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9554Y1 -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9554Y1
KR200199554Y1 KR2020000011782U KR20000011782U KR200199554Y1 KR 200199554 Y1 KR200199554 Y1 KR 200199554Y1 KR 2020000011782 U KR2020000011782 U KR 2020000011782U KR 20000011782 U KR20000011782 U KR 20000011782U KR 200199554 Y1 KR200199554 Y1 KR 2001995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ocher
calcined
frag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7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학
Original Assignee
장준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학 filed Critical 장준학
Priority to KR20200000117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95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95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9554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mposite sorbents, e.g. coated, impregnated, multi-layer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소성황토단편(燒成黃土斷片)과 활성탄 및 황토광물분말로 만든 일라이트(illite)층으로 구성된 주상(柱狀)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地漿水器)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지장수기에서 사용되는 필터는 최하부의 일라이트층과, 중간부의 활성탄층과, 최상부의 소성황토단편으로 구성되며, 정수(淨水)를 일정 시간동안 필터내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필터와 그 하부의 정수탱크의 경계에는 정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정수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소성황토단편은 황토를 물에 풀어 흙탕물을 만든 후에 장시간 방치하여 황토를 침토(沈土)시키고, 침토된 황토를 물과 분리하여 황토단편을 임의의 형태로 성형한 다음, 이것을 고온의 옹기에 구워서 만든다.
본 고안에 의한 지장수기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정수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필터의 교환기간도 장기간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Water Purifier Having a Filtering Unit with Soil}
본 고안은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地漿水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성황토단편(燒成黃土斷片)과 활성탄 및 황토광물분말인 일라이트(illite)의 층으로 구성된 주상(柱狀)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다양한 종류의 정수기가 개발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으며, 시중에 판매되는 정수기는 대개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중금속 및 인체에 무익한 화학물 등을 필터에서 정수하도록 구성된 전기식의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인체에 유익한 물로 정수하기 위해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발산하는 자연물질을 이용한 필터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이러한 정수기는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필터의 교체시기가 짧아서 가계에 많은 부담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탁월한 정수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필터의 교환시기를 장기화하여 경제성이 증진된 정수기, 즉 지장수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지장수기에 있어서는 인체에 유익한 물질을 발산하는 황토를 포함하는 주상 필터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지장수기에서 사용되는 필터는 최하부의 일라이트층과, 중간부의 활성탄층과, 최상부의 소성황토단편으로 구성되며, 정수(淨水)를 일정 시간동안 필터내에 유지시키기 위하여 필터와 그 하부의 정수탱크의 경계에는 정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정수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소성황토단편은 황토를 물에 풀어 흙탕물을 만든 후에 장시간 방치하여 황토를 침토(沈土)시키고, 침토된 황토를 물과 분리하여 황토단편을 임의의 형태로 성형한 다음, 이것을 고온의 옹기에 구워서 만든다.
본 고안에 의하면 전기를 사용하지 않아도 정수효과가 매우 뛰어나며, 필터의 교환기간도 장기간이기 때문에 경제성이 우수하다.
도 1은 주상필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지장수기의 본체에 주상필터를 장착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도 3은 지장수기 본체인 정수탱크에 소성황토단편 및 덮개를 추가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시한 설명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주상필터 11 : 개구부 12 : 소성황토단편
13 : 활성탄층 14 : 일라이트층 15 : 필터페이퍼
16 : 부직포 (망사) 20 : 원수탱크 21 : 정수개폐장치
22 : 정수탱크 23 : 덮개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주상필터(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설명도로서, 주상필터(10)는 상단면과 하단면에 각각 다수의 작은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는 원통형 관의 형태로 되어 있다. 주상필터(10)의 내부 저면에는 황토광물분말로 성형된 일라이트 (illite)층(14)이 형성되고, 일라이트층(14)의 상부에는 활성탄층(13)이 적층되며, 활성탄층(13)의 상부에는 소성황토단편(燒成黃土斷片)(12)이 적층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의 주상필터(10)의 내부 저면에 적층되는 일라이트층(14)은 황토광물분말을 과립형으로 성형한 과립형 일라이트가 적층될 수도 있고, 또한 상기의 주상필터(10)에 적층하고자 하는 높이 및 지름에 적합한 주상형으로 성형한 후에 옹기에 구워 만든 소성주상형(燒成柱狀型) 일라이트를 적층하여도 좋다.
그리고, 주상필터(10)의 내부 최하단부에는 구멍이 치밀한 부직포 또는 망사(16)를 부착하고, 그 상부에 일라이트(14)가 적층된다.
일라이트층(14)과 활성탄층(13), 그리고 활성탄층(13)과 소성황토단편(12)의 각각의 경계면에는 필터페이퍼(15)를 간착(間着)함으로써, 각각의 구성물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정수의 효과를 배가하도록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소성황토단편(12)의 상부면과 주상필터(10)의 상부면의 사이에도 필터페이퍼(15)를 간착하여 정수효과를 증진시킴과 동시에 주상필터의 이동시에 소성황토단편이 개구부(11)를 통해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주상필터(10)의 주요 구성물질인 소성황토단편(12)은, 황토를 물에 풀어 흙탕물을 만든 후에 장시간 방치하여 황토를 침토(沈土)시키고, 침토된 황토를 물과 분리하여 황토단편을 성형한 다음, 이것을 고온의 옹기에 구워 만든 것이다. 황토단편은 임의의 형태로 성형되어도 좋다.
소성황토단편은 이미 물에 의해 부유물질이 제거된 상태이므로 입자가 고운 황토로 구성되며, 수많은 기공이 형성되어 있어 다량의 산소함유가 가능하므로 정수에 있어 용존산소량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황토는 과거로부터 약용으로 상용화된 것으로 인체에 무해하며, 현대과학에 의해 인간에 유익한 음이온 및 원적외선이 발산될 뿐만 아니라 강한 탈취력과 흡착력이 있음이 증명되고 있다.
그리고, 상술한 활성탄(13) 및 일라이트(14)는 일반적으로 탈취 및 흡착의 효과가 크며, 다량의 음이온과 원적외선을 발산하기 때문에 정수기 및 공기청정기의 필터에 주로 사용된다.
도 2는 상술한 주상필터(10)를 지장수기의 본체 내에 장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지장수기의 본체는 원수탱크(20), 정수개폐장치 (21), 정수탱크(22)로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한 지장수기의 본체에는 종래의 정수기와는 달리 정수개폐장치 (21)가 설치될 수도 있다. 이 정수개폐장치(21)가 닫혀져 있는 상태에서 소비자가 원수탱크(20)내에 원수를 공급하면 원수는 정수탱크(22)내로 진행하지 못하고 주상필터(10)내에 갇혀있게 된다. 그후, 약 20∼40분 정도가 경과한 다음에 소비자가 정수개폐장치(21)를 열어주면 가장 확실하게 정수된 지장수(地漿水)가 정수탱크 (22)에 공급되는 것이다. 정수개폐장치(21)는 지장수기 본체의 외부에서 수동식으로 혹은 타이머의 작동에 의해 열고 닫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정수개폐장치(21)가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도 3은 지장수기의 본체중의 정수탱크(22) 안에 소성황토단편(12)의 층을 추가로 형성시킨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정수탱크(22)의 하단부에는 소성황토단편(12)이 적층되어 있고, 그 상부에는 다수의 작은 개구부(도시하지 않았음)가 형성된 덮개(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덮개(23)는 물에 의해 내식성(耐蝕性)이 강한 스테인레스 등의 재질로 만들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정수탱크(22)의 하단부에 소성황토단편(12)의 층을 추가로 형성시키면, 주상필터(10) 내의 소성황토단편(12)의 층에서 정수된 물을 소비자에게 공급하기 전에 다시 한번 정수하는 효과를 나타내기 때문에, 황토의 정수효과를 극대화시킨 음료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주상필터(10)에서 정수된 물을 20분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 정수탱크(22)내에 머물도록 하여줄 때에 정수효과가 극대화됨과 동시에 정수탱크(22)의 구성물질에서 발산되는 여러 가지의 유익한 물질이 정수된 물속에 효과적으로 침투될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정수탱크(22)의 내부에 적층된 소성황토단편(12)은 상술한 주상필터(10)의 교체기간과 거의 동일하며, 소성황토단편(12)의 적층높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황토는 다른 정수재료와는 달리 양질의 것을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일라이트 또한 항토의 구성물질로서 쉽게 추출하여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하면 값이 싼 필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황토는 과학적 검증에 의해 강한 음이온과 함께 원적외선의 발산 및 강력한 탈취, 흡착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한 지장수기는 전기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매우 만족스러운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황토 및 일라이트는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효과를 장시간 내재할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정수기에 있어서는 3∼4개월마다 필터를 교체하여 주었던 것에 비하여, 황토를 이용한 본 고안의 주상필터(10)는 6∼12개월에 교체하여도 그 효과의 감소가 없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주구성물질인 황토와 일라이트를 일상의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으며, 이들은 정수에 탁원할 효과가 있다는 것이 과학적으로 입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에 유익한 물질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값싸고 우수한 정수재료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황토 의해 만들어진 소성황토단편은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다량으로 발산하며 수많은 기공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전기에 의한 인위적 정수효과를 필요치 않고 필터의 교체시기가 길어서 경제적이다.

Claims (4)

  1. 정수되어질 원수를 담수하는 원수탱크와, 상기 원수를 정수하기 위한 주상(柱狀)의 필터와, 상기 필터를 통과한 정수를 담수하는 정수탱크로 구성되는 지장수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최하부의 일라이트층과, 중간부의 활성탄층과, 최상부의 소성황토단편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높이가 15∼20㎝일 때, 상기 소성황토단편이 2∼3㎝정도로 적층되며, 상기 활성탄층의 높이는 2∼3㎝이고, 나머지는 상기 일라이트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탱크의 하단부에 소성황토단편을 더욱 적층하고 그 상부에 다수의 작은 개구부를 형성한 스테인레스 덮개를 덮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한 상기 정수의 흐름을 개폐하는 정수개폐장치가 상기 필터와 상기 정수탱크의 경계에 더욱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KR2020000011782U 2000-04-25 2000-04-25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KR2001995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82U KR200199554Y1 (ko) 2000-04-25 2000-04-25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782U KR200199554Y1 (ko) 2000-04-25 2000-04-25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9554Y1 true KR200199554Y1 (ko) 2000-10-02

Family

ID=19653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782U KR200199554Y1 (ko) 2000-04-25 2000-04-25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9554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717A (ko) * 2001-09-22 2003-03-29 이익용 공기청정흡착제휠타(Filter)
KR100623610B1 (ko) * 2001-06-16 2006-09-12 김진찬 지장수 제조용기
KR100730580B1 (ko) 2006-08-28 2007-06-21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천연복합광물질을 이용한 지장수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지장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3610B1 (ko) * 2001-06-16 2006-09-12 김진찬 지장수 제조용기
KR20030025717A (ko) * 2001-09-22 2003-03-29 이익용 공기청정흡착제휠타(Filter)
KR100730580B1 (ko) 2006-08-28 2007-06-21 주식회사 대동이엔씨 천연복합광물질을 이용한 지장수 제조기 및 이를 이용한 지장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36526B (en) Pitcher type water purifier and purification cartridge for the water purifier
JP4522450B2 (ja) 機能性浄水装置
JP2009166042A (ja) 重力供給水処理装置用フィルタ
US20060180550A1 (en) Portable water purifier
JPH1043079A (ja) 浄水機能を有するシャワーヘッド
KR200199554Y1 (ko) 황토를 이용한 필터를 장착한 지장수기
KR101452047B1 (ko) 정수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882952B1 (ko)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
CN202688068U (zh) 一种中央活水滤水系统
JP2003164714A (ja) 濾過装置
KR101005332B1 (ko) 요동형 정수기
KR20090028253A (ko) 황토 세라믹 활성탄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정수기
JPS63175685A (ja) 浄水器
KR101159649B1 (ko) 정수 기능을 갖는 물통
KR101875033B1 (ko) 블록형 정수부재가 구비된 정수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기능성 정수장치
KR100707494B1 (ko) 살균약품혼합수 공급수단이 내부에 장착된 정수필터
KR101589015B1 (ko) 천연광물 소재를 포함하는 미네랄수 제조장치
JP2003260459A (ja) 浄水器
KR200384534Y1 (ko) 정수기용 삼베 여과기 구조
RU2886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ногостадийной обработки воды
JP3094405U (ja) 衝立状浄水ないし整水器
CN105417754A (zh) 家用陶瓷过滤净水器
JP3750861B2 (ja) 浄水器及び浄水器シャワ−
RU18204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очищенной щелочной воды
JPH09239357A (ja) 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