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2389B1 -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 Google Patents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2389B1
KR101832389B1 KR1020150092572A KR20150092572A KR101832389B1 KR 101832389 B1 KR101832389 B1 KR 101832389B1 KR 1020150092572 A KR1020150092572 A KR 1020150092572A KR 20150092572 A KR20150092572 A KR 20150092572A KR 101832389 B1 KR101832389 B1 KR 101832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air
horizontal frame
vertical fram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5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2795A (ko
Inventor
박종길
Original Assignee
박종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종길 filed Critical 박종길
Priority to KR10201500925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2389B1/ko
Publication of KR20170002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2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2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2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17Connectio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Balustrades; Handrails
    • E04F11/181Balustrades
    • E04F11/1836Handrails of balustrades; Connections between handrail members
    • E04H17/142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계단손잡이나 안전시설로 설치되는 난간 등 다양하게 이용되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파이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 조립이 필요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자재비와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수평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체결홈(11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00);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110)에 끼움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각각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A frame having a prefabricated structure}
본 발명은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계단손잡이나 안전시설로 설치되는 난간 등 다양하게 이용되는 수직 및 수평프레임(파이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고, 용접시공시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 조립이 필요 없어 공사기간을 단축함은 물론 자재비와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발코니나 계단 등의 안전시설 또는 도로나 공원 등에 설치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난간은 대부분 철재 또는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진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용접시공이나 볼트시공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난간은 다수개의 수직프레임을 등 간격으로 수직방향으로 구비시킨 다음 수평프레임의 양단을 수직프레임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용접시켜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종래의 방법은 수직프레임 사이에 고정되는 수평프레임을 수직프레임에 용접 고정시키게 되므로 용접 작업시 불똥에 의해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우려가 높고, 용접 부위의 피막이 손상되어 부식이 빨리 진행되며, 작업시 용접 숙련공을 필요로 하게 되어 인건비가 많이 드는 단점이 있음은 물론 용접에 의해 재사용이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요철 현상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L자형의 화스너를 대고 볼트로 고정시키는 방법이 이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의 사이에 L자형 화스너를 덧대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고정시켜야 하므로 하중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재료비가 많이 들게 되며, 작업시간과 기간이 길어져 인건비가 많이 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16920호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30320호가 등록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89761호가 공개된바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289586호가 등록된바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을 연결시 현장에서 용접작업을 전혀 하지 않으며 볼트와 너트 및 브라켓이 전혀 필요없이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만을 이용하여 상호 조립하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전체적인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재료비를 대폭 줄일 수 있고, 특히 용접 작업을 전혀 하지 않아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고 설치 및 해체가 쉽고 간편하며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수평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체결홈이 형성된 수직프레임; 및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에 끼움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이 각각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을 포함하여 구성된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에 따른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재료비와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삽입홈에 수평프레임의 걸고리편이 삽입된 사용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고정홈에 걸고리편의 걸림돌기가 끼워진 사용상태 단면도.
도 8은 도 7의 상태에서 걸고리편의 걸림돌기가 고정홈에서 빠져나가 해체된 사용상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결합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평프레임을 나타낸 부분확대 평면도.
도 15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삽입홈에 수평프레임의 걸고리편이 삽입된 사용상태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직프레임의 고정홈에 걸고리편의 걸림돌기가 끼워진 사용상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제1실시예>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수평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체결홈(11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1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체결홈(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7078431689-pat00001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20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홈(111)의 각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편(210)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211)가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홈(1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110)에 끼움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각각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걸고리편(2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Figure 112015063122655-pat00002
”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걸고리편(210)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끼움 고정되도록 걸림돌기(21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211)는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111)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걸쳐진 상태에서 강한 눌림에 의해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고정홈(112)에 끼움 고정되고, 상기 고정홈(112)에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강한 올림에 의해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분리되도록 일면과 타면이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각 걸고리편(210)은 내측 방향으로 소정각도 꺾어진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111)에 걸고리편(210)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111)의 폭은 걸고리편(210)이 소정각도 꺾어진 길이 폭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112)의 폭은 걸고리편(210)에 형성된 걸림돌기(211)가 견고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걸림돌기(2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100)의 직경의 크기가 수평프레임(200)의 직경의 크기보다 조금 크게 형성되거나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수직프레임(100)과 수평프레임(200)의 전체적인 형상이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홈(111)에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을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삽입홈(1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상기 한 쌍의 걸고리편(210)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211)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11)의 일면이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되어 삽입홈(111)의 하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삽입홈(111)과 고정홈(112)의 내벽에 완전히 밀착되어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걸림돌기(211)가 고정홈(112)에 끼워져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해체할 경우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2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위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고정홈(112)에 끼움 고정된 걸림돌기(211)를 빼주어 해체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211)의 타면이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되어 고정홈(112)의 상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삽입홈(111)과 고정홈(112)의 내벽에 완전히 밀착되어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걸림돌기(211)가 고정홈(112)에서 이탈되어 해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에 따른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재료비와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수직프레임과 수평프레임이 조립설치된 것으로 사용이 완료되면 해체시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재료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제2실시에>
먼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좌/우측면에는 수평프레임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410)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체결홈(310)이 형성된 수직프레임(3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체결홈(310)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
Figure 112017078431689-pat00003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40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410)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311)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홈(311)의 각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편(410)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411)가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홈(312)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30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310)에 끼움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410)이 각각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400)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수평프레임(400)에 형성된 걸고리편(410)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Figure 112015063122655-pat00004
”와 같은 형상과 모양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걸고리편(410)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끼움 고정되도록 걸림돌기(411)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11)는 수직프레임에 형성된 삽입홈(311)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걸쳐진 상태에서 강한 눌림에 의해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고정홈(312)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일면은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수평각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된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각 걸고리편(410)은 일직선으로 돌출된 상태로 각 끝단이 소정각도의 사선으로 절삭된 상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홈(311)에 걸고리편(410)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삽입홈(311)의 폭이 걸고리편(410)의 두께보다 넓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312)에 걸고리편(410)에 형성된 걸림돌기(411)가 견고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홈(312)의 폭이 걸림돌기(411)의 두께보다 좁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프레임(300)과 수평프레임(400)은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수직프레임(300)의 직경의 크기가 수평프레임(200)의 직경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더하여, 상기 수직프레임(300)과 수평프레임(400)은 전체적인 형상이 다각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2실시예의 조립방법과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300)에 형성된 한 쌍의 삽입홈(311)에 수평프레임(400)에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410)을 삽입시킨다.
그런 다음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400)을 망치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아래로 힘을 가하여 밀어주어 상기 삽입홈(311)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312)에 상기 한 쌍의 걸고리편(410)에 각각 형성된 걸림돌기(411)를 끼워서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걸림돌기(411)의 일면은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타면은 수평각을 이루는 평면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411)의 일면이 삽입홈(311)의 하면에 걸쳐진 상태에서 삽입홈(311)과 고정홈(312)의 내벽에 완전히 밀착되어 하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걸림돌기(411)가 고정홈(312)에 끼워짐과 동시에 걸림돌기(411)의 타면이 고정홈(312)의 상단에 밀착되어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구조물인 수직프레임과 수평 구조물인 수평프레임을 용접시공 및 볼트시공 과정이 없이 끼움 조립시킴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용접시공에 따른 화재 발생이나 부식 발생 요인을 제거함과 아울러 따로 볼트시공이 필요 없어 공사 시간을 단축함은 물론 재료비와 인건비를 현저히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100,300 - 수직프레임
200,400 - 수평프레임

Claims (6)

  1.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체결홈(110)이 각각 복수 개 형성되는 수직프레임(100)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양측 끝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110)에 끼움 고정되도록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각각 내측 방향으로 일정각도 꺾어져 돌출 형성된 수평프레임(200)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110)의 상측에는 상기 수평프레임(200)에 각각 형성된 한 쌍의 걸고리편(210)이 삽입되도록 한 쌍의 삽입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삽입홈(111)의 각 하부에는 상기 걸고리편(210)에 형성된 각 걸림돌기(211)가 끼움 고정되도록 고정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수평프레임(200)에 형성된 걸고리편(210)의 하부 끝단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00)에 형성된 고정홈(112)에 끼움 고정되도록 걸림돌기(211)가 형성되되,
    상기 걸림돌기(211)는 삽입홈(111)에 일정깊이 삽입되어 걸쳐진 상태에서 강한 눌림에 의해 하부와 상부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고정홈(112)에 끼움 고정되거나 분리되도록 일면과 타면이 반원형의 곡선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92572A 2015-06-29 2015-06-2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1832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572A KR101832389B1 (ko) 2015-06-29 2015-06-2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572A KR101832389B1 (ko) 2015-06-29 2015-06-2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95A KR20170002795A (ko) 2017-01-09
KR101832389B1 true KR101832389B1 (ko) 2018-02-27

Family

ID=5781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572A KR101832389B1 (ko) 2015-06-29 2015-06-29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23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84B1 (ko) * 2019-04-25 2019-10-23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48310B2 (ja) 1992-09-28 2002-11-20 ソニー株式会社 動画像符号化方法および動画像符号化装置
KR100189761B1 (ko) 1996-09-19 1999-06-01 윤종용 스텝 모터를 사용한 인쇄 시스템의 모터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0216920B1 (ko) 1997-08-30 1999-09-01 양재신 자동차 프론트 도어 프레임의 미러 패치 보강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4084B1 (ko) * 2019-04-25 2019-10-23 주식회사 승우엔지니어링 비상대피 가능한 건축물용 난간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2795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8682B1 (ko) 탈형 데크
US11970873B2 (en) Bearing plate of an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KR20180056465A (ko) 조립식 프레임 체결구조
KR200477928Y1 (ko) 거프집용 안전 난간대
JP6021604B2 (ja) 仮設足場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
KR20100123012A (ko) 건축용 비계
KR101832389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200483715Y1 (ko) 안전 비계
KR101574533B1 (ko) 스틸 그레이팅 고정장치
KR101753700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2006922B1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프레임
KR102475808B1 (ko) 조립식 파이프 결합구조
JP5773469B1 (ja) 吊足場
CN204139631U (zh) 建筑工地用可快速拆装的防护栏杆
KR20160042374A (ko) 외장패널 고정용 조립식 프레임
KR200445097Y1 (ko) 기둥부와 펜스부가 일체로 형성된 펜스대
KR20110126149A (ko) 건물의 단위구조부재와 이 단위구조부재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101216948B1 (ko) 박공 지붕의 누수 방지용 시트패널
KR102374870B1 (ko) 보조수직재 결합형 수평 선행 안전난간대
KR101794075B1 (ko) 조립성이 용이한 울타리 및 설치방법
KR20130004588U (ko) 건축용 가설구조물
KR20110104599A (ko) 건축 안전 시설물용 파이프 연결 장치
JP6406577B2 (ja) 治具
KR101376948B1 (ko) 안전 난간대 지지장치
JPS5930122Y2 (ja) 手摺支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