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666A -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무기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과립 - Google Patents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무기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과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666A
KR20180122666A KR1020187028935A KR20187028935A KR20180122666A KR 20180122666 A KR20180122666 A KR 20180122666A KR 1020187028935 A KR1020187028935 A KR 1020187028935A KR 20187028935 A KR20187028935 A KR 20187028935A KR 20180122666 A KR20180122666 A KR 201801226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granular material
sophorolipid
support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디르크 쿠페르트
루돌프 에그너
위르겐 라티히
옌스 힐데브란트
Original Assignee
에보닉 데구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보닉 데구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보닉 데구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2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666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66Non-ionic compounds
    • C11D1/66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04Carboxylic acids or salts thereof
    • C11D1/06Ether- or thioether carboxylic acids
    • C11D11/0023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034Fixed on a solid conventional detergent ingredien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6Powder; Flakes; Free-flowing mixtures;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005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sed by their effect
    • C11D3/0026Low foaming or foam regulat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12Water-insoluble compounds
    • C11D3/124Silicon containing, e.g. silica, silex, quartz or glass beads
    • C11D3/1246Silicates, e.g. diatomaceous earth
    • C11D3/128Aluminium silicates, e.g. zeoli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39Organic or inorganic per-compounds
    • C11D3/3942Inorganic per-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무기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과립 뿐 아니라, 상기 과립을 함유하는 제형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무기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과립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무기 고체 지지체를 포함하는 과립형 재료, 상기 과립형 재료를 포함하는 제형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한다.
기계 식기세척 세제 및 식기세척 세제 콤팩트가, 예를 들어, DE102009027158 및 DE 102010063625 에 기재되어 있다.
WO2010063689 는 단일- 또는 다중-상, 포스페이트-무함유 세척 또는 세정 조성물 정제를 기재한다.
DE102014212642 및 WO015189370 은 전분-함유 오염물의 제거를 위한, 효소, 특히 아밀라아제를 사용하는 세정 조성물을 기재한다.
EP1411111 은 소포로리피드를 포함하는 생분해성 저-발포 조성물을 기재한다.
JP2009091534 는 의약의 제조를 위한 소듐 수소카보네이트 및 시트르산으로 구성된 분말과 소포로리피드와의 혼합을 기재한다.
JP2009052006 은 아밀라아제 뿐 아니라 소포로리피드를 함유하는, 다른 끈적이는 얼룩에 관련해, 특히 전분 얼룩에 관련해 높은 세정력을 갖는 효소-함유 조성물을 기재한다.
JP 2006274233 은 자동 기계 식기세척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소포로리피드, 산소-함유 표백제 및 표백 활성화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재한다.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과제는, 끈적이는 얼룩, 특히 전분성 얼룩을 제거하는 경질 표면을 위한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 특히, 해결되는 과제는 식기를 위한 세정 조성물, 특히 식기의 기계 세정을 위한 세정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놀랍게도,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무기 고체 지지체를 포함하는 이하 본원에 기재되는 과립형 재료가,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를 풀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따라서, 소포로리피드 및 람노리피드, 특히 소포로리피드를 포함하는, 바람직하게는 이것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무기 고체 지지체를 포함하는 과립형 재료로서, 지지체가 카보네이트, 세스퀴카보네이트, 퍼카보네이트, 퍼보레이트, 설페이트, 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침전 실리카 및 발연 실리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존재하는 무기 지지체를 포함하는 과립형 재료의 제조 방법,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를 포함하는 제형, 및 제형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장점은 끈적이는, 말라붙은 얼룩이 낮은 주위 온도에서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제형이 효소를 사용할 필요없이 전분 오염물을 제거한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장점은 과립형 재료가 소량의 소포제로 우수한 방식으로 소포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 및 이의 용도는 본 발명을 예시적인 구현예에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하기 예에 의해 기재된다. 범위, 일반적인 화학식 또는 화합물 분류가 본원 하기에 상세화되는 경우, 이들은 정확하게 언급되는 상응하는 범위 또는 화합물의 그룹 뿐 아니라 또한 개별적인 값 (범위) 또는 화합물을 발췌함으로써 수득가능한 모든 하위범위 및 화합물의 하위그룹을 포괄할 것이다. 문헌이 본 명세서의 문맥에서 인용되는 경우, 이들의 내용은 특히 언급되는 상황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재 내용의 일부를 전체적으로 형성할 것이다. 평균 값이 본원 하기에 언급되는 경우,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들은 수-평균 평균 값이다.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백분율은 중량% 로된 데이터이다. 측정 값이 본원 하기에 명시되는 경우,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다면, 이들은 25℃ 의 온도 및 1013 mbar 의 압력에서 측정된다.
용어 "카보네이트"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수소카보네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용어 "소포로리피드"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EP2501813 의 일반 화학식 (Ia) 및 (Ib) 에서 반영된 바와 같은 소포로리피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람노리피드" 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EP2598646 의 일반 화학식 (I) 에서 반영된 바와 같은 람노리피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카보네이트, 세스퀴카보네이트, 퍼카보네이트, 퍼보레이트 및 설페이트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특히 알칼리 금속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가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과립형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고체 재료가, 특히 지지체 상에 존재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로서 소포로리피드와 조합으로,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퍼카보네이트, 발연 및 침전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매우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과립형 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고체 재료가 지지체 상에 존재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로서 소포로리피드와 조합으로, 발연 및 침전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합한 침전 실리카는 예를 들어, Evonik Industries 에서 Sipernat®, 예를 들어 Sipernat 22 로서, 적합한 발연 실리카는 Aerosil® 로서 판매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가 40 중량% 내지 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내지 9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내지 80 중량% (중량% 는 전체 지지체에 대한 것임) 의 양으로 상기 언급된 고체 재료를 함유하는 무기 고체 지지체를 포함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포로리피드는 본 발명의 과립형 재료에 이들의 산 형태 또는 이들의 락톤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용어 소포로리피드의 "산 형태" 와 관련하여 EP2501813 의 일반 화학식 (Ia) 를 참고하고, 용어 소포로리피드의 "락톤 형태" 와 관련하여 EP2501813 의 일반 화학식 (Ib) 를 참고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과립형 재료는 지지체 상에 존재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소포로리피드이고, 락톤 형태 대 산 형태의 중량비가 20:80 내지 80:20,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40:6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형 중의 산 또는 락톤 형태로의 소포로리피드의 함량의 측정과 관련해서는, EP1411111 B1, 페이지 8, 단락 [0053] 을 참고한다.
지지체 상에 존재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는 본 발명의 과립형 재료 중에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5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하며, 중량% 는 바이오계면활성제 및 지지체의 중량의 총 양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과립형 재료는 유리하게는 100 내지 2000 ㎛ 의 범위, 특히 200 내지 1500 ㎛ 의 범위, 특히 700 내지 1300 ㎛ 의 범위의 중간 입자 크기 d50 [㎛] 를 갖는다. 정의 상, d50 [㎛] 값은 시험된 입자의 부피의 절반이 더 크고 절반은 더 작은 지점을 표시한다. 부가적으로, d10 및 d90 값은 각각, 10% 및 90% 가 상기 입자 크기 미만이거나 이와 동일한 범위를 말한다. 입자 집합물의 중간 입자 크기 d50 [㎛], 및 또한 d10 [㎛] 및 d90 [㎛] 값은 여기서 표준 설정 (ISO 13322-2:2006) 을 선택한 동적 이미지 분석의 방법을 통해 Retsch (Haan, Germany) 사의 Camsizer® 의 도움으로 확인된다. 사용된 측정 방법은 전체 입자 집합물의 상세화된 입자 크기 분석을 제공하며, 이것은 분포 밀도 함수로서 제시된다. 분포 밀도 함수에서, d50 값은 최대 최대값의 가로 값인 것으로 여겨진다.
바람직하게는, 좁은 입자 크기 분포의 입자 집합물이 선택되어야 한다. 이들은 입자 집합물의 d10 [㎛] 값이 50% 이상이고, d90 [㎛] 이 중간 입자 크기 d50 [㎛] 의 15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립형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소포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유용한 소포제의 예는 매우 다양한 상이한 오일, 예컨대 유기폴리실록산,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또는 폴리옥시알킬렌-폴리실록산 블록 공중합체, 폴리에테르, 식물성 또는 동물성 오일, 파라핀 또는 미네랄 오일의 형태의 것들을 포함한다. 동시에, 소포 작용을 부양시키는 미분된 고체가 오일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미분된 고체의 예는 열분해 또는 습식-화학 수단에 의해 수득되는 미분된 실리카이고, 이것은 Aerosil 또는 Sipernat 사에서 시판되고, 유기규소 화합물로의 처리에 의해 소수성화 (hydrophobized) 될 수 있다. 추가의 적합한 고체는 금속 비누, 예컨대 마그네슘 비누, 알루미늄 비누 및 칼슘 비누, 및 또한 폴리에틸렌 왁스 및 아미드 왁스이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존재하는 소포제는 식물성 오일, 특히 평지유 및 유채씨유, 실리콘 오일, 소수성화 실리카, 파라핀, 파라핀-알코올 조합, 비스-지방산 아미드, 폴리유기실록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소포제로서 바람직하게 존재하는 폴리유기실록산은 하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수성 에멀젼에서 사용되고 US2004198842 에 상세화된 고-점도, 고 분자량 유기폴리실록산 화합물,
EP0579999 에서 소포제로서 상세화된 아미노실록산,
US6001887 에서 상세화된 일반 화학식 I 의 유기폴리실록산, 및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존재하는 추가의 소포제는 US5994415 에 기재된 올리고글리세롤의 C8 내지 C22 지방산과의 알콕시화 부분 에스테르이고, 3 내지 60 mol 의 프로필렌 옥시드 및 임의로 1 내지 10 mol 의 스티렌 옥시드 및/또는 1 내지 10 mol 의 부틸렌 옥시드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과립형 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소포제를 0.001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0.5 중량% (중량% 는 바이오계면활성제, 소포제 및 지지체의 중량의 총 합에 대한 것임) 의 양으로 함유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추가로 하기의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형 재료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A) 고체 미립자 무기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B) 25℃ 및 1 bar 에서 액체인 수성 조성물의 형태로 소포로리피드 및 람노리피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제공하는 단계,
C) 방법 단계 A) 로부터의 지지체와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을 접촉시키는 단계 및
D)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로부터 기원하는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방법 단계 A) 에서 제공되는 고체 미립자 유기 지지체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 내에 포함되는 무기 고체 지지체로부터 선택된다.
방법 단계 B) 에서 제공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소포로리피드로부터, 특히 산 대 락톤 비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에 존재하는 것들로부터 선택된다.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물을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내지 7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60 중량% (중량% 는 전체 수성 조성물에 대한 것임) 의 양으로 포함한다.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바이오계면활성제를 10 중량%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내지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중량% 내지 70 중량% (중량% 는 전체 수성 조성물에 대한 것임) 의 양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법 단계 B) 에서, 소포제,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에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언급된 것들 중 하나가, 수성 조성물에 부가적으로 존재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법 단계 C) 에서, 접촉은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을 방법 단계 A) 로부터의 지지체 상에 분무함으로써 실행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분무 적용에 의한 접촉은, 예를 들어, 유동층 분무 과립화기 또는 플라우쉐어 믹서 (ploughshare mixer) 의 도움으로 실행될 수 있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무기 지지체가 유동화되고 적합한 기체, 예를 들어 공기, 질소 또는 이산화탄소의 유입에 의해 일정한 움직임을 유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동층 분무 과립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법 단계 C) 가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은 유입되는 기체의 온도를 유동화된 지지체가, 유동화된 지지체와 바이오계면활성제의 수성 조성물과의 접촉 동안, 30℃ 내지 100℃,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80℃, 가장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60℃ 의 온도를 갖도록 선택 및 조절함으로써 달성된다. 바이오계면활성제의 유동화된 지지체와의 접촉은 분무 적용에 의해 수행되며, 이것은 상부-분무, 하부-분무 또는 접선 분무 방법에 의해,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부-분무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유동층 내의 접촉은 배치식 또는 그 밖에, 연속 처리의 경우에, 연속 유동층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플라우쉐어 믹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법 단계 C) 에서, 무기 지지체는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로 스피닝 및 소용돌이 (swirling) 방법의 도움으로 코팅된다.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은 분무 적용에 의해 무기 지지체의 기계적으로 생성된 유동층 내로 도입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우쉐어 믹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법 단계 C) 가 15℃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5℃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우쉐어 믹서를 사용하는 경우 코팅은 배치식 또는 그 밖에, 연속 처리의 경우에, 연속 시스템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방법 단계 D) 에서, 물의 적어도 부분적인 제거는 바람직하게는 가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방법 단계 D) 가 5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건조는 또한 실온 (20-25℃) 에서 수행될 수 있다.
유동층 분무 과립화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것은 방법 단계 D) 에서 유입되는 기체의 온도를 5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80℃ 의 범위 내에 있도록 선택 및 조절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과립형 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과립형 재료를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0.1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40 중량% (중량% 는 전체 제형에 대한 것임) 의 상기 언급된 과립형 재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한 제형은 제형이 경질 표면을 위한 세정 조성물, 특히 식기세척 세제,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기의 기계 세정을 위한 식기세척 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식기의 기계 세정을 위한 식기세척 세제는 요즘 종종 정제의 형태를 취한다. 이들은 압력에 의해 특정한 형상으로 전환된 가루형 세정 조성물이다. 정제의 사용은 세정 조성물 중의 활성 성분의 용량을 세정 사이클에 적합하게 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기계 식기세척기를 위한 세정 조성물은 분말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고체 식기세척 세제이다. "고체 식기세척 세제" 는 25℃ 및 1 bar 의 압력에서 물질의 고체 상태로 있는 식기세척 세제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고체 식기세척 세제는 형상을 가진 바디, 특히 컴팩트, 특히 정제의 형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형이 빌더, 계면활성제, 중합체, 부식 억제제, 특히 유리 부식 억제제, 붕해 보조제, 효소, 표백제, 표백 촉매, 표백 활성화제, 향료 및 향수 담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구성성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추가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과립형 재료에 더해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계면활성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비이온성, 양이온성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또한 동일한 군으로부터 선택된 2 개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일 수 있다.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일반 화학식 RO(G)x 의 알킬글리코시드 (식 중, R 은 8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일차 직쇄 또는 메틸-분지형, 특히 2-메틸-분지형, 지방족 라디칼에 상응하고, G 는 5 또는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글리코오스 단위,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를 나타내는 기호임) 이다. 모노글리코시드 및 올리고글리코시드의 분포를 말하는 올리고머화 레벨 x 는 1 내지 10 의 임의의 수이고; x 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4 이다.
단독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또는 다른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와 조합으로 사용될 수 있는 이용가능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추가의 계열은, 바람직하게는 알킬 사슬 내에 1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알콕실화,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또는 에톡실화 및 프로폭실화, 지방산 알킬 에스테르의 것이다.
다른 적합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아민 옥시드 유형, 예를 들어 N-코코알킬-N,N-디메틸아민 옥시드 및 N-탈로우알킬-N,N-디히드록시에틸아민 옥시드, 및 지방산 알칸올아미드 유형의 것들일 수 있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에톡실화 지방 알코올의 것 이하, 특히 이의 절반 이하이다.
추가의 적합한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DE 10 2014 212 622 단락 [0026]-[0027] 에 기재되는 폴리히드록시 지방산 아미드이다.
사용되는 바람직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저-발포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알콕실화 알코올의 그룹으로부터의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 및 알코올 1 몰 당 평균 1 내지 12 mol 의 에틸렌 옥시드 (EO) 를 갖는 바람직하게는 알콕실화, 유리하게는 에톡실화된, 특히 일차 알코올이며, 이때 알코올 라디칼은 선형 또는 바람직하게는 2-메틸-분지형일 수 있거나, 또는 전형적으로 옥소 공정에서 알코올 라디칼로 존재하는 바와 같이 혼합물 중에 선형 및 메틸-분지형 라디칼을 함유할 수 있다. 더욱 특히, 그러나, 12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진 천연 기원의 알코올, 예를 들어 코코넛 알코올, 팜 알코올, 탈로우 지방 알코올 또는 올레일 알코올로부터의 선형 라디칼, 및 알코올 1 몰 당 평균 2 내지 8 EO 를 갖는 알코올 에톡실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에톡실화 알코올은, 예를 들어, 3 EO 또는 4 EO 와의 C12-14 알코올, 7 EO 와의 C8-C11 알코올, 3 EO, 5 EO, 7 EO 또는 8 EO 와의 C13-C15 알코올, 3 EO, 5 EO 또는 7 EO 와의 C12-18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예컨대 3 EO 와의 C12-14 알코올과 5 EO 와의 C12-18-알코올과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언급된 에톡실화도는 특정 생성물에 대한 정수 또는 분수에 상응할 수 있는 통계학적 평균 값이다. 바람직한 알코올 에톡실레이트는 좁은 상동 분포 (좁은 범위 에톡실레이트, NRE) 를 갖는다. 이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더해, 12 EO 초과와의 지방 알코올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의 예는 14 EO, 25 EO, 30 EO 또는 40 EO 와의 탈로우 지방 알코올이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실온 초과의 융점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20℃ 초과, 바람직하게는 25℃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특히 26.6 내지 43.3℃ 의 융점을 갖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들) 이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사용하기 위한 계면활성제는 알콕실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특히 에톡실화 일차 알코올 및 이들 계면활성제와 복합 구조의 계면활성제의 혼합물, 예컨대 폴리옥시프로필렌/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PO/EO/PO) 계면활성제의 군으로부터 유래한다. 이러한 (PO/EO/PO)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부가적으로 양호한 포말 통제를 위해 주목할만하다.
부가적으로 유용한 것은 DE 1020142012622 의 단락 [0036]-[0059] 에 기재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물론 상기 언급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개별 성분으로서 뿐 아니라 2 개, 3 개, 4 개 이상의 계면활성제의 계면활성제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의 총 중량에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중량비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0.1 중량% 내지 2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15 중량%, 특히 2.5 중량% 내지 10 중량% 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마찬가지로 기계 식기세척 세제의 구성성분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특히 알킬벤젠설포네이트, 지방 알킬 설페이트, 지방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및 알칸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조성물 중의 비율은 전형적으로 0 중량% 내지 10 중량% 이다. 바람직한 제형은 추가로 이들이 1.0 중량% 미만의, 특히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첨가가 정제 (상) 특성, 특히 이의 경도, 견고도 및 후속적인 경화 특성과 관련하여 불리한 것으로 밝혀졌기 때문이다.
언급된 또는 이와 함께하는 계면활성제 대신에, 또한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사용되는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의 양이온성 화합물일 수 있다:
Figure pct00001
(식 중, 각각의 R1 기는 독립적으로 C1-6-알킬, -알케닐 또는 -히드록시알킬 기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2 기는 독립적으로 C8-28-알킬 또는 -알케닐 기로부터 선택되고; R3 = R1 또는 (CH2)n-T-R2; R4 = R1 또는 R2 또는 (CH2)n-T-R2; T = -CH2-, -O-CO- 또는 -CO-O- 이고, n 은 0 내지 5 의 정수임).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4 차 암모늄 기 및 적어도 하나의 -COO- 또는 -SO3 - 기를 가지는 표면-활성 화합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히 바람직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이와 관련하여 베타인 계면활성제, 예컨대 알킬- 또는 알킬아미도프로필베타인이다. 여기서 특히 바람직한 것은 베타인, 예컨대 N-알킬-N,N-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코코알킬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N-아실아미노프로필-N,N-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예를 들어, 코코아실아미노프로필디메틸암모늄 글리시네이트, C12-C18-알킬디메틸아세토베타인, 코코아미도프로필디메틸아세토베타인, 2-알킬-3-카르복시메틸-3-히드록시에틸이미다졸린 및 설포베타인 (알킬 또는 아실 기 내에 각각 8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가짐), 및 코코아실아미노에틸 히드록시에틸 카르복시메틸글리시네이트이다. 특히 바람직한 쯔비터이온성 계면활성제는 INCI 명칭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으로 알려진, N,N-디메틸-N-(라우로일아미도프로필)암모늄 아세토베타인이다.
추가의 적합한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암포아세테이트 및 암포디아세테이트의 군, 특히 예를 들어 코코- 또는 라우릴암포아세테이트 또는 -디아세테이트, 암포프로피오네이트 및 암포디프로피오네이트의 군 및 아미노산-기재 계면활성제의 군, 예컨대 아실글루타메이트, 특히 디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및 소듐 코코일 글루타메이트, 아실 글리시네이트, 특히 코코일 글리시네이트, 및 아실사르코시네이트, 특히 암모늄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및 소듐 코코일 사르코시네이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식기세척 세제에서, 양이온성 및/또는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전체 조성물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미만, 더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미만, 특히 1 중량% 미만이다. 오직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만을 함유하는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식기세척 세제가, 특히 지지체에 존재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로서 소포로리피드와 조합으로,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적어도 하나의 효소 또는 하나 이상의 효소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효소 제제 또는 효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효소는, 제한 없이,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리파아제, 셀룰라아제, 헤미셀룰라아제, 만난나아제, 펙틴-분할 효소, 탄나아제, 자일라나아제, 잔탄나아제, β-글루코시다아제, 카라기나아제, 퍼히드롤라아제, 옥시다아제, 옥시도리덕타아제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이들 효소는 원칙적으로 천연 기원의 것이며; 천연 분자로부터 진행되어, 개선된 변이체가 세정 조성물에서 사용하기에 이용가능하며, 이들이 상응하게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효소 및/또는 효소 제제(들) 을, 전체 제형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20 중량%,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15.0 중량%, 더욱 추가로 바람직하게는 0.2 중량%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4 중량% 내지 8.0 중량% 의 총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빌더, 예컨대 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특히 제올라이트), 유기 디- 및 폴리카르복실산의 염 및 이들 성분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수용성 빌더의 사용은 유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유기 빌더는, 예를 들어, 이들의 소듐 염의 형태로 이용가능한 폴리카르복실산이며, 폴리카르복실산은 1 개 초과의 산 작용기를 가지는 이들 카르복실산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이들은 시트르산, 아디프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말산, 타르타르산, 말레산, 푸마르산, 당 산, 아미노카르복실산, 니트릴로트리아세트산 (NTA),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 (MGDA), 폴리아스파르트산 소듐 염, 에틸렌디아민트리아세테이트 코코알킬아세타미드 (예를 들어 Rewopol® CHT 12, Evonik Industries AG 사제, Essen (Germany)) 및 이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한 염은 폴리카르복실산, 예컨대 시트르산, 아디프산, 석신산, 글루타르산, 타르타르산, 당 산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제형은 이들의 필수적인 빌더 중 하나로서, 시트르산의 하나 이상의 염, 즉, 시트레이트를 함유한다. 이들은 100 중량% 의 식기세척 세제의 총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50 중량%, 특히 5 중량% 내지 40 중량%, 특히 10 중량% 내지 40 중량% 의 비율로 존재한다. 시트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카보네이트 및/또는 수소카보네이트와 조합으로 사용된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카보네이트(들) 및/또는 수소카보네이트(들),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카보네이트(들),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 카보네이트의, 각 경우 기계 식기세척 세제의 중량에 대해, 2 중량%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4 중량% 내지 25 중량%, 특히 8 중량% 내지 25 중량% 의 양으로의 사용이다. 바람직한 제형은 따라서 시트레이트 및 카보네이트 및/또는 수소카보네이트의 빌더 조합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상 알려진 포스페이트를 빌더로서 사용하는 것이, 이러한 사용이 환경적인 이유로 회피되어야만 하는 것이 아니라면, 가능하다. 다수의 시판 이용가능한 포스페이트 중에서,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 (펜타소듐 또는 펜타포타슘 트리포스페이트 (소듐 또는 포타슘 트리폴리포스페이트) 가 특히 바람직함) 가 세척 또는 세정 제품 산업에서 중요성이 크다.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는 다양한 인산의 알칼리 금속 (특히 소듐 및 포타슘) 염에 대한 포괄적인 용어이며, 더 큰 분자량 대표물과 함께 메타인산 (HPO3)n 및 오르토인산 H3PO4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포스페이트는 하나에 여러가지 장점을 조합하는데: 이들은 알칼리 담체로서 작용하고, 기계 부품 상에 스케일 침적이나 직물에서 스케일 형성을 방지하고, 부가적으로 세정 성능에 기여한다.
특히 산업적으로 중요한 포스페이트는 펜타소듐 트리포스페이트, Na5P3O10 (소듐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및 상응하는 포타슘 염 펜타포타슘 트리포스페이트, K5P3O10 (포타슘 트리폴리포스페이트) 이다. 소듐 포타슘 트리폴리포스페이트가 바람직하게 이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문맥에서, 포스페이트가 제형, 특히 기계 식기세척 세제에서 세척- 또는 세정-활성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조성물은 상기 포스페이트/이들 포스페이트, 바람직하게는 알칼리 금속 포스페이트(들), 더욱 바람직하게는 펜타소듐 또는 펜타포타슘 트리포스페이트 (소듐 또는 포타슘 트리폴리포스페이트) 를, 각 경우 세정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식기세척 세제, 특히 기계 식기세척 세제의 중량에 대해, 5 중량%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75 중량%, 특히 20 중량% 내지 70 중량% 의 양으로 함유한다. 그러나, 본원에 기재된 세정 조성물에 포스페이트, 특히 상기 언급된 포스페이트가 본질적으로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포스페이트-무함유" 는 논의의 조성물에 포스페이트가 본질적으로 없는, 즉, 특히 포스페이트가 전체 조성물에 대해 0.1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미만의 양으로 있는 것을 의미한다. 포스페이트가 존재하는 경우,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0.3 g/job 이하에 상응하는 양으로 사용된다. 작업 당 g (g/job) 또는 g/use 이라는 표현은 완전한 세정 사이클을 위해 사용되는 조성물의 총 중량 (즉, 기계 식기세척 세제의 경우, 기계 식기세척기의 완전한 세정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세정 조성물의 총 양) 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활성 성분의 양을 의미한다. 미리-분배된 세정 조성물 (바람직하게는 기계 식기세척 조성물) 의 경우, 상기 숫자는 미리-분배된 세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활성 성분의 양 (g) 이다. 본 문맥에서 사용되는 표현 "포스페이트" 는 하기 기재된 포스포네이트를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적어도 하나의 인-무함유 빌더를 포함할 수 있고, 추가의 인-무함유 빌더는 바람직하게는 메틸글리신디아세트산 (MGDA), 글루탐산 디아세테이트 (GLDA), 아스파르트산 디아세테이트 (ASDA), 히드록시에틸 이미노아세테이트 (HEIDA), 이미노디석시네이트 (IDS) 및 에틸렌디아민디석시네이트 (EDDS) 로부터, 더욱 바람직하게는 MGDA 및 GLDA 로부터 선택되며, 세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빌더의 중량비는,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내지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내지 75 중량%, 특히 15 중량% 내지 70 중량% 이다.
여기서 (수소)카보네이트 및 시트레이트의 중량%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명시된 바와 같다. 추가의 인-무함유 빌더, 특히 MGDA 및/또는 GLDA 의 중량% 는,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40 중량%, 특히 5 중량% 내지 30 중량%, 특히 7 중량% 내지 20 중량% 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 존재할 수 있는 적합한 빌더는 부가적으로 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또는 폴리메타크릴산의 알칼리 금속 염, 예를 들어 600 내지 750 000 g/mol 의 상대적 분자 질량을 갖는 것들이다. 적합한 중합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 000 g/mol 의 분자 질량을 갖는 폴리아크릴레이트이다. 이들의 우수한 가용성 때문에 상기 그룹에서, 1000 내지 10 000 g/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5000 g/mol 의 몰 질량을 갖는 단쇄 폴리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적합한 것은 공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 특히 아크릴산과 메타크릴산과의 것 및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 말레산과의 것이다. 수용성을 개선하기 위해, 중합체는 또한 알릴설폰산, 예컨대 알릴옥시벤젠설폰산 및 메트알릴설폰산을, 단량체로서 함유할 수 있다.
(호모)중합체성 폴리카르복실레이트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20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10 중량%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추가로, 빌더로서, 일반 화학식 NaMSixO2x + 1·yH2O 의 결정성 시이트 실리케이트 (식 중, M 은 소듐 또는 수소를 나타내고, x 는 1.9 내지 22, 바람직하게는 1.9 내지 4 의 숫자이고, 특히 x 의 바람직한 값은 2, 3 또는 4 이고, y 는 0 내지 33,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0 의 숫자임) 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1:2 내지 1:3.3,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1:2.8, 특히 1:2 내지 1:2.6 의 Na2O:SiO2 모듈러스를 갖는 비정질 소듐 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바람직하게는 지연된 용해 및 이차 세척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제형에서, 세정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한 실리케이트의 함량은, 1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특히 3 중량% 미만의 양에 제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특히 바람직한 기계 식기세척 세제는 실리케이트-무함유이다.
상기 언급된 빌더 외에,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알칼리 담체는 제형에서, 각 경우 제형의 총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오직 소량으로,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5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된다. 대안적인 제형에는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가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추가로 포스포네이트(들) 을 빌더로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용가능한 포스포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아미노트리메틸렌포스폰산 (ATMP); 에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EDTMP);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DTPMP);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HEDP); 2-포스포노부탄-1,2,4-트리카르복실산 (PBTC); 헥사메틸렌디아민테트라(메틸렌포스폰산) (HDTMP) 및 니트릴로트리(메틸렌포스폰산) (NTMP) 로부터 선택되고, 1-히드록시에탄-1,1-디포스폰산 (HEDP) 및 디에틸렌트리아민펜타(메틸렌포스폰산) (DTPMP) 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스포네이트(들) 은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20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10 중량%, 특히 0.5 중량% 내지 8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된다.
중합체의 군은 특히 세척- 또는 세정-활성 중합체, 예를 들어 린스 보조 중합체 및/또는 연화 중합체로서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기계 식기세척 세제에서, 비이온성 중합체 뿐 아니라 또한 양이온성, 음이온성 및 양쪽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양이온성 중합체" 는 본 발명의 문맥에서 중합체 분자에서 양전하를 가지는 중합체이다. 이들은 예를 들어, 중합체 사슬에 존재하는 (알킬)암모늄 잔기 또는 다른 양전하 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양이온성 중합체는 4 급 셀룰로오스 유도체, 4 차 기를 가진 폴리실록산, 양이온성 구아 유도체, 중합체성 디메틸디알릴암모늄 염 및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 및 아미드와의 이의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과 디알킬아미노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의 4 급 유도체와의 공중합체, 비닐피롤리돈-메토이미다졸륨 클로라이드 공중합체, 4 급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INCI 명칭 폴리쿼터늄 2, 폴리쿼터늄 17, 폴리쿼터늄 18 및 폴리쿼터늄 27 로서 명시된 중합체의 군으로부터 유래된다.
"양쪽성 중합체" 는 본 발명의 문맥에서 중합체 사슬 내에 양전하 기 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음전하 기 또는 단량체 단위도 갖는다.
이들 기는 예를 들어, 카르복실산, 설폰산 또는 포스폰산일 수 있다.
첨가제로서 적합한 중합체는 특히 말레산-아크릴산 공중합체 소듐 염 (예를 들어 Sokalan® CP 5, BASF 사제, Ludwigshafen (Germany)), 개질 폴리아크릴산 소듐 염 (예를 들어 Sokalan® CP 10, BASF 사제, Ludwigshafen (Germany)), 개질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소듐 염 (예를 들어 Sokalan® HP 25, BASF 사제, Ludwigshafen (Germany)), 폴리알킬렌 옥시드-개질 헵타메틸트리실록산 (예를 들어 Silwet® L-77, BASF 사제, Ludwigshafen (Germany)), 폴리알킬렌 옥시드-개질 헵타메틸트리실록산 (예를 들어 Silwet® L-7608, BASF 사제, Ludwigshafen (Germany)) 및 폴리에테르실록산 (폴리메틸실록산과 에틸렌 옥시드/프로필렌 옥시드 분절 (폴리에테르 블록) 과의 공중합체), 바람직하게는 말단 폴리에테르 블록을 갖는 수용성 선형 폴리에테르실록산, 예컨대 Tegopren® 5840, Tegopren® 5843, Tegopren® 5847, Tegopren® 5851, Tegopren® 5863 또는 Tegopren® 5878, Evonik Industries AG 사제, Essen (Germany) 이다. 그러나, Tegopren 제품 5843 및 5863 의 사용은 유리로 제조된 경질 표면, 특히 유리제품 상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덜 바람직한데, 이들 실리콘 계면활성제가 유리를 공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서, 언급된 첨가제는 분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의 바람직한 구현예는 추가로 표백제, 특히 산소 표백제, 및 임의로 표백 활성화제 및/또는 표백 촉매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 존재하는 바람직한 표백제는 소듐 퍼카보네이트, 소듐 퍼보레이트 테트라히드레이트 및 소듐 퍼보레이트 모노히드레이트의 군으로부터의 산소 표백제이다. 추가의 이용가능한 표백제는, 예를 들어, 퍼옥시피로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퍼히드레이트 및 H2O2-공급 과산성 (peracidic) 염 또는 과산, 예컨대 퍼벤조에이트, 퍼옥소프탈레이트, 디퍼아젤라산, 프탈이미노 과산 또는 디퍼도데칸디오산이다. 부가적으로, 또한 유기 표백제의 군으로부터의 표백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형적인 유기 표백제는 디아실 퍼옥시드, 예를 들어 디벤조일 퍼옥시드이다. 추가의 전형적인 유기 표백제는 퍼옥시 산이고, 언급되는 특정 예는 알킬 퍼옥시 산 및 아릴 퍼옥시 산이다. 이의 양호한 표백 성능 덕분에, 소듐 퍼카보네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산소 표백제는 소듐 퍼카보네이트이다.
사용되는 표백제는 또한 염소- 또는 브롬-방출 성분일 수 있다. 적합한 염소- 또는 브롬-방출 재료 중에서, 유용한 재료의 예는 헤테로시클릭 N-브로모- 및 N-클로로아미드, 예를 들어 트리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 트리브로모이소시아누르산, 디브로모이소시아누르산 및/또는 디클로로이소시아누르산 (DICH) 및/또는 양이온, 예컨대 포타슘 및 소듐과의 이의 염을 포함한다. 히단토인 화합물, 예컨대 1,3-디클로로-5,5-디메틸히단토인이 마찬가지로 적합하다.
사용되는 표백 활성화제는 과가수분해 조건 하에서,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 특히 2 내지 4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퍼옥소카르복실산, 및/또는 임의로 치환된 퍼벤조산을 산출하는 화합물일 수 있다. 적합한 성분은 언급된 수의 탄소 원자의 O- 및/또는 N-아실 기 및/또는 임의로 치환된 벤조일 기를 가지는 것들이다. 폴리아실화된 알킬렌디아민이 바람직하고, 테트라아세틸에틸렌디아민 (TAED) 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표백 촉매는 표백-부양 전이 금속 염 또는 전이 금속 착물, 예를 들어 Mn-, Fe-, Co-, Ru- 또는 Mo-살렌 착물 또는 -카르보닐 착물이다. 표백 촉매로서 또한 유용한 것은 N-함유 트리포드 리간드와의 Mn, Fe, Co, Ru, Mo, Ti, V 및 Cu 착물, 및 Co-, Fe-, Cu- 및 Ru-아민 착물이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II, III, IV 또는 V 산화 상태의 망간의 착물,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마크로시클릭 리간드(들) 을 도너 작용기 N, NR, PR, O 및/또는 S 와 함유하는 것이 사용된다. 질소 도너 작용기를 갖는 리간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에서 거대분자 리간드로서, 1,4,7-트리메틸-1,4,7-트리아자시클로노난 (Me-TACN), 1,4,7-트리아자시클로노난 (TACN), 1,5,9-트리메틸-1,5,9-트리아자시클로도데칸 (Me-TACD), 2-메틸-1-1,4,7-트리메틸-1,4,7-트리아자시클로노난 (Me/Me-TACN) 및/또는 2-메틸-1,4,7-트리아자시클로노난 (Me/TACN) 을 함유하는 표백 촉매(들)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적합한 망간 착물은 예를 들어, [MnIII2(μ-O)1(μ-OAc)2(TACN)2](ClO4)2, [MnIIIMnIV(μ-O)2(μ-OAc)1(TACN)2](BPh4)2, [MnIV4(μ-O)6(TACN)4](ClO4)4, [MnIII2(μ-O)1(μ-OAc)2(Me-TACN)2](ClO4)2, [MnIIIMnIV(μ-O)1(μ-OAc)2(Me-TACN)2](ClO4)3, [MnIV 2(μ-O)3(Me-TACN)2](PF6)2 및 [MnIV2(μ-O)3(Me/Me-TACN)2](PF6)2 (식 중, OAc = OC(O)CH3) 이다.
지금까지 언급된 착물 뿐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추가의 통상적인 보조제 및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은 예를 들어, 첨가제, 염료, 보존제 (예를 들어 2-브로모-2-니트로프로판-1,3-디올 (CAS 52-51-7), 또한 예를 들어, Myacide® BT 또는 Boots Bronopol BT (Boots 사제) 로서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브로노폴로서 업계에서 언급됨) 를 포함하며, 이들은 전형적으로 1 중량% 이하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혼탁, 줄무늬 및 스크래치의 발생 뿐 아니라, 기계-세정된 유리의 유리 표면의 무지개빛을 방지하는 유리 부식 억제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한 유리 부식 억제제는 마그네슘 및 아연 염 및 마그네슘 및 아연 착물의 군으로부터 유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아연 염을 추가의 구성성분으로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아연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아연 염일 수 있다. 무기 아연 염은 바람직하게는 아연 브로마이드, 아연 클로라이드, 아연 요오다이드, 아연 니트레이트 및 아연 설페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유기 아연 염은 바람직하게는 단량체성 또는 중합체성 유기산의 아연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특히 아연 아세테이트, 아연 아세틸아세토네이트, 아연 벤조에이트, 아연 포르메이트, 아연 락테이트, 아연 글루코네이트, 아연 리시놀레에이트, 아연 아비에테이트, 아연 발레레이트 및 아연 p-톨루엔설포네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사용되는 아연 염은 아연 아세테이트이다.
제형 중의 아연 염의 함량은 각 경우 유리 부식 억제제-함유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 중량% 내지 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4 중량%, 특히 0.4 중량% 내지 3 중량% 이고, 또는 산화된 형태로의 아연 (Zn2+ 로서 계산됨) 의 함량은 0 중량%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5 중량%, 특히 0.02 중량% 내지 0.2 중량% 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계 식기세척 세제는 바람직하게는 형상을 가진 바디, 특히 컴팩트, 특히 정제의 형태이다. 그러나, 이들은 또한 다른 공급 형태와 조합으로, 특히 고체 공급 형태, 예컨대 분말, 과립 또는 압출물과 조합으로, 또는 물 및/또는 유기 용매에 기반한 액체 공급 형태와 조합으로 존재할 수 있다. 형상을 가진 바디는 예를 들어, 또한 파우치 또는 캐스팅 몰드에 존재하는 과립형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미리제작된 형상을 가진 바디의 붕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정제 붕해제라고 불리는 붕해 보조제를, 붕괴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 이들 제형 내로 도입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제 붕해제 또는 붕괴 촉진제는 물 또는 다른 매질 중의 정제의 급속한 붕괴 및 활성 성분의 급속한 방출을 확보시키는 보조제인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하게는, 붕해 보조제는 각 경우 붕해 보조제-함유 제형의 총 중량에 대해, 0.5 중량%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중량% 내지 7 중량%, 특히 4 중량% 내지 6 중량% 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단일-상 또는 다중-상 제품으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1, 2, 3 또는 4 개의 상을 갖는 기계 식기세척 세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2 개 이상의 상을 갖는 미리제작된 투여 단위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 식기세척 세제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이중- 또는 다중상 정제, 예를 들어 이중층 정제, 특히 휴회시 이중층 정제 및 휴회시 형상을 가진 바디가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은 바람직하게는 투여 단위를 제공하기 위해 미리제형화된다. 이들 투여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세정 사이클에 필요한 세척- 또는 세정-활성 성분의 양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투여 단위는 1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6 g, 특히 15 내지 22 g 의 중량을 갖는다. 상기 언급된 투여 단위의 부피 및 이의 3 차원 형상은 기계 식기세척기의 투여 챔버를 통한 미리제형화된 단위의 투여능력 (dosability) 이 확보되도록 특히 바람직하게 선택된다. 투여 단위의 부피는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 ml,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30 ml, 특히 15 내지 25 ml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형, 특히 미리제형화된 투여 단위는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수용성 외피를 갖는다.
수용성 외피는 바람직하게는 중합체 및 중합체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용성 필름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외피는 수용성 필름 재료의 1 개 또는 2 개 이상의 층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제 1 층 및 추가 층 (존재한다면) 의 수용성 필름 재료는 동일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조성물을 내부에 채운 후 예를 들어, 튜브 또는 큐션과 같은 포장을 제공하기 위해 결합 및/또는 밀봉될 수 있는 필름이 특히 바람직하다.
수용성 외피가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용성 외피는 충분히 높은 수용성, 특히 냉 수용성과 커플링된 양호한 안정성을 갖는다.
수용성 외피의 제조를 위한 적합한 수용성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10 000 내지 1 000 000 gmol-1, 바람직하게는 20 000 내지 500 000 gmol-1,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000 내지 100 000 gmol-1, 특히 40 000 내지 80 000 gmol-1 범위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에 기반한다.
폴리비닐 알코올의 제조는 전형적으로 폴리비닐 아세테이트의 가수분해에 의해 달성되는데, 직접 합성 경로가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폴리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로부터 상응하게 제조되는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에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수용성 외피의 적어도 하나의 층이 70 내지 100 mol%,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 mol%, 더욱 바람직하게는 81 내지 89 mol%, 특히 82 내지 88 mol% 의 양인 가수분해 레벨을 갖는 폴리비닐 알코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성 외피의 제조에 적합한 폴리비닐-알코올 함유 필름 재료에는 부가적으로 (메트)아크릴산-함유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옥사졸린 중합체, 폴리스티렌설포네이트,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락트산 또는 상기 중합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중합체가 보충될 수 있다. 바람직한 부가적인 중합체는 폴리락트산이다.
바람직한 폴리비닐 알코올은 비닐 알코올 뿐 아니라, 디카르복실산을 추가의 단량체로서 포함한다. 적합한 디카르복실산은 이타콘산, 말론산, 석신산 및 이의 혼합물이며, 이타콘산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바람직한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비닐 알코올 뿐 아니라, 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이의 염 또는 이의 에스테르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 알코올 공중합체는 비닐 알코올 뿐 아니라,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아크릴 에스테르, 메타크릴 에스테르 또는 이의 혼합물을 함유한다.
필름 재료가 추가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필름 재료는 예를 들어, 가소제, 예컨대 디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롤, 소르비톨, 만니톨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첨가제는 예를 들어, 이형 보조제, 충전제, 가교제, 계면활성제, 항산화제, UV 흡수제, 차단방지제, 끈적임방지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포장의 수용성 외피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수용성 필름은 MonoSol LLC 에서, 예를 들어 M8630, C8400 또는 M8900 명칭으로 판매되는 필름이다. 다른 적합한 필름은 Solublon® PT, Solublon® GA, Solublon® KC 또는 Solublon® KL 명칭을 갖는 필름 (Aicello Chemical Europe GmbH 사제) 또는 VF-HP 필름 (Kuraray 사제) 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추가로 기계 식기세척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더욱 추가로 경질 표면의 세정을 위한, 특히 전분성 얼룩의 제거를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언급된 용도에서, 상기 바람직한 것으로 강조된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원에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 (이의 적용 범위는 명세서 및 청구항 전체임) 을 실시예에 명시된 구현예에 제한하려는 의도 없이, 본 발명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는 것이다.
실시예:
사용되는 소포로리피드는 유채씨유 및 당으로부터의 발효에 의해 수득된 소포로리피드이다. 유리 지방산의 함량은 존재하는 소포로리피드의 양에 대해 1 중량% 미만이다. 사용되는 소포로리피드는 60:40 의 소포로리피드 산 대 소포로리피드 락톤의 비를 갖는다. 소포로리피드로의 지지체의 적재량은 하기와 같이 계산되었다: 사용된 소포로리피드의 질량을 건조된 과립형 재료의 질량으로 나눔.
실시예 1: 지지체로서의 소듐 퍼카보네이트
AEROMATIC Strea 1 유동층 실험실 코팅기 (coater) 를 처음에 980 g 의 Q 30 소듐 퍼카보네이트 (Evonik Industries AG 의 상표명) 로 채우고, 공기 속도를 소듐 퍼카보네이트가 유동되는 정도로 조정하였다. 유동화된 소듐 퍼카보네이트의 온도가 55℃ 내지 60℃ 가 되자말자, 소포로리피드 용액 (150 g 의 물에 용해된 18.5 g 의 소포로리피드) 의 투여를 시작하고, 투여 속도를 전체 기간에 걸쳐 온도가 50℃ 내지 60℃ 인 정도로 조정하였다. 전체 용액을 적용한 후, 생성물을 80℃ 의 온도에서 10 분 동안 건조시키고, 케이크화 (caking) 를 피하기 위해, 소듐 설페이트 층을 분무한다 (50 g 의 6 중량% 소듐 설페이트 용액, 코팅 동안의 온도: 50-55℃, 80℃ 에서 5 분 동안의 건조). 1001.5 g 의 과립형 재료를 수득하였다. 소포로리피드 (활성 성분) 로의 적재량은 1.8% 였다.
실시예 2: 지지체로서의 침전 실리카
Loedige 5 l 플라우쉐어 믹서에 3 kg 의 Sipernat® 22 (Evonik Ressource Efficiency GmbH) 를 처음에 채우고, 700 눈금폭 (scale divisions) 의 믹서 헤드의 속도로, 3 kg 의 물에 용해된 1.7 kg 을 분무하였다. 이어서, 분말을 체질하여, 입자 크기 > 0.4 mm 를 갖는 분획을 제거하였다.
소포로리피드 활성 성분으로의 적재량은 43% 였다.
실시예 3: 지지체로서의 소듐 카보네이트
Loedige 5 l 플라우쉐어 믹서에 > 0.3 mm 의 입자 크기 및 500-600 kg/㎥ 의 벌크 밀도를 가진 2.4 kg 의 소듐 카보네이트 (Solvay 사제) 를 처음에 채우고, 700 눈금폭의 믹서 헤드의 속도로, 303 g 의 물에 용해된 177 g 의 소포로리피드를 분무하였다. 이어서, 재료를 실온에서 건조시키고 300-1600 ㎛ 의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로 저작하였다. 소포로리피드 활성 성분으로의 적재량은 8.6 중량% 였다.
세정 성능의 측정을 위한 시험 방법
기계 식기세척 세제의 세정 성능은 개선된 구별을 가진 상기 언급된 참조에 기재된 개질된 얼룩을 사용하여 현행 IKW 방법 (SOEFW, 132 (3/2006) 55 ff.) 에 의해 측정하였다. 연구는 밸러스트 소일 (ballast soil) 의 존재하에 비활성된 물 연화제와 함께, "R45℃/8min/Kl55℃"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내수용 Miele GSL2 기계 식기세척기에서 9 ± 1 °dH 의 물 경도로 수행하였다. 세정 상 동안의 최대 온도는 45℃ 였다. 각각의 시험 실행은 50 g 의 밸러스트 소일의 존재 하에 수행되었다. 밸러스트 소일은 IKW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투여는 주요 세척 사이클의 시작시에 실행되었다. 시험된 얼룩은 하기 표 1 에서 찾을 수 있다.
표 1: 시험된 얼룩:
IKW 방법에 따르면, 6 부의 각 얼룩 유형이 기계 식기세척기에서 전형적인 가정 방식으로 분배되었다. 세정 성능에 대한 결과는 각각의 제형에 대해 4 회 반복으로부터의 평균 값이다. 각각의 세정 작업을 위해, 20 g 의 기계 식기세척 세제를 사용하였다.
세정 성능을 중량측정 또는 시각적 수단에 의해 평가하고, 0 (세정 안됨) 에서 100 (완전한 세정) 까지의 성능 지수 척도에 의해 평가하였다.
표 2: 제형
Figure pct00003
제형 A (비-발명 제형임) 는, 소포로리피드 또는 Sipernat® 22 어느 것도 함유하지 않는다.
제형 B (비-발명 제형임) 는 Sipernat® 22 를 함유하나, 지지되지 않거나 유리 소포로리피드는 함유하지 않는다.
비-발명 제형 C 는 0.3% 활성 함량의 비지지된 소포로리피드를 함유한다.
비-발명 제형 D 는 4.3% 활성 함량의 비지지된 소포로리피드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제형 E 중의 소포로리피드의 활성 함량은 0.3 중량% 이고, 비-발명 제형 F 중의 이의 활성 함량은 4.3 중량% 이다.
추가의 비-발명 참고 성분으로서, Finish Classic 파우더 브랜드 (Reckitt Benckiser 사제) 의 시판 자동 기계 식기세척기 분말을 사용하였다. 세제 제정법에 따르면 Finish Classic 파우더의 질적 조성은 줄어드는 순서로,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퍼카보네이트, 소듐 시트레이트, TAED,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서브틸리신 (프로테아제), 테트라소듐 에티드로네이트 지방 알코올 에톡실레이트, 아밀라아제, 향수이다. 시판 제품은 따라서 전분-분해 효소 아밀라아제를 함유한다.
표 3: 전분성 얼룩 전분 및 파스타와 관련된 세정 성능 (0 (세정 안됨) 에서 100 (완전한 세정) 까지의 척도)
Figure pct00004
아밀라아제-함유 시판 제품 Finish Classic 파우더가 전분 및 파스타 얼룩에 대해 양호한 세정 성능을 갖는다는 것이 명백하다.
효소가 없는 비-발명 제형 A 는 상당히 열악한 세정 성능을 나타낸다. 제형에 대한 Sipernat® 22 의 첨가는 세정 성능에 있어 어떠한 개선도 제공하지 않는다. 제형 C 및 D 에서와 같이, 심지어 비지지된 소포로리피드의 첨가는 세정 성능에서 임의의 명백한 개선을 야기하지 않는다.
소포로리피드-코팅된 소듐 퍼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비-발명 제형 E 는 제형 A 및 C 과 비교하여 세정 작용에서의 분명한 개선을 제시한다.
침전 실리카 상에 지지된 소포로리피드 (Sipernat® 22) 를 포함하는 발명 제형 F 는, 제형 B 및 D 와 비교하여 전분 얼룩과 관련하여 세정 작용에서의 상당한 개선을 나타낸다. 더욱 특히, 제형 F 는 전분-분해 효소 아밀라아제를 함유하는 참조 Finish Classic 파우더보다 전분 얼룩의 놀라운 양호한 제거를 나타낸다.
실시예 4: 소포제와 지지체로서의 침전 실리카
Loedige 5 l 플라우쉐어 믹서에 3 kg 의 Sipernat® 22 (Evonik Ressource Efficiency GmbH) 를 처음에 채우고, 700 눈금폭의 믹서 헤드 속도로, 3 kg 의 물에 용해된 8.5 g 의 Tego Antifoam KS 53 및 1.7 kg 의 소포로리피드를 분무하였다. 이어서, 분말을 체질하여, 알갱이 크기 > 0.4 mm 를 갖는 분획을 제거하였다.
소포로리피드 활성 성분으로의 적재량은 43% 였다.
실시예 5: 소포제와 지지체로서의 소듐 카보네이트
Loedige 5 l 플라우쉐어 믹서에 > 0.3 mm 의 알갱이 크기 및 500-600 kg/㎥ 의 벌크 밀도를 가진 2.5 kg 의 소듐 카보네이트 (Solvay 사제) 를 처음에 채우고, 700 눈금폭의 믹서 헤드 속도로, 513 g 의 물에 용해된 2.5 g 의 Tego Antifoam KS 53 및 420 g 의 소포로리피드를 분무하였다. 이어서, 재료를 실온에서 건조시키고 300-1600 ㎛ 의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로 저작하였다. 소포로리피드 활성 성분으로의 적재량은 14.3 중량% 였다.
실시예 6: 소포제 2 와 지지체로서의 소듐 카보네이트
Loedige 5 l 플라우쉐어 믹서에 > 0.3 mm 의 알갱이 크기 및 500-600 kg/㎥ 의 벌크 밀도를 가진 2.5 kg 의 소듐 카보네이트 (Solvay 사제) 를 처음에 채우고, 700 눈금폭의 믹서 헤드 속도로, 485.1 g 의 물에 용해된 2.5 g 의 Tego Antifoam WM 20 및 445.9 g 의 소포로리피드를 분무하였다. 이어서, 재료를 실온에서 건조시키고 300-1600 ㎛ 의 범위의 입자 크기를 갖는 입자로 저작하였다. 소포로리피드 활성 성분으로의 적재량은 15 중량% 였다.
실시예 7: 소포 특성
ADW (자동 식기세척) 적용을 위해, 제형 및 상응하는 제형 구성성분이 포말이 없거나 오직 매우 약한 포말만을 갖는 것이 필수적이다.
포말 특성의 시험:
시험 설정
- 100 ml 스크류탑 (screwtop) 실린더
- 예를 들어, 실시예 5 의, 탈이온수 중의 0.1% 용액
- 100 ml 실린더 중의 용액으로부터 50 ml 을 옮김
- 뚜껑을 돌려 닫은 후 실린더를 20 x 진탕시킴
- 진탕 직후, 그 다음 10 초, 30 초, 45 초, 1 분 및 2 분 후 포말 높이를 측정함 (표 참고)
결과:
Figure pct00005
매우 소량의 소포제를 과립형 소포로리피드 재료에 첨가하는 효과는 제품이 매우 적은 포말을 갖고 산출되는 포말도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없어진다는 것이다.

Claims (14)

  1. 소포로리피드 및 람노리피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 특히 소포로리피드가 존재하는 무기 고체 지지체를 포함하는 과립형 재료로서,
    지지체가 카보네이트, 세스퀴카보네이트, 퍼카보네이트, 퍼보레이트, 설페이트, 실리케이트,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제올라이트, 침전 실리카 및 발연 실리카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고체 재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
  2. 제 1 항에 있어서, 카보네이트, 세스퀴카보네이트, 퍼카보네이트, 퍼보레이트 및 설페이트가 알칼리 금속 또는 알칼리 토금속, 특히 알칼리 금속의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고체 재료가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퍼카보네이트, 침전 실리카 및 발연 실리카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바이오계면활성제가 소포로리피드이며, 락톤 형태 대 산 형태의 중량비가 20:80 내지 80:20, 바람직하게는 30:70 내지 40:6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지지체 상에 존재하는 바이오계면활성제가 0.01 중량% 내지 70 중량%, 바람직하게는 0.25 중량% 내지 6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5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하며, 중량% 는 바이오계면활성제 및 지지체의 중량의 총 합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있어서, 과립형 재료가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 특히 평지유 및 유채씨유, 실리콘 오일, 소수성화 실리카, 파라핀, 파라핀-알코올 조합, 비스-지방산 아미드 및 폴리유기실록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포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
  7. 하기의 방법 단계를 포함하는, 과립형 재료의 제조 방법:
    A) 고체 미립자 무기 지지체를 제공하는 단계,
    B) 25℃ 및 1 bar 에서 액체인 수성 조성물의 형태로 소포로리피드 및 람노리피드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제공하는 단계,
    C) 방법 단계 A) 로부터의 지지체를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과 접촉시키는 단계 및
    D)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에서 기원하는 물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8. 제 7 항에 있어서, 방법 단계 C) 에서, 방법 단계 B) 로부터의 수성 조성물을 방법 단계 A) 로부터의 지지체 상에 분무함으로써 접촉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립형 재료의 제조 방법.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수득가능한 과립형 재료.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및 제 9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과립형 재료를 포함하는 제형으로서, 0.1 중량% 내지 6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중량% 내지 5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중량% 내지 40 중량% 의 과립형 재료를 함유하며, 중량% 가 전체 제형에 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11. 제 10 항에 있어서, 경질 표면을 위한 세정 조성물, 특히 식기세척 세제, 가장 바람직하게는 식기의 기계 세정을 위한 식기세척 세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빌더 (builder), 계면활성제, 중합체, 부식 억제제, 유리 부식 억제제, 붕해 보조제, 효소, 표백제, 표백 촉매, 표백 활성화제, 향료 및 향수 담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구성성분,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 개의 추가의 구성성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형.
  13. 기계 식기세척 방법에서 사용하기 위한,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제형의 용도.
  14. 경질 표면의 세정을 위한, 특히 전분성 얼룩의 제거를 위한,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적어도 한 항에 따른 제형의 용도.
KR1020187028935A 2016-03-18 2017-03-01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무기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과립 KR2018012266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1078 2016-03-18
EP16161078.7 2016-03-18
PCT/EP2017/054724 WO2017157659A1 (de) 2016-03-18 2017-03-01 Granulat umfassend einen anorganischen, festen träger, auf dem mindestens ein biotensid enthalten is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666A true KR20180122666A (ko) 2018-11-13

Family

ID=55586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935A KR20180122666A (ko) 2016-03-18 2017-03-01 적어도 하나의 바이오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무기 고체 담체를 포함하는 과립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254896B2 (ko)
EP (1) EP3430112B1 (ko)
JP (1) JP2019508564A (ko)
KR (1) KR20180122666A (ko)
CN (1) CN108884413B (ko)
AU (1) AU2017234866A1 (ko)
BR (1) BR112018068893B1 (ko)
CA (1) CA3017990C (ko)
MX (1) MX2018011099A (ko)
RU (1) RU2018132032A (ko)
WO (1) WO2017157659A1 (ko)
ZA (1) ZA2018067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7234866A1 (en) 2016-03-18 2018-08-30 Evonik Degussa Gmbh Granulate comprising an inorganic solid carrier with at least one biosurfactant contained thereon
MX2019009348A (es) * 2017-02-06 2019-10-02 Logos Tech Llc Decoloracion de una composicion concentrada de ramnolipidos.
BR112019022453A2 (pt) 2017-04-27 2020-05-12 Evonik Degussa Gmbh Composição e uso de uma composição
JP7411557B2 (ja) 2018-02-09 2024-01-11 エボニック オペレーションズ ゲーエムベーハー グルコリピドを含有する混合組成物
EP3760658A1 (de) * 2019-07-03 2021-01-06 Covestro Deutschland AG Beständige 2k-pur-beschichtungen
EP4117616A1 (en) 2020-03-11 2023-01-18 Evonik Operations GmbH Mixture composition comprising glycolipids and triethyl citrate
KR102654385B1 (ko) * 2024-01-02 2024-04-03 주식회사 블루워시 타블렛 식기세척기세제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23768A1 (de) 1992-07-18 1994-01-20 Goldschmidt Ag Th Entschäumungsmittel auf der Basis organofunktionell modifizierter Organopolysiloxane
US6001887A (en) 1993-12-17 1999-12-14 Th. Goldschmidt Ag Defoamer emulsion based on organofunctionally modified polysiloxanes
GB9606913D0 (en) 1996-04-02 1996-06-05 Unilever Plc Surfactant blends processes for preparing them and particulate detergent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DE59809319D1 (de) 1997-05-17 2003-09-25 Goldschmidt Ag Th Entschäumercompounds zur Entschäumung von Polymerdispersionen und wässrigen Lacksystemen
DE19851454B4 (de) 1998-11-09 2010-11-04 Henkel Ag & Co. Kgaa Tensid-Granulate durch Wirbelschichtgranulation
JP2003013093A (ja) * 2001-06-27 2003-01-15 Saraya Kk 低泡性洗浄剤組成物
DE10140838A1 (de) 2001-08-21 2003-03-06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Natriumpercarbonat
DE10152161A1 (de) * 2001-10-25 2003-05-15 Henkel Kgaa Mittel und Vorrichtung sowie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315158A1 (de) 2003-04-03 2004-10-14 Goldschmidt Ag Verbesserte wässrige Entschäumerformulierungen
SI1475350T1 (sl) 2003-05-07 2005-12-31 Degussa Prevlecene granule natrijevega perkarbonata z izboljsano stabilnostjo pri skladiscenju
JP2006274233A (ja) 2005-03-29 2006-10-12 Saraya Kk 漂白剤組成物
JP2009052006A (ja) 2007-08-24 2009-03-12 Saraya Kk 酵素含有洗浄剤組成物
JP2009091534A (ja) 2007-10-05 2009-04-30 Saraya Kk 粉末剤の製造方法
DE102008060469A1 (de) 2008-12-05 2010-06-10 Henkel Ag & Co. Kgaa Maschinelle Geschirrspülmitteltablette
DE102009027158A1 (de) 2009-06-24 2010-12-30 Henkel Ag & Co. Kgaa Maschinelles Geschirrspülmittel
DE102010014680A1 (de) 2009-11-18 2011-08-18 Evonik Degussa GmbH, 45128 Zellen, Nukleinsäuren, Enzyme und deren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ophorolipiden
DE102010063625A1 (de) 2010-12-21 2012-06-21 Henkel Ag & Co. Kgaa Geschirrspülmittelkompaktate
DE102010032484A1 (de) 2010-07-28 2012-02-02 Evonik Goldschmidt Gmbh Zelle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hamnolipiden
US10287615B2 (en) * 2011-06-06 2019-05-14 Ecover Co-Ordination Center N.V. Sophorolactone production
AR090031A1 (es) 2011-09-20 2014-10-15 Procter & Gamble Composiciones detergentes que comprenden sistemas tensioactivos sostenibles que comprenden tensioactivos derivados de isoprenoide
EP2740786A1 (en) * 2012-12-06 2014-06-11 Solvay SA Process for preparing detergent composition particles
DE102013205755A1 (de) 2013-04-02 2014-10-02 Evonik Industries Ag Waschmittelformulierung für Textilien enthaltend Rhamnolipide mit einem überwiegenden Gehalt an di-Rhamnolipiden
WO2015189370A1 (en) 2014-06-12 2015-12-17 Novozymes A/S Oxidation stable alpha-amylase variants
DE102014212622A1 (de) 2014-06-30 2015-12-31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umfassend Hydroxamsäure und/oder deren Salze
DE102014212642A1 (de) 2014-06-30 2015-12-31 Henkel Ag & Co. Kgaa Reinigungsmittel enthaltend Amylasen
EP3002328A1 (de) * 2014-09-30 2016-04-06 Evonik Degussa GmbH Biotensidhaltige Formulierung
EP3070155A1 (de) * 2015-03-18 2016-09-21 Evonik Degussa GmbH Zusammensetzung enthaltend peptidase und biotensid
DE102015217506A1 (de) * 2015-09-14 2017-03-16 Henkel Ag & Co. Kgaa Seife mit Biotensiden
AU2017234866A1 (en) 2016-03-18 2018-08-30 Evonik Degussa Gmbh Granulate comprising an inorganic solid carrier with at least one biosurfactant contained there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17990C (en) 2023-08-01
WO2017157659A1 (de) 2017-09-21
EP3430112B1 (de) 2020-01-08
CN108884413B (zh) 2022-04-01
US20190031977A1 (en) 2019-01-31
MX2018011099A (es) 2018-11-22
US11254896B2 (en) 2022-02-22
RU2018132032A (ru) 2020-03-10
JP2019508564A (ja) 2019-03-28
CN108884413A (zh) 2018-11-23
AU2017234866A1 (en) 2018-08-30
BR112018068893B1 (pt) 2022-12-13
CA3017990A1 (en) 2017-09-21
EP3430112A1 (de) 2019-01-23
BR112018068893A2 (pt) 2019-01-22
ZA201806796B (en) 2019-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17990C (en) Granulate comprising an inorganic solid carrier with at least one biosurfactant contained thereon
KR101548387B1 (ko) 세제
CA2776793C (en) Detergent composition comprising a mixed alkoxylate fatty alcohol non-ionic surfactant
KR20100106964A (ko) 세정제
KR20170072277A (ko) 금속 착물을 함유하는 식기세척기 세제
KR20100106375A (ko) 세정제
US11702616B2 (en) Metal complexes and dishwashing detergents containing them
US11118139B2 (en) Dishwashing detergents containing a salicylidene-based chelant
US11220660B2 (en) Portion bag having bleach activator/complexing agent compound
CA3144814A1 (en)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
EP3109305B1 (en) Automatic dishwashing detergent compositions comprising n-acylglucamine
US9458416B2 (en)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and machine dishwashing detergents containing these
EP3795667B1 (en) Non-enzymatic removal of proteinaceous soils
US11118138B2 (en) Non-enzymatic removal of proteinaceous soils with a salicylidene-based chelant
EP3795665B1 (en) Non-enzymatic removal of proteinaceous soils
US20230272307A1 (en) Metal complexes-containing dishwashing detergents
US9512386B2 (en) Machine dishwasher detergent comprising hydrophobically modified polysaccharides
CN117730138A (zh) 包含脂肪醇乙氧基化物的洗涤剂凝胶组合物
EP3677663A1 (en) Non-enzymatic removal of proteinaceous soils
KR20180135438A (ko) 헹굼력을 개선시키기 위한 공중합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