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7155A -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7155A
KR20180127155A KR1020170166236A KR20170166236A KR20180127155A KR 20180127155 A KR20180127155 A KR 20180127155A KR 1020170166236 A KR1020170166236 A KR 1020170166236A KR 20170166236 A KR20170166236 A KR 20170166236A KR 20180127155 A KR20180127155 A KR 20180127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unit
button
input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4916B1 (ko
Inventor
김명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8801918.6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12097B1/en
Priority to PCT/KR2018/005602 priority patent/WO2018212587A1/en
Priority to CN202310392286.1A priority patent/CN116578198A/zh
Priority to EP21170695.7A priority patent/EP3928703A1/en
Priority to CN201880032785.7A priority patent/CN110636795B/zh
Priority to US15/982,788 priority patent/US10561386B2/en
Publication of KR20180127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7155A/ko
Priority to US16/751,952 priority patent/US10952690B2/en
Priority to US17/247,959 priority patent/US11523786B2/en
Priority to KR1020210086975A priority patent/KR1024032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4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4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6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 A61B6/467Arrangements for interfacing with the operator or the patient characterised by special input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dul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4Control of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548Remote control of the apparatus or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05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the apparatus being movable or portable, e.g. handheld or mounted on a trol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44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 A61B6/4429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 A61B6/4452Constructional features of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related to the mounting of source units and detector units the source unit and the detector unit being able to move relative to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6/00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Apparatus or devices for radiation diagnosis combined with radiation therapy equipment
    • A61B6/58Testing, adjusting or calibrating thereof
    • A61B6/582Calibr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Biophys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오퍼레이터의 의도를 명확히 반영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하고 부정확한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수행을 방지할 수 있는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홀더에 상기 몸체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CONTROL METHOD OF THE X-RAY INPUT APPARATUS}
질병의 진단을 위해 대상체의 영상을 획득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에 대한에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 이러한 엑스선 영상 장치를 제어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의료 행위에 있어 임상 진단은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의료 기술의 발전은 정확한 임상 진단을 하는 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의존도는 더욱 더 높아질 것이다.
이에, 컴퓨터 단층 촬영(CT; Computer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엑스선 영상 장치 등의 영상진단장치들은 현대 의료행위에서는 필수적인 장비가 되었다.
최근에는 이러한 영상진단장치를 편리하게 제어하기 위해 무선 방식의 엑스선 입력 장치가 도입되고 있다. 무선 방식의 엑스선 입력 장치는 사용자가 엑스선 입력 장치를 휴대한 상황에서 사용자 입력의 정확도를 높여줄 필요성이 있다.
오퍼레이터의 의도를 명확히 반영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홀더에 상기 몸체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는,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조사 버튼부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는 1단 버튼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는 2단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1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2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로부터 제 1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주위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감지부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환경 감지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주위 환경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될 때마다 상기 기준 범위를 재설정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이전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될 때 감지된 주위 환경 정보와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날 때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터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정전 용량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상기 몸체의 일 면에 마련되어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캘리브레이션 버튼;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과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 버튼부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는 1단 버튼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는 2단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1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2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은 압력이 인가되면 제3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조사 버튼부로부터 제1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으로부터 제3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과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고 상기 터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정전용량 문턱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는,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홀더에 상기 몸체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가 장착되는 홀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부; 상기 조사 버튼부에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전압 발생부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및 엑스선 조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 영상 장치는,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는, 상기 홀더와 통신하는 입력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와 통신하는 홀더 통신부; 및 상기 홀더 통신부가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퍼레이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오퍼레이터의 제어 명령을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는 홀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홀더에 장착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몸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몸체의 위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된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면,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조사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 제어 방법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엑스선 조사 버튼을 표시하도록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에만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엑스선 영상 장치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버튼에만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엑스선 영상 장치에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 및 상기 엑스선 조사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도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또는 상기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포함한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엑스선 입력 장치가 홀더에 장착될 때에만 터치 감지부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엑스선 입력 장치의 동작 정확도를 개선하도록 하였다.
또한, 복수의 입력부에 대해 각각 준비신호가 출력되면 터치 감지부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엑스선 입력 장치의 동작 정확도를 개선하였다.
또한, 엑스선 입력 장치에 별도로 설치된 센서부의 센서 값 정보에 기초하여 터치 감지부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 자동으로 터치 감지부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발명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개시된 발명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는 오퍼레이터가 휴대 가능하도록 마련된 것으로, 오퍼레이터는 엑스선 입력 장치를 사용하여 엑스선 영상 장치를 무선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개시된 발명의 전제가 되는 엑스선 영상 장치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 후, 개시된 발명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 장치(10)의 외관도 이고, 도 2는 이동형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외관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 장치(10)는 엑스선 소스(11)와 엑스선 검출기(13)가 일정 공간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엑스선 소스(11)는 검사실의 천정에 장착된 암(12)에 연결되고, 엑스선 검출기(13)는 검사실의 바닥에 고정된 하우징에 연결된다.
엑스선 소스(11)에 연결된 암(12)은 엑스선 소스(11)가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장 가능하게 마련된다. 엑스선 검출기(13) 또한 하우징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즉, 일반적인 엑스선 영상장치는 엑스선 소스(11)와 엑스선 검출기(13)가 미리 정해진 일정 공간 내에서 미리 정해진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면, 이동형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엑스선 소스(140)와 엑스선 검출기(400)가 모두 3차원의 임의의 공간 상에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스선 소스(140)는 이동 가능한 본체에 지지 암(111a)을 통해 장착되고 지지 암(111a)은 지지 프레임(111b)에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지지 프레임(111b)은 본체(112) 일 측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그 결과 지지 암(111a)은 회전이 가능하고 기울기를 바꿀 수 있어, 엑스선 소스(140)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이동형 엑스선 영상장치(100)에는 휴대용 엑스선 검출기(400)가 사용되므로 엑스선 검출기(400) 역시 3차원 공간 상의 임의의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본체(112) 일측에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홀더(104)가 형성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홀더(104)에 장착하여 보관할 수 있으며,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사용할 경우 홀더(104)로부터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분리해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 후, 엑스선 입력 장치(120) 및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엑스선 입력 장치의 파지부 형성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의 엑스선 입력 장치가 홀더 내부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엑스선 입력 장치(120)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123a),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126),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124),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121) 및 홀더(104)와의 통신을 통해 신호를 주고 받는 입력 통신부(127)를 포함한다.
도 3과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엑스선 입력 장치(120)는 홀더(104)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122)와, 몸체(122)의 외주면에 형성된 파지부(125)를 포함할 수 있고, 조사 버튼부(124)는 몸체(12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사용자가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사용하기 위해, 특히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휴대한 상태에서 조사 버튼부(124)를 조작하기 위해 파지하는 부분을 파지부(125)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부(125)는 몸체(122)의 z축 방향의 중심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조사 버튼부(124)와 가까운 영역에 위치할 수도 있다.
터치 감지부(126)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터치 센서는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6)는 파지부(125)의 외주면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6)는 하나의 터치 센서가 몸체(122)의 외주면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복수의 터치 센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오퍼레이터가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파지했을 때 오퍼레이터의 손이 접촉되는 영역에 터치 감지부(126)가 마련되면 되고 터치 감지부(126)의 위치에 대해 다른 제한은 두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지부(125)에 터치 감지부(126)를 마련하면, 터치 감지부(126)가 몸체(122)를 파지한 오퍼레이터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감지부(126)가 터치를 감지하면, 엑스선 입력 장치(120)는 오퍼레이터가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파지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파지부(125)에는 오퍼레이터가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 모양의 음각 패턴(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음각 패턴(H)은 오퍼레이터가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적절한 위치를 파지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6)는 음각 패턴(H)을 제외한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고, 음각 패턴(H)을 포함한 영역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음각 패턴(H)을 제외한 영역에 마련되는 경우에 대한 예로, 터치 감지부(126)는 음각 패턴(H)의 배면에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음각 패턴(H)의 배면에 터치 감지부(126)를 마련함으로써 오퍼레이터가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파지함과 동시에 터치 감지부(126)가 터치 입력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엑스선 조사 명령의 입력과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의 입력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만, 터치 감지부(126)가 반드시 음각 패턴(H)의 배면에 마련되어야 하는 것은 아닌 바, 오퍼레이터가 음각 패턴(H)의 가이드에 따라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파지했을 때 오퍼레이터의 손이 접촉되는 영역에 터치 감지부(126)가 마련되면 되고, 음각 패턴(H)와 터치 감지부(126)의 위치 관계에 대해 다른 제한은 두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면, 위치 감지부(123a)는 몸체(122)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었는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감지부(123a)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몸체(122)의 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다만, 위치 감지부(123a)의 설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된 것을 감지할 수 있는 모든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위치 감지부(123a)는 자계센서, 리밋 스위치, 광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123a)가 자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위치 감지부(123a)에 대응되는 홀더(104)의 위치에 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위치 감지부(123a)가 광센서나 초음파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 위치 감지부(123a)에 적외선, 가시광선과 같은 광이나 초음파를 발신하는 발신부 및 홀더(104)의 내벽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광이나 초음파를 수신하는 수신부가 모두 포함될 수도 있고, 수신부만 엑스선 입력 장치(120)에 마련되고 발신부는 홀더(104)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사용 가능한 위치 감지부(123a)의 종류가 전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치 감지부(123a)의 종류에 따라 몸체(122)가 홀더(104)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기준값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되는 기준값은 일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입력 제어부(121)는 위치 감지부(123a)의 출력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몸체(122)가 홀더(104)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엑스선 입력 장치가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조사 버튼부(124)는 몸체(122)의 상부 면에 마련된다. 조사 버튼부(124)는 몸체(122)의 상부 면에 돌출 형성된 2단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조사 버튼부(124)는 준비 명령을 입력 받는 1단 버튼(124a)과 조사 명령을 입력 받는 2단 버튼(124b)을 포함할 수 있다.
조사 버튼부(124)를 통해 입력된 준비 명령과 조사 명령은 터치 감지부(126)에 입력된 터치 정보 또는 위치 감지부(123a)로부터 수집된 위치 정보와 함께 엑스선 입력 장치(120) 또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대한 제어 명령 결정 과정에 제공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파지부(125)를 통해 엑스선 입력 장치(120)를 파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오퍼레이터는 엄지를 제외한 4개의 손가락으로 파지부(125)를 파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파지부(125)를 파지하면, 오퍼레이터의 손이 파지부(125)에 마련된 터치 감지부(126)에 접촉하게 되고, 터치 감지부(126)는 오퍼레이터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는 본체의 상면에 돌출 형성된 조사 버튼부(124)에 압력을 가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126)에 오퍼레이터의 터치가 감지된 상태에서 조사 버튼부(124)를 준비 상태로 누르면 엑스선 조사를 위한 예열을 지시하는 준비 명령이 입력된다. 일 예로, 오퍼레이터는 준비 명령을 입력 받는 1단 버튼(124a)에 제 1 임계 압력 이상 및 제 2 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을 가하여 미리 정해진 제 1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 1 명령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1단 버튼(124a)의 전부 또는 일부가 2단 버튼(124b)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다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감지부(126)에 오퍼레이터의 터치가 감지되고 조사 버튼부(124)를 준비 상태로 누른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사 버튼부(124)에 압력을 더 가하여 조사 상태로 누르면 실질적인 엑스선 조사를 위한 조사 명령이 입력된다. 일 예로, 오퍼레이터는 조사 버튼부(124)에 제 2 임계 압력 이상의 압력을 가하여 미리 정해진 제 2 명령을 입력할 수 있으며, 여기서 미리 정해진 제 2 명령은 엑스선 조사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2단 버튼(124b)의 전부 또는 일부가 몸체(12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제 1 임계 압력은 제 2 임계 압력과 동일할 수도 있고, 제2임계 압력보다 작을 수도 있다. 즉, 1단 버튼(124a)이 2단 버튼(124b) 내부로 삽입되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이후에도 동일한 압력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고,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할 때에 가한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을 가하여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이던지 엑스선 조사 명령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의 입력 후에 입력될 수 있다. 즉, 엑스선의 조사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후에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터치 감지부(126)의 캘리브레이션 제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캘리브레이션 제어에 의해 설정되는 정전 용량 문턱값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터치 감지부(126)의 캘리브레이션 제어란 터치 감지부(126)에 대한 정전 용량 기준 값에 기초하여 터치 감지부(126)의 정전 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정전 용량 기준 값이란 터치 감지부(126)에 외부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된 정전 용량 값을 의미하고, 정전 용량 문턱 값이란 외부의 자극으로 인한 정전 용량 변화를 오퍼레이터의 터치 자극으로 인식하는 기준이 되는 정전 용량 값을 의미한다. 즉, 터치 감지부(126)에 외부 접촉이 없을 때에는 정전 용량 값이 정전 용량 문턱 값을 초과하는 값을 나타내고, 터치 감지부(126)에 외부 접촉이 이루어지면 정전 용량 값이 정전 용량 문턱 값 이하의 값을 나타낼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6)의 정전 용량 기준 값은 온도, 습도와 같은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지므로, 터치 감지부(126)의 터치 감도 또한 주위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터치 감지부(126)의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통해 터치 감지부(126)의 정전 용량 문턱 값을 변경해줄 필요가 있는데, 터치 감지부(126)의 변경된 정전 용량 기준 값에 기초하여 정전 용량 문턱 값을 재 설정하는 과정을 터치 감지부(126)의 캘리브레이션 제어라 한다.
도 10에 도시된 그래프를 참조하면, 입력 제어부(121)는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 값을 정전 용량 기준 값(C1)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정전 용량 기준 값(C1)으로 사용되는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 값은 캘리브레이션 제어 시점에서 측정된 값일 수도 있고,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시점에서 측정된 값일 수도 있으며, 그 사이의 임의의 시점에서 측정된 값일 수도 있다.
접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정전 용량 변화량의 최소값(D)이 미리 저장될 수 있고, 입력 제어부(121)는 정전 용량 기준 값(C1)과 정전 용량 변화량의 최소값(D)에 기초하여 정전 용량 문턱 값(T1)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제어부(121)는 정전 용량 기준 값(C1)보다 정전 용량 변화량의 최소값(D)만큼 작은 값을 정전 용량 문턱 값(T1)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에 따라 정상적인 캘리브레이션이 이루어지면, 정전 용량 문턱 값(T1)은 정전 용량 기준 값(C1)과 오퍼레이터의 터치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 용량 최소 값(Cmin) 사이의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하, 오퍼레이터가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을 입력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120)는 홀더(104)에 장착된 상태에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입력 제어부(121)는 위치 감지부(123a)의 출력이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 제어부(121)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기준값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입력 제어부(121)는 위치 감지부(123a)의 출력이 미리 저장된 기준값에 포함되면,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터치 감지부(126)에 접촉이 발생한 상태에서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되면, 정전 용량 기준 값(C1)이 실제보다 낮게 측정되고, 결과적으로 정전 용량 문턱 값(T1)이 터치 감지부(126)에 접촉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 비해 낮게 결정되는 캘리브레이션 오류가 발생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정전 용량 문턱 값(T1)이 정전 용량 최소 값(Cmin)보다 낮은 값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개시된 실시예와 같이,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된 경우에만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될 수 있도록 하면, 캘리브레이션 오류로 인해 정전 용량 문턱 값이 비정상적으로 낮게 설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홀더에 장착되었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되는 경우에 비해,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에 대한 입력의 정확도를 개선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수행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을 더 이용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 제어부(121)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고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이 정전 용량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가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의 예시를 참조하면,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조사 버튼부(124)에 압력을 가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된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터치 감지부(126)에 접촉하지 않고 조사 버튼부(124)를 준비 상태로 누른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
조사 버튼부(124)에 제1임계 압력 이상, 제2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인가되어 제1명령이 입력된 경우, 조사 버튼부(124)는 제1신호를 입력 제어부(121)에 전달할 수 있다. 제1신호는 조사 버튼부(124)가 준비 상태로 가압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제1임계 압력 이상, 제2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인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조사 버튼부(124)에 제2임계 압력 이상의 압력이 인가되어 제2명령이 입력된 경우, 조사 버튼부(124)는 제2신호를 입력 제어부(121)에 전달할 수 있다. 제2신호는 조사 버튼부(124)가 조사 상태로 가압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 또는 제2임계 압력 이상, 제3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인가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일 수 있다.
입력 제어부(121)는 위치 감지부(123a)의 출력이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고, 조사 버튼부(124)로부터 제1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입력 제어부(121)가 터치 감지부(126)이 출력이 정전 용량 문턱 값을 초과하는지 여부, 즉 터치 감지부(126)에 터치 입력이 미수신되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입력 제어부(121)는 터치 감지부(126)에 터치 입력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당해 예시와 같이, 홀더(104)에 장착된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조사 버튼부(124)가 가압된 경우를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의 입력으로 설정하면, 사용자의 의도를 더 명확하게 반영하여 불필요한 캘리브레이션을 줄일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입력 제어부(121)는 전술한 동작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제어부(121)는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 값이 정전 용량 문턱 값 이하인 경우에는 조사 버튼부(12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제어부(121)는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 값이 정전 용량 문턱 값 이하인 경우에, 조사 버튼부(124)로부터 제1신호가 출력되면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조사 버튼부(124)로부터 제2신호가 출력되면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치 감지부(123a)의 출력을 더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위치 감지부(123a)의 출력이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미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한하여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입력 제어부(121)는 입력 통신부(127)를 통해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홀더(104)에 전송하고,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입력 제어부(121)는 입력 통신부(127)를 통해 엑스선 조사 신호를 홀더(104)에 전송한다.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엑스선 입력 장치의 외관도이며, 도 14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220)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환경 감지부(223b), 터치 감지부(226), 조사 버튼부(224), 입력 제어부(221) 및 입력 통신부(227)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감지부(223b)는 엑스선 입력 장치(220)의 몸체(222)의 일 영역에 마련될 수 있다.
입력 제어부(221)는 환경 감지부(223b)가 획득한 주변 환경 정보가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만족하면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제어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환경 감지부(223b)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감지부(223b)가 획득하는 주변 환경 정보는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감지부(223b)는 실시간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를 입력 제어부(221)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 제어부(221)는 환경 감지부(223b)의 출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 제어부(221)는 환경 감지부(223b)로부터 전달된 주변 환경 정보가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기준 범위가 일정한 고정 값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때마다 기준 범위가 재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는, 엑스선 입력 장치(220)의 사용 환경이 일정한 온도와 일정한 습도가 유지되는 환경인 것으로 가정하고, 이러한 일정한 환경이 유지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여 정전 용량 문턱 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한 이후에도 주기적으로 주변 환경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온도나 습도가 다시 기준 범위에 포함되면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다시 수행하여 변경된 정전 용량 문턱 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는, 입력 제어부(221)가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때마다 캘리브레이션 제어 시점에서의 온도 또는 습도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온도 또는 습도 정보에 기초하여 기준 범위를 다시 설정한다.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한 이후에 측정된 주변 환경 정보가 저장된 주변 환경 정보에서 기준값 이상으로 벗어나면, 캘리브레이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다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여 정전 용량 문턱 값을 재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측정된 온도 또는 습도 정보도 다시 저장된다.
당해 실시예에 따르면, 주변 환경 변화로 인해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만 이를 수행함으로써, 불필요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환경 감지부(223b)의 출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외에, 파지부(225)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226), 몸체(222)의 상부 면에 마련되어 준비 명령 및 조사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224) 및 이와 관련한 입력 제어부(221)의 동작 등은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120)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220)가 홀더(104)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223a)를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123a)와 마찬가지로, 위치 감지부(223a)는 자계 센서, 리밋 스위치, 광세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전술한 위치 감지부(123a)에 대한 설명은 당해 실시예에 따른 위치 감지부(223a)에도 적용될 수 있다.
입력 제어부(221)는 위치 감지부(223a)의 출력에 기초하여 엑스선 입력 장치(220)가 홀더(104)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된 것으로 판단되면, 환경 감지부(223b)로부터 전달된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입력 제어부(221)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고, 주변 환경 정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주변 환경 정보를 먼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주변 환경 정보와 홀더(104)에 장착 여부를 동시에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고, 주변 환경 정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판단하기만 하면 되고, 그 판단 순서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제어 조건에 오퍼레이터의 미접촉을 더 포함시킴으로써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 제어부(221)는 환경 감지부(223b)의 출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터치 감지부(226)의 출력이 정전 용량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입력 제어부(221)가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은 앞서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당해 예시와 같이 캘리브레이션 제어 조건에 홀더 장착과 환경 변화를 모두 포함함으로써, 필요한 경우에만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함과 동시에 오퍼레이터가 엑스선 입력 장치(220)를 사용하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엑스선 입력 장치의 외관도이며, 도 1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가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동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320)는 터치 감지부(326), 조사 버튼부(324), 입력 제어부(321), 입력 통신부(327) 및 몸체(322)의 외주면 상단에 마련되는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을 포함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은 몸체(32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버튼으로 구현될 수도 있고, 터치 스위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퍼레이터는 캘리브레이션 버튼(329)과 조사 버튼부(324)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을 통해 캘리브레이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이 접촉되거나 가압되면 제3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제어부(321)에 전달한다. 제3신호는 오퍼레이터의 입력이 수신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 즉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이 접촉되거나 가압되었음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입력 제어부(321)는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으로부터 제3신호가 전달되고, 조사 버튼부(324)로부터 제1신호가 전달되면,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즉, 당해 실시예에서의 입력 제어부(321)는 조사 버튼부(324)와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이 동시에 가압 또는 접촉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조사 버튼부(324)와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의 조합으로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의도치 않은 경우에 켈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의 기능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에 추가 기능들을 탑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앞서 설명한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엑스선 영상 장치의 제어 블록도 이다.
도 18를 참조하면,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오퍼레이터로부터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된 입력부(105), 홀더(104) 내부에 마련되어 입력부(105)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홀더 통신부(152) 및 입력부(105)로부터 전달받은 데이터를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홀더 제어부(151)와,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메인 제어부(130),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140) 및 엑스선 소스(140)에 고전압 에너지를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엑스선 소스(140)는 고전압 발생부(160)에서 발생된 고전압 에너지를 인가 받아 엑스선을 발생시키고 조사하는 엑스선 튜브(141), 및 엑스선 튜브(141)에서 조사되는 엑스선의 경로를 안내하는 콜리메이터(144)를 포함할 수 있다.
오퍼레이터는 입력부(105)를 통해 엑스선 조사를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05)는 스위치, 키보드, 트랙볼 또는 터치 스크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풋 스위치(foot switch) 또는 풋 페달(foot pedal)의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입력부(105)는 오퍼레이터가 손에 파지하여 엄지로 버튼을 누름으로써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이동형 엑스선 입력 장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엑스선 입력 장치는 2단 스위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엑스선 입력 장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위치 감지부(123a, 223a), 환경 감지부(223b), 캘리브레이션 버튼(329), 터치 감지부(126, 226, 326) 및 조사 버튼부(124, 224, 324) 중 적어도 하나의 출력이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의 입력을 나타내거나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입력 제어부(121, 221, 321)는 터치 감지부(126, 226, 326)의 출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126, 226, 326)의 출력 값이 정전 용량 문턱 값 이상인 경우에는 조사 버튼부(124, 224, 32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하,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수행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입력 제어부(121, 221, 321)는 터치 감지부(126, 226, 326)의 출력이 정전 용량 문턱 값(T1) 이상인 경우에, 조사 버튼부(124, 224, 324)로부터 제 1 신호 또는 제 2 신호를 전달 받으면,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또는 엑스선 조사 신호를 입력 통신부(127, 227, 327)를 통해 홀더 통신부(152)에 전송할 수 있다.
입력 통신부(127, 227, 327)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에서 생성된 신호를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홀더(104)에 전달할 수 있다. 입력 통신부(127)는 무선 랜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발명은 입력 통신부(127, 227, 327)가 무선 랜 또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사용하도록 하였으나,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가 홀더(104)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에는 유선 이더닛(Enternet)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무선 랜 유닛은 미국 전기 전자 학회(IEEE)의 무선 랜 규격(IEEE1002.11x)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입력 통신부(127, 227, 327)의 예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는 다른 방식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홀더 제어부(151)는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또는 엑스선 조사 신호를 메인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18의 예시에서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가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또는 엑스선 조사 신호를 홀더 제어부(151)에 전송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실시 예에 따라 입력 제어부(121, 221, 321)가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또는 엑스선 조사 신호를 메인 제어부(130)에 직접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제어부(13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제어부(130)에 포함되는 프로세서들은 실행하는 동작에 따라 구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엑스선 조사를 위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프로세서와 엑스선 디텍터(400)로부터 전달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는 프로세서가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제어부(130)가 복수의 프로세서와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하는 경우에 이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홀더 제어부(151)로부터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가 전달되면, 메인 제어부(130)는 고전압 발생부(160)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입력한다.
고전압 발생부(160)가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수신하면 예열을 시작하고, 예열이 완료되면 준비 완료 신호를 메인 제어부(130)로 출력한다.
고전압 발생부(160)로부터 준비 완료 신호가 입력되고, 홀더 제어부(151)로부터 엑스선 조사 신호가 전달되면, 메인 제어부(130)는 고전압 발생부(160)에 엑스선 조사 신호를 입력한다. 메인 제어부(130)로부터 엑스선 조사 신호가 입력되면, 고전압 발생부(160)는 고전압을 생성하여 엑스선 튜브(141)에 인가하고, 엑스선 튜브(141)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한다. 엑스선 튜브(141)에서 조사되어 콜리메이터(144)를 통과한 엑스선은 대상체에 입사된다.
엑스선 튜브(141)에서 조사되어 콜리메이터(144)를 통과한 엑스선은 대상체를 투과하여 엑스선 디텍터(400)에 입사된다. 엑스선 디텍터(200)는 입사된 엑스선을 검출하고, 검출된 엑스선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한다. 대상체를 투과한 엑스선이 변환된 전기적인 신호는 대상체의 엑스선 영상 신호가 된다.
엑스선 디텍터(400)는 휴대가 가능하고 엑스선 영상 장치(100)와 무선 통신으로 연결 가능한 포터블 타입의 엑스선 디텍터일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400)는 엑스선 영상 장치(100)의 구성요소로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고, 엑스선 영상 장치(100)와 별도로 제조, 판매되는 것도 가능하다.
엑스선 영상 장치(100)는 엑스선 디텍터(400)와 통신하는 메인 통신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통신부(170)는 무선 랜(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 지그비(zigbee),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BLE (Bluetooth Low Energy),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400)는 대상체의 엑스선 영상 신호를 메인 통신부(170)에 전송하고, 메인 통신부(170)는 전송된 엑스선 영상 신호를 메인 제어부(130)에 전달한다.
한편, 메인 제어부(130)는 홀더 제어부(151)로부터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가 수신되면 고전압 발생부(160)뿐만 아니라 메인 통신부(170)를 통해 엑스선 디텍터(400)에도 준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엑스선 디텍터(400)가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수신하면, 엑스선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하고, 검출 준비가 완료되면 준비 완료 신호를 신호를 메인 통신부(170)에 전송할 수 있다. 준비 완료 신호의 전송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인 제어부(130)는 고전압 발생부(160) 및 엑스선 디텍터(400)로부터 준비 완료 신호가 전달되고 홀더 제어부(151)로부터 엑스선 조사 신호가 전달되면, 고전압 발생부(160)에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달받은 고전압 발생부(160)는 엑스선 소스(140)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엑스선을 발생시킨다.
도 19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바일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고, 도 20 및 도 21은 모바일 기기에 표시될 수 있는 화면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가 수행하는 동작의 전부 또는 일부를 스마트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기기가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러한 모바일 기기(500)는 터치 스크린(520), 제어부(510) 및 통신부(530)를 포함할 수 있고, 터치 스크린(520)은 디스플레이부(521) 및 디스플레이부(521)의 전면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522)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520)은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과 사용자로부터 명령을 입력 받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바,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은 디스플레이부(521)가 수행하고, 입력 장치의 기능은 터치 패널(522)이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및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모바일 기기(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통신부(530)와 터치 스크린(520)이 수행하는 동작은 제어부(510)에 의해 제어되는 것일 수 있다.
제어부(510)가 수행하는 동작 중 전술한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230)의 동작과 동일, 유사 또는 관련된 동작은 모바일 기기(500)에 설치된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관련 프로그램 또는 관련 어플리케이션을 엑스선 조사 제어 프로그램이라 하기로 한다.
엑스선 조사 제어 프로그램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엑스선 조사 버튼을 표시하도록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에만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엑스선 영상 장치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버튼에만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엑스선 영상 장치에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 및 상기 엑스선 조사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도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또는 상기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조사 제어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엑스선 조사 제어 프로그램은, 모바일 기기(500)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임베디드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일 수도 있고, 외부의 기록매체로부터 제공받는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Third party application)일 수도 있다.
엑스선 조사 제어 프로그램을 외부의 기록매체로부터 제공받는 경우에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하는 외부의 서버로부터 해당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여 모바일 기기(500)에 설치하면 제어부(510)에 포함된 메모리에 해당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제어부(510)에 포함된 프로세서가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엑스선 조사 제어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500)에서 실행되는 엑스선 조사 제어 방법에 관한 더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부(530)는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랜 및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블루투스 저 에너지(bluetooth low energy), 지그비(zigbee) 통신,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와이파이(Wi-Fi),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UWB(Ultra Wideband)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500)에서 엑스선 조사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면 도 20의 예시와 같이, 제어부(510)가 터치 스크린(520)을 제어하여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준비 버튼(520a)과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조사 버튼(520b)을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준비 버튼(520a) 또는 조사 버튼(520b) 을 터치하는 방식으로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터치 패널(522)의 출력은 제어부(510)에 전달되고,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의 출력에 기초하여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 또는 엑스선 조사 명령의 입력을 판단할 수 있다. 전술한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의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의 출력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 예를 들어, 정전용량 문턱값 이하인 경우에 터치 패널(522)에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이 준비 버튼(520a)에 대응되는 영역이 터치된 것을 감지한 경우, 즉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 입력된 경우, 통신부(530)를 제어하여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부(530)가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블루투스 패킷 형태로 변환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이 조사 버튼(520b)에 대응되는 영역이 터치된 것을 감지한 경우, 즉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경우, 통신부(530)를 제어하여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의 영역 중 준비 버튼(520a)과 조사 버튼(520b)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 터치가 감지된 경우에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나 엑스선 조사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이 경우에는 준비 버튼(520a)이나 조사 버튼(520b)이 터치된 경우에도 엑스선 영상 장치(100)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나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이로써, 사용자에게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이나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할 의도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바일 기기(500)의 터치 스크린(520)에 잘못된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에 불필요하게 고전압 발생부(160)가 예열되거나, 엑스선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에 대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제어에 관한 설명은 전술한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522)의 출력값은 온도 변화에 따라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증가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의 출력값을 실시간 또는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터치 패널(522)의 출력값이 전체 영역에 걸쳐 고르게 증가하거나 감소하는 변화가 발생하면,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스크린(520)이 사용자로부터 캘리브레이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캘리브레이션 버튼(520c)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어부(510)는 터치 패널(522)이 캘리브레이션 버튼(520c)에 대응되는 영역이 터치된 것을 감지한 경우, 즉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전술한 엑스선 입력 장치(220)의 실시예와 같이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 시점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는 주변 환경 변화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판단하는 모바일 기기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모바일 기기(500)는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하는 환경 감지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 감지부(540)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환경 감지부(540)가 획득하는 주변 환경 정보는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환경 감지부(540)는 실시간으로 또는 주기적으로 주변 환경 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주변 환경 정보를 제어부(51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510)는 환경 감지부(223b)로부터 전달된 주변 환경 정보가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경 정보에 포함된 온도 정보 또는 습도 정보가 설정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기준 범위가 일정한 고정 값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때마다 기준 범위가 재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일 측면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앞서 설명한 엑스선 입력 장치(120, 220, 320)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22에 대한 설명은 특별한 언급이 없더라도 후술하는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당해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먼저 몸체의 위치를 감지한다(610). 몸체(122)의 위치는 몸체(122)의 일 영역에 마련된 위치 감지부(123a)에 의해 감지될 수 있으며, 위치 감지부(123a)는 위치 감지부(123a)는 자계센서, 리밋 스위치, 광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 감지부(123a)가 자계 센서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위치 감지부(123a)에 대응되는 홀더(104)의 위치에 자석이 마련될 수 있다.
몸체의 위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홀더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611). 위치 감지부(123a)의 종류에 따라 몸체(122)가 홀더(104)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기준값을 미리 저장할 수 있다. 미리 저장되는 기준값은 일정 범위를 가질 수 있다. 입력 제어부(121)는 위치 감지부(123a)의 출력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몸체(122)가 홀더(104)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몸체가 홀더에 장착된 경우(612의 예), 터치 감지부의 출력을 수신한다(613). 터치 감지부(126)는 몸체(122)의 외주면, 특히 파지부(125)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한다(614). 앞서 설명한 도 10을 다시 참조하면, 수신된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 값을 정전 용량 기준 값(C1)으로 사용할 수 있고, 미리 저장된 정전 용량 변화량의 최소값(D)과 정전 용량 기준값(C1)에 기초하여 정전 용량 문턱 값(T1)을 결정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을 더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 제어부(121)는 엑스선 입력 장치(120)가 홀더(104)에 장착되고 터치 감지부(126)의 출력이 정전 용량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에 대한 입력의 정확도를 더 향상시키기 위해,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조사 버튼부의 가압 여부를 판단하고(612a), 조사 버튼부가 가압된 경우에(612a의 예),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조사 버튼부(124)에 제1임계 압력 이상 제2임계 압력 미만의 압력이 인가되어 조사 버튼부(124)로부터 제1신호가 출력된 경우에,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어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당해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22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5에 도시된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먼저 주변 환경 정보를 획득한다(620). 주변 환경 정보는 몸체(222)의 일 영역에 마련된 환경 감지부(223b)에 의해 감지될 수 있고, 환경 감지부(223b)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획득되는 주변 환경 정보는 온도 정보 및 습도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자동 캘리브레이션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한다(621). 예를 들어, 주변 환경 정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면, 자동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자동으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기준 범위가 일정한 고정 값의 범위로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고,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될 때마다 기준 범위가 재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자동 캘리브레이션 조건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 범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엑스선 입력 장치(220)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자동 캘리브레이션 조건이 만족되면(622의 예), 터치 감지부의 출력을 수신하고(623), 터치 감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624)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캘리브레이션 조건에 엑스선 입력 장치(220)의 홀더(104) 장착을 더 추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의 위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홀더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더 판단하고(622a), 몸체(222)가 홀더(104)에 장착된 경우에(622a의 예) 터치 감지부의 출력을 수신하고(623), 터치 감지부의 출력에 기초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624)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자동 캘리브레이션 조건에 오퍼레이터의 미접촉을 더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 제어부(221)는 환경 감지부(223b)의 출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터치 감지부(226)의 출력이 정전 용량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6의 도면에서는 주변 환경 정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지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닌바, 주변 환경 정보의 판단과 홀더(104)의 장착 여부의 판단의 순서에 대해서는 제한을 두지 않는다.
도 2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한 순서도이다. 당해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320)가 적용될 수 있다.
도 27에 도시된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조사 버튼부(324)와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에 오퍼레이터의 입력이 수신된 경우(630의 예), 캘리브레이션 제어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하고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한다(631).
당해 실시예에 따르면, 오퍼레이터는 캘리브레이션 버튼(329)과 조사 버튼부(324)를 동시에 누르는 동작을 통해 캘리브레이션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이 접촉되거나 가압되면 제3신호를 생성하여 입력 제어부(321)에 전달하고, 입력 제어부(321)는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으로부터 제3신호가 전달되고, 조사 버튼부(324)로부터 제1신호가 전달되면, 캘리브레이션 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 여부를 결정함에 있어서, 터치 감지부(326)의 출력을 더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입력 제어부(321)는 캘리브레이션 버튼(329)으로부터 입력 신호가 전달되고, 조사 버튼부(324)로부터 제1신호가 전달되면, 터치 감지부(326)의 출력이 정전 용량 문턱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하여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캘리브레이션 제어의 수행을 의도한 경우 또는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필요한 경우에만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불필요하고 부정확한 캘리브레이션이 수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전술한 내용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의 변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넓게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엑스선 영상 장치
120, 220, 320: 엑스선 영상 장치
500: 모바일 기기

Claims (27)

  1. 엑스선 영상 장치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홀더에 상기 몸체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버튼부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는 1단 버튼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는 2단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1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2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2신호를 출력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로부터 제 1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면,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8. 엑스선 영상 장치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일 영역에 마련되어 주위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환경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감지부는,
    온도 센서 및 습도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 감지부는,
    미리 설정된 주기로 상기 주위 환경 정보를 감지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될 때마다 상기 기준 범위를 재설정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이전 캘리브레이션 제어가 수행될 때 감지된 주위 환경 정보와 기준값 이상 차이가 날 때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3.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환경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기준 범위를 벗어나고, 상기 터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정전 용량 문턱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5. 엑스선 영상 장치의 홀더에 장착 가능하도록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상기 몸체의 일 면에 마련되어 상기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캘리브레이션 버튼; 및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과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면,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 버튼부는,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는 1단 버튼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는 2단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1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1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2단 버튼은 미리 설정된 압력이 인가되면 제2신호를 출력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은 압력이 인가되면 제3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조사 버튼부로부터 제1신호가 출력되고,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으로부터 제3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캘리브레이션 버튼과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고 상기 터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정전용량 문턱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19.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되어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감지부,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홀더에 상기 몸체가 장착되는 경우에,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가 장착되는 홀더;
    엑스선을 발생시켜 조사하는 엑스선 소스;
    상기 엑스선 소스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 발생부;
    상기 조사 버튼부에 입력된 제어 명령에 따라 상기 고전압 발생부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및 엑스선 조사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하는 메인 제어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위치 감지부의 출력이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음을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제어부는,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23.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는,
    상기 홀더와 통신하는 입력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와 통신하는 홀더 통신부; 및
    상기 홀더 통신부가 상기 엑스선 입력 장치로부터 상기 오퍼레이터의 제어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오퍼레이터의 제어 명령을 상기 메인 제어부에 전송하는 홀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24. 홀더에 장착 가능한 몸체, 상기 몸체의 상부에 마련되어 오퍼레이터로부터 제어 명령을 입력 받는 조사 버튼부 및 상기 몸체의 외주면에 마련된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위치를 감지하고;
    상기 몸체의 위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된 경우,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용량 문턱 값을 결정하는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고 상기 조사 버튼부가 가압되는 경우에,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몸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되면, 상기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터치 감지부의 정전 용량 값에 기초하여 상기 캘리브레이션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방법.
  27. 엑스선 조사 제어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 조사 제어 방법은,
    엑스선 조사 준비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 및 엑스선 조사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엑스선 조사 버튼을 표시하도록 모바일 기기의 터치 스크린을 제어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에만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엑스선 영상 장치에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버튼에만 대응되는 영역에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엑스선 영상 장치에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버튼 및 상기 엑스선 조사 버튼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영역에도 터치가 감지되면, 상기 엑스선 조사 준비 신호 또는 상기 엑스선 조사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기록매체.
KR1020170166236A 2017-05-18 2017-12-05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274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5602 WO2018212587A1 (en) 2017-05-18 2018-05-16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CN202310392286.1A CN116578198A (zh) 2017-05-18 2018-05-16 X光输入装置以及控制x光输入装置的方法
EP21170695.7A EP3928703A1 (en) 2017-05-18 2018-05-16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CN201880032785.7A CN110636795B (zh) 2017-05-18 2018-05-16 X光输入装置以及控制x光输入装置的方法
EP18801918.6A EP3612097B1 (en) 2017-05-18 2018-05-16 X-ray inpu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US15/982,788 US10561386B2 (en) 2017-05-18 2018-05-17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US16/751,952 US10952690B2 (en) 2017-05-18 2020-01-24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US17/247,959 US11523786B2 (en) 2017-05-18 2020-12-31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KR1020210086975A KR102403231B1 (ko) 2017-05-18 2021-07-02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796 2017-05-18
KR20170061796 2017-05-18
KR1020170065465 2017-05-26
KR20170065465 2017-05-26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975A Division KR102403231B1 (ko) 2017-05-18 2021-07-02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7155A true KR20180127155A (ko) 2018-11-28
KR102274916B1 KR102274916B1 (ko) 2021-07-08

Family

ID=645612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236A KR102274916B1 (ko) 2017-05-18 2017-12-05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10086975A KR102403231B1 (ko) 2017-05-18 2021-07-02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6975A KR102403231B1 (ko) 2017-05-18 2021-07-02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2) EP3928703A1 (ko)
KR (2) KR102274916B1 (ko)
CN (2) CN116578198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70886A (ja) * 2010-09-28 2012-04-12 Fujifilm Corp 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5688908B2 (ja) * 2009-11-06 2015-03-25 現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アンチジャーク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5535190A (ja) * 2012-11-06 2015-12-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機器を移動させるためのセンサ
JP2017035137A (ja) * 2015-08-06 2017-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3733A (ja) * 1985-02-12 1986-08-1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入力位置検出装置の入力位置補正方法
JP2010015535A (ja) * 2008-06-02 2010-01-21 Sony Corp 入力装置、制御システム、ハンドヘルド装置及び校正方法
JP2010191834A (ja) * 2009-02-20 2010-09-02 Renesas Electronics Corp 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2012040205A (ja) * 2010-08-19 2012-03-01 Toshiba Corp X線診断装置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5570351B2 (ja) * 2010-08-31 2014-08-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コンソール、入力端末、および、x線画像撮影システム
JP6469336B2 (ja) * 2013-02-12 2019-02-13 キヤノ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X線診断装置、及びx線診断装置の制御方法
KR20150052769A (ko) * 2013-11-06 2015-05-14 삼성전자주식회사 엑스선 디텍터, 엑스선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15184039A (ja) * 2014-03-20 2015-10-22 株式会社日立ハイテクサイエンス X線分析装置
CN105142322B (zh) * 2015-04-03 2018-12-25 江苏康众数字医疗科技股份有限公司 远程曝光控制装置、数字x射线成像系统及其曝光方法
JP6879130B2 (ja) * 2017-08-31 2021-06-02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88908B2 (ja) * 2009-11-06 2015-03-25 現代自動車株式会社 ハイブリッド車両のアンチジャーク制御装置及び方法
JP2012070886A (ja) * 2010-09-28 2012-04-12 Fujifilm Corp 放射線撮影装置及び放射線撮影システム
JP2015535190A (ja) * 2012-11-06 2015-12-1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機器を移動させるためのセンサ
JP2017035137A (ja) * 2015-08-06 2017-02-16 オムロン株式会社 操作装置およびx線撮影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578198A (zh) 2023-08-11
EP3928703A1 (en) 2021-12-29
EP3612097A1 (en) 2020-02-26
CN110636795A (zh) 2019-12-31
CN110636795B (zh) 2023-05-16
KR20210087011A (ko) 2021-07-09
KR102274916B1 (ko) 2021-07-08
EP3612097A4 (en) 2020-04-08
KR102403231B1 (ko) 2022-05-30
EP3612097B1 (en) 2021-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87929B2 (en) Control system for medical equipment
KR102107728B1 (ko) 휴대용 초음파 장치, 휴대용 초음파 시스템 및 초음파 진단 방법
CN109846506A (zh) 接触回避装置、医用装置和程序
CN104146684B (zh) 一种眼罩式眩晕检测仪
US10785626B2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and device thereof
US11523786B2 (en) X-ray input apparatus, X-ray imag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X-ray input apparatus
CN103543166A (zh) X射线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297394A (zh) 超声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及记录介质
US10966673B2 (en) X-ray imaging device, x-ray detector, and x-ray imaging system
KR102578072B1 (ko) 초음파 진단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8096754U (zh) 用于检查患者的胸部的x射线装置和距离传感装置
KR20140126064A (ko) 유방조직 이상 유무 자가 검사 장치 및 방법
US8638296B1 (en) Method and machine for navigation system calibration
KR20180127155A (ko) 엑스선 입력 장치, 이를 포함하는 엑스선 영상 장치 및 엑스선 입력 장치의 제어 방법
WO2015194162A1 (ja) 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US20180070882A1 (en) Method, medical imaging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for planning and/or controlling a medical imaging examination
US10321827B2 (en) Devices and methods for noninvasive physiological analysis
CN108024772A (zh) X射线检测器、x射线成像设备及其控制方法
CN111061384A (zh) 具有测距仪的触控笔
CN104434164A (zh) 一种放射投影系统
WO2015141880A1 (ko) 초음파 영상진단장치, 거기에 이용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어장치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조작방법
CN216021028U (zh) 患者支承设备、具有患者支承设备的医学成像设备
WO2021161515A1 (ja) 長尺状医療用デバイスの位置検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215227502U (zh) 一种便携式智能视力检测装置
EP43095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program, and radiographic imag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