왕복을 제어하는 밸브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수단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혼합액상물이 다수의 상기 밸브몸체에 균등하게 분기되도록,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밸브몸체 사이에는, 상기 저장수단과 연통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분기홀이 외주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원판형 매니폴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압제공수단은, 공압을 발생시켜 송출하는 에어컴프레서; 상기 에어컴프레서와 연통되어 송출된 공압에 함유된 불순물과 습기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저장수단 간을 연결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수단으로 제공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1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필터부와 상기 분사수단 간을 연결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를 사용하여 제작된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은, 보호층이 되는 투명필름; 상기 투명필름의 배면에 링형상으로 프린팅된 2D코드층; 상기 2D코드층이 명확하게 인식되도록, 상기 2D코드층의 배면에 링형상으로 프린팅된 바탕층; 상기 2D코드층 및 상기 바탕층이 프린팅되지 않은 상기 투명필름의 중앙 배면에 상기 프린팅장치를 통해 프린팅된 상기 3D코드층; 및 상기 3D코드층을 통해 반사된 광이 상기 투명필름 쪽으로 투과되도록, 상기 바탕층 및 상기 3D코드층의 배면에 프린팅된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를 사용한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에 있어서, 구형의 반사비드, 부정형의 반사플레이크 및 UV경화성 투명잉크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액상물을 상기 저장수단에 투입하여 섞어주는 교반단계; 상기 교반단계에 의해 상기 혼합액상물에서 토출된 기포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포단계; 상기 공압제공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수단 내로 제공된 공압에 의해 탈포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단계; 상기 분사수단을 통해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에 토출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정량제어하며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3D코드층을 프린팅하는 프린팅단계; 및 상기 3D코드층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분사수단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토출단계와 상기 프린팅단계 사이에는, 상기 저장수단과 연통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분사수단과 각각 연통되는 분기홀이 외주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원판형 매니폴드를 통해 다수의 상기 분사수단에 상기 혼합액상물을 균등하게 분기시키는 분기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제방지(PUF) 라벨의 3D코드층을 이루게 되는 혼합액상물을 최적의 용액상태로 저장하면서 교반하며 혼합액상물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저장수단이 마련됨에 따라 혼합액상물 즉, 3D코드층의 원재료에 대한 통합적인 유지 및 관리가 용이하고 깔끔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다양한 첨가물의 추가나 변경을 통해 3D코드층에 다양한 특성 내지 기능성의 부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3D코드층의 품질 내지 인식률 저하의 주요 원인인 기포의 제거로 인해 정밀한 고품질의 3D코드층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저장수단으로부터 혼합액상물을 제공받아 정량제어하며 플랫형태로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마련됨에 따라 다양한 두께로 3D코드층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저비용으로 3D코드층을 신속하게 양산할 수 있다.
또한, 비교적 입자크기가 큰 반사입자(반사비드 및 반사플레이크)를 원활하게 분사할 수 있는 일자형 슬릿형태의 플랫노즐이 분사수단에 적용됨에 따라 해상도나 정밀도 등에서 다소 성능이 떨어지는 휴대단말기 등에 탑재된 촬상장치로도 3D코드에 의한 광반사 패턴을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저장수단 및 혼합액상물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분사수단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분사수단이 다수개인 경우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3D코드 프린팅장치를 통해 제조된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의 제조단계와 구체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3D코드 프린팅장치의 사용에 따른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의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저장수단 및 혼합액상물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분사수단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분사수단이 다수개인 경우 전체적인 구조를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3D코드 프린팅장치를 통해 제조된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의 제조단계와 구체적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3D코드 프린팅장치의 사용에 따른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을 단계별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 등에서 방향을 지칭하는 상(위쪽), 하(아래쪽), 좌우(옆쪽 또는 측방), 전(정,앞쪽), 후(배,뒤쪽) 등은 권리의 한정의 용도가 아닌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도면 및 구성 간의 상대적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것으로, 이하에서 설명되는 각 방향은 이와 다르게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에 앞서, 3D코드층(14)과 그 둘레의 2D코드층(12)을 포함하는 물리적 복제방지(PFU) 라벨에 대한 설명을 간략히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리적 복제방지(PFU) 라벨의 일요소인 2D코드층(12)은, 종래 고가의 재화, 신용카드, 유가증권, 여권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던 특수잉크로 인쇄된 라벨 또는 홀로그램 등과 같은 평면상의 인식용 코드로서, 단순한 문양으로 이루어진 관계상 복제가 용이하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2D코드층(12)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물리적 복제방지(PFU) 라벨에는 최근 개발된 3D코드층(14)이 부가되는데, 여기서 3D코드층(14)은 미세한 반사입자를 얇은 필름 내에 무작위적으로 배치한 입체적인 인식용 코드로서, 미세한 반사입자에 의해 발현되는 차별화된 광반사 패턴을 코드화함에 따라 물리적인 복제가 거의 불가능해지는 장점이 있지만, 아직까지는 개선 내지 개량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복제방지(PUF) 라벨 중 3D코드층(14)의 원재료 즉, 혼합액상물(ML)에 대한 통합적이고 용이하며 깔끔한 유지 및 관리, 3D코드층(14)에 다양한 특성 내지 기능성의 손쉬운 부여, 정밀한 고품질의 3D코드층(14)의 구현, 설정에 따른 3D코드층(14) 두께의 자유로(122a1)운 변경, 3D코드층(14)의 신속한 양산, 촬상장치의 성능을 불문한 3D코드로부터의 광반사 패턴의 용이한 획득 등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100)를 안출하게 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능 내지 작용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100)는, 저장수단(110), 분사수단(120) 및 공압제공수단(13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각 구성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수단(110)은, 3D코드층(14)을 이루게 되는 혼합액상물(ML)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혼합액상물(ML)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밀폐가능한 구조의 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혼합액상물(ML)이란, 복제방지(PUF) 라벨 중 3D코드층(14)의 원재료가 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반사비드(14a), 반사플레이크(14b) 및 UV경화성 투명잉크(14c)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사비드(14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규칙성 있게 반사하도록 구형으로 제작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비드(14a)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구체입자에 은이 표면에 증착되어 이루어지게 되며, 그 크기는 150㎛ 내지 300㎛가 되도록 제작하게 된다.
이러한 크기는 종래에 사용되던 반사입자의 굵기(100㎛ 내외)에 비해 대략 1.5배 내지 3배에 해당하는 크기로, 이렇게 반사비드(14a)를 크게 형성한 이유는, 고정밀의 촬상장치는 물론, 이에 비해 해상도나 정밀도 등이 떨어지는 휴대단말기에서도 3D코드층(14)에 대한 인식률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반사플레이크(14b)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조사된 광을 불규칙하게 반사하도록 부정형으로 제작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사플레이크(14b)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다면체입자에 은이 표면에 증착되어 이루어지게 되며, 그 크기는 상술한 반사비드(14a)와 유사하게 그 크기는 150㎛ 내지 300㎛가 되도록 제작하게 된다.
이렇게 반사플레이크(14b)를 크게 형성한 이유는, 상술한 반사비드(14a)와 마찬가지로 휴대단말기에서도 3D코드층(14)에 대한 광반사 인식률이 보다 증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UV경화성 투명잉크(14c)는, UV 즉, 자외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되는 성질을 갖는 투명한 합성수지 계열의 물질로서, 소정의 점성을 갖는 액체 상태로 이루어져 상술한 반사비드(14a)와 반사플레이크(14b)를 다수 포함하는 용매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액상의 UV경화성 투명잉크(14c) 내에서 반사비드(14a)와 반사플레이크(14b)가 무작위로 분포된 상태의 혼합액상물(ML)이 후술할 분사수단(120)을 통해 분사되어 3D코드층(14)을 형성하게 되면, 이때 형성된 3D코드층(14) 또한, 반사비드(14a)와 반사플레이크(14b)의 무작위적 배치로 인해 거의 복제가 불가능한 광반사 패턴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저장수단(110)은,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12), 교반장치(114), 탈포장치(116) 및 히터부(118)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저장탱크(112)는, 내부에 저장공간이 마련되어 혼합액상물(ML)을 수용하는 밀폐 가능한 구조의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 구성요소로서, 상단부가 후술할 공압제공수단(130)과 제1 배관(135)을 통해 연통되고, 하단부가 분사수단(120)과 호스(111)를 통해 연통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저장탱크(112)가 공압제공수단(130)에 의해 공압을 제공받게 되면, 내측 저장공간의 상단부 압력이 증대되면서 저장공간에 수용된 혼합액상물(ML)의 상단면을 전체적으로 가압하게 됨에 따라 하단부의 호스(111)를 통해 혼합액상물(ML)은 분사수단(120) 쪽으로 토출되게 된다.
교반장치(114)는, 혼합액상물(ML)을 이루는 반사비드(14a) 및 반사플레이크(14b)가 UV경화성 투명잉크(14c) 내에서 골고루 섞여 무작위성이 증대되도록 하는 한편, 혼합액상물(ML) 내에 함유된 기포가 저장공간의 상단부 쪽으로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이다.
즉, 이러한 기능 및 작용을 위해 교반장치(1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12) 상단부에 구비되는 모터(114a)와, 저장탱크(112) 상단부를 관통한 상태로 배치되고 모터(114a)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회전축과, 저장탱크(112)의 내측에서 회전축에 이격설치되는 다수개의 교반날개(114b)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탈포장치(116)는, 교반장치(114)의 회전작동에 따라 혼합액상물(ML)에서 저장공간의 상단부로 토출된 기포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저장탱크(112) 일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탱크(112) 상단부와 배관을 통해 연통되어 기포를 흡인하는 진공펌프(116b)와, 배관 일측에서 연통되도록 개재되는 탈포탱크(116a)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히터부(118)는, 혼합액상물(ML)이 최적의 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저장탱크(112) 외주면에 설치되어 혼합액상물(ML)의 온도를 증감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저장탱크(11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되되 열선과 같은 전열장치가 내설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히터부(118)는 혼합액상물(ML)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미도시)와 연동하여 UV경화성 투명잉크(14c)가 최적의 분사 점성을 나타내는 온도인 대략 20℃ 내지 27℃를 유지하도록 작동제어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3℃가 되도록 작동제어될 수 있다.
분사수단(120)은, 저장수단(110)으로부터 혼합액상물(ML)을 제공받고,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11)에 정량제어된 혼합액상물(ML)을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3D코드층(14)을 프린팅하는 구성요소이다.
여기서 투명필름(11)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10)로 완성되기 전 제조과정에서는 최하단의 층을 이루게 되는 한편, 완성된 라벨(10) 상태에서는 최상단의 보호층을 이루는 투명한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얇은 필름형태의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투명필름(11)을 통해 외부로부터 조사된 광이 투과되면, 3D코드층(14)의 반사비드(14a) 및 반사플레이크(14b)에 의해 반사되면서 복제 불가한 광반사 패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판형상의 3D코드층(14)을 프린팅하기 위해, 상대이동하는 객체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이송되는 투명필름(11)일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왕복구동되는 분사수단(120)(구체적으로 플랫노즐(124))일 수 있다.
또는 분사수단(120)(구체적으로 플랫노즐(124))의 연직하방 위치로 순차 이동하는 투명필름(11)에 대하여 3D코드층(14)의 폭 길이만큼 반복적으로 왕복구동하며 혼합액상물(ML)을 플랫형태로 분사하는 분사수단(120)(구체적으로 플랫노즐(124))일 수 있다.(도5(d) 참조)
위와 같이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11)에 대하여 정량제어된 혼합액상물(ML)을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3D코드층(14)을 정확하고 신속하게 프린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사수단(12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량조절밸브(122), 플랫노즐(124) 및 밸브컨트롤러(1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유량조절밸브(122)는, 저장수단(110)에서 소정의 토출압으로 송출되는 혼합액상물(ML)이 정량(도 5(c)의 중앙부에서 3D코드층(14)이 형성될 함몰공간에 대응하는 체적)만큼 플랫노즐(124)을 통해 분사되도록, 혼합액상물(ML)의 유동을 허용하거나 억제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유량조절밸브(12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수단(110)으로부터 토출된 혼합액상물(ML)을 전달받는 유로(122a1)가 내부에 구비된 밸브몸체(122a)와, 밸브몸체(122a) 내측에서 왕복하며 유로(122a1)를 개폐하는 플러그(122b1)가 단부에 구비된 샤프트(122b)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플러그(122b1)의 왕복작동에 따라 면접촉하며 유로(122a1)를 개폐하게 되는 유로(122a1)의 일측 즉, 밸브시트면 및 플러그(122b1)는, 연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및 자기윤활성이 우수한 PE(폴리에틸렌)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이렇게 PE 계열의 합성수지로 제작된 밸브시트면 및 플러그(122b1)로 인해 혼합액상물(ML)의 유동시 크기가 큰 반사비드(14a) 및 반사플레이크(14b)의 막힘현상이 저감될 수 있으며, 유로(122a1)의 개폐작동 또한 누출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플랫노즐(124)은, 유량조절밸브(122)의 유출측과 연통되되 일자형 슬릿(124a)을 통해 혼합액상물(ML)을 플랫형태로 분사하는 구성요소로서, 종래에 비해 크기가 큰 반사입자 즉, 150㎛ 내지 300㎛의 크기로 제작된 반사비드(14a) 및 반사플레이크(14b)가 막힘없이 원활하게 분사되어 3D코드층(14)이 신속하고 깔끔하게 투명필름(11)에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특별하게 안출된 것이다.
즉, 이러한 플랫노즐(124)은, 분사구멍이 상대적으로 협소한 일반적인 니들형태(원통형)의 노즐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혼합액상물(ML)을 분사시킬 때, 심하게 발생하던 노즐의 막힘현상을 개선 내지 개량하기 위해 안출된 결과물이다.
이때, 슬릿(124a)의 길이는 분사형태가 부체꼴형인 경우와 직선형인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분사형태와 프린팅하고자 하는 3D코드층(14)의 폭길이 등을 고려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슬릿(124a)의 짧은 쪽 폭 길이는, 반사비드(14a)나 반사플레이크(14b)의 크기인 150㎛ 내지 300㎛보다 크게 형성하되, 바람직하게는 반사비드(14a)나 반사플레이크(14b)의 크기보다 20㎛ 내지 50㎛ 정도 크게 형성하는 것이 정밀하고 정확한 분사를 위해 바람직하다.
즉, 위와 같은 범위보다 작은 폭의 슬릿(124a)의 경우, 노즐 막힘 등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며, 위와 같은 범위보다 큰 폭의 슬릿(124a)의 경우에는, 혼합액상물(ML) 자체의 점착성에 의한 슬릿(124a) 내의 모세관 현상이 저감됨으로 인해 혼합액상물(ML)의 액샘(점적,dripping,點滴)이 발생하기 쉬워 정밀하고 정확한 분사가 이루어지기 어렵게 된다.
밸브컨트롤러(126)는, 공압제공수단(130)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밸브몸체(122a)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샤프트(122b)의 왕복작동을 제어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밸브컨트롤러(126)는, 유량조절밸브(122)는 물론, 교반장치(114), 탈포장치(116), 히터부(118), 후술할 에어컴프레서(132) 등과 각각 연결된 상태에서 이들을 각각 개별적으로 작동제어할 수 있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마이컴(microcomputer), 아두이노(Arduino) 등과 같은 모듈화된 유닛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밸브컨트롤러(126)는, 공압제공수단(130)으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밸브몸체(122a)의 상단 일측 및 하단 일측과 각각 연통되는 호스(121)를 통해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혼합액상물(ML)의 분사를 제어하게 된다.
즉, 밸브몸체(122a)의 상단 일측과 연통되는 호스(121)에 공압이 제공되도록 제어하게 되면, 샤프트(122b)의 중앙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상면이 가압되면서 플러그(122b1)는 유로(122a1)를 개방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혼합액상물(ML)은 소정의 토출압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밸브몸체(122a)의 하단 일측과 연통되는 호스(121)에 공압이 제공되도록 제어하게 되면, 샤프트(122b)의 중앙부에 형성된 플랜지의 하면이 가압되면서 플러그(122b1)는 유로(122a1)를 폐쇄하게 되어 혼합액상물(ML)은 분사가 억제될 수 있게 된다.
밸브컨트롤러(126)의 전면에는, 혼합액상물(ML)의 토출압과 플랫노즐(124)을 통한 혼합액상물(ML)의 분사시간 등을 각각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창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때, 연결된 각 장치들을 제어하고 전송받은 데이터 등을 처리 및 표시하게 되는 밸브컨트롤러(126)의 일련의 작동은, 기계어(machine language, 機械語)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언어로 코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밸브컨트롤러(126)의 구체적인 구현과 제어방법은, 당업자 수준에서 다양한 방식 및 형태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수단(120)이 다수개인 경우(120'), 저장수단(110)과 밸브몸체(122a) 사이에는, 저장수단(110)과 연통된 상태에서 다수의 유로(122a1)와 각각 연통되는 분기홀(142)이 외주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원판형 매니폴드(14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분기홀(142)은 원통형의 매니폴드(140)의 중심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저장수단(110)과 연통된 호스(111)는 원통형의 매니폴드(140)의 중앙부 상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원판형 매니폴드(140)를 통해 저장수단(110)으로부터 토출된 혼합액상물(ML)은 다수의 밸브몸체(122a)에 각각 균등하게 분기된 후 플랫노즐(124)을 통해 일정한 분사압으로 분사될 수 있게 된다.
다수의 분사수단(12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분사수단(120)인 경우, 1열로 6개를 배치할 수도 있지만, 콤팩트한 배치를 위해 2열 병렬형태로 배치하되 1열에 배치된 3개의 분사수단(120) 간 이격공간에 2열에 배치된 3개의 분사수단(120)이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조의 저장수단(110) 및 분사수단(120)을 통해서 혼합액상물(ML)에 대한 통합적이고 용이하며 깔끔한 유지 및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혼합액상물(ML)의 특성변화(내열성, 내화학성, 내마모성 또는 표면반사 저감 등)를 유도할 수 있는 첨가제 등이 저장수단(110)에 용이하게 추가될 수 있어 다양한 특성의 3D코드층(14)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광반사를 저해하는 기포의 제거와 함께 최적의 온도 상태로 혼합액상물(ML)이 토출되고 정확하고 정밀하게 분사됨에 따라 고품질의 3D코드층(14)이 연속적이고 반복적으로 구현될 수 있는 것이다.
공압제공수단(130)은, 저장수단(110)으로부터의 혼합액상물(ML)의 토출 및 분사수단(120)에 의한 혼합액상물(ML)의 정량제어가 이루어지도록, 각 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압제공수단(1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컴프레서(132), 필터부(134), 제1 배관(135), 레귤레이터(136) 및 제2 배관(137)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에어컴프레서(132)는 공압을 발생시켜 송출하는 구성요소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밸브컨트롤러(126)와 연결되어 송출압이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혼합액상물(ML)의 호스(111)를 통한 토출압이 증감될 수 있다.
필터부(134)는 에어컴프레서(132)와 연통되어 송출된 공압에 함유된 불순물과 습기를 제거하는 구성요소로서, 저장수단(110) 내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여 광반사 특성이 우수한 순도 높은 고품질의 3D코드층(14)이 형성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1 배관(135)은 필터부(134)와 저장수단(110) 간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고, 제2 배관(137)은 제1 배관(135)에서 분기되어 필터부(134)와 분사수단(120) 간을 연결하는 구성요소이다.
레귤레이터(136)는 제1 배관(135) 일측에 구비되어 저장수단(110)으로 제공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구성요소로서, 이를 통해 저장수단(110)으로부터의 혼합액상물(ML)의 토출양이 균일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혼합액상물(ML)의 균일한 토출양 제어와 함께 플랫노즐(124)을 통한 혼합액상물(ML)의 정밀한 분사시간 제어를 필요에 따라 가변함으로써, 일정하고 균일한 두께의 3D코드층(14)을 다양한 두께로 변경하며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100)를 사용하여 제작된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명필름(11), 2D코드층(12), 바탕층(13), 3D코드층(14) 및 광흡수층(1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투명필름(1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벨(10)의 전면을 이루며 보호층을 형성하게 되는 구성요소로서, 롤형태로 감긴 투명필름(11)을 리와인딩하며 선택적으로 이송공급하는 와인딩장치(미도시)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2D코드층(12)은 투명필름(11)의 배면에 링형상으로 프린팅되는 구성요소로서, 이송공급되는 투명필름(11)에 대하여 소정의 문양(일례로, 검은색 코드 문양) 등을 프린팅하는 2D코드 프린팅장치(미도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바탕층(13)은 2D코드층(12)이 명확하게 인식되도록, 2D코드층(12)의 배면에서 이에 대응하는 링형상으로 프린팅되는 구성요소로서, 2D코드층(12)과 대비되는 색채(일례로 흰색)를 프린팅하는 프린팅장치(미도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3D코드층(14)은 상술한 바와 같은 3D코드 프린팅장치(100)를 통해 2D코드층(12) 및 바탕층(13)이 프린팅되지 않은 투명필름(11)의 중앙 배면 즉, 함몰공간에 채워지는 형태로 프린팅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3D코드층(14)의 형성은, 함몰공간의 끝단 상방에 플랫노즐(124)이 위치하도록 상술한 와인딩장치에 의해 투명필름(11)이 이송되면, 분사수단(120)이 함몰공간의 길이만큼을 이동하며 정량제어된 혼합액상물(ML)을 플랫형태로 분사함으로써 일거에 이루어질 수 있다.
물론, 분사수단(120)이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필름(11)이 정량제어된 혼합액상물(ML)을 플랫형태로 분사하는 분사수단(120)에 대하여 함몰공간의 길이만큼을 상대이동하도록 변경할 수도 있다.
광흡수층(16)은 3D코드층(14)을 통해 반사된 광이 투명필름(11) 쪽으로만 투과되고, 이외의 방향으로 반사되는 광은 흡수되어 소실되도록 하기 위해 마련된 구성요소로서, 바탕층(13) 및 3D코드층(14)의 배면에 소정의 색채(일례로 검은색)를 프린팅하는 프린팅장치(미도시)를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10)은, 본 발명에 따른 프린팅장치(100)를 포함하여 투명필름(10)의 배면에 대하여 2D코드층(12), 바탕층(13), 3D코드층(14) 및 광흡수층(16)을 각각 연속적으로 프린팅하는 공정을 통해 신속하게 제조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10) 자체의 품질 보장과 연속 제조공정을 통한 양산성 및 제조성 향상, 제조단가 절감 등이 기대될 수 있으며, 종래와 달리 2장의 필름에 각각 열을 가하여 합지하는 형태로 3D코드층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어서 필름의 열변형 문제가 해소됨에 따라 광반사 패턴의 균일화를 이룰 수 있고, 이로 인해 물리적 복제방지라벨(10)의 촬상시 인식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도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3D코드 프린팅장치(100)를 사용한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은,
또한, 위에서 살펴본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10)의 제조공정 중 본 발명에 따른 3D코드 프린팅장치(100)를 사용하여 3D코드를 프린팅하는 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혼합액상물 투입 및 교반단계(S100), 혼합액상물에서 토출된 기포의 탈포단계(S200), 혼합액상물의 토출단계(S300), 플랫분사를 통한 3D코드 프린팅단계(S400) 및 3D코드층의 건조단계(S5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혼합액상물 투입 및 교반단계(S100)는 구형의 반사비드(14a), 부정형의 반사플레이크(14b) 및 UV경화성 투명잉크(14c)로 이루어진 혼합액상물(ML)을 상기 저장수단(110)에 투입한 후 교반장치(114)를 통해 이를 섞어주는 단계로서, 앞서 저장수단(110) 등과 관련된 부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이에 대한 부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혼합액상물에서 토출된 기포의 탈포단계(S200)는, 교반단계(S100)에 의해 혼합액상물(ML)에서 토출된 기포를 탈포장치(116)를 통해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단계로서, 이 또한 앞서 저장수단(110) 등과 관련된 부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이에 대한 부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혼합액상물의 토출단계(S300)는, 공압제공수단(130)을 통해 저장수단(110) 내로 제공된 공압에 의해 탈포된 혼합액상물(ML)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단계로서, 저장수단(110) 내로 공압이 제공되기 이전에 필터부(134)를 통한 이물질 제거, 레귤레이터(136)를 통한 정압의 공기제공에 의해 혼합액상물(ML)은 균일한 수준의 토출압을 유지하며 분사수단(120)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플랫분사를 통한 3D코드 프린팅단계(S400)는, 분사수단(120)을 통해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11)에 토출된 혼합액상물(ML)을 정량제어하며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3D코드층(14)을 프린팅하는 단계로서, 앞서 분사수단(120) 및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10) 등과 관련된 부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이에 대한 부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마지막으로, 3D코드층의 건조단계(S500)는, 3D코드층(14)을 상온에서 신속하게 건조 즉, 경화시키기 위해 UV 램프를 통해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로서, 이로 인해 UV경화성 잉크의 경화가 완료되면, 3D코드층(14)은 완성되게 된다.
다만, 분사수단(120)이 다수개인 경우, 토출단계(S300)와 프린팅단계(S400) 사이에는, 저장수단(110)과 연통된 상태에서 다수의 분사수단(120)과 각각 연통되는 분기홀(142)이 외주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원판형 매니폴드(140)를 통해 다수의 분사수단(120)에 혼합액상물(ML)을 균등하게 분기시키는 분기단계(S35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분기단계(S350)는, 앞서 분사수단(120) 등과 관련된 부분에 구체적으로 설명한바, 이에 대한 부연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 11: 투명필름
12: 2D코드층 13: 바탕층
ML: 혼합액상물 14: 3D코드층
14a: 반사비드 14b: 반사플레이크
14c: UV경화성 투명잉크 16: 광흡수층
100: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110: 저장수단 111,121,141: 호스
112: 저장탱크 114: 교반장치
114a: 모터 114b: 교반날개
116: 탈포장치 116a: 탈포탱크
116b: 진공펌프 118: 히터부
120: 분사수단 122: 유량조절밸브
122a: 밸브몸체 122a1: 유로
122b: 샤프트 122b1: 플러그
124: 플랫노즐 124a: 슬릿
126: 밸브컨트롤러 130: 공압제공수단
132: 에어컴프레서 134: 필터부
135: 제1 배관 136: 레귤레이터
137: 제2 배관 140: 매니폴드
142: 분기홀

Claims (10)

  1. 3D코드층과 그 둘레의 2D코드층을 포함하는 물리적 복제방지(PFU) 라벨 중 3D코드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상기 3D코드층을 이루게 되는 혼합액상물을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혼합액상물에 포함된 기포를 제거하는 저장수단;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상기 혼합액상물을 제공받고,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에 정량제어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3D코드층을 프린팅하는 분사수단; 및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의 상기 혼합액상물의 토출 및 상기 분사수단에 의한 상기 혼합액상물의 정량제어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각 수단에 공압을 제공하는 공압제공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액상물은,
    규칙성 있게 광을 반사하도록 이루어진 구형의 반사비드 및 불규칙하게 광을 반사하도록 이루어진 부정형의 반사플레이크가, UV경화성 투명잉크 내에 다수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비드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구체입자에 은이 표면에 증착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플레이크는, 합성수지를 소재로 한 다면체입자에 은이 표면에 증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반사비드 및 상기 반사플레이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휴대단말기를 통한 상기 3D코드층의 광반사 인식률을 증대할 수 있도록, 그 크기가 150㎛ 내지 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수단은,
    상기 혼합액상물을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분사수단 및 상기 공압제공수단과 각각 연통되는 저장탱크;
    상기 저장탱크 내측에서 회전하며 상기 혼합액상물을 섞어주는 교반장치;
    상기 교반장치의 작동에 따라 상기 혼합액상물에서 토출된 기포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상기 저장탱크 일측과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탈포장치; 및
    상기 혼합액상물이 최적의 점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저장탱크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혼합액상물의 온도를 증감시키는 히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은,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전달받는 유로가 내부에 구비된 밸브몸체와, 상기 밸브몸체 내측에서 왕복하며 상기 유로를 개폐하는 플러그가 단부에 구비된 샤프트를 포함하는 유량조절밸브;
    상기 유량조절밸브의 유출측과 연통되되 일자형 슬릿을 통해 상기 혼합액상물을 플랫형태로 분사하는 플랫노즐; 및
    상기 공압제공수단로부터 제공된 공압을 상기 밸브몸체에 선택적으로 전달하여 상기 샤프트의 왕복을 제어하는 밸브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토출된 상기 혼합액상물이 다수의 상기 밸브몸체에 균등하게 분기되도록,
    상기 저장수단과 상기 밸브몸체 사이에는,
    상기 저장수단과 연통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유로와 각각 연통되는 분기홀이 외주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원판형 매니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압제공수단은,
    공압을 발생시켜 송출하는 에어컴프레서;
    상기 에어컴프레서와 연통되어 송출된 공압에 함유된 불순물과 습기를 제거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와 상기 저장수단 간을 연결하는 제1 배관;
    상기 제1 배관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수단으로 제공되는 공압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레귤레이터; 및
    상기 제1 배관에서 분기되어 상기 필터부와 상기 분사수단 간을 연결하는 제2 배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린팅장치를 사용하여 제작된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은,
    보호층이 되는 투명필름;
    상기 투명필름의 배면에 링형상으로 프린팅된 2D코드층;
    상기 2D코드층이 명확하게 인식되도록, 상기 2D코드층의 배면에 링형상으로 프린팅된 바탕층;
    상기 2D코드층 및 상기 바탕층이 프린팅되지 않은 상기 투명필름의 중앙 배면에 상기 프린팅장치를 통해 프린팅된 상기 3D코드층; 및
    상기 3D코드층을 통해 반사된 광이 상기 투명필름 쪽으로 투과되도록, 상기 바탕층 및 상기 3D코드층의 배면에 프린팅된 광흡수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리적 복제방지 라벨.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린팅장치를 사용한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에 있어서,
    구형의 반사비드, 부정형의 반사플레이크 및 UV경화성 투명잉크로 이루어진 상기 혼합액상물을 상기 저장수단에 투입하여 섞어주는 교반단계;
    상기 교반단계에 의해 상기 혼합액상물에서 토출된 기포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는 탈포단계;
    상기 공압제공수단을 통해 상기 저장수단 내로 제공된 공압에 의해 탈포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외부로 토출시키는 토출단계;
    상기 분사수단을 통해 상대이동하는 투명필름에 토출된 상기 혼합액상물을 정량제어하며 플랫형태로 분사하여 상기 3D코드층을 프린팅하는 프린팅단계; 및
    상기 3D코드층을 건조시키는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수단이 다수개인 경우,
    상기 토출단계와 상기 프린팅단계 사이에는,
    상기 저장수단과 연통된 상태에서 다수의 상기 분사수단과 각각 연통되는 분기홀이 외주면에 대칭으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원판형 매니폴드를 통해 다수의 상기 분사수단에 상기 혼합액상물을 균등하게 분기시키는 분기단계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 방법.
KR1020170064803A 2017-05-25 2017-05-25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KR1019623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803A KR101962357B1 (ko) 2017-05-25 2017-05-25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803A KR101962357B1 (ko) 2017-05-25 2017-05-25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174A true KR20180129174A (ko) 2018-12-05
KR101962357B1 KR101962357B1 (ko) 2019-03-26

Family

ID=64743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4803A KR101962357B1 (ko) 2017-05-25 2017-05-25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35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7909A (zh) * 2017-06-22 2019-01-01 杭州沃朴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量随机气泡的三维防伪标签
WO2020085859A1 (ko)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분리막,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28767B1 (ko) * 2020-01-02 2020-07-01 이승현 선택적 단차와 밀도를 구비한 소프트 연질 적층 시트지 시스템
KR102232579B1 (ko) * 2020-09-07 2021-03-25 이승현 선택적 물리적 라인의 형성을 통한 선택적 표면 적층 시스템
WO2022233458A1 (de) 2021-05-04 2022-11-10 Armin Khadjavi 3d-code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0999A (ja) * 2000-01-13 2001-07-27 Denso Corp 液体注入方法および液体注入装置
KR100525720B1 (ko) * 1998-12-28 2005-11-02 무사시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액체정량토출 방법 및 장치
KR20080099402A (ko) * 2007-05-09 2008-11-13 주식회사 이시스 이액형 분사장치
JP2015082678A (ja) * 2013-10-21 2015-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3dプリンタ出力用データの著作権保護方法および保護システム
KR101595766B1 (ko) * 2013-10-28 2016-02-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품 인증용 라벨 및 그 라벨을 이용한 인증방법
KR20160130036A (ko) 2015-04-30 2016-11-10 (주)링스텔레콤 복제방지코드의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1692978B1 (ko) * 2015-04-09 2017-01-04 민치훈 향기제품을 구현하는 3d 프린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5720B1 (ko) * 1998-12-28 2005-11-02 무사시 엔지니어링 인코포레이티드 액체정량토출 방법 및 장치
JP2001200999A (ja) * 2000-01-13 2001-07-27 Denso Corp 液体注入方法および液体注入装置
KR20080099402A (ko) * 2007-05-09 2008-11-13 주식회사 이시스 이액형 분사장치
JP2015082678A (ja) * 2013-10-21 2015-04-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3dプリンタ出力用データの著作権保護方法および保護システム
KR101595766B1 (ko) * 2013-10-28 2016-02-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정품 인증용 라벨 및 그 라벨을 이용한 인증방법
KR101692978B1 (ko) * 2015-04-09 2017-01-04 민치훈 향기제품을 구현하는 3d 프린터
KR20160130036A (ko) 2015-04-30 2016-11-10 (주)링스텔레콤 복제방지코드의 제조 방법 및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17909A (zh) * 2017-06-22 2019-01-01 杭州沃朴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量随机气泡的三维防伪标签
CN109117909B (zh) * 2017-06-22 2024-03-01 杭州沃朴物联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微量随机气泡的三维防伪标签
WO2020085859A1 (ko) 2018-10-26 2020-04-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기능성 분리막,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KR102128767B1 (ko) * 2020-01-02 2020-07-01 이승현 선택적 단차와 밀도를 구비한 소프트 연질 적층 시트지 시스템
KR102232579B1 (ko) * 2020-09-07 2021-03-25 이승현 선택적 물리적 라인의 형성을 통한 선택적 표면 적층 시스템
WO2022233458A1 (de) 2021-05-04 2022-11-10 Armin Khadjavi 3d-c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357B1 (ko) 2019-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357B1 (ko) 복제방지용 3d코드 프린팅장치
CN102039726B (zh) 印刷装置和印刷方法
CN108369904B (zh) 用于结合cmp工艺的追踪数据与3d打印的cmp耗材的技术
CN107073812B (zh) 用于生产硅酮弹性体部件的方法
CN107921789B (zh) 直接打印机和使用直接打印对容器进行打印的方法
CN103722887B (zh) 打印装置以及打印装置的维护方法
CN101804753B (zh) 液体排出方法和液体排出装置
CN104908419B (zh) 喷墨打印机
CN107683209B (zh) 液体排出设备、压印设备和制造组件的方法
ES2384465T3 (es) Aparato numérico de chorros, para la aplicación de un recubrimiento sobre un sustrato
WO2002053388A1 (en) Multiple resolution fluid applicator and method
JP7254905B2 (ja) 層状の材料被着により3次元の成形物を製造する方法
JP2022103275A (ja) 光学基板をコーティングするためのコーティングシステム、その方法、およびコーティングされた光学基板
KR101938233B1 (ko) 컬러 3d 프린터의 출력 헤드
CN1342116A (zh) 用于卡片型存储介质的图形打印机,用于所述存储介质的图形打印方法和存储介质
US20170274586A1 (en) Three-dimensional object forming device and three-dimensional object forming method
CN102886986B (zh) 喷嘴面清洁装置及液滴喷出装置
CN104608491A (zh) 液体喷射装置
CN106414091A (zh) 一种紫外线喷墨打印机
US20220227055A1 (en) Waste disposal for additive manufacture
US11938682B2 (en) Method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shaped object by means of layer-by-layer material application
CN102729625B (zh) 液体喷出装置以及液体喷出方法
JP2019008283A (ja) 光導波路上に印刷された画像の画像特定照明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008285A (ja) 光導波路上に印刷された画像の画像特定照明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2335574A (zh) 凝胶制造装置以及凝胶制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