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611A - 경편기 - Google Patents

경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611A
KR20180124611A KR1020170059433A KR20170059433A KR20180124611A KR 20180124611 A KR20180124611 A KR 20180124611A KR 1020170059433 A KR1020170059433 A KR 1020170059433A KR 20170059433 A KR20170059433 A KR 20170059433A KR 20180124611 A KR20180124611 A KR 2018012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ing machine
warp
guider
needle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상지
Original Assignee
채상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지 filed Critical 채상지
Priority to KR1020170059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4611A/ko
Publication of KR2018012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6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 D04B27/08Driving device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2Warp-thread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편기 각 구성 중에서 내구성이 특히 약한 구성에 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여 편직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경편기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유닛의 좌우 운동을 전달받아 좌우 운동을 하고, 패터닝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동력을 기초로 전후 운동을 하며 경사를 안내하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를 통해 안내되는 경사를 엮어서 편직물을 제조하는 편침을 복수 개 구비하는 침상을 포함하고, 상기 침상은, 상기 침상에 늘어선 복수 개의 편침이 동시에 상승하며 상기 경사를 엮어 루프를 만들도록 상하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각 편침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을 위한 상하 구동 유닛이 상기 편침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각 상하 구동 유닛에는 그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지지 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통해, 경편기의 기본 성능은 보장하면서도 경편기의 주요 구성에 대한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직물 형성을 위한 슬라이딩 유닛 및 가이더의 전후/좌우 운동과, 편침의 상하 운동이 예상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경편기{WARP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경편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경편기 각 구성 중에서 내구성이 특히 약한 구성에 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여 편직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경편기에 관한 것이다.
천을 제조함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이 직물(織物, Woven fabrics)과 편물(編物, Knitting)이다. 특히, 직물은 제직(製織)이라는 공정으로, 편물은 편성(編成)이란 공정을 거쳐서 만들어지며, 편성은 또 다시 경편(經編)과 위편(緯編)으로 나뉜다.
상기한 경편은 직물의 경사처럼 배열된 다수의 경사를 바늘로 좌우로 엮어서 만드는 편물조직이다. 이러한 경편은 트리코트 편기(Tricot) 혹은 라셀 편기(Raschel)에 의하여 편직될 수 있다.
특히, 트리코드 편기는 캠축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guide)와, 편침(needle)과, 프레서(presser)와, 싱커(sinker)가 연동함으로써 1코스를 편성한다. 이러한 트리코트 편기는 싱글 트리코트(single tricot) 편기와 더블 트리코트(double tricot) 편기가 있는데 침상(needle bed)이 1열로 된 것이 싱글 트리코트 편기이고, 침상이 2열로 된 것이 더블 트리코트 편기이다.
그러나, 이러한 경편기의 가이드와, 프레서는 래핑과 스윙운동에 의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바, 래핑운동은 캠축 및 체인 구동에 의한 방식이므로 다양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한계가 있다.
비록, 한국 등록특허 제10-865066호 발명인 후렌치 경편기의 상부바늘 구동장치는 체인 휠의 구조를 개선한 특징이 있으나, 체인 휠을 보다 단순한 형태로 개선한 정도로서 체인 휠의 조작 및 관리의 한계점을 극복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체인 휠 방식의 경우는, 체인 휠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안전사고의 위험이 크고, 체인 휠 주위에 윤활유 등의 기름이 비산됨으로써 작업환경이 악화되고, 화재의 위험이 있다.
그리고, 패턴에 따라 적절한 체인 휠을 선택하여야 하는 바, 작업자가 각각의 패턴에 따라 적합한 체인 휠을 선택하는 것은 쉽지 않음으로 체인 휠 구성작업 시간이 오래 걸리고 체인 휠의 부피도 다양하므로 작업 공간 확보도 어려운 문제점이 존재한다.
또한, 일반적으로 경편기는 편직용 실(경사)이 가이더를 통해 안내되어 전후, 좌우로 작동되면 그 동작 사이에 편침이 상하작동을 하면서 경사를 엮어서 편질물이 편직되도록 하는 장치를 말한다.
경편기의 일반적인 작동 관계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편침이 상승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이더가 순차적으로 전방, 측방,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편침에 경사가 엮이게 된다. 그런 다음 편침이 하강하면서 경사를 잡아당기게 되고, 동시에 가이더가 원래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하나의 편직 공정이 완료되는데, 이 편직 공정이 반복되면서 원하는 사이즈의 편직물이 편직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경편기들은 가이더와 편침의 운동으로 편직물을 제조할 때 편직물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드럼(1)이 설치되고, 이 드럼(1)에 다수의 링크(2a)들이 결합되어 형성된 체인(2)이 감겨 있으며, 이 체인(2), 즉 링크(2a)의 표면을 슬라이드 유닛(3)이 움직이게 된다. 이때 체인(2)을 형성하는 각각의 링크(2a)는 그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 이 높이차에 의해 편직물의 패턴이 결정되는데, 이렇게 체인 방식으로 편직물의 패턴을 결정할 경우에는 생산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고장 발생의 확률과 부품의 마모에 의한 기계 수명의 감소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체인(2)의 링크(2a)와 접촉하는 슬라이드 유닛(3)이 있고, 지지프레임(10)은 경편기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경편기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과 구성 요소들을 지지한다. 또한, 경사빔(20)은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편직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경사(S)가 감기는 부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한계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내구성이 향상된 경편기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된 종래 기술들의 한계점을 해결하기 위해, 경편기 각 구성 중에서 내구성이 특히 약한 구성에 대해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성을 부가하여 편직물을 안정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경편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유닛의 좌우 운동을 전달받아 좌우 운동을 하고, 패터닝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동력을 기초로 전후 운동을 하며 경사를 안내하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를 통해 안내되는 경사를 엮어서 편직물을 제조하는 편침을 복수 개 구비하는 침상을 포함하고, 상기 침상은, 상기 침상에 늘어선 복수 개의 편침이 동시에 상승하며 상기 경사를 엮어 루프를 만들도록 상하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각 편침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을 위한 상하 구동 유닛이 상기 편침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각 상하 구동 유닛에는 그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지지 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상하 구동 유닛의 상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상하 구동 유닛과 동일한 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유닛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같이 상하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지지 수단과, 상기 제1 지지 수단이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슬라이딩 본체와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본체와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의 내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어링 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유닛은, 금속 재질이고 구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경편기의 기본 성능은 보장하면서도 경편기의 주요 구성에 대한 내구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직물 형성을 위한 슬라이딩 유닛 및 가이더의 전후/좌우 운동과, 편침의 상하 운동이 예상한 경로를 벗어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종래 경편기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 중 편침의 상하 구동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 중 슬라이드 유닛과 베어링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인 사전들에 의해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된 기술 그리고/혹은 본 출원의 본문에 의미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그리고 여기서 명확하게 정의된 표현이 아니더라도 개념화되거나 혹은 과도하게 형식적으로 해석되지 않을 것이다.
한편, 본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로 분리되거나, 다른 '~부'와 통합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내용에 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전체 구성을 도 3을 기초로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는 가이더(30)의 전후/좌우 운동과 그 운동 사이에 편침(60)이 상하운동을 하여 경사(經絲)를 엮음으로써 편직물이 편직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지지 프레임(10)과, 경사빔(20)과, 가이더(30)와, 패터닝 장치와, 침상(50) 및 다수의 편침(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프레임(10)은 경편기의 뼈대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경편기를 이루는 각종 부품들과 기타 구성요소들을 지지한다.
또한, 경사빔(20)은 지지프레임(10)의 상부에 복수 개가 설치되어 편직물을 제작하는데 필요한 경사(S)가 감겨 있다.
또한, 가이더(30)는 경사빔(20)으로부터 공급되는 경사(S)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가이더(30)에는 경사(S)가 통과된다. 이러한 가이더(30)는 후술할 편침(60)이 경사를 걸 수 있도록 편침(60)의 상하운동에 따라 전후/좌우 운동을 하며 경사를 공급한다.
또한, 가이더(30)는 복수 개의 슬라이딩 유닛(44)의 좌우 운동을 전달받아 좌우 운동을 하고, 패터닝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동력을 기초로 전후 운동을 하며 경사(S)를 안내한다.
또한, 패터닝 장치는 가이더(30)를 움직여 가이더(30)가 전후/좌우 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편직물의 패턴(Pattern)을 결정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패터닝 장치는 전동 모터와, 전동 모터에 동력적으로 연결된 디스크(42)와, 디스크(42)에 접촉되는 가이드롯드로 구성된다.
또한, 디스크(42)는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벨트나 체인 등을 이용해서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전동모터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는다. 이러한 디스크(42)는 외주면에 굴곡이 형성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디스크(42)는 그 전체적인 형태가 원판과 같은 모양을 취하는데, 이때 디스크(42)의 반지름은 각 지점마다 일정한 것이 아니고 각 지점마다 미세하게 다른 원판형태를 취한다. 즉, 디스크(42)의 외주면이 약간은 울퉁불퉁한 형태를 갖는 것이다. 이 울퉁불퉁한 모양을 만드는 디스크(42)의 굴곡(또는 요철)은 그냥 형성시킨 것이 아니고 편직물의 패턴 형태에 따라 정밀하게 계측하여 형성시킨다.
또한, 가이드롯드는 일단이 디스크(42)의 외주면에 접촉되고 타단이 가이더(30)에 연결되어 디스크(42)의 외주면 굴곡에 따라 가이더(30)를 움직이게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가이드롯드는 일단에 슬라이드유닛(44)이 설치되고, 이 슬라이드유닛(44)에 니들베어링이 설치되며, 이 니들베어링이 디스크(42)의 외주면 굴곡에 접촉되어 회전한다.
따라서, 디스크(42)가 회전할 때 반지름이 큰 부분의 외주면 굴곡에 니들베어링이 접촉되면 가이드롯드를 밀어서 이 가이드롯드에 의해 가이더(30)가 밀려나고, 반지름이 작은 부분의 외주면 굴곡에 니들베어링이 접촉되면 가이드롯드가 디스크(42)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가이더(30)도 디스크(4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가이더(30)가 좌우로 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편침(60)은 침상(50)에 일정간격을 이루며 설치되고 가이더(30)에 의해 안내된 경사(S)를 엮어서 편직물이 되도록 한다. 앞서 기재한 대로 가이더(30)는 패터닝 장치에 의하여 전후/좌우 운동을 하면서 경사(S)를 안내하고, 침상(50)에 늘어선 많은 편침(60)이 동시에 상승하여 경사(S)를 엮어 루프를 만들고 이 루프가 세로방향으로 연결되어 나감으로써 편직물을 완성한다.
또한, 침상(50)은 가이더(30)를 통해 안내되는 경사(S)를 엮어서 편직물을 제조하는 편침(60)을 복수 개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침상(50)은 침상(50)에 늘어선 복수 개의 편침(60)이 동시에 상승하며 경사(S)를 엮어 루프(loop)를 만들도록 상하 운동을 수행한다.
한편, 지지프레임(10)에는 텐션바(11)가 설치되어 경사빔(20)에서 가이더(30)로 안내되는 경사(S)를 지지한다.
또한, 앞서 기재한 것처럼 경사빔(20)에는 경사(S)가 감겨 있고, 편직물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경사빔(20)은 일정한 속도로 회전을 하여 경사를 공급하는데, 가이더(30)가 전후/좌우운동을 하고 편침(60)이 상하운동을 할 때 경사(S)에 갑작스럽게 큰 힘이나 충격이 가해지는 동시에 편침(60) 자체에도 과도한 장력이 가해진다. 이러한 힘을 흡수하거나 완화시켜야만 경사(S)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편침(60) 자체의 내구성도 확보할 수 있는데, 종래에는 경사빔(20)에 감속장치를 사용하여 이 문제를 해결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편침(60)에 추가적인 지지 수단을 설치하여 이 힘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도 4에 기초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세부 구조에 대해 도 4 내지 도 5를 기초로 이하에서 살펴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 중 편침의 상하 구동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 중 슬라이드 유닛과 베어링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편침의 상하 구동 유닛 및 이와 연결된 지지 수단에 대해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에 구비되는 편침(60)의 각각에는, 각 편침(60)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을 위한 상하 구동 유닛(160)이 편침(60) 각각에 형성되어 편침(60)의 상하 운동을 구동시킨다.
그리고 상하 구동 유닛(160)에는 그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지지 수단(260)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지지 수단(260)은 편침(60)의 상하 구동 유닛(160)이 안정적으로 상하 운동을 하도록 하기 위해 별도로 구비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하 구동 유닛(160)에는 그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지지 수단(260)이 연결된다.
또한, 지지 수단(260)은 상하 구동 유닛(160)의 상부와 연결되는 연결부(261)와 상하 구동 유닛(160)과 동일 형상을 갖고 이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지지부는 제1 지지 수단(262)과 제2 지지 수단(263)을 포함한다. 제1 지지 수단(262)은 상하 구동 유닛(160)에 연결된 연결부(261)와 연결되고, 제2 지지 수단(263)은 제1 지지 수단(262)이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또한, 연결부(261)는 편침(60)을 상하 구동시키는 상하 구동 유닛(160)의 상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 연결부(261)는 지지 수단(260)의 제1 지지 수단(26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편침(60)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상하 구동 유닛(160)의 상부는 하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러한 상하 구동 유닛(160) 상부에서 확장되는 형태로 연결부(261)는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지지 수단(260)은 편침(60)이 장착되는 상하 구동 유닛(160)의 상하 운동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종래에는 상하 구동 유닛(160)가 상하 운동할 때, 편침(60)에 걸리는 경사(S)의 장력으로 인해서 침상(50)에 정확히 수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을 하지 못 하였다. 경사(S)의 장력으로 인해 편침(60)은 침상(50) 면을 기준으로 정확히 수직 방향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없었고 이로 인해 편직물이 형성될 때 경편기의 고장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편침(60)의 정확한 상하 운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는 편침(60)의 상하 운동을 위한 상하 구동 유닛(160)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지지 수단(260)을 구비하고, 이를 통해 편침(60)이 좌우로 편향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하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일반적인 경편기의 경우 대량 생산 또는 대면적의 차광망 등을 생산하기 위해 그 길이가 16 내지 20미터(가이더(30)의 길이만 16미터 내외임)에 달하는데, 이러한 길이 조건으로 인해서 편침(60)이 상하 운동을 할 때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전후 방향)으로 편향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즉, 경편기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그 수직 방향인 전후 방향의 길이에 비해 상당히 길어짐에 따라, 침상(50)에 배치되는 편침(60)의 상하 운동 시에 상하 수직 방향으로 정확하게 운동이 이루어질 수 없고, 이에 따라 안정적으로 편직 과정이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부정확한 편침(60)의 상하 운동으로 인해서 편침(60) 및 편침(60)을 지지하는 피스톤 구조와 모터 등에 지속적인 손상이 가해질 수 있다.
실제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수단(260)이 구비되지 않은 일반적인 종래의 경편기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침상(50), 편침(60) 및 이를 지지하는 피스톤 구조 및 모터 등에 대한 점검 및 수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 수단(260)이 구비된 경편기를 통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편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경편기를 제공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 중에서 슬라이드 유닛 및 이에 구비되는 베어링 유닛에 대해 도 5를 기초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구성 중 슬라이드 유닛과 베어링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의 슬라이딩 유닛은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디스크(42)의 회전력을 전달 받아 좌우 운동을 수행하고, 이러한 좌우 운동이 가이더(30)에 전달되도록 하여 편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각 슬라이딩 유닛은 슬라이딩 본체(344), 니들베어링(345), 슬라이딩 레일(346) 및 베어링 유닛(347)을 포함한다.
슬라이딩 본체(344)는 슬라이딩 레일(346) 상부면을 따라 좌우 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하는 것이 종래의 슬라이딩 유닛의 문제점이었고,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편기는 슬라이딩 레일(346)의 최적의 위치에 베어링 유닛(347)을 설치하였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 레일(346)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346) 사이를 일부 통과하는 돌출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본체가 슬라이딩 레일(346)의 상부를 슬라이딩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346)의 내 측면에는 슬라이딩 본체(344)와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위한 베어링 유닛(347)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346)의 내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한 쌍의 베어링 유닛(347)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베어링 유닛(347)은 금속 재질이고 구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가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346)의 내 측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베어링 유닛(347)이 슬라이딩 레일(346)의 내 측면에 설치됨에 따라 슬라이딩 유닛을 이루는 슬라이딩 본체(344)와 슬라이딩 레일(346)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안정적으로 슬라이딩 유닛의 좌우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으로 내구성이 향상된 경편기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드럼 2 : 체인
2a : 링크 3 : 슬라이드 유닛
10 : 지지프레임 20 : 경사빔
S : 경사 30 : 가이더
42 : 디스크 44 : 슬라이드 유닛
50 : 침상 60 : 편침
160 : 상하 구동 유닛 260 : 지지 수단
261 : 연결부 262 : 제1 지지 수단
263 : 제2 지지 수단
344 : 슬라이딩 본체 345 : 니들베어링
346 : 슬라이딩 레일 347 : 베어링 유닛

Claims (5)

  1. 복수 개의 슬라이딩 유닛의 좌우 운동을 전달받아 좌우 운동을 하고, 패터닝 장치를 통해 제공되는 동력을 기초로 전후 운동을 하며 경사를 안내하는 가이더 및
    상기 가이더를 통해 안내되는 경사를 엮어서 편직물을 제조하는 편침을 복수 개 구비하는 침상을 포함하고,
    상기 침상은, 상기 침상에 늘어선 복수 개의 편침이 동시에 상승하며 상기 경사를 엮어 루프를 만들도록 상하 운동을 수행하고,
    상기 각 편침의 안정적인 상하 운동을 위한 상하 구동 유닛이 상기 편침 각각에 형성되고,
    상기 각 상하 구동 유닛에는 그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지지 수단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은, 상기 상하 구동 유닛의 상부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상하 구동 유닛과 동일한 형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하 구동 유닛의 상하 운동에 따라 상기 지지부가 같이 상하 운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상기 연결부와 연결되는 제1 지지 수단과, 상기 제1 지지 수단이 상하 운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하도록 지지하는 제2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슬라이딩 본체와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딩 본체와의 안정적인 슬라이딩 동작을 위해 상기 한 쌍의 슬라이딩 레일의 내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베어링 유닛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유닛은, 금속 재질이고 구 형상을 가지며 복수 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


KR1020170059433A 2017-05-12 2017-05-12 경편기 KR201801246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33A KR20180124611A (ko) 2017-05-12 2017-05-12 경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433A KR20180124611A (ko) 2017-05-12 2017-05-12 경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611A true KR20180124611A (ko) 2018-11-21

Family

ID=64602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433A KR20180124611A (ko) 2017-05-12 2017-05-12 경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46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75309A1 (en) Method of forming lacrosse mesh with multiple mesh sizes
EP2568067B1 (en) Method for knitting multi-layer knitted fabric, and flat knitting machine and yarn carrier used therefor
WO2011152361A1 (ja) 編針案内構造、編針、編成方法、編み地、および手袋
CN102758303A (zh) 13g全自动电脑毛圈手套编织机
JP5080113B2 (ja) 直線編機
CN103194852B (zh) 用于处理至少两个织物幅的针织机
US3303670A (en) Multi-slide guide-bar
KR20180124611A (ko) 경편기
ES8407125A1 (es) Maquina textil perfeccionada para la formacion de tejidos de varios colores y dibujos
US7251960B1 (en) Crochet galloon machine
KR200380101Y1 (ko) 크로셋 편직기의 가이드 바 동력전달장치
KR101601435B1 (ko) 경편기
US3464235A (en) Raschel warp knitting machine
CN1254038A (zh) 一种具有纬纱导杆和两个或多个经纱导杆的驱动机构的窄幅钩编针织机
KR101006133B1 (ko) 이중 편직물 제조장치
KR101310874B1 (ko) 털이 빠지지 아니하는 날개사 제조장치
GB2134142A (en) Sinker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US3469420A (en) Guide bar lapping mechanism for warp knitting machines
KR102432610B1 (ko) 환편기의 다이얼 캠 구조
CN114657687B (zh) 具有至少一个导纱器的编织机或针织机
KR101512052B1 (ko) 직조기의 위사용 구동장치
KR102306897B1 (ko) 날개사 제조 장치와 방법
US3898820A (en) Warp knit fabrics
CN103850052B (zh) 一种能选择经纱板走针方式的针织机
US3898819A (en) Warp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