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058A - 쇼벨 및 쇼벨용 컨트롤밸브 - Google Patents

쇼벨 및 쇼벨용 컨트롤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058A
KR20180124058A KR1020187028488A KR20187028488A KR20180124058A KR 20180124058 A KR20180124058 A KR 20180124058A KR 1020187028488 A KR1020187028488 A KR 1020187028488A KR 20187028488 A KR20187028488 A KR 20187028488A KR 20180124058 A KR20180124058 A KR 20180124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aulic
arm
spool valve
valve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5608B1 (ko
Inventor
요우지 미사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56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56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16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1/161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with sensing of servomotor demand or load
    • F15B11/162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with sensing of servomotor demand or load for giving priority to particular servomotors or us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82Systems using center bypass type changeover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6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lements for hydraulic drives
    • E02F9/2267Valves or distribu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25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 E02F9/2228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pressure-compensating valves including an electronic cont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6Systems with a variable displacement pu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F15B11/0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 F15B11/04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 F15B11/042Systems essentially incorporating special feature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actuating force of an output member for controlling the speed by means in the feed line, i.e. "meter 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 E02F3/32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a dipper-arm pivoted on a cantilever beam, i.e. boom working downwardly and towards the machine, e.g. with back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40Flow control
    • F15B2211/405Flow control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flow control means or valve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되어 암(5)를 움직이는 암실린더(8)과, 센터바이패스관로(40R)에 배치된 제어밸브(176B)와, 패럴렐관로(42R)에 배치된 제어밸브(177)과, 제어밸브(177)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컨트롤러(30)을 갖는다. 제어밸브(176B) 및 제어밸브(177)은 컨트롤밸브(17)의 밸브블록(17B) 내에 형성되고, 제어밸브(177)은 제어밸브(176B)의 상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쇼벨 및 쇼벨용 컨트롤밸브
본 발명은, 하나의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동시에 공급 가능한 유압시스템을 구비한 쇼벨 및 그 쇼벨에 탑재되는 쇼벨용 컨트롤밸브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급배하는 복수의 스풀밸브를 관통하는 센터바이패스관로를 구비한 쇼벨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쇼벨은, 각 유압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스풀밸브로 개별적으로 블리드오프제어를 실행하는 대신에, 센터바이패스관로의 최하류에 마련된 통일블리드오프밸브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관한 블리드오프제어를 통일적으로 실행한다. 이로 인하여, 각 스풀밸브가 중립위치로부터 이동한 경우이더라도 센터바이패스관로의 유로면적이 저감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암조작레버가 조작되었을 때에 패럴렐관로를 통과하여 암실린더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한할 수 있는 포핏형 제어밸브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여, 특허문헌 1의 쇼벨은, 암폐쇄 및 붐상승을 포함하는 복합동작 시에, 비교적 낮은 부하압의 암실린더에 메인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대부분이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1769호
그러나, 특허문헌 1의 쇼벨은, 포핏형 제어밸브를 이용하기 때문에, 암실린더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적절히 제한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하여, 복합동작 시에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적절히 분배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상술에 감안하여, 복합동작 시에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보다 적절히 분배할 수 있는 쇼벨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은,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연결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되어 작업요소를 움직이는 유압액추에이터와, 센터바이패스관로에 배치된,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 스풀밸브와, 패럴렐관로에 배치된,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 스풀밸브와, 상기 제2 스풀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갖고, 상기 제1 스풀밸브 및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컨트롤밸브의 밸브블록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상기 제1 스풀밸브의 상류에 배치된다.
상술한 수단에 의하여, 복합동작 시에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작동유를 보다 적절히 분배할 수 있는 쇼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4는 컨트롤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제2 스풀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암용 제1 스풀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7은 부하압조정처리의 일례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도 8은 부하압조정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컨트롤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9는 부하압조정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컨트롤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시스템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암용 제1 스풀밸브의 부분단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건설기계로서의 쇼벨(굴삭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쇼벨의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쇼벨의 하부주행체(1)에는, 선회기구(2)를 통하여 상부선회체(3)이 탑재되어 있다. 상부선회체(3)에는, 작업요소로서의 붐(4)가 장착되어 있다. 붐(4)의 선단에는, 작업요소로서의 암(5)가 장착되고, 암(5)의 선단에 작업요소 및 엔드어태치먼트로서의 버킷(6)이 장착되어 있다. 붐(4), 암(5), 및 버킷(6)은,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및 버킷실린더(9)에 의하여 각각 유압구동된다. 상부선회체(3)에는, 캐빈(10)이 마련되고, 또한 엔진(11) 등의 동력원이 탑재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쇼벨의 구동계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기계적 동력전달라인, 작동유라인, 파일럿라인, 및 전기제어라인을 각각 이중선, 굵은 실선, 파선, 및 점선으로 나타낸다.
쇼벨의 구동계는, 주로 엔진(11), 레귤레이터(13), 메인펌프(14), 파일럿펌프(15), 컨트롤밸브(17), 조작장치(26), 압력센서(29), 컨트롤러(30), 및 압력제어밸브(31)을 포함한다.
엔진(11)은, 쇼벨의 구동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엔진(11)은, 예를 들면 소정의 회전수를 유지하도록 동작하는 내연기관으로서의 디젤엔진이다. 엔진(11)의 출력축은, 메인펌프(14) 및 파일럿펌프(15)의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다.
메인펌프(14)는, 작동유라인을 통하여 작동유를 컨트롤밸브(17)에 공급한다. 메인펌프(14)는, 예를 들면 사판식 가변용량형 유압펌프이다.
레귤레이터(13)은, 메인펌프(14)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귤레이터(13)은, 예를 들면 메인펌프(14)의 토출압, 컨트롤러(30)으로부터의 제어신호 등에 따라 메인펌프(14)의 사판경전각(斜板傾轉角)을 조절함으로써 메인펌프(14)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파일럿펌프(15)는,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조작장치(26) 및 압력제어밸브(31)을 포함하는 각종 유압제어기기에 작동유를 공급한다. 파일럿펌프(15)는, 예를 들면 고정용량형 유압펌프이다.
컨트롤밸브(17)은, 쇼벨에 있어서의 유압시스템을 제어하는 유압제어장치이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밸브(17)은,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1 스풀밸브로서의 제어밸브(171~176)과 제2 스풀밸브로서의 제어밸브(177)을 포함한다. 그리고, 컨트롤밸브(17)은, 이들 제어밸브(171~176)을 통하여,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하나 또는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제어밸브(171~176)은, 메인펌프(14)로부터 유압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유압액추에이터는, 붐실린더(7), 암실린더(8), 버킷실린더(9),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A),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B), 및 선회용 유압모터(2A)를 포함한다. 컨트롤밸브(17)은, 제어밸브(177)을 통하여,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에 선택적으로 유출시킨다. 제어밸브(177)은,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한다.
조작장치(26)은, 조작자가 유압액추에이터의 조작을 위하여 이용하는 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장치(26)은, 파일럿라인을 통하여,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밸브의 파일럿포트에 공급한다. 파일럿포트의 각각에 공급되는 작동유의 압력(파일럿압)은,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레버 또는 페달(도시하지 않음)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에 따른 압력이다.
압력센서(29)는, 조작장치(26)을 이용한 조작자의 조작내용을 검출한다. 압력센서(29)는, 예를 들면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조작장치(26)의 레버 또는 페달의 조작방향 및 조작량을 압력의 형태로 검출하고, 검출한 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조작장치(26)의 조작내용은, 압력센서 이외의 다른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되어도 된다.
컨트롤러(30)은, 쇼벨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30)은, 예를 들면 CPU, RAM, ROM 등을 구비한 컴퓨터로 구성된다. 컨트롤러(30)은, 작업내용판정부(300) 및 부하압조정부(301)의 각각에 대응하는 프로그램을 ROM으로부터 읽어내고 RAM에 로드하여, 각각에 대응하는 처리를 CPU에 실행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컨트롤러(30)은, 각종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작업내용판정부(300) 및 부하압조정부(301)의 각각에 의한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컨트롤러(30)은, 작업내용판정부(300) 및 부하압조정부(301)의 각각의 처리결과에 따른 제어신호를 적절히 레귤레이터(13), 압력제어밸브(31) 등에 대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면, 작업내용판정부(300)은, 각종 센서의 출력에 근거하여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업내용판정부(300)은, 압력센서(29)의 출력에 근거하여 붐상승조작 및 암폐쇄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암로드압이 붐보텀압 미만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붐(4)의 상승속도가 느리고 암(5)의 폐쇄속도가 빠르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암로드압은, 암실린더(8)의 로드측 오일챔버의 압력이며, 암로드압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붐보텀압은, 붐실린더(7)의 보텀측 오일챔버의 압력이며, 붐보텀압센서에 의하여 검출된다. 그리고,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작업내용판정부(300)이 판정한 경우, 부하압조정부(301)은 압력제어밸브(31)에 대하여 제어지령을 출력한다.
압력제어밸브(31)은, 컨트롤러(30)이 출력하는 제어지령에 따라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압력제어밸브(31)은, 컨트롤러(30)이 출력하는 전류지령에 따라 파일럿펌프(15)로부터 컨트롤밸브(17) 내의 제어밸브(177)의 파일럿포트에 도입되는 제어압을 조정하는 전자밸브이다. 컨트롤러(30)은, 예를 들면 암실린더(8)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패럴렐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밸브(177)을 작동시켜 제어밸브(177)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여, 컨트롤러(30)은, 암폐쇄 및 붐상승을 포함하는 복합동작 시에, 비교적 낮은 부하압의 암실린더(8)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대부분이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어밸브(177)은, 제어밸브(176)과 암실린더(8)의 로드측 오일챔버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압력제어밸브(31)은, 버킷(6)의 개폐를 포함하는 복합동작 시에, 비교적 낮은 부하압의 버킷실린더(9)에 작동유의 대부분이 유입되어 버리지 않도록, 버킷실린더(9)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패럴렐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밸브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켜도 된다. 마찬가지로, 압력제어밸브(31)은, 붐(4)의 상승하강을 포함하는 복합동작 시에, 비교적 낮은 부하압의 붐실린더(7)에 작동유의 대부분이 유입되어 버리지 않도록, 붐실린더(7)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패럴렐관로에 설치되어 있는 제어밸브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시스템의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쇼벨에 탑재되는 유압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도 2와 마찬가지로, 기계적 동력전달라인, 작동유라인, 파일럿라인, 및 전기제어라인을, 각각 이중선, 굵은 실선, 파선, 및 점선으로 나타낸다.
도 3에 있어서, 유압시스템은, 엔진(11)에 의하여 구동되는 메인펌프(14L, 14R)로부터, 센터바이패스관로(40L, 40R), 패럴렐관로(42L, 42R)을 거쳐 작동유탱크까지 작동유를 순환시킨다. 메인펌프(14L, 14R)은, 도 2의 메인펌프(14)에 대응한다.
센터바이패스관로(40L)은, 컨트롤밸브(17) 내에 배치된 제어밸브(171, 173, 175A 및 176A)를 통과하는 작동유라인이다.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은, 컨트롤밸브(17) 내에 배치된 제어밸브(172, 174, 175B 및 176B)를 통과하는 작동유라인이다.
제어밸브(171)은, 메인펌프(14L)이 토출하는 작동유를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A)로 공급하고, 또한 좌측 주행용 유압모터(1A)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배출하기 위하여 작동유의 흐름을 전환하는 스풀밸브이다.
제어밸브(172)는, 메인펌프(14R)이 토출하는 작동유를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B)로 공급하고, 또한 우측 주행용 유압모터(1B)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배출하기 위하여 작동유의 흐름을 전환하는 스풀밸브이다.
제어밸브(173)은, 메인펌프(14L)이 토출하는 작동유를 선회용 유압모터(2A)로 공급하고, 또한 선회용 유압모터(2A)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배출하기 위하여 작동유의 흐름을 전환하는 스풀밸브이다.
제어밸브(174)는, 메인펌프(14R)이 토출하는 작동유를 버킷실린더(9)로 공급하고, 또한 버킷실린더(9) 내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배출하기 위한 스풀밸브이다.
제어밸브(175A, 175B)는,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하는 작동유를 붐실린더(7)로 공급하고, 또한 붐실린더(7) 내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배출하기 위하여 작동유의 흐름을 전환하는 붐용 제1 스풀밸브로서의 스풀밸브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밸브(175A)는, 붐(4)의 상승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만 작동하고, 붐(4)의 하강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는 작동하지 않는다.
제어밸브(176A, 176B)는,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하는 작동유를 암실린더(8)로 공급하고, 또한 암실린더(8) 내의 작동유를 작동유탱크로 배출하기 위하여 작동유의 흐름을 전환하는 암용 제1 스풀밸브로서의 스풀밸브이다.
제어밸브(177)은, 패럴렐관로(42R)을 통과하여 제어밸브(176B)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암용 제2 스풀밸브로서의 스풀밸브이다. 제어밸브(177)은, 최대개구면적(예를 들면 개방도 100%)의 제1 밸브위치와 최소개구면적(예를 들면 개방도 10%)의 제2 밸브위치를 갖는다. 제어밸브(177)은, 제1 밸브위치와 제2 밸브위치의 사이에서 무단계로 이동 가능하다. 제어밸브(177)은, 제어밸브(176B)와 암실린더(8)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패럴렐관로(42L)은, 센터바이패스관로(40L)에 병행하는 작동유라인이다. 패럴렐관로(42L)은, 제어밸브(171, 173, 175A)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센터바이패스관로(40L)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흐름이 제한 혹은 차단된 경우에, 보다 하류의 제어밸브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패럴렐관로(42R)은, 센터바이패스관로(40R)에 병행하는 작동유라인이다. 패럴렐관로(42R)은, 제어밸브(172, 174, 175B)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을 통과하는 작동유의 흐름이 제한 혹은 차단된 경우에, 보다 하류의 제어밸브에 작동유를 공급할 수 있다.
레귤레이터(13L, 13R)은, 예를 들면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압에 따라 메인펌프(14L, 14R)의 사판경전각을 조절함으로써,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레귤레이터(13L, 13R)은, 도 2의 레귤레이터(13)에 대응한다. 구체적으로는, 레귤레이터(13L, 13R)은, 예를 들면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압이 소정값 이상이 된 경우에 메인펌프(14L, 14R)의 사판경전각을 조절하여 토출량을 감소시킨다. 토출압과 토출량의 곱으로 나타나는 메인펌프(14)의 흡수마력이 엔진(11)의 출력마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암조작레버(26A)는, 조작장치(26)의 일례이며, 암(5)를 조작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암조작레버(26A)는,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레버조작량에 따른 제어압을 제어밸브(176A, 176B)의 파일럿포트에 도입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암조작레버(26A)는, 암폐쇄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 제어밸브(176A)의 우측 파일럿포트에 작동유를 도입시키고, 또한 제어밸브(176B)의 좌측 파일럿포트에 작동유를 도입시킨다. 암조작레버(26A)는, 암개방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밸브(176A)의 좌측 파일럿포트에 작동유를 도입시키고, 또한 제어밸브(176B)의 우측 파일럿포트에 작동유를 도입시킨다.
붐조작레버(26B)는, 조작장치(26)의 일례이며, 붐(4)를 조작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붐조작레버(26B)는,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레버조작량에 따른 제어압을 제어밸브(175A, 175B)의 파일럿포트에 도입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붐조작레버(26B)는, 붐상승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 제어밸브(175A)의 우측 파일럿포트에 작동유를 도입시키고, 또한 제어밸브(175B)의 좌측 파일럿포트에 작동유를 도입시킨다. 한편, 붐조작레버(26B)는, 붐하강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는, 제어밸브(175A)의 좌측 파일럿포트에 작동유를 도입시키지 않고, 제어밸브(175B)의 우측 파일럿포트에만 작동유를 도입시킨다.
압력센서(29A, 29B)는, 압력센서(29)의 일례이며, 암조작레버(26A), 붐조작레버(26B)에 대한 조작자의 조작내용을 압력의 형태로 검출하고, 검출한 값을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한다. 조작내용은, 예를 들면 레버조작방향, 레버조작량(레버조작각도) 등이다.
좌우주행레버(또는 페달), 버킷조작레버, 및 선회조작레버(모두 도시하지 않음)는 각각, 하부주행체(1)의 주행, 버킷(6)의 개폐, 및 상부선회체(3)의 선회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장치이다. 이들 조작장치는, 암조작레버(26A)와 마찬가지로, 파일럿펌프(15)가 토출하는 작동유를 이용하여, 레버조작량(또는 페달조작량)에 따른 제어압을 유압액추에이터의 각각에 대응하는 제어밸브의 좌우 중 어느 하나의 파일럿포트에 도입시킨다. 이들 조작장치의 각각에 대한 조작자의 조작내용은, 압력센서(29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압력센서에 의하여 압력의 형태로 검출되고, 검출값이 컨트롤러(30)에 대하여 출력된다.
컨트롤러(30)은, 압력센서(29A) 등의 출력을 수신하고, 필요에 따라 레귤레이터(13L, 13R)에 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량을 변화시킨다.
압력제어밸브(31)은, 컨트롤러(30)이 출력하는 전류지령에 따라 파일럿펌프(15)로부터 제어밸브(177)의 파일럿포트에 도입되는 제어압을 조정한다. 압력제어밸브(31)은, 제어밸브(177)을 제1 밸브위치와 제2 밸브위치 사이의 임의의 위치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제어압을 조정 가능하다.
여기에서, 도 3의 유압시스템에서 채용되는 네거티브컨트롤제어(이하, "네거컨제어"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센터바이패스관로(40L, 40R)은, 가장 하류에 있는 제어밸브(176A, 176B)의 각각과 작동유탱크의 사이에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을 구비한다.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한 작동유의 흐름은,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에서 제한된다. 그리고,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은, 레귤레이터(13L, 13R)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압(이하, "네거컨압"이라고 함)을 발생시킨다.
파선으로 나타나는 네거컨압관로(41L, 41R)은,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의 상류에서 발생시킨 네거컨압을 레귤레이터(13L, 13R)에 전달하기 위한 파일럿라인이다.
레귤레이터(13L, 13R)은, 네거컨압에 따라 메인펌프(14L, 14R)의 사판경전각을 조절함으로써,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레귤레이터(13L, 13R)은, 도입되는 네거컨압이 클수록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량을 감소시키고, 도입되는 네거컨압이 작을수록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량을 증대시킨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쇼벨에 있어서의 유압액추에이터가 모두 조작되어 있지 않은 경우(이하, "대기모드"라고 함),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하는 작동유는, 센터바이패스관로(40L, 40R)을 통과하여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에 이른다. 그리고,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하는 작동유의 흐름은,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의 상류에서 발생하는 네거컨압을 증대시킨다. 그 결과, 레귤레이터(13L, 13R)은,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량을 허용최소토출량까지 감소시켜, 토출한 작동유가 센터바이패스관로(40L, 40R)을 통과할 때의 압력손실(펌핑로스)을 억제한다.
한편, 어느 하나의 유압액추에이터가 조작된 경우,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하는 작동유는, 조작대상의 유압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제어밸브를 통하여, 조작대상의 유압액추에이터에 흘러든다. 그리고,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하는 작동유의 흐름은,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에 이르는 양을 감소 혹은 소실시켜, 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18L, 18R)의 상류에서 발생하는 네거컨압을 저하시킨다. 그 결과, 저하된 네거컨압을 받는 레귤레이터(13L, 13R)은, 메인펌프(14L, 14R)의 토출량을 증대시키고, 조작대상의 유압액추에이터에 충분한 작동유를 순환시켜, 조작대상의 유압액추에이터의 구동을 확실한 것으로 한다.
상술과 같은 구성에 의하여, 도 3의 유압시스템은, 대기모드에 있어서는, 메인펌프(14L, 14R)에 있어서의 쓸데없는 에너지소비를 억제할 수 있다. 쓸데없는 에너지소비는, 메인펌프(14L, 14R)이 토출하는 작동유가 센터바이패스관로(40L, 40R)에서 발생시키는 펌핑로스를 포함한다.
도 3의 유압시스템은, 유압액추에이터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메인펌프(14L, 14R)로부터 필요충분한 작동유를 작동대상의 유압액추에이터에 확실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4~도 6을 참조하여, 제어밸브(177)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컨트롤밸브(17)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선분(L1)을 포함하는 평면을 -X측에서 본 제어밸브(177)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선분(L2)를 포함하는 평면을 -X측에서 본 제어밸브(176B)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4는, 도 5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선분(L3)과 도 6의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선분(L4)를 포함하는 평면을 +Z측에서 본 부분단면도에 상당한다. 도 4의 굵은 실선 화살표는 센터바이패스관로(40R)에 있어서의 작동유의 흐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밸브(175B), 제어밸브(176B), 및 제어밸브(177)은 컨트롤밸브(17)의 밸브블록(17B) 내에 형성되어 있다. 제어밸브(177)은, 제어밸브(175B)와 제어밸브(176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제어밸브(177)은 제어밸브(175B)의 +X측이고 또한 제어밸브(176B)의 -X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은, 제어밸브(175B)의 스풀의 하류측에서 좌우 2개의 관로로 분기하고, 그 후에 합류하여 하나의 관로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하나의 관로의 상태에서 다음의 제어밸브(176B)에 통하고 있다. 암조작레버(26A) 및 붐조작레버(26B)가 모두 중립상태인 경우,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을 흐르는 작동유는, 도 4의 굵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어밸브의 스풀을 횡단하여 그 하류측에 흐른다.
제어밸브(177)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의 -Y측에 배치되어 있다. 도 5는, 제어밸브(177)이 개방도 100%의 제1 밸브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어밸브(177)은, 제1 밸브위치일 때에, 브리지관로(42Ru)와 브리지관로(42Rd)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구면적을 최대로 하여 작동유가 가장 흐르기 쉬운 상태를 창출한다. 그리고, 압력제어밸브(31)이 생성하는 제어압의 상승에 따라 스프링(177s)가 수축하면 +Y측으로 이동하고 브리지관로(42Ru)와 브리지관로(42Rd)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켜 작동유를 흐르기 어렵게 한다. 브리지관로(42Ru) 및 브리지관로(42Rd)는 패럴렐관로(42R)의 일부이며, 제어밸브(177)의 하류에 있는 브리지관로(42Rd)에는 포핏형 체크밸브(42Rc)가 마련되어 있다. 포핏형 체크밸브(42Rc)는, 브리지관로(42Ru)로부터 브리지관로(42Rd)를 향하여 작동유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어밸브(176B)의 스풀은, 도 6의 쌍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조작레버(26A)가 폐쇄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 -Y측으로 이동하고, 개방방향으로 조작된 경우에 +Y측으로 이동한다. 제어밸브(176B)는, 패럴렐관로(42R)이 암용 브리지관로(44R)을 통하여 암보텀관로(47B) 및 암로드관로(47R) 중 어느 일방에 선택적으로 연통 가능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암용 브리지관로(44R)의 단면형상(도 6 참조)은, 브리지관로(42Ru) 및 브리지관로(42Rd)의 단면형상을 포함하도록, 또한 Z축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높이)가 동일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풀이 -Y방향으로 이동하면,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이 차단된다. 그리고, 스풀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암용 브리지관로(44R)과 암보텀관로(47B)가 연통되고, 또한 암로드관로(47R)과 복귀유관로(49)가 연통된다. 그리고, 패럴렐관로(42R)을 흐르는 작동유가 접속관로(42Ra), 암용 브리지관로(44R), 및 암보텀관로(47B)를 통과하여 암실린더(8)의 보텀측 오일챔버에 유입된다. 또, 암실린더(8)의 로드측 오일챔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가 암로드관로(47R) 및 복귀유관로(49)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로 배출된다. 그 결과, 암실린더(8)이 신장하여 암(5)가 폐쇄된다. 혹은, 스풀이 +Y방향으로 이동하면,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이 차단된다. 그리고, 스풀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암용 브리지관로(44R)과 암로드관로(47R)이 연통되고, 또한 암보텀관로(47B)와 복귀유관로(49)가 연통된다. 그리고, 패럴렐관로(42R)을 흐르는 작동유가 접속관로(42Ra), 암용 브리지관로(44R), 및 암로드관로(47R)을 통과하여 암실린더(8)의 로드측 오일챔버에 유입된다. 또, 암실린더(8)의 보텀측 오일챔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가 암보텀관로(47B) 및 복귀유관로(49)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로 배출된다. 그 결과, 암실린더(8)이 수축하여 암(5)가 개방된다.
다음으로 도 7~도 9를 참조하여, 컨트롤러(30)이 제어밸브(177)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켜 부하압의 불균형을 조정하는 처리(이하, "부하압조정처리"라고 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부하압조정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붐상승 및 암폐쇄의 복합동작 중, 컨트롤러(30)은 소정의 제어주기로 반복하여 이 부하압조정처리를 실행한다. 도 8 및 도 9는, 도 4에 대응하여, 암조작레버(26A) 및 붐조작레버(26B)가 조작되었을 때의 컨트롤밸브(17)의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8은 부하압조정처리를 실행하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9는 부하압조정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붐조작레버(26B)가 붐상승방향으로 조작되면, 제어밸브(175B)는 도 8 및 도 9의 화살표(AR1)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으로 이동하여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을 차단한다. 이로써,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의 작동유는, 제어밸브(175B)의 스풀에 의하여 차단되어, 그 하류측에는 흐르지 않는다. 또, 제어밸브(175B)의 스풀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붐용 브리지관로(43R)과 붐보텀관로(48B)가 연통되고, 또한 붐로드관로(48R)과 복귀유관로(49)가 연통된다. 그리고, 패럴렐관로(42R)을 흐르는 작동유가 접속관로(42Ra), 붐용 브리지관로(43R), 및 붐보텀관로(48B)를 통과하여 붐실린더(7)의 보텀측 오일챔버에 유입된다. 또, 붐실린더(7)의 로드측 오일챔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가 붐로드관로(48R) 및 복귀유관로(49)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로 배출된다. 그 결과, 붐실린더(7)이 신장하여 붐(4)가 상승된다. 도 8 및 도 9는, 패럴렐관로(42R) 및 붐용 브리지관로(43R)을 흐르는 작동유를 가는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또, 붐용 브리지관로(43R)로부터 붐보텀관로(48B)에 흐르는 작동유, 및 붐로드관로(48R)로부터 복귀유관로(49)에 흐르는 작동유를 가는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화살표의 굵기는 작동유의 유량을 나타내고, 화살표가 굵을수록 유량이 큰 것을 나타낸다.
암조작레버(26A)가 암폐쇄방향으로 조작되면, 제어밸브(176B)는 도 8 및 도 9의 화살표(AR2)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Y방향으로 이동하여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을 차단한다. 이로써,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의 작동유는, 제어밸브(176B)의 스풀에 의하여 차단되어, 그 하류측에는 흐르지 않는다. 또, 제어밸브(176B)의 스풀에 형성된 홈에 의하여 암용 브리지관로(44R)과 암보텀관로(47B)가 연통되고, 또한 암로드관로(47R)과 복귀유관로(49)가 연통된다. 그리고, 패럴렐관로(42R)을 흐르는 작동유가 접속관로(42Ra), 암용 브리지관로(44R), 및 암보텀관로(47B)를 통과하여 암실린더(8)의 보텀측 오일챔버에 유입된다. 또, 암실린더(8)의 로드측 오일챔버로부터 유출되는 작동유가 암로드관로(47R) 및 복귀유관로(49)를 통과하여 작동유탱크로 배출된다. 그 결과, 암실린더(8)이 신장하여 암(5)가 폐쇄된다. 도 8 및 도 9는, 패럴렐관로(42R) 및 암용 브리지관로(44R)을 흐르는 작동유를 굵은 점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또, 제어밸브(177)을 통과하는 작동유, 암용 브리지관로(44R)로부터 암보텀관로(47B)에 흐르는 작동유, 및 암로드관로(47R)로부터 복귀유관로(49)에 흐르는 작동유를 굵은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다.
부하압조정처리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30)의 작업내용판정부(300)은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 예를 들면, 암로드압이 붐보텀압 미만인 경우에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다.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작업내용판정부(300)이 판정한 경우(스텝 S1의 YES), 컨트롤러(30)의 부하압조정부(301)은, 브리지관로(42Ru)와 브리지관로(42Rd)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킨다(스텝 S2). 본 실시예에서는, 부하압조정부(301)은, 압력제어밸브(31)에 대하여 전류지령을 출력함으로써, 압력제어밸브(31)이 생성하는 제어압을 상승시킨다. 제어밸브(177)은, 도 9의 화살표(AR3)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압의 상승에 따라 +Y측으로 이동하여, 브리지관로(42Ru)와 브리지관로(42Rd)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킨다. 그 결과, 브리지관로(42Ru)로부터 제어밸브(177)을 통과하여 브리지관로(42Rd)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이 제한되어 브리지관로(42Ru) 내의 작동유의 압력이 붐보텀압과 동일한 레벨까지 상승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컨트롤러(30)은, 비교적 낮은 부하압의 암실린더(8)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대부분이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붐(4)의 상승속도가 느리고 암(5)의 폐쇄속도가 빠른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지 않았다고 작업내용판정부(300)이 판정한 경우(스텝 S1의 NO), 부하압조정부(301)은, 브리지관로(42Ru)와 브리지관로(42Rd)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키지 않는다.
다만, 작업내용판정부(300)은, 붐상승조작 및 암폐쇄조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하고, 또한 암로드압이 붐보텀압 이상이라고 판정한 경우에,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해도 된다. 붐(4)의 상승속도가 빠르고 암(5)의 폐쇄속도가 느리다고 추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부하압조정부(301)은, 제어밸브(177)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이 이미 저감되어 있는 상태이면, 압력제어밸브(31)이 생성하는 제어압을 저하시킨다. 제어밸브(177)은, 제어압의 저하에 따라 -Y측으로 이동하여, 브리지관로(42Ru)와 브리지관로(42Rd)를 연결하는 유로의 개구면적을 증대시킨다. 그 결과, 브리지관로(42Ru)로부터 제어밸브(177)을 통과하여 브리지관로(42Rd)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이 증대되고 브리지관로(42Ru) 내의 작동유의 압력이 붐보텀압과 동일한 레벨까지 저하된다. 이 구성에 의하여, 컨트롤러(30)은, 비교적 낮은 부하압의 붐실린더(7)에 메인펌프(14)가 토출하는 작동유의 대부분이 유입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붐(4)의 상승속도가 빠르고 암(5)의 폐쇄속도가 느린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컨트롤러(30)은, 붐(4) 및 암(5)의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제어밸브(177)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을 증감시킴으로써 그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계속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거나 혹은 방지한다. 이 처리는, 붐(4) 및 버킷(6)의 불균형한 복합동작, 암(5) 및 버킷(6)의 불균형한 복합동작 등의 다른 불균형한 복합동작이 계속되어 버리는 것을 억제하거나 혹은 방지하기 위하여 실행되어도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실시예에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 및 치환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어밸브(177)은 컨트롤밸브(17)의 밸브블록(17B) 내에 도입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밸브블록(17B)의 외부에 제어밸브(177)을 장착할 필요가 없고, 제어밸브(177)을 포함하는 저비용으로 콤팩트한 유압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단, 본 발명은, 밸브블록(17B)의 외부에 제어밸브(177)을 장착하는 구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즉, 제어밸브(177)은 밸브블록(17B)의 외부에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각 유압액추에이터에 대응하는 제1 스풀밸브로 개별적으로 블리드오프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이 채용되고 있지만, 센터바이패스관로와 작동유탱크의 사이에 마련된 통일블리드오프밸브를 이용하여 복수의 유압액추에이터에 관한 블리드오프제어를 통일적으로 실행하는 구성이 채용되어도 된다. 이 경우, 각 제1 스풀밸브가 중립위치로부터 이동한 경우이더라도 센터바이패스관로의 유로면적이 저감되지 않도록, 즉, 각 제1 스풀밸브가 센터바이패스관로를 차단하지 않도록 구성된다. 이 통일블리드오프밸브가 이용된 경우이더라도, 본원 발명의 적용 시에는, 센터바이패스관로와는 별도로, 패럴렐관로가 형성된다.
또,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암용 브리지관로(44R)과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은 비연통이다. 그러나, 암용 브리지관로(44R)과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관로(45R)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암용 브리지관로(44R)과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의 사이의 접속관로(45R)에는 개방압을 조정 가능한 가변체크밸브(46R)이 마련된다. 가변체크밸브(46R)은, 제어밸브(177)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이 저감되었을 때에는, 암용 브리지관로(44R)로부터 센터바이패스관로(40R)로의 작동유의 흐름뿐만 아니라, 센터바이패스관로(40R)로부터 암용 브리지관로(44R)로의 작동유의 흐름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은, 암용 브리지관로(44R)과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이 접속관로(45R)을 통하여 접속된 경우의 제어밸브(176B)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6에 대응한다. 도 11의 파선은, 가변체크밸브(46R)의 이동경로를 나타낸다. 센터바이패스관로(40R)과 패럴렐관로(42R)을 접속하는 접속관로(45R)은, 가변체크밸브(46R)에 의하여 연통·비연통이 전환된다. 암(5)의 단독동작의 경우에는, 암실린더(8) 이외의 붐실린더(7) 등의 다른 유압액추에이터는 비조작상태에 있고, 암조작레버(26A) 이외의 조작레버는 중립상태에 있다. 이로 인하여, 제어밸브(176B)의 상류측에 배치된 제어밸브(172, 174, 175B)에 있어서는,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은, 연통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메인펌프(14R)이 토출하는 작동유는,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을 통과하여 제어밸브(176B)를 향한다. 이때, 컨트롤러(30)은,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변체크밸브(46R)을 개방함으로써, 접속관로(45R)을 통하여 센터바이패스관로(40R)의 작동유를 암실린더(8)에 유입시킬 수 있다. 즉, 제어밸브(177)을 통과하는 작동유와, 센터바이패스관로(40R) 및 접속관로(45R)을 통과하는 작동유를 함께 암실린더(8)에 공급할 수 있다.
붐(4)와 암(5)의 복합동작의 경우에는, 컨트롤러(30)은, 제어밸브(177)에 관한 유로의 개구면적을 저감시켜 패럴렐관로(42R)의 관로저항을 증대시킨다. 또, 가변체크밸브(46R)에 의하여 접속관로(45R)을 차단한다. 이로 인하여, 암실린더(8)에 유입되는 작동유의 흐름을 억제할 수 있다.
본원은, 2016년 3월 22일에 출원한 일본특허출원 2016-057338호에 근거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 일본특허출원의 전체내용을 본원에 참조에 의하여 원용한다.
1…하부주행체
1A…좌측 주행용 유압모터
1B…우측 주행용 유압모터
2…선회기구
2A…선회용 유압모터
3…상부선회체
4…붐
5…암
6…버킷
7…붐실린더
8…암실린더
9…버킷실린더
10…캐빈
11…엔진
13, 13L, 13R…레귤레이터
14, 14L, 14R…메인펌프
15…파일럿펌프
17…컨트롤밸브
17B…밸브블록
18L, 18R…네거티브컨트롤스로틀
26…조작장치
26A…암조작레버
26B…붐조작레버
29, 29A, 29B…압력센서
30…컨트롤러
31…압력제어밸브
40L, 40R…센터바이패스관로
41L, 41R…네거컨압관로
42L, 42R…패럴렐관로
42Rc…포핏형 체크밸브
42Ra…접속관로
42Ru, 42Rd…브리지관로
43R…붐용 브리지관로
44R…암용 브리지관로
45R…접속관로
46R…가변체크밸브
47B…암보텀관로
47R…암로드관로
48B…붐보텀관로
48R…붐로드관로
49…복귀유관로
171~174, 175A, 175B, 176A, 176B, 177…제어밸브
177s…스프링
300…작업내용판정부
301…부하압조정부

Claims (11)

  1.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연결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되어 작업요소를 움직이는 유압액추에이터와,
    센터바이패스관로에 배치된,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 스풀밸브와,
    패럴렐관로에 배치된,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 스풀밸브와,
    상기 제2 스풀밸브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갖고,
    상기 제1 스풀밸브 및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컨트롤밸브의 밸브블록 내에 형성되며,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상기 제1 스풀밸브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밸브는,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붐실린더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붐실린더로부터 상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붐용 제1 스풀밸브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암실린더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암실린더로부터 상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암용 제1 스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암실린더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암용 제2 스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암용 제2 스풀밸브는, 상기 밸브블록 내에 있어서 상기 붐용 제1 스풀밸브와 상기 암용 제1 스풀밸브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암용 제2 스풀밸브를 흐르는 작동유는, 암용 브리지관로를 통과하여 상기 암실린더에 이르고,
    상기 암용 브리지관로는, 상기 패럴렐관로와 암보텀관로 및 암로드관로의 일방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쇼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암 및 붐의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복합동작이 행해지고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 상기 암용 제2 스풀밸브의 개구면적을 저감시키는, 쇼벨.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용 브리지관로와 상기 센터바이패스관로는 비연통인, 쇼벨.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암용 브리지관로와 상기 센터바이패스관로의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쇼벨.
  7. 하부주행체와, 상기 하부주행체 상에 탑재되는 상부선회체와, 상기 상부선회체에 탑재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에 연결된 유압펌프와, 상기 유압펌프가 토출하는 작동유에 의하여 구동되어 작업요소를 움직이는 유압액추에이터를 구비한 쇼벨에 있어서의 쇼벨용 컨트롤밸브로서,
    상기 쇼벨용 컨트롤밸브는,
    밸브블록과,
    센터바이패스관로에 배치된,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유압액추에이터로부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1 스풀밸브와,
    패럴렐관로에 배치된,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유압액추에이터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2 스풀밸브를 갖고,
    상기 제1 스풀밸브 및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상기 쇼벨용 컨트롤밸브의 상기 밸브블록 내에 형성되며, 또한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상기 제1 스풀밸브의 상류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용 컨트롤밸브.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스풀밸브는,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붐실린더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붐실린더로부터 상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붐용 제1 스풀밸브와,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암실린더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 및 상기 암실린더로부터 상기 작동유탱크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암용 제1 스풀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스풀밸브는, 상기 유압펌프로부터 상기 암실린더에 흐르는 작동유의 유량을 제어하는 암용 제2 스풀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암용 제2 스풀밸브는, 상기 밸브블록 내에 있어서 상기 붐용 제1 스풀밸브와 상기 암용 제1 스풀밸브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쇼벨용 컨트롤밸브.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암용 제2 스풀밸브를 흐르는 작동유는, 암용 브리지관로를 통과하여 상기 암실린더에 이르고,
    상기 암용 브리지관로는, 상기 패럴렐관로와 암보텀관로 및 암로드관로의 일방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쇼벨용 컨트롤밸브.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용 브리지관로와 상기 센터바이패스관로는 비연통인, 쇼벨용 컨트롤밸브.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암용 브리지관로와 상기 센터바이패스관로의 사이에는 체크밸브가 마련되어 있는, 쇼벨용 컨트롤밸브.
KR1020187028488A 2016-03-22 2017-03-21 쇼벨 및 쇼벨용 컨트롤밸브 KR1023856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57338 2016-03-22
JPJP-P-2016-057338 2016-03-22
PCT/JP2017/011208 WO2017164169A1 (ja) 2016-03-22 2017-03-21 ショベル及びショベル用コントロールバル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058A true KR20180124058A (ko) 2018-11-20
KR102385608B1 KR102385608B1 (ko) 2022-04-11

Family

ID=5989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488A KR102385608B1 (ko) 2016-03-22 2017-03-21 쇼벨 및 쇼벨용 컨트롤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434937B2 (ko)
EP (1) EP3434910B1 (ko)
JP (1) JP7263003B2 (ko)
KR (1) KR102385608B1 (ko)
CN (1) CN108884843B (ko)
WO (1) WO201716416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21101B2 (ja) * 2019-03-20 2023-02-13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
WO2022202898A1 (ja) 2021-03-26 2022-09-29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ショベ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710A (ja) * 1993-12-30 1995-08-08 Samsung Heavy Ind Co Ltd 重装備用可変優先装置
JP2014001769A (ja) 2012-06-15 2014-01-0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油圧回路及びそ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13605A (ja) * 1981-12-28 1983-07-06 Kayaba Ind Co Ltd 油圧回路とその回路に利用するコントロ−ルバルブ
JPH076530B2 (ja) * 1986-09-27 1995-01-30 日立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油圧回路
JP2847520B2 (ja) 1987-12-10 1999-01-20 株式会社リコー 可逆性感熱記録材料
JPH08105404A (ja) * 1994-09-28 1996-04-23 Samsung Heavy Ind Co Ltd サイドバイパス流路の形成されたモノブロックコントロール弁
US5615991A (en) * 1994-09-30 1997-04-01 Samsung Heavy Industries Co., Ltd. Variable priority device for heavy construction equipment
JP3669830B2 (ja) * 1997-12-25 2005-07-13 東芝機械株式会社 複合制御弁
JPH11257303A (ja) 1998-03-12 1999-09-21 Kayaba Ind Co Ltd 切換弁
JP2000170707A (ja) 1998-12-02 2000-06-20 Hitachi Constr Mach Co Ltd 方向切換弁装置
JP4170493B2 (ja) 1999-01-19 2008-10-2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多連方向切換弁
JP3491600B2 (ja) * 2000-04-13 2004-01-2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制御回路
WO2002022969A1 (fr) * 2000-09-12 2002-03-21 Yanmar Co., Ltd. Circuit hydraulique de vehicule servant a realiser des operations d'excavation et de pivotement
JP3739672B2 (ja) 2001-06-13 2006-01-25 株式会社タグチ工業 建設機械の作動アクチュエータ切換用油圧回路
US7549241B2 (en) * 2005-07-07 2009-06-23 Nabtesco Corporation Hydraulic control device for loader
JP5066987B2 (ja) * 2007-04-10 2012-11-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油圧ショベルの油圧制御装置
EP2765244A4 (en) * 2011-10-07 2015-05-27 Volvo Constr Equip Ab PRIORITY CONTROL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S
JP5809602B2 (ja) * 2012-05-31 2015-11-11 日立建機株式会社 多連弁装置
JP5758348B2 (ja) 2012-06-15 2015-08-05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6033708B2 (ja) 2013-02-28 2016-11-30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油圧回路及びその制御方法
JP5800846B2 (ja) * 2013-03-22 2015-10-28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6338428B2 (ja) 2014-04-11 2018-06-06 Kyb株式会社 バルブ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7710A (ja) * 1993-12-30 1995-08-08 Samsung Heavy Ind Co Ltd 重装備用可変優先装置
JP2014001769A (ja) 2012-06-15 2014-01-09 Sumitomo (S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建設機械の油圧回路及びその制御装置
KR20140138266A (ko) * 2012-06-15 2014-12-03 스미토모 겐키 가부시키가이샤 건설기계의 유압회로 및 그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263003B2 (ja) 2023-04-24
EP3434910A4 (en) 2019-03-13
CN108884843B (zh) 2020-09-01
US20190017247A1 (en) 2019-01-17
EP3434910A1 (en) 2019-01-30
EP3434910B1 (en) 2024-02-28
KR102385608B1 (ko) 2022-04-11
CN108884843A (zh) 2018-11-23
WO2017164169A1 (ja) 2017-09-28
US11434937B2 (en) 2022-09-06
JPWO2017164169A1 (ja) 2019-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3767B1 (ko) 쇼벨 및 쇼벨용 컨트롤밸브
KR102460499B1 (ko) 쇼벨
JP6514522B2 (ja) アンロード弁および油圧ショベルの油圧駆動システム
US11078646B2 (en) Shovel and control valve for shovel
KR20180033266A (ko) 작업 기계
JP2016217378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システム
JP2015169250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システム
US11434937B2 (en) Excavator and control valve for excavator
US11378101B2 (en) Shovel
US10273983B2 (en) Working machine control system and lower pressure selection circuit
JP2016166510A (ja) ショベル
JPWO2019022001A1 (ja) ショベル
WO2021124767A1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6896528B2 (ja) ショベル
JP2021156082A (ja) ショベル
JPWO2019022029A1 (ja) ショベル
JP2011236971A (ja) 作業機械の油圧システム
JPH09210011A (ja) 建機の油圧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