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707A -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707A
KR20180123707A KR1020187030485A KR20187030485A KR20180123707A KR 20180123707 A KR20180123707 A KR 20180123707A KR 1020187030485 A KR1020187030485 A KR 1020187030485A KR 20187030485 A KR20187030485 A KR 20187030485A KR 20180123707 A KR20180123707 A KR 20180123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granules
mixture
plastic
sleep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0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958B1 (ko
Inventor
빈프리트 뵈스터링
아드리안 베드나르크지크
니콜라스 슈뢰더
Original Assignee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EP2016/059064 external-priority patent/WO2017182096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7108224.7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7108224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7108221.2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7108221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02017108222.0A external-priority patent/DE102017108222A1/de
Application filed by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슬로흐-베르케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9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9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03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02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of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3/00Compression moulding, i.e. applying external pressure to flow the moulding material; Apparatus therefor
    • B29C43/3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3/52Heating or coo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6Quartz; Sand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6/0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4B26/045Polyalke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3/00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 E01B3/44Transverse or longitudinal sleepers; Other means resting directly on the ballastway for supporting rails made from other materials only if the material is essent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10Polymers of propylene
    • B29K2023/12PP, i.e. 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509/00Use of 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9K2503/00 - B29K2507/00, as fi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6Rods, e.g. connecting rods, rails, st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chines For Laying And Maintaining Rail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정의 관점에서 비용 효과적이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최적 성능 특성을 갖는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을 위한 침목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다음의 단계들을 제공한다.
a) 열을 가함으로써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과립이 10 내지 60 질량 %이고 나머지는 1.4 내지 2.0 g/cm3의 벌크 밀도를 갖는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혼합물을 150 내지 200 ℃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침목을 복제하는 압축 몰드에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d) 혼합물에서 측정되는 1 내지 5 MPa의 압축 압력에서 최대 60 분의 압축 기간에 걸쳐 몰드 내의 혼합물을 압축하는 단계;
e) 침목을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Description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되고 플라스틱-모래 혼합물로 형성된 침목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표준이나 이와 유사한 규정이 언급될 때, 달리 명시하지 않는다면 이 출원서가 제출된 시점에서 적용가능한 버전의 표준이나 규정을 항상 의미하는 것이다.
철도 차량이 주행하는 철도 트랙은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의 일부이며 레일 차량의 바퀴가 그 위에서 굴러가는 레일, 레일을 지지하고 레일을 올바른 위치에 유지하는 침목 및 침목에 레일을 고정시키는 레일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침목은 일반적으로 밸러스트 베드("밸러스트 베드 상부 구조물") 또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슬래브 혹은 이와 유사한 것으로 형성된 솔리드 기초부("솔리드 트랙")에 지지된다.
침목은 사용 중에 고하중을 받게 된다. 침목은 레일 및 철도 차량의 무게를 흡수해야 할뿐만 아니라 레일 차량이 그 위로 주행 할 때 높은 동적 하중을 흡수해야 한다. 동시에, 침목은 예를 들어 온도나 습도의 커다란 변동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거칠고 심하게 변화하는 환경 조건을 견디어야 한다.
전형적인 침목은 목재, 강철 또는 콘크리트로 구성된다. 목재 침목은 비교적 비싸지만 사용 중에 어느 정도 탄성적으로 거동한다. 이것은 레일 고정에 커다란 노력이 필요없이 레일의 내구성에 유리한 중력의 방향으로 일정한 탄력성을 나타내는 목재로 형성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에, 목재 침목을 썩지않게 보호하기 위하여 정교하고, 환경적인 관점에서 어느정도 의문의 여지가 있는 조치들이 요구된다. 목재 침목은 썩게되는 위험성으로 인해 비교적 짧은 간격으로 또한 점검하고 유지해야 한다.
대조적으로, 콘크리트 침목은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침목은 무게가 무거우며 탄력성이 없다. 탄력성이 없다는 것은 각각의 레일 고정 지점에서 요구되는 탄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조치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또한, 콘크리트 침목은 기상 조건이 극단적으로 변화하는 경우에 급격하게 진행하는 노화에 민감하다.
종래의 목재 또는 콘크리트 침목의 대안으로서 플라스틱-모래 혼합물로 구성된 침목이 제안되었다(DE 20 2011 050 077 U1). 플라스틱의 중합체와 모래는 한편으로는 충분한 치수 안정성 및 다른 한편으로는 목재 침목의 거동과 필적하는 탄력성이 얻어지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되어야 한다. 이러한 침목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방법은 EP 1299321 B1에 공지되어 있다. 이 방법으로 모래는 300 - 800 ℃로 가열된 다음 각각의 플라스틱 과립과 혼합된다. 혼합물은 침목을 복제하는 몰드에 넣어지고 1 - 40 kPa의 압력에서 60 - 100 ℃까지 냉각된다. 모래의 입자 크기는 0.5 - 0.9 mm이어야 한다.
종래 기술의 배경을 감안하여, 공정의 관점에서 비용 효과적이고 신뢰성있는 방식으로 성능 특성을 최적화한 침목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특정하는 목적이 제기되었다.
본 발명은 청구항 제1항에 특정된 방법에 의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였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들에 특정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과 마찬가지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철도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을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다음의 제조 단계들을 포함한다.
a) 열을 가함으로써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과립(granulate)이 10 내지 60 질량 %이고 나머지는 1.4 내지 2.0 g/cm3의 부피 밀도를 갖는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혼합물을 150 내지 180 ℃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침목을 복제하는 압축 몰드에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d) 혼합물에서 측정되는 1 내지 5 MPa의 압축 압력에서 최대 60 분의 압축 기간에 걸쳐 몰드 내의 혼합물을 압축하는 단계;
e) 침목을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본 발명은 믿을 수 있고 작업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제조를 위해서, 정확하게 한정된 온도 범위 및 마찬가지로 압축 압력에 대해 정확하게 결정된 범위를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인식에서 비롯한 것인데, 침목의 형상 안정성을 위해 요구되는 모래와 플라스틱의 결합이 일어날 때까지 상기 압축 압력하에서 각각의 몰드 내에 충전된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은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이 각각의 몰드 내에서 압축될 때,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의 온도가 있게 되는 온도 범위는 150 내지 200 ℃이다.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은 초기에 모래와 각각의 플라스틱 과립을 혼합하고 그 다음에 얻어진 혼합물을 압축 온도로 가열하는 것에 의해 이러한 온도를 얻을 수 있다. 실제 테스트에서, 윤곽 정확도와 관련하여 표면 상태 및 기계적 특성이 가장 높은 요건을 또한 충족시키는 침목은 최소 160 ℃의 압축 온도에서 신뢰할 수 있게 생산될 수 있음이 명백해졌다. 에너지 사용을 최적화하는 관점에서, 압축 온도를 최대 180 ℃로 제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플라스틱과 모래를 함께 가열하는 것의 대안으로, 모래를 사전 가열하고 그 다음에 여전히 가열되어 있지 않은 플라스틱 과립과 단지 혼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뜨거운 모래와 접촉의 결과로서, 그 시점까지 차가운 상태의 플라스틱은 본 발명에 따른 요구되는 압축 온도까지 신속하게 가열된다. 이것은 열 에너지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이점을 가질뿐만 아니라 모래와 플라스틱을 결합 과정에 긍정적 인 영향을 나타낸다. 이러한 이점을 이용하기 위하여, 제조할 침목에 제공되는 모래와 플라스틱의 질량비 및 플라스틱의 가열 거동을 고려하여, 혼합 후 뜨거운 모래와 차가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혼합물의 온도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온도 범위에 있도록 모래는 압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모래가 180 내지 250 ℃, 특히 최소 190 ℃ 또는 최대 230 ℃의 온도로 가열되고 그 다음에 플라스틱과 혼합되면 성공적이라는 것이 실제 시험에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는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은 압축 몰드에서 본 발명에 따라 특정되는 압축 온도를 가져야만 한다. 이를 보장하기 위해,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이 주형에 부어지기 전에 가열되고 고온 상태로 성형 다이에 충전되는 방법의 변형예의 경우에, 몰드에 혼합물이 주입된 후 혼합물의 온도가 압축 온도에 대해 특정된 온도 범위에 여전히 있게 되도록, 혼합물과 몰드의 접촉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온도 손실을 고려하여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의 온도를 설정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다. 과도한 온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압축 몰드는 주입 작업을 위해 평균적으로 적어도 100 ℃, 특히 적어도 110 ℃의 온도가 되게 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경우에 압축 몰드에 충전된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의 온도를 충분히 제어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하여, 최대 180 ℃의 온도, 특히 최대 140 ℃의 온도는 실제로 충분하다는 것이 입증되었고 최적의 에너지 사용 관점에서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여기서, "평균적으로"라는 표현은 압축 몰드의 온도와 관련하여, 압축 몰드의 모든 영역에 대해 검출된 온도의 평균이 본 발명에 따른 사양에 해당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국부적으로 이러한 사양으로부터 편차 즉, 더욱 높거나 또는 더욱 낮은 온도가 있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평균값이 얻어진다는 것인데, 평균값으로부터 국부적으로 발생하는 편차는 최적으로 10 % 이하, 특히 5 % 이하이다.
침목은 압축 후에 몰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침목은 몰드로부터 더욱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필요에 따라 몰드에서 소정의 제거 온도까지 냉각되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침목의 제거 온도가 40 - 100 ℃, 특히 50 - 70 ℃인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성공을 위해서는, 플라스틱 과립과 혼합된 모래가 1.4 내지 2.0 g/cm3의 부피 밀도를 갖는 것이 또한 필수적인데, 적어도 1.6 g/cm3의 부피 밀도를 갖는 모래가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모래가 본 발명에 따른 사양 범위 내에서 선택된 부피 밀도를 갖고 있음으로써, 모래는 플라스틱 과립과 잘 혼합되는 것이 보장되고 결과적으로 모래 입자가 완성 침목에서 이들을 둘러싸며 가열 및 압축 공정 중에 용융되어 압축되는 플라스틱 과립 입자로 형성되는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양호하게 결합된다. 1.9 g/cm3 이하, 특히 적어도 1.7 g/cm3의 부피 밀도가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제 시험에 따르면, 평균 입자 직경이 0.1 - 0.5 mm인 평균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로 구성된 모래가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위해 특히 양호하게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이러한 입자 크기를 갖는 모래 입자는 완성 침목의 플라스틱 매트릭스에 특히 양호하게 매립된다. 이에 의해 침목의 안정성이 최적화될 뿐만 아니라, 그 댐핑 거동 및 탄력성이 철도 차량을 위한 철도 트랙에서 침목으로 사용하기 위해 최적의 방식으로 설정된다. 이것은 특히 모래 입자의 평균 직경이 0.5 mm 미만, 즉 예를 들면 최대 4.8 mm, 최대 4.5 mm 또는 최대 0.4 mm이 경우에 적용된다.
최소 요건으로서의 부피 밀도가 본 발명에 따른 사양에 상응하는 모든 모래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위한 모래로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의 재료에 제공되는 모래의 유형에 대해서는 어떤 특별한 요건도 강요되지 않음이 실제 시험에서 밝혀졌다. 분쇄 모래(cruched sand)가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지만, 절대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여기서, 분쇄 모래는 일반적으로 인공적으로 제조된 모래인데,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침목과 같이 모래를 기반으로 제조된 제품을 재활용할 때 형성된다. 분쇄 모래는 그 입자들이 둘레에 날카로운 에지 돌출부를 가지며, 이로써 인접한 입자들에 자체적으로 걸리게 되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침목이 특히 고강도 및 높은 파단 저항성을 갖는 데에 기여한다는 사실에 의해 특징지어 진다.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모래 입자의 경도는 모스에 따라 결정된 5 - 8의 경도를 나타내는데(예를 들어, Detlef Gysau, "Fuellstoffe"(Fillers), 3rd Edition, Hanover : Vincentz Network, 2014, ISBN : 9783866308398 참조), 모스에 따라 결정된 경도가 6 이상, 특히 7 이상인 입자를 갖는 모래가 특히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제조 단계 a)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해 제공되는 혼합물의 플라스틱 과립의 함량은 10 내지 60 질량 %인데, 20 내지 40 질량 %의 함량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양에 따라 구성되는 모래와 혼합될 수 있고 그 안에 매립된 모래의 입자와 플라스틱 사이에 충분한 결합이 존재하도록 열과 압력을 가함으로써 압축될 수 있는 모든 플라스틱이,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을 제조하기 위한 플라스틱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열가소성 수지"로 불리는 플라스틱이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폴리프로필렌 과립(PP 과립) 또는 폴리에틸렌 과립(PE 과립)으로 이루어진 과립으로 구성된 플라스틱 과립이 여기에서 특히 적합한데, PP 과립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플라스틱 재료에 관한 특별한 요건이 제기될 때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과립)으로 구성된 과립이 본 발명을 위해 또한 적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의 제조를 위해 제공되는 플라스틱 과립은 단일의 플라스틱 과립 유형으로 이루어진 혼합되지 않은 것이거나 또는 상이한 플라스틱 과립 유형들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플라스틱 과립 혼합물이 사용되는 경우, 플라스틱 과립이 40 내지 60 질량 %의 PP 과립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가 PE 과립 또는 HDPE 과립으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 몰드에 충전된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을 압축할 때 몰드을 잘 충전하는 것과 관련하여, DIN EN ISO 1133에 따라 230 ℃의 시험 온도 및 2.16 kg의 하중 질량에서 측정된(AB Mathur, I.S. Bhardway, "Testing and Evaluation of Plastics", Allied Publishers PVT. Limited, 2003, ISBN 81-7764-436-X 참조),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과립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의 용융 흐름 MFI/190/2,16은 각 경우에 20 초과인 것이 유리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되는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의 모래와 플라스틱 재료의 양호한 혼합은, 과립의 입자 크기를 모래의 입자 크기에 맞추는 것에 의해서 부가 적으로 지원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플라스틱 과립이 가루 또는 분말인 경우 성공적인 것으로 입증되었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침목은 높은 파단 저항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침목에 대해 DIN EN 13146-10에 따라 수행된 시험에서 엄격한 요건을 충족시키는 일관되게 높은 인발 저항(pull-out resistance)을 나타내었으므로, 이와 관련하여 실제로 설정된 요건이 항상 신뢰성있게 충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은 각각의 경우에 침목에 지지될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침목에 삽입된 원통 개구, 특히 드릴 구멍에 나사 결합되고 개구를 둘러싸는 재료 내로 끼어들어가는 과정에서 자동 태핑 레일 고정 나사의 사용을 위해 특히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침목은 침목 재료 치핑을 일으키는 일없이 60 kN 이상의 높은 조임 토크를 흡수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침목와 조합하여, 이는 고정될 각각의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간단하게 구성되고 저렴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시스템에서는 침목에 레일을 고정하기 위해 단지 최소 개수의 나사가 요구된다.
도 1은 3점 굽힘 시험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이하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규사(quartz sand)가 밸러스트 베드 상부 구조물을 위해 전형적인 방식에서 직사각형으로 길다란 방식으로 형성된 침목을 제조하기 위해 제공되었다. 모래의 부피 밀도는 약 1.9 g/cm3이고 모스에 따라 결정된 경도는 7이고 모래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1 내지 0.5 mm 미만 이었다.
동시에, 폴리프로필렌 플라스틱 과립(PP 과립)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과립이 제공되었다. 230 ℃ 및 2.16 kg의 하중에서 측정된 PP 플라스틱 과립의 용융 흐름 지수는 20 초과 이었다.
플라스틱 과립과 혼합하기 전에 모래를 가열 카트리지에 의해 220 ℃로 가열되었으며, 가열 가트리지는 모래에 침지되고 가열 오일로 가열된다. 한편, 플라스틱 과립의 온도는 실온과 일치한다.
그 다음에 뜨거운 모래는 플라스틱 과립과 혼합되었다. 수득된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이 35 질량 %의 플라스틱 과립과 나머지 모래로 구성되도록 모래 및 플라스틱 과립의 계량이 실행되었다. 혼합 과정에서 플라스틱 과립은 가열되었고 뜨거운 모래는 상응하여 냉각되었으므로, 수득된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이 170 ℃의 압축 온도를 갖게 되었다. 이 온도에서, 플라스틱 과립은 이미 완전히 용융되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확한 온도를 갖게된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이 압축 툴의 몰드에 충전되었고, 120 ℃ 이상의 온도가 유지되었다.
그 후, 모래-플라스틱 혼합물을 예를 들어 3.6 MPa의 압력 하에서 30 분 동안 몰드 내에 유지시켰다. 이러한 방식으로, 주형은 모래-플라스틱 혼합물로 균일하게 충전되었으며, 주형에 의해 특정되는 침목의 세부 사항이 완벽하게 복제되었고 모래와 모래를 둘러싸는 플라스틱의 강한 결합이 일어났다.
성형 시간의 종료 후에, 몰드가 개방되었으며 얻어진 침목은 60 ℃의 탈형 온도까지 냉각되었으며, 탈형 온도에서 침목이 최종적으로 몰드에서 제거되었다.
얻어진 침목은 실제 사용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견디는 방식으로 확실하게 흡수할 수 있는 높은 파단 저항성을 나타내었다.
동시에, 인발 저항성, 즉 레일 고정의 앵커를 침목으로부터 잡아당기는데 필요한 힘은 실제로 이 목적을 위해 규정된 최소값보다 현저하게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마찬가지로, 전형적인 침목 나사로 시험했을 때 60 kN보다 훨씬 높은 조임 토크가 얻어졌으며, 예를 들어 70 kN 이상이었다.
본 발명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방법으로 제조된 침목의 직사각형 시험편과 전술한 독일 실용신안 DE 20 2011 050 077 U1에 따라 제조된 시험편에 대하여, - 20 ℃, 0 ℃, 실온, + 50 ℃, + 70 ℃의 시험 온도에서 3점 굽힘 시험을 하였다. 3점 굽힘 시험은 DIN EN 196-1에 근거하여 실행되었다. 시험편의 치수는 160 x 40 x 40 mm 이었다.
첨부 도면에 시험 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시험편(P)는 100 mm 간격으로 서로 평행하게 놓인 두 개의 원통형 받침대(A1, A2) 위에 놓여지고, 시험편의 단부 섹션은 할당된 받침대(A1, A2)를 초과하여 측방향으로 각각의 경우 30 mm만큼 돌출되었다. 개별적인 시험 힘(K)이 서포트(A3)를 통해 각각의 평가되는 시험편(P)에 가해졌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시험편에 의해 시험 동안에 수용된 파단 하중, 즉 각각의 시험편 파단을 야기할 때 초과되는 최대 시험 힘(K)은, 통상적으로 제조되어 비교 시험편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시험 온도에서 수용될 수 있는 파단 하중보다 각각의 시험 온도에서 평균적으로 적어도 46 % 높다는 것이 시험에서 확인되었다.
표 1에는, 각각의 시험 온도(TP)에 대한 3점 굽힘 시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시험편에 의해 수용된 파단 하중(BK_erf)이 비교 시험편에 의해 수용될 수 있었던 평균 파단 하중(BK_konv)보다 평균적으로 얼마나 높았는지에 대해 백분율(A%)로 나타나 있다(A% = [BK_erf - BK_konv] / BK_konv).
Figure pct00001

Claims (14)

  1.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a) 열을 가함으로써 변형가능한 플라스틱 과립이 10 내지 60 질량 %이고 나머지는 1.4 내지 2.0 g/cm3의 부피 밀도를 갖는 모래로 이루어진,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b) 혼합물을 150 내지 200 ℃의 온도로 가열하는 단계;
    c) 침목을 복제하는 압축 몰드에 혼합물을 주입하는 단계;
    d) 혼합물에서 측정되는 1 내지 5 MPa의 압축 압력에서 최대 60 분의 압축 기간에 걸쳐 몰드 내의 혼합물을 압축하는 단계;
    e) 침목을 몰드로부터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조 단계 a)에서 제공되는 질량은 20 내지 40 질량 %의 플라스틱 과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3.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조 단계 a)에서 제공되는 모래의 부피 밀도는 1.6 g/cm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기간은 5 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5.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혼합물이 제조 단계(b)에서 가열되는 온도는 160 ℃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6.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과립은 폴리프로필렌 과립(PP 과립) 또는 폴리에틸렌 과립((PE 과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과립은 PP 과립 및 PE 과립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과립의 40 내지 60 질량 %는 PP 과립으로 구성되고, 나머지는 PE 과립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9.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또는 플라스틱 과립으로 구성되는 플라스틱의 용융 흐름 지수 MFI/230/2,16은 각각의 경우에 20 초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10.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래는 플라스틱 과립과 혼합되기 전에 150 - 230 ℃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11.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축 몰드의 온도는 플라스틱 과립-모래 혼합물로 충전될 때 평균적으로 100 - 1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12.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래는 평균 입자 크기가 0.1 - 0.5 mm인 입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모래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0.5 mm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14. 선행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래는 모스에 따라 결정된 5 - 8의 경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목 제조 방법.
KR1020187030485A 2016-04-22 2017-04-21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 제조 방법 KR1020069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6/059064 WO2017182096A1 (de) 2016-04-22 2016-04-22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welle für den einsatz im gleisoberbau
EPPCT/EP2016/059064 2016-04-22
DE102017108224.7A DE102017108224A1 (de) 2017-04-18 2017-04-18 Schwelle für den Gleisoberbau
DE102017108221.2A DE102017108221A1 (de) 2017-04-18 2017-04-18 Schwelle für den Gleisoberbau
DE102017108221.2 2017-04-18
DE102017108222.0A DE102017108222A1 (de) 2017-04-18 2017-04-18 Schwelle für den Gleisoberbau
DE102017108224.7 2017-04-18
DE102017108222.0 2017-04-18
PCT/EP2017/059519 WO2017182630A1 (de) 2016-04-22 2017-04-21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chwelle für den einsatz im gleisoberba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707A true KR20180123707A (ko) 2018-11-19
KR102006958B1 KR102006958B1 (ko) 2019-08-05

Family

ID=585791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0485A KR102006958B1 (ko) 2016-04-22 2017-04-21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90118424A1 (ko)
EP (1) EP3419948B1 (ko)
JP (1) JP6517450B1 (ko)
KR (1) KR102006958B1 (ko)
CN (1) CN109071348B (ko)
AU (1) AU2017252004B2 (ko)
CA (1) CA3021612C (ko)
DK (1) DK3419948T3 (ko)
ES (1) ES2885069T3 (ko)
HU (1) HUE055989T2 (ko)
MA (1) MA43779A (ko)
MX (1) MX2018012091A (ko)
PL (1) PL3419948T3 (ko)
PT (1) PT3419948T (ko)
WO (1) WO2017182630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350A (en) * 1990-04-30 1991-10-08 Neefe Charles W Composite railroad cross-tie
WO1994027800A1 (en) * 1993-05-31 1994-12-08 Matti Toivola A method for producing a building material from a mixture of unscreened thermoplastic waste and mineral
KR970058869A (ko) * 1996-01-09 1997-08-12 강영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철도침묵의 제조방법
DE202011050077U1 (de) * 2011-05-09 2011-07-19 Sioplast Produktionsgesellschaft Mbh Bahnschwelle und Vorrichtung zu deren Herstellu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1419B (en) * 1994-07-18 1998-05-13 Europ Environmental Recycling A method for recycling waste materials
RU2170716C1 (ru) 2000-06-30 2001-07-20 Тарасенко Александр Михайлович Песчано-полимерный материал
CN100488913C (zh) * 2007-04-30 2009-05-20 西安天久环保再生材料有限公司 利用废弃原料制成的再生节能型材料及其用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55350A (en) * 1990-04-30 1991-10-08 Neefe Charles W Composite railroad cross-tie
WO1994027800A1 (en) * 1993-05-31 1994-12-08 Matti Toivola A method for producing a building material from a mixture of unscreened thermoplastic waste and mineral
KR970058869A (ko) * 1996-01-09 1997-08-12 강영일 폐합성수지를 이용한 철도침묵의 제조방법
DE202011050077U1 (de) * 2011-05-09 2011-07-19 Sioplast Produktionsgesellschaft Mbh Bahnschwelle und Vorrichtung zu der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18424A1 (en) 2019-04-25
EP3419948B1 (de) 2021-06-16
EP3419948A1 (de) 2019-01-02
PT3419948T (pt) 2021-07-30
ES2885069T3 (es) 2021-12-13
KR102006958B1 (ko) 2019-08-05
MX2018012091A (es) 2019-01-10
HUE055989T2 (hu) 2022-01-28
PL3419948T3 (pl) 2021-12-20
CN109071348B (zh) 2020-09-29
DK3419948T3 (da) 2021-08-30
MA43779A (fr) 2018-11-28
AU2017252004A1 (en) 2018-10-11
CA3021612A1 (en) 2017-10-26
CA3021612C (en) 2021-06-01
CN109071348A (zh) 2018-12-21
AU2017252004B2 (en) 2019-06-20
JP2019516883A (ja) 2019-06-20
WO2017182630A1 (de) 2017-10-26
JP6517450B1 (ja)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4967A (ko)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 제조 방법
US20160024720A1 (en) Thermoset composite material and structural compon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from engineered recycled rubber powder
CA2408804C (en) Recycled rubber railroad crossties
US8252216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railway ties
US20060024453A1 (en) Elastomeric structural elements
Khalil Mechanical testing of innovated composite polymer material for using in manufacture of railway sleepers
US20030085293A1 (en) Engineered railroad ties
KR20180123707A (ko) 철도 트랙 상부 구조물에 사용하기 위한 침목 제조 방법
Soto et al. Increased stability of rubber-modified asphalt mixtures to swelling, expansion and rebound effect during post-compaction
CN111218857A (zh) 一种制备轨道道床的方法
DE19808867A1 (de) Verfahren und Herstellung einer stabilen, tragfähigen, drainagefähigen oder dichten und schallabsorbierenden Festen-Fahrbahn aus einem dauerelastischen Kunststoffbeton für schienengebunde Fahrzeuge aller Art
JPS6145001A (ja) コンクリ−ト枕木等埋込栓の補修材
WO2020093116A2 (en) Railway sleeper in reinforced thermoset composite material
JP2006063150A (ja) ポリウレタン樹脂成形体、並びに、ポリウレタン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
CN110777573A (zh) 一种埋入式轨道用减振降噪部件及其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