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871A -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871A
KR20180126871A KR1020170061869A KR20170061869A KR20180126871A KR 20180126871 A KR20180126871 A KR 20180126871A KR 1020170061869 A KR1020170061869 A KR 1020170061869A KR 20170061869 A KR20170061869 A KR 20170061869A KR 20180126871 A KR20180126871 A KR 20180126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atient
moisture
defecat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643B1 (ko
Inventor
박한호
Original Assignee
박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한호 filed Critical 박한호
Priority to KR1020170061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643B1/ko
Publication of KR20180126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6Uri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6Drying gases or vapours by filt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rs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배변을 볼 수 있는 집뇨부(100)와, 상기 집뇨부(100)에 연결되며 배변을 처리하는 배변처리기(2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본 발명은 집뇨부와 연결된 오물관과 오물통을 탈부착하는 방법으로, 간병인 또는 사용자가 오물통을 들어올리면 탈착이 되며, 정위치 올려 두는 것만으로 장착과 밀폐가 이루어지는 아주 간편한 탈부착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시판된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의 집뇨부와 오물통 연결시 좌우 방향으로 체결되어있어, 오물 폐기시 본체 내부에 잔존하거나, 또는 본체 내부에 떨어져 악취와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되지만 기존의 좌우 방향 연결이 아닌 상하 방식의 연결을 통하여 이를 방지 할 수 가 있다. 또한 오물통의 분리와 체결을 위하여 필요했던 구동모터나 전기장치, 볼트 넛트 구조의 나사, 누름스위치등이 필요 없어짐으로써 간편조작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게되어 간병인과 간호사등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에 최적화 설계가 되었음은 물론 경제적인 제품생산이 가능해졌다.
작동부 중 소음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곳인 모터의 바람배출구에 단순한 honeycomb필터만을 삽입한 필터들을 사용해서 배출하는 기존의 제품들과는 달리 부직포등과 필터성분으로 구성된 압축 사일런스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진공펌프의 배출량을 제어하여 흡입압력의 조절 및 소음은 물론 탈취까지 한 번에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욕창등 피부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뇨부로 송풍, 순환되는 호스의 굵기가 가늘어 짐으로써 집뇨부의 착용시 불편함이 최소화 된다. 또한 모든 냄새공기가 탈취기능의 복합사일런스를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서 병실내로 배출되는 악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집뇨부의 경우 기존 시판된 환자용비데의 집뇨부 구조를 살펴보면 입체형이 아닌 평면상에서 수평으로 흡인되는 구조여서 운전후에도 집뇨부에 잔변이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에서 흡입하는 압력이 보호하는 구조없이, 착용자의 회음부 정면에 노출 되어있어, 탈장등의 다른 2차 문제를 발생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사일런스를 이용한 흡입압력의 조절과 함께 집뇨부 구조의 변경을 통하여 흡입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서도 흡입력은 올려주어 착용자의 탈장등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구조로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 커넥트의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는 씰링재가 개제되되, 상기 씰링재는 상기 씰링재홈에 삽입되는 단면이 둥근부분과 상기 둥근부분에서 돌출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져서 상부재와 하부재를 결합할시 상기 돌출편이 수평하게 상기 외부재의 1수평부위에 안치되어 기밀성을 확보하며, 상부재와 하부재를 분리할시도 용이하게 하부재 1수평부에서 쉽게 분리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자용 배변처리장치{Excretion cleaner for patient}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와상환자를 위한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환자의 배변시 소변과 대변이 감지되어 배변의 흡입과, 세척, 건조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이 자동으로 수행되어, 와상환자들이 느끼는 수치심이 최소화상태에서 배변활동이 가능해지고 청결과 건조가 자동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욕창방지에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기저귀 교체 등에 따른 간병인의 근골격계 재해 예방 및 환자와 간병인 모두의 위생관리가 가능하며, 환자의 기저귀 처리비용의 부담을 줄이고 산업폐기물 저감을 위하여 발명된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10-2016-0133643호에는 일단에 배설물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일단이 항문에 삽입되어 배설물을 흡입하는 배출관을 구비한 배출수단과, 상기 배출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배출관에 흡입된 배설물을 수용하는 유연한 팩과, 상기 팩을 수용하고 상기 배출관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팩에 배설물이 수용될 수 있게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하여 상기 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는 펌프를 구비한 배설물수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처리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292812호에는 인체의 배설 부위 후방부를 감싸도록 장착되되, 내부에 배변감지센서가 구비된 배변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후방베이스부; 상기 후방베이스부의 하단부에 힌지 연결되되, 인체의 배설 부위 전방에 형합되어 결합되도록 연질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전방커버부; 상기 후방베이스부의 상단부 테두리에 선택적으로 탈착되되, 인체 둔부가 안착되도록 구배진 외면 프로파일을 가지는 연질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둔부지지부; 및 상기 후방베이스부의 하단부에 통합배관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변감지센서에 의해 감지신호 발생시 상기 배변 수용공간으로 물을 분사하고 상기 통합배관를 통하여 배변을 흡입하도록 구동되는 배변처리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커버부에는 관통조절구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조절구의 내측 테두리에는 상기 전방커버부의 내압 변화에 따라 상기 관통조절구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는 내압조절판막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배변 처리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환자용 배변처리장치는 커넥트의 상부재와 하부재를 결합할시 상기 돌출편이 수평하게 상기 외부재의 1수평부 위에 안치되어 있지 않아 기밀성을 확보하기 어려우며, 상부재와 하부재를 분리하는 것도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환자용 배변처리장치는 일반적인 기저귀를 입히는 것처럼 환자의 몸에 편하게 장착되어 대, 소변을 직접 받아내는 집뇨부와 집뇨부에 받아진 배설물을 흡입하고 집뇨부와 환자의 몸에 묻어있는 배설물을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배변처리기와, 집뇨부와 배변처리기를 연결하는 호스부로 구성되는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배변처리장치는 배설물을 직접 받아주는 집뇨부가 인체공학적이지 못하여 착용감이 불편하고 흡인력이 떨어지는 구조이며, 착용된 집뇨부는 배변처리기와 연결된 굵은 여러 호스들로 인하여 착용시 환자들에게 많은 거부감과 불편함을 주어왔다. 또한, 일정 횟수의 배변처리 후 흡입된 배설물은 지정장소에 폐기해야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간병인들이 배설물이 담긴 오물통을 꺼내고, 비우고, 다시 장착해야하는 수고를 해야한다.
이때 흡입구와 연결된 오물통의 분리를 위하여 레버를 밀거나 당기는 것, 전원스위치를 구동시키거나, 나사를 풀거나 잠궈야하는 사전 조치 후 오물통의 분리와 삽입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조용해야 하는 병실에서 지나치게 과다한 배설물의 흡입소음은 환자와 간병인의 숙면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된 종래 기술들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인체공학적인 집뇨부와 간편하고 부드러운 호스부, 더 손쉽고 안정적으로 흡입구의 호스부와 오물통의 손쉬운 탈부착을 제공하면서 오물의 누설이 방지되는 배변처리기의 오물통을 경사각 체결방식으로 충분한 흡인력을 유지하고, 사일런스의 장착으로 탈취와 소음을 동시에 해결하여 운전시 저소음 환경으로 편안한 병실을 유지시키며, 정수필터를 통한 세정수의 공급으로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의 환자용 배변처리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배변을 볼 수 있는 집뇨부(100)와, 상기 집뇨부(100)에 연결되며 배변을 처리하는 배변처리기(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뇨부와 연결된 오물관과 오물통을 탈부착하는 방법으로, 간병인 또는 사용자가 오물통을 들어올리면 탈착이 되며, 정위치 올려 두는 것만으로 장착과 밀폐가 이루어지는 아주 간편한 탈부착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시판된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의 집뇨부와 오물통 연결시 좌우 방향으로 체결되어있어, 오물 폐기시 본체 내부에 잔존하거나, 또는 본체 내부에 떨어져 악취와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되지만 기존의 좌우 방향 연결이 아닌 상하 방식의 연결을 통하여 이를 방지 할 수 가 있다. 또한 오물통의 분리와 체결을 위하여 필요했던 구동모터나 전기장치, 볼트 넛트 구조의 나사, 누름스위치등이 필요 없어짐으로써 간편조작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게되어 간병인과 간호사등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에 최적화 설계가 되었음은 물론 경제적인 제품생산이 가능해졌다.
작동부 중 소음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곳인 모터의 바람배출구에 단순한 honeycomb필터만을 삽입한 필터들을 사용해서 배출하는 기존의 제품들과는 달리 부직포등과 필터성분으로 구성된 압축 사일런스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진공펌프의 배출량을 제어하여 흡입압력의 조절 및 소음은 물론 탈취까지 한 번에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욕창등 피부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되는 호스의 굵기가 가늘어 짐으로써 집뇨부의 착용시 불편함이 최소화 된다. 또한 모든 냄새공기가 사일런스를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서 병실내로 배출되는 악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집뇨부의 경우 기존 시판된 환자용비데의 집뇨부 구조를 살펴보면 입체형이 아닌 평면상에서 수평으로 흡인되는 구조여서 운전후에도 집뇨부에 잔변이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에서 흡입하는 압력이 보호하는 구조없이, 착용자의 회음부 정면에 노출 되어있어, 탈장등의 다른 2차 문제를 발생요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사일런스를 이용한 흡입압력의 조절과 함께 집뇨부 구조의 변경을 통하여 흡입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서도 흡입력은 올려주고 착용자의 탈장등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구조로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 커넥트의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는 씰링재가 개제되되, 상기 씰링재는 상기 씰링재홈에 삽입되는 단면이 둥근부분과 상기 둥근부분에서 돌출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져서 상부재와 하부재를 결합할시 상기 돌출편이 수평하게 상기 외부재의 1수평부위에 안치되어 기밀성을 확보하며, 상부재와 하부재를 분리할시도 용이하게 하부재 1수평부에서 이탈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 구동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와 집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집뇨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 내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배면도
도 9은 본 발명 배변처리기의 오물통 사시도
도 10는 본 도 9의 호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호스부 상세 사시도
도 12은 도 11은 분해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호스부 구조
도 14은 본 발명 사일런스의 구조
도 15는 본 발명 커넥터용 실링재의 구조
도 16은 본 발명 커넥터의 구조 및 실링재의 장착방법을 나타낸 개요도
본 발명은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배변을 볼 수 있는 집뇨부(100)와, 상기 집뇨부(100)에 연결되며 배변을 처리하는 배변처리기(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변처리기(200)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외부에 설치되어 집뇨부(100)의 오물을 처리하는 오물처리부(220)와, 상기 오물처리부(220)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뇨부(1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오물처리부(220)는 집뇨부의 오물을 흡입하여 보관하는 오물통(221)과, 상기 케이스(210) 내에 설치되되, 집뇨부(100)의 배출공(110)과 배관으로 연결된 흡입커넥터 및 오물통(221) 내부에서 발생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기배출커넥터(222-2)가 형성된 커넥터(222)와, 상기 커넥터(222)의 습기배출커넥터(222-2)와 연결되어 오물통(22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모터(2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222)는 흡입구(222-1)와 습기배출구(222-2)가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222)는 ‘ㄱ’ 형상의 상부재(222-3)와 ‘ㄴ’ 형상의 하부재(222-4)가 결합 내지 분리되며 전체적으로 ‘
Figure pat00001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물처리부(220)에는 상기 커넥터(222)의 습기배출커넥터(222-2)와 연결되어 오물통(221)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필터(223-1)가 구비된 흡입모터(223)와, 상기 흡입모터(223)와 연결되어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는 사일런스(224)와, 상기 사일런스(224)와 연결되며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케이스(2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케이스(210)에 설치되는 공기배출관(22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230)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231)와, 상기 물탱크(231)의 하부에 설치되는 워터필터(232-1)가 구비된 워터펌프(232)와, 상기 워터펌프(232)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233)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233)와 연결되되, 집뇨부(100)에 물을 공급하도록 케이스(210)에 결합된 출수공(234)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10)의 상부에는 힌지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되도록 뚜껑(2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 구동시스템을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와 집뇨부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의 집뇨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배변처리기 내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정면도, 도 8은 도 6의 배면도, 도 9은 본 발명 배변처리기의 오물통 사시도, 도 10는 본 도 9의 호수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호스부 상세 사시도, 도 12은 도 11은 분해 사시도, 도 13는 본 발명의 호스부 구조, 도 14은 본 발명 사일런스의 구조, 도 15는 본 발명 커넥터용 실링재의 구조, 도 16은 본 발명 커넥터의 구조 및 실링재의 장착방법을 나타낸 개요도
본 발명은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환자가 배변을 볼 수 있는 집뇨부와, 상기 집뇨부에 연결되며 배변을 처리하는 배변처리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배변처리기(200)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되어 집뇨부(100)의 오물을 처리하는 오물처리부(220)와, 상기 오물처리부(220)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뇨부(1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30)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오물처리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오물처리부는 집뇨부의 오물을 흡입하여 보관하는 오물통과,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되, 집뇨부의 배출공과 배관으로 연결된 흡입커넥터 및 오물통 내부에서 발생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기배출커넥터가 형성된 커넥터와, 상기 습기배출커넥터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오물통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필터가 구비된 흡입모터와, 상기 흡입모터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는 사일런스와, 상기 사일런스와 배관으로 연결되며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케이스에 설치되는 공기배출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집뇨부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는 다음과 같다.
상기 물공급부는 물이 저장되어 있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하부에 설치되는 워터필터가 구비된 워터펌프와, 상기 워터펌프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와 연결되되, 집뇨부에 물을 공급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출수공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는 힌지에 의해 상, 하로 회동되도록 뚜껑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커넥터는 흡입커넥터와 습기배출커넥터가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는 ‘ㄱ’ 형상의 상부재와 ‘ㄴ’ 형상의 하부재가 결합 내지 분리되며 전체적으로 ‘
Figure pat00002
’ 형상이다.
상기 흡기커넥터상부재는 하단부의 외연부에서 내연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되, 경사면 중간위치에 씰링재홈이 형성되며, 흡기커넥터하부재는 상단부의 내연부에서 외연부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되, 상기 경사면은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1수평부 1경사면 2수평부 2경사면 3수평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흡기커넥터상부재와 흡기커넥터하부재 사이는 씰링재가 개제되되, 상기 씰링재는 상기 씰링재홈에 삽입되는 단면이 둥근부분과 상기 둥근부분에서 돌출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져서 흡기커넥터상부재와 흡기커넥터하부재를 결합할 시 상기 돌출편이 수평하게 상기 외부재의 1수평부위에 안치되어 기밀성을 확보하며, 흡기커넥터상부재와 흡기커넥터하부재를 분리할시도 용이하게 흡기커넥터하부재 1수평부에서 이탈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습기배출커넥터는 습기배출커넥터상부재와 습기배출커넥터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습기배출커넥터상부재와 습기배출커넥터하부재의 결합구조는 상기 흡기커넥터상부재와 흡기커넥터하부재의 결합구조와 반대이다.
그리고 상기 배변처리기는 사일런스가 설치되며, 상기 사일런스는 원통형으로서 공극이 형성되는 소음부재로 제작되되,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형성된다.
상기 소음부재는 부직포 또는 활성탄을 사용하는 것으로 탈취작용도 한다.
상기 소음부재는 내부의 활성탄층과 외부의 부직포층으로 동심원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음부재는 전방은 활성탄층과 후방의 부직포층으로 이루어진다.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어 전방 유입구에서 흡수된 일부가스가 반지름방향으로 유출되고, 나머지 가스는 후방의 유출구로 배출된다.
상기 집뇨부는 사람이 누운채 다리를 벌리고 다리하부를 지대어 용변을 볼수 있게 몸체 상면에 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 양측면에는 날개모양의 지지부가 결합되며, 몸체 일측하면에는 배출공이 형성된다.
상기 경사부는 환자방향이 높이가 낮고 발끝방향이 높이가 높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는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몸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따라 경사지게 상하로 이동하여 환자의 체형에 맞는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는 이단으로 만들어져 내부지지부는 케이스형이고, 상기 내부지지부 일단은 몸체에 부착되고 타단에 외부지지부의 일단이 삽입고정되며, 상기 내부지지부의 타단측에는 다수개의 구멍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부지지부의 일단에도 구멍이 형성되어, 내부지지부 내부에 외부지지부 일단을 일정길이 삽입후 핀으로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돌출길이가 조절된다.
상기 배출수단은 내부에 송풍팬이 설치되는 사일런스를 가리킨다.
한편, 본 발명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가 집뇨부에서 용변을 보면, 상기 배변처리기에 설치된 물공급부에서 집뇨부로 물을 공급한다.
집뇨부로 공급되는 물은 물공급부의 물탱크에 저장되어 있다가 워터필터가 설치된 워터펌프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를 거친 후 케이스에 설치된 출수공을 통하여 집뇨부로 공급된다.
이에, 집뇨부에 물이 공급되면, 물이 환자에게 묻은 오물을 세척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배변처리기에 설치된 오물처리부에서 집뇨부의 오물을 흡입하게 된다.
상기 집뇨부의 오물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흡입모터가 작동하여 집뇨부의 배출공과 연결된 커넥터의 흡입커넥터를 통하여 오물통 내부로 오물이 유입된다.
상기 오물통 내부로 오물이 유입되면, 습기가 발생하게 되되, 상기 오물통 내부의 습기는 오물통과 연결된 커넥터의 습기배출커넥터를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습기배출커넥터를 통하여 배출된 습기는 제습필터를 거쳐 건조된 공기가 된다.
그리고 건조된 공기는 사일런스를 통하여 케이스에 설치된 공기배출관을 통해 케이스 집뇨부로 배출되어 순환한다.
본 발명을 실시례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와상환자의 몸에 편하게 장착되어 배설물은 하부로 흡입되는 흡입구조를 가지고, 와상환자의 체위변화가 용이하도록 하부의 외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지며, 편안한 착용감을 부여하기 위하여 집뇨부 가장자리에 지지부가 달린 인체공학적인 집뇨부와 사일런스를 장착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며, 사일런스를 통한흡입 압력의 조절이 가능해져 환자의 욕창방지를 위한 송풍 공기배출관이 ø10이하로 구현되어 착용시 거부감과 간병인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만들어진 집뇨부와 본체를 연결하는 호스부 특히,배설물을 저장하는 오물통의 탈부착과 배관의 밀폐가 용이하도록 경사각을 가지는 구조의 구조를 가진 오물통과 본체부의 호스연결 커넥터부가 포함된 배설물을 자동인식, 흡입, 세척하고 건조시키는 기능을 가지는 배변처리기로 구성된다.
상기 체결부의 구조는 오물과 바람이 저항을 받지않도록 관로의 내경이 입구공보다 출구공이 같거나 넓은 구조를 가지며, 연결부 경사각은 1도에서 90도까지의 각도에서 삽입구조를 가지고, 체결시 누설을 방지하는 씰링재가 장착된다.
상기 배변처리기의 운전시 발생하는 소음의 제거와 배변의 처리와 저장시 발생하는 악취의 제거 및 환자의 탈장을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압력조절 기능이 가능한 사일런스가 설치된다.
집뇨부를 착용한 환자의 불편함을 없애고 간병인의 조작이 편리하도록 사일런스를 통한 흡입압력을 조절하여 연질의 흡입관의 사용이 가능해지고 욕창방지용으로 공급되는 공기배출관이 ø10이하로 가능만들어 진다.
대, 소변의 구분인식이 가능하고, 배설물의 흡입구와 공기배출구, 세척과 세정수라인이 구비된 집뇨부에서 외측 바닥이 곡면으로 구성되고, 환자가 착용시 편한함을 제공하고 체위변화가 용이하고, 신체에 부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골반이나 허벅지 등을 받쳐주는 하나 이상의 지지부가 집뇨부의 양측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내부는 곡면의 구조를 가지면서 배설물의 흡입구가 중앙부 또는 중앙부의 주변에 위치하면서 하부로의 흡입이 가능해진 구조로 낮은 압력에서의 운전이 가능해져 저소음과 환자의 탈장 우려를 없앨 수 있다.
한편, 기존의 환자용 배변처리장치는 집뇨부의 호스커넥터와 오물통 연결시 서로 다른직선의 파이프를 겹쳐서 수평이동으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어 정해진 지정위치까지 완전히 삽입되지 않거나, 중간에 장작된 씰링재가 약간의 유격만 있어도 정상적인 흡입이 되지 않고 누설이 되는 문제가 있어왔다. 그래서 완전하고 견고한 장착을 위하여 체결을 위한 모터를 장착하여 구동하거나 체결부위에 나사를 만들어 돌려서 고정하거나, 또는 누름 스위치등을 만들어 최종 삽입지점을 확인하고 압착하는 방법으로 사용자의 불편과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또한 오물 폐기시 배변처리기 내부에 잔존하거나, 또는 배변처리기 내부에 떨어져 악취와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었다.
이런 불편함을 해소하고 비용의 절감을 위하여 본 발명은 체결부의 내측과 삽입측의 외측을 동일한 각도로 빗각으로 만들어 삽입하는 구조로 체결이 이루어진 후단부 또는 양측 가장자리 어느 한곳 이상의 위치에 씰링재가 장착되어 짐으로써 별도의 부가장치나 2차적인 조작없이 지정된 위치에 가볍게 얹어 두어도 자연스럽게 위치를 찾아 안착과 밀폐가 가능하며, 특히 상하체결방식의 경우는, 내용물의 양이 많아 질수록, 모터의 흡입시 연결부의 체결은 더욱 견고하게 작용되는 구조로 흡입구의 모양은 원형이나 사각, 삼각형, 별표, 마름모꼴등등 어떠한 형태여도 가능하다.
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하여는 체결되는 연결부가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이런 각도는 0.1도에서 90도까지에서는 어떠한 각도도 해당되지만 삽입의 편리성과 견고함을 제공하기 위하여는 15도 이내의 각도를 유지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본 체결방식에서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은 오물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조립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밀폐력의 향상과 오염방지 및 누설방지차에 효과가 좋다. 연결부의 누설을 막기위한 씰링재는 실리콘이나 고무재질 EVA,EPDM,우레탄계등 어떠한것이라도 무관하지만 연질일수록 효과는 좋다.
씰링재는 빗각의 중간부 보다는 상호조립이 완료되어진 상태에서 외벽의 끝단부에 장착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씰링재는 어떠한 형태이든 무방하지만 원형이면서 가장자리에 평면의 지지부가 부착되는 것이 견고성과 밀폐성에서 가장 효과가 좋았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커넥터는 흡입구와 배출구가 오물통이나 오물통의 덮개, 본체의 벽체에 일체형으로 부착되는 구조와 흡입과 배출구를 각각 제작, 또는 흡입구와 배출구의 일체형을 별도로 제작하여 오물통이나 덮개, 벽체에 추가로 조립하여 사용하는 것도 포함된다. 또한 커넥터의 부착위치는 오물통이나 오물통의 덮개 어느 곳이든 무방하다. 흡입구와 배출구가 일체형이거나 분리된 것도 포함된다. 배변처리기의 오물통체결방식과 씰링재의 마감 방식은 조립방향이 제시된 상하방식의 조립도면예에 한정되는것이 아니라 수직, 수평방향 어느쪽이든 해당된다.
환자의 안정을 위하여 쾌적하고 조용한 병실의 유지를 위하여 흡입 모터의 운전 소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별도로 발명된 싸일런스를 이용하여 해결하였다. 싸일런스의 구조는 여러 가지의 모양을 구현이 가능하지만 원리는 동일하다. 즉, 동일한 원리에서 디자인의 변경만으로 본 발명의 예외대상이 될 수는 없다. 적시된 싸일런스는 사일런스의 기능만을 가지게 할 수도 있고, 활성탄필터를 동시 장착하여 탈취필터와 역할을 겸할 수도 있다.
사일런스에 사용되는 재료는 PP,PE,PET,알미늄등으로 제작된 부직포나 판상을 여러겹으로 적층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방사된 원형이나 사각등의 성형체 또는 소결된 필터를 사용하는것도 포함된다. 탈취재료는 활성탄,제올라트,세라믹등 탈취가 가능한 재질의 분말을 사용하여도 효과는 있으나 성형된 형태 압축 활성탄을 적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이때 탈취필터의 탈취필터와 오물통사이에 습기를 제거하는 필터나 기구의 장착시 탈취필터의 수명은 현저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사일런스는 소음과 탈취력을 가지는 필터의 본연의 기능 이외에 필터의 압축강도와 치수의 변화로 진공펌퍼의 배출공기량을 조절하여 집뇨부의 흡입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조절기능이 가능하다. 이런 사일런스는 단독사용이나 직열 또는 병열의 구조로 장착이 병열의 구조로 장착가능하다. 이때는 탈취와 소음기능은 분리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탈취와 소음기능이 복합된 필터를 병열로 사용 가능하다. 가장 이상적인 인체공학적인 집뇨부의 제공을 위하여 사출물이 신체에 직접적으로 닿는 부위를 최소화하고 그 주변을 부드러운 천소재로 마감하여 착용시 거부감을 최소화하였다. 배설물이 흡입되는 유로의 형상은 기존제품들은 수평적 흡입으로 정상적인 흡입이 일어나지 않아서 많은 양의 물을 분사하면서 물과 배설물이 침대주변에 누설 되거나 오랜시간 고압으로 흡입하여 환자의 탈장에 대한 우려가 높았다. 이런 결점의 보완하기 위하여 모터부의 배출 공기를 집뇨부로 순환시키기 위하여 흡입관은 고압의 흡입에 견딜 수 있는 경질재료를 사용하였고 동일한 배출관을 집뇨부에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환자가 집뇨부의 착용시 연결호스가 비대해지고 딱딱해져 아주 많은 불편함으로 작용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가존의 제품들과 달리 사일런스의 장착과 함께 바닥면을 곡면으로 설계하여 배설물이 중앙으로 모이는 구조의 유로를 만들고,하부에서 흡입되는 구조로 낮은 흡입력에도 쉽게 흡인되는 구조를 가지면서 착용에 불편함이 없는 상태로 환자들의 체위변화를 용이하게 만들어 주는 구조의 집뇨부를 제공한다. 또한 좀 더 편안한 착용감의 제공하기 위하여 집뇨부의 양측에 지지부를 부착하여 환자의 착용시 안정감과 편안함이 높아지며, 이 때 양측의 지지부는 각각 15cm를 넘지 않는 구조가 착용했을때 편암함이나 환자의 신체의 위치교환시 불편함이 없다. 환자들이 집뇨부의 착용이 간편하고 착용후 착용감을 저해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집뇨부와 본체오물통을 연결하는 ø30이상의 오물관과 욕창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 공급용도와 오물을 처리하는 흡입압력에 의한 탈장을 방지하기 위하여 부착하는 ø30이상의 송풍관, 비데수와 세척수를 공급하는 각각의 호스와 센서의 동작을 구현해내기 위한 전선들로 인하여 집뇨부의 착용시 불편하고 거부감을 느끼는 구조물로 느껴지게 만드는 폐단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사일런스의 장착으로 흡입압력의 조절이 가능해지고, 필요한 최소한의 공기만을 공급하여도 기능이 유지되는 환경이 조성되어 오물과 이외의 모든 호스류는 ø10이하로 축소가 가능해지고, 오물관 역시 흡입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연질의 호스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뇨부와 연결된 오물관과 오물통을 탈부착하는 방법으로, 간병인 또는 사용자가 오물통을 들어올리면 탈착이 되며, 정위치 올려 두는 것만으로 장착과 밀폐가 이루어지는 아주 간편한 탈부착 방식을 제공한다. 또한 기존의 시판된 환자용 배변처리장치의 집뇨부와 오물통 연결시 좌우 방향으로 체결되어있어, 오물 폐기시 본체 내부에 잔존하거나, 또는 본체 내부에 떨어져 악취와 오염을 일으키는 원인이되지만 기존의 좌우 방향 연결이 아닌 상하 방식의 연결을 통하여 이를 방지할 수 가 있다. 또한 오물통의 분리와 체결을 위하여 필요했던 구동모터나 전기장치, 볼트 넛트 구조의 나사, 누름스위치등이 필요 없어짐으로써 간편조작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하게되어 간병인과 간호사등 사용자의 사용편의성에 최적화 설계가 되었음은 물론 경제적인 제품생산이 가능해졌다.
작동부 중 소음이 가장 심하게 발생하는 곳인 모터의 바람배출구에 단순한 honeycomb필터만을 삽입한 필터들을 사용해서 배출하는 기존의 제품들과는 달리 부직포등과 필터성분으로 구성된 압축 사일런스를 통하여 배출함으로써 진공펌프의 배출량을 제어하여 흡입압력의 조절 및 소음은 물론 탈취까지 한 번에 해결이 가능하다. 또한 환자의 욕창등 피부병을 방지하기 위하여 송풍되는 호스의 굵기가 가늘어 짐으로써 집뇨부의 착용시 불편함이 최소화 된다. 또한 모든 냄새공기가 사일런스를 통하여 배출되게 함으로서 병실내로 배출되는 악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그리고 집뇨부의 경우 기존 시판된 환자용비데의 집뇨부 구조를 살펴보면 입체형이 아닌 평면상에서 수평으로 흡인되는 구조여서 운전후에도 집뇨부에 잔변이 남아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터에서 흡입하는 압력이 보호하는 구조없이, 착용자의 회음부 정면에 노출 되어있어, 탈장등의 다른 2차 문제를 발생요인이 된다. 이를 해결하고자 사일런스를 이용한 흡입압력의 조절과 함께 집뇨부 구조의 변경을 통하여 흡입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서도 흡입력은 올려주고 착용자의 탈장등의 위험 요소를 제거하는 구조로 해결하였다.
또한, 본 발명 커넥트의 상부재와 하부재 사이는 씰링재가 개제되되, 상기 씰링재는 상기 씰링재홈에 삽입되는 단면이 둥근부분과 상기 둥근부분에서 돌출되는 돌출편으로 이루어져서 상부재와 하부재를 결합할시 상기 돌출편이 수평하게 상기 외부재의 1수평부위에 안치되어 기밀성을 확보하며, 상부재와 하부재를 분리할시도 용이하게 하부재 1수평부에서 이탈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집뇨부 110 : 배출공
120 : 지지부
200 : 배변처리기 210 : 케이스
220 : 오물처리부 221 : 오물통
222 : 커넥터 222-1 : 흡입커넥터
222-1a : 흡입커넥터상부재 222-1b : 흡입커넥터하부재
222-2 : 습기배출커넥터 222-2a : 습기배출커넥터상부재
222-2b : 습기배출커넥터하부재
223 : 흡입모터
223-1 : 제습필터 224 : 사일런스
225 : 공기배출관
230 : 물공급부 231 : 물탱크
232 : 워터펌프 232-1 : 워터필터
233 : 흡입모터 234 : 출수공
240 : 뚜껑

Claims (4)

  1. 환자가 배변을 볼 수 있는 집뇨부(100)와, 상기 집뇨부(100)에 연결되며 배변을 처리하는 배변처리기(2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처리기(200)는 케이스(210)와, 상기 케이스(210) 내부에 설치되어 집뇨부(100)의 오물을 처리하는 오물처리부(220)와, 상기 오물처리부(220)의 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뇨부(10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2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오물처리부(220)는 집뇨부의 오물을 흡입하여 보관하는 오물통(221)과, 상기 케이스(210)에 설치되되, 집뇨부(100)의 배출공(110)과 배관으로 연결된 흡입커넥터(222-1) 및 오물통(221) 내부에서 발생한 습기를 배출하는 습기배출커넥터(222-2)가 형성된 커넥터(222)와, 상기 커넥터(222)의 습기배출커넥터(222-2)와 연결되어 오물통(221)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케이스(210)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모터(22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222)는 흡입구(222-1)와 습기배출구(222-2)가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222)는 ‘ㄱ’ 형상의 상부재(222-3)와 ‘ㄴ’ 형상의 하부재(222-4)가 결합 내지 분리되며 전체적으로 ‘
    Figure pat00003
    ’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오물처리부(220)에는 상기 커넥터(222)의 습기배출커넥터(222-2)와 연결되어 오물통(221)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는 제습필터(223-1)가 구비된 흡입모터(223)와, 상기 흡입모터(223)와 연결되어 습기가 제거된 공기가 유입되는 사일런스(224)와, 상기 사일런스(224)와 연결되며 습기가 제거된 공기를 케이스(21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케이스(210)에 설치되는 공기배출관(22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KR1020170061869A 2017-05-18 2017-05-18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KR10202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869A KR102027643B1 (ko) 2017-05-18 2017-05-18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869A KR102027643B1 (ko) 2017-05-18 2017-05-18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871A true KR20180126871A (ko) 2018-11-28
KR102027643B1 KR102027643B1 (ko) 2019-11-04

Family

ID=6456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869A KR102027643B1 (ko) 2017-05-18 2017-05-18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6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023A (ja) * 2004-11-05 2006-05-25 Kansai Seiki Kogyo Kk 排尿補助装置
KR20090078040A (ko) * 2008-01-14 2009-07-17 이동일 분뇨 수집장치
KR100942215B1 (ko) * 2009-08-11 2010-02-11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누설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JP2016022367A (ja) * 2014-07-24 2016-02-08 株式会社リバティソリューション 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0023A (ja) * 2004-11-05 2006-05-25 Kansai Seiki Kogyo Kk 排尿補助装置
KR20090078040A (ko) * 2008-01-14 2009-07-17 이동일 분뇨 수집장치
KR100942215B1 (ko) * 2009-08-11 2010-02-11 주식회사 큐라코 배설물 누설이 방지되는 자동 배설물 처리 장치
JP2016022367A (ja) * 2014-07-24 2016-02-08 株式会社リバティソリューション 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643B1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3486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1299185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US20030181880A1 (en) Self cleaning garment with portable cleaning apparatus suitable for incontinent individuals and the like
TWI558389B (zh) Waste disposal device and method thereof
KR101679751B1 (ko) 배변 처리장치 장착 전동침대
JP5679493B2 (ja) スマートな介護用排泄物処理装置
WO2009015542A1 (fr) Dispositif automatique apportant des soins à un patient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JP2003514620A (ja) とりわけ寝たきりの人用のトイレット装置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US20220370231A1 (en) Wearable waste removal and cleansing apparatus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JP4502973B2 (ja) 装着型排泄装置
KR101771472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와변기 모듈
KR101052024B1 (ko) 대소변 배출기
KR101713547B1 (ko)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JPWO2005041829A1 (ja) 排泄物処理装置
KR20090078139A (ko) 개량 기저귀를 포함하는 분뇨수집장치
KR20100003849U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20120091682A (ko) 배설물 처리장치
KR20180126871A (ko) 환자용 배변처리장치
JP4841117B2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06000288A (ja) 排泄物処理システムおよびオム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