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0268Y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0268Y1
KR200470268Y1 KR2020130004798U KR20130004798U KR200470268Y1 KR 200470268 Y1 KR200470268 Y1 KR 200470268Y1 KR 2020130004798 U KR2020130004798 U KR 2020130004798U KR 20130004798 U KR20130004798 U KR 20130004798U KR 200470268 Y1 KR200470268 Y1 KR 2004702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ccommodation space
anion
clothes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47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순
Original Assignee
이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길순 filed Critical 이길순
Priority to KR20201300047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02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02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02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40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7/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 G01K7/0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elements directly sensitive to heat ; Power supply therefor, e.g.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s, e.g. thermocoup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의류의 구김, 냄새, 습기의 제거 및 세균 번식의 방지 등을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수납실과, 수용공간에 포함된 미세 오염 입자를 포함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와,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를 통과하게 하고,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 및 냉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송풍부와, 수용공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와, 송풍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공급부와, 송풍부, 스팀공급부 및 음이온공급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이러한 제어부는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의류에서 발생된 미세 오염 입자의 여과, 열풍 및 냉풍의 선택적 공급, 스팀 공급 및 음이온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Fabric Tre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의류의 구김, 냄새 또는 습기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의 세탁, 건조, 구김제거 등과 같이 의류를 관리하거나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들을 의미한다. 의류처리장치 중 의류의 리프레쉬를 위한 리프레셔(Refresher)는 의류를 보다 쾌적하고 신선하게 하기 위한 장치로서, 의류를 건조시키거나 의류의 정전기 발생을 방지하거나,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최근에는, 이러한 리프레셔에 스팀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스티머(Steamer)의 기능을 추가하여, 수납실 내부에 수납된 의류에 송풍하거나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의 구김, 냄새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의류를 처리함으로써 의류를 착용하는 사용자에게 새 옷을 입는 것과 같은 만족감을 줄 수 있는 장치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하기 예시한 특허문헌들 포함)의 경우 의류의 구김, 냄새 또는 습기 등을 제거하기 위한 기능들은 부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나, 센서 감지 등을 통해 소정의 조건에 해당하게 되면 일방적으로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는 등,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원하는 기능을 직접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기술에서는 예컨대 주로 의류의 구김만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도록 하거나, 반대로 의류의 구김보다는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풍 및 음이온을 공급하도록 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50618호 “의류처리장치”(2009.05.20.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13966호 “의류처리장치”(2009.02.06. 공개)
본 고안의 목적은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며, 나아가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수용공간 내에 수용되는 의류의 구김, 냄새, 습기의 제거 및 세균 번식의 방지 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수납실; 상기 수용공간에 포함된 미세 오염 입자를 포함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게 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 및 냉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공급부; 및 상기 송풍부, 스팀공급부 및 음이온공급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의류에서 발생된 미세 오염 입자의 여과, 열풍 및 냉풍의 선택적 공급, 스팀 공급 및 음이온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입력부로부터 동작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는,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제1 동작모드 및 수용공간 내부로 냉풍 및 음이온을 공급하는 제2 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는 의류에 잔류하고 있던 공기 중의 미세 오염 입자가 필터를 통해 제거되고, 미세 오염 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가열되어 생성된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도록, 상기 송풍부 및 스팀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의류에 잔류하고 있던 공기 중의 미세 오염 입자가 필터를 통해 제거되고, 미세 오염 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냉각되어 생성된 냉풍 및 음이온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번식을 방지하도록, 상기 송풍부 및 음이온공급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송풍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가 필터를 통해 흡입되도록 구동되는 송풍팬; 흡입된 공기를 수용하는 공기챔버; 및 상기 공기챔버에 부착되어 공기챔버에 수용된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하는 열전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제어가 가능하며, 사용자가 적극적으로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부의 수용 공간 내에 수용되는 의류의 구김, 냄새 및 습기 등의 제거 및 세균번식의 방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의류처리장치에 따르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제1 동작모드 및 구김이 제거된 의류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 번식을 방지하는 제2 동작모드를 이용하여 의류의 구김 제거뿐만 아니라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동작 및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전체적으로 전장실(10), 수납실(20) 및 도어(30)를 포함한다.
전장실(10)에는 의류처리장치(1)에 수납되는 의류의 구김, 냄새 및 습기 등의 제거 및 세균 번식의 방지를 수행하도록 의류처리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는 복수의 구성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수납실(20)은 의류가 수납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캐비넷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수납실(20)의 전면에는 도어(30)가 설치된다. 전장실(10)과 수납실(20) 사이에는 수납실(20) 내부의 밝기를 조절하는 LED 조명등(11)이 설치될 수 있다. LED 조명등(11)은 수납실(2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전장실(10)과 수납실(20) 사이의 LED 조명등(11)의 설치 위치에 투명막을 설치하여, 전장실(10) 내부에 설치할 수도 있다.
수납실(20) 내부에는 의류를 걸기 위한 옷걸이(22)와, 이러한 옷걸이(22)를 매달기 위한 수평바(21)가 설치될 수 있으며, 기타의 방식으로 의류를 수납할 수 있는 물품이 비치될 수 있다. 또한, 수납실(20)에는 내부의 의류에 열풍 및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배기구(23)가 형성된다. 복수의 배기구(23)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20)의 후면부 및 저면부에 설치될 수 있다.
도어(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실(20)을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전장실(10) 및 수납실(20)을 포함한 의류 처리 장치(1)의 전면부 전체를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도어(30)에도 의류를 거치할 수 있는 옷걸이가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동작 및 공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장실(10) 내부에는 필터(110), 공기챔버(120), 열전소자부(130), 송풍팬(140), 스팀공급부(150), 음이온공급부(160) 및 방열판(170), 배기용 송풍팬(180)이 포함될 수 있다.
필터(110)는 수납실(20)에 수납된 의류에 잔류하고 있다가 공기 중으로 방출된 미세 오염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가 전장실(10)로 흡입되는 흡입 통로에 설치되어, 수납실(20)에서 흡입된 공기의 미세 오염 입자를 여과한다. 필터(110)는 나노 섬유를 기존 일반 마이크론 필터 상에 적용하여 초미세오염입자, 즉 나노 입자의 여과 특성이 우수한 나노 필터일 수 있다. 나노 섬유는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엄청나게 큰 특성이 있다. 나노 섬유는 나노 섬유의 고분자 물질에 고전압 전기장을 적용하여, 원료 내부의 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여 분자들이 나노 크기로 갈라지는 특징을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필터(110)는 공기가 통과하면서 먼지 제거, 방향 및 탈취가 이루어지도록 항균 필터, 탈취 필터 및 방향 필터 등의 다수의 필터에 나노 필터가 추가적으로 조립된 필터 조립체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기챔버(120)는 필터(110)의 일면에 설치되어, 필터(110)를 통해 여과된 공기를 임시 수용한다. 공기 챔버(120)의 공기는 열전소자부(13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된다.
열전소자부(130)는 공기챔버(120)에 부착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동작모드의 선택에 따라 공기챔버(120)에 수용된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한다. 열전소자부(130)는 복수의 열전소자(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다. 열전소자는 인가되는 전류의 양에 따라 가열과 냉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소자로서, 가열 및 냉각을 위한 제어 방법은 통상의 기술로서 이미 잘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여기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송풍팬(140)은 필터(110)가 부착된 면에 대치되는 공기 챔버(120)의 상면에 설치되어, 수납실(20)의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가 필터(110)를 통해 흡입되도록 구동된다. 또한, 송풍팬(140)은 흡입된 공기가 공기챔버(120)를 통해 공기처리실(15)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송풍팬(140)으로는 원심형 구동팬이 이용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공기챔버(120), 열전소자부(130) 및 송풍팬(140)을 포함하여 송풍부(도 3의 135)로 지칭한다. 송풍부(135)는 수납실(20)의 수용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110)를 통과하게 하고, 필터(110)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 및 냉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스팀공급부(150)는 수납실(20)의 수용공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한다. 스팀공급부(150)는 급수장치(미도시) 및 히터 등의 발열장치(미도시)를 포함하여,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팀공급부(150)에서 생성된 스팀은 전장실(10)과 수납실(20) 사이에 설치되는 스팀분사 유닛(152)을 통해 수납실(20)로 공급될 수 있다.
음이온공급부(160)는 송풍부(135)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음이온을 공급한다. 음이온은 전기를 띤 눈에 보이지 않는 미립자로서, 여러 가지 형태를 물질의 최소 구성단위인 원자와 그 원자의 집합체인 분자가 전기를 수반한 상태를 이온이라고 하며, 이 중에서 (-) 전기를 띤 것을 말한다. 음이온 공급부(160)는 복합 이온화 기술을 이용하여 음이온과 살균이온을 적절하게 배합하여 공급할 수 있다.
필터(110)에 의해 미세 오염 물질이 제거되고, 열전소자부(130)에 의해 가열 또는 냉각 처리를 거친 공기처리실(15)의 공기는, 음이온공급부(160)의 음이온 공급에 의해 정화 및 세균번식의 억제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음이온공급부(160)에서 음이온이 공급된 공기는 배기용 송풍팬(180)에 의해 복수의 배기구(23)를 통해 수납실(20)로 공급될 수 있다.
방열판(170)은 열전소자부(130)에서 발생된 가열 또는 냉각된 열을 방출하도록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배기용 송풍팬(180)은 가열, 냉각 또는 음이온이 공급된 공기처리실(15)의 공기가 복수의 배기구(23)를 통해 효율적으로 배기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열전소자부(130), 송풍팬(140), 스팀공급부(150), 음이온공급부(160) 및 배기용 송풍팬(180)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할 제어부(310)에 의해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도 2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의류처리장치(10)의 동작에 따라 내부의 공기의 흐름이 이루어지면서, 수납실(20)에 수납된 의류의 구김, 냄새 및 습기 등의 제거 및 세균 번식의 방지가 수행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수납실(20)에서 의류에 잔류하고 있다가 공기 중으로 방출된 미세 오염 입자를 포함하는 공기는 송풍팬(140)에 의해서 필터(110)를 통과하여 공기챔버(120)로 유입된다. 공기챔버(120)의 공기는 열전소자부(130)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은 동작 모드의 선택에 따라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공기챔버(120)를 통과한 가열 또는 냉각된 공기에 음이온공급부(160)에 의해 생성된 음이온이 공급되어 배기용 송풍팬(180)을 통해 복수의 배기구(23)에 의해 다시 수납실(20) 내부로 배기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 처리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고안의 가장 핵심적인 구성상의 특징은 사용자가 주로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고자 할 경우에는 스팀 또는 열풍을 공급하도록 하고, 반대로 의류의 구김보다는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 번식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냉풍 및 음이온을 공급하도록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 것인 바, 이러한 본 고안의 구성상의 특징은 이하에서 설명되는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른 각 구성요소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먼저, 제어부(310)는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송풍부(135)에 포함된 열전소자부(130) 및 송풍팬(140)과, 스팀공급부(150)와, 음이온공급부(160)를 제어한다. 상세하게는, 제어부(310)는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수용공간에 수납되는 의류에서 발생된 미세 오염 입자의 여과,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 및 냉풍의 선택적 공급, 스팀 공급 및 음이온 공급을 제어하도록 송풍부(135), 스팀 공급부 (150) 및 음이온 공급부(160)를 제어한다.
복수의 동작모드는,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제1 동작모드 및 수용공간 내부로 냉풍 및 음이온을 공급하는 제2 동작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동작모드는 주로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는 온풍 및 스팀 모드라 할 수 있고, 제2 동작모드는 제1 동작모드를 통해 구김이 제거된 의류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 번식을 방지하여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는 보관 모드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동작모드 및 제2 동작 모드를 이용하여 의류의 구김 제거뿐만 아니라 의류를 최적의 상태로 보관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1 동작모드에서 의류에 잔류하던 공기 중의 미세 오염 입자가 필터(110)를 통해 제거되고, 미세 오염 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열전소자부(130)에 의해 가열되어 생성된 열풍 및 스팀공급부(150)에 의해 생성된 스팀이 수용 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구김이 제거되도록 송풍부(135)의 열전소자부(130) 및 송풍팬(140)과, 스팀공급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10)는 제1 동작 모드에서 열전소자부(130)가 공기 챔버(120)로 흡입된 수납실(20)의 공기를 가열하도록 열전소자부(13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제2 동작모드에서 의류에 잔류하던 공기 중의 미세 오염 입자가 필터(110)를 통해 제거되고, 미세 오염 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열전소자부(130)에 의해 냉각되어 생성된 냉풍 및 음이온공급부(160)에 의해 생성된 음이온이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습기 및 냄새가 제거되고 세균번식이 방지되도록 송풍부(135)의 열전소자부(130) 및 송풍팬(140)과, 음이온공급부(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10)는 제2 동작모드에서 열전소자부(130)가 공기챔버(120)로 흡입된 수납실(20)의 공기를 냉각하도록 열전소자부(130)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할 수 있다.
동작모드는 열풍만을 공급하는 열풍모드, 냉풍만을 공급하는 냉풍 드,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모드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사용자입력부(320)로부터 동작 모드 선택신호를 입력받아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32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등의 사용자 입력 장치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적극적인 입력에 따라 동작모드 선택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입력부(320)는 도 1의 도어(30)의 외면에 설치되어 사용자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 : 전장실 20 : 수납실
23 : 배기구 30 : 도어
110 : 필터 120 : 공기 챔버
130 : 열전소자부 140 : 송풍팬
150 : 스팀 공급부 160 : 음이온 공급부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의류가 수납되는 수용 공간이 형성되며, 전면에 도어가 설치된 수납실;
    상기 수용 공간에 포함된 미세 오염 입자를 포함한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
    상기 수용 공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필터를 통과하게 하고, 상기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하여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열풍 및 냉풍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송풍부;
    상기 수용 공간 내부로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송풍부에 의해 흡입된 공기에 음이온을 공급하는 음이온공급부; 및
    상기 송풍부, 스팀 공급부 및 음이온 공급부를 각각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동작모드에 따라, 상기 수용 공간에 수납되는 의류에서 발생된 미세 오염 입자의 여과, 열풍 및 냉풍의 선택적 공급, 스팀 공급 및 음이온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동작모드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제1 동작모드,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냉풍 및 음이온을 공급하는 제2 동작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동작모드에서 의류에 잔류하고 있던 공기 중의 미세 오염 입자가 필터를 통해 제거되고, 미세 오염 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가열되어 생성된 열풍 및 스팀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구김을 제거하도록, 상기 송풍부 및 스팀공급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동작모드에서 의류에 잔류하고 있던 공기 중의 미세 오염 입자가 필터를 통해 제거되고, 미세 오염 입자가 제거된 공기가 냉각되어 생성된 냉풍 및 음이온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급되어 의류의 습기 및 냄새를 제거하고 세균 번식을 방지하도록, 상기 송풍부 및 음이온공급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삭제
KR2020130004798U 2013-06-14 2013-06-14 의류처리장치 KR2004702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798U KR200470268Y1 (ko) 2013-06-14 2013-06-14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4798U KR200470268Y1 (ko) 2013-06-14 2013-06-14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0268Y1 true KR200470268Y1 (ko) 2013-12-06

Family

ID=50750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798U KR200470268Y1 (ko) 2013-06-14 2013-06-14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026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349A (ko) * 2017-05-11 2018-11-21 코웨이 주식회사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WO2020009464A1 (ko) * 2018-07-05 2020-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CN111041742A (zh) * 2018-10-14 2020-04-21 殷俊国 呼吸式空气洗衣净化器的净化方法及系统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292A (ko) * 2003-09-20 2005-03-2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정밀 마찰시험기
KR20080105499A (ko) * 2007-05-31 2008-12-04 김학열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29292A (ko) * 2003-09-20 2005-03-25 학교법인고려중앙학원 정밀 마찰시험기
KR20080105499A (ko) * 2007-05-31 2008-12-04 김학열 의류관리기능을 구비한 공기청정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349A (ko) * 2017-05-11 2018-11-21 코웨이 주식회사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505153B1 (ko) 2017-05-11 2023-03-02 코웨이 주식회사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WO2020009464A1 (ko) * 2018-07-05 2020-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관리기
CN111041742A (zh) * 2018-10-14 2020-04-21 殷俊国 呼吸式空气洗衣净化器的净化方法及系统
WO2020078240A1 (zh) * 2018-10-14 2020-04-23 殷俊国 呼吸式空气洗衣净化器的净化方法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3333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EP2896740B1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CN102272374B (zh) 用于干燥衣物的家用器具
KR102294609B1 (ko) 의류 처리 장치
US8875416B2 (en) Laundry treating appliance door with planar window element and projection
US20160175471A1 (en) Scent diffuser and clothes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0470268Y1 (ko) 의류처리장치
US11732399B2 (en) Clothing treatment apparatus
KR101999533B1 (ko) 의류 처리 장치
KR102294610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190141286A (ko) 의류처리장치
KR100655177B1 (ko) 다기능 의류살균건조기
JP2010227307A (ja) 浴室暖房乾燥機
KR101465190B1 (ko) 의류 건조기
KR20110043250A (ko) 의류처리장치 및 그에 대한 제어방법
WO2005026427A1 (en) Drying apparatus, system and kit
KR101999535B1 (ko) 의류 처리 장치
US11661700B2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00081072A (ko)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1498033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774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443322B1 (ko) 의류 처리 장치
KR20240008754A (ko) 건조 기능을 가지는 미세탁물 보관장치
JP2006149932A (ja) 衣類乾燥機
ITPR20120053A1 (it) Elettrodomestico di asciugatura di articoli e metodo di funzionamen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