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655A - 3d프린터를 위한 필라멘트용 프로필렌 터폴리머 - Google Patents

3d프린터를 위한 필라멘트용 프로필렌 터폴리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655A
KR20180127655A KR1020187032459A KR20187032459A KR20180127655A KR 20180127655 A KR20180127655 A KR 20180127655A KR 1020187032459 A KR1020187032459 A KR 1020187032459A KR 20187032459 A KR20187032459 A KR 20187032459A KR 20180127655 A KR20180127655 A KR 20180127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ament
propylene terpolymer
consumable
filaments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9617B1 (ko
Inventor
로벌투 데 팔로
클라우디오 카발리에리
Original Assignee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filed Critical 바셀 폴리올레핀 이탈리아 에스.알.엘
Publication of KR2018012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2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1F6/3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rising olefins as the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70/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29C64/118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using filamentary material being melted, e.g. fused deposition modelling [FD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80/00Products made by additive manufact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MFR L (ISO 1133에 따른 용융 유량, 조건 L, 즉 230℃ 및 2.16 kg 하중)이 1 내지 20 g/10 분의 범위이고; 25℃에서 측정된 크실렌 가용물이 3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공단량체로서 에틸렌 및 1-부텐 또는 1-헥센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압출 베이스의 첨가제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필라멘트.

Description

3D프린터를 위한 필라멘트용 프로필렌 터폴리머
본 발명은 압출 베이스의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터폴리머(terpolymer)를 포함하는 필라멘트에 관한 것이다.
압출 베이스의 3D 프린터는 유동성 조형 재료를 압출함으로써 3D 모델의 디지털 표현으로부터 층마다 3D 모델을 구축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 조형 재료의 필라멘트는 압출 헤드에 의해 지지되는 압출 팁을 통해 압출되고, x-y 평면 내의 기재 상에 일련의 로드(road)로서 침적된다. 압출된 조형 재료는 이전에 침적된 조형 재료에 융착되어 온도가 떨어지면 고화된다. 기재에 대한 압출 헤드의 위치는 (x-y 평면에 수직인) z-축을 따라 증대하고, 이어서 프로세스는 디지털 표현에 유사한 3D 모델을 형성하기 위해 반복된다. 기재에 대한 압출 헤드의 이동은 3D 모델을 나타내는 구축 데이터에 따라 컴퓨터 제어하에 수행된다. 구축 데이터는 처음에 3D 모델의 디지털 표현을 복수개의 수평으로 슬라이스된 층으로 슬라이싱함으로써 얻어진다. 이어서, 각 슬라이스된 층에 대해 호스트 컴퓨터는 3D 모델을 형성하기 위해 조형 재료의 로드를 침적하기 위한 구축 경로를 생성한다.
인쇄 프로세스에서, 필라멘트는 필라멘트의 재료를 변화시키는 데 분명히 중요한 역할을 하며, 완성된 인쇄물의 최종적인 기계적 및 미적 특성이 변화한다. 통상 당업계에서, 폴리락트산(PLA) 또는 아크릴로 니트릴의 필라멘트에서는 부타디엔, 스티렌(ABS) 중합체 또는 폴리 아미드가 사용된다.
필라멘트의 가장 중요한 특성 중의 하나는 일정한 직경 (보통 1.75 mm 또는 3 mm)이다. 그렇지 않으면 인쇄물의 재료의 양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없다. 이러한 특성은 용이하게 달성되지 않으며, 중합체의 특성에 의존한다.
또한, 필라멘트는, 일단 제조되면, 인쇄가능해야 하며, 즉 층간에 및 플레이트와의 양호한 접착성을 달성할 수 있어야 한다.
프로필렌계 중합체는 필라멘트 제조에 적합한 중합체로서 제안되고 있지만, 본 출원인에 의해 수행된 시험으로부터, 시판중인 프로필렌계 필라멘트는 인쇄 시험에서 불량한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3D 프린터에서 필라멘트로서 사용될 수 있는 프로필렌계 중합체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본 출원인은 하기를 갖는 공단량체로서 에틸렌 및 1-부텐 또는 1-헥센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압출 베이스의 첨가제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필라멘트를 밝혀냈다:
- MFR L (ISO 1133에 따른 용융 유량, 조건 L, 즉 230℃ 및 2.16 kg 하중)이 1 내지 20 g/10 분의 범위이고; 및
- 25℃에서 측정된 크실렌 가용물이 3 중량% 내지 30 중량%이다.
도 1은 실시예의 인쇄 시험에 사용된 샘플의 정면도이다. 측정 단위는 mm이며, 완전히 인쇄된 샘플의 두께는 5 mm이다.
본 출원인은 하기를 갖는 공단량체로서 에틸렌 및 1-부텐 또는 1-헥센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압출 베이스의 첨가제 제조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모성 필라멘트를 밝혀냈다:
- MFR L (ISO 1133에 따른 용융 유량, 조건 L, 즉 230℃ 및 2.16 kg 하중)이 1 내지 20 g/10 분,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g/1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2 g/10 분이고; 및
- 25℃에서 측정된 크실렌 가용물이 3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내지 2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한다.
터폴리머라는 용어는 중합체가 프로필렌, 에틸렌 및 1-부텐 또는 1-헥센 등의 3개의 공단량체만으로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개시의 프로필렌 터폴리머에서,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은 1.0 중량% 내지 2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1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10.0 중량%의 범위이고;
1-부텐 또는 1-헥센 유도 단위는 2.0 중량% 내지 22.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1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12.0 중량%의 범위이고;
프로필렌 유도 단위, 에틸렌 유도 단위 및 1-부텐 또는 1-헥센 유도 단위의 합계는 1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프로필렌 터폴리머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필라멘트로 압출될 수 있고, 필라멘트의 직경은 1.75 mm 또는 3 mm와 같이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것의 직경이다. 다른 가능한 직경도 또한 사용할 수 있다. 공칭 직경의 변동은 +/-0.05 mm, 바람직하게는 +/-0.03 mm이다.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ABS) 수지 및 폴리 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비정질 중합체성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이들은 고체 상태에서 중합체 사슬의 규칙적인 배열을 거의 또는 전혀 갖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득된 3D 모델 또는 지지 구조에서 컬링 및 소성 변형의 영향이 감소된다.
결정성 또는 반결정성 중합체는 우수한 기계적 성질을 나타내지만, 3D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사용할 때 결정성으로 인해, 압출된 로드가 침적되어 3D 모델 층의 일부를 형성할 때와, 로드가 냉각 될 때 모두 바람직하지 않은 수축 효과를 나타낸다. 수축 효과는 압출 베이스의 첨가제 제조 공정에서 결정성 또는 반결정성 중합체를 3D 물체의 구축에 사용할 수 없도록 한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합체가 크실렌 가용성 물질의 양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반결정성이더라도 3D 모델을 구축하는 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본 개시의 프로필렌 터폴리머는 시판되고 있다. 터폴리머의 예는 LyondellBasell가 판매하는 Adsyl 5 C30F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라멘트 물체는 산화방지제, 슬리핑제, 공정 안정제, 제산제, 핵제와 같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필라멘트는 활석, 탄산 칼슘, 규회석, 유리 섬유, 유리 구체, 탄소 유도된 등급과 같은 당업계에 알려진 충전제를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라멘트는 목재 분말, 금속 분말, 대리석 분말 및 특정 미적 외관 또는 개선된 역학을 갖는 3D 물체를 얻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사한 재료를 함유 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
프로필렌 중합체 재료의 데이터는 이하의 방법에 따라 얻었다.
25℃에서 크실렌 가용성 분획
크실렌 가용성 분획은 다음의 편차 (ISO 16152에 규정된 브라켓 사이)를 제외하고는 ISO 16152, 2005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액 부피는 250 ml (200 ml)이다.
25℃에서 30분 동안 침전 단계 동안, 용액을 최종 10 분 동안 자기 교반기 (30 분, 교반을 전혀 행하지 않음)에 의해 아지테이션 하에 유지시킨다.
최종 건조 단계는 70℃ (100℃)에서 진공하에 수행된다.
상기 크실렌-가용성 분획의 함량은 원래의 2.5 그램의 백분율로서 표시되고, 차이 (100에 상보적)에 의해, 크실렌 불용성%로 표시된다.
13 C NMR을 이용하여 측정한 공단량체(C2 및 C4) 함량)
베이스 중합체 및 이의 분획의 13C-NMR 스펙트럼은 120℃에서 푸리에 변환 모드에서 150.91 MHz MHz에서 작동하는, 크라이오프로브를 구비한 브루커 AV600 분광기 상에서 취득했다. Sδδ 탄소 피크 (문헌[C.J. Carman, R.A. Harrington and C.E. Wilkes, Macromolecules, 10, 3, 536 (1977)]에 의한 명명법)를 29.7 ppm으로 내부 기준으로 사용했다. 약 30 mg의 샘플을 120℃에서 0.5 ml의 1,1,2,2- 테트라클로로 에탄 d2에 용해시킨다. 각 스펙트럼은 90° 펄스, 펄스 사이 15 초 지연, 1H-13C커플링을 제거하기 위한 CPD에서 취득했다. 512 개의 과도신호(transient)를 9000 Hz의 스펙트럼 윈도우를 사용하여 32K 데이터 지점에 저장했다. 스펙트럼의 할당은 문헌[M. Kakugo, Y. Naito, K. Mizunuma and T. Miyatake, Macromolecules, 16, 4, 1160 (2082)] 및 문헌[E.T .Hsieh, J.C. Randall, Macromolecules, 15, 353-360 (1982)]에 따라 행하였다:
하기의 관계를 이용하여 트리아드 분포를 구했다.
PPP = 100 I10
PPE = 100 I6 /ΣEPE = 100 I5
BBB = 100 I3
BBE = 100 I2
EBE = 100 I11
XEX =100 I12
XEE =100 (I1 + I4)/Σ
EEE = 100 (0.5 I9 + 0.25 (I7 + I8))/Σ
여기서,
Σ = I1 + I2 + I3 + I4 + I5 + I6+ 0.25 I7 + 0.25 I8 + 0.5 I9 + I10 + I11 + I12
X는 프로필렌(P) 또는 1-부텐(B)일 수 있으며, I1 내지 I2 는 하기에 보고된 바와 같은 대응하는 탄소 원자의 면적이다 (선택된 트리아드 및 할당만이 보고된다):
Figure pct00001
에틸렌(E), 프로필렌(P) 및 1-부텐(B)의 몰 함량은 이하의 관계식을 이용하여 트리아드로부터 구했다:
E (m%) = EEE + XEE + XEX
P (m%) = PPP + PPE + EPE
B (m%) = BBB + BBE+ EBE
다른 공단량체는 당업계에 알려진 NMR 절차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용융유량 (MFR)
중합체의 용융 유량 MFR 은 ISO 1133 (230℃, 2.16 Kg)에 따라 측정하였다.
이하의 중합체를 사용하였다.
PP1
MFR이 6.5이고, 25℃에서의 크실렌 중 가용성 분획이 4% 미만인 프로필렌 호모 중합체
PP2
상품명 PP REPRAP BLACK FILAMENT 독일 RepRap PP 필라멘트 600 g으로 판매되는 직경 1.75 mm의 상업용 필라멘트, 즉 에틸렌 함량 3 중량%, MFR 2 dl/10 분 및 25℃에서의 크실렌 중 가용성 분획 6.2 중량%을 갖는 랜덤 프로필렌 에틸렌 공중 합체.
PP3
상품명 Adsy 5 C30F으로 시판되는 프로필렌 터폴리머, 즉 에틸렌 함량 3.3 중량%, 1-부텐 함량 6.3 중량%, MFR 5.2 g/10분25℃에서의 크실렌 가용성 분획 10.3%를 갖는 프로필렌 에틸렌 1-부텐 터폴리머.
중합체 PP1 및 PP3은 1.75 mm의 직경을 갖는 필라멘트를 형성하도록 추출하였다. PP1을 압출할 수 있도록, 탈크 10 중량%가 첨가되었다.
인쇄 시험
프린터는 3D Rostock 델타 프린터였다. 인쇄 조건은 다음과 같다.
Figure pct00002
인쇄되는 샘플은 도 1에 보고되어 있다. 각 필라멘트에 대해 인쇄시험을 5회 수행하였으며, 물체의 한면이 평면에서 탈착되어 물체의 인쇄가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을 때 인쇄를 중단하였다. 결과는 표 1에 보고되어 있다.
Figure pct00003
* 비교용
표 1의 결과로부터, PP3, 즉 본 발명에 따른 재료만이 샘플을 충분히 인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Claims (12)

  1. 압출 베이스의 첨가제 제조 시스템에서,
    -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이 3.0 중량% 내지 12.0 중량% 범위이고;
    - MFR L (ISO 1133에 따른 용융 유량, 조건 L, 즉 230℃ 및 2.16 kg 하중)이 1 내지 20 g/10 분의 범위이고;
    - 25℃에서 측정된 크실렌 가용물이 3 중량% 내지 30 중량%를 포함하는,
    에틸렌 및 1-부텐 또는 1-헥센을 포함하는 프로필렌 터폴리머를 포함하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터폴리머에서 25℃에서 측정된 크실렌 가용물이 4 중량% 내지 25 중량%를 포함하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터폴리머에서 MFR L (ISO 1133 에 따른 용융 유량, 조건 L, 즉 230℃ 및 2.16 kg 하중)이 2 내지 15 g/10 분의 범위인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터폴리머에서 25℃에서 측정된 크실렌 가용물이 6 중량% 내지 15 중량%를 포함하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터폴리머에서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이 1.0 중량% 내지 20.0 중량% 범위이고, 1-부텐 또는 1-헥센 유도 단위 함량이 2.0 중량% 내지 22.0 중량% 범위인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터폴리머에서 에틸렌 유도 단위 함량이 2.0 중량% 내지 15.0 중량% 범위이고, 1-부텐 또는 1-헥센 유도 단위 함량이 3.0 중량% 내지 18.0 중량% 범위인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0..05 mm의 변동을 갖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8.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0.03 mm의 변동을 갖는 일정한 직경을 갖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1.75 mm 또는 3 mm +/-0.05 mm의 직경을 갖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필라멘트는 1.75 mm 또는 3 mm +/-0.03 mm의 직경을 갖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필렌 터폴리머가 에틸렌 및 1-부텐을 포함하는 소모성 필라멘트의 사용.
  12. 3D 인쇄물품의 제조를 위한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필라멘트의 사용.
KR1020187032459A 2016-04-22 2017-03-20 3d프린터를 위한 필라멘트용 프로필렌 터폴리머 KR102009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6590 2016-04-22
EP16166590.6 2016-04-22
PCT/EP2017/056515 WO2017182211A1 (en) 2016-04-22 2017-03-20 Propylene terpolymer for filament for 3d prin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655A true KR20180127655A (ko) 2018-11-29
KR102009617B1 KR102009617B1 (ko) 2019-08-09

Family

ID=55808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2459A KR102009617B1 (ko) 2016-04-22 2017-03-20 3d프린터를 위한 필라멘트용 프로필렌 터폴리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27890A1 (ko)
EP (1) EP3445792B1 (ko)
JP (1) JP6626990B2 (ko)
KR (1) KR102009617B1 (ko)
CN (1) CN109071724B (ko)
BR (1) BR112018070068B1 (ko)
WO (1) WO201718221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41549A1 (en) * 2019-10-07 2022-08-17 Basell Polyolefine GmbH Polypropylene for extrusion additive manufactur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492A (ja) * 1993-05-27 1996-11-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プロピレンのランダム共重合体
KR20120085201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90076A (ko) * 2009-10-02 2012-08-1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연질 화합물에서의 블록 공중합체
KR101394119B1 (ko) * 2013-11-04 2014-05-1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70628B1 (en) * 2001-06-27 2004-10-06 Borealis Technology Oy Propylene random copolymer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EP1484345A1 (en) * 2003-06-06 2004-12-08 Borealis Technology Oy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polypropylene using a Ziegler-Natta catalys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10492A (ja) * 1993-05-27 1996-11-05 ビーエーエスエフ アクチェンゲゼルシャフト プロピレンのランダム共重合体
KR20120090076A (ko) * 2009-10-02 2012-08-1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연질 화합물에서의 블록 공중합체
KR20120085201A (ko) * 2011-01-21 2012-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올레핀 블록 공중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94119B1 (ko) * 2013-11-04 2014-05-14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3차원 프린터 필라멘트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26990B2 (ja) 2019-12-25
US20190127890A1 (en) 2019-05-02
EP3445792A1 (en) 2019-02-27
BR112018070068A2 (pt) 2019-02-12
JP2019513912A (ja) 2019-05-30
WO2017182211A1 (en) 2017-10-26
BR112018070068B1 (pt) 2022-12-27
EP3445792B1 (en) 2020-01-08
CN109071724A (zh) 2018-12-21
CN109071724B (zh) 2020-12-01
KR102009617B1 (ko) 2019-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26991B2 (ja) 3dプリンター用プロピレン系のフィラメント
JP2019513913A5 (ko)
EP2976387B1 (en) Mineral-filled polypropylene composition
CN104769033A (zh) 用于发泡的矿物填充聚丙烯组合物
CN109790647B (zh) 用于3d打印机的基于丙烯的丝材
KR102009617B1 (ko) 3d프린터를 위한 필라멘트용 프로필렌 터폴리머
JP7351493B2 (ja) 押出付加製造ためのポリプロピレン
JP2019513912A5 (ko)
JP7438338B2 (ja) 3dプリンター用プロピレン系のフィラメント
KR101299316B1 (ko)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