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952B1 -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952B1
KR100882952B1 KR1020070023709A KR20070023709A KR100882952B1 KR 100882952 B1 KR100882952 B1 KR 100882952B1 KR 1020070023709 A KR1020070023709 A KR 1020070023709A KR 20070023709 A KR20070023709 A KR 20070023709A KR 100882952 B1 KR100882952 B1 KR 100882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ilter
primary filter
filter cartridge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3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8209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김태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형 filed Critical 김태형
Publication of KR20080008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8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7/00Cartridge filters of the throw-away type
    • B01D27/08Construction of the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2201/301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 B01D2201/302Details of removable closures, lids, caps, filter heads having inlet or outlet por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6Cartri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6Mounted on or being part of a faucet, shower handle or showerhea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맥반석 원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와; 상기 1차필터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2차필터와; 상기 1차필터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토수구가 형성된 캡으로 구성된 정수용 필터카트리지를 적용함으로써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물속에 함유시킬 수 있어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다.
정수, 필터, 맥반석, 원석,

Description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 { PURIFIER FILTER CARTRIDGE AND THEREOF PURIFIER APPARATUS }
도 1은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7은 닫힌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열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4실시예(D4)를 나타낸 것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1차필터 4 : 2차필터
6 : 캡 42 : 케이스
62 : 토수구 44 : 유입공
70 : 유로
본 발명은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맥반석 원석을 가공하여 된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물에 보다 이로운 성분이 함유되도록 함과 동시에 보다 뛰어난 정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들어, 가정이나 공업용 오,폐수에 의한 환경의 오염으로 지하수나 수돗물등이 오염되면서 정화처리를 하지않고는 사람이 마시기 어려운 실정에 있어 각종 정수기용 정화필터가 수질개선을 위해 개발되어오고 있으나,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는 실정이다.
부연하자면 오늘날 정수기용 정화필터는 탄화물이나 자갈과 같은 석재 등을 이용하여 물을 정화하거나, 삼투압 방식을 사용하여 정화하는 정화필터가 개발되어 사용해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탄화물이나 석재 등을 이용한 정수기용 정화필터는 단순한 여과작용만을 할 뿐 아니라, 그 정화 효과 역시 미비하여 정화된 물을 신뢰하고 마 실 수가 없고, 삼투압방식을 이용한 정화필터는 그 정화효과는 뛰어나지만 물에 함유된 이로운 각종 미네랄 성분까지도 정화시키게 되어 오히려 인체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단순한 여과작용에 더하여 인체에 이로운 성분을 함유한 물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기능성 정화필터가 제안되고 있다.
전술한 기능성 정화필터의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260097호 "정수기용 세라믹 필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20-260097호에 대해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면, 정수하고자 하는 물이 담겨진 물통의 하부에 밀봉적으로 체결되도록 구성한 원판 형태이며, 원판의 중심에 유출관(11')이 일체로 형성되고, 원판의 외주 가장자리에 원형의 장착 플랜지(12')가 형성되고, 소정의 대향 위치에 한쌍의 통공(15')이 형성된 장착판(10'); 일단부가 폐쇄되고 타단부가 개방된 중공 원통체이며, 상기 유출관(11)의 중심과 일치하도록 상기 통공(15')의 방사상 내측의 상기 장착판(10') 상에 개방 단부가 밀봉 결합된 내부 세라믹 원통체(20'); 및 내부에 상기 내부 세라믹 원통체(20')이 위치할 때, 상기 내부 세라믹 원통체(20')와의 사이에 일정한 폭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 세라믹 원통체(20')와 동일한 형상이고 상기 내부 세라믹 원통체(20') 보다 치수가 크며, 상기 장착 플랜지(12') 내에 밀접하게 상기 통공(15')의 방사상 외측의 장착판(10') 상에 개방 단부가 밀봉 결합된 외부 세라믹 원통체(30'); 를 포함하고, 상기 세라믹 원통체들(20',3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상기 통공(15')을 통해 은활성탄(40')을 충진한 후 다시 통공(15')을 통해 물 을 유입시켜 세라믹 원통체들(20',30') 사이의 공간에서 공기를 빼낸 다음 통공(15')을 실리콘 캡(17')으로 밀봉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고가의 재료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제품단가가 상승할수 밖에 없고,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공수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맥반석과 같은 다공질 암석을 가공하여 된 필터를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유익한 성분이 물에 함유되도록 하고, 아울러 내구성과 정수성능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는,
다공질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와; 상기 1차필터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2차필터와; 상기 1차필터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토수구가 형성된 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있어서, 다공질 암석은 맥반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있어서, 2차필터는, 다수개의 유입공이 하부에 형성된 케이스 내에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 알갱이가 충입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있어서, 2차필터 케이스의 직경은 1차필터의 수용홈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수용홈과 케이스 사이에 유로가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있어서, 1차필터는, 1 ㎠ 당 15만개 ∼ 40만개의 미세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는, 원수 공급관과 연결되며 씽크대에 설치되되 물 공급을 제어하는 수전이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과; 다공질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와, 상기 1차필터의 수용홈에 삽입되는 2차필터와, 상기 1차필터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토수구가 형성된 캡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와; 상기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와 연결된 급수관에 설치되며, 하부에 토출구가 구비되어 물의 살균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살균 램프 정수기와; 상기 살균 램프 정수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전로와; 상기 배전로에 전원을 제공하는 안정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대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는, 다 수의 세공을 갖는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2)와;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에 삽입되는 2차필터(4)와; 상기 1차필터(2)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토수구(62)가 마련된 캡(6);으로 구성된다.
1차필터(2)는, 암석을 원통형상으로 가공하고, 내측을 홀가공하여 수용홈(20)이 형성되도록 하되, 상단에는 후술될 2차필터(4)를 삽입할 수 있도록 개구부를 마련하고, 하단은 막힌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1차필터(2)는 마이크로파 소성가공을 함으로써, 출수용 세공이 가급적 많이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 당 15만개 ∼40만개의 미세공을 갖도록 한다.
마이크로파에 의한 소성은 마이크로파가 갖는 에너지를 대상으로 하는 재료의 유전분극 시 유전손실에 의해 열에너지로 변환하여 진행되는 것으로 암석의 내부로에서부터 가열이 진행되므로 보다 많은 세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주로 28GHz대와 2.4GHz대 파장의 마이크로파가 이용된다.
그리고, 상단의 외주면에는 후술될 캡(6)이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부(22)를 형성하고, 링형상의 수지캡(23)이 끼워져 결합된다.
전술한 암석의 일 예로써 맥반석을 제시한다.
맥반석은 옛날 중국에서부터 약효가 있는 약석으로써 알려져 이용되어 온 암석이다. 이와같이 맥반석은 학술용어가 아닌 일종의 약제명 혹은 상품명으로 일반적으로 불리워지고 있다. 맥반석은 천연 암석으로 화성암에 속하는 반암류의 암석 으로, 벽개와 미세한 틈이 많이 발달되어 있으며, 녹니석과 일라이트는 비표면적이 큰 미립물질로서 화학적 활성이 우수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유용한 미네랄 성분의 용출작용과, 유해 물질의 흡착작용, 높은 이온교환성, 산 및 염기의 중화작용 등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외의 맥반석의 주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중금속 분해작용 ]
1㎤ 당 3만개이상의 다층 다공질로 구성되어 있는 맥반석은 표면적이 넓으므로 모세혈관 확장을 이용하여 중금속 오염물질등을 흡착분해하는 작용을 한다.
[ 미네랄 용출작용 ]
인체에 활력을 주는 40여종 이상의 미네랄이 용출되므로 신진대사와 피부 건강증진 관리에 효과가 있다.
[ 식용수질 정화 및 조절 작용 ]
산성이나 강한 알카리성 물을 이온교환작용에 의해 약알카리성(pH 7.2~7.8) 으로 조절한다.
[ 풍부한 산소함유량 및 이온치환능력]
맥반석을 물에 담그면 BOD(생물학적 산소 요구량), COD(화학적 산소요구량)가 낮아지므로 방부작용은 물론 물을 이온치환 및 활성화 시켜 생체에 활력을 준다.
[ 원적외석 방사작용 ]
원적외선 방사에 의한 공명, 흡수작용으로 식품의 신선도 유지 및 신진대사 촉진에 탁월하다.
한편, 2차필터(4)는 1차필터(2)의 수용홈(20)에 삽입되어 2차 필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며, 다수개의 유입공(44)이 하부에 형성된 케이스(42) 내에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 알갱이(45)가 충입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1차필터에서 여과된 물을 재차 여과하여 암반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2차필터(4)의 외경, 보다 정확하게는, 케이스(42)의 외경은 1차필터(2)의 수용홈(20)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수용홈(20)과 케이스(42) 사이에 유로(70)가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캡(6)은 1차필터(2)의 개구부에 나사결합되어 2차필터(4)를 통과하여 정수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밀봉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면에는 토수구(62)가 형성되며, 토수구(62)에는 후술될 살균 램프 정수기(50)에 연결된 연결관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캡(6)의 하부에는 토수구(62)와 통하도록 2차필터(4)가 결합되어 있어, 유입공(44)을 통해 유입된 후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 알갱이(45)의 공극을 통과함으로써 여과 처리된 물이 곧바로 토수구(6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용을 설명한다.
1차필터(2)의 내측 수용홈(20)에 2차필터(4)를 삽입한 후 그 상단의 개구부에 캡(6)을 결합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원수가 1차필터(2)의 미세공을 통과하면서 1차 여과되고, 유로(70)를 거쳐 2차필터(4)를 통과하면서 2차 여과된 후 생성된 암반수는 토수구(6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1차필터(2)는 주기적으로 세척함으로써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고, 교환할 필요없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는 정수장치(D)에 사용되는데,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D1)는, 원수 공급관(200)과 연결되며 씽크대(100)에 설치되되 물 공급을 제어하는 수전(92)이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9)과; 다공질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2)와,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에 삽입되는 2차필터(4)와, 상기 1차필터(2)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출구(26")와 통하는 토수구(62)가 마련된 캡(6)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9') 내에 삽입되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와; 상기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와 연결된 급수관(94)에 설치되며, 하부에 토출구(55)가 구비되어 물의 살균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살균 램프 정수기(50)와; 살균 램프 정수기(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전로(70)와; 배전로(70)에 전원을 제공하는 안정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살균 램프 정수기(50)는, 급수관(94)과 통하는 유로(510)가 형성되어 있어, 이 유로(510)를 통해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로부터 정화된 물을 공급되고, 배전로(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에 설치된 살균 램프(58)를 이용하여 물을 살균한 후 외부에 배출하게 된다.
여기서 배전로(70)는 살균 램프 정수기(50)의 일측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통상의 공지된 기술사상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살균 램프 정수기(50)는 살균 램프 모듈과, 살균 램프 모듈을 감싸는 램프 케이스(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살균 램프 모듈은 유입된 물을 일차적으로 살균하는 1차 살균 석영관(54)과, 1차 살균 석영관(54) 내측에 배치되는 2차 살균 석영관(56) 및 2차 살균 석영관(56) 내부에 배치되는 살균 램프(5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1차 살균 석영관(54)의 상단부는 2차 살균 석영관(56)으로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개구되어 있으며, 하단부는 램프 케이스(52) 하단부와 밀봉됨으로써 살균되지 않은 물이 램프 케이스(52)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2차 살균 석영관(56)은 내부에 배치된 살균 램프(58)을 감싸며, 관 내부로 물의 유입을 차단하고, 살균 램프(58)을 보호하고, 1차 살균 석영관(54)과 이격되게 형성됨으로써 물을 살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살균 램프(58)는 물에 포함된 다수의 균류를 램프로부터 발생되는 광을 이용하여 살균하는 램프로서 자외선 램프 등이 있다. 살균 램프(58)는 유리관에 자외선(253.7㎚)을 효율적으로 투과시키는 특수한 재질을 사용하며, 그 양단부에는 텅 스텐필라멘트코일이 있으며 코일에는 에미터 예를 들면, 산화발륨, 산화스트론티움, 산화칼슘 등의 열전자를 방사하기 쉬운 물질 등이 도포되어 있다.
살균 램프(58)를 감싸는 램프 케이스(52)는 살균 램프(58)의 상단부로 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캡(53)과 기밀상태를 유지하며 고정시키고, 램프 케이스(52)의 하부에는 최종 살균된 물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토출구(55)가 형성된다.
따라서, 원수가 하우징에 유입되면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에 의해 정화된 채 하우징(9) 내에 저수되고, 수전(92)을 개방하면 살균 램프 정수기(A)로 정화된 물이 유입되어 살균처리된 후 토출구(5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사용자가 정화된 물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상기 도 5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D2)는, 원수 공급관(200')과 연결되며 씽크대(100')에 설치되되 물 공급을 제어하는 수전(92')이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9')과; 다공질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2)와,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에 삽입되는 2차필터(4)와, 상기 1차필터(2)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출구(26")와 통하는 토수구(62)가 마련된 캡(6)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9') 내에 삽입되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와; 상기 하우징(9')에 연결되며 내부에 배전로(70')와 물공급로(310')가 형성된 연결관(300')과, 상기 연결관(300')의 단부에 결합되며 하부에 상기 출구(26")와 통하는 토출구(55')가 구비 되어 물의 살균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살균 램프 정수기(50')와, 배전로(70')에 전원을 제공하는 안정기(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300')은 하우징(9')의 상부에 결합되는 곡관으로써 내부에는 배전로(70')가 개재되며, 내부의 타측에는 하우징(9')과 통하는 물공급로(310')가 형성되고, 물공급로(310')는 살균 램프 정수기(50')와 통하도록 하여,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로부터 정화된 물이 살균 램프 정수기(50')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살균 램프 정수기(50')는, 배전로(7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내부에 설치된 살균 램프(58')를 이용하여 물을 살균한 후 토출구(55')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살균 램프 정수기(50')는, 전술했듯이, 상기 물공급로(310')와 통하는 유로(510')와, 유로(510')에 통하도록 배치된 1차 살균 석영관(54')과, 1차 살균 석영관(54') 내측에 통하도록 배치된 2차 살균 석영관(56') 및, 2차 살균 석영관(56') 내부에 배치되는 살균 램프(58')으로 구성된 살균 램프 모듈과, 살균 램프 모듈를 감싸는 램프 케이스(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램프 케이스(52')에는 투명창(53')이 설치되며, 이 투명창(53')에 의해 살균 램프(58')의 점멸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상기 투명창(53')은 자외선에 의해서 재질의 물성이 변하는걸 방지하기 위해 테프론수지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투명창(53')은 소제가 용이하도록 램프 케이스(52')와 나사결합 또는 끼움결합과 같은 착탈가능한 구조로 결합되어야 함은 당연할 것이다.
첨부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3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도 7은 닫힌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열린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실시예에 따른 정수장치(D3)는, 일단에는 원수공급부(100")와 연결되는 연결부(2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정수필터(6")를 수용하는 수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부(24")의 하부에는 출구(26")가 형성된 바디(2")와; 상기 수용부(24")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우징(4")과;
다수개의 세공을 갖는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2)와,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에 삽입되는 2차필터(4)와, 상기 1차필터(2)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상기 출구(26")와 통하는 토수구(62)가 마련된 캡(6)으로 구성되며, 상기 수용부(24") 및 하우징(4") 내에 삽입되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와;
상기 바디(2")의 출구(26")와 연결부(22") 사이에 설치되는 개폐밸브(8")로 구성된다.
원수공급부(100")는 원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일수도 있고, 원수가 저장되는 저수탱크일 수도 있으며, 물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이면 어떤 형태로든 가능하다.
상기 바디(2")는 내부에 통로(20")가 형성된 관체로써, 일단에는 원수공급부(100")와 나사결합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가 형성된 연결부(22")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을 갖는 수용부(24")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2")의 하부에는 물을 배출하기 위한 토수구(26")가 형성된다.
또한, 바디(2")의 상단 외주에는 후술될 하우징(4")이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24")에는 상기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에 끼워지는 수밀패킹(3")이 개재되고, 상기 수용부(24")의 저면에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의 단부가 끼워져 결합되도록 고정캡(5")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는 2차필터(4)에 충입된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 알갱이(45)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토수구(62) 내측에 망체(442)를 더 설치한다.
하우징(4")은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된 종모양의 통체로써, 하단의 개구부에는 전술한 바디(2")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4")의 상단에는 공기배출장치(44")가 설치된다.
공기배출장치(44")는 일정한 범위를 초과하는 에어 압력에 의해 개방된 후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복귀되어 밀폐되도록 한 것으로, 하우징(4") 내부에 차있던 에어를 주기적으로 배출해줌으로써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하우징(4")에 설치되는 공기배출장치(44")는 자동 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구조이며, 이는 공지의 에어벤트와 동일한 원리와 구조를 적용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4") 내부에는 살균을 위한 자외선 램프(미도시)가 설치됨으로써, 물속에 함유된 세균을 사멸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4")에는 투명재질로 된 점검창(미도시)이 설치됨으로써 내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의 상태와 물의 상태를 점검하여 교체시기를 확인할 수 있다.
첨부된 도 9는 본 발명의 정수용 필터카트리지가 적용된 정수장치의 제 4실시예(D4)를 나타낸 것으로, 바디(2")의 연결부(22")를 씽크대(400")의 혼합수전(300")과 직접 연결시킨 것이다.
따라서, 혼합수전(300")의 개방에 의해 정수된 물이 곧바로 수용부(24")로 유입되어 정화된 후 토수구(26")를 통해 토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씽크대(400")에서 사용이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원석을 가공하여 된 1차필터의 미세공을 통과하면서 중금속 분해, 미네랄 용출, 식용수질 정화 및 조절, 풍부한 산소함유량 및 이온치환, 원적외석 방사와 같은 맥반석의 효능에 의해 인체에 이로운 성분이 물에 함유될 수 있어 건강증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또한, 2차필터에 충입된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 알갱이에 의해 암반수가 제조됨으로써 건강에 이로운 효능을 배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다공질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2)와;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에 삽입되는 2차필터(4)와;
    상기 1차필터(2)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토수구(62)가 마련된 캡(6)으로 구성되고,
    상기 2차필터(4)는, 다수개의 유입공(44)이 하부에 형성된 케이스(42) 내에 활성탄 또는 제올라이트 알갱이(45)가 충입되어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2차필터(4)의 직경은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과 2차필터(4) 사이에 유로(70)가 형성되고,
    상기 1차필터(2)는 마이크로파 소성가공에 의해 형성되며, 1 ㎠ 당 15만개 ∼ 40만개의 미세공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5. 삭제
  6. 원수 공급관(200)과 연결되며 씽크대(100)에 설치되되 물 공급을 제어하는 수전(92)이 일측에 구비된 하우징(9)과;
    다수개의 세공을 갖는 암석을 가공하여 내측에 수용홈(20)이 형성되고 상단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단은 막히도록 형성된 1차필터(2)와; 상기 1차필터(2)의 수용홈(20)에 삽입되는 2차필터(4)와; 상기 1차필터(2)의 개구부에 결합되며 토수구(62)가 마련된 캡(6)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우징(9) 내에 설치되어 물을 정화시키는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와;
    상기 정수용 필터카트리지(A)와 연결된 급수관(94)에 설치되며, 하부에 토출구(55)가 구비되어 물의 살균과 배출이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한 살균 램프 정수기(50)와;
    상기 살균 램프 정수기(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전로(70)와;
    상기 배전로(70)에 전원을 제공하는 안정기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 램프 정수기(50)에는 투명창(53')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70023709A 2006-07-18 2007-03-09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 KR1008829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756 2006-07-18
KR20060066756 2006-07-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09A KR20080008209A (ko) 2008-01-23
KR100882952B1 true KR100882952B1 (ko) 2009-02-12

Family

ID=39221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3709A KR100882952B1 (ko) 2006-07-18 2007-03-09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95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55B1 (ko) * 2013-11-07 2014-11-10 이은영 정수기용 살균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6549B1 (ko) * 2011-07-08 2013-08-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용 위생키트
KR101496224B1 (ko) * 2013-11-07 2015-02-27 장진용 정수기용 필터 카트리지의 체결 확인장치
CN111655353B (zh) * 2018-02-01 2023-12-12 康普露水处理有限公司 液体处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24A (ko) * 1988-08-29 1990-03-23 장정규 맥반석을 주원료로한 정수기용 세라믹스 필터
KR900004382A (ko) * 1988-09-19 1990-04-12 김동범 음료수용 여과정수필터
KR0131491Y1 (ko) * 1995-11-16 1998-12-15 강필종 세라믹 필터 여과식 정수기의 구조
KR200168960Y1 (ko) 1999-09-10 2000-02-15 정인석 냉`온수기의 정수장치
KR200181511Y1 (ko) 1999-12-15 2000-05-15 정인석 냉`온수기의 정수장치
KR200264111Y1 (ko) 2001-11-02 2002-02-19 (주) 빛과환경 자외선 조사 광촉매 살균기를 이용한 음용수 정수장치
KR100437989B1 (ko) 2001-01-16 2004-06-26 장영기 정수기용 일체형 필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00002824A (ko) * 1988-08-29 1990-03-23 장정규 맥반석을 주원료로한 정수기용 세라믹스 필터
KR900004382A (ko) * 1988-09-19 1990-04-12 김동범 음료수용 여과정수필터
KR0131491Y1 (ko) * 1995-11-16 1998-12-15 강필종 세라믹 필터 여과식 정수기의 구조
KR200168960Y1 (ko) 1999-09-10 2000-02-15 정인석 냉`온수기의 정수장치
KR200181511Y1 (ko) 1999-12-15 2000-05-15 정인석 냉`온수기의 정수장치
KR100437989B1 (ko) 2001-01-16 2004-06-26 장영기 정수기용 일체형 필터
KR200264111Y1 (ko) 2001-11-02 2002-02-19 (주) 빛과환경 자외선 조사 광촉매 살균기를 이용한 음용수 정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0455B1 (ko) * 2013-11-07 2014-11-10 이은영 정수기용 살균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8209A (ko)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23347A1 (en) Fluid treatment system
KR100858971B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중앙정수시스템, 그 중앙정수시스템의살균방법 및 청소방법
US20070163934A1 (en) Sterilize valve and a water-purify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0882952B1 (ko) 정수용 필터카트리지 및 이를 적용한 정수장치
US20070241037A1 (en) Water purifier
KR100868698B1 (ko) 세라믹필터와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여과장치
JPH07204635A (ja) 浄水器
KR200326897Y1 (ko) 광촉매 살균정화기가 설치된 냉온정수장치
KR101697046B1 (ko) 광촉매 살균정수기
KR101181632B1 (ko) 정수기의 정수탱크에 설치되는 살균 및 필터유닛
KR102168647B1 (ko) 정수 스트로우
KR200168473Y1 (ko) 휴대용 정수장치
JPS60220115A (ja) 浄水器
JPS63175685A (ja) 浄水器
CA2506881A1 (en) Irradiation device
KR200330424Y1 (ko) 살균램프가 설치된 정수기 꼭지
KR101159512B1 (ko)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미생물 살균기를 구비한 지하수 정수처리장치 및 방법
KR200346272Y1 (ko) 정수장치 방법
KR20010038557A (ko) 정수기의 정수 시스템
JPH1157698A (ja) 循環式湯水殺菌吸着装置
KR200307789Y1 (ko) 살균장치를 구비한 정수기
WO2007078294A1 (en) Drinking water pitcher incorporating ultraviolet (uv) disinfection feature
CN2668219Y (zh) 无二次污染之水质净化过滤器
JPH0515885A (ja) 水槽のオゾンによる浄化方法とその装置
CN212025062U (zh) 一种净水器矿化消毒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