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328A -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 - Google Patents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328A
KR20180120328A KR1020170054049A KR20170054049A KR20180120328A KR 20180120328 A KR20180120328 A KR 20180120328A KR 1020170054049 A KR1020170054049 A KR 1020170054049A KR 20170054049 A KR20170054049 A KR 20170054049A KR 20180120328 A KR20180120328 A KR 20180120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cement
concrete composition
bridge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5172B1 (ko
Inventor
정제평
윤양실
Original Assignee
정제평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제평,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filed Critical 정제평
Priority to KR1020170054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172B1/ko
Publication of KR20180120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도로와 같이 긴급을 요하는 공사에 적합하도록 조기에 강도를 발휘하되 낮은 수축변형률과 내부증발을 통해 부식을 방지하고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은 교대 또는 거더의 신축이음 시공부에 신축이음장치를 위치시킨 후 철근을 보강하는 단계, 보강된 철근 상측에 양단으로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배지고 소정 간격으로 유공이 천공된 증발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신축이음 시공부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여 증발 파이프가 매설된 상태로 후타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분체, 물, 잔골재, 굵은 골재, 액상 라텍스, 감수제를 포함하되, 시멘트 분체는 초속경 시멘트와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팽창제 4~5중량%가 혼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낮은 수축변형율과 매설된 증발 유공관에 의한 내부증발 유도로 조기에 강도를 발휘함으로써 고속도로와 같은 긴급을 요하는 공사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부식방지, 균열저감 등을 통해 내구성 저하로 인한 유지보수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Method of constructing bridge expansion joint non-shrinkage mortar for crack reduction and concrete composition thereof}
본 발명은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낮은 수축변형률과 내부증발을 통해 부식을 방지하고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상부구조물의 변위와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하여 2차 응력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교면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며 교면수나 각종 오물이 하부로 유입되어 교좌장치의 부식이나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 등의 역할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교량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통과 차량에 의한 마찰 및 충격에 의하여 파손이 쉽고, 교대의 수평변위에 의한 협착이 발생할 경우 신축이음장치로서의 기능을 상실하는 등 교량의 적정 수명동안 유지보수가 불가피한 교량요소이다.
교량 신축이음장치 보수공사 중 특히 고속도로 상의 공사와 같이 긴급을 요하는 경우 조기강도 발현을 위하여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하고 있다.
초속경 시멘트는 강도발현이 빠르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화열로 인하여 초기에 균열이 다량 발생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그 결과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하여 교량 신축이음장치 보수공사를 실시할 경우 콘크리트 균열로 인해 내구성이 저하되고 유지보수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교량 신축이음장치 보수공사와 같이 긴급을 요하는 공사에 적합하도록 조기에 강도를 발휘하되 균열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고성능 콘크리트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을 개시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29221호(2015. 03. 18. 공개)는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시 사용되는 후타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에는 교량신축이음장치에 적용되는 후타재의 조성물은, 후타재의 분체조성물 54.95 ~ 62.66중량%과 후타재 액상조성물 8.34 ~ 10.05 중량%을 혼합 후 조골재를 29 ~ 35중량%를 혼합하는 구성과, 상기 후타재의 분체조성물은, 칼슘알루미네이트계 속경재 18~ 23중량%, 활성실리카계 구체방수재 0.52 ~ 2.0중량%, 고유동화제 0.25 ~ 0.35중량%, 팽창재 0.7 ~ 2.0중량%, 소포제 0.09 ~ 0.3중량%, 아민계방청재 0.1 ~ 0.3중량%, 세골재 27 ~ 43중량%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후타재 액상조성물은, 스타이렌아크릴에멀젼 4.5 ~ 5.15중량%, 소포제 0.03 ~ 0.07중량% , 습윤제 0.01 ~ 0.03중량%, 물 3.8 ~ 4.8중량%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상기 조골재는, 표면이 잘세척된 13mm ~ 19mm의 크기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상기 세골재의 사이즈는 시공 두께에 준하여 0.1mm ~ 3mm까지 사용하며, 입형은 골재와 시멘트 페이스트간의 접착 면적을 최대화하기 위해 면이 거친 것으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위 조성물을 이용한 시공 방법은, 신축이음 재설치시 노후화 및 파손등에 의해 기능을 잃은 후타재 및 신축이음을 제거하는 단계; 신축이음의 앵커 및 보강철근은 교량 슬라브의 철근과 견고하게 용접하며, 평탄성을 유지하는 단계; 후타재 타설면은 고압세척기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분진을 제거하며, 철근 및 철근 용접부위는 아민계 철근방청제를 도포하여 철근부식을 방지하는 단계; 상기 후타재 타설면은 후타재의 접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침투성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 후타재는 분체조성물과 액상조성물을 3분간 혼합한 후 계량 되어진 조골재를 투입하여 2분간 혼합하여 이루어진
후타재 조성물을 타설하는 단계; 후타재를 타설 후 신축이음과 슬라브철근의 용접부위에 직접적으로 닿지 않도록 바이브레이타를 이용하여 공극이 없도록 다짐하는 단계; 상기 바이브레이타를 이용하여 다짐한 후 후타재의 표면은 신속하게 도구를 이용하여 구배조절과 평탄작업이 이루어지록 작업하는 단계; 평탄작업 완료 후 급격한 수분증발에 의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성 양생제를 200 ~ 250g/㎡의 양으로 도포하여 양생시키는 단계; 상기 후타재 타설 다음 3 시간 후 차량을 통행을 위해 도로를 개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구성과, 후타재 조성물을 타설하는 단계는 후타재의 분체조성물 54.95 ~ 62.66중량%과 후타재 액상조성물 8.34 ~ 10.05중량%을 3분간 혼합한 후 조골재 29 ~ 35중량%를 2분간 혼합하여 신속하게 타설하는 구성과, 수용성 양생제도포 단계는 수용성 양생제를 200 ~ 250g/㎡의 양으로 도포하여 양생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고속도로와 같이 긴급을 요하는 공사에 적합하도록 조기에 강도를 발휘하되 낮은 수축변형률과 내부증발을 통해 부식을 방지하고 균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대 또는 거더의 신축이음 시공부에 신축이음장치를 위치시킨 후 철근을 보강하는 단계, 보강된 철근 상측에 양측으로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배지고 유공이 천공된 증발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및, 신축이음 시공부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여 증발 파이프가 매설된 상태로 후타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증발 파이프는 후타재 내로 침투한 수분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유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유공은 다각형상의 그룹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유공은 다각형상의 그룹 형태로 배치되고, 그 중심에 스터드 볼트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분체, 물, 잔골재, 굵은 골재, 액상 라텍스, 감수제를 포함하되, 시멘트 분체는 초속경 시멘트와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팽창제 3~6중량%가 혼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팽창제는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4~5%중량%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분체 23중량%, 물 6.2중량%, 잔골재 32.7중량%, 굵은 골재 35.6중량%, 액상 라텍스 2.3중량%, 감수제 0.2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하되, 여기에 상기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0.3중량%의 지연제가 더 첨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액상 라텍스를 고형분 라텍스 분체로 대체할 경우 시멘트 분체 대비 5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한 콘크리트 조성물의 낮은 수축변형율과 매설된 증발 파이프에 의한 내부증발 유도로 조기에 강도를 발휘함으로써 고속도로와 같은 긴급을 요하는 공사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부식방지, 균열저감 등을 통해 내구성 저하로 인한 유지보수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신축이음 시공부의 위치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종래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 파이프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발 파이프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구조를 보인 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후타재의 콘크리트 배합비를 보인 표,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후타재 시험체의 수축변형율과 압축강도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은 교대(1) 또는 거더(2)의 신축이음 시공부(A)에 신축이음장치(10)를 기 설치된 철근에 결속하고 철근(20)을 보강하는 단계, 보강된 철근(20) 상측에 양측으로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배지고 유공(41)이 천공된 증발 파이프(40)를 설치하는 단계 및 신축이음 시공부(A)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여 증발 파이프(40)가 매설된 상태로 후타재(30)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신축이음 시공부(A)는 교대(1)와 거더(2) 사이, 거더(2)와 거더 사이에 마련되는데, 신축이음장치(10)의 설치로 상부구조물의 변위와 변형을 원활하게 수용하여 2차 응력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차량이 교면을 안전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교대(1) 또는 거더(2)의 신축이음 시공부(A)에 신축이음장치(10)를 위치시킨 후 철근을 보강하게 되는데, 신축이음장치의 앵커부(11)를 기 설치된 교량 철근에 결속하거나 앵커부(11)에 철근을 보강한다.
다음으로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보강된 철근(20) 상측에 교량 양측으로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배지고 유공(41)이 천공된 증발 파이프(40)가 설치되는데, 상세하게는 증발 파이프(40)는 내측으로 수분을 유도할 수 있도록 소정 크기로 천공된 유공(41)이 마련되고, 양단이 교량 폭 방향으로 점차 낮아지게 구배져 곡선형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신축이음 시공부(A)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여 증발 파이프(40)가 매설된 상태로 후타재(30)가 시공되는 바, 후타재(30) 내에 유공(41)이 천공된 증발 파이프(40)가 매설됨에 따라 양생시에는 유공(41)을 통해 수분 증발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양생기간의 단축으로 긴급을 요하는 보수공사 등에 양호하게 적용할 수 있고, 완공 이후에는 후타재(30) 내로 유입된 빗물 등을 유공(41)을 통해 내측으로 유도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부식방지 등 균열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의 증발 파이프(40)는 후타재(30) 내로 침투한 수분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유공(41)이 천공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후타재(30) 내로 유입된 빗물 등을 유공(41)을 통해 증발 파이프(40) 내측으로 유도하여 배출하게 되는데, 증발 파이프(40)를 상하로 구분하였을 때 상부면에는 수분 유입을 유도할 수 있도록 유공(41)이 천공되고 하부면에는 유도된 수분을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유공이 천공되지 않는 매끄러운 형태를 갖는다.
다음, 상기의 유공(41)은 다각형상의 그룹 형태로 배치된다.
이는 후타재(30)에 매설된 증발 파이프(40)에 작용하는 하중에 대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유공(41)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형상의 그룹형태로 이루어져 미천공면을 일정 공간 확보함에 따라 하중 작용시 보다 큰 버팀력을 갖게 된다.
다음, 상기의 유공(41)은 다각형상의 그룹 형태로 배치되고, 그 중심에 스터드 볼트(50)가 용접된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증발 파이프(40)는 천공된 유공(41)이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육각형 등 다각형상의 그룹 형태로 배치되고, 그 중심에 스터드 볼트(50)가 용접 설치됨에 따라 후타재(30)와의 견고한 결속 및 후타재(30) 내로 유입된 빗물이 스터드 볼트(50)를 통해 유공(41)으로 보다 양호하게 유도되어 부식방지 등 균열 발생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콘크리트 조성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축변형률이 낮으면서도 압축강도가 우수한 후타재(30)의 콘크리트 조성물을 제안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콘크리트 배합비로 검증하였다(단위 kg).
실험재료
시멘트 및 골재
시멘트는 국내 I사와 S사에서 생산되는 초속경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비빔 및 타설에 필요한 작업시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첨가제로서 구연산 계열의 지연제를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0.3중량%를 사용하였다.
초속경 시멘트의 특성은 아래와 같다.
초속경 시멘트는 2~3시간에서 실용 강도를 얻을 수 있는데, 배합에 의해 20MPa~30MPa의 실용 강도를 발현한다.
포틀랜드시멘트와 유사하게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강도증진을 나타내며, 또한 저온에서도 단기간에 실용 강도를 발현한다. 초속경 시멘트는 슬럼프값이 적으며 작업성이 우수하여 작업이 원활할 뿐만 아니라 경화 후 수축성이 적기 때문에 철근과의 부착 및 구 콘크리트와의 밀착성이 우수하다.
굵은골재(자갈)는 최대치수가 13mm 크기인 부순돌을 이용하였고, 잔골재(모래)는 천연강모래를 사용하였다. 잔골재율(S/a)은 47.9%로 배합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굵은 골재는 콘크리트 비빔에 있어 공기량을 줄이고 강도를 키우기 위하여 최대치수를 한정하였으나 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기의 골재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콘크리트 배합비가 양호하게 적용된다.
라텍스
라텍스는 국내 I사와 S사의 액상형 아크릴라텍스를 사용하였다. 라텍스는 우유빛 액상 물질로 고형분 50%, 소량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한 물 50%로 구성되어 있다. 콘크리트 배합 시 라텍스에 포함된 물을 고려하여 추가할 배합수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고형분 50%인 액상 라텍스를 사용하여 시멘트 분체 대비 10중량%의 혼합 비율을 제시하였으나 분체로 이루어진 순수 라텍스를 사용할 경우에는 시멘트 분체 대비 5중량%이 사용되고, 그에 따라 물이 가수될 수 있다.
팽창제
팽창제는 국내 S사에서 생산되는 CSA팽창제를 사용하였고, 초속경 시멘트 대비 과도한 사용은 팽창에 의한 균열 등 구조물의 열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사용시 주의하여야 한다.
첨부된 도 8 및 9의 콘크리트 배합비 및 그래프를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분체, 물, 잔골재, 굵은 골재, 액상 라텍스, 감수제를 포함하되, 시멘트 분체는 초속경 시멘트와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팽창제 3~6중량%가 혼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한다.
또한 상기의 팽창제는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4~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분체 23중량%, 물 6.2중량%, 잔골재 32.7중량%, 굵은 골재 35.6중량%, 액상 라텍스 2.3중량%, 감수제 0.2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하되, 여기에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0.3중량%의 지연제가 더 첨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멘트 분체는 초속경 시멘트와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팽창제가 0중량%, 3중량%, 6중량%, 9중량%, 12중량%가 혼합되는 구성으로, 전체 시멘트 분체의 중량은 동일하도록 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상기의 기술적 구성에 따르면, 라텍스, 팽창제의 혼합 비율이 0%인 시험체가 가장 많이 수축되는데, 수축변형율이 클수록 균열 또한 많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즉, 라텍스, 팽창제를 넣지 않으면 강도는 우수하지만 수축변형이 크게 일어나 균열이 쉽게 발생한다는 점에서, 수분 침투로 인한 부식, 균열 발생으로 내구성이 저하되는 등 유지보수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초속경 시멘트에 팽창제와 라텍스를 혼합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그러나 팽창제의 혼합 비율이 초속경 시멘트 대비 6중량% 이상인 시험체부터 급격하게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을 보임에 따라 팽창제, 라텍스에 대하여 적정 혼입율이 적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는 시멘트 분체 23중량%, 물 6.2중량%, 잔골재 32.7중량%, 굵은 골재 35.6중량%, 액상 라텍스 2.3중량%, 감수제 0.23중량%를 혼합하여 콘크리트 조성물을 구성하고, 여기에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0.3중량%의 지연제가 더 첨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시멘트 분체에 대하여 액상 라텍스 10중량%,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팽창제 4~5중량%가 혼합 될 때 가장 우수한 결과값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적정 라텍스, 팽창제를 혼합함으로써 강도 유지 및 균열 감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는 바, 부식방지, 균열저감 등을 통해 유지보수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 예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 : 신축이음 시공부
1 : 교대
2 : 거더
10: 신축이음장치
11: 앵커부
20: 보강 철근
30: 후타재
40: 증발 파이프
41: 유공
50: 스터드 볼트

Claims (8)

  1.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대 또는 거더의 신축이음 시공부에 신축이음장치를 위치시킨 후 철근을 보강하는 단계,
    상기 보강된 철근 상측에 양측으로 배수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배지고 유공이 천공된 증발 파이프를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신축이음 시공부에 콘크리트 조성물을 타설하여 상기 증발 파이프가 매설된 상태로 후타재를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 파이프는 상기 후타재 내로 침투한 수분을 내측으로 유도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상부면에 소정 간격으로 상기 유공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은 다각형상의 그룹 형태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공은 다각형상의 그룹 형태로 배치되고, 그 중심에 스터드 볼트가 용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5.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분체, 물, 잔골재, 굵은 골재, 액상 라텍스, 감수제를 포함하되, 상기 시멘트 분체는 초속경 시멘트와 상기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팽창제 3~6중량%가 혼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콘크리트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제는 상기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4~5%중량%가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콘크리트 조성물.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 조성물은 시멘트 분체 23중량%, 물 6.2중량%, 잔골재 32.7중량%, 굵은 골재 35.6중량%, 액상 라텍스 2.3중량%, 감수제 0.23중량%를 혼합하여 구성하되, 여기에 상기 초속경 시멘트에 대하여 0.3중량%의 지연제가 더 첨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콘크리트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라텍스를 고형분 라텍스 분체로 대체할 경우 상기 시멘트 분체 대비 5중량%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의 콘크리트 조성물.
KR1020170054049A 2017-04-27 2017-04-27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 KR102195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49A KR102195172B1 (ko) 2017-04-27 2017-04-27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049A KR102195172B1 (ko) 2017-04-27 2017-04-27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328A true KR20180120328A (ko) 2018-11-06
KR102195172B1 KR102195172B1 (ko) 2020-12-24

Family

ID=64329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049A KR102195172B1 (ko) 2017-04-27 2017-04-27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17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75B1 (ko) * 2019-06-11 2020-05-04 우산건설 주식회사 수축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KR102127329B1 (ko) 2020-02-27 2020-06-26 이해영 초속경 교면포장 및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활용한 교면포장 및 보수방법
KR102211130B1 (ko) 2020-05-27 2021-02-03 주식회사 칠성건설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를 위한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 및 방법
KR102268630B1 (ko) * 2020-11-16 2021-06-23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와이어 앵커가 구비된 복합 앵커를 이용한 단면 복구 공법
CN113622293A (zh) * 2021-07-30 2021-11-09 中铁十九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桥梁伸缩缝排水系统及其安装方法
CN113684755A (zh) * 2021-08-31 2021-11-23 济南华锐铁路机械制造有限公司 铁路桥梁弹性体伸缩装置斜面分段浇筑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673Y1 (ko) * 1999-12-21 2000-05-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장체 도수장치용 보호시트
KR100840360B1 (ko) * 2007-10-23 2008-06-23 (주)평강산업개발 맨홀인상용 섬유보강 초속경폴리머콘크리트 조성물 및콘크리트 보강 적층재를 이용한 맨홀 인상 보수공법
KR100869551B1 (ko) * 2008-08-26 2008-12-02 김종길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KR100917905B1 (ko) * 2008-12-16 2009-09-16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파손된 도로포장의 긴급보수용 무(無)슬럼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동롤러다짐 도로포장 긴급보수 및재포장 공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1673Y1 (ko) * 1999-12-21 2000-05-15 재단법인포항산업과학연구원 포장체 도수장치용 보호시트
KR100840360B1 (ko) * 2007-10-23 2008-06-23 (주)평강산업개발 맨홀인상용 섬유보강 초속경폴리머콘크리트 조성물 및콘크리트 보강 적층재를 이용한 맨홀 인상 보수공법
KR100869551B1 (ko) * 2008-08-26 2008-12-02 김종길 교량 신축이음구간 빗물받이
KR100917905B1 (ko) * 2008-12-16 2009-09-16 주식회사 승화이엔씨 파손된 도로포장의 긴급보수용 무(無)슬럼프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진동롤러다짐 도로포장 긴급보수 및재포장 공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8875B1 (ko) * 2019-06-11 2020-05-04 우산건설 주식회사 수축저감형 초속경 시멘트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포장 공법
KR102127329B1 (ko) 2020-02-27 2020-06-26 이해영 초속경 교면포장 및 보수용 콘크리트 조성물 및 초속경 콘크리트 조성물을 활용한 교면포장 및 보수방법
KR102211130B1 (ko) 2020-05-27 2021-02-03 주식회사 칠성건설 교량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교체를 위한 후타부 콘크리트 제거장치 및 방법
KR102268630B1 (ko) * 2020-11-16 2021-06-23 주식회사 미래건설안전 와이어 앵커가 구비된 복합 앵커를 이용한 단면 복구 공법
CN113622293A (zh) * 2021-07-30 2021-11-09 中铁十九局集团第五工程有限公司 桥梁伸缩缝排水系统及其安装方法
CN113684755A (zh) * 2021-08-31 2021-11-23 济南华锐铁路机械制造有限公司 铁路桥梁弹性体伸缩装置斜面分段浇筑工艺
CN113684755B (zh) * 2021-08-31 2023-09-26 济南华锐铁路机械制造有限公司 铁路桥梁弹性体伸缩装置斜面分段浇筑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95172B1 (ko) 2020-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328A (ko) 균열 저감을 위한 교량 신축이음 후타재 시공방법 및 그 콘크리트 조성물
US6694690B2 (en) Concrete constructions employing the use of a ductile strip
Lei et al. Application of Ultra High Performance Fiber Reinforced Concrete –The Malaysia Perspective
US10196832B2 (en) High performing protective shell for concrete structures
KR101457386B1 (ko) 누수를 방지하는 고인성 무조인트 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40550B1 (ko) 하이브리드 섬유보강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구조 및 공법
JP5615015B2 (ja) 耐震補強構造及び耐震補強方法
JP4986924B2 (ja) 耐震補強方法
Abass Effect of construction joints on performance of reinforced concrete beams
Yakut Reinforced concrete frame construction
Karmacharya et al. Precast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UHP-FRC) for fast and sustainable pavement repair
Karmacharya et al. Use of Ultra-high-performance fiber-reinforced concrete (UHP-FRC) for fast and sustainable repair of rigid pavements
KR100685222B1 (ko) 이중 콘크리트 구조물
KR101013090B1 (ko) 보강몰탈을 이용한 슬래브 보강공법
Singh et al. Concrete in Residential Construction
CN104818678A (zh) 一种对简支空心板主梁抗弯加固的方法
KR101539732B1 (ko) 교량신축이음장치 설치시 사용되는 후타재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005184A (ko) 교량 신축이음장치용 무수축 라텍스콘크리트
Han et al. Flexural test for a monolithic holed web prestressed concrete (HWPC) girder
KR200365463Y1 (ko) 교량용 상판
JP2005336723A (ja) 橋梁の連続合成桁
JPH07119119A (ja) 補修鋼桁橋構造及び鋼桁橋の補修補強方法
Datta et al. Effect of overlay on punching shear capacity of slabs
JP2004330752A (ja) 高強度薄肉コンクリート二次製品
Kamal et al. Feasibility of using self-compacting concrete in civil engineering appl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069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305

Effective date: 20201124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