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332A - 제습탈취제 용기 - Google Patents

제습탈취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332A
KR20180121332A KR1020180004495A KR20180004495A KR20180121332A KR 20180121332 A KR20180121332 A KR 20180121332A KR 1020180004495 A KR1020180004495 A KR 1020180004495A KR 20180004495 A KR20180004495 A KR 20180004495A KR 20180121332 A KR20180121332 A KR 20180121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container
light emitting
container body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4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1587B1 (ko
Inventor
이승원
Original Assignee
이승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원 filed Critical 이승원
Priority to KR1020180004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587B1/ko
Publication of KR20180121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5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5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03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with devices for relieving electrical st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ckages (AREA)
  • Drying Of Gases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탈취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를 서로 엉키도록 뭉쳐서 성형된 담체에, 펠렛상의 제습제가 담지된 제습부재; 상기 제습부재가 내장되고 측벽면에 세공이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되어 UV광을 발출하는 LED 발광부;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곰팡이, 세균의 번식을 저해하여 항균성이 우수하고, 제습제의 교체가 용이하고 교체 주기를 긴 제습탈취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제습탈취제 용기 {Dehumidifying and deodorizing Container}
본 발명은 제습제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교체 주기가 길며 항균성을 갖는 제습탈취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아열대성으로 변화하는 기후로 인해 여름에는 고온 다습한 환경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후 변화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집안 내부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습기제거제나 제습기 등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습기제거제는 염화칼슘과 같은 제습제를 용기에 담아 주변의 습기를 제거하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사용상의 편의성과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애용하고 있다.
습기제거제의 대표적인 구조는 용기 본체의 내부 공간을 다수의 투공이 천설된 평면형 중 선반에 의해 상하 공간실이 구획되고, 선반이 안쪽에는 염화칼슘 등의 조해성 흡습제를 배치하고 용기 본체의 상단 개구부를 투습성/비투수성 시트로 피복해서 이루어진다. 습기는 상기 투습성/비투수성 시트를 통과하고 염화칼슘에 의해 흡습되며, 상기 흡습에 의해 염화칼슘이 조해되어 발생된 조해액이 선반 안쪽의 하부 공간실에 저장되는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습기제거제 수납용기는 일회용으로 사용됨에 따라 빈번히 교체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한국 등록특허 제10-1179207호는 수납용기 내부에 탈부착이 가능한 흡습제를 이용하여 상기 흡습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습기제거제 수납용기를 제시하였다.
상기 습기제거제 수납용기는 흡습제의 교체전에 제습 과정에서 생성된 조해액에서 곰팡이, 세균 등이 발생되어 이로 이한 주변 환경의 오염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즉, 교체 주기와 제습과정에서 생성된 조해액 제거 주기가 상이하여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자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은 제습 과정중의 생성되는 조해액에 발생되는 곰팡이 및 세균 번식을 저해할 수 있는 제습탈취제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쉬운 방법으로 제습제의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교체 주기가 길어 쓰레기 용적이 최소화 및 자원의 재이용적 측면에서 환경 친화적인 제습탈취제 용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탈취제 용기는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를 서로 엉키도록 뭉쳐서 성형된 담체에, 펠렛상의 제습제가 담지된 제습부재 ; 상기 제습부재가 내장되고 측벽면에 세공이 형성된 용기 본체 ;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되어 UV광을 발출하는 LED 발광부 ;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죌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LED 발광부는 전원부 및 UV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는 용기 본체의 하부면측에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LED 발광부는 용기 본체의 하부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전원부는 착탈착식으로 교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탈취제 용기의 상기 제습부재는 제습제가 바인더에 의해 단체의 금속세사 표면에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는 코일 형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고분자세사 및 용기본체는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탈취제 용기의 상기 LED 발광부는 UV-C광을 방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습탈취제 용기는 UV광을 방출하는 LED 발광부가 구비되어 제습 과정중의 생성되는 조해액에 발생되는 곰팡이, 세균의 번식을 저해하여 항균성이 우수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탈취제 용기는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가 엉켜 있는 담체에 제습제가 고정되어 교체가 용이하고, UV광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제습제 및 조해액으로 전달하여 제습제 및 조해액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킬 수 있어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기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습용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제습제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교체 주기가 길며 항균성을 갖는 제습탈취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LED 발광부의 배치에 따라 제습탈취제 용기의 구조가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2개의 구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1 내지 4를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제습탈취제 용기는 도 1 및 2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를 서로 엉키도록 뭉쳐서 성형된 담체(13)에, 펠렛상의 제습제(15)가 담지된 제습부재(10); 상기 제습부재(10)가 내장되고 측벽면에 세공(23)이 형성된 용기 본체(20);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되어 UV광을 발출하는 LED 발광부(30);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습탈취제 용기에 내장되는 제습부재(10)는 다수개의 금속세사가 서로 엉켜있는 형태의 담체(13)에, 펠렛상의 제습제(15)가 담지된다.
상기 금속세사(13)는 금속재질의 압연사로, 열전도성이 높고 단위 면적당 중량이 낮은 것이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구체적으로 경제성 및 내식성 등이 우수한 스테인레스 및 알루미늄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분자세사는 녹는점이 150℃ 이상인 전자레지용으로 사용 가능한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금속세사는 제습제의 담지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두께는 얇고 길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말린 코일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가 서로 엉켜있는 형태의 담체에 담지되는 제습제(15)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가격 및 제형의 용이성 등의 측면을 고려하면 염화칼슘이 바람직하다.
이때, 담지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며, 제습제의 장시간 결합 유지력을 고려하면 결합제를 이용환 화학적 방법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제는 제습제의 종류/양/크기,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 사용이 가능하다.
상기 제습부재가 내장되는 용기 본체(20)는 가벼우면서, 내구성이 우수한 소재로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플라스틱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나, 일례로, 단면이 원형, 타원형 또는 모서리가 둥근 다각형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용기 본체(20)는 외부 습기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세공(23)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제습제가 금속세사가 서로 엉켜있는 형태의 담체에 담지되어 있어 용기 밖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세공의 크기 및 개수는 제습제의 사용처 및 제습제의 함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제습제 펠렛의 크기보다 작은 것이 좋다.
상기 용기 본체도 고분자세사와 동일하게 상기에서 언급한 전자레인지용 고분자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기 본체의 세공(23)은 투습성 및 비투수성을 갖는 흡습지가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습지는 세공이 형성된 용기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용기 외부의 물건과 제습제의 접촉 및 용기 밖으로 제습제의 이동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되어 UV-C광을 발출하는 LED 발광부(30)가 구비된다. 상기 LED 발광부(30)는 별도의 결합부재에 의해 결합되거나, LED 발광부의 홈과 상기 LED 발광부가 결합되는 부분의 용기 본체의 하부면의 홈이 형성되어 나사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LED는 휘도가 높고 수명이 긴 광원으로 본 발명은 UV-C광을 방출하는 LED를 사용한다.
이러한 LED 발광부는 전원부 및 UV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원부는 용기 본체의 하부면측으로 구비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전원부는 건전지 등에 의해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건전지는 수은전지 및 통상의 일회용 건전지 또는 충전지가 이용될 수 있으며, 소형의 AAA 사이즈의 건전지 또는 수은전지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UV 발광소자는 당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며,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등의 사멸에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제습 과정중의 생성되는 조해액 및 제습제의 항균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UV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열은 금속세사에 의해 열이 전달되어 제습제 및 조해액을 건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UV 발광소자 280 내지 100nm 파장 범위인 UV-C 발광소자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40)는 용기 본체와 동일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며, 제습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덮개에 세공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제습탈취제 용기는 도 3 및 4를 참고로 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13)를 서로 엉키도록 뭉쳐서 성형된 담체에, 펠렛상의 제습제(15)가 담지된 제습부재(10); 상기 제습부재(10)가 내장되고 측벽면에 세공(23)이 형성된 용기 본체(20);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고, 용기 본체 내부로 UV광을 방출하는 LED 발광부(30)가 구비된 덮개(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습부재(10), 용기 본체(2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제습탈취제 용기는 덮개의 내부면에 LED 발광부(30)가 구비되어 용기 본체 내부로 UV광을 방출한다. 덮개의 내부면에 형성되는 LED 발광부는 중앙에 전원부(33) 및 상기 전원부 주위에 UV 발광소자(35) 배열된다.
상기 LED 발광부는 덮개의 내부면에 적층되어 형성되거나, 덮개 내부로 함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 전원부 및 UV 발광소자의 특징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다.
10: 제습부재
13: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
15: 제습제
20: 용기 본체
23: 세공
30: LED 발광부
33: 전원부
35: UV 발광소자
40: 덮개

Claims (8)

  1.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를 서로 엉키도록 뭉쳐서 성형된 담체에, 펠렛상의 제습제가 담지된 제습부재;
    상기 제습부재가 내장되고 측벽면에 세공이 형성된 용기 본체;
    상기 용기 본체의 하부면 중앙에 결합되어 UV광을 발출하는 LED 발광부; 및
    상기 용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발광부는 전원부 및 UV 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원부는 용기 본체의 하부면측에 구비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LED 발광부는 용기 본체의 하부면에 나사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습부재는 제습제가 바인더에 의해 단체의 금속세사 표면에 결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는 착탈착식으로 교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세사 또는 고분자세사는 코일 형상인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세사 및 용기본체는 전자레인지에 사용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LED 발광부는 UV-C광을 방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탈취제 용기.
KR1020180004495A 2018-01-12 2018-01-12 제습탈취제 용기 KR1019615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95A KR101961587B1 (ko) 2018-01-12 2018-01-12 제습탈취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4495A KR101961587B1 (ko) 2018-01-12 2018-01-12 제습탈취제 용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923A Division KR20180120936A (ko) 2017-04-28 2017-04-28 제습탈취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332A true KR20180121332A (ko) 2018-11-07
KR101961587B1 KR101961587B1 (ko) 2019-03-22

Family

ID=64363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4495A KR101961587B1 (ko) 2018-01-12 2018-01-12 제습탈취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58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8210B2 (en) 2019-01-31 2021-03-02 Smart Wires Inc. Power flow control subsystem having multiple configurations
KR102626279B1 (ko) 2023-08-21 2024-01-17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탈취제의 표면적 증대를 이용한 공기 역학적 메커니즘의 공기 탈취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6954A1 (en) * 1990-07-17 1992-01-22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JP2008023441A (ja) * 2006-07-20 2008-02-07 Shinden:Kk フィルター及び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20130018756A (ko) * 2010-03-26 2013-02-25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KR20150141439A (ko) * 2014-06-10 2015-12-18 김수학 장착부재를 구비한 습기제거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66954A1 (en) * 1990-07-17 1992-01-22 CHEMICAL RESEARCH & LICENSING COMPANY Catalytic distillation
JP2008023441A (ja) * 2006-07-20 2008-02-07 Shinden:Kk フィルター及び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KR20130018756A (ko) * 2010-03-26 2013-02-25 다이꼬 야꾸힝 가부시끼가이샤 이산화염소 발생장치
KR20150141439A (ko) * 2014-06-10 2015-12-18 김수학 장착부재를 구비한 습기제거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38210B2 (en) 2019-01-31 2021-03-02 Smart Wires Inc. Power flow control subsystem having multiple configurations
KR102626279B1 (ko) 2023-08-21 2024-01-17 주식회사 지지오 엔지니어링 탈취제의 표면적 증대를 이용한 공기 역학적 메커니즘의 공기 탈취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1587B1 (ko) 2019-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9666B2 (en) Filter cartridge, roller, and air humidifier
KR101961587B1 (ko) 제습탈취제 용기
JP7434446B2 (ja) ミスト処理装置
JP2013523267A5 (ko)
JP2005315554A (ja) 加湿装置
KR20180120936A (ko) 제습탈취제 용기
CN204797132U (zh) 一种新型鞋柜
US20090031747A1 (en) Dehumidifier
JP2007144381A (ja) 二酸化チタン担持ガラス発泡体及び光触媒浄化フィルター並びに空気脱臭器
EP1469933B1 (en) Device for absorbing water vapour
KR101922703B1 (ko)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JP3192590U (ja) 吸湿機構造
KR20120049015A (ko) 저수조가 없는 가열식 세라믹 가습기
JP2006167454A (ja) 揮発性薬剤を収容する空気処理装置
CN209916793U (zh) 一种除甲醛除异味颗粒
JP5778991B2 (ja) 気体発生装置
KR100748584B1 (ko) 항균, 탈취 기능을 갖는 다용도 용기
KR200393290Y1 (ko) 제습제 및 탈취제 수납용기
KR20100005260U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휴대용 물통
RU2009143004A (ru) Таблетк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арения летучих веществ
JP2015226598A (ja) 除菌性空気清浄機
KR101411192B1 (ko) 다공성 세라믹 담체를 활용한 가열식 가습기
CN216481753U (zh) 缓释装置及储物装置
KR20170116997A (ko) 벽걸이형 가열식 겸용 자연 기화 가습기
KR101400647B1 (ko) 물통이 불필요한 가습장치 및 공기청정 겸용 가습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