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037A -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 Google Patents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037A
KR20180119037A KR1020170052472A KR20170052472A KR20180119037A KR 20180119037 A KR20180119037 A KR 20180119037A KR 1020170052472 A KR1020170052472 A KR 1020170052472A KR 20170052472 A KR20170052472 A KR 20170052472A KR 20180119037 A KR20180119037 A KR 20180119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t
module
water
composting
modul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1091B1 (ko
Inventor
최정심
Original Assignee
최정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정심 filed Critical 최정심
Priority to KR1020170052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09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9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0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0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8Component parts, e.g. dispensing fittings, level ind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2Combinations of a saucer and a flower pot attached together
    • C05F1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져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저수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듈형 식물재배장치{Module Type Plant Cultivating Device}
본 발명은 모듈형으로 구비되어 식물을 재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재배하는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하는 공간을 일체화하면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고,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양질의 퇴비를 직접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건물내부에서 실내공간의 답답함과, 삭막함을 없애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써 화분을 진열하거나 인공적인 화단을 설치하는 것이 점차 늘고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는 관상용 식물이나 식용 식물과 같은 재배식물들을 토양이 채워진 화분에 식재하여 재배 관리하지만, 주기적으로 급수하여 관리해야만 하는 문제가 있었고 재배식물이 크기 때문에 이동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인공적으로 화단 등을 조성한다고 하여도 급수시설이나 방수처리 등을 설치하고 관리하는데 상당한 주의가 필요하고, 상당한 비용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도시생활을 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상추, 토마토, 고추 등과 같이 야채 식물재배가 용이한 일부 농산물을 직접 재배하고자 하지만, 실질적으로 도시에서 농작물을 심어 재배할 수 있는 토지확보가 어렵고, 소량의 토양이 채워지는 화분을 이용한 화분재배에 의존하였다.
또한, 식물재배에 필요로 하는 영양분인 퇴비를 주기적인 공급 및 교체해야만 하는데 일반가정에서 퇴비를 제조하여 확보하기 곤란하여 별도로 구매해야만 하기 때문에 재배비용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KR10-1319616 B1
특허문헌 1에는 하우징의 하부에 위치하며 토양을 분쇄하며 교반하는 교반부를 갖추고, 교반부의 일측에 위치하며 교반된 토양을 보관하는 저장부를 갖추며, 교반부의 상측에 위치하여 무한궤도를 따라 회전 가능하여 상면에 올려진 토양을 하우징의 일측으로 이송 가능한 육모벨트를 구비하고 있는 재배부를 갖추는 한편, 재배부의 일측에 위치하여 육모벨트의 회전에 따라 육모벨트에서 이탈한 토양을 수거하여 교반부로 낙하시키는 회수부를 포함하여 토양을 장치 내에서 순환시키면서 작물을 재배할 수 있게 하며, 가정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 등을 퇴비로 사용할 수 있는 식물재배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식물재배장치는 토양을 순환시키면 퇴비를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지만 전체적인 구성부품수가 많고 전제적인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상승시켜 일반 가정에 대량으로 공급하기 곤란하였다.
또한, 무한궤도, 육모벨트 및 교반부와 같은 소모품의 파손이나 손상시 이를 수리해야만 하고, 주기적으로 교체해야만 하기 때문에 일반인들이 보수유지하기 곤란할 뿐만 아니라 관리유지비가 과다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재배하는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하는 공간을 일체화하면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하고,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양질의 퇴비를 직접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퇴비 숙성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는 재배부 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재배식물의 고사를 방지하면서 최적의 식물재배 조건을 조성할 수 있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져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저수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상기 배양토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일정량의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퇴비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퇴비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퇴비제조부는 일정량의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발효제에 의해서 상기 퇴비원료를 1차 발효시키는 제1퇴비모듈과, 상기 제1퇴비모듈에서 1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퇴비원료를 2차 발효시키는 제2퇴비모듈 및 상기 제2퇴비모듈에서 2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3퇴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제1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는 제1모듈박스체와,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1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상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판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와,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퇴비가 낙하되는 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면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하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판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3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2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진출입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밀폐되는 제3모듈박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 또는 퇴비부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핀에 대응결합되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한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함몰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 또는 퇴비부 상부에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에 대응결합되는 결합턱을 상,하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상,하부에 동시에 연장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저수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이 수집되어 저장되고,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저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물보충라인 및 물배수라인을 매개로 물저장탱크와 연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퇴비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외부 퇴비박스체와,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고, 상기 퇴비가 일정량 채워재 저장되는 내부 퇴비박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는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을 통하여 배수되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바닥경사면과, 상기 바닥경사면의 일측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집수로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는 퇴비가 분할저장되는 분할공간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할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하는 재배부와,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사이에 물이 채워지는 저수부를 배치함으로써 퇴비 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저수부에 의해서 재배부측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열에 의해서 배양토를 건조시켜 식재된 재배식물을 고사시키는 것을 방지하고, 배양토의 식생 수분조건을 최적화하고,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2) 식물이 식재되어 재배하는 재배부와, 식재된 식물에 영양분을 제공하는 퇴비가 저장되는 퇴비부 및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높이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적층배치함으로써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재배하는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하는 공간을 일체화하면서 전체적인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에 공급하기 위한 양질의 퇴비를 직접적으로 간편하게 제조하여 공급할 수 있고, 퇴비를 별도로 구매하여 시비하는 번거로움없이 식물을 재배할 수 있는 한편, 보수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 과일부산물, 야채부산물을 퇴비원료로 이용하여 식물을 재배하는 공간과 인접하는 장소에서 퇴비화함으로써 생활쓰레기를 퇴비로 제조하여 쓰레기 발생량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4) 자중방향으로 낙하이동되는 퇴비를 윗거름으로 사용하여 식물의 생육을 고사없이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성장속도를 촉진시켜 식물의 재배효율을 높일 수 있다.
(5) 퇴비제조부에서 감자,고구마와 같은 구근식물이나 도구를 임시보관할 수 있는 저장기능을 추가할 수 있어 식물재배장치의 기능을 다양화하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6) 식물재배를 위해서 재배부에 공급된 다음 자중방향으로 낙하되는 물을 저수조 또는 저수탱크에 수집한 다음, 어류가 서식하는 저수조 또는 저수탱크에서 재배부로 순환공급하는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추가하여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재배부에 물, 미생물 및 양분을 선순환 공급하여 관상용 식물재배 및 식용 작물 재배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채용되는 통수판체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a 와 도 6b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e 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적용되는 퇴비제조부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서 퇴비부와 퇴비제조부사이에 아쿠아포닉용 저수탱크를 배치한 구성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1,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에 적용되는 아쿠아포닉 순환구조를 도시한 개략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물을 재배하면서 식물에 공급되는 퇴비를 제조할 수 있도록 다층으로 배치되는 재배부(110), 통수판체(120), 저수부(130) 및 퇴비제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재배부(11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짐으로써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이 식재되어 식재된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재배부(110)는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져 다수의 식물이 식재되는 재배박스체(112)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져 다수의 식물이 식재되는 토낭부가 수용되는 재배박스체(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재배박스체(112)는 상,하부가 개방된 대략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하부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배수가 가능하도록 닫혀진다.
상기 통수판체(120)는 상기 재배부의 재배박스체(112)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식재되는 식물에 공급되는 수분이나 배양액 중 일부를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하는 것이다.
이러한 통수판체(120)는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돌출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130)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핀(129)에 대응결합되는 결합공(121)을 관통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122)을 갖추고, 상기 외측프레임(122)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수판체(120)는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함몰형성되거나 상기 저수부의 상부에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에 대응결합되는 결합턱(122a)을 상,하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상,하부에 동시에 연장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122)을 갖추고, 상기 외측프레임(122)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배수영역(124)은 서로 교차하는 연결대(123)사이에 형성되는 개구영역에 별도로 구비되는 망체로 이루어지거나 밀폐영역에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관통공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통수판체(120)는 상기 재배부와 저수부사이에 개재되어 배치되고, 수지재 또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적어도 하나의 메쉬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재배부(110)의 개방된 하부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차단됨과 동시에 상기 재배부(110)의 배양토에 공급되어 식물에 흡수되지 않고 잔류하는 물은 상기 다공성 배수영역을 통하여 자중방향으로 배수되고, 배수된 물은 상기 저수부에 수집되어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재배부(110)는 상기 결합핀과 결합공간의 분리 또는 상기 결합턱과 결합홈간의 간편한 분리작업 및 결합작업에 의해서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는 통수판체(120)와 더불어 상기 저수부(130)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재결합하여 적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수부(130)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상기 재배부(110)에 공급되는 물이나 배양액 중 일부가 낙하 수집되어 일정량 채워지도록 바닥면이 밀폐된 대략 육면체상의 저수조(13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수조(136)의 내부에 수집되어 일정수위를 유지하게 되는 물은 상기 재배부에 식재되어 성장하면서 상기 통수판체의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통과하게 되는 식물의 뿌리가 도달하게 됨으로써 저장된 물에 도달하게 되는 뿌리를 통하여 영양분을 식물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수조(136)에는 내부에 채워지는 물의 수위를 측정하여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위계(136a)를 포함하고, 상기 수위계(136a)를 통하여 수위를 확인하여 저수조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물보충라인(137a)을 통하여 물을 보충하게 되고, 상기 저수조에 채워진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물배수라인(137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수조에 일단이 연결되는 물보충라인(137a)은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물저장탱크(151)와 연통연결되어 펌핑공급되는 물을 상기 저수조에 공급하여 보충하고, 상기 물보충라인보다 상대적으로 높거나 대략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는 물배수라인(137b)도 상기 물저장탱크(151)와 연통연결되어 저수조로부터 월류되거나 뱃되는 물을 상기 물저장탱크에 자중방향으로 배출하여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저장탱크(151)가 관상용이나 양식용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물저장기능을 갖는 수조에 저장되는 물에는 어류의 배설물 뿐만 아니라 어류가 먹지 못하고 남긴 먹이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재배식물에게 이로운 비타민을 함유하고 있는 어류의 배설물과 먹이를 저수부에 공급하여 보충하거나 재배부에 직접적으로 공급하여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저수조(136) 및 물저장탱크(151)는 관상용이나 양식용 어류가 서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소재의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물저장탱크(151)에 채워진 물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기(191)를 갖는 펌핑부재(190)에 의해서 여과된 다음 물보충라인(137a)을 통하여 재배부(110)에 순환공급되거나 상기 저수부의 저수조에 보충공급되어 재배식물에 비타민과 영양분을 흡수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재배부(110)에서 낙하된 물은 물배수라인(137a)을 통하여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인 물저장탱크(151)에 공급되거나 상기 재배부의 직하부에 배치되는 저수조에 채워진 다음, 물배수라인(137b)을 통하여 어류가 서식하는 수조인 물저장탱크(151)에 저장되도록 순환되어 아쿠아포닉 순환농법을 구현할 수 있는 한편, 이러한 아쿠아포닉스 구성을 통하여 물, 미생물 및 양분을 선순환 공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저수부(130)는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는 재배부(110)와 퇴비제조가 이루어지는 퇴비제조부(140)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재배부(110)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퇴비제조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재배부의 배양토가 건조되어 수분조건을 열악하게 하여 식재된 식물을 고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수조(136)에 채워지는 물은 상기 퇴비제조부(140)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에 의해서 가열되지만 상기 물보충라인을 통하여 물저장탱크로부터 순환공급되는 물에 의해서 온도강하되어 일정온도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저수조(136)에는 채워진 물의 온도를 수시로 측정하고 측정값을 근거로 하여 상기 물저장탱크(151)로부터 물을 펌핑하여 보충하는 시기를 결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퇴비제조부(140)는 상기 통수판체(120)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110)와 저수부(130)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모듈박스(14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모듈박스(144)의 내부공간에는 복수개의 퇴비모듈(141,142,143)을 다층으로 배치되도록 내장설치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141,142,143)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퇴비제조부(140)는 볏짚, 파쇄된 목재, 톱밥, 음식물쓰레기, 커피부산물, 생채소, 불가사리, 생선뼈와 같은 퇴비원료가 일정량 채워지는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어 상기 퇴비원료의 종류에 맞추어 혼합되는 일정량의 발효제에 의해서 상기 퇴비원료를 1차 발효시키는 제1퇴비모듈(14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퇴비원료의 퇴비화를 위해서 혼합되는 혼합제는 발효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퇴비원료를 미생물로서 생분해하여 퇴비화시키는 미생물을 추가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발효제는 수분을 50 % 내지 60% 로 조절한 퇴비원료에 제올라이트, 부식산 및 당을 첨가하고 미생물을 접종하여 발효시킨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퇴비원료의 소재에 따라 다양한 발효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재배부에 웃거름을 제공되는 퇴비량은 재배하고자 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되는데 상추와 같은 엽채소, 당근과 같은 근채소, 토마토와 같은 과채소의 순서로 많은 퇴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 엽채소에 필요한 퇴비의 양을 1이라 가정할 경우, 근채소는 1.5배, 그리고 과채소는 2배의 퇴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엽채소의 경우에 필요한 이상으로 재배부에 퇴비를 공급하게 되면 영양 과잉으로 식물 성장을 오히려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퇴비모듈(141)의 직하부에는 상기 제1퇴비모듈에서 1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채워질 수 있도록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추어 퇴비원료를 일정시간 동안 2차 발효시키는 제2퇴비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퇴비모듈(142)의 직하부에는 상기 제2퇴비모듈에서 2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일정시간 동안 저장하면서 퇴비하고, 최종적으로 일정시간 동안 발효되어 퇴비화된 퇴비를 외부로 배출하는 제3퇴비모듈(14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2 및 3 퇴비모듈(141,142,143)은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에 상부에서 하부로 연속하여 다층으로 적층되어 배치되고, 층별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순차적으로 하향 낙하이동시키고, 최하층에서 퇴비를 제조완성하고, 제조완성된 퇴비를 상기 재배부(110)에 윗거름으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퇴비저장탱크(153)에 저장보관하게 된다.
상기 제1퇴비모듈(141)은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1출입구(144a)를 통하여 진출입되는 제1모듈박스체(141a)를 갖추고,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의 개방된 하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출입구(144a)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자중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차단판(14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상기 제1차단판(141b)에 올려져 개방된 하부가 차단된 상태에서 개방된 상부를 통하여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육면체상의 박스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제1차단판과 더불어 모듈박스(144)의 내부공간으로 진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차단판(141b)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상부안내레일(146a)을 따라 안내되면서 진출입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1차단판의 외측단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판손잡이(141c)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퇴비모듈(141)에 구비되는 제1모듈박스체(141a)의 개방된 하부는 제1차단판(141b)에 의해서 차단되어 퇴비원료가 채워져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를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잔류한 상태에서 제1차단판만을 외부인출하는 경우에는 제1모듈박스체의 하부를 개방하여 일정시간동안 1차로 퇴비화된 퇴비원료를 하부에 위치하는 제2퇴비모듈(142)에 공급되도록 자중방향으로 낙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퇴비모듈(142)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모듈박스(144)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142a)를 갖추고,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개방된 하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슬릿(145a)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자중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14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는 제1모듈박스체(141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차단판(142b)에 올려져 개방된 하부가 차단되며, 상기 제1차단판의 인출시 개방되는 상부를 통하여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로부터 낙하되는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육면체상의 박스체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차단판(142b)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하부안내레일(146b)을 따라 안내되면서 진출입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제2차단판의 외측단에도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판손잡이(142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는 상기 제2차단판의 외부인출에 의한 하부개방시 낙하없이 정지되도록 상기 모듈박스(144)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배치되거나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미도시된 걸림부재에 의해서 걸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퇴비모듈(141)과 제2퇴비모듈(142)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제1차단판의 인출 및 삽입에 의해서 제1모듈박스체와 제2모듈박스체사이의 통로는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고,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개방된 하부가 제2차단판(142b)에 의해서 차단되면, 낙하되는 퇴비원료가 채워져 저장되는 일정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차단판(142b)을 외측으로 인출하여 제2모듈박스체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모듈박스체로부터 낙하공급받아 일정시간 동안 2차로 퇴비화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낙하시켜 하부에 배치되는 제3퇴비모듈(143)로 공급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2퇴비모듈(142)은 상기 모듈박스(144)의 내부에 걸림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되는 제2차단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을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하고,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하부의 개방시 낙하되는 통로를 차단하면서 상기 제1퇴비모듈과 제3퇴비모듈사이에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필요없이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면에 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자중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으로 안내이동되는 제2차단판(142b)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차단판(142b)에는 상기 제1퇴비모듈(141)로부터 낙하공급되어 저장되는 퇴비에 포함된 수분을 하부로 배수할 수 있도록 관통형성되는 복수개의 배수공(142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수공은 제1모듈박스체가 올려지는 제1차단판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3퇴비모듈(143)은 상기 모듈박스의 최하층에 구비되어 제1,2퇴비모듈을 거치면서 일정시간동안 발효되어 퇴비화된 퇴비를 저장하고 저장된 퇴비를 외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2출입구(144b)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진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밀폐되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제3모듈박스체(143a)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및 3퇴비모듈이 내부공간에 다층으로 적층배치되는 모듈박스의 상부면에는 상기 저수부(130)의 하부면에 함몰형성되는 결합공에 대응결합되도록 복수개의 결합핀(139)을 돌출형성함으로써 상기 재배부와 저수부는 퇴비제조부의 상부면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이탈할 수 있고, 재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모듈박스(144)의 하부면에는 실내외에서의 위치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도록 이동휠(149)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모듈형 식물재배장치(100a)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마찬가지로 재배부(110), 통수판체(120) 및 퇴비제조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재배부(110)와 퇴비제조부(140)에는 제1실시예의 저수부(130)를 대체하는 퇴비부(130a)가 배치되는바, 상기 재배부, 통수판체 및 퇴비제조부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 퇴비부(130a)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일정량의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공간을 갖추어 상기 재배부에 식재되어 성장하게 되는 식물의 뿌리가 통수판체의 다공성 배수영역(124)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다수공 배수영역을 통과한 식물의 뿌리를 통하여 퇴비 영양분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러한 퇴비부(130a)는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외부 퇴비박스체(131)를 갖추고,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출입구(132)를 통하여 진출입되고, 상기 퇴비가 일정량 채워재 저장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는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133a)을 통하여 배수되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바닥경사면(131a)의 일측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집수로를 포함하고, 상기 집수로의 출구단은 연결호스(135)를 매개로 하여 물저장탱크(151)와 연결된다.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는 상기 통수판체(120)에 형성된 결합공과 대응결합되는 결합핀(129)을 개방된 상부의 모서리마다 각각 구비하고, 경사진 바닥경사면(131a)을 갖는 육면체상의 박스구조물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는 개방된 상부와 밀폐된 바닥면에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육면체상의 박스구주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다공성 배수영역(133a)을 형성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바닥면은 수평한 바닥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경사진 바닥경사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이격되는 경사진 바닥경사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재배부(110)로부터 자중방향으로 낙하되는 물은 상기 퇴비부의 내부 퇴비박스체에 채워진 퇴비에 낙하되어 스며들게 되고, 상기 퇴비에 스며드는 물은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133a)을 통하여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의 바닥 경사면(131a)으로 낙하된 다음 상기 바닥경사면의 일측단에 함몰형성되는 집수로(131b)에 모아져 연결호스(13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 물저장탱크(151)에 모아져 저장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물저장탱크(151)에 모아지는 물은 미도시된 펌핑부재에 의해서 물보충라인을 통하여 상기 재배부에 순환공급되거나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필요로 하는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퇴비제조부에 수분으로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의 출입구(132)를 통하여 서랍식으로 진출입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는 상기 퇴비를 분할하여 저장하거나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퇴비를 분할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일정크기로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분할격벽(1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131)의 출입구로부터 외부인출되는 내부 퇴비박스체(133)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퇴비제조부에서 제조되는 퇴비를 채워 저장하게 되며, 상기 분할격벽에 의해서 분할되는 서로 다른 저장공간에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퇴비를 각각 채워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퇴비부(130a)는 상기 저수부와 마찬가지로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는 재배부(110)와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사이에 배치됨에 따라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재배부(110)에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퇴비제조시 발생되는 열에 의해서 재배부의 배양토가 건조되어 수분조건을 열악하게 하여 식재된 식물을 고사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퇴비부(130a)와 퇴비제조부(140)사이에는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이 퇴비부(130a)를 통하여 재배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단열재(138)를 배치하여 구비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퇴비부와 퇴비제조부사이에 공기가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스페이서에 의해서 일정크기의 간격을 형성하여 공간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부는 퇴비부(130a)에서 퇴비화되는 대상물에 따라 퇴비화시 발생하는 발열에 의해서 재배부에서의 식물성장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도록 그 간격을 설정하거나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퇴비제조부에서 퇴비화되는 대상물이 음식물일 경우 대략 50cm, 목재톱밥의 경우 1m 의 간격을 두고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간부는 식물재배시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구를 보관하거나 아쿠아포닉의 설치시 필요로 하는 구성이 배치되어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부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물, 미생물 및 양분을 선순환 공급하는 아쿠아포닉 농법을 구현할 수 있도록 물이 채워지고, 채워진 물에 어류가 서식하는 아쿠아포닉용 저수탱크(138a)로 대체될 수 있다.
상기 퇴비제조부(140)는 상기 통수판체(120)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110)와 퇴비부(130a)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고,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대략 육면체상의 모듈박스(144)를 포함하고, 이러한 모듈박스(144)의 내부공간에는 제1실시예에 마찬가지로 복수개의 퇴비모듈(141,142,143)을 다층으로 적층하여 내장설치함에 따라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이하 생략한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100,100a)는 모듈박스(144) 내부에 다층으로 적층된 제1,2 및 3 퇴비모듈(141,142,143)에서 퇴비원료를 퇴비화하고,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낙하이동시킨 다음 수거하여 재배부에 식재된 식물에 윗거름으로 공급되거나 상기 퇴비부(130a)에 아랫거름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먼저 도 8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모듈박스의 최하층에 구비되는 제3퇴비모듈(143)의 제3모듈박스체(143a)를 외부로 당기어 인출함으로써, 외부인출되는 제3모듈박스체의 내부에서 퇴비화된 퇴비는 상기 재배부의 윗거름 또는 상기 퇴비부의 아랫거름으로 공급하거나 별도의 퇴비저장탱크(153)에 저장하여 보관하도록 배출한다.
이어서, 도 8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퇴비가 배출된 제3모듈박스체(143a)를 제2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재삽입함으로써 상기 제3모듈박스체는 상기 제2퇴비모듈(142)의 제2모듈박스체(142a) 직하부에 위치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2퇴비모듈과 제3퇴비모듈사이에 개재되는 제2차단판(142b)을 외측으로 당기어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내부에서 일정시간 동안 머물면서 퇴비화된 퇴비원료는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상기 제3모듈박스체의 내부 빈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3모듈박스체의 외부배출시까지 일정시간동안 저장되면서 퇴비화되는 반면에,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내부는 비워져 빈공간으로 전환된다.
연속하여, 도 8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으로 당기어진 제2차단판(142b)은 상기 모듈박스(144)의 슬릿(145a)을 통하여 재진입되어 퇴비의 낙하배출을 위해서 개방되었던 제2모듈박스체(142a)의 하부를 차단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제1퇴비모듈(141)과 제2퇴비모듈(142)사이에 개재되는 제1차단판(141b)을 외측으로 당기어 상기 제1퇴비모듈의 제1모듈박스체(141a)의 하부를 개방하게 되면, 상기 제1모듈박스체에서 일정시간 동안 퇴비화된 퇴비원료는 자중에 의해서 낙하되어 상기 제2모듈박스체(142a)의 빈공간에 채워져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하부개방에 의한 낙하배출시까지 일정시간동안 저장되면서 퇴비화되는 반면에,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내부는 비워져 빈공간으로 전환된다.
이때,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상기 제1차단판(141b)의 안내이동을 위해서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부안내레일에 걸리어 자중방향으로의 낙하를 방지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도 8d 와 도 8e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퇴비원료가 낙하배출되어 내부가 비워진 제1모듈박스체(141a)는 제1출입구(144a)를 통하여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배출되어 퇴비낙하를 위해서 외측으로 당기어진 제1차단판(141b)의 상부면에 올려지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새로운 퇴비원료를 발효제 또는 미생물과 더불어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의 내부공간에 일정량 채운 다음, 상기 제1모듈박스체(141a)는 제1차단판과 더불어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재삽입되어 제1,2 및 3퇴비모듈이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정렬배치된 상태에서 각 퇴비모듈의 내부에 채워진 퇴비원료를 퇴비화하여 퇴비를 제조하게 된다.
이때, 상기 퇴비제조부에서의 퇴비제조시 발생하는 열은 상기 저수부 또는 퇴비부에 의해서 재배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여 상기 재배부에 식재된 식물이 열에 의해서 고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10 : 재배부
112 : 재배박스체
114 : 토낭부
120 : 통수판체
121 : 결합공
122 : 외측프레임
123 : 연결대
124 : 다공성 배수영역
130a : 저수부
130 : 퇴비부
131 : 외부 퇴비박스체
132 : 출입구
133 : 내부 퇴비박스체
136 : 저수조
140 : 퇴비제조부
141 : 제1퇴비모듈
141a : 제1모듈박스체
141b : 제1차단판
142 : 제2퇴비모듈
142a : 제2모듈박스체
142b : 제2차단판
143 : 제3퇴비모듈
143a : 제3모듈박스체
144 : 모듈박스
144a,144b : 제1,2출입구
145a : 슬릿

Claims (15)

  1.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져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물이 수집되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과하는 식물의 뿌리에 공급되는 물이 저장되는 저수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저수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2. 식물의 뿌리가 착근되어 성장할 수 있도록 일정량의 배양토가 채워지는 재배부 ;
    상기 재배부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면서 상기 배양토에 공급되는 물이 자중방향으로 투과하여 배수되는 통수판체 ;
    상기 통수판체에 의해서 개방된 상부가 덮어지고,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상기 배양토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뿌리에 영양분을 공급하도록 일정량의 퇴비가 채워져 저장되는 퇴비부 ; 및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재배부와 퇴비부가 상하적층된 구조물이 올려지는 모듈박스를 갖추고,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다층으로 내장설치되는 복수개의 퇴비모듈을 갖추어 상기 복수개의 퇴비모듈에서 퇴비화되는 퇴비원료를 순차적으로 자중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퇴비를 제조하는 퇴비제조부;를 포함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제조부는 일정량의 퇴비원료가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발효제에 의해서 상기 퇴비원료를 1차 발효시키는 제1퇴비모듈과, 상기 제1퇴비모듈에서 1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채워지는 공간을 갖추어 퇴비원료를 2차 발효시키는 제2퇴비모듈 및 상기 제2퇴비모듈에서 2차 발효된 퇴비원료를 자중방향으로 공급받아 외부로 배출하는 제3퇴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제1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는 제1모듈박스체와, 상기 제1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제1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1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상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1판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하부가 개방되어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제2모듈박스체와, 상기 제2모듈박스체의 개방된 하부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내부공간을 차단하거나 개방하여 퇴비가 낙하되는 통로를 차단하거나 개방하도록 상기 모듈박스의 외부면에 개구형성된 슬릿을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안내이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차단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차단판은 상기 모듈박스의 서로 마주하는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하부안내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사각판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차단판의 외측단에는 모듈박스의 외부로 노출되는 제2판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퇴비모듈은 상기 모듈박스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제2출입구를 통하여 모듈박스의 내부로 진출입되고, 상부는 개방되고 바닥면은 밀폐되는 제3모듈박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돌출형성되거나 저수부 또는 퇴비부의 상부에 돌출형성되는 결합핀에 대응결합되는 결합공을 관통형성한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수판체는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함몰형성되거나 저수부 또는 퇴비부 상부에 함몰형성되는 결합홈에 대응결합되는 결합턱을 상,하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구비하거나 상,하부에 동시에 연장형성한 사각틀형상의 외측프레임과, 상기 외측프레임의 서로 마주하는 변사이를 연결하면서 다공성 배수영역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연결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수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통하여 낙하되는 물이 수집되어 저장되고, 일정량의 물이 채워지는 저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저수조는 물보충라인 및 물배수라인을 매개로 물저장탱크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재배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부는 상기 통수판체를 매개로 상기 재배부의 하부에 적층되는 외부 퇴비박스체와,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의 일측면에 개구형성된 출입구를 통하여 진출입되고, 상기 퇴비가 일정량 채워재 저장되는 내부 퇴비박스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퇴비박스체는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다공성 배수영역을 통하여 배수되는 수분을 수집할 수 있도록 일정각도 경사진 바닥경사면과, 상기 바닥경사면의 일측테두리에 함몰형성되는 집수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퇴비박스체는 퇴비가 분할저장되는 분할공간을 형성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분할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KR1020170052472A 2017-04-24 2017-04-24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KR1019410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72A KR101941091B1 (ko) 2017-04-24 2017-04-24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72A KR101941091B1 (ko) 2017-04-24 2017-04-24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037A true KR20180119037A (ko) 2018-11-01
KR101941091B1 KR101941091B1 (ko) 2019-04-12

Family

ID=64398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472A KR101941091B1 (ko) 2017-04-24 2017-04-24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09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66865A (zh) * 2020-08-25 2021-01-05 南县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芦竹栽种装置
WO2021077172A1 (en) * 2019-10-25 2021-04-29 Mohong Xu A soil barrier biosphere composter
KR20210048878A (ko) * 2019-10-24 2021-05-04 추진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CN113105075A (zh) * 2021-04-14 2021-07-13 吉林建筑大学 一种装配式可移动太阳能仿生景观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7235B1 (ko) * 2019-11-01 2022-01-04 (주)휴엔 음식물 쓰레기를 이용한 식물재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561A (ja) * 1999-11-08 2001-05-15 Osamu Iwashita 生ゴミを用いる組立式プランター装置
KR200461259Y1 (ko) * 2009-11-26 2012-07-02 박희철 서랍형 새싹 재배기
KR20160077358A (ko) * 2014-12-22 2016-07-04 이승민 식물재배장치
KR20170031207A (ko) * 2014-07-15 2017-03-20 콜린 커드모어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8561A (ja) * 1999-11-08 2001-05-15 Osamu Iwashita 生ゴミを用いる組立式プランター装置
KR200461259Y1 (ko) * 2009-11-26 2012-07-02 박희철 서랍형 새싹 재배기
KR20170031207A (ko) * 2014-07-15 2017-03-20 콜린 커드모어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160077358A (ko) * 2014-12-22 2016-07-04 이승민 식물재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78A (ko) * 2019-10-24 2021-05-04 추진호 모듈형 버섯 재배 장치
WO2021077172A1 (en) * 2019-10-25 2021-04-29 Mohong Xu A soil barrier biosphere composter
CN112166865A (zh) * 2020-08-25 2021-01-05 南县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芦竹栽种装置
CN112166865B (zh) * 2020-08-25 2022-02-15 南县伟业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多功能芦竹栽种装置
CN113105075A (zh) * 2021-04-14 2021-07-13 吉林建筑大学 一种装配式可移动太阳能仿生景观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091B1 (ko)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091B1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JP6285927B2 (ja) あらゆる環境において可能な高収量植物生産用に改造された断熱輸送コンテナ
US421154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high grade fertilizer
US20170105368A1 (en) Hybrid Hydroponic Plant Growing Systems
CN105764329A (zh) 植物栽培系统、植物栽培装置及植物栽培方法
CN102823406A (zh) 一种基于日光温室大棚的有机小白菜周年工厂化快速生产方法
KR101818336B1 (ko) 뱃치형 수경재배조
KR20160136923A (ko) 이동식 청사료 및 식물 수경재배 시스템
KR101429350B1 (ko) 다단재배상을 이용한 유기농 인삼 연속재배시스템
KR101354706B1 (ko) 가정용 채소류 재배장치
CN207201753U (zh) 可自由拼装的鱼菜共生种植系统
KR102052395B1 (ko)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CN209498158U (zh) 全生命周期开放式鱼菜共生系统
DE102020134776B4 (de) Modulares System für Hydrokulturen für den Einsatz im Innenraum
CN112262819B (zh) 蚯蚓园艺作物立体种养结构
CN210746435U (zh) 多层次立体种植养殖复合大棚
CN209594555U (zh) 一种水产养殖系统
JP2022006917A (ja) 植物栽培方法
CN208144100U (zh) 改进的水耕装置调整结构
JPH07121190B2 (ja) 移動式作物栽培装置及び方法
JP2004222552A (ja) 簡易式養液栽培容器
CN109588344A (zh) 一种阳台生态养鸡装置
CN104521720B (zh) 设施有机韭黄种植装置
CN218244695U (zh) 用于密植的种植套装
CN109258336A (zh) 一种有机蔬菜种植及保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