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316A -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23316A KR20180123316A KR1020170057355A KR20170057355A KR20180123316A KR 20180123316 A KR20180123316 A KR 20180123316A KR 1020170057355 A KR1020170057355 A KR 1020170057355A KR 20170057355 A KR20170057355 A KR 20170057355A KR 20180123316 A KR20180123316 A KR 2018012331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ester
- fiber
- hollow
- resin
- synthetic res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4—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hollow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2—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amide as constituent
-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component Fiber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된시스부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된 코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코어부에 7~15%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복합방사 하는 단계; (3) 상기 후처리된 단섬유를 5~30mm의 섬유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4) 상기 절단된 섬유에서 코어부를 수산화나트륨 4~6% 수용액으로 용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1) 단계에서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이용성 수지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에 대하여 0.1~1몰%의 디메틸-5-술포 아이소프탈레이트 포스포늄염(Dimethyl-5-sulfoisophthalate phosphonium salt, DMSP) 또는 디(β-하이드록시에틸기)-술포 아이소프탈레이트 포스포늄염(Di(β-hydroxyethyl)-5-sulfo isophthalate phosphonium salt, DHSP)과, 2~5몰%의 5-나트륨설포이소프탈산(DMS)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90~95중량%와 수평균 분자량이 400~20,000인 수용성 폴리알킬렌 옥사이드가 5~10중량%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중공복합사의 코어부가 용이하게 용출될 수 있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나 폴리아미드 등의 합성섬유는, 그 우수한 물리적 및 화학적 특성에 의해, 의류용뿐만 아니라, 산업용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고, 공업적으로 중요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이들 합성섬유는, 그 단사섬도가 단일한 분포를 갖으며, 보온성에서 마,면 등의 천연섬유와 차이가 큰 결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결점을 개선하기 위해, 합성섬유를 중공화하는 것이 널리 행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중공률이 높은 섬유는 많은 공기층을 함유하므로 비중이 작고, 보온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가벼우면서도 따뜻한 느낌을 주는 우수한 특성을 가지며, 단열옷, 이불, 보온용 이불, 침낭 등에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개발되어온 중공섬유는 방사시 방사공 상부의 압력 불균형이나, 방사된 고분자 용융체를 냉각시키는 과정에서 공기와류에 의해 원사가 개환되거나 반복 사용시 중공사가 개환되어 공기층을 잃게 되므로 반발성, 숭고성, 보온성 및 염색성이 떨어지는 결점이 있다.
종래에 중공섬유의 중공률을 크게 하는 방법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062548호에서는 구금공의 세변이 반지름이 R인 원(圓)의 일부인 원호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구금공은 세변의 꼭지점으로부터 돌출된 3개의 돌기부를 가지며, 또 세변의 각 구금공 사이에는 간극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구금공의 형상이 3각형으로 되어 있는 삼각단면 중공섬유 제조용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중공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만곡된 슬릿(slit) 두 개 이상을 원형으로 배열한 방사구금을 이용하여 구금의 지름, 슬릿폭, 만곡슬릿과 슬릿간의 길이, 고분자 용융체의 점도, 토출량, 방출사조의 냉각방식을 조절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이와같은 방법만으로는 웰딩포인트(welding point)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완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414206호, 제1484506호에서는 코어부의 일부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형성된 C형 단면의 중공섬유에 대한 것으로, 방사구금의 형태가 복잡하고, 코어부 일부의 외부노출을 위해 형성된 일정간격이 이격된 중공복합사는 형태안정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어 그 결과 경량성 및 보온성이 떨어질 수 있다.
용출형 중공사에 있어서는 내부의 물질이 완전히 용해되어 배출되며 용출시에도 단면형태 유지하는 것이 핵심이며, 따라서 용출된 후에도 보온성이 경량성이 우수한 섬유기술의 개발이 소망되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 목적은 방사된 중공복합사의 단섬유 상태에서 코어부를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사과정 및 단섬유의 사용중에 단섬유의 형태안정성이 보장되는 조건에서 최고의 중공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된시스부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된 코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코어부에 7~15%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복합방사 하는 단계; (3) 상기 후처리된 단섬유를 5~40mm의 섬유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4) 상기 절단된 섬유에서 코어부를 수산화나트륨 4~6% 수용액으로 용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1) 단계에서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이용성 수지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에 대하여, 디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 혹은 디(β-하이드록시에틸)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β-hydroxy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ES) 4~5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90~93중량%와 수평균 분자량이 400~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7~10중량%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 단계 시스부의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1) 단계 시스부의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나일론 6,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상대점도(relatively viscosity, R.V.)가 3.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35 : 6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는 코어부인 이용성 수지를 용출 후 중공률이 전체 단면적의 45~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복합중공섬유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는 섬도가 50 내지 200 데니어인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복합중공섬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방사된 중공복합사의 단섬유 상태에서 코어부를 제거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제공하여 중공복합사의 중공율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사과정 및 단섬유의 사용중에 단섬유의 형태안정성이 보장되면서 최고의 중공율을 나타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코어부(20)의 용출전후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용출전 단섬유의 중간지점의 단면에 관한 SEM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의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섬유의 중간지점의 단면에 관한 SEM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용출전 단섬유의 중간지점의 단면에 관한 SEM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의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섬유의 중간지점의 단면에 관한 SEM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은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1)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된시스부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된 코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코어부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복합방사 하는 단계; (3) 상기 후처리된 섬유를 5~40mm로 절단하는 단계; 및 (5) 상기 복합방사된 섬유에서 코어부를 수산화나트륨 4~6% 수용액에서 용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1) 단계의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이용성 수지로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에 대하여, 디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 또는 디(β-하이드록시에틸)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β-hydroxy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E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4~5몰%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90~93중량%와 수평균 분자량이 400~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7~10중량%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1) 단계로서 시스부 및 코어부를 준비한다.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35 : 65의 범위를 갖는다. 상기 시스부에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스부의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BT)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일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성이 추가된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시스부의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6 일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능성이 추가된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상대점도(relatively viscosity, R.V.)가 3.0~3.5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코어부에 사용되는 이용성 폴리머는 섬유제조 후에 코어부를 용출시켜 중공섬유로 제조하는 것인데, 용이하게 용출될 수 있도록 이용성 폴리머를 사용한다. 상기 이용성 폴리머는 알칼리성 용액에 쉽게 가수분해되는 이용성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용성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현재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으로 알카리성 용액에 쉽게 용해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이용성 폴리머는 알카리성 용액에 쉽게 용해되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에 대하여, 디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 또는 디(β-하이드록시에틸)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β-hydroxy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E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4~5몰%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90~93중량%와 수평균 분자량이 400~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7~10중량%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용출형 복합중공섬유는 이용성 폴리머를 용출시킨 후 중공률이 전체 단면적의 35% 이상으로 중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5~6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중공률이 상기 범위일 때 섬유의 단면형태 유지가 뛰어나며, 보온성 유지도 우수한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2)단계는 코어부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복합방사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용융수지가 방사구금을 통해 용출시 열팽창될 수 있으므로 시스부와 코어부는 이격된 공간이 필요하며, 또한 원형단면과 코어부 내의 중공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복합방사구금이 2~4개로 분리된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3)단계는 후처리된 복합방사섬유를 절단장치를 이용해 섬유길이 5~40mm로 절단하여 단섬유를 만드는 공정이다. 단섬유를 만드는 이유는 코어부가 용이하게 용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4)단계는 절단된 단섬유를 수산화나트륨 4~6% 수용액에서 코어부를 용출시키는 것으로, 섬유길이 5~40mm의 단섬유가 빠른 시간내에 코어부 수지를 용출시킬 수 있다. 상기 단섬유는 양쪽 섬유단면간 길이가 짧아서 노출된 단면를 통해 코어부의 용출이 용이하다. 다만, 단섬유의 길이가 40mm초과되면 코어부의 용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고, 반대로 5mm미만일 경우 코어부가 쉽게 용출되지만, 단섬유로써 쓰임새의 한계가 있다.
또한 상기 수산화나트륨 4% 미만의 수용액에서는 이용성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를 용출할 경우에는 용출시간이 장시간이 소요되며 수산화나트륨 6%를 초과하는 수용액에서 용출할 경우에는 시스부의 폴리에스테르가 용출될 수 있으므로 수산화나트륨 4~6% 수용액에서 용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서 제조된 용출형 복합중공섬유는 중공율이 용출되기 전 전체단면적에서 7~15%에서 용출후 35~60%을 갖는다. 처음부터 방사단계에서 중공율을 40%이상 되도록 방사할 경우 방사도중 형태변형 위험이 있으며 또한 방사 후 후처리과정에서도 형태유지에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후처리 후 용출에 의한 고중공성의 복합섬유제조가 형태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 져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
고중공복합섬유를 제조함에 있어 시스부로 상대점도가 0.64인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를 사용하였으며, 코어부의 이용성 폴리머는 테레프탈산에 대하여 1.2몰%의 디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 및 3.0몰%의 디(β-하이드록시에틸)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β-hydroxy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ES)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90중량%와 수평균 분자량이 1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10중량%을 사용하였으며,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는 60 : 40로 방사구금을 통해 중공률이 10%로 복합방사한 섬유를 섬유길이 5mm로 절단하고, 수산화나트륨 5% 수용액을 이용하여 5분간 코어부의 이용성 폴리머를 용출하는 용출공정을 하였다.
실시예
2~4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섬유길이를 20,30,40mm로 하였다.
실시예
5~6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를 4,6%로 하였다.
비교예
1~3
실시예 1과 동일하되, 섬유길이 및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의 농도를 표1과 같이 하였다.
구분 | 실시예 | 비교예 | |||||||
1 | 2 | 3 | 4 | 5 | 6 |
1 | 2 | 3 | |
섬유길이(mm) | 5 | 20 | 30 | 40 | 5 | 5 | 50 | 5 | 50 |
NaOH(%) | 5 | 5 | 5 | 5 | 4 | 6 | 5 | 8 | 8 |
중공율(%) | 56.7 | 52.0 | 50.6 | 46.2 | 53.6 | 58.8 | 29.2 | 68.1 | 35.2 |
용출율(%) | 100 | 99 | 97 | 93 | 100 | 100 | 75.2 | 121 | 98 |
보온율(%) | 92 | 88 | 85 | 82 | 92 | 92 | 78 | 93 | 73 |
※ 측정방법
1.
중공율
나트륨 수용액에 의한 코어부의 용출후 단섬유의 중간을 절단하여 총단면적 대비 중공비율을 계산한다.
2.
용출율
절단된 단섬유의 용출 전 중공복합섬유 무게를 측정하고,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서 용출시킨 후 중공복합섬유 무게를 측정한다. 코어부의 무게는 시스부와 중량비를 적용하여 추정한다.
3. 보온율
보온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KS K 0560 시험법에 따라 표준상태에서 항온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가공된 면을 위로하여 시험편을 발열체 위에 덮어 놓는다. 이때 시험편을 최대한 발열체와 밀착하여 공기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였다. 발열체의 표면에서 시험편 외부로 유출되는 열량이 일정해져 발열체의 표면 온도가 일정한 값을 나타내는 시점부터 측정을 시작하여 2시간 후 시험편을 투과하여 방산된 열손실을 구하였다. 그리고 시험 중에 발열체가 항온을 이루고 있는지를 점검하였다. 이때 온도의 변동 범위는 ±0.5℃가 되도록 하였다. 또한 발열체에 시험편을 덮지 않은 상태로 위와 같은 시험을 실시하여 시험편이 없는상태의 방산된 열손실을 구하여 다음 식에 따라 보온율(%)을 계산하였다.
보온율(%)= (1-a2/a1)×100
(여기서, a1: 발열체에 시험편이 없을 때의 방열량 cal/cm2/초 또는 w/시간a2: 발열체에 시험편을 부착하였을 때의 방열량 cal/cm2/초 또는 w/시간)
.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 1의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용출전 단섬유의 중간지점의 단면에 관한 SEM사진이며,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 1의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용출후 단섬유의 중간지점의 단면에 관한 SEM사진이다.
표1의 실시예1~6은 중공복합방사 후 단섬유의 섬유길이가 5~40mm, 방사된 중공복합섬유의 초기 중공률은 10%에서 4~6%의 NaOH 수용액으로 코어부를 용출할 경우 중공율이 35~60%가 되며, 용출율도 93~100%로 코어부의 대부분이 용출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방사 후 용출과정에서 시스부의 용출됨이 없어 단섬유의 형태가 유지되고 중공율도 높아서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의 시료로 측정된 보온율도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은 단섬유 섬유길이가 50mm로 5% NaOH 수용액으로는 5분간의 코어부의 용출이 제한적이여서 중공율이 29.2%로 낮으며, 비교예 2는 단섬유의 섬유길이가 5mm이지만 8% NaOH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고농도 염기성으로 코어부 이외 시스부도 용출될 수 있어, 용출율이 121%, 중공율이 65%로 용출된 단섬유는 형태안정성이 문제되어 실제 부직포 등 다른 용도로 사용시 단섬유의 형태가 유지될 수 없어 결과적으로 보온성에도 문제가 된다.
마지막으로 비교예 3은 단섬유 섬유길이 50mm에 8% NaOH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동일한 시간 5분에 용출율은 98%에 해당되나 섬유길이가 길어서 시스부가 단섬유 중간까지 균일하게 용출되는 것이 아닌 강염기에 의한 단면부에 근접한 부분에서 시스부까지 용출될 수 있다. 따라서 단섬유 전체로 균일한 용출이 어려워서 보온성도 실시예와 같지 않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 : 시스부
20 : 코어부
Claims (8)
- (1)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의 합성수지가 포함된시스부 및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가 포함된 코어부를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코어부에 7~15%의 중공이 형성되도록 복합방사 하는 단계;
(3) 상기 복합방사된 섬유를 5~40mm의 섬유길이로 절단하는 단계; 및
(4) 상기 절단된 섬유에서 코어부를 수산화나트륨 4~6% 수용액으로 용출하는 단계;로 구성되되,
상기 (1) 단계에서 코어부의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는 이용성 수지로 테레프탈산 또는 그 유도체에 대하여, 디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MS) 또는 디(β-하이드록시에틸)메틸-5-술포아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Di(β-hydroxy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salt, DES)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4~5몰%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90~93중량%와 수평균 분자량이 400~20,000인 폴리에틸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 7~10중량%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시스부의 폴리에스테르계 합성수지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 단계 시스부의 폴리아미드계 합성수지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6.10 및 아라미드(Aramid)로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미드계 수지는 상대점도(relatively viscosity, R.V.)가 3.0~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 단계에서 상기 시스부와 코어부의 중량비는 70 : 30 내지 35 : 6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는 코어부인 이용성 수지를 용출 후 중공률이 전체 단면적의 35~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는 섬도가 3 내지 20 데니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7355A KR20180123316A (ko) | 2017-05-08 | 2017-05-08 |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57355A KR20180123316A (ko) | 2017-05-08 | 2017-05-08 |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23316A true KR20180123316A (ko) | 2018-11-16 |
Family
ID=6456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57355A KR20180123316A (ko) | 2017-05-08 | 2017-05-08 |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80123316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40992A1 (en) | 2018-10-16 | 2020-04-22 | L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emitting device |
KR20220094697A (ko) | 2020-12-29 | 2022-07-06 | 주식회사 휴비스 |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
-
2017
- 2017-05-08 KR KR1020170057355A patent/KR20180123316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640992A1 (en) | 2018-10-16 | 2020-04-22 | LG Display Co., Ltd. |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emitting device |
KR20220094697A (ko) | 2020-12-29 | 2022-07-06 | 주식회사 휴비스 | 시스-코어형 폴리에스테르 복합섬유 및 이를 포함하는 직물용 원사의 제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37878B1 (en) | High crimp bicomponent fibers | |
TW200809022A (en) | Spontaneously elongative and thermo conjugate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EP2811054B1 (en) | Composite fiber, method for producing polyurethane elastomer fabric, and polyurethane elastomer fabric | |
KR100915458B1 (ko) | 난연성 저융점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484506B1 (ko) | 이용성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 |
KR20180123316A (ko) | 용출형 고중공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JP2004509238A (ja) | ポリ(トリメ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4チャネル断面ステープルファイバ | |
TWI728131B (zh) | 高熱收縮性聚醯胺複合纖維及加工絲暨將該等使用於一部分之編織物 | |
KR101357793B1 (ko) | 이용성 복합중공사 제조방법 | |
JP2012193476A (ja) | ポリエステル極細繊維 | |
KR101744256B1 (ko) |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 |
JP2008280636A (ja) | 成形用織編物及びこれを用いてなるフィルター | |
EP3770308A1 (en) | Semi-aromatic polyamide fibe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
KR101976154B1 (ko) | 신축성이 우수한 카티온 염색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
JP2002180342A (ja) | 吸湿性ポリエステル混繊糸 | |
JP2008240183A (ja) | 弾性経編地 | |
JP5340869B2 (ja) | 潜在捲縮繊維 | |
KR101744255B1 (ko) |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 |
KR20160129992A (ko) | 용출형 복합중공섬유 및 복합중공사 | |
KR101487936B1 (ko) | 폴리에스테르계 c형 복합섬유 및 그 제조방법 | |
KR101618072B1 (ko) | 촉감 및 볼륨감이 우수한 신축성 폴리에스테르 복합사 및 그 제조방법 | |
JP2006322079A (ja) | ポリアミド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EP4299806A1 (en) | Composite fiber,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fiber structure including same | |
JP2019157321A (ja) | ストレッチ性布帛 | |
JP2000226746A (ja) | へたり性の改善された複合嵩高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