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349A -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349A
KR20180124349A KR1020170058685A KR20170058685A KR20180124349A KR 20180124349 A KR20180124349 A KR 20180124349A KR 1020170058685 A KR1020170058685 A KR 1020170058685A KR 20170058685 A KR20170058685 A KR 20170058685A KR 20180124349 A KR20180124349 A KR 201801243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multifunctional
mode
storage system
purify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6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5153B1 (ko
Inventor
김동욱
박찬정
권선덕
윤병수
이동훈
백인규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86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5153B1/ko
Priority to EP18797864.8A priority patent/EP3622856A4/en
Priority to PCT/KR2018/005460 priority patent/WO2018208129A1/ko
Priority to US16/609,139 priority patent/US11320158B2/en
Priority to CN201880031171.7A priority patent/CN110621195A/zh
Publication of KR20180124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5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5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7/00Chests; Dressing-tables; Medicine cabinets or the like; Cabinet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dra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06F71/34Heating arrangements; Arrangements for supplying or removing steam or other gas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stationary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수납공간(120)을 제공하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여과부(720)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부(7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선택적으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지 않는 제 1 모드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지 않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A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capable of purifying outdoor air}
본 발명은 외기의 공기 청정과 수납공간 내부의 공기 청정이 선택적으로 모두 가능하도록 공기 청정부에 가변 유로가 구비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공한다.
내부에 의류, 이불, 각종 생활 용품 등을 수납하는 일종의 캐비닛(cabinet)인 옷장, 수납장 또는 의류관리기 등에 있어서, 사용자가 해당 물품을 직접 사용하는 동안 그 물품에 묻은 먼지 등의 오염물질이나 악취물질 등이 해당 물품의 수납 시에는 수납공간에 그대로 방출된다. 특히, 도어 등을 닫아서 수납공간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내부에 스팀을 분사하거나 별도의 팬으로 공기를 강제 순환시키는 경우 수납공간 내부에 방출되어 부유하는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은 다른 물품에도 악영향을 준다.
따라서, 수납공간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필터가 구비되기도 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5240호는 폐루프(closed loop) 방식의 공기정화모듈을 구비시켜, 도어를 닫아 수납공간을 밀폐시킨 상태에서 수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정화시킨 후 다시 수납공간 내부로 토출시키는 구조를 채택한다.
이 경우, 수납공간 내부의 공기만을 계속 순환시키도록 공기정화모듈이 작동하기에, 외기를 정화시키는 각별한 기능을 갖지는 않는다. 즉, 오염된 물품이 수납될 동안에만 제한적으로 공기정화모듈이 작동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수납 시스템에 물품을 수납한 후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하루 24시간 중 1~2시간 정도만 가동하기에, 제조자 입장에서는 성능이 좋은 공기정화모듈을 부착하기 어렵다. 제조 단가가 상승하고 비용 또는 가용 성능 대비 사용자 체감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제조자가 이를 부착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기기의 성능을 충분히 발현시키지 못한다.
반대로, 한국등록특허 제10-0893217호는 개루프(open loop) 방식의 공기 청정부를 구비시켜, 수납공간 외부의 공기를 흡기하여 정화시킨 후 수납공간 내부로 토출시키되, 수납공간 내부에 있던 오염된 공기는 그대로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 경우에는 외기의 오염이 심각해지는 다른 문제점을 갖는다. 의류 등에 묻은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이 제거되는 대신 인근에 위치한 사용자가 그 오염물질 또는 악취물질이 포함된 공기를 느끼게 되는 것이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15240호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0-08932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즉, 폐루프 또는 개루프 방식의 수납공간 공기 정화 방식에서 벗어나서, 양 방식의 장점만을 가져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공기 정화 방식이 채택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또한, 수납공간 내측의 공기 청정 효과를 가져옴은 물론, 수납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공기 청정함으로써 일반적인 공기 청정기의 역할까지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측에 수납공간(120)을 제공하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여과부(720)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부(7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선택적으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선택적으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지 않는 제 1 모드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지 않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 추가하여,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 및 상기 수납공간(120)과 모두 연통되는 순환 모드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 및 상기 수납공간(120)과 모두 연통되지 않는 차단 모드 중 어느 하나로 더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100)의 외측에 상기 공기 청정부(700)가 위치하고,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송풍팬(7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710)은, 제 1 모드에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상기 공기 청정부(700)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캐비닛(100) 내측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00)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7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고,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는, 제 1 유로변경부재(751)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유로변경부재(751)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플랩(flap)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7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도록 개방되고, 제 2 모드에서는 폐쇄되는, 제 2 유로변경부재(75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7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지 않도록 폐쇄되고, 제 2 모드에서는 개방되는, 제 3 유로변경부재(753)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유입구에 히터가 위치하여, 제 2 모드에서 온풍이 상기 수납공간(120)에 유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캐비닛(100)의 내측이자 상기 수납공간(120) 외측에 기계실(200)이 위치하고, 상기 기계실(200)에는 가습공기를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토출시키는 가습공기용팬이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여과부(720)는 해파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폐루프 방식의 수납공간 공기 정화 방식은 여과부를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여 성능 좋은 공기 청정기를 부착하기 어렵고, 수납공간 내의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 등이 여과부 부하를 상승시키는 단점을 갖고, 개루프 방식의 수납공간 공기 정화 방식은 외기를 오염시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준다는 단점을 갖는데, 본 발명에 의하여 이러한 단점이 모두 해소되는 하이브리드 방식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하여, 수납 시스템 사용시에는 효과적으로 수납공간 내의 오염물질 및 악취물질이 제거되고 해당 물질들이 외부로 토출되지 않으면서도, 수납 시스템 미사용시에는 일반 공기 청정기와 유사하게 외기를 정화하게 되어, 전술한 단점들이 모두 극복된다. 물론, 주름 개선 등도 가능하다.
여기에 추가하여, 사용자의 사용 환경에 맞추어 캐비닛 내외부 전체 순환이 가능한 순환 모드 및 캐비닛 순환을 차단하는 차단 모드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시스템 사용자는, 주어진 여과부를 충분히 활용함으로써, 동일한 가격의 물건으로서, 우수한 수납 관리 성능은 물론, 공기 청정 효과까지도 거둘 수 있어서, 사용자 만족도가 증가한다.
또한, 의류관리기 등에서 주변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었는데, 이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유로변경부재의 작동 방식을 설명한다. (a)는 외기를 정화하는 제 1 모드인 경우를 도시하고, (b)는 수납공간 내부 공기를 정화하는 제 2 모드인 경우를 도시한다.
도 5는 제 1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제 2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은, 내측에 수납공간(120)을 제공하는 캐비닛(100)과, 캐비닛(100)의 일측에 위치하는 공기 청정부(700)를 포함한다.
캐비닛(100)의 외측에는 사용자가 수납공간(120)에 접근하기 위하여 개폐되는 도어(110)가 위치한다.
캐비닛(100)의 하부에는 기계실(200)이 위치한다.
기계실(200)에는, 도면에 상세히 도시되지 않지만, 가습공기를 수납공간(120)으로 토출하기 위한 수조, 가습필터, 가습공기용팬, 제어부 등이 위치할 수 있다. 기계실(200)에서는 가습공기를 생성하여 수납공간(120)으로 토출시킨다. 토출된 가습공기는 후술하는 송풍팬(720)에 의하여 유입되는 온풍과 결합되어 수납된 물품의 오염 제거 및 탈취 성능을 가져온다.
캐비닛(100)의 일측에는 공기 청정부(700)가 위치한다.
캐비닛(10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제조될 경우, 제조 편의를 위하여 직육면체 형상의 캐비닛(100) 외측에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도어(110)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 외관에서 공기 청정부(700)의 돌출 형상이 드러나지 않고 송풍팬(710)의 소음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공기 청정부(700)는 공기를 흡기하여 배출시키는 송풍팬(710)과 여과부(720)를 포함한다.
여과부(720)는 외기를 공기 청정하기도 하므로 미세먼지 제거 성능이 우수한 해파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 청정부(700)는 유로를 변경하기 위한 유로변경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 1 유로변경부재(751), 제 2 유로변경부재(752) 및 제 3 유로변경부재(753)로 구성되나, 다른 방식의 유로 변경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각 유로변경부재의 작동 방식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설명한다.
제 1 모드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하여, 공기 청정부(700)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되 수납공간(120)과 연통되지 않는다.
제 2 모드는, 외부 공기와 차단된 채 다기능 수납 시스템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모드이다. 이를 위하여,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지 않고 수납공간(120)과 연통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위하여 3개의 유로변경부재가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여,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여과부(720)의 일측(하류측)에 제 1 유로변경부재(751)가 위치한다. 제 1 모드에서는 공기 청정부(700)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고, 제 2 모드에서는 공기 청정부(700)와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킨다.
제 1 유로변경부재(751)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유로를 단속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이어도 무방하다. 도면에서는 제 1 유로변경부재(751)가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플랩(flap)으로 도시되나, 이러한 형태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물론, 후술하는 제 2 유로변경부재(752) 및 제 3 유로변경부재(753)와 같이 하나의 부재로서 유로를 변경시키는 것이 이나리 별도의 부재로서 유로를 단속하는 구성일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여과부(720)의 다른 일측(상류측)이며 외기와 연통되는 부분에 제 2 유로변경부재(752)가 위치한다. 이는 외기 연통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 1 모드에서는 공기 청정부(700)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도록 개방되고, 제 2 모드에서는 폐쇄된다.
도 4를 참조하여, 공기의 흐름을 기준으로, 여과부(720)의 다른 일측(상류측)이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는 부분에 제 3 유로변경부재(753)가 위치한다. 이는 수납공간(120)과의 연통 여부를 결정한다. 즉, 제 1 모드에서는 공기 청정부(700)와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지 않도록 폐쇄되고, 제 2 모드에서는 개방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제 1 모드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제 1 모드를 위하여, 제 1 유로변경부재(751)가 공기 청정부(700)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고, 공기 청정부(700)와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지 않도록 위치한다(도 2 (a)). 제 2 유로변경부재(752)는 개방되어 공기 청정부(700)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킨다(도 3 (a)). 제 3 유로변경부재(753)는 공기 청정부(700)와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지 않도록 폐쇄된다.
이 상태에서 송풍팬(710)이 동작하면, 외기가 공기 청정부(7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여과부(720)가 이를 여과하여, 다시 외부로 토출시킨다. 수납공간(120) 내측의 공기는 변하지 않는다.
도 6을 참조하여, 제 2 모드에 따른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수납공간(120)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는 제 2 모드를 위하여, 제 1 유로변경부재(751)가 공기 청정부(700)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지 않고, 공기 청정부(700)와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도록 위치한다(도 2 (b)). 제 2 유로변경부재(752)는 폐쇄되어 공기 청정부(700)와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지 않는다(도 3 (b)). 제 3 유로변경부재(753)는 공기 청정부(700)와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도록 개방된다.
이 상태에서 송풍팬(710)이 동작하면, 수납공간(120) 내부 공기가 공기 청정부(700) 내측으로 유입되어 여과부(720)가 이를 여과하여, 수납공간(120) 내측으로 토출시킨다. 외기는 유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기 청정부(7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수납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유입구에 히터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여과부(720)에 의하여 여과된 온풍이 수납공간(120) 내측으로 토출된다. 온풍이 토출되면, 기계실(200)로부터의 가습공기가 함께 오염물질 제거 및 탈취 성능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제 1 모드 및 제 2 모드에만 제한되지 않으며 다기능 수납 시스템에 공기 청정기가 구비되어 함께 또는 별도로 사용되는 어떠한 모드로서도 사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순환 모드와 차단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순환 모드는, 공기 청정부(700)가 수납공간(120)은 물론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도 모두 연통되는 모드이다. 공기 청정부(700)에는 수납공간(120) 내측의 공기가 유입되어 여과됨은 물론,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도 유입되어 여과된다. 이러한 순환 모드는 실내 공기(즉, 외기) 및 수납공간(120) 내부 공기질이 너무 불량하지 않은 경우, 빠르게 공기를 순환시키고 정화시키는 경우 유리하다.
차단 모드는, 순환 모드와 반대로, 공기 청정부(700)가 수납공간(120)은 물론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도 모두 연통되지 않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여과부(720)의 성능이 저하되어 교체가 필요한 경우, 또는 수납공간(120) 내부 및 실내 공기의 여과가 특별히 필요하지 않아서 여과부(720)를 굳이 사용하고 싶지 않은 경우 유리하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캐비닛
110: 도어
120: 수납공간
200: 기계실
700: 공기 청정부
710: 송풍팬
720: 여과부
751: 제 1 유로변경부재
752: 제 2 유로변경부재
753: 제 3 유로변경부재

Claims (11)

  1. 내측에 수납공간(120)을 제공하는 캐비닛(100); 및
    상기 캐비닛(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여과부(720)를 구비하는, 공기 청정부(700)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으로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선택적으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선택적으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지 않는 제 1 모드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지 않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는 제 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선택적으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지 않는 제 1 모드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와 연통되지 않되 상기 수납공간(120)과 연통되는 제 2 모드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 및 상기 수납공간(120)과 모두 연통되는 순환 모드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 및 상기 수납공간(120)과 모두 연통되지 않는 차단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작동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100)의 외측에 상기 공기 청정부(700)가 위치하고,
    상기 공기 청정부(700)는 송풍팬(71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송풍팬(710)은, 제 1 모드에서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상기 공기 청정부(700) 내측으로 유입시키고, 제 2 모드에서 상기 캐비닛(100) 내측의 공기를 상기 캐비닛(100) 내측으로 유입시키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7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고, 제 2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는, 제 1 유로변경부재(751)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로변경부재(751)는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플랩(flap)인,
    다기능 수납 시스템.
  7.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7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외기를 연통시키도록 개방되고, 제 2 모드에서는 폐쇄되는, 제 2 유로변경부재(752)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8.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720)의 일측에 위치하며, 제 1 모드에서는 상기 공기 청정부(700)와 상기 수납공간(120)을 연통시키지 않도록 폐쇄되고, 제 2 모드에서는 개방되는, 제 3 유로변경부재(753)를 더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9.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청정부(7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유입되는 유입구에 히터가 위치하여, 제 2 모드에서 온풍이 상기 수납공간(120)에 유입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100)의 내측이자 상기 수납공간(120) 외측에 기계실(200)이 위치하고, 상기 기계실(200)에는 가습공기를 상기 수납공간(120)으로 토출시키는 가습공기용팬이 위치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부(720)는 해파필터를 포함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0170058685A 2017-05-11 2017-05-11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505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85A KR102505153B1 (ko) 2017-05-11 2017-05-11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EP18797864.8A EP3622856A4 (en) 2017-05-11 2018-05-11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FOR CLEANING THE OUTSIDE AIR
PCT/KR2018/005460 WO2018208129A1 (ko) 2017-05-11 2018-05-11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순환 시스템
US16/609,139 US11320158B2 (en) 2017-05-11 2018-05-11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CN201880031171.7A CN110621195A (zh) 2017-05-11 2018-05-11 能够清洁外部空气的多功能循环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85A KR102505153B1 (ko) 2017-05-11 2017-05-11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49A true KR20180124349A (ko) 2018-11-21
KR102505153B1 KR102505153B1 (ko) 2023-03-02

Family

ID=64602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685A KR102505153B1 (ko) 2017-05-11 2017-05-11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622856A4 (ko)
KR (1) KR102505153B1 (ko)
CN (1) CN11062119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58A (ko) 2020-06-02 2021-12-09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63099B (zh) * 2020-10-23 2022-02-25 江西远大保险设备实业集团有限公司 一种具有除湿防潮功能的现代化智能图书柜
CN115253614B (zh) * 2022-07-15 2024-03-19 兰州交通大学 一种流冰对输水明渠撞击数据采集分析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293A (ko) * 2005-02-28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레쉬 장치
KR20080105499A (ko) * 2007-05-31 2008-12-04 김학열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90013950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90013964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90102401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470268Y1 (ko) * 2013-06-14 2013-12-06 이길순 의류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1752A (ja) * 1999-01-14 2000-07-25 Pureshiide:Kk 殺菌乾燥ボックス
KR20050010346A (ko) * 2003-07-19 2005-01-2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467773B1 (ko) * 2008-04-01 2014-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KR101173343B1 (ko) * 2008-10-22 2012-08-1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제습 기능을 구비한 공기 청정기
KR101140218B1 (ko) * 2011-11-02 2012-05-02 윤정수 피복류용 건조실을 갖는 제습기
CN102726956B (zh) * 2012-06-15 2014-05-07 林莎莎 空气能除湿文件柜
CN105996480A (zh) * 2016-07-06 2016-10-12 东莞市中意厨房设备有限公司 一种衣柜除湿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5293A (ko) * 2005-02-28 2006-08-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프레쉬 장치
KR20080105499A (ko) * 2007-05-31 2008-12-04 김학열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KR20090013950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90013964A (ko) * 2007-08-03 2009-0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90102401A (ko) * 2008-03-26 2009-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KR200470268Y1 (ko) * 2013-06-14 2013-12-06 이길순 의류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49458A (ko) 2020-06-02 2021-12-09 코웨이 주식회사 의류관리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621195A (zh) 2019-12-27
EP3622856A1 (en) 2020-03-18
KR102505153B1 (ko) 2023-03-02
EP3622856A4 (en)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441B1 (ko) 공기 청정 및 가습 장치
KR100708358B1 (ko) 송풍 장치 및 그것을 이용한 공기 조화기
KR20180124349A (ko)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170015096A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CN112368440A (zh) 包括再循环模块的多功能收纳系统
US11320158B2 (en) Multifunctional circulation system enabling purification of outside air
KR20170081946A (ko) 공기정화유닛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청정 겸용 환기장치
KR20180137990A (ko)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유입을 제어하여 환기 기능과 공기 청정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공기 청정 복합기
KR102374098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12630269U (zh) 具有单独分离的净化流路的多功能收纳系统
CN112469859B (zh) 用于防止门内侧形成水滴的多功能收纳系统及利用此烘干门内侧的方法
KR20130016676A (ko) 공기정화용 필터패키지
KR20090084474A (ko) 공기조화기
JP2017166765A (ja) 加湿機構及び空気清浄機
KR102215444B1 (ko) 다기능 수납 시스템의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건조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110041692A (ko) 공기 청정기
KR102194302B1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20060087298A (ko) 기능성 필터를 갖는 공기조화기
KR102673287B1 (ko) 자연가습공기를 이용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107270445A (zh) 加湿空调器
KR101989105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040056152A (ko) 공기청정기
KR102572207B1 (ko) 내부에 가변 유로를 형성할 수 있는 다기능 수납 시스템
CN215685723U (zh) 多功能收纳系统
CN216522030U (zh) 空气处理装置和空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