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22703B1 -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 Google Patents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22703B1
KR101922703B1 KR1020160162039A KR20160162039A KR101922703B1 KR 101922703 B1 KR101922703 B1 KR 101922703B1 KR 1020160162039 A KR1020160162039 A KR 1020160162039A KR 20160162039 A KR20160162039 A KR 20160162039A KR 101922703 B1 KR101922703 B1 KR 101922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humidifying
unit
porous
fragrance
porous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119A (ko
Inventor
박남조
Original Assignee
박남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남조 filed Critical 박남조
Priority to KR1020160162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703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fa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61L9/127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comprising a wi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3Drying gases or vapours by absorp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1Apparatus for controlling ai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저장된 방향제를 흡수하는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방향제 공급부; 상기 방향제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제습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1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제습부에서 흡수한 수분을 재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2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상측에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과 발향용 다공성블럭으로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강제순환부;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2차 제습부에서 수분을 흡수한 제습제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화학전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로 충전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 충전 및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된 전기로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Multifunctional diffuser}
본 발명은 디퓨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발향, 제습, 제균, 자체 충전이 가능한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퓨저(diffuser)는 방향제 확산장치라고도 하는데, 방향제 등을 공기 중으로 강제로 확산시킬 수 있는 장치를 말한다.
주로 실내나 특히 사람이 많이 이용하는 장소나 불쾌한 냄새가 발생할 수 있는 공공장소 등에 주로 설치된다.
방향제 디퓨저는 단순히 액체 향료 또는 향료가 함침된 종이(펄프) 또는 직물 등을 일정한 용기에 수용되게 하여 공기 중에 확산되게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확산시키는 유형에 따라 자연확산형과 전기 훈증기형과 소정의 가스와 함께 향이 분무되도록 하는 분무형 및 팬을 사용하는 강제 송풍형이 있다.
이 가운데 강제 송풍형은 통상적으로 모터를 사용하여 팬을 회전시키면서 방향제의 향이 확산되도록 하는 것인데, 아래 선행기술문헌과 같이 종래 다양한 구조를 가진 디퓨저들이 공개되었다.
그러나 종래 디퓨저의 경우 액상의 방향제를 함침시키는 것은 대부분 모세관 현상에 의해 방향제가 스며들거나 상승할 수 있는 펄프, 직물과 같은 소재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소재는 지속적이고 균일한 휘산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발향 외에 제습, 공기 청정, 살균, 제균과 같이 공기 조화 기능이 없어 별도의 장비를 사용해야 하는 아쉬움이 많았다.
또 배터리를 사용하여 팬을 구동하지만 교체해주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항상 있어왔다.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177635(2000.2.26)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61150(2004.8.27) 3)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14822(2014.6.26)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소재를 사용하여 균일하고 지속적인 발향이 가능하고, 제습도 가능한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다른 목적은 제균, 살균, 방충도 가능한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자체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고 충전하여 외부전원 공급없이 자체적으로 작동 가능한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저장된 방향제를 흡수하는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방향제 공급부; 상기 방향제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제습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1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제습부에서 흡수한 수분을 재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2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상측에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과 발향용 다공성블럭으로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강제순환부;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2차 제습부에서 수분을 흡수한 제습제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화학전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로 충전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 충전 및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된 전기로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향제 공급부는, 방향제가 저장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침지되어 방향제를 흡수, 휘산시키는 흡수심과,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차 제습부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다공성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습용 다공성블럭과,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에 사용된 다공성 소재의 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흡수용 다공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2차 제습부는, 염화칼슘이 담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밀봉하면서 상기 1차 제습부로부터 수분을 통과시키는 착탈식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부는, 상기 2차 제습부에서 배출된 전해액에 일부가 침지되는 양전극과 음전극 및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전해액을 흡수하는 친수성 분리막으로 이루어지는 화학전지유닛이 복수개 배열된 화학전지와, 상기 화학전지에서 발생된 전기를 축전하는 충전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저장된 방향제를 흡수하는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방향제 공급부; 상기 방향제 공급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제습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1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제습부에서 흡수한 수분을 재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2차 제습부; 상기 케이스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과 발향용 다공성블럭으로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강제순환부;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2차 제습부에서 수분을 흡수한 제습제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화학전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로 충전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 충전 및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된 전기로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 소재를 이용하여 지속적이고 균일한 발향 및 제습 효과가 있다.
그리고 방향제균, 살균, 방충 작용이 있는 물질을 사용하여 실내 공기를 청정, 살균함으로써 공기를 통해 전파되는 각종 질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흡수한 공기 중 수분을 재활용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외부 전원없이 디퓨저를 작동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습용 다공성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크게 케이스(10), 방향제 공급부(20), 1차 제습부(30), 2차 제습부(40), 강제순환부(50), 충전부(60), 제어부(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케이스(10)는 상기 방향제 공급부(20), 1차 제습부(30), 2차 제습부(40), 강제순환부(50), 충전부(60) 및 제어부(70)를 수용하고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본체에 해당한다.
상기 케이스(10)의 형상은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디자인으로 변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부면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2)가 형성될 수 있고, 양측면에는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 방향제 공급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방향제 공급부(20)는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의 양측에 설치되며, 방향제를 저장하고 저장된 방향제를 흡수하여 발향될 수 있는 상태로 공급하는 구성으로서 저장용기(22)와 흡수심(24) 및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우선, 상기 저장용기(22)는 액상의 방향제를 저장하는 용기 형상이다.
이때, 방향제는 액상 형태의 다양한 방향물질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 및 천연향은 물론이고 단순히 냄새를 제거하는 용도뿐 아니라 살균, 제균, 방충을 위한 물질을 혼합할 수도 있다. 또 일측 저장용기(22)에 방향제를 저장하고 타측 저장용기(22)에는 살균, 제균, 방충 물질을 별도로 저장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은 편백나무, 피네트린, 로즈마리, 라벤다, 유칼리 커리프랜트, 타임, 트리티, 산토리나, 페파민트, 바질, 시트로넬라, 페니로얄, 레몬그라스, 에리켐페인 등의 허브를 증유하여 만든 허브추출물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용기(22)에는 액상의 방향제를 잘 흡수하고 휘산시킬 수 있도록 심지와 같은 기능을 하는 흡수심(24)이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흡수심(24)은 상기 저장용기(22)의 입구로부터 방향제에 잠기도록 상기 저장용기(22) 바닥까지 연장되며, 액상의 방향제를 지속적으로 흡수함으로써 휘산시켜 후술하는 발향용 다공성블럭(26)으로 전달한다.
따라서, 상기 저장용기(22)의 상부에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흡수심(24)이 상기 발향용 다공성블럭(26) 하부면에 접합되거나 인접하게 위치하여 휘산된 방향제 증기가 상기 발향용 다공성블럭(26)에 흡수되게 한다.
상기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은 미세 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대략 직육면체를 이루며 일측에 타측으로 다수개의 관통된 홀(26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26a)은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공기와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은 상기 케이스(10)의 배출구(14)에 설치되되, 상기 홀(26a)이 배출구(14) 측으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의 기공에 흡수된 방향제 증기가 머물면서 상기 홀(26a)을 통해 공기가 통과하면 증발된 향이 장시간 지속적으로 발향되게 한다.
여기서, 다공성 소재는 내부에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는 소재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나 무기계열의 소재로 제조될 수 있다. 소재 내부의 기공이 많기 때문에 기공을 통해 수분이 흡수되고 물의 표면장력으로 인한 부착력이 크기 때문에 기공의 좁은 틈을 타고 수분이 전달된다. 참고로, 친수성 물질과 같은 기능성 소재를 첨가하여 수분 전달이 더 잘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다공성 소재로 다공성 플라스틱, 부직포, 세라믹, 우레탄, 발포합성수지, 흡수성 수지 등과 같이 기공이 형성되어 증기나 증유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다공성 소재에 은나노 파우더를 코팅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은 도 2와 같이 블럭 형태뿐 아니라 튜브형, 시트형 등으로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변형시에도 상기 홀(26a)과 같이 공기가 흐를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됨은 당연하다. 이를 위해 다공성 소재를 일정한 조건하에 성형틀에 주입하여 성형시켜 만들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함께 참조하여 1차 제습부(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습용 다공성블럭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1차 제습부(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 내부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방향제 공급부(20), 다시 말해 한 쌍의 발향용 다공성블럭(26)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입구(12)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구성으로서, 제습용 다공성블럭(32)과 흡수용 다공성부재(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은 상기 발향용 다공성블럭(26)과 마찬가지로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a)의 경우, 다공성 소재를 사용하여 판 형상으로 성형한 다공성 플레이트(32a) 여러 장을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르게는 (b)와 같이 다수개의 다공성 바(32b)를 입설한 형태도 가능하고, (c)와 같이 다수개의 홀(32c)이 형성된 형태도 가능하다.
다공성 소재로 다공성 플라스틱, 부직포, 세라믹, 우레탄, 발포성 합성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여기에 고흡수성 수지, 제올라이트, 실리카, 5산화인(P2O5), 알루미나(AL2O3), 생석회(CaO), 과염소산 마그네슘(Mg(ClO4)3) 등 기타 세라믹 조제품 등을 혼합하여 성형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에서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다공성 플레이트 사이로 지나면서 공기에 포함된 수분이 제습용 다공성블럭(32)으로 흡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 하부면에는 수용공간을 형성시켜 흡수용 다공성부재(34)를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흡수용 다공성부재(34)도 다공성 소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에 사용되는 다공성 소재의 기공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의 경우 다공성 플라스틱을 사용한 경우 상기 흡수용 다공성부재(34)는 우레탄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에 흡수된 습기를 더 빠르게 흡수하기 위함이며 상기 흡수용 다공성부재(34) 하부면에 구비된 2차 제습부(40)로 수분을 잘 전달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2차 제습부(40)에 대해 설명하자면, 상기 2차 제습부(40)는 상기 1차 제습부(30)에서 흡수한 수분을 빠르게 재흡수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2차 제습부(40)는 제습제(42a)를 사용한다.
즉, 제습제(42a)를 수납하는 하우징(42)과 상기 제습제(42a)를 덮어 밀봉하는 커버 형태의 착탈식 분리막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습제(42a)로는 염화칼슘(CaCl2)을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염화칼슘은 조해성(고체가 대기 중 습기를 빨아들여 녹는 성질)이 강하여 수분을 잘 흡수하므로 장마철에 건조제로 많이 사용된다. 자신의 무게의 약 14배 이상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고 알려져있다.
여기서, 상기 염화칼슘과 더불어 염소산나트륨(NaClO3)과 무수구연산파우더(C6H8O7)을 더 혼합하여 상기 하우징(42)에 수납할 수 있다. 염소산나트륨은 염화나트륨 수용액을 전기분해하거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염소가스를 넣어서 만드는 무색의 결정으로 고염소산염의 제조, 성냥이나 폭약 재료, 염색, 표백 등에 쓰인다. 약간의 조해성이 있으며 물에 잘 녹기 때문에 수용액은 산성과 반응하여 이산화염소(ClO2)를 발생시킨다. 이산화염소는 강력하고 광범위한 살균력을 가지면서 인체에 무해하므로 살균, 제균 효과가 크다.
< 반응식 >
3NaClO3 + C6H8O7 = C6H5Na3O7 + 3HClO3
3HClO3 → HClO4 + H2O + 2ClO2
한편, 상기 착탈 분리막(44)은 상기 하우징(42)을 밀봉하는 것으로 습기는 통과되지만 물은 통과되지 못하는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1차 제습부(30)에서 흡수된 수분은 상기 착탈 분리막(44)을 통과해서 제습제(42a)에 흡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42)에 장착 및 장탈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내부의 제습제(42a)를 교환하거나 다시 채워 넣을 수 있게 한다. 또한, 염소산나트륨과 구연산에 의해 생성된 상기 이산화염소가 분리막을 통하여 서서히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지속적으로 살균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염화칼슘이 수분을 흡수하면서 용해되어 남는 염화칼슘 용액은 버리지 않고 후술하는 충전부(60)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화학전지의 전해액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42) 하부면은 염화칼슘 용액이 통과하여 아래로 낙하할 수 있도록 미세한 구멍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강제순환부(50)는 모터와 팬(52)으로 구성되어 외부 공기를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케이스(10) 내부로 강제 유입시키고 상기 배출구(14)를 통해 배출시킨다.
상기 팬(52)은 상기 유입구(12) 측에 설치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의 상측에 설치되어 하측으로 송풍하고 유입된 공기는 1차적으로 상기 1차 제습부(30)를 거친 후 양측에 구비된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을 통과하여 배출구(14)로 배출되면서 순환된다.
이때, 상기 팬(52)의 외측에는 필터(54)가 구비되어 유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걸러주는 것이 좋다. 이것은 밀폐된 공간에 있는 해로운 물질을 걸려주면서 공기를 순환시켜 주기 때문에 공기 청정의 기능도 하고 디퓨저 내부의 각 구성들, 특히 다공성블럭들에 먼지가 흡착되어 기능을 저하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충전부(6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충전부(60)는 상기 팬(52)을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전기를 자체적으로 생산하고 저장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화학전지와 충전배터리(64)를 포함해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화학전지는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에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화학전지유닛(62)이 직렬 또는 병렬로 적층, 배열한 것이다.
상기 화학전지유닛(62)은 양전극(62a), 음전극(62b) 및 양전극(62a)과 음전극(62b) 사이에 삽입되는 친수성 분리막(62c)과 화학전지유닛의 하부와 측면에 부착되는 고흡수성 수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양전극(62a)은 구리 전극 또는 흑연, 숯 등의 전도성 카본 전극을 사용할 수 있고, 음전극(62b)은 아연, 마그네슘, 납이나 알루미늄 전극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친수성 분리막(62c)은 친수 처리되어 수분을 흡수하고 함유하는 능력을 향상시킨 것으로 상기 양전극(62a)과 음전극(62b) 사이에 전해액을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원활하게 전기가 생산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전해액(전해질 용액)으로 상기 2차 제습부(40)에서 만들어진 염화칼슘 용액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습제(42a) 하우징(42)에서 낙하된 염화칼슘 용액이 상기 케이스(10) 바닥에 채워지고 상기 화학전지의 하단 일부만 염화칼슘 용액에 침지된다.
실제 전기를 원활하게 생성하기 위해서는 화학전지가 전해액에 완전히 담긴 상태가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에서 2차 제습부(40)에서 염화칼슘 전해액의 공급이 느리기 때문에 낮은 수위의 전해액으로 양전극(62a)과 음전극(62b)에 원활한 이온화 작용을 유도하기 위해서 상기 친수성 분리막(62c)을 사용한다. 다시 말해, 상기 친수성 분리막(62c)을 타고 염화칼슘 전해액이 양전극(62a)과 음전극(62b) 전면에 공급되기 때문에 양전극(62a)과 음전극(62b) 전체에서 이온화가 일어나면서 전기가 생성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화학전지 주위에 고흡수성 수지가 염화칼슘 전해액을 흡수하고 친수성 분리막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며, 제습을 위한 염화칼슘파우더를 교체시에도 염화칼슘용액이 전극에 남아 있도록 하여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고흡수성 수지와 염화칼슘을 혼합하여 전극을 구성하고 염화칼슘이 습기를 흡수하여 염화칼슘 수용액(전해액)이 되면 흡수성 수지에 흡수되고 상기 친수성 분리막을 통해 흡수된 염화칼슘 전해액과 전극을 통해 전기를 생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충전배터리(64)는 상기 화학전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화학전지에서 생성된 전기를 저장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니켈카드뮴, 니켈수소, 리튬이온전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0)는 상기 충전배터리(64)로의 충전 및 상기 모터로의 전기 공급 등을 제어하는 컨트롤러에 해당한다. 기판(PCB) 형태로 제작되어 상기 케이스(10)에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팬(52)의 온오프 및 회전 속도, 작동 시간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별도로 상기 충전부(60)에 의해 작동되고 상기 제어부(70)에 의해 제어되는 알림표시부(8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알림표시부(80)는 스피커(82), LED(84)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스피커(82)를 통해 제습시 케이스(10)의 수위 알람, 방향제 잔량 알람, 각종 에러에 대한 알람을 청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LED(84)는 시각적으로 알려 줄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케이스(10) 내부 또는 방향제 저장용기(22)에는 수위 센서가 더 구비되어 제습 작용으로 인해 케이스(10)를 채운 물(전해액)의 수위 또는 방향제의 잔량을 상기 제어부(70)로 전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각 저장용기(22)에 저장된 액상 방향제는 상기 흡수심(24)을 타고 상측으로 전달되면서 휘산된다. 휘산된 방향제 증기는 상기 각 발향용 다공성블럭(26)에 흡수된 상태로 준비된다.
그리고 상기 팬(52)을 작동시키면 외부의 공기가 1차적으로 상기 필터(54)에 의해 이물질이 걸러진 후 상기 유입구(12)를 통해 상기 케이스(10) 내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먼저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에 도달한다. 공기 중에 포함된 습기는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에 흡수되어 누적되고, 누적된 습기는 하측의 흡수용 다공성소재로 전달되며 상기 하우징(42)에 수납된 제습제(42a)의 강력한 제습 작용에 의해 상기 착탈 분리막(44)을 통과하면서 상기 하우징(42) 내부로 흡수된다.
한편,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을 통과한 건조한 공기는 양측의 발향용 다공성블럭(26)으로 흐르고 발향용 다공성블럭(26)에 흡수된 방향제를 증발시키면서 상기 홀(26a)을 통해 배출구(14)로 빠져나간다.
배출된 공기는 이물질이 제거되고, 제습되며, 방향제와 살균제 등이 포함된 최적의 공기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42)에 수납된 제습제(42a)인 염화칼슘은 제습이 진행됨에 따라 염화칼슘 용액이 되는데, 이 용액은 하측으로 배출되어 상기 케이스(10) 바닥에 고여 화학전지의 전해질 용액으로 사용된다.
염화칼슘 전해질 용액에 침지된 친수성 분리막(62c)은 양전극(62a)과 음전극(62b)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전해질 용액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스며들어 항상 전해액이 포함된 상태를 유지하며 지속적인 이온화 작용으로 전기를 생산하게 된다. 이렇게 생산된 전기는 상기 충전배터리(64)로 저장되며, 상기 제어부(70)의 제어에 의해 상기 팬(52)을 구동하는 모터에 공급되고, 상기 스피커와 LED(84)를 작동하는 전원으로 사용된다.
이하에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의 구조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도 1과 대동소이한 구조를 가지므로 차이가 나는 구조에 대해서만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강제순환부(50)를 측면에 배치하고 상기 방향제 공급부(20)를 일측에 1개만 구비한 형태이다.
즉, 상기 케이스(10)의 일측면에 유입구(12)가 형성되고 반대측 타측면에 배출구(14)가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12) 측에 상기 필터(54)와 팬(5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4)에 상기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일측에서 팬(52)에 의해 유입된 공기는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32)을 거쳐 제습되고 바로 발향용 다공성블럭(26)을 통과하여 배출구(14)로 배출되면서 발향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지면 안되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 케이스 12 : 유입구
14 : 배출구
20 : 방향제 공급부 22 : 저장용기
24 : 흡수심 26 : 발향용 다공성블럭
26a : 홀
30 : 1차 제습부 32 : 제습용 다공성블럭
34 : 흡수용 다공성부재
40 : 2차 제습부 42 : 하우징
42a : 제습제 44 : 착탈 분리막
50 : 강제순환부 52 : 팬
54 : 필터
60 : 충전부 62 : 화학전지유닛
62a : 양전극 62b : 음전극
63c : 친수성 분리막 64 : 충전배터리
70 : 제어부
80 : 알림 표시부 82 : 스피커
84 : LED

Claims (6)

  1.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양측에 각각 구비되고, 저장된 방향제를 흡수하는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방향제 공급부;
    상기 방향제 공급부 사이에 배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제습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1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제습부에서 흡수한 수분을 재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2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상측에서 외부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과 발향용 다공성블럭으로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강제순환부;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2차 제습부에서 수분을 흡수한 제습제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화학전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로 충전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 충전 및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된 전기로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공급부는,
    방향제가 저장된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에 침지되어 방향제를 흡수, 휘산시키는 흡수심과, 상기 저장용기의 상부에 결합되고 미세기공이 형성된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며 내부 공기가 통과하는 다수개의 홀이 형성된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제습부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고 판 형상을 이루는 복수개의 다공성 플레이트가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습용 다공성블럭과,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에 사용된 다공성 소재의 기공보다 상대적으로 큰 기공을 가지는 다공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흡수용 다공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제습부는,
    염화칼슘이 담긴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부를 밀봉하면서 상기 1차 제습부로부터 수분을 통과시키는 착탈식 분리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는,
    상기 2차 제습부에서 배출된 전해액에 일부가 침지되는 양전극과 음전극 및 그 사이에 삽입되어 전해액을 흡수하는 친수성 분리막으로 이루어지는 화학전지유닛이 복수개 배열된 화학전지와, 상기 화학전지에서 발생된 전기를 축전하는 충전배터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6.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저장된 방향제를 흡수하는 발향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방향제 공급부;
    상기 방향제 공급부와 나란히 배치되고, 유입되는 공기의 수분을 1차적으로 흡수하는 제습용 다공성블럭을 포함하는 1차 제습부;
    상기 1차 제습부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1차 제습부에서 흡수한 수분을 재흡수하는 제습제를 포함하는 2차 제습부;
    상기 케이스 내부 타측에 구비되고, 외부에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제습용 다공성블럭과 발향용 다공성블럭으로 송풍시키는 팬을 포함하는 강제순환부;
    상기 케이스의 바닥에 구비되고, 상기 2차 제습부에서 수분을 흡수한 제습제 용액을 전해액으로 사용하는 화학전지로부터 생산된 전기로 충전되는 충전부;
    상기 충전부 충전 및 상기 충전부에서 공급된 전기로 상기 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KR1020160162039A 2016-11-30 2016-11-30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KR101922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039A KR101922703B1 (ko) 2016-11-30 2016-11-30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039A KR101922703B1 (ko) 2016-11-30 2016-11-30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119A KR20180062119A (ko) 2018-06-08
KR101922703B1 true KR101922703B1 (ko) 2018-11-27

Family

ID=62600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039A KR101922703B1 (ko) 2016-11-30 2016-11-30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7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5643B1 (ko) * 2018-09-03 2019-09-26 이규봉 향기발산 기능을 갖춘 음향장치
KR102283982B1 (ko) * 2019-11-20 2021-07-29 김태환 수납장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480Y1 (ko) 2003-09-23 2003-12-31 배성태 전기 발향기
KR100918565B1 (ko)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KR101588849B1 (ko) 2015-04-15 2016-01-26 박주영 공기 청정과 제습 기능을 보유한 가정용 공기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7635Y1 (ko) 1999-10-25 2000-04-15 신경주 방향제용 향발산기
KR200361150Y1 (ko) 2004-06-15 2004-09-07 (주)아로마캐슬 발향 및 탈향이 가능한 아로마 테라피 장치
KR101414822B1 (ko) 2013-05-24 2014-07-09 이지훈 방향제 확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480Y1 (ko) 2003-09-23 2003-12-31 배성태 전기 발향기
KR100918565B1 (ko) 2008-11-25 2009-09-21 허관 목초액 조성물 기화장치와 그 이용방법 및 시스템
KR101588849B1 (ko) 2015-04-15 2016-01-26 박주영 공기 청정과 제습 기능을 보유한 가정용 공기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119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44090A (zh) 个人便携式加湿型空气净化器及其壳体和水箱
JP2008110011A (ja) 空気除菌装置
KR101922703B1 (ko) 제습과 살균기능을 가지는 발향 디퓨저
KR101407099B1 (ko) 차량용 가습장치
JP5241135B2 (ja) 空気除菌装置
JP4450865B1 (ja) イオンミスト噴射による加湿方法および組み立て移動式加湿器
JP2008183182A (ja) 空気除菌装置
KR20190100079A (ko) 산소 발생 제습제 및 탈취제, 이를 수용하는 용기
CN113349218A (zh) 消毒液的制备方法和空气净化器
KR102088566B1 (ko) 고체 산소 발생기 및 이를 가진 고체 산소 발생 장치
JP6617288B2 (ja) 空気浄化装置
CN213076753U (zh) 一种小空间杀菌除味净化装置
CN212040360U (zh) 食品级缓释二氧化氯制备装置
KR20110101700A (ko) 음식물쓰레기 소멸기용 탈취장치
KR20080018115A (ko) 이물질 제거 기구를 갖는 공기 제균 장치
JP2015226598A (ja) 除菌性空気清浄機
JP6794205B2 (ja) 次亜塩素酸気化装置
WO2021225179A1 (ja) 空間除菌装置
JP6089203B2 (ja) 空気清浄装置
JP7228140B2 (ja) 空間除菌清浄化装置
JP2012170752A (ja) 空気清浄、殺菌および消臭装置
KR200451598Y1 (ko) 공기 정화 및 산소 발생 장치를 구비한 베개
JPH04166207A (ja) 空気清浄装置
WO2021066203A1 (ja) 空間除菌清浄化装置
CN113350551B (zh) 控制方法和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