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672B1 -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 Google Patents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1672B1
KR101701672B1 KR1020160025656A KR20160025656A KR101701672B1 KR 101701672 B1 KR101701672 B1 KR 101701672B1 KR 1020160025656 A KR1020160025656 A KR 1020160025656A KR 20160025656 A KR20160025656 A KR 20160025656A KR 101701672 B1 KR101701672 B1 KR 101701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cassette
case
ink pack
cush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5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6246A (ko
Inventor
김우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전오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전오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전오티에스
Publication of KR20170006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21Ink jet for multi-colou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관한 것으로, 잉크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잉크 팩과, 상기 잉크 팩을 지지하여 상기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잉크 팩 카세트와; 상기 복수의 상이한 컬러를 갖는 잉크 팩 카세트를 지지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외부에 마련된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대응하여 마련된 커넥터부와; 상기 각 커넥터부와 상기 각 잉크 팩 카세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 량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목표 잉크량을 수용하는 쿠션 탱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 사이를 잉크의 흐름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고,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의 잉크 공급라인을 착탈할 수 있어 잉크 카트리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Eco Continuous Ink Supply Box}
본 발명은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칼라 잉크를 저장하여 프린터에 공급할 수 있는 4색 잉크 팩 카세트 장치의 구조를 개선한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또는 플로터는 컴퓨터 등의 IT기기와 연결하여 원하는 이미지, 문자 등을 출력(Printing)을 위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며, 이러한 프린터 등에는 이미지, 출력 등을 형성하기 수단으로 잉크가 필요로 하게 되고 잉크를 공급하여야 원하는 이미지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프린터 등에는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카트리지 등의 부수적인 기기들이 갖추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프린터에 대한 잉크 공급 방식은 크게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는 카트리지를 직접 프린터에 장착하여 공급하는 방법과, 프린터에서 소모되는 잉크를 카트리지에 의존하지 않고 외부에서 잉크를 별도로 직간접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잉크젯 프린터에는 잉크를 공급하는 카트리지와 프린터에서 잉크를 토출하는 노즐이 구비되어 있으며, 카트리지에서는 일정량의 소량의 잉크만이 충전되어 있어서 충전된 잉크가 완전히 소모될 경우에는 이를 새로운 카트리지로 교체 사용하여야 한다.
한편, 카트리지에 저장되어 있는 잉크의 양은 극히 미량이어서 사용시간이 길지 않으며 가격도 고가이어서 새로운 카트리지를 구입하기보다는 사용이 완료된 카트리지에 잉크를 재충전하여 사용하고 있으나, 카트리지에 충전 가능한 잉크의 양이 무척 적어 사용기간이 짧아, 사용상 많은 불편함이 발생된다.
또한, 프린터는 흑백 프린터와 컬러 프린터로 대별될 수 있다. 흑백 프린터는 통상 원통형의 카트리지 내부에 흑색의 글자 등을 형성할 수 있는 흑색 가루만을 포함하고 있다. 반면, 컬러 프린터에서 인쇄물에 컬러 효과를 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4 종류의 색인 청록색(C : Cyan), 황록색(Y : Yellow), 심홍색(M : Magenta) 및 흑색(K : Black)을 갖는 잉크가 컬러 카트리지로 공급되고 이러한 4개 색의 잉크를 공급하는 용기 등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흑백 프린터가 아닌 컬러 프린터에 잉크를 공급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즉, 컬러 카트리지를 직접 프린터에 장착하여 공급하는 방법은 널리 알려져 있는 쉽고 편리한 방법이지만, 잉크가 빨리 소모되고, 컬러 카트리지의 경우에는 어느 한 색의 잉크가 소진되면 나머지 색의 잉크가 남아 있어도 카트리지 전체를 교체해야하기 때문에 잉크 사용 비용이 크게 증대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잉크 사용 비용을 절감시키기 위하여, 잉크를 일반 용기나 팩(Pack)에 담아서 튜브 등을 포함하는 잉크 공급라인을 통해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방법인 연속 잉크 공급 장치(SIS, Continuous Ink System, / CISS, Continuous Ink Supply System, Continuous Flow System, Automatic Ink Refill System, Bulk Feed Ink System, Off-axis Ink Delivery System)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연속 잉크 공급 장치는, 등록특허 제10-1215197호와 같이, 통상 4 색을 갖는 잉크 저장 용기인 병이나 팩을 세트(이하에서 ‘잉크 연속 공급 박스’ 또는 ‘잉크 박스’라 함)로 갖추고, 이러한 잉크 공급 박스에는 4색 잉크를 수용하는 잉크 팩 카세트와, 잉크 공급 박스와 잉크 카트리지를 연결할 수 있는 커텍터를 포함하는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기술에서는 잉크 박스와 잉크 카트리지가 바로 연결되어 있으며 잉크 박스와 잉크 카트리지를 착탈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어서 잉크 카트리지를 사용하면 교체를 해야하거나 잉크 박스와 잉크 카트리지가 같이 부착되어 운반 시 부피가 커지고 설치 등의 경우에도 불편하다.
또한, 잉크 박스와 잉크 카트리지 사이를 잉크를 공급라인으로만 연결되어 잉크 팩 등이 교체시 잉크의 공급이 단절될 우려가 있다.
<기술 문헌>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20090호 (2010.02.22.)
본 발명의 목적은,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 사이를 잉크의 흐름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한 커넥터부를 구비한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의 잉크 공급라인을 착탈할 수 있어 잉크 카트리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 공급 박스 내부에 잉크 팩 카세트와 커넥터부 사이에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할 수 있는 쿠션 탱크를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잉크를 단속없이 공급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잉크 팩 카세트를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 유지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간에 쿠션탱크를 마련하여 잉크가 팩을 교체하는 과정에서도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잉크가 프린트측에서 팩측으로 역류되는 경우에도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있어서, 잉크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잉크 팩과, 상기 잉크 팩을 지지하여 상기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잉크 팩 카세트와; 복수의 상이한 컬러를 갖는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대응하여 마련된 카세트 착탈실을 구비하여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외부에 마련된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대응하여 마련된 커넥터부와; 상기 각 커넥터부와 상기 각 잉크 팩 카세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 량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목표 잉크량을 수용하는 쿠션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잉크팩 카세트, 상기 쿠션 탱크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쿠션 탱크는 상기 카세트 착탈실에 인접한 쿠션 탱크실에 배치되고, 상기 커넥터부는, 암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에 맞물리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및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각각에 수용된 잉크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마련된 흐름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팩 카세트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잉크 팩 카세트가 상기 쿠션 탱크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잉크 팩 카세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체결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쿠션 탱크는 밀폐된 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팩 카세트로부터 잉크가 유입 가능하게 상기 육면체의 바닥으로 이격 되게 상기 쿠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된 유입파이프와, 상기 유입파이프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탱크의 저장된 잉크를 프린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쿠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된 배출 파이프와, 상기 쿠션 탱크 내부는 압력실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실에 형성된 공간에 의하여 저장된 잉크의 높이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마련되어 상기 잉크 팩의 잔량을 표시하는 발신부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발신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카세트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있어서, 잉크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잉크 팩과, 상기 잉크 팩을 지지하여 상기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잉크 팩 카세트와; 복수의 상이한 컬러를 갖는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대응하여 마련된 카세트 착탈실을 구비하여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외부에 마련된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대응하여 마련된 커넥터부와; 상기 각 커넥터부와 상기 각 잉크 팩 카세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 량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목표 잉크량을 수용하는 쿠션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큐션탱크는 상기 쿠션 탱크는 밀폐된 육면체를 포함하고, 상기 잉크 팩 카세트로부터 잉크가 유입 가능하게 상기 육면체의 바닥으로 이격 되게 상기 쿠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된 유입파이프와, 상기 유입파이프보다 더 낮은 곳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탱크의 저장된 잉크를 프린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쿠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된 배출 파이프와, 상기 쿠션 탱크 내부는 압력실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실에 형성된 공간에 의하여 저장된 잉크의 높이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의하여 달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파이프는, 유입파이프 본체와; 상기 유입파이프 본체의 단부측에 원통형상의 유입 범퍼와; 상기 유입 범퍼의 하측에 개되는 범퍼 배출구와; 상기 범퍼 배출구를 개폐하는 체크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 범퍼의 하측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범퍼 배출구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범퍼외측실링부재와, 상기 유입 범퍼의 하측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범퍼 배출구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범퍼내측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 사이를 잉크의 흐름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의 잉크 공급라인을 착탈할 수 있어 잉크 카트리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 공급 박스 내부에 잉크 팩 카세트와 커넥터부 사이에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할 수 있는 쿠션 탱크를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잉크를 단속없이 공급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팩 카세트를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 유지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중간에 쿠션탱크를 마련하여 잉크가 팩을 교체하는 과정에서도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며 잉크가 프린트측에서 팩측으로 역류되는 경우에도 이를 예방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상 케이스를 뒤집어 본 사시도,
도 4는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박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
도 7a는 쿠션탱크의 사시도,
도 7b 및 도 7c는 쿠션탱크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7d는 유입파이프 중에서 체크판을 제거하고 하측에서 본 사시도,
도 7e 및 도 7f는 쿠션탱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속 잉크 공급 박스(100, 이하에서 '잉크 박스'라 함)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박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상 케이스를 뒤집어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센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공급 박스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절단 사시도이며, 도 7a는 쿠션탱크의 사시도이고, 도 7b 및 도 7c는 쿠션탱크의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며, 도 7d는 유입파이프 중에서 체크판을 제거하고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7e 및 도 7f는 쿠션탱크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상으로 상하가 넓은 직사각형이고 높이가 다소 낮고 좌우의 길이가 전후의 길이보다 긴 직육면체 형상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Z'축선으로 하고, 길이방향에 가로방향인 전후방향을 'X'방향으로 하며, 'X-Z' 평면의 가로방향을 'Y'축선으로 각각 방향을 정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크 박스(100)는, 잉크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잉크 팩(미도시)을 지지하여 상기 잉크 박스(10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하우징(미도시)을 포함하는 잉크 팩 카세트(130)와; 상기 복수의 상이한 컬러를 갖는 잉크 팩 카세트(130)를 지지하는 케이스(110)와; 상기 케이스(110) 외부에 마련된 잉크 카트리지(20)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110)의 일측에 상기 잉크 팩 카세트(130)에 대응하여 마련된 커넥터부(200)와; 상기 각 커넥터부(200)와 상기 각 잉크 팩 카세트(130)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잉크 팩 카세트(130)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20)로 공급되는 잉크 량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목표 잉크량을 수용하는 쿠션 탱크(15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10)는 잉크 박스(100)의 외관을 이루며 각 구성 부품을 지지한다. 케이스(110)는 내측에 네 개의 컬러 잉크 색을 갖는 잉크 팩 카세트(130)를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카세트 착탈실(117a)과, 각 잉크 팩 카세트(130)에 대응하여 4 개의 쿠션 탱크(150)가 배치되는 쿠션탱크실(117c)과, 각 공급라인(173, 175)이 잉크 카트리지(20)와 결합되는 커넥터부(200)가 배치된 커넥터실(117b)로 각각 격벽(117)에 의해 구분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Y' 축선을 따라 상하로 분리되고, 상측의 상 케이스(115)와, 하측의 하 케이스(113)로 분리된다. 여기서, 상 케이스(115)와 하 케이스(113)는 상호 분리되어 각 부품을 결합하는 기능을 할 수 있으면 다양한 크기로 변경이 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격벽(117)이 상 케이스(115)에 형성되어 있으나 격벽(117)이 하 케이스(113)에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 케이스(113)에는 잉크 팩 카세트(130)가 정위치에 위치하여 케이스(110)에 결합된 경우 외력에도 잉크 팩 카세트(130)가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잉크 팩 카세트(130) 또는 케이스(11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체결유지부(19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유지부(190)의 일예로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탄성부재(193)에 의하여 출몰 가능하게 결합된 스토퍼(191)와, 탄성부재(193)를 고정시키는 플러그(195)로 구성된 체결유지부(190)를 도시하였으나 본 기술적 사상을 유지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잉크 팩 카세트(130)는, 본 출원인의 출원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 이하에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잉크 팩 카세트(130)는, 컬러 프린터에서 인쇄물에 컬러 효과를 내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4 종류의 색인 청록색(C : Cyan), 황록색(Y : Yellow), 심홍색(M : Magenta) 및 흑색(K : Black)을 갖는 잉크가 각각 수용된 잉크 팩(미도시)을 지지하여 카세트 착탈실(117a)로 착탈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어 잉크 팩에 수용된 잉크를 전부 사용하면 잉크 팩 카세트(130)를 분리하고 잉크 팩을 다시 교체한 후 잉크 팩 카세트(130)를 결합하여 사용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잉크 팩 카세트(130)가 착탈하는 과정 중에서 특히 분리하는 과정에서 케이스(110)으로부터 잉크 팩 카세트(130)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와 잉크 팩 카세트(130) 사이의 케이스(110)측에 결합되어 잉크 팩 카세트(130)을 외측으로 탄성가압하는 카세트 스프링(130s)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 탱크(150)는 잉크 팩 카세트(130)와 커넥터부(200) 사이에서 잉크를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케이스(110) 내에 일종의 완충 개념의 잉크를 저장하는 곳이다. 즉, 잉크 팩 카세트(130)를 교환하는 경우와 같이 일시적으로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잉크 카트리지(20)로 잉크를 쿠션 탱크(150)에 저장된 잉크를 활용하여 잉크 카트리지(20)로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쿠션 탱크(150)에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할 수 있어 순간적으로 잉크 팩 카세트(130)를 교체하여 잉크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 등에도 잉크를 잉크 카트리지(20)로 연속적으로 잉크를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쿠션 탱크(150)에서는 일정량의 잉크가 항상 채워질 수 있도록 화장실 등에서 사용하는 소형 플로팅 스위치 등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잉크 팩 카세트(130)를 교환한 이후에서 항상 일정량의 잉크가 쿠션 탱크(150)에 자동으로 채워질 수 있다.
쿠션 탱크(150)는 미도시된 바닥을 구비하여 예를 들면 실시예와 같이 직육각형의 밀폐된 형상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원통형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쿠션 탱크(150)는, 외관을 이루고 잉크의 높이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을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합성수지를 표함하는 재질로 된 탱크 본체(151)와, 탱크 본체(151)가 케이스(11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외측에 돌출 형성된 예를 들면 T자형 단면 내지 T자형 단면이 맞물릴 수 있는 형상을 구비한 제1 및 제2 클램프(153a, 153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쿠션 탱크(150)에는 내측 공간으로 잉크를 공급하도록 쿠션 탱크(150) 상측에 결합된 유입파이프(155)와 저장된 잉크를 프린트측으로 배출시키도록 쿠션 탱크(150) 상측에 결합된 배출파이프(159)가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쿠션 탱크(150)는 밀폐되어 있고 잉크 팩(미도시)과 결합된 유입파이프(155)와 프린트측에 결합된 배출파이프(159)에 의하여 밀폐되어 쿠션 탱크(150)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내측 공간에 용기가 물속에 뒤집혀 잠긴 경우 형성되는 에어 포켓과 같이 쿠션 탱크(150) 내측의 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에 의한 압력(도 7b, 도 7e 및 도 7f의 'Fair' 참조)이 작용하는 탱크 압력실(157)이 형성될 수 있어 저장되는 잉크에 공기의 압력이 작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유입파이프(155)는, 내부가 비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원통 형상의 유입파이프 본체(155a)와; 상기 유입파이프 본체(155a)의 단부 하측에 원통형상의 유입 범퍼(155b)와; 상기 유입 범퍼(155b)의 하측에 개방되어 유입 범퍼(155b)로 유입되는 잉크가 쿠션 탱크(150) 내측으로 흐르는 통로가 되는 범퍼 배출구(155b1)와; 상기 범퍼 배출구(155b1)를 개폐하는 체크판(155c)과, 상기 유입 펌프의 하측 중앙영역에서 연장되어 하단부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체크판(155c)을 지지하는 체크판 지지부재(155d)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입 범퍼(155b)에는 유입 범퍼(155b)의 하측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범퍼 배출구(155b1)의 외측을 둘러싸며 돌출 형성된 범퍼외측실링부재()와, 상기 유입 범퍼(155b)의 하측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범퍼 배출구(155b1)의 내측을 둘러싸며 돌출 형성된 범퍼내측실링부재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7e 및 도 7f를 참조하여 잉크가 쿠션 탱크(150)에 저장되고 역류를 예방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파이프(155)로 잉크가 유입되면 유입파이프 본체(155a)를 거쳐 유입 범퍼(155b), 범퍼 배출구(155b1)를 통해 쿠션 탱크(150)의 바닥에서부터 잉크가 저장되고 점점 저장된 잉크의 높이(도 7e의 'H1' 참조)는 탱크 압력실(157)에 저장된 공기의 압력(도 7e의 'Fair' 참조)와 평형을 이루는 위치이고 배출파이프(159)를 통해 잉크가 프린터로 빠져 나가면 저장된 잉크의 높이가 낮아지고 동시에 탱크 압력실(157)의 공기 압력이 낮아져 유입파이프(155)를 통해 잉크 팩(미도시)의 잉크가 공급되어 쿠션 탱크(150)에 저장된 잉크의 높이는 잉크 팩(미도시)에서 공급될 수 있는 잉크가 있는 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만약 프린트의 높이가 잉크 팩 카세트(130)보다 휠씬 높다든지 갑작스런 외부의 충격 등에 의해 도 7f와 같이 배출파이프(159)에서 잉크가 역류하면 탱크 압력실(157)의 공기 압력을 이기고 쿠션 탱크(150)에 저장된 잉크의 높이(도 7f의 'F2' 참조)가 점점 높아지나 아주 가볍고 유연성이 있는 재질(예를 들면 실리콘)로 구비된 체크판(155c)의 잉크의 높이에 따라 상승하여 범퍼 배출구(155b1)를 막게 된다. 이 과정에서 범퍼 배출구(155b1)의 내측 및 외측의 주위로 돌출 형성된 범퍼내측 및 외측 실링부재(155b2, 155b3)은 오일시일과 같은 실링 기능을 하여 잉크가 유입파이프측으로 역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항상 일정한 잉크가 쿠션 탱크(150)에 저장될 수 있도록 하고 잉크가 불의의 사고로 역류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잉크 팩 카세트(130)의 잉크는 잉크 팩 카세트(130) - 쿠션 탱크(150) - 커넥터부(200)로 공급되고 각 부품 사이를 상호 연결하여 잉크가 흐를 수 있는 잉크 공급라인(170)으로 결합되어 있다. 잉크 팩 카세트(130)와 쿠션 탱크(150) 사이에는 상류 공급라인(173)이, 쿠션 탱크(150)와 커넥터부(200) 사이에는 하류 공급라인(175)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잉크 팩 카세트(13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의 잔량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는 수단인 발신부(183)가 구비되어 있고, 이 발신부(183)를 감지하도록 케이스(110)에 수신부(185)로 이루어져 잉크의 잔량을 감지하여 알려주는 센서부(180)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센서부(180)는 광센서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센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센서부(180)에서는 잉크의 잔량을 %로 표시할 수도 있고, 잔량이 얼마 남지 않는 경우 경보(예를 들면, 점멸등으로 점멸 표시, 팝업 등)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러한 센서부(180)에 의해 잉크의 잔량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커넥터부(200)는, 암 커넥터(230)와 상기 암 커넥터(230)에 맞물리는 수 커넥터(210)를 포함하고, 상기 암 커넥터(230) 및 상기 수 커넥터(210)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20) 및 상기 케이스(110)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암 커넥터(230) 및 상기 수 커넥터(210)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20) 및 상기 케이스(110)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암 커넥터(230) 및 상기 수 커넥터(21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암 커넥터(230) 및 상기 수 커넥터(210)에 수용된 잉크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마련된 흐름 방지 수단(213, 233)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암 커넥터(230) 및 상기 수 커넥터(210)는 상호 분리시 상기 공급라인(173, 175) 내부의 잉크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하는 흐름방지 수단(213, 233)을 구비하고, 상기 흐름방지 수단(213, 233)은 상기 암 커넥터(230) 및 상기 수 커넥터(210)가 상호 맞물려 결합한 상태에서 각각 상호 접촉하여 잉크 공급라인(170)을 통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 커넥터(210)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고 중앙에 잉크가 흐를 수 있도록 공간(미도시)을 갖는 수커넥터 본체(211)와, 수커넥터 본체(211)에 결합되어 잉크 공급라인(170)이 결합될 수 있는 수노즐(212)과, 수커넥터 본체(211)의 중앙에 결합되어 잉크의 흐름을 단속하는 수체크 볼(213)과, 수체크 볼(213)과 접촉되어 잉크의 흐름을 단속 가능하게 수커넥터 본체(211)의 중앙에 결합된 수체크볼 시트(214)와, 수체크 볼(213)을 잉크의 흐름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수체크 스프링(218)과, 암 커넥터(230)과 맞물리는 영역에서 오일의 실링을 예방하는 수시일 부재(214a)와, 수시일 부재(214a)가 결합되는 수시일 수용부(216)와, 암 커넥터(230)와 상호 결합되는 수체결부(21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암 커넥터(230)는, 도 5a 및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관을 이루고 중앙에 잉크가 흐를 수 있도록 공간(미도시)을 갖는 암커넥터 본체(231)와, 암커넥터 본체(231)에 결합되어 잉크 공급라인(170)이 결합될 수 있는 암노즐(232)과, 암커넥터 본체(231)의 중앙에 결합되어 잉크의 흐름을 단속하는 암체크 밸브(233)와, 암체크 밸브(233)와 접촉되어 잉크의 흐름을 단속 가능하게 암커넥터 본체(231)의 중앙에 결합된 암체크밸브 시트(234)와, 암체크 밸브(233)를 잉크의 흐름이 되지 않는 방향으로 탄성 가압하는 암체크 스프링(238)과, 수 커넥터(210)과 맞물리는 영역에서 오일의 실링을 예방하는 암시일 부재(234a)와, 암시일 부재(234a)가 결합되는 암시일 수용부(236)와, 수 커넥터(210)와 상호 결합되는 암체결부(235)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암체크 밸브(233)의 일측은 암체크밸브 시트(234)와 접촉되는 영역이며, 그 하측으로 연장되어 중앙에 관통된 암체크 관통홀(233b)을 갖는 통 형상이고, 통 형상의 상류측은 암체크 상단홀(233a)이 관통 형성되어 있고, 통 형상의 하류측은 암체크 하단그루브(233c)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각 체결부(215, 235)는 암수 형상의 걸림턱을 갖는 등의 다양한 방법을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 커넥터(230)와 수 커넥터(210)가 상호 암체결부(235)와 수체결부(215)에 의해 상호 맞물려 결합하면, 암체크 밸브(233)와 수체크 볼(213)이 상호 접촉되어 각 스프링(218, 238)을 밀어내면서 유로를 형성하여 잉크가 공급될 수 있다. 즉, 잉크는 우측의 암노즐(232) - 암체크 상단홀(233a) - 암체크 중앙홀(233b) - 암체크 하단그루브(233c) - 수노즐(212)의 경로로 공급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암 커넥터(230)과 수 커넥터(210)의 각 체결부(215, 235)를 분리하면, 각 스프링(218, 238)은 수체크 볼(213)과 암체크 밸브(233)를 유로를 막는 방향으로 가압하여 잉크 유로를 차단한다. 또한, 커넥터부(200)의 외관은 도 1 내지 도 2에서는 원통형으로 도시하였고, 도 6에서는 육면체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러한 형태를 선택적으로 선택할 수 있고 변형된 형상도 포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이러한 커넥터부(200)가 마련되어 잉크 카트리지(20)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박스(100)를 상호 잉크의 누설 내지 흐름 현상없이 착탈을 할 수 있어 잉크 카트리지(20)를 재활용할 수 있으면서 잉크 박스(100)에는 종래기술과 달리 외부로 노출된 별도의 잉크 공급라인을 구비할 필요없어 외관이 향상됨은 물론이고 잉크 박스(100)의 이동, 보관, 운반 등에도 용이하고 간단하고 편리하고 차지하는 공간도 적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 사이를 잉크의 흐름을 예방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와 잉크 공급 박스의 잉크 공급라인을 착탈할 수 있어 잉크 카트리지를 계속 사용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면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 공급 박스 내부에 잉크 팩 카세트와 커넥터부 사이에 일정량의 잉크를 저장할 수 있는 쿠션 탱크를 구비하여 연속적으로 잉크를 단속없이 공급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팩 카세트를 안정적으로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 유지할 수 있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00 : 잉크 공급 박스 110 : 케이스
113 : 하 케이스 115 : 상 케이스
117 : 격벽 117a : 카세트 착탈실
117b : 커넥터실 117c : 쿠션탱크실
130 : 잉크 팩 카세트 130s : 카세트 스프링
150 : 쿠션 탱크 151 : 탱크 본체
153a, b : 제1 및 제2 클램프 155 : 유입파이프
155a : 유입파이프 본체 155b : 유입범퍼
155b1 : 범퍼 배출구 155b2 : 범퍼외측실링부재
155b3 : 범퍼내측실링부재 155c : 체크판
155d : 체크판지지부재 157 : 탱크 압력실
159 : 배출파이프
170 : 잉크 공급라인 173 : 상류 공급라인
175 : 하류 공급라인 180 : 센서부
183 : 발신부 185 : 수신부
190 : 체결유지부 191 : 스토퍼
193 : 탄성부재 195 : 플러그
200 : 커넥터부
210 : 수 커넥터 211 : 수 커넥터 본체
212 : 수노즐 213 : 수체크볼
214 : 수체크볼 시트 215 : 수체결부
216 : 수시일부용부 214a : 수시일부재
218 : 수체크 스프링
230 : 암 커넥터 231 : 암 커넥터 본체
232 : 암노즐 233 : 암체크밸브
233a : 암체크 중앙홀 233b : 암체크 상단홀
233c : 암체크 하단그루브
234 : 암체크밸브 시트 235 : 암체결부
236 : 암시일부용부 234a : 암시일부재
238 : 암체크 스프링

Claims (6)

  1.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있어서,
    잉크를 수용 가능하게 마련된 잉크 팩과, 상기 잉크 팩을 지지하여 상기 연속 잉크 공급 박스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마련된 하우징을 포함하는 잉크 팩 카세트와;
    복수의 상이한 컬러를 갖는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슬라이딩 착탈 가능하게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대응하여 마련된 카세트 착탈실을 구비하여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지지 가능하게 마련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외부에 마련된 잉크 카트리지에 잉크를 공급할 수 있도록 착탈 가능하게 상기 케이스의 일측에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대응하여 마련된 커넥터부와;
    상기 각 커넥터부와 상기 각 잉크 팩 카세트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서 상기 잉크 카트리지로 공급되는 잉크 량의 공급을 연속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목표 잉크량을 수용하는 쿠션 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 내부에 상기 잉크팩 카세트, 상기 쿠션 탱크를 수용하는 공간이 구획되어 있고, 상기 쿠션 탱크는 상기 카세트 착탈실에 인접한 쿠션 탱크실에 배치되고,
    상기 쿠션 탱크는 바닥을 구비한 밀폐된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잉크 팩 카세트로부터 잉크가 유입 가능하게 상기 바닥으로 이격 되게 상기 쿠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된 유입파이프와, 상기 유입파이프보다 더 상기 바닥측에 위치하여 상기 쿠션 탱크의 저장된 잉크를 프린트로 공급하도록 상기 쿠션 탱크의 상측에 결합된 배출 파이프와, 상기 쿠션 탱크 내부는 압력실이 형성되어 상기 압력실에 형성된 공간의 공기 압력에 의하여 저장된 잉크의 높이가 유지되며,
    상기 유입파이프는, 유입파이프 본체와; 상기 유입파이프 본체의 단부측에 원통형상의 유입 범퍼와; 상기 유입 범퍼의 하측에 개되는 범퍼 배출구와; 상기 범퍼 배출구를 개폐하는 체크판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 범퍼의 하측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범퍼 배출구의 외측에 돌출 형성된 범퍼외측실링부재와, 상기 유입 범퍼의 하측의 판면으로부터 상기 범퍼 배출구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범퍼내측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암 커넥터와 상기 암 커넥터에 맞물리는 수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및 상기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고,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잉크 카트리지 및 상기 케이스 중 다른 하나에 결합되어,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로부터 분리하는 경우 상기 암 커넥터 및 상기 수 커넥터 각각에 수용된 잉크가 외부로 흐르지 않도록 마련된 흐름 방지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잉크 팩 카세트가 상기 케이스에 착탈되는 과정에서 상기 잉크 팩 카세트가 상기 쿠션 탱크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잉크 팩 카세트 또는 상기 케이스에 체결유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잉크 팩 카세트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카세트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 팩 카세트에 마련되어 상기 잉크 팩의 잔량을 표시하는 발신부와, 상기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발신부를 감지할 수 있는 수신부를 포함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잉크 공급 박스.
  6. 삭제
KR1020160025656A 2015-07-07 2016-03-03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KR101701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6830 2015-07-07
KR20150096830 2015-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46A KR20170006246A (ko) 2017-01-17
KR101701672B1 true KR101701672B1 (ko) 2017-02-01

Family

ID=5799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5656A KR101701672B1 (ko) 2015-07-07 2016-03-03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190A (ko) * 2019-10-08 2021-04-19 최정원 무한잉크장치용 공급호스 연결밸브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60Y1 (ko) * 2003-02-18 2003-05-22 정덕기 실사프린터용 잉크 연속 공급장치
KR101215197B1 (ko) * 2012-03-21 2012-12-24 김영숙 잉크공급장치 및 잉크팩 수납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3780A (ja) * 1994-01-27 1995-08-08 Chubu Bika Kigyo Kk 灌漑用水位調整バルブ
KR20140102548A (ko) * 2013-02-14 2014-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문서 출력 장치의 잉크 공급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3660Y1 (ko) * 2003-02-18 2003-05-22 정덕기 실사프린터용 잉크 연속 공급장치
KR101215197B1 (ko) * 2012-03-21 2012-12-24 김영숙 잉크공급장치 및 잉크팩 수납케이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190A (ko) * 2019-10-08 2021-04-19 최정원 무한잉크장치용 공급호스 연결밸브
KR102308794B1 (ko) * 2019-10-08 2021-10-05 최정원 무한잉크장치용 공급호스 연결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246A (ko) 2017-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7666B1 (en) Tank unit and liquid ejecting system having tank unit
US9358795B2 (en) Liquid container and liquid ejection system
KR101509359B1 (ko) 액체 주입 용기
US8678572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liquid ejecting apparatus
EP2839963B1 (en) Liquid accommodation body and accommodation body unit
TW201331048A (zh) 液體收容體、液體收容體單元及液體噴射裝置
EP2689931B1 (en) Method for injecting printing material, injection kit, and injection device
US10308031B2 (en) Tank, tank unit, and liquid ejection system
US10759178B2 (en) Liquid supply unit
JP6780237B2 (ja) 液体収容体
KR101701672B1 (ko) 친환경 연속 잉크 공급 박스
JP2012196777A (ja) キャップ、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5617731B2 (ja) 流体カートリッジ
US20180281433A1 (en) Liquid supply unit and liquid jetting device
JP2008207429A (ja) 流体収容袋
JP6838344B2 (ja) 液体収容体
CN107031193B (zh) 液体收容体以及液体喷射装置
KR20070009072A (ko) 잉크 연속 공급용 카트리지 프레임
US20240100847A1 (en) Printing-agent container and printing-agent container set
KR20170019065A (ko) 무한 리필 잉크공급장치
JP2020189456A (ja) 印刷用液体容器
KR101195050B1 (ko) 카트리지방식의 프린터 잉크 연속공급장치
JP2011218686A (ja) 流体収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