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792A -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792A
KR20180122792A KR1020170056821A KR20170056821A KR20180122792A KR 20180122792 A KR20180122792 A KR 20180122792A KR 1020170056821 A KR1020170056821 A KR 1020170056821A KR 20170056821 A KR20170056821 A KR 20170056821A KR 20180122792 A KR20180122792 A KR 201801227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eceiving
cable
receiving portion
cap
exterio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6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24878B1 (ko
Inventor
박종현
문성덕
박옥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6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78B1/ko
Priority to US16/609,960 priority patent/US11159704B2/en
Priority to PCT/KR2018/005132 priority patent/WO2018203677A1/ko
Priority to CN201880029666.6A priority patent/CN110603807B/zh
Publication of KR20180122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08Waterproof bodies or 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04N5/225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088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or inl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2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using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04N5/2253
    • H04N5/225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외장부재;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외장부재; 상기 제2외장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전자부품부; 상기 전자부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상기 제2외장부재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 수용부;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제1마개부와, 상기 제1마개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마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마개를 수용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부품부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와 상기 마개와 상기 캡을 통과하여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카메라 모듈과 이러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CAMERA MODULE AND CAR}
본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기재한 것은 아니다.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은 다양한 기기 및 장치들과 결합할 수 있다. 특히, 차량 부품의 고도화 및 자동화 등의 영향으로, 카메라 모듈이 결합한 자동차가 출시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자동차에서 전방 및 후방 감시 카메라와 블랙박스 등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카메라 모듈은 커버 형태의 제1외장부재와 전자부품(기판, 이미지 센서, 케이블 등)을 수용하는 제2외장부재가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블은 기판과 외부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라인으로, 기판에서 제2외장부재를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된다.
그러나 케이블이 인출됨에 의해, 제2외장부재의 기밀성이 떨어져 습기 및 먼지 등이 카메라 모듈 내부로 침습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의 운행 시 케이블이 요동하여 전기적 연결이 끊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고, 케이블을 고정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과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자동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외장부재;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외장부재; 상기 제2외장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전자부품부; 상기 전자부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상기 제2외장부재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 수용부;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제1마개부와, 상기 제1마개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마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마개를 수용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부품부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와 상기 마개와 상기 캡을 통과하여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제1마개부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서로 동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마개부는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외경이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경보다 큰 복수 개의 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개부는 상기 제1마개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2마개부는, 상기 제2경사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제3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2외장부재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제4경사부; 상기 제4경사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경사부와 상기 제4경사부는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4경사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3경사부의 경사각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간부는 중공의 원통 형태이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중간부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외측면에 배치된 제1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내측면에 배치된 제2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는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전자부품부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와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개는 탄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는,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외장부재;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외장부재; 상기 제2외장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전자부품부; 상기 전자부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상기 제2외장부재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 수용부;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제1마개부와, 상기 제1마개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마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마개를 수용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부품부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와 상기 마개와 상기 캡을 통과하여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이 외부로 인출되는 케이블 수용부에 마개가 배치되고, 케이블은 마개를 통과하여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마개는 케이블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제1마개부와 케이블 수용부의 외측으로 노출된 제2마개부로 구분되며, 캡에 의해 가압된다. 제1마개부는 캡의 가압 작용에 의해 케이블 수용부의 내부로 압입되어 케이블 수용부를 완전히 폐쇄한다. 또, 제2마개부는 캡의 가압 작용에 의해 케이블을 클램핑할 수 있다. 그 결과, 카메라 모듈 내부는 기밀성이 유지될 수 있으며, 케이블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의 제2외장부재, 케이블 수용부, 마개, 캡, 케이블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2외장부재, 케이블 수용부, 마개, 캡, 케이블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2마개가 캡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기재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에 표시된 "광축(optical axis) 방향"을 "상하 방향" 또는 "축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광축"은 렌즈모듈(100)의 광축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자동차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의 자동차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자동차(1)는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사이드 미러(7) 및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다.
바디(2)는 자동차(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바디(2)의 측면에는 하나 이상의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도어(3)에는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바디(2)의 전방에는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바디(2)의 후방에는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전방을 조명할 수 있다. 헤드램프(5)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후방을 조명할 수 있다. 리어램프(6)는 자동차(1)의 우측과 좌측에 각각 존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을 "차량용 카메라"로 호칭할 수 있다.
바디(2)의 측부 또는 하나 이상의 도어(3)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는 카메라 모듈(100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 후방 측방 및 1 이상의 도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000)은 바디(2)의 전방부(그릴, 앰블렘, 범퍼 등), 바디(2)의 측부(사이드 아우터 또는 가니쉬 등), 바디(2)의 후방부(트렁크, 앰블렘, 가니쉬, 범퍼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도어(3)에 결합된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차(1)의 사이드 미러(7)는 카메라 모듈(1000)로 대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차(1)의 내부를 촬영하는 블랙박스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각종 구동 신호와 제어 신호 및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로부터 영상 신호를 받아 변환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 제어 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
전자 제어 유닛은 자동차(1)에 전장 부품으로 장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자 제어 유닛은 카메라 모듈(1000) 자체에 존재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내부 공간(룸, room)이 형성될 수 있다. 자동차(1) 내부의 센터페시아(미도시)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카메라 모듈(1000)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의 분해도이고, 도 4는 본 실시예의 제2외장부재, 케이블 수용부, 마개, 캡, 케이블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의 제2외장부재, 케이블 수용부, 마개, 캡, 케이블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의 제2마개가 캡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나타낸 수직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모듈(100), 제1외장부재(200), 제2외장부재(300), 전자부품부(400), 케이블 수용부(500), 마개(600), 캡(700) 및 케이블(8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렌즈모듈(100)을 설명한다. 렌즈모듈(100)은 제1외장부재(200)에 배치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제1외장부재(200)의 중앙에 형성된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 있다. 렌즈모듈(100)과 렌즈홀더(210)는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과 렌즈홀더(210) 사이에는 가스켓이 개재되어 카메라 모듈(1000)의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렌즈모듈(100)은 한 개 이상의 광학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광축이 정렬되어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에 배치된 렌즈의 아랫면과 하측에 배치된 렌즈의 윗면은 서로 대향할 수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는 직접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도 있고, 렌즈배럴에 수용되어 렌즈홀더(2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복수 개의 광학 렌즈와 렌즈배럴은 접착제가 도포되거나 도포되지 않은 상태에서, 나사 결합할 수 있다.
렌즈모듈(100)의 최상측에 배치된 렌즈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피사체에 반사된 외부 광은 렌즈모듈(100)의 최상측 렌즈에 입사할 수 있다. 외부 광은 렌즈모듈(100)을 투과하여 이미지 센서(420)에 조사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1외장부재(200)를 설명한다. 제1외장부재(2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는 제2외장부재(30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는 제2외장부재(300)와 레이져 융착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는 커버 형태로, 제2외장부재(300)의 상측 개구를 덮을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와 제2외장부재(300)의 결합에 의해 제2외장부재(300)에는 폐쇄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는 중앙에 렌즈홀더(210)가 위치하고, 윗면과 아랫면이 형성된 사각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는 렌즈홀더(210)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홀더(21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렌즈홀더(210)의 내부에는 렌즈모듈(1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제2외장부재(300)를 설명한다. 제2외장부재(300)는 카메라 모듈(1000)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는 플라스틱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는 플라스틱 사출로 제작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는 사각의 플레이트(310)와 플레이트(310)의 가장자리(각 변)에서 위로 연장된 측벽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의 상측은 개구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는 제1외장부재(20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는 제1외장부재(200)와 레이져 융착 또는 스크류 등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의 상측 개구는 제1외장부재(2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제1외장부재(200)와 제2외장부재(300)의 결합에 의해 제2외장부재(300)에는 폐쇄된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의 내측에는 전자부품부(4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는 전자부품부(4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에는 제2외장부재(300)의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 수용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플레이트(310)에는 플레이트(310)의 외측면에서 아래로 연장된 케이블 수용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와 케이블 수용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에는 케이블(800)이 통과(관통)하는 제1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10)에는 케이블(800)이 통과(관통)하는 제1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홀(311)은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1홀(311)은 케이블 수용부(50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제2외장부재(300)의 일측면(아랫면)에는 걸림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플레이트(310)의 아랫면에는 걸림홈(312)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312)은 2개일 수 있다. 2개의 걸림홈(312)은 케이블 수용부(50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걸림홈(312)에는 캡(700)의 걸림돌기(712)가 수용될 수 있다. 캡(700)은 걸림돌기(712)가 걸림홈(312)에 수용됨으로써, 제2외장부재(3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자부품부(400)를 설명한다. 전자부품부(400)는 제2외장부재(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부품부(400)는 케이블(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부품부(400)는 케이블(800)을 통하여 외부 전자 기기(예를 들면, 전원 공급 기기, 전자 제어 유닛, 디스플레이부 등)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자부품부(400)는 외부 전자 기기로부터 전원, 제어 신호 등을 전달받을 수 있다. 전자부품부(400)는 영상 신호를 외부 전자 기기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부품부(400)는 기판부(410), 이미지 센서(420), 쉴드캔(430), 커넥터(440) 및 연결기판(450)을 포함할 수 있다.
기판부(410)는 1개 이상의 기판일 수 있다. 이하, 기판이 1개인 경우를 설명하나, 본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실시예의 기판부(410)는 기판이 복수 개인 경우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기판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기판은 플레이트 형태로 쉴드캔(430)에 장착되어 제2외장부재(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기판의 윗면에는 이미지 센서(42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기판부(41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렌즈모듈(100)의 광축에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렌즈모듈(100)을 투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420)로 조사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획득한 광을 영상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는 케이블(800)을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될 수 있다. 영상 신호는 전자 제어 유닛을 거쳐 디스플레이부로 전달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유닛은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42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420)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쉴드캔(430)은 전도성 금속 재질일 수 있다. 쉴드캔(430)은 상하가 개구된 블럭 형태일 수 있다. 쉴드캔(430)의 내측에는 기판부(420)가 장착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제2외장부재(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제2외장부재(3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쉴드캔(430)의 외측면은 제2외장부재(300)의 측벽부(32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외부에서 발생된 전자기가 기판부(41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쉴드캔(430)은 기판부(410)에서 발생된 전자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케이블(8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쉴드캔(430)은 케이블(800)에 접지(ground)될 수 있다. 그 결과, 외부의 전자기는 쉴드캔(43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고, 쉴드캔(430)에 저장되어 케이블(8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또, 기판부(410)의 전자기는 쉴드캔(430)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쉴드캔(430)에 저장되어 케이블(80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커넥터(440)는 케이블(800)의 상측 단부와 기판부(4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440)에는 케이블(800)의 복수 개의 소선이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800)의 상측 단부의 소선은 커넥터(44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기판부(4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기판(450)은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연결기판(450)은 커넥터(440)와 기판부(4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기판(450)의 하측 단부는 커넥터(440)에 실장될 수 있다. 또, 연결 기판(450)의 상측 단부는 기판의 아랫면에 실장될 수 있다. 연결기판(450)은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440)가 기판의 아랫면에 직접 실장될 수 있다.
만약, 기판부(410)가 복수 개의 기판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기판은 상하로 이격되어 적층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이미지 센서(420)는 최상측 기판의 윗면에 실장될 수 있고, 커넥터(440) 또는 연결기판(450)은 최하측 기판의 아랫면에 실장될 수 있다.
이하,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케이블 수용부(500)를 설명한다. 케이블 수용부(500)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제2외장부재(300)에서 제2외장부재(300)의 외측으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는 플레이트(310)에서 아래로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중앙에는 케이블 수용부(5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홀(510)은 제2외장부재(300)의 제1홀(311)과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에는 제1마개부(61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2홀(510)에는 제1마개부(61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10)의 제2홀(510)과 마개(600)의 제3홀(611)은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와 제1마개부(610)는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케이블 수용부(500)와 제1마개부(610)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면과 제1마개부(610)의 외측면은 접촉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면과 제1마개부(610)의 복수 개의 링(612)의 외측면은 접촉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경은 복수 개의 링(612)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2홀(510)의 직경은 복수 개의 링(612)의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제1마개부(610)는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링(612)에 의해 케이블 수용부(500)를 외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즉,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면과 제1마개부(610)의 외측면은 밀착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2홀(510)은 제1마개부(61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외측에는 캡(700)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는 캡(7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2홀(510)과 캡(700)의 제4홀(711)과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케이블 수용부(500)와 캡(700)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외측면은 캡(700)의 중간부(72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700)는 외측면에 입체 나선 형태로 배치된 제1나사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나사부(520)는 캡(700)의 중간부(7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2나사부(721)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와 캡(700)의 나사 결합이 쪼여질수록 캡(700)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캡(700)은 마개(600)를 가압하여 제1마개부(610)를 케이블 수용부(500)에 인입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2홀(610)은 제1마개부(61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일측(아래)에는 제2마개부(620)가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2홀(510)과 마개(600)의 제3홀(611)은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케이블 수용부(500)와 제2마개부(620)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케이블 수용부(500)는 케이블 수용부(500)가 연장된 방향(아래)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1경사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경사부(530)는 케이블 수용부(500)가 연장된 방향(아래)을 향하여 외측(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1경사부(530)는 제2마개부(620)의 제2경사부(621)와 대향할 수 있다. 제1경사부(520)는 제2경사부(621)와 접촉할 수 있다. 제1경사부(520)와 제2경사부(721)의 경사 방향은 동일할 수 있다. 마개(600)가 캡(700)에 의해 가압되면, 제2경사부(621)가 제1경사부(520)에 가이드됨에 따라, 제1마개부(710)가 케이블 수용부(500)로 인입될 수 있다. 즉, 제2경사부(621)는 제1마개부(710)를 케이블 수용부(500)로 인입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2홀(510)은 제1마개부(610)에 의해 완전히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1000)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마개(600)를 설명한다. 마개(600)는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마개(600)의 재질은 합성 고무일 수 있다. 마개(600)는 상하 방향으로 단면적이 다른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마개(600)의 중앙에는 마개(60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3홀(611)은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2홀(510)과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600)의 내측에는 케이블(800)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800)은 제3홀(611)을 통하여 마개(600)를 통과(관통)할 수 있다. 제3홀(611)과 케이블(800)은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마개(600)는 제1마개부(610)와 제2마개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개부(610)는 케이블 수용부(500)를 폐쇄하여 카메라 모듈(1000)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마개부(610)는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마개부(610)는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제1마개부(610)의 내측에는 제1마개부(61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마개부(610)는 케이블(8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1마개부(610)의 윗면은 제2외장부재(300)의 플레이트(310)와 접촉할 수 있다. 제1마개부(610)의 외측면은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마개부(610)는 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외경이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경보다 큰 복수 개의 링(6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마개부(610)는 마치 벨로우즈(bellows)와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마개부(610)는 복수 개의 링(612)에 의해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측면을 가압하여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캡(700)에 의해 가압되어, 제1마개부(610)가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부(제2홀)로 인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고, 케이블(800)을 클램핑(clamping)하여 고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케이블 수용부(500)의 일측(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케이블 수용부(5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제1마개부(610)에서 케이블 수용부(600)가 연장된 방향(아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상하 방향으로 직경이 다른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제2마개부(620)의 내측에는 제2마개부(620)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제3홀(6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케이블(80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캡(700)에 수용될 수 있다. 제2마개부(620)는 제2경사부(621)와 제3경사부(6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경사부(621)는 중앙에 제3홀(611)이 형성된 테이퍼 관 형상일 수 있다. 제2경사부(621)는 케이블 수용부(500)의 제1경사부(520)의 일측(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2경사부(621)의 윗면은 제1경사부(520)의 아랫면과 대향할 수 있다. 제2경사부(621)는 제1경사부(520)와 접촉할 수 있다. 제2경사부(621)는 제1마개부(610)의 일측(아래,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 단부에서 케이블 수용부(500)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수용부(500)가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외측(경방향 외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2경사부(621)와 제1경사부(520)의 경사는 동일하므로, 마개(600)가 캡(700)에 의해 상측으로 가압되는 경우, 제2경사부(621)는 제1경사부(520)를 따라 가이드될 수 있다. 이러한 제2경사부(621)의 가이드 효과는 제1마개부(610)를 케이블 수용부(500)의 내부로 인입시켜, 케이블 수용부(500)를 완전히 폐쇄시킬 수 있다.
제3경사부(622)는 중앙에 제3홀(611)이 형성된 테이퍼 관 형상일 수 있다. 제3경사부(622)는 제2경사부(621)의 일측(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제3경사부(622)는 제2경사부(621)의 일측(아래,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 단부에서 케이블 수용부(500)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케이블 수용부(500)가 연장된 방향(아래)을 향하여 내측(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하, 도 5, 도 6을 참조하여 제3경사부(622)와 캡(700)의 배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제3경사부(622)의 외측면은 캡(700)의 제4경사부(730)의 내측면과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경사부(622)의 외측면은 제4경사부(73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캡(700)은 마개(600)를 상측으로 가압하나, 제3경사부(622)와 제4경사부(730)의 경사 방향에 의해 가압력의 적어도 일부는 내측(경방향 내측)으로 작용한다. 그 결과, 제2마개부(620)는 케이블(800)을 움켜쥐듯이 클램핑(clamping)하여 케이블(8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제3경사부(622)의 경사 방향은 제4경사부(730)의 경사 방향은 동일할 수 있으나, 제3경사부(622)가 내측(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각도는 제4경사부(730)가 내측으로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즉, 제3경사부(622)의 상부의 폭(Oblique line 참조)은 캡(700)의 상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제3경사부(622)와 제4경사부(730)의 경사 각도가 동일한 경우와 비교하여, 제3경사부(622)가 내측(경방향 내측)으로 더 가압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800)의 고정 효과가 상승할 수 있다.
이하, 도 4,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캡(700)을 설명한다. 캡(700)은 제2외장부재(300)의 일측(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캡(700)은 플레이트(310)의 아랫면에 배치될 수 있다. 캡(700)은 케이블 수용부(500)와 마개(600)를 수용할 수 있다. 캡(700)은 마개(600)와 밀착하여 마개(600)를 가압할 수 있다. 캡(700)은 베이스(710), 중간부(720), 제4경사부(730) 및 관통면(740)을 포함할 수 있다.
캡(700)의 중앙에는 상하 방향으로 캡(700)을 관통하는 제4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4홀(711)은 베이스(710), 중간부(720), 제4경사부(730) 및 관통면(740) 모두를 거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캡(700)은 중공 형태일 수 있다. 제4홀(711)의 단면적은 일측(아래)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 제4홀(711)은 마개(600)의 제3홀(611)과 동축(coaxial)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710)는 평판 형태로, 제2외장부재(300)의 외측면과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710)의 윗면과 플레이트(310)의 아랫면은 접촉할 수 있다. 베이스(710)의 윗면에는 걸림돌기(712)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712)는 2개일 수 있다. 2개의 걸림돌기(712)는 제4홀(71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걸림돌기(712) 각각은 2개의 걸림홈(312) 각각에 수용될 수 있다. 캡(700)은 걸림돌기(712)가 걸림홈(312)에 수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제2외장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중간부(720)는 중공의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중간부(720)는 베이스(710)의 일측(아래,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720)는 베이스(710)에서 케이블 수용부(500)가 연장된 방향(일측, 아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중간부(720)의 내측에는 케이블 수용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720)의 제4홀(711)에는 케이블 수용부(500)가 배치될 수 있다.
중간부(720)의 내측면은 케이블 수용부(500)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중간부(720)는 내측면에 배치되고, 입체 나선 형태의 제2나사부(7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나사부(721)는 케이블 수용부(600)의 제1나사부(620)와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캡(700)은 제2나사부(721)와 제1나사부(620)의 나사 결합의 쪼임에 따라 상측으로 이동하여 마개(600)를 가압할 수 있다.
중간부(720)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중간부(720)의 외주면과 베이스(710)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7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722)는 빗변을 제외한 2개의 변이 각각 베이스(710) 및 중간부(72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직각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리브(722)는 중간부(720)를 지지하여 요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4경사부(730)는 중앙에 제4홀(711)이 형성된 테이퍼 관 형상일 수 있다. 제4경사부(730)는 중간부(720)의 일측(아래,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제4경사부(730)는 중간부(720)의 일측(아래,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 단부에서 케이블 수용부(600)가 연장된 방향(일측, 아래)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4경사부(730)는 케이블 수용부(600)가 연장된 방향(일측, 아래)을 향하여 내측(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제4경사부(730)는 마개(600)의 제3경사부(622)와 접촉할 수 있다. 제4경사부(730)가 내측(경방향 내측)으로 경사진 각도는 제3경사부(622)가 내측으로 경사진 각도보다 클 수 있다.
제4경사부(730)의 경사 방향에 의해서, 캡(700)이 마개(600)를 상측으로 가압 시, 제4경사부(730)는 제3경사부(622)를 상측뿐만 아니라 내측(경방향 내측)으로도 가압할 수 있다. 그 결과, 제2마개부(620)는 케이블(800)을 마치 손으로 쥐듯이 클램핑(clamping)할 수 있다.
관통면(740)은 중앙에 제4홀(711)이 형성된 평판 형태일 수 있다. 관통면(740)은 제4경사부(730)의 일측(아래,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800)은 관통면(740)을 통과(관통)하여 제2외장부재(3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800)은 전자부품부(400)와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전원 기기, 전자 제어 유닛, 디스플레이부 등)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도전라인일 수 있다. 케이블(800)은 기판부(410)의 기판과 외부의 전자 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800)은 전자부품부(400)에서 제2외장부재(300), 마개(600) 및 캡(700)을 차례로 통과(관통)하여 제2외장부재(3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800)은 전자부품부(400)에서 플레이트(310), 제1마개부(610), 제2마개부(620) 및 관통면(740)을 차례로 통과(관통)하여 제2외장부재(30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800)은 제1홀(411), 제3홀(611) 및 제4홀(711)을 차례로 통과(관통)할 수 있다.
케이블(800)의 상측 단부는 커넥터(440)에 실장될 수 있다. 커넥터(440)는 기판부(410)의 기판에 실장되어, 케이블(800)과 기판부(410)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커넥터(440)는 연결기판(450)에 의해 기판부(410)의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케이블(800)과 기판부(410)의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케이블(800)의 중간 부분은 제1홀(411)을 관통하여, 마개(600)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800)은 제2마개부(620)에 의해 가압되어 요동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케이블(800)의 중간 부분은 제4홀(711)을 관통하여 제2외장부재(300)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케이블(800)의 하측 단부는 외부의 전자 기기(예를 들면, 전원 기기, 전자 제어 유닛,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케이블(800)을 통하여 전원 기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케이블(800)을 통하여 전자 제어 유닛으로부터 전자 제어 신호를 공급받을 수 있다. 카메라 모듈(1000)은 케이블(800)을 통하여 이미지 센서(420)에서 출력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부에 전달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외장부재;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외장부재;
    상기 제2외장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전자부품부;
    상기 전자부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상기 제2외장부재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 수용부;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제1마개부와, 상기 제1마개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마개; 및
    상기 제2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마개를 수용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부품부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와 상기 마개와 상기 캡을 통과하여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제1마개부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서로 동축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1마개부는 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외경이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경보다 큰 복수 개의 링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연장된 방향의 단부에 위치하고,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제1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마개부는 상기 제1마개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외측으로 경사진 제2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경사부와 상기 제2경사부는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마개부는,
    상기 제2경사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제3경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제2외장부재의 일측면과 접촉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중간부;
    상기 중간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을 향하여 내측으로 경사진 제4경사부; 및
    상기 제4경사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케이블이 통과하는 관통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3경사부와 상기 제4경사부는 접촉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4경사부의 경사각은 상기 제3경사부의 경사각보다 큰 카메라 모듈.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는 중공의 원통 형태이고,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중간부의 외주면과 상기 베이스를 연결하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는 외측면에 배치된 제1나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중간부는 내측면에 배치된 제2나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나사부와 상기 제2나사부는 나사 결합하는 카메라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부품부는,
    이미지 센서가 배치된 기판부; 및
    상기 기판부와 상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는 탄성인 카메라 모듈.
  10. 바디;
    상기 바디에 장착된 하나 이상의 도어;
    상기 바디의 내부에 배치된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바디 또는 하나 이상의 상기 도어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렌즈홀더를 포함하는 제1외장부재;
    상기 렌즈홀더에 배치된 렌즈모듈;
    상기 제1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된 제2외장부재;
    상기 제2외장부재의 내측에 배치된 전자부품부;
    상기 전자부품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케이블;
    상기 제2외장부재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케이블 수용부;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내측에 배치된 제1마개부와, 상기 제1마개부에서 상기 케이블 수용부가 연장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수용부의 일측에 배치된 제2마개부를 포함하는 마개; 및
    상기 제2외장부재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 수용부와 상기 마개를 수용하는 캡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상기 전자부품부에서 상기 제2외장부재와 상기 마개와 상기 캡을 통과하여 상기 제2외장부재의 외측으로 연장된 자동차.
KR1020170056821A 2017-05-04 2017-05-04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24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21A KR102324878B1 (ko) 2017-05-04 2017-05-04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US16/609,960 US11159704B2 (en) 2017-05-04 2018-05-03 Camera module and vehicle
PCT/KR2018/005132 WO2018203677A1 (ko) 2017-05-04 2018-05-03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N201880029666.6A CN110603807B (zh) 2017-05-04 2018-05-03 相机模块及车辆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6821A KR102324878B1 (ko) 2017-05-04 2017-05-04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792A true KR20180122792A (ko) 2018-11-14
KR102324878B1 KR102324878B1 (ko) 2021-11-11

Family

ID=64016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6821A KR102324878B1 (ko) 2017-05-04 2017-05-04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159704B2 (ko)
KR (1) KR102324878B1 (ko)
CN (1) CN110603807B (ko)
WO (1) WO201820367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22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690208B (zh) * 2018-11-01 2020-04-01 虎山實業股份有限公司 攝影裝置
DE102019131393A1 (de) * 2019-11-21 2021-05-27 Connaught Electronics Ltd. Intern ausgerichtete Kamera und Herstellungsverfahren hierfü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6360A (ja) * 2010-03-11 2011-09-22 Smk Corp 電子機器モジュールのケーブル引き出し部防水構造
KR20120003036A (ko) * 2010-07-02 2012-01-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869932Y (zh) 2005-12-16 2007-02-14 合盈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摄影镜头防水结构
EP1873871B1 (en) * 2006-06-30 2011-03-09 Sumitomo Wiring Systems, Ltd. Electrical connector
JP2009038438A (ja) 2007-07-31 2009-02-19 Sony Corp カメラ
KR20090040583A (ko) * 2007-10-22 2009-04-27 주식회사 신우테크 감시카메라용 케이블 접속부 보호커버
JP2011109634A (ja) * 2009-06-17 2011-06-02 Rohm Co Ltd 車載カメラ
EP2451147A4 (en) 2010-03-10 2012-12-05 Smk Kk CAMERA MODULE
JP2012150913A (ja) 2011-01-17 2012-08-09 Yazaki Corp 電線ホルダ、及び、この電線ホルダの接続方法
KR200471880Y1 (ko) 2012-06-29 2014-03-19 주식회사 세코닉스 방수 구조를 갖는 카메라 모듈
JP5573928B2 (ja) * 2012-11-29 2014-08-20 Smk株式会社 モジュール機器と外部との電気接続構造
JP2014160610A (ja) * 2013-02-20 2014-09-04 Fujitsu Mobile Communications Ltd ケーブル挿通孔の止水部材及び該止水部材を備える電子装置
KR101587257B1 (ko) 2014-03-06 2016-01-20 주식회사 세코닉스 카메라 모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15880A (ko) 2014-08-01 2016-02-15 주식회사 세코닉스 차량용 카메라 모듈의 렌즈 방수 및 조립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86360A (ja) * 2010-03-11 2011-09-22 Smk Corp 電子機器モジュールのケーブル引き出し部防水構造
KR20120003036A (ko) * 2010-07-02 2012-01-10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922A1 (ko) * 2020-06-24 2021-12-3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4878B1 (ko) 2021-11-11
US20200059580A1 (en) 2020-02-20
CN110603807A (zh) 2019-12-20
CN110603807B (zh) 2021-08-24
WO2018203677A1 (ko) 2018-11-08
US11159704B2 (en) 2021-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9704B2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CN110740234A (zh) 镜头组、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US10288831B2 (en) Method for assembling camera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lens unit
US11178322B2 (en) Camera module and automobile
KR20110028767A (ko) 차량용 카메라 모듈
KR102500655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
KR102358698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415400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220502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부품
JP7172363B2 (ja) 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345685B1 (ko) 카메라 모듈
KR102361049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102345684B1 (ko) 촬영 장치 및 자동차
KR20180093486A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10051767A (ko) 카메라 모듈
KR102500367B1 (ko) 카메라 모듈 및 자동차
KR20200137690A (ko) 카메라 모듈
US20230236478A1 (en) Camera module
KR20200076347A (ko) 카메라 모듈
KR102666965B1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KR20190014868A (ko) 차량용 카메라
US20230259006A1 (en) Camera module
KR20230072638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68502A (ko) 카메라 모듈
KR20240041812A (ko) 카메라 모듈 및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