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315A -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 Google Patents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315A
KR20180123315A KR1020170057353A KR20170057353A KR20180123315A KR 20180123315 A KR20180123315 A KR 20180123315A KR 1020170057353 A KR1020170057353 A KR 1020170057353A KR 20170057353 A KR20170057353 A KR 20170057353A KR 20180123315 A KR20180123315 A KR 20180123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afety
railing
guid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7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636B1 (ko
Inventor
김현구
Original Assignee
김현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구 filed Critical 김현구
Priority to KR1020170057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3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14Ra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2Details of anchoring to the wall or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04F2011/1819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 E04F2011/1821Connections therefor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orizontal or sloping balustrade members between balustrade posts and handr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이 건 발명은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난간지주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난간지주 사이에 안전 난간대가 구비된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는 바닥에 직립되게 구비된 인너 난간지주의 외측 상부로 중공형태를 갖는 아우터 난간지주가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에는 일정간격으로 일측 난간대 가이드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안전 난간대는 어느 하나의 아우터 난간지주의 일측 난간대 가이드와 다른 아우터 난간지주의 타측 난간대 가이드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계단의 가장자리로 가설 안전난간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난간지주가 새로운 난간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도록 하여 시공비를 더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WORKING HYPOTHESIS SAFETY RAIL FOR STAIRS}
이 건 발명은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구비된 난간지주를 구성하는 인너 난간지주의 상부로 안전 난간대가 경사지게 구비되도록 하는 일측 난간대 가이드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를 갖는 아우터 난간지주가 삽입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빌딩 등의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층간 이동 중 인부의 추락 등과 같은 안전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건축물의 계단 측면에 가설 안전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임시난간 설치는 콘크리트 또는 강철프레임 구조물을 이루는 계단의 측면 상,하단부에 각각 지주를 고정 입설한 후 그 양 지주의 상단부 사이와 양 지주의 중앙부 사이에 횡난간을 각각 배치하고, 지주와 횡난간의 교차부위를 체결구로 고정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후 작업이 마무리된 후 이를 해체 시킨 다음 본래의 난간을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건축물의 시공현장에서 계단에 설치되는 난간은 계단의 측면 상,하단부에 각각 지주를 고정 입설한 후 지주의 상단부 사이와 중앙부 사이에 횡난간을 각각 배치하고, 지주와 횡난간의 교차부위를 체결구로 고정하는 과정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체결구를 풀어 횡난간이 삽입되도록 한 후 다시 조이는 과정의 반복으로 작업성이 낮아지게 되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이 마무리 된 후 임시로 설치된 난간을 해체하고 다시 새로운 본래의 난간을 설치하는 과정 역시 많은 수작업이 소요됨에 따라 같은 문제점이 있었고, 새로운 난간을 설치할 경우, 기존의 임시 지주를 제거 한 후 새로운 난간지주를 설치해야 되는 문제점과 시공비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08-0005528호(2008.11.21)
이 건 발명은 계단의 가장자리로 가설 안전난간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이 마무리된 후 가설 안전난간을 철거하고 새로운 본래의 난간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난간지주가 그대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서 작업공정을 줄여 작업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시간을 포함하는 시공비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난간지주(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난간지주(10) 사이에 안전 난간대(20)가 구비된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A)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10)는 바닥에 직립되게 구비된 인너 난간지주(11)의 외측 상부로 중공형태를 갖는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에는 일정간격으로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안전 난간대(20)는 어느 하나의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다른 아우터 난간지주(12)의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의 내부에는 멈춤부(123)가 구비되어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상기 인너 난간지주(11)에 삽입되면서 일정 높이에서 멈추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너 난간지주(11)는 볼트홀(111)이 형성된 고정편(112)의 상부에 중공형 지주부재(113)의 하부가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13)의 상부에 지주캡(114)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에 결합된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회동 결합부(124-1)를 갖는 고정핀(124)으로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상부에는 마감캡(125)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 및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상기 안전 난간대(20)가 감싸여지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 난간대(20)의 하단부가 걸려지도록 걸림부(12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상기 안전 난간대(20)의 상단부가 관통된 형태로 지지되도록 관통부(122-1)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구비된 난간지주를 구성하는 인너 난간지주의 상부로 일측 난간대 가이드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를 갖는 아우터 난간지주가 삽입되어 안전 난간대가 경사지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서 계단의 가장자리로 가설 안전난간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성을 높이는 가운데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시공이 마무리된 후 가설 안전난간을 철거하고 새로운 본래의 난간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난간지주가 그대로 사용되도록 함으로서 작업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비를 더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가설 안전난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고정지주와 가변지주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고정지주와 가변지주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고정지주와 가변지주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이 건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가설 안전난간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고정지주와 가변지주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4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고정지주와 가변지주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5는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에 있어 고정지주와 가변지주의 내외부를 절개하여 분리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A)는 건축물이 시공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추락이나 비품들이 낙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설 안전난간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시공이 마무리된 후 가설 안전난간의 철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가설 안전난간이 설치되는 과정에서 구비된 가설 안전난간 지주가 새로운 난간 설치에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난간지주(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난간지주(10) 사이에 안전 난간대(20)가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난간지주(10)는 바닥에 직립되게 구비된 인너 난간지주(11)의 외측 상부로 중공형태를 갖는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삽입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인너 난간지주(11)는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용이하게 삽입되거나 분리될 수 있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인너 난간지주(11)는 볼트홀(111)이 형성된 고정편(112)의 상부에 중공형 지주부재(113)의 하부가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13)의 상부에 지주캡(114)이 결합되어 외부로부터 중공형 지주부재(113)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미관이 돋보일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에는 건축물의 시공 과정에서 안전 난간대(20)가 용이하게 설치되는 가운데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전 난간대(20)의 해체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외측에는 일정간격을 갖는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상부에는 마감캡(125)이 결합될 수 도 있다.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에 고정핀(124)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핀(124)은 회동 결합부(124-1)를 갖는 형태로 상기 회동 결합부(124-1)에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가 끼워진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회동 결합부(124-1)가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에 끼워지도록 하는 과정은 먼저,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에 소정 직경을 갖는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한 후 관통홀에 회동 결합부(124)가 끼워지도록 한 상태에서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의 내측으로 노출된 부분을 프레스 등을 이용하여 가압시킴으로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의 내부에는 멈춤부(123)가 구비됨으로서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상기 인너 난간지주(11)에 삽입되면서 일정 높이에서 멈추어지도록 하여 안전 난간대(20)가 일정 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고, 계단 바닥을 덧씌우는 경우 인너 난간지주(11)의 하부가 매립된 상태에서 덧씌워지는 부분과 간섭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 및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상기 안전 난간대(20)가 끼워진 형태로 감싸여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 난간대(20)의 하단부가 걸려지도록 걸림부(12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상기 안전 난간대(20)의 상단부가 관통된 형태로 지지되도록 관통부(12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 난간대(20)는 어느 하나의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다른 아우터 난간지주(12)의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에 경사지게 구비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A)은 먼저,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난간지주(10)를 구성하는 인너 난간지주(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편(112)이 바닥에 맞대어지도록 한 후 볼트홀(111)을 통해 볼트(B)가 바닥에 매립되도록 하는 것으로 인너 난간지주(1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볼트(B)는 앵커볼트가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인너 난간지주(11)의 상부에 외측으로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가 형성된 중공형태를 갖는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때, 아우터 난간지주(12)의 내부에는 구비된 멈춤부(123)에 의하여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인너 난간지주(11)에 삽입되면서 일정 높이에서 멈추게 된다.
다음, 어느 하나의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다른 아우터 난간지주(12)의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에 안전 난간대(20)가 경사지게 삽입됨과 동시에 안정되게 지지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공이 마무리된 후 새로운 난간을 설치하고자 할 경우, 임시로 가설된 안전 난간을 제거하게 되면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난간지주(10)만이 남게 되고, 이러한 난간지주(10)를 이용하여 난간을 설치하면 된다.
A:안전난간 10:난간지주
11:인너 난간지주 12:아우터 난간지주
20:안전 난간대 111:볼트홀
112:고정편 113:중공형 지주부재
114:지주캡 121:일측 난간대 가이드
121-1:걸림부 122:타측 난간대 가이드
122-1:관통부 123:멈춤부
124:고정핀 124-1:회동 결합부

Claims (5)

  1. 계단의 가장자리 양끝에 난간지주(1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난간지주(10) 사이에 안전 난간대(20)가 구비된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A)에 있어서,
    상기 난간지주(10)는 바닥에 직립되게 구비된 인너 난간지주(11)의 외측 상부로 중공형태를 갖는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삽입되어지도록 구비되어지되,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에는 일정간격으로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안전 난간대(20)는 어느 하나의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다른 아우터 난간지주(12)의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의 내부에는 멈춤부(123)가 구비되어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가 상기 인너 난간지주(11)에 삽입되면서 일정 높이에서 멈추어지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난간지주(11)는 볼트홀(111)이 형성된 고정편(112)의 상부에 중공형 지주부재(113)의 하부가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지고, 상기 중공형 지주부재(113)의 상부에 지주캡(114)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에 결합된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와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회동 결합부(124-1)를 갖는 고정핀(124)으로 결합되어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아우터 난간지주(12)의 상부에는 마감캡(125)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 및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상기 안전 난간대(20)가 감싸여지도록 원통형태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일측 난간대 가이드(121)의 일측에는 상기 안전 난간대(20)의 하단부가 걸려지도록 걸림부(121-1)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타측 난간대 가이드(122)는 상기 안전 난간대(20)의 상단부가 관통된 형태로 지지되도록 관통부(122-1)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KR1020170057353A 2017-05-08 2017-05-08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KR102066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53A KR102066636B1 (ko) 2017-05-08 2017-05-08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7353A KR102066636B1 (ko) 2017-05-08 2017-05-08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315A true KR20180123315A (ko) 2018-11-16
KR102066636B1 KR102066636B1 (ko) 2020-01-16

Family

ID=64565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353A KR102066636B1 (ko) 2017-05-08 2017-05-08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3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218U (ja) * 1997-03-06 1997-09-09 有限会社シグナス工業 パイプ手摺
KR200291271Y1 (ko) * 2002-07-19 2002-10-11 혜성금속주식회사 시공건물의 계단난간용 지주장치
JP2004332412A (ja) * 2003-05-08 2004-11-25 Nikkeikin Aluminium Core Technology Co Ltd 仮設用手摺
KR20080005528U (ko) 2007-05-17 2008-11-21 송광수 핸디형 프로젝터
KR20080005582U (ko) * 2007-05-18 2008-11-21 김천호 계단 안전 난간대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218B2 (ja) * 1995-05-23 2000-05-15 アキレス株式会社 合成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1218U (ja) * 1997-03-06 1997-09-09 有限会社シグナス工業 パイプ手摺
KR200291271Y1 (ko) * 2002-07-19 2002-10-11 혜성금속주식회사 시공건물의 계단난간용 지주장치
JP2004332412A (ja) * 2003-05-08 2004-11-25 Nikkeikin Aluminium Core Technology Co Ltd 仮設用手摺
KR20080005528U (ko) 2007-05-17 2008-11-21 송광수 핸디형 프로젝터
KR20080005582U (ko) * 2007-05-18 2008-11-21 김천호 계단 안전 난간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636B1 (ko) 2020-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59088B (zh) 具有扭曲立面的建筑物的外防护脚手架的搭设方法
JP5417018B2 (ja) 既設建物へのエレベーターの設置工法
CN104847102A (zh) 附着式升降脚手架在建筑外墙内收段的附墙方法及其装置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CN110805289A (zh) 插接式卸料平台及施工方法
KR101317938B1 (ko) 공동구 시공 및 유지관리용 조립식 난간
KR101534608B1 (ko) 분진망이 구비된 안전난간 시공방법
KR200439417Y1 (ko) 조립식 난간
CN213268816U (zh) 一种装配式型钢悬挑水平防护平台
CN111622483A (zh) 一种逆作式悬挑脚手架搭设方法
KR20180123315A (ko) 계단용 가설 안전난간
KR101518210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콘크리트 인도교 및 그 시공방법
JP6002013B2 (ja) 仮設材支持装置
CN107227839B (zh) 一种集成支撑施工安全平台及安装方法
KR200395096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JPH0544202A (ja) 橋梁高欄補修用足場構造及び橋梁高欄補修用足場の吊り金具構造
KR200445097Y1 (ko) 기둥부와 펜스부가 일체로 형성된 펜스대
KR101021945B1 (ko) 수직구 성형용 강재 거푸집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KR200490448Y1 (ko) 계단용 조립식 핸드레일
CN110847529A (zh) 一种安装方便的拼装式栏杆
KR101867005B1 (ko) 조립식 핸드 레일
KR101867332B1 (ko) 조립식 핸드 레일 설치방법
KR101251051B1 (ko) 철골 빔 설치용 안전난간대
KR101832389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