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498A - 기록 헤드 및 공급 탱크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 - Google Patents

기록 헤드 및 공급 탱크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498A
KR20180126498A KR1020187028586A KR20187028586A KR20180126498A KR 20180126498 A KR20180126498 A KR 20180126498A KR 1020187028586 A KR1020187028586 A KR 1020187028586A KR 20187028586 A KR20187028586 A KR 20187028586A KR 20180126498 A KR20180126498 A KR 20180126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signal
controller
supply ta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레스 슬로미애니
Original Assignee
이비에스 잉크 제트 시스템 지엠비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비에스 잉크 제트 시스템 지엠비에이치 filed Critical 이비에스 잉크 제트 시스템 지엠비에이치
Publication of KR2018012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4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6Means for regulating the pressure in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5Tape printers; Label print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는 기록 헤드를 가지며, 이는 a) 잉크 액적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 b) 상기 출구 개구에 연결되는 프린팅 메커니즘, c) 공압 펌프 및 d) 전기 제어장치를 포함한다. 그것은 출구 개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탱크를 갖는다. 공급 탱크는 커플링 영역에서 기록 헤드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록 헤드에서, 제1 압력 센서는 압축-공기 라인에 배열되며, 이는 압축-공기 라인 내의 공기 압력을 검출하고 공기 압력 신호를 컨트롤러에 출력한다. 제2 압력 센서는 잉크 라인에 배열되며, 이는 잉크 라인 내의 압력을 검출하고 잉크 프린팅 신호를 컨트롤러에 출력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잉크 프린팅 신호가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10% 초과만큼 감소하는 경우, 잉크 비어 있음" 신호를 출력한다.

Description

기록 헤드 및 공급 탱크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
a) 정면에서의 잉크 액적들(droplets)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 b) 출구 개구에 연결되는 메커니즘, c) 공압 펌프 및 d) 전기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기록 헤드와, 출구 개구를 통해 흐르는 유체, 예를 들어 잉크, 안료 또는 용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탱크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로서, 공급 탱크는 커플링 영역에서 기록 헤드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 내에 존재하는 백(bag)을 포함하되, 그러한 백 내에 유체가 수용되고 커플링 영역을 가로질러 통과되는 잉크 라인을 통해 프린팅 메커니즘에 연결되며, 공압 펌프는 압축-공기 라인을 통해 하우징과 백 사이의 공간에 연결됨에 따라 과압(overpressure)으로 상기 공간을 가입한다.
본 발명은 바람직하게는 핸드-헬드 장치들 형태의 그러한 잉크 젯 프린터들에 관한 것이며(예를 들어 WO2013/120702 A1을 참조), 그것은 또한 고정식 장치들로 이용될 수 있다(EP 1 064 153 B1을 참조). 핸드 헬드 장치들은 자급식이며, 그들은 예를 들어, 무선 스크류드라이버들과 같은 전압 공급원, 특히 축전지를 구비한다. 고정식 장치들의 경우, 전압 공급은 일반적으로 예를 들어 정규 전기 그리드를 통해, 외부로부터 이루어진다.
프린팅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유체는 공급 탱크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WO 2013/120702 A1을 참조하며, 그 개시는 본 출원의 개시에 완전히 통합되고 이러한 측면에서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실제 동작에서, 공급 탱크는 유체가 가압되는 동안, 일정하게 소비되며, 따라서 특정 수의 가압 사이클들 후에 공급을 고갈시킴에 따라, 상당히 빈번하게 교체되도록 요구된다. 따라서, 공급 탱크는 그것이 쉽게 대체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것은 커플링 영역에서 기록 헤드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분리될 때, 잉크 라인 및 압축-공기 연결은 차단될 것이다.
유체를 수용하는 내부 백을 갖는 공급 탱크 및 공급 탱크의 백과 하우징 사이에 위치되는 압축-공기 공간은 가압 절차를 위해 요구되는 유압이 각각 공압에 의해 달성되거나 달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유체는 통상적으로 침전물들(deposits) 등이 형성될 수 있는, 추가 압력 유압 펌프를 통과하지 못한다.
이전에 공지된 잉크 젯 프린터의 단점은 백 내의 잉크 공급이 부족함에 따라, 프린트 이미지가 열화된다는 것이다. 잉크 공급이 부족하다는 간단한 증거가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적절한 시간에 잉크 비어 있음(emptiness) 신호를 제공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비어 있음 신호가 생성될 수 있는 상술한 유형의 잉크 젯 프린터를 추가로 개발하는 것이다. 이것은 간단한 수단의 사용에 의해 수행되어야 한다. 비어 있음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프린트 이미지의 열화 전에 출력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제1 압력 센서가 압축-공기 라인의 기록 헤드에 연관되며, 이는 압축-공기 라인 내의 공기 압력을 검출하고 공기 압력 신호를 컨트롤러에 공급하고, 제2 압력 센서가 기록 헤드 내의 잉크 라인에 연관되며, 이는 그 내에서 잉크 라인 내의 압력을 검출하고 잉크 프린팅 신호를 컨트롤러에 제공하고, 컨트롤러가 잉크 프린팅 신호가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3% 초과, 바람직하게는 5% 초과만큼 감소될 때 "잉크 비어 있음" 신호를 출력한다는 점에서 청구항 1항의 전제부의 특징들로부터 시작하는 문제를 해결한다.
본 발명은 공압 펌프에 의해 생성되는 압력 및 그 안에 생성되고 잉크 라인에 제공되는 상기 압력 둘 다를 검출하고 그들을 서로 비교하는 것을 제안한다. 그 점에 있어서, 시작 신호는 충분한 잉크가 이용 가능한 정규 동작 동안의 값인, 2개의 압력 값들의 비율이다. 정규 동작 동안, 압축-공기 라인 내의 공기 압력은, 공기 압력의 작은 부분이 백 등을 접기 위해 사용됨에 따라, 잉크 라인 내의 유체 압력보다 약간 더 높다. 정규 동작 동안, 공기 압력 신호 및 잉크 프린팅 신호의 비율이 결정되고 기준 값(base value)으로서 기록될 것이다. 잉크 프린팅 신호가 감소하면, 그것은 잉크 공급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점에 있어서, 백의 비움이 증가함에 따라, 더욱더 많은 공기 압력 에너지가 백을 접기 위해 요구될 것이며, 이는 잉크 압력의 손실을 야기한다. 특히, 잉크 라인 내의 압력이 감소함으로써 백은 본질적으로 압출된다. 본 발명은 "잉크 비어 있음"의 비어 있음 신호가 프린트 이미지의 열화 전에 이미 출력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것은 공기 압력이 항상 충분하도록, 특히, 공기 압력 신호가 본질적으로 일정하도록 잉크 프린팅 신호와 독립적으로 공기 압력 신호를 감시한다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압축-공기의 불량 공급이 또한 검출될 수 있다. 잘못되게 표시된 값들이 회피될 수 있다.
공압 펌프 내의 공기 압력의 생성으로부터 압축-공기 라인이 커플링 영역을 통해 통과하는 위치로 시작하는 공기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공압 펌프 자체 내의 공기 압력들을 결정하는 것은 공압 펌프가 그러한 결정을 제공하지 않는 한, 노력을 수반한다. 따라서, 공압 펌프와 압축-공기 라인이 커플링 영역을 통과하는 위치 사이를 측정하는 것이 유리하다. 측정은 압축-공기 라인이 원활하게 액세스될 수 있는 곳에서 행하여진다.
실제 실시예에서, 압축-공기 라인은 커플링 영역에서 종료된다. 커플링 영역은 외부에 위치된 가스켓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축-공기 라인의 별도의 단일 커플링이 요구되지 않을 것이다. 공급 탱크의 외부 표면은 공급 탱크의 압축-공기 공간을 제한한다. 기록 헤드에 연결되지 않은 공급 탱크의 경우, 기밀 하우징과 백 사이의 공간은 외부를 향해 개방된다.
본 발명은 측정을 위해 요구되는 모든 동작들이 기록 헤드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모든 센서들은 기록 헤드에 위치된다. 공급 탱크로의 개입들이 요구되지 않는다. 공급 탱크는 그것이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계속 사용될 수 있다.
압력들의 결정을 위한 센서들로서, 통상 사용되는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센서들, 예를 들어 피에조 소자들, 압력 게이지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잉크 프린팅 신호가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감소하도록 요구되는 정도는 "잉크 비어 있음"을 신호할 때까지, 가변적이고 백의 강성, 가압 공간들의 크기 등 각각에 따라 적응 및 선택될 수 있다. 그것은 컨트롤러에 의존하며, 그 기간(time span) 내에서 신호는 실제로 잉크 압력 신호의 제1-시간-감소 이후 출력될 것이다. 평균값이 신호 "잉크 비어 있음" 이 출력될 때까지, 특정 기간(duration of time), 예를 들어 수초에 걸쳐 취해질 것이라는 점은 전적으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의의 간섭들에 의해 야기되는 단기 이벤트들은 배제될 수 있다.
그것은 잉크 프린팅 신호가 0보다 더 큰 시간의 범위(span), 특히 적어도 0.5초 내지 3초 동안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감소하기 전에 컨트롤러에서 비어 있음 신호 "잉크 비어 있음" 이 출력되지 않는 것이 유리하다.
그것은 개별 커플링 수단, 예를 들어 기계적 커플링 및 유체 커플링을 서로 결합하고 그들을 단일 커플링으로 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들 및 특징들은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될, 비 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본 발명의 두 실시 예들의 이하 설명뿐만 아니라 나머지 청구항들로부터 도출될 것이다.
도 1은 메인 프레임 및 이로부터 이격되는 공급 탱크를 갖는 조립도로서의 잉크 젯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리 평면(parting plane)에서 보았을 때, 공급 탱크 상으로의 축 방향에서의 도면이다,
도 3은 분리 평면으로부터 그리고 도 2에 대향하여 사시적으로 보았을 때, 메인 유닛 상으로의 축 방향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와 같은 단면 평면을 따라 보았을 때, 제2 실시 예의 공급 탱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 예를 위한 메인 유닛의 단부 피스에 대한 도 3에서의 V-V와 같은 단면도를 따라 보았을 때, 부분 단면 이미지이다.
두 실시 예들에 따르면,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는 핸드-헬드 장치로서 설계된다. 그것은 메인 유닛(20)을 포함하며, 이는 본 명세서에서 본질적으로 부착 핸들(22)을 갖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도 1에서, 정면(24)은 메인 유닛(20)의 우변에 위치되며, 여기서 수개의 잉크(49) 출구 개구들(26)이 제공된다. 잉크의 토출은 화살표(28)에 따른다. 프린팅은 바람직하게는 잉크 액적들로 행하여진다. 핸들(22)에서, 전압 공급부(30)가 수용되며, 축전지로서 표현된다. 그것은 전체 동작 절차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CON(32)과 연결된다. 핸들(22)에서, 해제 버튼(38)이 장착되며, 이를 통해 가압 절차가 개시될 것이다.
도 1에서, 메인 유닛(20)에 인접한 좌변 상에, 공급 탱크(40)는 분리 평면(parting plane)에 의해 분리되어 위치된다. 공급 탱크는 그 자체의 하우징을 갖는다. 공급 탱크는 디스크의 형상을 갖는 평탄 용기벽(42)에 의해 그리고 기밀 캡(44)에 의해 제한된다. 둘 다는 서로 기밀하게 접합된다. 그 제한된 내부 공간은 홀을 통해 외부와 연통한다. 홀(46)은 용기벽(42)에 위치된다.
잉크(49)를 위한 백(48)은 공급 탱크(40)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백은 접이식, 얇은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 필름으로 이루어진다. 백의 내부 용적은 잉크(49)의 충전에 따라 가변하며, 백은 유체, 예를 들어 잉크(49)로만 충전되고, 단지 제2 커플링 부재(50)를 통해 외부 환경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커플링 부재(50)는 소켓으로 설계되고 메인 유닛(20)에서 분리 평면으로 횡으로 돌출하고 커넥터로서 형성되는 제1 커플링 부재(52)와 협력한다. 2개의 커플링 부재들(50, 52)은 접합 상태에서, 유체-기밀 연결을 허용한다. 2개의 커플링 부재들(50, 52)은 축(54)에 대해 회전 대칭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커플링 부재(52)는 메인 유닛(20) 내에서, 본 명세서에서 잉크 튜빙(tubing)으로 형성되는 잉크 라인(56)에 연결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백(48)의 내부 공간은 2개의 커플링 부재들(50, 52)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배타적으로 액세스 가능하다. 2개의 커플링 부재들(50, 52) 및 잉크 라인(56)은 잉크 공급 라인을 형성하며, 이는 커플링 영역을 분리할 때 중단된다.
제2 커플링 부재(50)는 제1 커플링 부재(52)가 제2 커플링 부재(50)에 위치되지 않으면, 그것이 자체-밀봉되도록 형성된다. 그것에 의해, 백(48)의 내부 공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50, 52)이 개방되고 따라서 분리될 때 밀봉되는 것을 보장된다. 도 4는 각각의 자동-잠금(self-locking) 밸브를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자동-잠금 밸브는 커플링(50, 52)이 폐쇄될 때, 2개의 커플링 부재들(50, 52) 사이에 밀봉을 동시에 제공한다.
가스켓(74)이 잉크 용기(40)에 배열된다. 가스켓(74)은 용기벽(42)의 외부 림(rim)에 유지되고 따라서 캡(44)의 림에 가까이 근접하여 유지된다. 가스켓(74)은 환형의 형상이다. 대안적으로, 가스켓(74)은 메인 유닛(20)에 배열된다.
3개의 후크들이 잉크 용기(40)로부터 돌출한다. 후크들은 가스켓(74) 내에 위치된다. 적당하게 형성된 포켓들과 함께, 후크들은 기계적 커플링 장치(66, 68)를 형성한다. 포켓들은 또한 가스켓(74) 내에 위치된다. 포켓들은 제1 커플링 수단(66)에 대한 일 실시 예를 표현하며, 후크들은 기계적 커플링 장치(66, 68)의 제2 커플링 수단(68)에 대한 일 실시 예이다. 커플링 수단의 다른 실시예들이 또한 가능하다. 따라서, 커플링 수단은 예를 들어 수형 스레드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커플링 수단은 암형 스레드로서 구성될 수 있다. 그것은 또한 베이어닛 조인트(bayonet joint) 또는 스냅-인(snap-in) 연결로서 커플링 장치(66, 68)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운동학적 역 메커니즘(kinematic inverse mechanism)이 또한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에서, 운동학적 역 메커니즘에서,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기계적 커플링 장치(66, 68)의 제2 커플링 수단(68)을 형성하는 후크들은 메인 유닛(20)의 용기벽(42)에 대향하는 단부벽(64)에 배열되고, 포켓-형상의 제1 커플링 수단(68)은 용기벽(42)에 형성된다.
그것은 제1 커플링 수단(66)이 용기벽(42)에 형성되고 비-기밀로서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커플링 부재(52)는 또한 홀(46)의 기능을 맡을 수 있다. 커플링 수단(66, 68)이 기밀 방식으로 형성될 때, 그들은 가스켓(74)의 원주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열될 수 있다.
커플링 수단(66, 68)이 가스켓(74)의 원주의 외부에 배열될 때, 그것은 그들이 예를 들어 기밀 포켓들을 갖는, 기밀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이 요구된다. 이것은 가스켓(74) 내부의 정렬로 요구되지 않는다. 가스켓 외부에서, 공급 탱크(40)의 하우징은 기밀이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압 펌프(70) 또는 다른 적절한 공기 압력 생성기가 메인 유닛(20) 내에 위치된다. 예를 들어 휴대용 혈압 측정 장치들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장치들이 이용된다. 공압 펌프(70)는 컨트롤러(32)에 의해 제어되고, 컨트롤러(32)에 연결된다. 튜브로서 구성되는 출구측 압축-공기 라인(76)은 메인 유닛(20)의 단부벽(64)에 위치되는 공기 통로(72) 안으로 들어간다. 공기 통로(72)는 가스켓(74) 내부에 배열된다. 그것은 공압 펌프(70)가 턴오프될 때와 같이, 단부벽(64)과 용기벽(42) 사이의 간극(interstice)을 과압할 것이다. 이러한 간극은 홀(46) 또는 등가의 통로, 예를 들어 포켓들을 통해 잉크 용기(40)의 내부 공간과 연통한다. 따라서, 과압이 또한 내부 공간에 적용된다. 이러한 과압으로 인해, 백(48)은 압축되며, 그것에 의해 잉크(49)를 과압한다.
잉크 라인(56)은 제1 커플링 부재(52)와 프린팅 메커니즘(78)을 연결한다. 상기 프린팅 메커니즘은 출구 개구들(26)에 연관된다. 프린팅 메커니즘(78)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도시되지 않은 적어도 하나의 밸브를 가지며, 이는 예를 들어 가압 절차를 제어하고 잉크 프린트의 종래의 구성요소이거나, 잉크 액적들을 연속적으로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압 절차가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프린팅 방법들이 또한 가능하다. 잉크 용기(40) 내의 과압으로 인해, 그것은 잉크(49)가 흡입되거나 달리 운송되는 요구 없이, 잉크(49)가 적어도 메인 유닛(20) 안으로 운송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유리하게, 과압은 가압 절차를 위해 충분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압력의 추가적인 증대가 생략될 수 있다.
압축-공기 라인(76)인 제1 압력 센서(80)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압축-공기 라인은 제1 압력 센서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제1 압력 센서는 메인 유닛(20) 내의 공압 펌프(70)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 압력의 압력 값이 획득되도록 배열된다. 제1 압력 센서(80)는 컨트롤러(32)에 연결된다. 제1 압력 센서는 공기 압력 신호를 컨트롤러(32)에 출력한다.
잉크 라인(56)은 제2 압력 센서(82)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잉크 라인은 제2 압력 센서에 부착된다. 일반적으로, 제2 압력 센서는 메인 유닛(20) 내에서, 백(48)으로부터의 유체의 압력 값이 획득되도록 배열된다. 제2 압력 센서(82)는 컨트롤러(32)에 연결된다. 제2 압력 센서는 잉크 프린팅 신호를 컨트롤러(32)에 출력한다.
컨트롤러(32)는 2개의 프린팅 신호들을 처리한다. 그들은 연속적으로 또는 지정된 간격들로 서로 비교될 것이다. 신호 "잉크 비어 있음"은 잉크 프린팅 신호가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2% 초과, 결과적으로 3% 초과, 바람직하게는 10% 초과만큼 감소되는 경우, 방출될 것이다. 메인 유닛(20)에 배열되는 디스플레이(84)는 적절한 신호, 예를 들어 광 신호를 방출한다. 다른 디스플레이들이 가능하다. 백(48)에 실제로 저장되는 유체의 레벨이 상대적으로 낮아서, 그것이 가압 절차를 위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이것이 표시될 것이다. 그 다음, 가압 절차는 잠길 수 있다.
가스켓(74), 커플링 부재들(50, 52)을 포함하는 유체 커플링 및 커플링 수단(60, 68)을 포함하는 기계적 커플링으로 구성되는 설명된 배열은 커플링 영역을 형성한다. 공급 탱크(40)는 커플링 영역을 통해 기록 헤드(2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용기벽(42) 및 단부벽(64)은 축(54)에 대해 중심인 원에 의해 외부를 향해 제한된다. 이것은 실시 예들에서 표현된다.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커플링은 특정 각도 범위, 예를 들어 10°내지 40°에 걸친 회전 운동에 의해 동작된다. 기계적 커플링은 바람직하게는 그것이 실시 예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베이어닛 조인트로서 형성된다.
도 4 및 도 5에 따르면, 제2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모든 특징들을 포함한다. 제2 실시예는 다음의 추가 요소들에 의해 제1 실시예와 상이하며, 이는 다음 4개의 단락들에 진술된다:
메인 유닛(20)의 단부벽(64)에, 원형-형상의 제1 안테나(36)가 배열된다. 이것은 메인 유닛(20)에 배열되고 컨트롤러(32)에 연결되는 기본 유닛(basic unit)(34)에 연결된다. 트랜스폰더(60)의 원형-형상의 제2 안테나(58)는 용기벽(42)의 내부 표면에 부착된다. 더욱이, 제어 유닛(62)은 이러한 트랜스폰더(60)에 연관된다. 트랜스폰더(60)는 기본 유닛(34)과 협력한다. 그것은 상기 기본 유닛(34)을 위해 설계되고 이에 대해 조정된다. 기본 유닛(34) 및 트랜스폰더(60)로 구성되는 그러한 통합 유닛들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미국 제7,520,429 B2호; 미국 제4,862,160 A호 및 미국 제2009/016049 A1호를 참조한다. 기본 유닛(34) 및 트랜스폰더(60)의 그러한 유닛들은 종종 RFID 시스템으로 지칭된다. 기본 유닛(34)은 정보를 판독할 뿐만 아니라 정보를 트랜스폰더(60)에 송신하고 트랜스폰더로부터 응답들을 수신한다. 그것은 송신 및 수신 둘 다를 할 수 있다. 본 경우에서, 트랜스폰더(60)는 소위 패시브 트랜스폰더(60)이며, 그것은 전용 전압 공급원을 갖지 않는다. 그것은 또한 기본 유닛(34)에 의해 전력을 공급받는다. 양 유닛들의 안테나들(36, 58)이 바람직하게는 동축이고 본질적으로 동일한 반경 방향 연장(extension)을 갖는 것이 적합하다. 그들은 가능한 양호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것은 도면들에 표현된다.
제어 유닛(62)에서, 백(48) 내의 잉크(49)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되며, 상기 데이터는 각각 잉크(49) 또는 다른 유체 각각의 유효 날짜, 그 유형, 조성, 초기 양 및 실제 양 또는 인출된 잉크(49)의 양을 포함한다. 다른 특징들이 저장될 수 있다. 잉크(49)의 각각의 양이 공지된 경우, 그것은 상이한 잉크 용기들(40)이 동작되는 것, 즉 동작되는 동안에 그들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예를 들어, 다른 색상을 갖는 프린팅이 원하여지는 경우 요구된다. RFID 시스템들은 ISO-18000-1에 따라 표준화된다. 이러한 표준이 참조될 것이다.
명령들은 컨트롤러(32) 및/또는 기본 유닛(34)에 저장되며, 이에 대해 제어 유닛(62)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비교되고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49)의 유효 날짜가 경과된 경우, 프린팅 동작은 디스에이블되며, 그 대신, 각각의 메시지, 결국 적색의 깜박이는 표시 광이 활성화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다른 데이터가 또한 각각 처리되거나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미 상기 언급된 3개의 EP 특허 문서들 및 WO 공보를 참조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안테나들(36, 58)이 환형 디스크로서 각각 구성되고 표현되는 경우, 이것은 비-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안테나들(36, 58)은 또한 다른 형상들을 가질 수 있으며, 그들은 예를 들어, 다각형을 형성할 수 있거나, 타원형 또는 별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일한 중요한 점은 충분히 큰 내부 공간이 자유롭게 남아 있음으로써, 커플링 부재(50 또는 52)가 각각 그 내에 배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는 a) 잉크 액적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26), b) 상기 출구 개구(26)에 연결되는 프린팅 메커니즘(78), c) 공압 펌프(70) 및 d) 전기 제어장치(32)를 포함하는, 기록 헤드(20)를 갖는다. 그것은 출구 개구(26)를 통해 흐르는 유체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탱크(40)를 갖는다. 공급 탱크(40)는 커플링 영역에서 기록 헤드(2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된다. 기록 헤드(20)에서, 제1 압력 센서(80)는 압축-공기 라인(76)에 배열되며, 이는 압축-공기 라인(76) 내의 공기 압력을 검출하고 공기 압력 신호 컨트롤러(32)에 출력한다. 제2 압력 센서(82)는 잉크 라인(56)에 배열되며, 이는 잉크 라인(56) 내의 압력을 검출하고 잉크 프린팅 신호를 컨트롤러(32)에 방출한다. 상기 컨트롤러는 잉크 프린팅 신호가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10% 초과만큼 감소하는 경우, 신호 "잉크 비어 있음"을 출력한다.
본질적으로, 바람직하게 등과 같은 용어들뿐만 아니라 부정확한 것으로 이해될 가능성이 있는 상세들은 정규 값으로부터 ±5%, 바람직하게 ±2% 및 특히, ±1%만큼의 편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20 메인 유닛
22 핸들
24 정면
26 출구 개구
28 화살표
30 전압 공급부
32 컨트롤러
34 기본 유닛
36 원형-형상의 제1 안테나
38 해제 버튼
40 공급 탱크
42 용기벽
44 캡
46 홀
48 백(bag)
49 잉크, 유체
50 제2 커플링 부재
52 제1 커플링 부재
54 축
56 잉크 라인
58 원형-형상의 제2 안테나
60 트랜스폰더
62 제어 유닛
64 단부벽
66 제1 커플링 수단
68 제2 커플링 수단
70 공압 펌프, 공기 압력 생성기
72 공기 경로
74 가스켓
76 압축-공기 라인
78 프린팅 메커니즘
80 제1 압력 센서
82 제2 압력 센서
84 디스플레이

Claims (6)

  1. - a) 정면(24)에서의 잉크 액적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26), b) 상기 출구 개구(26)에 연결되는 프린팅 메커니즘(78), c) 공압 펌프(70) 및 d) 전기 제어장치(32)를 포함하는 기록 헤드(20), 및
    - 상기 출구 개구(26)를 통해 흐르는 유체, 예를 들어 잉크(49), 안료 또는 용제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탱크(40)로서, 상기 공급 탱크(40)가 커플링 영역에서 상기 기록 헤드(20)에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고, 하우징뿐만 아니라 상기 하우징에 위치되는 백(48)을 가지며, 그러한 백에 유체가 수용되고, 상기 커플링 영역을 가로질러 통과되는 잉크 라인(56)을 통해 프린팅 메커니즘(78)에 연결되며, 상기 공압 펌프(70)가 압축-공기 라인(76)을 통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백(48) 사이의 공간에 연결됨에 따라, 상기 공간을 과압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공급 탱크(40)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기록 헤드(20)에서, 상기 압축-공기 라인(76)은 상기 압축-공기 라인(76) 내의 상기 공기 압력을 검출하고 공기 압력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32)에 출력하는 제1 압력 센서(80)에 연관되고, 상기 기록 헤드(20)에서, 상기 잉크 라인(56)은 상기 잉크 라인(56) 내의 상기 압력을 검출하고 잉크 프린팅 신호를 상기 컨트롤러(32)에 출력하는 제2 압력 센서(82)에 연관되고, 상기 컨트롤러(32)는 상기 잉크 프린팅 신호가 상기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5% 초과, 바람직하게 10% 초과만큼 감소하는 경우, "잉크 비어 있음"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압력 센서는 자유롭게 액세스 가능한 상기 압축-공기 라인(76)의 튜브 영역에 배열되고/되거나 상기 제2 압력 센서는 자유롭게 접근 가능한 상기 잉크 라인(56)의 튜브의 영역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가장 확실하게 충분한 잉크(49)가 상기 백(48)에 존재하는 정규 동작에서, 상기 공기 압력 신호 대 상기 잉크 프린팅 신호의 비율이 결정되고 상기 컨트롤러(32)의 스토리지에 정규 값으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2)에서, 상기 비어 있음 신호 "잉크 비어 있음"은 잉크 프린팅 신호가 0보다 더 큰 기간 동안, 상기 공기 압력 신호와 관련하여 적어도 0.5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초 동안 특별히 감소하기 전에 출력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32) 내의 상기 공기 압력 신호는 일정하게 획득되고, 에러 신호는 공기 압력 신호가 적어도 5%만큼 종래의 값으로부터 편차되고, 0보다 더 큰 시간 범위, 상기 종래의 값과 관련하여 특히 적어도 0.5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초 동안 감소하는 경우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영역은 외부 가스켓을 포함하고, 상기 공급 탱크(40)의 상기 하우징은 용기벽(42)을 포함하되, 그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스켓 내부에 위치되고 이러한 부분은 개구를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공급 탱크(40)의 상기 백(48)과 상기 하우징 사이의 상기 공간이 액세스 가능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 젯 프린터.
KR1020187028586A 2016-04-06 2017-04-06 기록 헤드 및 공급 탱크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 KR201801264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06259 2016-04-06
DE102016106259.6 2016-04-06
PCT/EP2017/058221 WO2017174708A1 (de) 2016-04-06 2017-04-06 Tintenstrahldrucker für die beschriftung von waren mit einem schreib-kopf und mit einem vorratsbehäl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498A true KR20180126498A (ko) 2018-11-27

Family

ID=58536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586A KR20180126498A (ko) 2016-04-06 2017-04-06 기록 헤드 및 공급 탱크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25732B2 (ko)
EP (1) EP3439889A1 (ko)
JP (1) JP2019513599A (ko)
KR (1) KR20180126498A (ko)
CN (1) CN109070602B (ko)
CA (1) CA3017045A1 (ko)
EA (1) EA034632B1 (ko)
IL (1) IL262113A (ko)
MX (1) MX2018011572A (ko)
WO (1) WO20171747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0418B (zh) * 2022-11-04 2023-01-13 季华实验室 气压测量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2160A (en) 1983-12-29 1989-08-29 Revlon, Inc. Item identification tag for rapid inventory data acquisition system
US6290343B1 (en) * 1996-07-15 2001-09-18 Hewlett-Packard Company Monitoring and controlling ink pressurization in a modular ink delivery system for an inkjet printer
DE19812480A1 (de) 1998-03-21 1999-09-23 E B S Gmbh Tintenstrahldrucker für die Beschriftung von Waren
DE19906826B4 (de) * 1998-09-01 2005-01-27 Hewlett-Packard Co. (N.D.Ges.D.Staates Delaware), Palo Alto Auf Druck basierender Tintenpegeldetektor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Tintenpegels
US7520429B2 (en) 2004-03-31 2009-04-21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programmable merchandise tag
US7455395B2 (en) * 2005-07-14 2008-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nsors
US7635208B2 (en) 2007-03-21 2009-12-22 Multiway Industries Ltd. Modular utility light
CN101830123B (zh) * 2010-03-08 2012-07-18 陈亿善 手持式喷印机
US9061507B2 (en) * 2012-02-16 2015-06-23 Ebs Ink-Jet Systeme Gmbh Inkjet printer for labeling goods
JP6302255B2 (ja) 2014-01-16 2018-03-28 株式会社キーエンス カートリッジ式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EP3102416B1 (en) * 2014-02-04 2021-04-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ensor assemblies and method to identify ink leve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17045A1 (en) 2017-10-12
US20190111707A1 (en) 2019-04-18
WO2017174708A1 (de) 2017-10-12
US10525732B2 (en) 2020-01-07
MX2018011572A (es) 2019-06-17
EP3439889A1 (de) 2019-02-13
EA034632B1 (ru) 2020-02-28
CN109070602A (zh) 2018-12-21
EA201891892A1 (ru) 2019-02-28
CN109070602B (zh) 2020-10-23
JP2019513599A (ja) 2019-05-30
IL262113A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22316B2 (en) Liquid container and method for detecting remaining quantity of liquid
US7293863B2 (en) Method of filling a liquid container having a check valve and a flow path bypassing the check valve
US6435638B1 (en) Ink bag fitment with an integrated pressure sensor for low ink detection
EP1839877B1 (en) Ink cartridges and inkjet printer
US6644794B1 (en) Collapsible ink reservoir with a collapse resisting insert
US9061507B2 (en) Inkjet printer for labeling goods
US8955720B2 (en) Container for flowable substances and dispensing apparatus
EP2990209B1 (en) Liquid cartridge
CZ2000647A3 (cs) Zařízení pro skladování a čepování piva a jiných nápojů obsahujících oxid uhličitý a způsob čepování nápojů
US9469119B2 (en) Liquid cartridge
US7086722B2 (en) Ink cartridge
US6360795B1 (en) Device and arrangement for filling an ink reservoir
KR20180126498A (ko) 기록 헤드 및 공급 탱크를 갖는 상품들의 라벨링을 위한 잉크 젯 프린터
US9868291B2 (en) Tank
US11072183B2 (en) Cartridge and liquid ejection system
JP2009119853A (ja) 液体収容容器
KR101701672B1 (ko)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JP5018290B2 (ja) 液体検出装置及び液体収容容器
JP2006008139A (ja) 液体収容容器
JP6390242B2 (ja)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消費システム
JP2007118208A (ja) 液体噴射装置
JP2008207556A (ja) 液体収容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