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13950A - 의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90013950A KR20090013950A KR1020070078122A KR20070078122A KR20090013950A KR 20090013950 A KR20090013950 A KR 20090013950A KR 1020070078122 A KR1020070078122 A KR 1020070078122A KR 20070078122 A KR20070078122 A KR 20070078122A KR 20090013950 A KR20090013950 A KR 2009001395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air
- opening
- supplied
- ventilation
- cabi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30—Drying processe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3—Supply-air or gas fil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열풍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의류처리장치에 의하면,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의류, 처리, 스팀, 열풍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효과적으로 의류를 리프레쉬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기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의류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건조시키는 드럼타입의 건조기, 의류를 걸어두고 건조시키는 캐비넷 타입의 건조기 및 의류에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리프레쉬하는 리프레셔 등이 개발되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 중에서 리프레셔, 또는 건조기 등은 주로 히터를 사용하여 공기를 가열하여 의류로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히터는 가스를 연소시켜 공기를 가열하는 가스식 히터와, 전기저항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는 전기식 히터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설치가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전기식 히터가 많이 사용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전기식 히터에 의해 공기를 가열하게 되면, 히터의 고온의 열이 직접 의류로 전달될 수 있어 의류가 손상되거나, 나아가 의류처리장치 내부에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기식 히터는 전기를 이용하여 공기를 가열하게 되므로, 원하는 온도까지 공기를 가열하기 위해서는 전기 소모량이 많아져서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수반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전기에너지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자동으로 주기적으로 환기시킴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쾌적할게 유지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및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열풍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열풍이 공급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자중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열풍이 공급되는 유로 상의 환기구에 소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열풍이 공급되는 경우에 열풍에 의해 폐쇄되며,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되는 환기도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구; 상기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 및 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는 도어 또는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구동이 멈춘 경우에 상기 개폐수단이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구동이 멈추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개폐수단이 개방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수단이 주기적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히트펌프를 구비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전기 에너지 소모를 현저하게 줄이면서 의류를 리프레쉬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환기시킴으로써 의류처리장치의 내부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의류처리장치로써 의류를 리프레쉬하며 열풍을 공급하는 리프레셔(refresher)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후술하는 히트펌프 및 스팀발생장치를 구비할 수 있는 기타 의류처리장치에도 본 발명의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00)는 내부에 의류(1)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 캐비넷(10), 수용공간(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도 2 참조, 22), 수용공간(12)으로 선택적으로 스팀을 분사하는 스팀발생장치(도 2 참조, 30) 및 열풍공급장치(22)의 열풍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유닛을 포함한다.
캐비넷(10)에는 후술하는 각종 구성요소들이 구비되며, 내부에 의류가 수용되는 수용공간(12)이 형성된다. 이러한 수용공간(12)은 도어(14)에 의해 선택적으로 외부와 연통된다. 또한, 수용공간(12)에는 의류(1)를 걸어둘 수 있는 각종 지지대(16) 등을 구비하는데, 이러한 의류(1)를 지지하는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캐비넷(1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12)으로 열풍 및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수용되는 기계실(20)이 형성된다. 기계실(20)은 바람직하게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며, 내부에 전술한 열 풍공급장치(22) 및 스팀발생장치(30) 등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는 이유는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되는 열풍 및 스팀 등은 상승하려는 성질을 가지게 되므로, 기계실(20)이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를 향하여 열풍 및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도 2는 기계실(20) 내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의 구성요소만을 도시하였으며, 상기 구성요소들을 연결하는 배관라인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2를 참조하면, 기계실(20)의 내부에는 수용공간(도 1 참조, 12)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로써 히트펌프(22) 및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발생장치(30)가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열풍공급장치에 해당하는 히트펌프(22)는 공기조화장치 등에서 사용되는 히트펌프와 유사하다. 즉, 히트펌프(22)는 냉매가 순환하는 증발기(24), 압축기(26), 응축기(28) 및 팽창밸브(미도시)를 구비하게 되며, 이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게 된다. 즉, 증발기(24)에서 냉매가 증발하면서 주변 공기의 잠열을 흡수하게 되어, 공기를 냉각시켜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켜 제거하게 된다. 또한, 압축기(26)를 거쳐 응축기(28)에서 냉매가 응축되는 경우에 주변 공기를 향해 잠열을 방출함으로써 주변 공기를 가열하게 된다. 따라서, 증발기(24)와 응축기(28)가 열교환기의 기능을 하게 되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24)와 응축기(28)를 순차적으로 거쳐 제습 및 가열되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종래의 히터를 사용하여 가열된 공기에 비하여 온도는 다소 낮을 수 있지만, 별도의 제습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제습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히트펌프(22)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다시 공급되는 공기는 상대적으로 '저온 건조공기'에 해당하게 된다(여기서, '저온'이란 절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에 해당하지만 종래의 가열 공기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는 종래의 의류처리장치의 열풍에 비하여 온도는 낮지만, 별도의 제습장치 없이 제습된 공기를 공급하게 되므로, 의류를 용이하게 건조시키며 리프레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구체적으로, 기계실(20)의 전단 상부에는 수용공간(12)의 공기가 기계실(2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유입구(21)가 형성되고, 공기유입구(21)와 증발기(24), 응축기(28) 및 팬(32)을 연결하는 덕트(29)에 의해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덕트(29)에 의해 공기유입구(21)를 통해 기계실(20)로 유입된 공기는 히트펌프(22)를 지나면서 제습 및 가열되어 팬(32)에 의해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비록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공기유입구(21)에는 바람직하게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유입구(21)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수용공간(12)에서 기계실(20)로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될 수 있는 각종 이물질 등을 여과하여 신선한 공기만을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기계실(20)에는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스팀발 생장치(30)를 구비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수용공간(12)으로 스팀을 공급함에 따라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온의 스팀에 의해 살균의 효과와 함께 의류 옷감의 부풀림 등에 의한 리프레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팀발생장치(30)에 의해 스팀을 분사하는 시기는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한데,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히트펌프(2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기에 앞서서 스팀을 분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고 난 후, 열풍을 공급하여 의류를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스팀발생장치(30)는 내부에 물을 가열하는 히터(미도시)를 구비하게 되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여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하게 된다. 스팀발생장치(30)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원으로는 외부의 수도꼭지 등이 사용되거나, 또는 기계실(20)의 일측에 제공되는 컨테이너(container) 타입의 물공급원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타입의 물공급원은 바람직하게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물공급원을 기계실(20)에서 분리하여 물을 채우고 다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스팀발생장치(30)에서 생성된 스팀은 스팀호스(36) 및 스팀분사유닛(40)을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이 경우, 스팀호스(36)를 따라 스팀이 이동하는 중에 스팀의 온도가 내려가거나, 또는 스팀이 응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팀호스(36)의 길이는 짧을수록 바람직하다. 따라서, 기계실(20)이 수용공간(12)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 스팀분사유닛(40)은 기계실(20)의 상부, 즉 수용공간(12)의 하부를 통해 스팀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계실(20)의 배면부에는 순환팬(34)을 구비할 수 있다. 순환팬(34)은 기계실(20) 외부의 공기를 기계실(20) 내부로 공급함으로써, 전술한 히트펌프(22) 및 스팀발생장치(30)가 구동을 하여 기계실(20) 내부의 온도가 지나치게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열풍 및 스팀을 분사하는 경우에 열풍 및 스팀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어(도 1 참조, 14)를 닫는 경우에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도어(14)를 닫는 경우에 수용공간(도 1 참조, 12)이 밀폐되도록 구성되는 경우, 캐비넷(도 1 참조, 10)의 내부에 의류를 보관하고 도어(14)를 닫은 상태로 장기간 보관하게 되면, 캐비넷(10) 내부가 밀폐되므로 환기가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캐비넷(10)의 내부에 잔존할 수 있는 냄새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고 캐비넷(10)의 내부에 남아 있어 의류 등에 배이게 된다. 또한, 장기간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 캐비넷(10)의 내부에 곰팡이 등이 번식을 하게 되어 의류에 손상을 입힐 수 있다. 결국, 의류를 캐비넷(10)의 내부에서 장기간 보관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환기를 시켜 캐비넷(10)의 내부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환기를 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도어(14)를 개방하는 것은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여행 등에 의해 장기간 떠나게 되는 경우에는 환기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서는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서 열풍공급장치의 열풍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유닛을 포함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환기유닛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서 환기유닛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은 히트펌프(22)에서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만 개방되어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은 열풍이 공급되는 유로(16) 상의 환기구(13)에 소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열풍이 공급되는 경우에 열풍에 의해 폐쇄되며,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되는 환기도어(40)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유로(16)는 캐비넷(10)의 내부의 배면(15)을 따라 형성되며, 배면(15)에는 열풍이 유입되는 공급구(18)가 다수 형성된다. 따라서, 기계실(20)의 히트펌프(22)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유로(16)를 따라 상승하여 공급구(18)를 통해 수용공간(12)으로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환기구(13)는 팬(32)에 의해 열풍이 유동하는 유로(16)를 따라 형성되며, 환기도어(40)는 환기구(13)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경우, 환기도어(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13)를 폐쇄하는 경우에 수평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환기구(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비넷(1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유로(16)를 따라 유동하는 열풍은 팬(도 2 참조, 32)에 의해 유동이 되므로, 소정 압력 이상을 가지며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팬(32)에 의해 열풍이 유로(16)를 따라 유동하는 경우에 열풍의 압력에 의해 환기도어(40)는 도 4에 도시된 실선과 같이 하부를 향해 회전하지 않고 환기구(13)를 폐쇄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어서,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이 끝나게 되어 팬(32)에 의해 열풍이 공급되지 않으면, 환기도어(40)는 자중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하방으로 회전을 하게 되어 환기구(13)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환기구(13)가 개방됨에 따라 환기구(13)를 통해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로(16)로 유입되고, 수용공간(12)의 배면(15)에 형성된 공급구(18)를 통해 수용공간(12)의 내부로 공급되어 환기가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의류처리장치에서 환기유닛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환기유닛은 전술한 도 3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환기유닛은 캐비넷(10)의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구(19), 환기구(19)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140) 및 개폐수단(140)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개폐수단(140)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환기를 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환기구(19)는 수용공간(12)과 외부를 연통시키게 되는데, 예를 들어 캐비넷(10)의 측면에 형성되어 외부와 수용공간(12)을 연통시키게 된다.
한편, 개폐수단(140)은 환기구(19)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42) 및 도어(142)를 회전시키며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부(144)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부(144)가 동작을 하게 되고, 구동부(144)의 구동에 의해 도어(142)가 회전을 하여 환기구(19)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는 히트펌프(22)의 구동이 종료되어 열풍이 더 이상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구동부(144)를 동작시켜 도어(142)를 개방하여 환기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어부는 바람직하게 히트펌프(22)의 구동이 멈추고, 소정시간, 예를 들어 5분 내지 10분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도어(142)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히트펌프(22)의 구동이 멈추고 바로 도어(142)를 개방하게 되면, 수용공간(12)에 아직 잔존하고 있는 열풍이 환기구(19)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의류의 건조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제어부는 도어(142)를 개방하는 경우에 도어(142)가 소정의 주기, 예를 들어 30분 간격으로 5분 동안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42)가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계속해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면, 외부의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캐비넷(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의류를 손상시킬 가능성이 있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도어(142)를 개방하여 환기를 함과 동시에 이물질 등이 캐비넷(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4에서는 도어(142)에 의해 수용공간(12)이 외부와 연통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적절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어 밸브 등의 구성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의류처리장치의 구동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의류처리장치(100)를 구동시키게 되면, 먼저, 물공급원의 물이 스팀발생장치(30)로 공급되어, 스팀이 생성되어 수용공간(12)으로 분사된다. 이와 같이 스팀을 분사함으로써, 의류 등에 생길 수 있는 주름 등이 제거되며 부풀림 효과 및 살균의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소정시간 동안 스팀을 분사한 다음, 히트펌프(22)에 의해 열풍을 공급하게 된다. 즉, 히트펌프(22)는 증발기(24) 및 응축기(28)에 의해 공기를 제습하고 가열하여 다시 수용공간(12)으로 공급한다.
열풍에 의해 의류의 건조가 완료되면 열풍공급을 마치게 되면 환기유닛이 개방되어 캐비넷(10)의 내부를 환기시키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자중에 의해 환기유닛이 개방되거나, 또는 제어부에 의해 개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에 의해 환기유닛이 개방되는 경우에 열풍공급을 마치고 나서 소정시간이 경과한 다음,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나아가 주기적으로 환기유닛을 개방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도 1에서 기계실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서 환기유닛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4는 도 1에서 환기유닛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Claims (10)
- 의류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캐비넷;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으로 열풍을 공급하는 열풍공급장치; 및상기 열풍공급장치의 열풍공급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수용공간으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하여 공기를 가열하는 스팀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열풍공급장치에서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개방되어 상기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열풍이 공급되는 유로에 설치되어,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자중에 의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유닛은 상기 열풍이 공급되는 유로 상의 환기구에 소정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열풍이 공급되는 경우에 열풍에 의해 폐쇄되며, 열풍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개방되는 환기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상기 환기유닛은,상기 캐비넷의 수용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기구;상기 환기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개폐수단; 및상기 개폐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환기구에 설치되는 도어 또는 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풍공급장치의 구동이 멈춘 경우에 상기 개폐수단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열풍공급장치의 구동이 멈추고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상기 개폐수단이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제어부는 상기 개폐수단이 주기적으로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122A KR101295381B1 (ko) | 2007-08-03 | 2007-08-03 | 의류처리장치 |
US12/219,947 US20090151188A1 (en) | 2007-08-03 | 2008-07-30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DE102008035795.2A DE102008035795B4 (de) | 2007-08-03 | 2008-07-31 | Bekleidungsbehandlungsgerät |
FR0855316A FR2919624B1 (fr) | 2007-08-03 | 2008-08-01 | Appareil de traitement de vetements. |
CN2008101756044A CN101387070B (zh) | 2007-08-03 | 2008-08-04 | 衣物处理装置 |
US13/083,137 US8539694B2 (en) | 2007-08-03 | 2011-04-08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8122A KR101295381B1 (ko) | 2007-08-03 | 2007-08-03 | 의류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3950A true KR20090013950A (ko) | 2009-02-06 |
KR101295381B1 KR101295381B1 (ko) | 2013-08-08 |
Family
ID=40684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8122A KR101295381B1 (ko) | 2007-08-03 | 2007-08-03 | 의류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5381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7837A (ko) * | 2009-12-15 | 2011-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180124349A (ko) * | 2017-05-11 | 2018-11-21 | 코웨이 주식회사 |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WO2020138768A1 (ko) * | 2018-12-27 | 2020-07-02 | 코웨이 주식회사 |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26820A (ko) | 2022-02-24 | 2023-08-31 | 주식회사 지모비코리아 | 의류 건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229783B2 (ja) * | 1995-07-26 | 2001-11-19 | 三洋電機株式会社 | 衣類乾燥仕上機 |
KR100845843B1 (ko) * | 2005-02-28 | 2008-07-1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리프레쉬 장치 |
ES2281239B1 (es) | 2005-03-23 | 2008-08-16 | Ibai, S. Coop. | Armario de desarrugado y secado de ropa. |
-
2007
- 2007-08-03 KR KR1020070078122A patent/KR101295381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67837A (ko) * | 2009-12-15 | 2011-06-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
KR20180124349A (ko) * | 2017-05-11 | 2018-11-21 | 코웨이 주식회사 | 외기의 공기 청정이 가능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WO2020138768A1 (ko) * | 2018-12-27 | 2020-07-02 | 코웨이 주식회사 | 청정 유로가 별도로 분리된 다기능 수납 시스템 |
US12111071B2 (en) | 2018-12-27 | 2024-10-08 | Coway Co., Ltd. | Multifunctional storage system having separate cleaning flow passag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95381B1 (ko) | 2013-08-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579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35797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414635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8539694B2 (en) | Clothes treatment apparatus | |
KR101366273B1 (ko) | 의류처리장치 | |
US20100005681A1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 |
EP2107157B1 (en) |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 |
AU2007277599B2 (en) |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0782377B1 (ko) | 의류 건조 및 보관 장치 | |
KR101122094B1 (ko) |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080078367A (ko) | 건조기 | |
US20090151188A1 (en) | Clothes treating apparatus | |
KR101295381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120113644A (ko) | 공기 분사 기능을 갖는 세탁물 건조 장치 | |
KR20080004029A (ko) | 의류 리프레셔 | |
KR101486358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54237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101366275B1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090100804A (ko) | 의류처리장치 | |
KR20090050220A (ko) | 의류처리장치 | |
JP2013102860A (ja) | 洗濯乾燥機 | |
KR20100094137A (ko) | 의류처리장치 그 제어방법 | |
KR20080078366A (ko) | 건조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