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843A - 스크롤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롤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843A
KR20180127843A KR1020170063114A KR20170063114A KR20180127843A KR 20180127843 A KR20180127843 A KR 20180127843A KR 1020170063114 A KR1020170063114 A KR 1020170063114A KR 20170063114 A KR20170063114 A KR 20170063114A KR 20180127843 A KR20180127843 A KR 2018012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space
frame
casing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8397B1 (ko
Inventor
이재상
성상훈
유병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6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839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8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83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3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both members are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2Lubrication; Lubricant separation
    • F04C29/028Means for improving or restricting lubricant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04C29/124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with inlet and outlet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rotary or oscillating piston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1 공간을 두고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서 제2 공간을 두고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3 공간을 두고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간에서 회전하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에 맞물려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에서 상기 제1 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일단은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 및 상기 토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부재;를 포함된다.

Description

스크롤 압축기{SCROLL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쪽 스크롤이 상호 회전하는 스크롤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크롤 압축기는 두 개의 스크롤이 서로 맞물려 결합되고, 두 개의 스크롤이 맞물린 상태에서 상대 선회 운동을 하면서 압축실을 형성한다.
압축실은 두 스크롤의 랩(wrap)의 형상에 의해 형성되며, 랩의 바깥쪽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체적이 감소된다. 따라서, 유체는 랩의 바깥쪽에서 유입되어 중심부에서 압축된 상태로 토출된다.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 원리상 두 개 한 쌍의 스크롤이 사용되는데, 전통적인 스크롤 압축기는 하나의 스크롤이 고정되고 다른 하나의 스크롤이 자전은 하지 않으면서 선회 운동을 하여 유체를 압축하는 선회형 스크롤 압축기이다.
선회형 스크롤 압축기는 고정 스크롤에 대해 선회 스크롤이 자전하지 않으면서도 선회하도록 동작해야 하는데, 그 원리상 선회 스크롤의 무게 중심이 선회의 중심으로부터 편심될 수밖에 없어 회전 속도가 빨라질수록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는 원심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진동이 거세지기 때문에 고속 운전에는 부적합한 구조이다.
반면,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구동스크롤(driving scroll)과 종동스크롤(driven scroll)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되, 서로 회전축이 어긋나 위치하는 각자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자전할 뿐 선회 운동을 하지는 않는 구조이다. 따라서,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그 원리상 선회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편심에 따른 원심력 문제는 발생하지 않아 고속 운전에 적합한 구조이다.
이러한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의 일례로 유럽 등록특허[등록번호: EP1719912(2006-11-08)]인 '회전식 스크롤 압축기(rotating scroll compressor)'가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구동 스크롤과 종동 스크롤이 서로 회전을 하기 때문에 원심력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선회형 스크롤 압축기에 비해 진동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압축실의 실링측면에서는 불리하다.
통상,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냉매가 압축되면서 가스반발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 가스반발력에 의해 압축실을 이루는 랩 사이가 벌어지면서 원주방향으로 이웃하는 압축실 사이가 서로 연통될 수 있다. 그러면 상대적으로 높은 압력을 가지는 압축실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가 상대적으로 낮은 압력을 가지는 압축실로 누설되는 소위 반경방향 누설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선회형 스크롤 압축기에서는 진동측면에서는 다소 불리하더라도 원심력을 이용하여 선회 스크롤이 고정 스크롤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압축실의 밀봉력을 유지시키고 있다.
반면,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도 1과 같이 구동스크롤(1)과 종동스크롤(2)이 각각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보스부(1a)(2a)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구동 스크롤의 회전중심(O1)과 종동스크롤(2)의 회전중심(O2) 사이의 편심거리(ε)가 일정하게 유지되어, 두 스크롤(1)(2) 사이에는 원심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두 스크롤(1)(2)의 반경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의 불균형이 감쇄되어, 선회형 스크롤 압축기에 비해 압축기의 진동은 크게 낮아질 수 있다. 하지만, 압축실에서 냉매가 압축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반발력을 눌러 제거시키지 못하면서 양쪽 스크롤(1)(2)의 랩(1b)(2b)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고압측 압축실의 냉매가 저압측 압축실을 향해 반경방향으로 누설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여 압축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양쪽 스크롤(1)(2)이 모두 각자의 회전중심인 보스부(1a)(2a)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므로, 구동 스크롤(1)과 종동 스크롤(2)을 각각 양단 지지하기가 구조적으로 곤란하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구동 스크롤(1)과 맞물린 종동 스크롤(2)의 배면에 배압 플레이트(3)를 배치하고, 이 배압 플레이트(3)를 구동 스크롤(1)과 결합한 후, 이 배압 플레이트(3)를 반경방향 지지함으로써 구동 스크롤(1)을 양단 지지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선행문헌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종동 스크롤(2)의 보스부(2a)의 내부에 구비된 토출구멍(2c)을 통해 케이싱(4)의 내부공간(4a)으로 토출되는 것이나, 토출구멍(2c)에 별도의 체크밸브가 구비되지 않아 설계 이상의 압력비 운전 조건에서는 케이싱(4)의 내부공간(4a)으로 토출된 냉매가 토출관(5)을 통해 외부로 완전히 토출되지 않고 압축실(V)로 역류하여 압축손실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압축부에서 압축된 냉매가 종동 스크롤(2)의 보스부(2a)의 내부에 구비된 토출구멍(2c)을 통해 케이싱(4)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것이나, 이 냉매에 섞인 오일이 토출되는 냉매와 함께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압축기의 내부에는 오일부족이 발생할 수 있었다. 이를 감안하여 종래에는 보스부(2c)의 상측에 오일분리판(미도시)을 설치할 수 있으나, 이는 별도의 오일분리판을 설치하는데 따라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종래의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오일을 저장하는 공간이 저압부를 이룸에 따라 별도의 회수 장치가 없으면 고압부로 토출된 오일을 저압부로 회수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통상 용적식 또는 원심식 오일펌프를 사용함에 따라 고속운전시에는 오일이 과도하게 펌핑되어 다량의 오일이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되면서 압축기 내부에서는 오일부족이 야기되는 반면 저속운전시에는 펌핑력이 약해 오일이 압축부까지 펌핑되지 못하면서 습동부에서의 오일부족으로 인한 마찰손실이나 마모가 발생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유럽 등록번호: EP1719912(2006-11-08)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가 그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여 압축손실을 방지할 수 있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오일이 압축기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오일펌프 없이도 케이싱에 저장된 오일을 습동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밀봉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1 공간을 두고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서 제2 공간을 두고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3 공간을 두고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간에서 회전하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에 맞물려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에서 상기 제1 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일단은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 및 상기 토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스크롤에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보스부와 회전축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압축실에 연통되는 토출구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 또는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부재가 수용되는 밸브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수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보스부 또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며,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제1 토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토출구멍은 상기 제2 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밸브수용홈의 일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토출안내구멍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내주면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향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제2 토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토출구멍은 상기 제1 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단부는 막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단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내경은 상기 제2 토출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압축실에 가까운 쪽이 먼 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과 밸브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부재를 탄력 지지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압력으로 지지하도록 가압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단은 상기 제3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압축실에 연통되는 급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통로의 타단은 상기 제3 공간보다 압력이 낮은 압축실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유통로의 중간에는 내경이 감소하는 감압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상기 압축공간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리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상기 압축공간이 상호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회전축 또는 그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1 스크롤의 사이에는 제1 분리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과 이에 축방향으로 접하는 부재 사이에는 제2 분리부재가, 상기 제2 프레임과 이에 접하는 축방향으로 부재 사이에는 제3 분리부재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 분리부재는 그 일측면에 오일이 담기도록 윤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스크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돌부를 구비한 베어링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힌지돌부의 축방향 중심인 제3 중심은 상기 보스 수용부의 축방향 중심인 제2 중심에 대해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중심과 제3 중심은 상기 제1 스크롤의 축방향 중심인 제1 중심에 대해 각각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중심과 제3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제1 가상선이라고 하고, 상기 제1 가상선에 직교하며 상기 제1 중심을 지나는 선을 제2 가상선이라고 할 때, 상기 제3 중심은, 상기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중심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가상선과 제2 가상선에 대해 각각 일정 간격만큼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중심에서 제1 중심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가 상기 제3 중심에서 제2 중심까지의 거리인 제2 거리보다 짧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스크롤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롤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축방향 일단은 상기 제1 스크롤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축방향 타단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롤의 축방향 양단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축방향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돌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스크롤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롤의 배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크롤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억제하는 자전방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냉매가 압축실에서 토출공간으로 토출되는 토출유로에 체크밸브를 설치하여, 토출공간으로 토출된 냉매가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여 압축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압축실에서 토출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일이 냉매와 함께 압축기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의 내부가 오일부족으로 인해 마찰손실 또는 마모가 증가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케이싱의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차이를 이용하여 오일을 공급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오일펌프 없이도 케이싱에 저장된 오일을 습동부로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조비용을 낮추고 압축기의 운전 속도에 관계 없이 급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압축부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압축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체크밸브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체크밸브에 대한 또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회전축과 보스부의 결합구조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
도 8은 도 2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베어링 하우징을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토출구멍에 대한 다른 실시예가 적용된 회전축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도 9에서, 체크밸브와 제2 토출구멍을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
도 12는 도 2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에서, 급유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보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압축부를 확대하여 보인 종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압축부를 분해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이하,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로 약칭함)는, 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구동모터를 이루며 회전력을 발생하는 전동부(20)가 설치되고, 전동부(20)의 하측에는 그 전동부(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부(30)가 전동부(20)와의 사이에 중간공간(10a)을 두고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부(20)의 상측에는 일종의 토출공간을 이루는 상측공간(10b)이 형성되고, 압축부(30)의 하측에는 일종의 저유공간을 이루는 하측공간(10c)이 형성된다. 물론, 경우에 따라서는 압축부(30)가 전동부(20)의 상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케이싱(10)은 원통 쉘(11)과, 원통 쉘(11)의 상단과 하단을 덮어 함께 밀폐용기를 이루는 상부 쉘(12) 및 하부 쉘(13)로 이루어진다. 상부 쉘(12)은 상측공간을 형성하고, 하부 쉘(13)은 하측공간(10c)을 형성한다.
원통 쉘(11)은 측면으로 냉매 흡입관(15)이 관통하여 압축부(30)의 흡입실(30a)에 직접 연통되고, 상부 쉘(12)의 상부에는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과 연통되는 냉매 토출관(16)이 설치될 수 있다. 냉매 흡입관(15)은 냉매가 냉동사이클의 증발기에서 케이싱(10)의 압축공간(정확하게는 압축부의 흡입실)(30a)으로 안내하는 통로에 해당하며, 냉매 토출관(16)은 압축부(30)에서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으로 토출되는 압축된 냉매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에 해당된다.
원통 쉘(11)의 상반부에는 전동부(20)를 이루는 고정자(21)가 고정 설치되고, 고정자(21)의 내부에는 그 고정자(21)와 함께 전동부(20)를 이루며 고정자(21)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자(2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고정자(21)는 그 내주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 개의 슬롯(미부호)이 형성되어 코일(25)이 권선되며, 그 외주면에는 디컷(D-cut) 모양으로 절단되어 원통 쉘(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오일이 통과하도록 오일회수통로(211)가 형성될 수 있다.
회전자(22)는 고정자(21)와 같이 다수 장의 얇은 철판이 축방향으로 적층되어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에는 회전축(23)이 압입되어 고정 결합된다.
회전축(23)은 속이 찬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단에는 후술할 제1 보스부(333)가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보스결합홈(231)이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된다. 보스결합홈(231)의 내주면은 후술할 제1 보스부(333)의 제2 체결면부(333a)와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제1 체결면부(231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결면부(231a)는 제2 체결면부(333a)와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통상 원주면이 디컷면 또는 각진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회전축(23)의 보스결합홈(231) 단부에는 토출유로의 일부를 이루며 체크밸브(26)가 수용되는 밸브수용홈(232)이 형성된다. 밸브수용홈(232)은 그 내경이 보스결합홈(231)의 내경보다 작거나 또는 같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밸브수용홈(232)의 내경은 후술할 제1 보스부(333)의 토출구(335) 내경보다는 크게 형성되는 것이 체크밸브(26)의 닫힘동작을 제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회전축(23)의 밸브수용홈(232)에는 그 내주면에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토출구멍(233)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운전이 정지되어 체크밸브(26)가 토출구(335)를 차단하게 되면 토출구(335)와 토출구멍(233) 사이가 차단되어 압축기 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었던 냉매가 압축실(V)로 역류하는 것이 차단된다.
한편, 체크밸브(26)는 피스톤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컵 단면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외에도, 체크밸브(26)는 판형 밸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리드 밸브 형상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과 같이 체크밸브(26)가 피스톤 밸브로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체크밸브(26)의 배면에 별도의 탄성부재를 구비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압축기의 정지시 체크밸브(26)는 자체 무게에 의해 하강하여 실링면(261)이 제1 보스부(333)의 토출구(335)를 차단하게 된다. 다만, 압축기의 정지시 체크밸브(26)가 원활하게 하강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도 5a와 같이 체크밸브(26)의 배면(262)에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탄성부재(또는, 밸브스프링)(27)가 더 구비되거나 또는 도 5b와 같이 회전축(23)에 가압구멍(23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가압구멍(234)은 체크밸브(26)의 배면(262)에 위치하는 밸브수용홈(232)의 상단면에서 회전축(23)의 상단까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고, 밸브수용홈(232)의 상단에서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편의상, 도 5b에서는 가압구멍이 밸브수용홈에서 회전축의 회주면으로 관통된 예를 도시하였다.
반면, 도 6과 같이 체크밸브(26)가 컵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체크밸브(26)의 배면(262)에 압축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부재(27)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즉, 체크밸브(26)는 압축기의 정지시 신속하게 하강하여 토출구를 차단하여야 하지만, 체크밸브(26)가 컵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체크밸브(26)의 무게가 작아 닫힘시간이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탄성부재(27)가 더 구비되거나 또는 가압구멍(23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회전축(23)은 도 7과 같이, 제1 보스부(333)의 상단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보스부(333)의 상단에 결합돌부(336)가, 회전축(23)의 하단에 결합홈부(235)가 각각 형성되고, 결합돌부(336)와 결합홈부(235)의 원주면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체결면부와 제2 체결면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도, 회전축(23)의 결합홈부(235)에는 밸브수용홈(232)이 형성되고, 밸브수용홈(232)의 내주면에서 회전축(23)의 외주면으로는 토출구멍(233)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밸브수용홈(232) 및 체크밸브(26)에 대해서는 앞서 도 3 내지 도 6에서 보인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고정자(21)의 하측에는 그 고정자(21)의 하단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메인 프레임(이하, 제1 프레임)(31)이 구비된다. 제1 프레임(31)은 압축부(30)를 이루며 원통 쉘(11)의 내주면에 열박음되거나 용접되어 고정 결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31)은 원판부(311)와 환형벽부(312)로 이루어진다.
원판부(311)의 중앙부분에는 후술할 제1 보스부(333) 또는 회전축(23)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축수부(313)가 형성되고, 축수부(313)의 내주면에는 제1 베어링을 이루는 제1 구동베어링(313a)이 설치된다. 제1 구동베어링(313a)은 부시베어링 또는 엥귤러와 같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형벽부(312)는 도 3과 같이 원통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환형벽부(312)는 한 개의 원통 모양 외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31)의 하측에는 축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브 프레임(이하, 제2 프레임)(32)이 설치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2 프레임(32)은 제1 프레임(31)과 같이 원통 쉘(11)의 내주면에 열박음되거나 용접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프레임(32)은 제1 프레임(31)의 환형벽부(312)에 볼트로 체결되어 고정될 수도 있고, 반대로 제2 프레임(32)이 원통 쉘(11)에 고정되고 제1 프레임(31)의 환형벽부(312)가 제2 프레임(32)에 볼트로 체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의 사이는 환형벽부(312)의 높이만큼 이격되어 흡입실을 포함하는 압축공간(30a)을 형성한다.
제2 프레임(32)의 중앙부분에는 후술할 베어링 하우징(37)의 힌지돌부(375)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홈(321)이 형성된다. 힌지홈(321)은 경우에 따라서는 힌지구멍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하에서는 편의상 힌지홈으로 통칭한다.
도 3과 같이, 힌지홈(321)의 중심(이하, 종동베어링의 중심, 힌지돌부의 중심, 제3 중심과 혼용함)(O3)은 축수부(313)의 중심(이하, 제1 구동베어링의 중심, 제2 베어링의 중심, 제1 중심과 혼용함)(O1)과 동축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하지만, 힌지홈의 중심(O3)은 축수부의 중심에 대해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되는 것이 가스반발력에 대해 랩간 밀봉력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한편, 제1 프레임(31)에는 회전축(23)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구동 스크롤(3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프레임(32)에는 구동 스크롤(33)에 맞물려 그 구동 스크롤(33)에 의해 회전하는 종동 스크롤(3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1 프레임(31)과 제2 프레임(32)의 사이에는 구동 스크롤(33)과 그 구동 스크롤(33)과의 사이에 두 개 한 쌍의 압축실(V)을 형성하는 종동 스크롤(34)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구동 스크롤을 제1 스크롤로, 종동 스크롤을 제2 스크롤로 약칭한다. 그리고 제1 스크롤에 관련된 부분에는 제1 이라고 명명하고, 제2 스크롤에 관련된 부분에는 제2 라고 명명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1 스크롤(33)은 제1 경판부(331)가 대략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제1 경판부(331)의 하면에는 후술할 제2 랩(342)과 맞물려 압축실(V)을 이루는 제1 랩(332)이 형성되며, 제1 경판부(331)의 상면 중앙에는 제1 프레임(31)의 축수부(31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보스부(333)가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1 보스부(333)에는 후술할 토출구(335)가 관통 형성되고, 토출구(335)는 회전축(23)의 보스결합홈(231)에서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구비되는 토출구멍(233)에 연통된다.
제1 랩(332)은 랩두께가 동일한 인벌류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토출측 랩두께가 일정한 정형적으로 가변되는 대수나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랩두께가 비정형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경판부(331)의 가장자리에는 흡입구(334)가 형성되고, 제1 경판부(331)의 중앙부에는 압축된 냉매를 토출하는 토출구(335)가 형성된다. 흡입구(334)는 제1 랩(332)의 외곽단이 반경방향으로 이웃하는 제1 랩(332)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자연스럽게 흡입구를 형성하게 된다. 토출구(335)는 제1 경판부(33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토출구(335)는 토출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보스부(333)를 관통하여 회전축(23)의 토출구멍(233)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통상적일 수 있다.
제1 경판부(331)의 가장자리 하면에는 제2 스크롤(34)을 지지하는 배압 플레이트(35)가 결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스크롤(33)과 배압 플레이트(35)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에 제2 스크롤(34)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배압 플레이트(35)는 제1 경판부(331)에 고정되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부(351)와, 프레임부(351)에 구비되어 제2 스크롤(34)의 하면을 지지하는 플레이트부(35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프레임부(351)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고, 복수 개의 프레임부(351)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되어 그 프레임부(351)의 사이가 일종의 흡입통로(351a)를 형성하게 된다.
또, 프레임부(351)의 상단은 한 개의 환형링(352)으로 연결되고, 환형링(352)은 제1 경판부(331)의 하면에 볼트로 체결된다. 이로써 제1 스크롤(33)은 배압 플레이트(35)와 일체로 결합되어 함께 회전을 하게 된다.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플레이트부(355)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앙부에는 후술할 베어링 하우징(37)이 삽입되어, 그 베어링 하우징(37)에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는 베어링돌부(356)가 형성된다. 베어링돌부(356)은 플레이트부(355)의 하면에서 제2 프레임(32)을 향해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다. 하지만, 플레이트부(355)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베어링돌부(356)는 축수부(313)와 같이 홈 또는 구멍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베어링돌부(356)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베어링 하우징(37)의 외주면과의 사이를 지지하며 제2 베어링을 이루는 제2 구동베어링(356a)이 설치될 수 있다. 제2 구동베어링(356a)은 제1 구동베어링(313a)과 같이 부시베어링 또는 엥귤러와 같은 볼 베어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 도 3에서와 같이, 플레이트부(355)의 상면에는 후술할 제2 경판부(341)의 하면이 축방향으로 지지되도록 스러스트면(357)이 형성된다. 스러스트면(357)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환형으로 형성되고, 반경방향을 따라 내측 스러스트면(357a)과 외측 스러스트면(357b)이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그리고 내측 스러스트면(357a)과 외측 스러스트면(357b)에는 각각 소정의 깊이를 가지며 환형으로 된 실링홈(357c)(357c)이 각각 형성된다. 복수 개의 실링홈(357c)에는 각각 제2 경판부(341)의 하면(배면)에 밀착되는 배압실용 실링부재(이하, 실링부재로 약칭함)(358a)(358b)가 삽입된다. 이로써, 내측 스러스트면(357a)과 외측 스러스트면(357b)의 사이, 정확하게는, 양쪽 실링부재(358)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고, 이 공간은 압축실(V)의 중간압실(Vm)과 연통되어 배압실(S)이 형성된다.
여기서, 베어링돌부(356)의 내주면이 후술할 베어링 하우징(37)의 하우징부(371) 외주면과 대면되도록 삽입됨에 따라, 그 베어링돌부(356)와 후술할 제2 보스부(343) 사이의 간격(G)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어링돌부(356)의 내경(D2)을 줄일 수 있어 그만큼 실링부재(358)의 직경(D3)이 작아져 실링부재(358)의 상면과 제2 스크롤(34)의 하면 사이의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 배압실(S)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자전방지기구인 핀링유닛(36)이 설치된다. 핀링유닛(36)은 플레이트부(355)의 상면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링(361)과, 플레이트부(355)에 대응하는 제2 경판부(341)의 하면에 장착되어 각각의 링(361)에 삽입되는 복수 개의 핀(362)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플레이트부(355)의 상면에는 링(361)이 삽입되도록 링홈(355a)이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물론, 플레이트부에 핀이 결합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링이 제2 경판부의 하면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조립공정상 곤란할 수 있다. 이처럼, 배압실(S)에 자전방지기구인 핀링유닛(36)을 설치하게 되면 자전방지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어 그만큼 압축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그리고 자전방지기구가 제2 스크롤(34)의 배면에 설치됨에 따라 흡입통로(351a)를 가로막지 않아 흡입손실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제2 스크롤(34)은 제2 경판부(341)가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제2 경판부(341)의 상면에는 제1 랩(332)과 맞물려 압축실(V)을 형성하는 제2 랩(342)이 형성되며, 제2 경판부(342)의 하면 중앙부에는 베어링 하우징(37)에 결합되어 제2 프레임(3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보스부(343)가 형성된다.
제2 경판부(341)는 배압 플레이트(35)의 플레이트부(355)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것으로, 그 외경은 배압 플레이트(35)의 프레임부(351)가 이루는 내경보다는 작게 형성된다. 이로써, 제2 스크롤(34)은 제1 스크롤(33)과 독립적으로 회전운동을 할 수 있으며, 제1 스크롤(33)에 대해 상대 선회운동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경판부(341)의 중앙부에는 압축실(V)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일부가 배압실(S)로 바이패스되도록 배압구멍(341a)이 축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로써, 중간압실(Vm)에서 중간압의 냉매가 배압실(S)로 유입되어 배압실(S)의 압력을 중간압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제2 랩(342)은 제1 랩(332)과 마찬가지로 인벌류트 형상이나 대수나선 또는 비정형적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로써, 제2 랩(342)은 제1 랩(332)과 맞물려 2개 한 쌍의 압축실(V1)(V2)을 형성할 수 있다.
압축실(V)은 제1 경판부(331), 제1 랩(332), 제2 랩(342) 그리고 제2 경판부(341) 사이에 형성되며, 랩의 진행방향을 따라 흡입실(Vs), 중간압실(Vm), 토출실(Vd)이 연속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압축실(V)은 제1 랩(332)의 내측면과 제2 랩(342)의 외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압축실(V1)과, 제1 랩(332)의 외측면과 제2 랩(342)의 내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압축실(V2)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제2 보스부(343)는 제2 경판부(341)의 하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2 보스부(343)의 중심(이하, 종동베어링의 중심, 제2 중심으로 혼용함)(O2)은 제1 보스부(313)의 중심(이하, 제1 중심)(O1)에 대해 편심거리(ε1)만큼 오프셋되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스크롤(33)의 회전시 제1 랩(332)에 제2 랩(342)이 접촉되면서 제1 스크롤(33)의 회전력을 제2 스크롤(34)이 전달받게 되고, 제2 스크롤(34)이 제1 스크롤(33)에 의해 회전을 하면서 제1 랩(332)과 제2 랩(342) 사이에 압축실(V)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제2 보스부(343)의 하면은 후술할 베어링 하우징(37)에 지지되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베어링 하우징(37)은 제2 프레임(32)에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스크롤(34)은 베어링 하우징(37)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제1 스크롤(33)은 제2 스크롤(34)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스크롤(34)은 베어링 하우징(37)과 배압 플레이트(35)에 축방향으로 지지되고, 제1 스크롤(33)은 제2 스크롤(34)에 축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제2 프레임(32)의 중앙부 상면에는 힌지홈(321)이 형성되고, 힌지홈(321)에는 베어링 하우징(37)의 힌지돌부(375)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힌지홈(321)의 중심(O3)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구동베어링(313a)의 중심(이는 축수부의 중심과 동일하다)(O1)과 평면상에서 동심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편심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힌지홈(321)의 내주면과 힌지돌부(375)의 외주면 사이에는 베어링 하우징(37)에 결합되는 제2 스크롤(34)이 제1 스크롤(33)과 맞물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힌지돌부(375)가 힌지홈(321)에서 자유롭게 회전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스크롤(34)이 제1 스크롤(33)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제1 스크롤(33)과 제2 스크롤(34)의 회전 중심이 서로 다른 축 선상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힌지돌부(375)가 힌지홈(321)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없게 된다.
도 8에서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37)은 제2 스크롤(34)가 결합되는 하우징부(371)와, 제2 프레임(35)에 결합되는 힌지돌부(375)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우징부(371)의 상면에는 제2 보스부(343)가 삽입되는 보스수용홈(372)이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되고, 보스수용홈(372)의 내주면에는 제2 보스부(343)의 외주면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며 제3 베어링을 이루는 종동베어링(372a)이 구비된다. 종동베어링(372a)은 제2 보스부(343)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보스수용홈(372)은 그 중심(제2 중심)( O2)이 하우징부(371)의 중심(제1 중심)(O1)에 대해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종동베어링(372a)의 중심(O2)은 제1 구동베어링(313a)의 중심(제1 중심)(O1)에 대해 소정의 편심거리(ε1)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또, 하우징부(371)는 그 외주면에 배압 플레이트(35)의 베어링돌부(356)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하우징부(371)의 외주면과 베어링돌부(356)의 내주면 사이에는 제2 구동베어링(356a)이 구비되어 배압 플레이트(즉, 제1 스크롤)(35)가 베어링 하우징(37)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한편, 힌지돌부(375)는 하우징부(371)의 하면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연장 돌출된다.
힌지돌부(375)의 외경(D4)은 하우징부(371)의 외경(D5)보다 작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부(371)의 하면은 제2 프레임(32)의 힌지홈(321) 주변의 프레임측 스러스면(32a)에 접하여 하우징측 스러스트면(371a)을 이루면서 프레임측 스러스트면(32a)과 함께 스러스트 베어링면을 형성할 수 있다.
하지만, 제2 프레임(32)의 힌지홈(321)이 막힌 구조를 형성하여 그 바닥면(321a)에 힌지돌부(375)의 하면(375b)이 스러스트 베어링면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하우징부(371)의 하면은 제2 프레임(32)의 상면에서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마찰손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스러스트 베어링면의 면적이 감소되어 그만큼 마찰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힌지돌부(375)는 제1 랩(332)과 제2 랩(342)이 접촉되는 시점에서 하우징부의 중심(O1)과 제1 구동베어링의 중심(O1)이 서로 일치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랩간 과도한 밀착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힌지돌부(375)는 그 중심(제3 중심)(O3)이 하우징부(371)의 중심(O1)에 대해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힌지돌부(375)의 축방향 중심인 제3 중심(O3)은 보스수용홈(372)의 축방향 중심인 제2 중심(O2)에 대해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되고, 제2 중심(O2)과 제3 중심(O3)은 제1 스크롤(33)의 축방향 중심인 제1 중심(O1)에 대해 각각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된다.
즉, 힌지돌부(375)는 하우징부(371)에 대해서도 편심지는 동시에 보스수용홈(372)에 대해서도 편심지는 위치에 형성되고, 보스수용홈(372)이 하우징부(371)에 대해 편심지는 방향에 대해서도 편심지게 형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F는 오일회수유로이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즉, 전동부(20)에 전원이 인가되면, 회전자(22)에 회전력이 발생되어 회전하게 되고, 회전자(22)가 회전하면 그 회전자(22)에 결합된 회전축(23)이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회전축(23)에 결합된 제1 보스부(333)가 회전력을 전달받아 제1 스크롤(33)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제1 스크롤(33)은 그 제1 보스부(333)가 축수부(313)에 구비된 제1 구동베어링(313a)에 의해 상단이 지지되는 동시에, 제1 스크롤(33)에 결합된 배압 플레이트(35)의 베어링돌부(356)가 베어링 하우징(37)과의 사이에 구비된 제2 구동베어링(356a)에 의해 하단 지지된다. 이에 따라, 제1 스크롤(33)은 제1 랩(332)을 중심으로 상단과 하단이 각각 반경방향으로 지지되어, 제1 스크롤(33)의 전복을 억제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1 스크롤(33)이 축중심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여, 제1 랩(332)과 제2 경판부(341)의 사이 또는 제1 경판부(331)와 제2 랩(342)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실에서의 축방향 누설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스크롤(332)이 회전하면서 그 제1 스크롤(33)에 맞물린 제2 스크롤(34)의 제2 랩(342)에 회전력을 전달하게 되고, 그러면 제2 스크롤(34)은 제2 보스부(343)를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제1 랩(332)과 제2 랩(342) 사이에 2개 한 쌍의 압축실(V1)(V2)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제2 스크롤(34)은 제2 보스부(343)가 베어링 하우징(37)에 의해 제1 보스부(333)와 편심되게 위치하는 동시에, 베어링 하우징(37)의 중심인 힌지돌부(375) 역시 제1 보스부(333)와 제2 보스부(343)에 대해 각각 편심지게 위치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구동베어링(313a)과 종동베어링(372a) 사이의 편심거리(ε1)는 가스반발력에 대해 가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가 운전할 때 제2 스크롤(34)에 발생하는 가스반발력이 밀봉력으로 전환되어 반경방향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면, 제1 압축실(V1)과 제2 압축실(V2)에서 압축되는 냉매는 토출유로를 이루는 제1 스크롤(33)의 토출구(335)로 안내되고, 이 토출구(335)로 안내되는 냉매는 체크밸브(26)를 밀어 회전축(23)의 토출구멍(233)이 개방되도록 한다.
그러면, 냉매는 토출구멍(233)을 통해 케이싱(10)의 내부공간 중에서 구동모터(20)와 제1 프레임(31) 사이의 중간공간(10a)으로 토출되고, 이 냉매는 고정자(21)와 회전자(22) 사이의 공극 및 고정자(21)의 슬롯을 통해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으로 이동한 후, 토출관(16)을 통해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토출구멍(233)이 회전축(23)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관통 형성됨에 따라, 그 토출구멍(233)을 통해 케이싱(10)의 중간공간(10a)으로 토출되는 냉매는 원심력을 받게 되고, 이 원심력에 의해 냉매에 섞여 있던 오일입자들이 활발하게 충돌을 하면서 큰 오일입자를 형성하게 된다. 이 오일입자는 제1 프레임(31)의 상면으로 흘러내렸다가 압축부(30)의 외주면과 케이싱(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오일회수통로(F1)를 통해 케이싱(10)의 하측공간(10c)으로 회수된다.
아울러,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으로 이동하는 냉매 역시 회전자(22)의 회전에 의해 원심력을 받아 상측공간(10b)에서 오일이 냉매로부터 분리되고, 이 분리된 오일은 고정자(21)의 외주면과 케이싱(10)의 내주면 사이에 형성된 통로(211)를 통해 하향 이동하면서 오일회수통로(F1)를 통해 케이싱(10)의 하측공간(10c)으로 회수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한다.
여기서, 회전축(23)의 토출구멍(233)은 축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와 같이 회전축(23)의 내부에는 제1 보스부(333)의 토출구(335)와 연통되는 제1 토출안내구멍(236a) 및 제2 토출안내구멍(236b)이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고, 구동모터(20)와 제1 프레임(31)의 사이에는 제1 토출구멍(233)이, 구동모터(20)의 상측에서는 제2 토출구멍(237)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토출안내구멍(236a)(236b)은 회전축(23)의 상단까지 관통 형성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 토출안내구멍(236b)은 막아 냉매가 제1 토출구멍(233)과 제2 토출구멍(237)을 통해 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토출구멍(233)의 주변에는 체크밸브(26)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토출구멍(237)에는 체크밸브가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압축기의 정지시 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냉매가 제1 토출구멍(233)과 제2 토출구멍(237) 그리고 토출안내구멍(236a)(236b)과 제1 보스부(333)의 토출구(335)를 통해 압축실(V)로 역류하려고 할 때, 제1 토출구멍(233)의 주변에 구비된 체크밸브(26)가 역류하는 냉매에 의해 닫히면서 케이싱(10)의 냉매가 압축실(V)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1 토출구멍(233)의 주변에 밸브수용홈(232)이 형성되어 체크밸브(26)가 설치되고, 밸브수용홈(232)에 제1 토출안내구멍(236a)이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압축기의 정지시 케이싱(10)의 냉매가 제2 토출구멍(237)과 제1 토출안내구멍(236a)으로 유입되어 체크밸브(26)를 닫힘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므로, 체크밸브(26)가 신속하게 닫혀 냉매가 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서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더욱 신속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체크밸브(26)는 피스톤 밸브, 컵형 밸브, 판형 밸브 또는 리드 밸브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체크밸브(26)는 그 체크밸브(26)가 열렸을 때 제1 토출구멍(233)을 통해 토출되고 남은 냉매가 토출안내구멍(236a)(236b)을 통해 회전축의 상단을 향해 이동할 수 있는 밸브 형상이면 족하다.
도 10은 컵형 밸브의 일례가 밸브수용홈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체크밸브(26)는 원통 형상으로 된 고정부(265)와, 그 고정부(265)의 하단에 리드 밸브와 같은 역할을 하도록 원판 모양으로 된 개폐부(266)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부(265)는 개폐부(266)를 통과한 냉매가 제1 토출구멍(233)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상단에 절개부(265a)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265a)들 사이에는 지지부(265b)가 형성되며, 이 지지부(265b)는 제1 토출구멍(233)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265b)는 제1 토출구멍(233)과 겹치더라도 그 제1 토출구멍(233)을 차단하지 않게 된다. 이로써, 압축실(V)에서 토출되는 냉매는 제1 보스부(333)의 토출구(335)를 통해 체크밸브(26)의 개폐부(266)를 밀어 개방시키고, 이 냉매는 제1 토출구멍(233)에서 1차 토출되면서 냉매로부터 오일이 분리된다.
그리고, 제1 토출구멍(233)으로 토출되지 않고 남은 냉매는 토출안내구멍(236a)(236b)을 따라 축 상단부까지 이동한 후, 제2 토출구멍(237)을 통해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으로 토출되면서 냉매로부터 오일이 2차 분리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에 토출구멍과 토출안내구멍으로 된 토출유로가 형성되는 경우, 그 토출유로가 회전축의 상단까지 관통되어 형성되는지 여부에 따라 토출유로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와 같이 토출유로가 제1 보스부(333)의 토출구(335)와 그 토출구(335)에 연통되어 회전축(23)의 하단에서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는 토출구멍(233)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냉매가 회전축(23)의 하단에 구비된 밸브수용홈(232)에 충돌하면서 냉매의 유동방향이 바뀌게 되고, 이로 인해 냉매에서 오일이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하지만, 도 9와 같이 토출유로가 회전축(23)의 상단까지 관통되는 경우에는 냉매의 유동방향이 바뀌지 않게 되므로, 토출유로에서 냉매와 오일의 분리효과가 낮을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토출유로의 중간에 제1 토출구멍(233)과 제2 토출구멍(237)이 형성됨에 따라, 냉매가 제1 토출구멍(233)과 제2 토출구멍(237)을 통해 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과정에서 냉매의 유동방향이 바뀌면서 냉매와 오일의 분리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토출구멍(233)과 제2 토출구멍(237)으로 토출되지 않고 토출안내구멍(236a)(236b)을 통해 회전축(23)의 상단에서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으로 토출되는 냉매는 냉매의 유동방향이 크게 변하지 않아 냉매와 오일의 분리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도 11과 같이 토출안내구멍(236a)(236b)의 중간에 회전축(23)의 상단으로 이동하는 냉매가 충돌하면서 냉매로부터 오일이 분리될 수 있도록 유분리면(236c)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유분리면(236c)은 제1 토출구멍(233) 또는 제2 토출구멍(237)의 주변, 특히 제1 토출구멍(233)을 기준으로 압축실의 반대쪽에, 제2 토출구멍(237)을 기준으로 압축실의 반대쪽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도 11은 제2 토출구멍의 주변에 구비되는 유분리면을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1 토출구멍의 주변에 구비되는 유분리면도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실(V)에서 토출되는 냉매 중에서 제1 토출구멍(233)으로 토출되지 않은 냉매의 일부는 제1 유분리면(미도시) 또는 밸브수용홈(232)의 상단면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오일이 냉매로부터 분리되어 냉매는 그대로 토출안내구멍(236)을 따라 회전축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반면 분리된 오일은 원심력에 의해 제1 토출구멍(232)을 통해 케이싱(10)의 중간공간(10a)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토출안내구멍(236a)(236b)을 따라 회전축(23)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냉매 중에서 제2 토출구멍(237)으로 토출되지 않은 냉매의 일부는 제2 유분리면(236c)에 부딪히게 된다. 이때, 상대적으로 무거운 오일이 냉매로부터 분리되어 냉매는 그대로 토출안내구멍(236)을 따라 회전축의 상단으로 이동하여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으로 토출되는 반면 분리된 오일은 원심력에 의해 제2 토출구멍(237)을 통해 케이싱(10)의 상측공간(10b)으로 토출된다.
이로써, 압축실에서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되는 냉매로부터 오일이 효과적으로 분리되어, 오일이 냉매와 함께 압축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압축기 내부에서의 오일 부족으로 인한 마찰손실 또는 마모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상호 회전형 압축기에서 습동부에 오일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오일펌프를 적용할 수도 있지만, 케이싱의 내부공간이 고압을 형성함에 따라 차압을 이용한 오일공급유로를 통해 습동부에 오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오일공급유로(F2)는 제2 프레임(32)에는 오일공급관(325)이 연통되는 제1 오일구멍(PO1)이 힌지홈(321)의 하면에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힌지홈(321)에 삽입되는 베어링 하우징(37)에는 제1 오일구멍(PO1)에 연통되는 제2 오일구멍(PO2)이 형성되며, 제2 프레임(32)에는 힌지홈(321)의 측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통되는 제3 오일구멍(PO3)이 형성되고, 제1 프레임(31)의 환형벽부(312)에는 제3 오일구멍(PO3)과 연통되도록 제4 오일구멍(PO4)이 형성되며, 제1 프레임(31)의 원판부(311)에는 제4 오일구멍(PO4)에 연통되는 제5 오일구멍(PO5)이 형성되고, 제1 스크롤(33)의 제1 경판부(331)에는 일단이 축수부(313)를 통해 제5 오일구멍(PO5)에 연통되고 그 타단이 중간압축실(또는, 흡입실)에 연통되는 제6 오일구멍(PO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10)의 하측공간(10c)에 채워진 오일은 고압부를 이루는 하측공간(10c)의 압력과 저압부를 이루는 압축공간(30a) 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해 중간압축실(또는 흡입실)로 공급되어 압축실로 공급된다.
여기서, 고압부를 이루는 케이싱(10)의 하측공간(10c)과 저압부를 이루는 압축공간(30a) 사이에 압력차이가 발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압축공간(30a)이 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 프레임(31)의 상면과 회전축(23)의 외주면 사이에 제1 분리부재(381)가 설치되고, 제1 프레임(31)의 하면과 제1 스크롤(33)의 상면(배면) 사이에 제2 분리부재(382)가 설치되며, 배압 플레이트(35)의 베어링돌부(356)와 제2 프레임(32)의 상면 사이에 제3 분리부재(383)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부(30)의 압축공간(30a)을 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분리부재(381)와 제2 분리부재(382) 그리고 제3 분리부재(383)는 각각 테프론(PTFE 계열) 베이스에 흑연이나 유리섬유와 같은 윤활성 소재가 혼합되거나 또는 대응하는 부재보다 경도가 낮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 제1 분리부재(381)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회전축(23)의 외주면에 압입되거나 또는 시링(C-ring)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내주면이 회전축(23)의 외주면에 구비된 링홈에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분리부재(381)의 외경은 제1 프레임(31)의 축수부(313)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1 분리부재(381)의 하면은 제1 프레임(31)의 상면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제1 분리부재(31)는 회전축(23)의 외주면과 제1 프레임(31)의 축수부(313)의 내주면 사이를 복개하여 압축공간(30a)을 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차단함으로써, 케이싱(10)의 내부공간이 토출압을 형성하더라도 압축공간(30a)은 흡입압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 제2 분리부재(382)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제1 스크롤(33)의 제1 경판부(331)의 상면 또는 제1 프레임의 원판부(311) 하면에 삽입되어, 후술할 오일공급유로(F2)를 통해 공급되는 고압의 오일이 흡입압을 이루는 압축공간(30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 제3 분리부재(383)는 환형으로 형성되어 제2 프레임(32)의 상면과 베어링돌부(356)의 하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압축공간(30a)은 케이싱(10)의 하측공간(10c)과 분리되어, 차압에 의해 오일이 케이싱(10)의 하측공간(10c)에서 베어링 하우징(370)과 제2 프레임(32) 사이로 유입되더라도 이 오일이 제3 분리부재(383)에 의해 압축공간(30a)으로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분리부재(383)는 베어링돌부(356)의 하면에 대해 축방향으로 지지하는 스러스트 베어링의 역할을 하게 되므로, 제3 분리부재(383)의 상면, 즉 베어링 돌부의 하면과 대응하는 면에는 나선형이나 방사상 또는 스파이럴 형상으로 된 복수 개의 윤활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오일공급유로를 가지는 스크롤 압축기에서 오일이 순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공간(10c)의 오일이 오일공급관(325)과 제1,제2 오일구멍(PO1)(PO2)을 통해 보스수용홈(372)으로 유입되고, 이 오일은 종동베어링(372a)을 윤활하면서 그 일부는 제2 스크롤(34)과 배압 플레이트(35) 사이의 스러스트면을 윤활한 후 압축실(V)쪽으로 이동하는 반면, 나머지 오일은 제2 구동베어링(356a)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2 구동베어링(356a)을 윤활한 오일은 힌지돌부(375)의 외주면과 힌지홈(321)의 내주면 사이로 유입되고, 이 오일은 제3 오일구멍(PO3)과 제4 오일구멍(PO4), 그리고 제5 오일구멍(PO5)을 통해 제1 구동베어링(313a)을 윤활한다. 이 오일은 제1 스크롤(33)에 구비된 제6 오일구멍(PO6)을 통해 중간압실(Vm) 또는 흡입실(Vs)로 공급되어 압축실(V)을 윤활하게 된다.
이때, 하측공간(10c)의 압력이 고압인데 반해 압축공간(30a)은 중간압을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하측공간(10c)의 오일은 압력차에 의해 오일공급유로(F2)를 따라 이동하면서 힌지홈(321)과 제1 구동베어링(313a)의 내주면은 물론 제2 구동베어링(356a)과 종동베어링(372a)의 내주면 등 각각의 습동부로 공급된다.
이후, 냉매와 함께 토출구(335)를 통해 토출되는 오일은 회전축(23)의 토출구멍(233)(237)를 통과하면서 원심력과 토출구멍(233)(237) 주변에 구비된 유분리면(236c) 등에 의해 냉매와 분리되어, 냉매는 압축기 외부로 배출되는 반면, 오일은 오일회수유로(F1)를 통해 케이싱(10)의 하측공간(10c)으로 회수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10 : 케이싱 20 : 전동부
23 : 회전축 231 : 보스결합홈
232 : 밸브수용홈 233,237 : 토출구멍
234 : 가압구멍 235 : 결합홈부
236a,236b : 토출안내구멍 236c : 유분리면
26 : 체크밸브 27 : 밸브스프링
30 : 압축부 31 : 메인 프레임
313 : 축수부 313a : 제1 구동베어링
32 : 서브 프레임 321 : 힌지홈
33 : 구동 스크롤 331 : 제1 경판부
332 : 구동랩(제1 랩) 333 : 제1 보스부
335 : 토출구 336 : 결합돌부
34 : 종동 스크롤 341 : 제2 경판부
342 : 종동랩(제2 랩) 343 : 제2 보스부
35 : 배압 플레이트 356 : 베어링돌부
356a : 제2 구동베어링 37 : 베어링 하우징
371 : 하우징부 372 : 보스수용홈
372a : 종동 베어링 375 : 힌지돌부

Claims (20)

  1. 밀봉되는 내부공간이 구비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1 공간을 두고 구비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구동모터의 일측에서 제2 공간을 두고 상기 케이싱에 고정되는 제1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의 사이에 압축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제3 공간을 두고 구비되는 제2 프레임;
    상기 제1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압축공간에서 회전하는 제1 스크롤;
    상기 제1 스크롤에 맞물려 상기 제2 프레임에 대해 회전하면서 상기 압축공간에서 상기 제1 스크롤과 함께 압축실을 형성하는 제2 스크롤;
    일단은 상기 압축실과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압축실에서 압축된 냉매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안내하는 토출유로; 및
    상기 토출유로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으로 토출된 냉매가 상기 압축실로 역류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에는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보스부가 형성되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보스부와 회전축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스부에는 상기 압축실에 연통되는 토출구가 축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스부 또는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며 상기 밸브부재가 수용되는 밸브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밸브수용홈의 내주면에서 상기 보스부 또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며, 상기 밸브부재에 의해 개폐되는 제1 토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출구멍은 상기 제2 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밸브수용홈의 일면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에 연통되도록 토출안내구멍이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내주면에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향해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으로 관통되는 제2 토출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출구멍은 상기 제1 공간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단부는 막힌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단부는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토출안내구멍의 내경은 상기 제2 토출구멍을 기준으로 상기 압축실에 가까운 쪽이 먼 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밸브부재의 사이에는 상기 밸브부재를 탄력 지지하도록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에는 상기 밸브부재를 상기 케이싱의 내부압력으로 지지하도록 가압구멍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2. 제1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제3 공간에 연통되고 타단은 압축실에 연통되는 급유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급유통로의 타단은 상기 제3 공간보다 압력이 낮은 압축실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통로의 중간에는 내경이 감소하는 감압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상기 압축공간의 사이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분리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공간과 상기 압축공간이 상호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회전축 또는 그 회전축이 결합되는 제1 스크롤의 사이에는 제1 분리부재가, 상기 제1 프레임과 이에 축방향으로 접하는 부재 사이에는 제2 분리부재가, 상기 제2 프레임과 이에 접하는 축방향으로 부재 사이에는 제3 분리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분리부재는 그 일측면에 오일이 담기도록 윤활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7. 제1항 내지 제1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롤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스 수용부를 가지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돌부를 구비한 베어링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베어링 하우징은,
    상기 힌지돌부의 축방향 중심인 제3 중심은 상기 보스 수용부의 축방향 중심인 제2 중심에 대해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중심과 제3 중심은 상기 제1 스크롤의 축방향 중심인 제1 중심에 대해 각각 평면상에서 편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중심과 제3 중심을 연결하는 선을 제1 가상선이라고 하고, 상기 제1 가상선에 직교하며 상기 제1 중심을 지나는 선을 제2 가상선이라고 할 때, 상기 제3 중심은,
    상기 제2 가상선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중심의 반대쪽에서 상기 제1 가상선과 제2 가상선에 대해 각각 일정 간격만큼씩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3 중심에서 제1 중심까지의 거리인 제1 거리가 상기 제3 중심에서 제2 중심까지의 거리인 제2 거리보다 짧은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크롤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롤의 배면을 지지하는 배압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축방향 일단은 상기 제1 스크롤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축방향 타단은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스크롤의 축방향 양단이 반경방향으로 지지되며,
    상기 배압 플레이트의 축방향 타단은 상기 하우징부의 외주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어링돌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배압 플레이트는,
    상기 제1 스크롤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프레임부; 및
    상기 복수 개의 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스크롤의 배면에 구비되는 플레이트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레이트부와 이에 대응하는 상기 제2 스크롤과의 사이에는 상기 제2 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억제하는 자전방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호 회전형 스크롤 압축기.
KR1020170063114A 2017-05-22 2017-05-22 스크롤 압축기 KR102328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14A KR102328397B1 (ko) 2017-05-22 2017-05-22 스크롤 압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3114A KR102328397B1 (ko) 2017-05-22 2017-05-22 스크롤 압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843A true KR20180127843A (ko) 2018-11-30
KR102328397B1 KR102328397B1 (ko) 2021-11-18

Family

ID=6456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3114A KR102328397B1 (ko) 2017-05-22 2017-05-22 스크롤 압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839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0650A (zh) * 2021-09-16 2021-1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以及具有其的空调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7583A (ja) * 1989-02-28 1990-09-10 Toshiba Corp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5195966A (ja) * 1992-01-24 1993-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ール流体機械
EP1719912A2 (en) 1994-03-24 2006-11-08 Sanyo Electric Co., Ltd Rotating scroll compress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27583A (ja) * 1989-02-28 1990-09-10 Toshiba Corp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5195966A (ja) * 1992-01-24 1993-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クロール流体機械
EP1719912A2 (en) 1994-03-24 2006-11-08 Sanyo Electric Co., Ltd Rotating scroll compress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00650A (zh) * 2021-09-16 2021-11-26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以及具有其的空调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8397B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1900A (ko) 스크롤 압축기
US10704548B2 (en) Co-rotating scroll compressor having back pressure structure
US8215933B2 (en) Scroll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11248608B2 (en) Compressor having centrifugation and differential pressure structure for oil supplying
US8888475B2 (en) Scroll compressor with oil supply across a sealing part
WO2019044867A1 (ja) スクロール型圧縮機
KR20190129372A (ko) 개선된 랩 구조를 구비한 압축기
KR20180127843A (ko) 스크롤 압축기
KR20110131751A (ko) 스크롤 압축기
KR970000343B1 (ko) 유체펌프 및 이것을 구비한 회전기계
JP2009062820A (ja) 密閉形ロータリ圧縮機
KR100565259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배압장치
KR102232428B1 (ko) 압축기
KR102031849B1 (ko) 전동식 압축기
KR101917705B1 (ko) 전동식 압축기
JP3574904B2 (ja) 密閉式容積形圧縮機
EP3705723B1 (en) Scroll compressor
JPWO2015049745A1 (ja) スクロール圧縮機
KR102031851B1 (ko) 전동식 압축기
US10816000B2 (en) Compressor having centrifugation structure for supplying oil
KR20060086522A (ko) 가동 밸런스웨이트를 구비한 스크롤 압축기
KR101200626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JP6756551B2 (ja) 開放型圧縮機
KR100631543B1 (ko) 스크롤 압축기의 오일 공급 구조
KR101698085B1 (ko) 밀폐형 압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