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231A -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231A
KR20180119231A KR1020170052679A KR20170052679A KR20180119231A KR 20180119231 A KR20180119231 A KR 20180119231A KR 1020170052679 A KR1020170052679 A KR 1020170052679A KR 20170052679 A KR20170052679 A KR 20170052679A KR 20180119231 A KR20180119231 A KR 201801192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information
parking space
external devi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052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231A/ko
Publication of KR20180119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2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for controlling access to an individual park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외부장치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및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 및 차량이 경로를 따라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PARKING CONTROL APPARATUS AND PARKING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주차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차공간은 한정되어 있으나 차량 보급 수가 급증함에 따라 차량의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주변을 배회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큰 건물의 경우 지하 또는 옥상에 주차공간을 마련하여 주차공간을 제공하지만 차량이 붐비는 점심시간 또는 저녁시간에는 어김없이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주차장을 배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주차장 입구에 사용 가능한 주차공간의 수 및 위치를 알려주는 방법을 적용하여 문제점을 극복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에서 다수의 차량이 동일한 주차공간에 주차하기 위해 움직이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 따르면, 먼저 도착한 차량을 제외한 다른 차량은 다른 주차공간을 찾기 위해 주차장을 배회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주차공간의 수 및 위치를 알려줄 뿐만 아니라, 각각의 차량마다 개별 주차공간을 안내하는 주차제어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외부장치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및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와;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 및 차량이 경로를 따라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주차제어장치를 제공한다.
다른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제1외부장치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및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와;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와;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단계; 및 차량이 경로를 따라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를 포함하는 주차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각각의 차량마다 개별 주차공간을 안내할 수 있는 주차제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100)는 제1외부장치(10)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및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110)와;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10)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20)와;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20)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130); 및 차량이 경로를 따라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1외부장치(10)는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100)의 생성부(110) 및 저장부(120)와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 해당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및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1외부장치(10)는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기의 역할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성부(110)는 제1외부장치(10)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생성부(110)는 배치정보를 반영하여 이미지형태인 주차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10)는 운전자에게 주차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생성부(110)는 사용여부정보를 반영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된 입력과 비활성화된 입력에 대한 이미지를 달리하여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사용여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주차공간에 검정계열의 색상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비활성화된 입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차량번호가 표기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비활성화된 입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성부(110)는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부(120)는 생성부(110)에서 생성된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10)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는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동작이 수행되는 시각에 따른 시각정보 및 미리 설정된 주차공간의 배열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시리얼(Serial)정보일 수 있다. 즉, 활성화된(발급되는) 고유정보는 중복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공부(130)는 저장된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20)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차요청위치는 생성부(110)에서 선택된 입력에 따라 생성된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외부장치(20)는 주차장 내 설치되어 제공부(13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에는 차량과 통신하여 위치를 포함하는 주차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2외부장치(20)는 상기 통신장치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자제어장치(100)의 제어부(140)는 차량이 제공된 경로를 따라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차공간은 생성부(110)에서 선택된 입력에 따라 생성된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어부(140)는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또는 조향제어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주차장의 주차공간은 제3외부장치가 존재하여 주차허용 또는 주차금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외부장치는 주차공간으로의 차량 진입을 방해하는 스토퍼를 비활성하여 주차를 허용하거나 상기 스토퍼를 활성화하여 주차를 금지할 수 있는 장치이거나,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주차를 허용하거나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된 상황 또는 차량이 주차중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주차를 금지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에 의하면 주차공간을 탐색하기 위해 차량이 주차장을 배회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은,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더라도 복수의 차량이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를 시도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에 대해 이하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주차장 입구에 설치된 제1외부장치가 차량의 진입을 확인하여(S1),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차량에 전달할 수 있다(S2).
이후, 차량에 포함된 본 발명의 주차제어장치는 전달받은 주차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S3), 사용여부정보를 반영하여 사용가능한 주차공간에 대한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S4).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성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인 도 3과 같이, 네비게이션을 포함하는 영상제공장치(300)를 이용하여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며,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가능한 주차공간에 대한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에, 활성화된 입력은 운전자로 하여금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주차제어장치는 운전자로 하여금 하나 이상을 선택하도록 요청하는 기능이 포함되어도 무방하다.
이후, 본 발명의 주차제어장치는 운전자로부터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고(S5), 생성된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에 전달하여(S6), 고유정보를 전달받을 수 있다(S7). 상기 고유정보는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동작이 수행되는 시각에 따른 시각정보 및 미리 설정된 주차공간의 배열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시리얼(Serial)정보일 수 있다.
이후, 제1외부장치는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도록 차단기를 열수 있으며(S8), 본 발명의 주차제어장치는 전달받은 고유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하고(S8), 주차장으로 진입할 수 있다(S10).
도 2에서 도시된 S1 단계 내지 S10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1외부장치는 차량을 감지하는 감지장치, 주차정보를 저장하는 저장장치,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장치, 및 시리얼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시각정보(또는 주차공간의 배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은 정보를 전달받는 통신장치, 운전자에게 주차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제공장치 및 정보입력장치를 포함하며, 본 발명의 주차제어장치는 이러한 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장치 및 정보입력장치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도 2는 차량이 주차장의 입구에 도착하여 주차장 안으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단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S3 단계 내지 S5 단계는 본 발명의 주차제어장치의 생성부에서 수행되고 S9 단계는 저장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2의 단계를 수행하여 차량이 주차장으로 진입하면, 차량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는 도 4와 같이, 주차장 내 제2외부장치와 통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제2외부장치는 주차장에는 차량과 통신하여 위치를 포함하는 주차장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된 통신장치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서, 하나 이상의 장치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는 저장된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S11).
이에, 제2외부장치는 전달받은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요청위치정보 생성(S12) 및 상기 주차요청위치로 주행하기 위한 경로정보를 생성하여(S13), 주차제어장치로 주차요청위치 및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S14). 요약하자면, 생성된 주차요청위치는 운전자 선택에 따라 입력된 주차공간을 의미한다.
이후, 주차제어장치는 전달받은 주차요청위치정보에 기초한 주차요청위치 및 경로정보에 기초한 이동경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며(S15), 차량으로 하여금 경로를 따라 주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6).
도 4에서 도시된 S11 단계 내지 S16 단계를 수행하기 위해, 제2외부장치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장치 및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주차요청위치정보 및 경로를 생성할 수 있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외부장치는 전력소모량을 줄이기 위해 주차제어장치로부터 정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주차제어장치가 제2외부장치를 활성화시키는 정보를 추가 전달할 수 있다.
도 4는 차량이 주차장 안으로 진입하여 주차공간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행되는 단계에 대한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S11 단계, S14 단계 및 S15 단계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의 제공부에서 수행되고, S16 단계는 제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주차공간은 주차허용 또는 주차금지하는 제3외부장치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주차공간(510)은 차량진입을 방해(주차금지를 의미)하는 스토퍼(530) 또는 정보(경고등, 경고음을 포함하는 알림정보일 수 있음)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하지 못하도록 유도하는 정보제공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세히 설명하면, 스토퍼(530)는 통행의 금지를 방해할 수 있는 바(Bar)를 활성화(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 있는 상태를 의미)하여 차량진입을 방해하거나, 바를 비활성화하여 차량진입을 허용할 수 있다. 또한, 정보제공장치(520)는 주차공간(510)에 차량이 주차된 상황 또는 주차중인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하지 못하도록 유도하거나, 주차공간(510)에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주차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차량이 주차된 상황 또는 주차중인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는 녹색 광원 또는 무음원(또는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음원)일 수 있고, 차량이 주차된 상황 또는 주차중인 상황에 대응하는 정보는 빨강색 광원(또는 깜빡이는 기능도 추가될 수 있음) 또는 경고하는 음원일 수 있다.
주차공간에 제3외부장치가 설치된 상황이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는 제3외부장치로 고유정보를 송신하여 제3외부장치로 하여금 주차허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에 의하면 주차공간을 탐색하기 위해 차량이 주차장을 배회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은,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더라도 복수의 차량이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를 시도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을 이용하여 설명한 주차제어장치가 수행하는 동작인 주차제어방법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방법의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방법은 제1외부장치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및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S600)와;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S610)와;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단계(S620); 및 차량이 경로를 따라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S6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1외부장치는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방법의 생성단계(S600) 및 저장단계(S610)에서 정보를 송신하거나, 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 해당 주차장의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를 저장하는 기능 및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1외부장치는 주차장의 입구에 설치되어 차량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차단기의 역할을 더 수행할 수도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생성단계(S600)는 제1외부장치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생성단계(S600)는 배치정보를 반영하여 이미지형태인 주차공간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생성단계(S600)는 운전자에게 주차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생성단계(S600)는 사용여부정보를 반영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할 수 있다.
여기서, 활성화된 입력과 비활성화된 입력에 대한 이미지를 달리하여 운전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한 예를 들어, 사용여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주차공간에 검정계열의 색상의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비활성화된 입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사용여부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차량번호가 표기된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비활성화된 입력을 운전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생성단계(S600)는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저장단계(S610)는 생성단계(S600)에서 생성된 주차요청정보를 제1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장치에 저장 보관할 수 있다. 상기 고유정보는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정보로서, 동작이 수행되는 시각에 따른 시각정보 및 미리 설정된 주차공간의 배열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시리얼(Serial)정보일 수 있다. 즉, 활성화된(발급되는) 고유정보는 중복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공단계(S620)는 저장된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주차요청위치는 생성단계(S600)에서 선택된 입력에 따라 생성된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제2외부장치는 주차장 내 설치되어 제공단계(S620)에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주차장에는 차량과 통신하여 위치를 포함하는 주차장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통신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제2외부장치는 상기 통신장치를 활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자제어방법의 제어단계(S630)는 차량이 제공된 경로를 따라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주차공간은 생성단계(S600)에서 선택된 입력에 따라 생성된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예를 들어, 제어단계(S630)는 차량의 속도제어장치 또는 조향제어장치를 제어함으로써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주차장의 주차공간은 제3외부장치가 존재하여 주차허용 또는 주차금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3외부장치는 주차공간으로의 차량 진입을 방해하는 스토퍼를 비활성하여 주차를 허용하거나 상기 스토퍼를 활성화하여 주차를 금지할 수 있는 장치이거나,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주차를 허용하거나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된 상황 또는 차량이 주차중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주차를 금지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제어장치에 의하면 주차공간을 탐색하기 위해 차량이 주차장을 배회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상기 문제점은, 주차장 입구에서 주차공간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더라도 복수의 차량이 상기 주차공간에 주차를 시도함에 따라 발생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의 주차제어방법은 도 1 내지 도 5에 기초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주차제어장치가 수행하는 각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제1외부장치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및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상기 주차요청정보를 상기 제1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상기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부; 및
    차량이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주차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배치정보를 반영하여 이미지형태인 주차공간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주차공간정보에 상기 사용여부정보를 반영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어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부는,
    상기 사용여부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중인 것으로 판단된 사용주차공간에 색상 또는 사용중인 차량번호를 표기하여 입력을 비활성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시각정보 및 상기 주차공간의 배열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한 시리얼(Serial)정보인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어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부는,
    상기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주차요청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어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공간은 주차허용 또는 주차금지 하는 제3외부장치가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고유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제3외부장치로하여금 주차허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어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외부장치는,
    상기 주차공간으로의 진입을 방해하는 스토퍼를 비활성 또는 활성하여 주차허용 또는 주차금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어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3외부장치는,
    상기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되지 않은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주차허용시키거나, 상기 주차공간에 차량이 주차된 상황 또는 차량이 주차중인 상황에 대응하는 알림정보를 제공하여 주차금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제어장치.
  9. 제1외부장치로부터 주차공간에 대한 배치정보 및 상기 주차공간에 대한 사용여부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주차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주차정보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입력을 활성화하며, 활성화된 입력 중 선택된 입력에 따라 주차요청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단계;
    상기 주차요청정보를 상기 제1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고유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단계;
    상기 고유정보를 제2외부장치에 송신하여 수신되는 주차요청위치 및 상기 주차요청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공단계; 및
    차량이 상기 경로를 따라 상기 주차요청정보에 대응되는 주차공간에 주차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제어방법.
KR1020170052679A 2017-04-25 2017-04-25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 KR201801192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79A KR20180119231A (ko) 2017-04-25 2017-04-25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679A KR20180119231A (ko) 2017-04-25 2017-04-25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231A true KR20180119231A (ko) 2018-11-02

Family

ID=64328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679A KR20180119231A (ko) 2017-04-25 2017-04-25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2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156A (zh) * 2021-10-09 2021-11-05 长沙市林纳捷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慧停车楼的入库提醒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11156A (zh) * 2021-10-09 2021-11-05 长沙市林纳捷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应用于智慧停车楼的入库提醒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0556B2 (en) Automated valet parking method and device
CN105383383B (zh) 车载装置、车载装置的控制方法,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297207B2 (ja) 運転制御装置及び運転制御方法
JP6624022B2 (ja) 情報提供システム、車両用装置、情報提供プログラム
EP3121085A1 (en) Vehicle operation device
JPWO2017168754A1 (ja) 自動駐車システム、自動駐車制御装置および自動駐車制御方法
JP2017010110A5 (ko)
JP2019121040A (ja) 駐車制御装置、車両制御装置および駐車制御方法
KR20210018455A (ko) 무인 반송차의 제어 방법, 제어 장치 및 기억 매체
CN111815993B (zh) 停车场管理装置、停车场管理方法和计算机可读记录介质
JP7149790B2 (ja) 駐車支援方法及び駐車支援装置
KR102416446B1 (ko) 증강현실 기반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운용 방법
JP2018144686A (ja) 搭乗者支援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492004B2 (en) Automated driving system, portable device and travel control device
CN114120696A (zh) 用于引导停放的车辆行驶到停车地点的系统和方法
JP2021135802A (ja) 路車間通信装置、路車間通信方法および路車間通信システム
KR20180119231A (ko) 주차제어장치 및 주차제어방법
US20210094586A1 (en) Automated driving enabled vehicle
JP4728974B2 (ja) 無人車両管制システムにおけるエンジン遠隔始動装置および方法
JP2019185629A (ja) 車高検知装置および車高検知方法
KR20160031910A (ko) 차량의 주차 제어 장치 및 방법
JP5803624B2 (ja) 車両制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1603039B2 (en) Automated driving enabled vehicle
EP3855407B1 (en) Reserved vehicle control method, reserved vehicle control device, and reserved vehicle control system
JP7278760B2 (ja) 駐車時の車両走行制御方法及び車両走行制御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