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475B1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475B1
KR101177475B1 KR1020090013836A KR20090013836A KR101177475B1 KR 101177475 B1 KR101177475 B1 KR 101177475B1 KR 1020090013836 A KR1020090013836 A KR 1020090013836A KR 20090013836 A KR20090013836 A KR 20090013836A KR 101177475 B1 KR101177475 B1 KR 1011774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accommodation space
uni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3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4722A (ko
Inventor
문정욱
최창규
이광희
박혜용
유승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38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475B1/ko
Publication of KR20100094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4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6Heating arrangements, e.g. gas heating equip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28Air properties
    • D06F2103/36Flow or velocit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를 효과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의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내에 제공되며,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순환하도록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 및 도어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밀폐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13836
의류처리장치, 도어, 밀폐 메커니즘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CLOTHES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 설치된 도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세탁된 의류의 후처리를 위해 다양한 종류의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이러한 세탁된 의류의 후처리 장치에 하나로서, 의류를 입기에 보다 좋은 상태로 만드는 장치이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기본적으로 의류를 건조하며 더 나아가 구김, 냄새, 세균 및 정전기를 제거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소정의 공간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앞서 언급된 의류처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건조한 공기 및 수분을 상기 처리공간내에 공급한다. 따라서, 만일 상기 처리공간이 밀폐되지 못한다면, 공급된 건조공기 및 수분은 의류처리장치 외부로 누출되며 상기 처리공간내의 의류는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를 처리하는 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캐비닛; 상기 캐비닛내에 제공되며,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순환하도록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 및 도어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밀폐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밀폐 메커니즘은 전기적 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밀폐 메커니즘은 상기 캐비닛 및 도어중 어느 하나에 제공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유닛; 및 상기 캐비닛 및 도어중 다른 하나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적 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제 1 유닛을 끌어당기는 제 2 유닛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전기적 신호가 주어지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자화된다. 상기 제 2 유닛은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기는 도선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
상기 제 1 유닛은 도어에 제공되며, 상기 제 2 유닛은 캐비닛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유닛은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캐비닛의 일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을 마주하는 개스킷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철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할 때 주어지거나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시작할 때 주어질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해 의류처리장치내의 수용공간은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공간으로부터 건조공기 및 수분이 누출되지 않으며 의류가 효과적인 처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공기 및 수분공급장치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캐비넷(10)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캐비넷(10) 내부에는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20)이 형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은 실제적으로 상기 캐비닛(10)내에 별도로 제공되는 인너 캐비넷(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인너 캐비닛(12)은 상기 캐비닛(10)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정지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인너 캐비닛(20)과 마찬가지로 상기 수용공간(20)도 움직이지 않는다. 상기 수용공간(20) 및 인너 캐 비닛(12)는 상기 캐비닛(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20)의 전방부는 개방된다. 바꿔 말하면 상기 수용공간(20)은 이의 전방부에 형성되는 입구를 가지며, 사용자는 상기 입구를 통해 용이하게 상기 수용공간(20)의 내부로 의류를 넣을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20)은 캐비넷(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00)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100) 또는 캐비넷(10)의 외면에는 상기 의류처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스위치(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의 아래쪽에는(below) 소정크기의 전장실(outfit chamber)이 형성되며, 상기 전장실내에는 공기공급장치(30)가 설치된다.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기본적으로 공기중의 습기를 제거하며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상기 수용공간(20)내부로 건조한 공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뜨겁고 건조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상기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뜨거운공기는 위쪽방향으로 상승하므로, 상기 공기공급장치(3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넷(10)의 하부, 즉 수용공간(20)의 아래쪽(below)에 설치되는 것이 뜨겁고 건조한 공기의 공급에 유리하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상기 수용공간(20)로부터 별도의 격벽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장실의 상부벽체(top wall)또는 상기 인너 캐비닛(12) 바닥벽(bottom wall)이 실제적으로 이러한 격벽이 될 수 있다. 상기 격벽은 고온의 공기공급장치(30)에 의해 의류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서 발생하는 응축수가 의류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뜨거운 공기를 생산하는 히터 또는 열전소자와 이러한 가열장치와 별도로 제공되는 제습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제습 및 공기가열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히트펌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로써 히트펌프를 사용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냉매가 순환되는 증발기(31), 압축기(32), 응축기(33)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한다. 이 경우, 증발기(31)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고 공기를 냉각시킨다. 이러한 공기의 냉각에 의해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압축기(32)에서 압축된 후 응축기(33)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 상기 냉매는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31)와 응축기(33)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상기 공기공급장치(3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거치면서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가 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제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서 생성된 공기는 수용공간(20)내의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처리된 의류는 입기에 좋은 상태로 리프레쉬(refresh)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에는 흡입구(35)가 제공되며, 상기 흡입구(35)를 통하여 수용공간(20)내의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내로 유입된다. 상기 유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 즉 증발기(31)와 응축기(33) 에서 가열 및 제습된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0)에는 배출구(38)가 제공되며,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서 나온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는 상기 배출구(38)을 통해 상기 수용공간(20)내로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 의해 형성되는 건조공기의 순환유로를 가지며, 상기 순환유로는 도 2 및 도 4-5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상기 공기공급장치(30)의 흡입구(35), 증발기(31), 응축기(33), 배출구(38), 수용공간(20) 및 흡입구(35)를 따라 연장된다.
한편, 만일 상기 흡입구(35)가 상기 배출구(38)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경우, 이러한 흡입구(35)와 배출구(38)사이에는 짧은 유동 경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건조공기는 형성된 짧은 경로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20)내에서 충분하게 순환하거나 확산되지 못한다. 또한, 공급된 건조공기는 의류와 고르게 접촉하지 못하며, 의류들은 적절하게 리프레쉬될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유동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35)는 기본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보다 긴 유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 즉 상기 수용공간(20)을 형성하는 인너 캐비닛(12)의 바닥벽(bottom wall)의 전방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전방에 배치된 도어(100)에도 인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배출구(38)은 상기 수용공간(20)의 후방부, 즉 수용공간(20)의 후면에 제공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구(38)은 상기 수용공간(20)을 형성하는 인너 캐비닛(12)의 후방벽(rear wall)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0)은 상기 배출구(38)와 흡입구(35)사이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긴 경로를 갖는 건조공기의 유동을 갖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도 2 및 도 4에 화살표로 형성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수용공간(20)의 후방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까지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 흡입구(35) 및 배출구(38)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20)을 전체적으로 가로지르면서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건조공기는 의류와 고르게 접촉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의류들을 적절하게 건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건조공기의 유동경로는 도 2 및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0)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입구에 일종의 공기커튼(air curtain)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가 의류처리장치의 작동중 개방된다 하더라도, 수용공간(20)내의 온도가 크게 저하되지 않으며, 먼지도 상기 수용공간(20)내로 들어올 수 없다.
더 나아가,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엣지에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배출구(38)로부터 배출되어 상기 수용공간(20)을 완전하게 가로지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의 후방부에는 다수개의 배출구들(38)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도 2 및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의 후방부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구들(38)에 의해 상기 건조공기는 실질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0) 후방부 전체 영역에서 배출되어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구(35)까지 유동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즉 상기 수용공간(20)의 전체를 가로지를 수 있으며, 상기 수용공간(20)내의 건조공기의 유동은 상기 의류를 효과적으로 건조 및 리프레쉬 하도록 보다 균일해 질 수 있다.
한편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35)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에 배치되는 반면, 상기 배출구(38)는 상기 수용공간의 바닥부의 후방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용공간의 바닥부의 후방부에 배치된 배출구(38)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공간(20)의 후면의 배출구(38)와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앞서 설명된 도 4의 예와 마찬가지로 도 5에 따른 배치에 의해서도 상기 수용공간(20)은 상기 배출구(38)와 흡입구(35)사이에 형성되며 실질적으로 긴 경로를 갖는 건조공기의 유동을 갖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5에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송풍기(34)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후방부로부터 상기 수용공간(20)의 상부(top)까지 상승한다. 이 후, 상기 건조공기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를 향해 하강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는 상술된 바와 같이 배치된 흡입구(35) 및 배출구(38)로 인해 상기 수용공간(20)을 전체적으로 가로지르면서 유동하며, 상기 의류를 적절하게 건조하도록 의류와 고르게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건조공기의 유동경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도어(100)에 의해 폐쇄되는 상기 수용공간(20)의 입구에 일종의 공기커튼(air curtain)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예와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도 2-5에 도시된 같이 상기 흡입구(35)에 연결되는 제 1 덕트(36)을 갖는다. 상기 제 1 덕트(36)내에는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31) 및 응축기(33)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증발기(31) 및 응축기(33)는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35)를 통해 상기 제1 덕트(36)을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고 제습한다. 또한,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상기 배출구(38)와 연결되는 제 2 덕트(37)을 갖는다. 이러한 제 2 덕트(37)와 제 1 덕트(36)(즉, 증발기(31) 및 응축기(33))사이에는 송풍기(34)가 설치된다. 따라서, 수용공간(20)내의 공기는 흡입구(35)를 통해 제 1 덕트(36)로 유입되며, 상기 증발기(31) 및 응축기(33)에 의해 상기 제 1 덕트(36)내에서 가열 및 제습된다. 이 후, 상기 송풍기(34)에 의해 건조하고 뜨거운 공기가 상기 제 2 덕트(37)을 거쳐 상기 배출구(38)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20)내에 공급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덕트(36,37)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공기공급장치(30)는 흡입구(35)와 배출구(38)을 연결하며 그 내부에 증발기(31) 및 응축기(33)를 수용하는 단일의 덕트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공기공급장치(30)와 마찬가지로 상기 전장실내에 제공되는 수분공급장치(40)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장치(40)는 수분을 생성하며, 수용공간(20)으로 생성된 수분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공간(20)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수분공급장치(40)는 물의 액체상태인 미세 방울로 이루어지는 미스트(mist) 또는 물의 기체상태인 스팀(steam)을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스팀을 이용하는 수분공급장치(40)가 설명된다. 그러나, 미스트를 이용하는 수분공급장치(40)가 동일한 목적을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 에 적용될 수 있다.
수분공급장치(40)는 기본적으로 물을 가열하는 히터(41)와 생성된 스팀을 수용공간(20)내부로 공급하는 노즐(43)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히터(41)와 노즐(43)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수분공급장치(40)는 호스(42)을 갖는다. 상기 히터(41)에서 생성된 스팀은 호스(42) 및 노즐(43)을 통과하며, 최종적으로 상기 노즐(43)에 연결된 배출구(44) (도 2 참조)를 통해 수용공간(20)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호스(42)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호스(42)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장치(40)가 수용공간(20)의 하부에(below) 위치하는 경우에,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구(44)는 전장실의 상부, 즉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공급장치(40)의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가 사용되거나 상기 전장실내에 설치되며 소정량의 물을 저장하는 컨테이너(container)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는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물을 채우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를 전장실로부터 꺼낼 수 있다. 또한, 전장실내에는 순환팬(39)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순환팬(39)은 외부의 공기를 전장실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공기공급장치(30) 및 수분공급장치(40)을 냉각시킬 수 있다.
수용공간(20)에 제공된 스팀으로 인해 의류의 주름 및 정전기가 제거될 수 있다. 또한, 고온의 스팀은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분공급장치(40)는 상기 의류를 입기에 좋은 상태로 리프레쉬할 수 있다. 스팀이 공급되 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만일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건조공기가 공급되면, 의류에 어떠한 수분도 남아있지 않도록 상기 의류가 완전하게 건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공기공급장치(30)에 의해 건조공기를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0)에 수용되는 의류는 먼지/보푸라기를 포함하거나 냄새가 배어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20)내의 공기도 먼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이물질(filth) 및 냄새는 상기 수용공간(20)내의 공기유동에 의해 다른 의류로 옮겨질 수 있으며, 또한 의류처리장치의 부품들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물질 및 냄새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필터 조립체(filter assembly)(35a)를 갖는다.
상기 필터 조립체(35a)는 상기 흡입구(35)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용공간의 먼지 및 보푸라기가 흡입구(35)를 통하여 상기 공기공급장치(30)로 들어오는 경우 이들은 상기 공기공급장치(30)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35)에 상기 필터조립체(35a)가 설치되면, 먼지 및 보푸라기가 상기 공기공급장치(30)에 들어가기 전에 상기 필터조립체(35a)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조립체(35a)는 일정 기간을 지나면 기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필터의 상태가 수시로 확인하고, 이에 따른 청소 및 교환이 이루어져야 한다. 만일 필터 조립체(35a)가 상기 도어(100)로부터 멀리 떨어진 수용공간의 배면, 또는 상부에 형성되면, 상기 필터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상기 필터의 청소 및 교체하는 것이 어렵다. 그러나, 상기 흡입구(35)가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필터 조립 체(35a)도 상기 흡입구(35)와 동일한 위치 즉,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에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가 개방되면, 사용자는 상기 필터 조립체(35a)에 쉽게 액세스(access)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편리하게 상기 필터 조립체(35a)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교환 및 청소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구(35)가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 더 나아가 전방부의 엣지에 제공되면, 상기 필터 조립체(35a)는 상기 수용공간(20)의 바닥부의 전방부에 도어(100)와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100)가 개방되자마자 사용자는 바로 필터 조립체(33a)에 액세스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필터 조립체(35a)의 유지보수가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처리하기 위해 공기 및 수분공급장치(30,40)을 이용하여 수용공간(20)내에 건조공기 및 수분을 공급한다. 그러나, 만일 상기 수용공간(20)이 밀폐되지 못한다면, 공급된 건조공기 및 수분은 상기 수용공간(20)으로부터 누출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의류는 원하는 정도로 처리되지 못한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20)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밀폐메커니즘(200)을 포함하며, 이러한 밀폐 메커니즘(200)이 도어(100) 및 캐비닛(10)과 함께 도 6 및 7에 도시된다.
도 1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0)은 상기 캐비닛(10)내에 형성되며, 상기 도어(100)는 상기 수용공간(20)을 개방 및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기 및 수분은 상기 도어(100) 및 캐비닛(10)사이에 누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밀폐 메커니즘(200)은 상기 수용공간(20)의 밀 폐를 위해 기본적으로 상기 수용공간(20)을 둘러싸는 구조물인 상기 캐비닛(10) 및 도어(100)에 걸쳐 설치된다. 이와 같은 밀폐 메커니즘(200)이 도어(100)의 구조와 함께 보다 상세하게 다음에서 설명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100)은 기본적인 구조로서 프레임(110)을 갖는다. 상기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손잡이(111)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20)과 인접하게 내부패널(120)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10)에는 외부패널(130)이 끼워지며 이러한 외부패널(130)은 상기 내부패널(120)의 앞쪽에 배치된다.
상기 내부패널(120)은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 1 홀더(112)에 끼워져 상기 도어(100)의 내면을 형성하며, 상기 프레임(110)과 함께 상기 도어(100)에 적절한 강도 및 강성을 부여한다. 또한, 상기 내부 패널(120)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내부 패널(120)에 의류처리장치의 제어장치(미도시)가 설치된다. 상기 외부패널(130)은 상기 내부패널(120)로부터 소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제 2 홀더(113)에 끼워진다. 상기 외부패널(130)은 실질적으로 상기 도어(100)의 외부표면을 형성하며, 바람직하게는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강화유리인 외부 패널(130)은 의류처리장치의 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도어에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져다줄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외부 패널들(120,130)에 의해 도어(100)은 전체적으로 이중구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가지면서도 상대적으로 가벼워진다.
또한, 상기 도어(100)는 상기 프레임(110)에 부착되는 개스킷(140)을 갖는 다.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캐비닛(10)과 마주하도록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캐비닛(10)과 마주하는 도어 프레임(110)의 내면에 배치되며, 이러한 프레임(110)의 내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다. 이러한 개스킷(140)은 상기 도어(100)와 이에 인접하는 캐비닛(10)의 일부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도어(100)가 닫힐 때, 상기 수용공간(20)을 밀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개스킷(140)은 기본적으로 수용공간(20)내에서 의류의 처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외부공기가 상기 수용공간(20)내에 유입되거나 수용공간(20)내의 건조공기 및 수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개스킷(140)은 적절한 밀폐를 위해 상기 캐비닛(10)과 밀착될 수 있어야 하며, 도어(100)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조건들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상기 개스킷(140)은 기본적으로 탄성을 가진 재질로 이루어진다. 더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스킷(140)은 충분한 유연성을 갖기 위해 중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중공 몸체내에는 도어(100)가 닫힐 때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완충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프레임(110)에 장착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개스킷의 몸체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프레임의 홀(114)에 삽입된다. 또한, 일단 삽입되면, 상기 후크는 상기 프레임(110)에 걸리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개스킷(140)은 상기 프레임(11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비록 도 6에는 좌우측 가장자리에 있는 개스킷(140)만이 보여지나, 상술된 밀폐를 위해서 상기 개스킷은 상부 및 하부 가장자리에도 배치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스킷(140)의 적용에도 불구하고, 작동중 발생되는 진동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기 캐비닛(10)과 도어(100), 정확하게는 개스킷(140)사이에는 간극이 발생되기 쉬우며, 이러한 간극을 통해 수용공간(20) 내부의 건조공기 및 수분이 누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보다 완전한 밀폐를 위해 상술된 밀폐 메커니즘(200)이 추가적으로 상기 캐비닛(10)과 도어(100)에 걸쳐 제공된다.
먼저, 상기 밀폐 메커니즘(200)은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유닛(210)을 포함한다. 상기 자성체인 제 1 유닛(210)은 기본적으로 자화된 물체, 즉 자석에 들러붙는 성질을 갖는다. 상기 제 1 유닛(210)은 여러가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강한 자성체인 철 소재로 이루어지는 판형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유닛(220)과 짝을 이루도록 상기 밀폐 메커니즘(200)은 제 2 유닛(220)을 갖는다. 상기 제 2 유닛(220)은 선택적으로 자화되어 상기 제 1 유닛(210)을 끌어당기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유닛(220)은 일종의 전자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제 2 유닛(220)은 소정의 전류를 공급받으면, 형성되는 전자기장에 의해 자화되며, 주위의 자성체, 즉 제 1 유닛(210)을 끌어당길 수 있다. 일 예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유닛(220)은 코어(221)와 상기 코어(221)에 감겨진 도선(wire)(2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도선(222)에 소정의 전류가 흐르면, 이러한 감겨진 도선(222)의 주위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된다. 이러한 전자기장에 의해 코어(221)자체가 자화되면서 자석으로 변한다. 이러한 자화상태는 상기 도선(222)에 전류가 흐르는 동안만 지속되며, 그 동안 상기 제 2 유닛(220)은 강한 힘으로 상기 제 1 유닛(210)을 끌어당기게 된다.
이와 같은 제 1 유닛(210)은 상기 캐비닛(10) 및 도어(100)중 어느 하나에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제 2 유닛(220)은 캐비닛(10) 및 도어(100)중 상기 제 1 유닛(210)이 설치되지 않은 다른 하나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2 유닛(220)이 부속장치로 인해 상기 제 1 유닛(210)보다 부피가 크므로, 상기 제 2 유닛(220)이 상대적으로 넓은 공간을 갖는 캐비닛(10)에 제공되며, 상기 제 1 유닛(210)은 상기 도어(100)에 제공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 1 유닛(210)은 상기 도어(1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 2 유닛(220)은 이러한 제 1 유닛(210)에 대응하여 상기 도어(100)의 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캐비닛(10)의 일부를 따라 연장된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유닛(210,220)은 상기 수용공간(20)의 입구를 둘러싸도록 연장되며, 이러한 연장에 의해 상기 수용공간(20)은 보다 완전하게 밀폐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스킷(140)이 실제적으로 캐비닛(10)과 직접 접촉하므로, 상기 제 1 유닛(220)은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스킷(140)내에 배치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닛(220)은 철제 부재이므로, 이러한 배치에 의해 상기 개스킷(140)의 강도도 보강될 수 있다.
상술된 밀폐 메커니즘(200)의 작동에 있어서, 전류가 상기 제 2 유닛(220)에 공급되면, 상기 제 2 유닛(220)은 자화된다. 이러한 전류는 상기 의류처리장치에서 전기적 신호가 발생되면,상기 제 2 유닛(220)에 공급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트롤러에서 전기적 신호를 통해 전원장치에 지시를 하면, 전류가 전원장치로부터 상기 제 2 유닛(220)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시작하면 이러한 제 2 유닛(220)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으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도어(100)가 상기 수용공간(20)을 폐쇄하면 상기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신호에 따른 전류공급에 의해 상기 제 2 유닛(220)은 자화되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유닛(210)을 강하게 끌어당긴다. 이러한 제 2 유닛(220)의 인력에 의해 상기 제 1 유닛(210)은 상기 개스킷(140)과 함께 상기 캐비닛(10)에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 메커니즘(200)은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하면서 상기 수용공간(20)을 완전하게 밀폐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상기 수용공간(20)로부터 건조공기 및 수분은 상기 도어(100)와 캐비닛(10)사이를 통해 누출되지 않으며, 의류는 효과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공기 및 수분공급장치들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의류처리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의류처리장치의 다른 예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도 1의 I-I선을 따라 얻어진 의류처리장치 도어의 단면도; 그리고
도 7는 도 6의 제 2 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Claims (11)

  1. 캐비닛;
    상기 캐비닛내에 제공되며, 처리될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
    건조한 공기를 생성하고, 상기 건조한 공기를 상기 수용공간내에서 순환하도록 공급하는 공기공급장치;
    상기 수용공간내에 소정량의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장치;
    상기 캐비닛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캐비닛 및 도어에 설치되며, 전기적 신호에 따라 작동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을 밀폐하도록 구성되는 밀폐 메커니즘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밀폐 메커니즘은:
    상기 도어에 제공되며, 자성체로 이루어지는 제 1 유닛; 및
    상기 캐비닛에 제공되며, 상기 전기적 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제 1 유닛을 끌어당기는 제 2 유닛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유닛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캐비닛을 마주하는 개스킷내에 배치되는 의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메커니즘은 전기적 신호가 주어지면, 상기 도어를 상기 캐비닛에 밀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전기적 신호가 주어지면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자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닛은 코어와 상기 코어에 감기는 도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도어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 2 유닛은 상기 도어의 가장자리에 대향되는 캐비닛의 일부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닛은 철제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도어가 상기 수용공간을 폐쇄할 때 밀폐부재에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신호는 상기 의류처리장치가 작동을 시작할 때 주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KR1020090013836A 2009-02-19 2009-02-19 의류처리장치 KR101177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836A KR101177475B1 (ko) 2009-02-19 2009-02-19 의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3836A KR101177475B1 (ko) 2009-02-19 2009-02-19 의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22A KR20100094722A (ko) 2010-08-27
KR101177475B1 true KR101177475B1 (ko) 2012-08-24

Family

ID=427586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3836A KR101177475B1 (ko) 2009-02-19 2009-02-19 의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4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4464B1 (ko) * 2021-04-19 2023-06-16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76Y1 (ko) * 1994-02-25 1999-06-15 전주범 의류건조기의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676Y1 (ko) * 1994-02-25 1999-06-15 전주범 의류건조기의 도어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4722A (ko) 2010-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42761B2 (ja) 衣類処理装置
KR101597106B1 (ko) 의류처리장치
US8484860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JP3862549B2 (ja) 乾燥洗濯機
US10041203B2 (en) Clothes treating apparatus with heat pump
JP6656254B2 (ja) 芳香器具及びこれを含む衣類処理装置
KR10141463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40010516A (ko) 의류처리장치
JP6772304B2 (ja) 衣類処理装置
KR102154529B1 (ko) 의류처리장치
CA2659256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KR101467772B1 (ko) 의류처리장치
EP3907325B1 (en) Air inlet assembly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1138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177475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295381B1 (ko) 의류처리장치
KR102378142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486358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42375B1 (ko) 의류처리장치
KR20200004169A (ko) 도어 내측 물방울 맺힘 방지를 위한 팬을 구비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KR102366467B1 (ko) 의류처리장치
KR101542393B1 (ko) 의류처리장치
KR20090123493A (ko) 의류처리장치용 도어
KR101560388B1 (ko) 의류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