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31207A -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31207A
KR20170031207A KR1020177003981A KR20177003981A KR20170031207A KR 20170031207 A KR20170031207 A KR 20170031207A KR 1020177003981 A KR1020177003981 A KR 1020177003981A KR 20177003981 A KR20177003981 A KR 20177003981A KR 20170031207 A KR20170031207 A KR 20170031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tower
tube assembly
compost
s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3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콜린 커드모어
조엘 바우채트 그랜트
Original Assignee
콜린 커드모어
조엘 바우채트 그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린 커드모어, 조엘 바우채트 그랜트 filed Critical 콜린 커드모어
Publication of KR20170031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120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21/00Methods of fertilising, sowing or plant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3Multi-tiered plant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5Units comprising two or more connected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09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stackable or joined together one-upon-the-other in the upright or upside-down position
    • B65D21/0215Containers with stacking feet or corn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1/00Nestable, stackable or joinable containers; Containers of variable capacity
    • B65D21/02Containers specially shaped, or provided with fittings or attachments, to facilitate nesting, stacking, or joining together
    • B65D21/0235Containers stackable in a staggered configuration
    • C05F17/0205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05Treatments involving invertebrates, e.g. worms, flies or maggo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07Small-scale devices without mechanical mean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 e.g. garden compost b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14Portable or transportable devices, e.g. transport containers or tru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5Devices in which the material is conveyed essentially vertically between inlet and dischar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7/00Preparation of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biological or biochemical treatment steps, e.g. composting or fermentation
    • C05F17/90Apparatus therefor
    • C05F17/964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 C05F17/971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 C05F17/986Constructional parts, e.g. floors, covers or doors for feeding or discharging materials to be treated; for feeding or discharging other material the other material being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9/00Fertilisers from household or town refuse
    • C05F9/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141Feedstock
    • Y02P20/145Feedstock the feedstock being materials of biologica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otan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 Fertilizer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내부 수직 퇴비화 능력을 갖는 확장 가능한 모듈식 타워 재배기와, 이를 조립하고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 및 베이스 상에 타워를 형성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을 포함하고, 특히 타워를 베이스에 연결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선택적 베이스 링을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선택 가능한 높이의 퇴비 튜브 조립체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며 베이스 위에서 타워의 내부에 장착되는 복수의 천공된 적층 가능 튜브부가 제공된다. 복수의 유지 지주는 퇴비 튜브 조립체를 타워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워에 대하여 퇴비 튜브 조립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된다.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의 회수 및 시스템으로의 재유입을 위한 퇴비 재료의 선택적인 회수를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MODULAR COMPOSTING GARD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4년 7월 15일에 출원된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62/024,741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을 본원에 참조로 포함하며, 이 출원의 정규 출원이다. 본 출원은 또한 2012년 9월 7일에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3/606,803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이 출원을 본원에 참조로 포함하며, 이 출원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연방정부 지원 연구개발과 관련된 진술
해당사항 없음
기술분야
본 발명은 원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 수직 퇴비화 튜브를 갖는 정원 타워 재배기(planter) 형태의 용기 원예에 관한 것이다.
용기 원예가 잘 알려져 있다. 거의 모든 식물은 적절한 재배 조건이 주어질 때 용기 내에서 재배될 수 있다. 식물은 토양을 보유하고 적절한 배수를 허용할 수 있는 어떤 것에서도 재배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용기를 선택하는 데에 사용되는 기준은, 용기가 적절한 배수를 위한 홀을 가질 것과 용기가 재배될 성숙 식물에 필요한 최소량의 토양을 보유하기에 충분히 클 것을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용기 내에서 식물을 재배하는 데에 있어 가장 큰 단점은 급수 및 비료 공급의 유지보수 요건이다.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우아하게 극복하고 내부 수직 퇴비화 능력을 갖는 확장 가능 모듈식 타워 재배기의 형태의 다른 이점을 제공하는 신규한 원예 재배기가 제공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 원통형 측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를 갖는 중공형, 수직, 외측 원통형 배럴이 제공된다. 또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그 원통형 벽에 형성되는 복수의 천공을 갖는 중공형 내측 원통형 튜브가 제공된다. 내측 튜브 및 배럴 벽 사이의 공간은 배양토와 같은 육성 배지로 채워지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될 수 있다. 내측 튜브는 퇴비 재료로 채워질 수 있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벌레가 내측 튜브 퇴비 재료에 추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매일 물이 내측 튜브 및 배럴에 추가될 수 있다. 식물이 외측 배럴측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제거 가능 용기는 튜브 및 배럴의 바닥에 위치될 수 있으며, 용기는 튜브 및 배럴로부터 배수되는 물을 포집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된다. 배수는 통상적으로 영양분이 풍부할 것이며, 예를 들어, 매일 내측 튜브 내로 다시 쏟아질 수 있다. 이렇게 하여, 퇴비 재료의 일부분이 건강한 식물을 신속하게 재배하기 위한 유기 "벌레 차(worm tea)" 비료로 변환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정원 식물이 재배될 수 있는 수직 외부 챔버 내에 내부 수직 천공 챔버가 제공된다. 내부 챔버는 이러한 또는 다른 식재 환경에서 회수되어 사용될 수 있는 퇴비를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은 동시 계속 중인 미국 특허 출원 번호 13/606,803에 설명된 출원인의 종래의 정원 타워에 비하여 다양한 개선점을 제공한다. 출원인의 종래의 정원 타워는 배럴 내부에서 동심으로 위치된 퇴비 튜브를 갖는 외측 원통형 배럴을 제공한다. 개시된 바와 같은 배럴 및 튜브는 하나의 크기였다. 본 정원 타워 실시예는 상이한 크기를 갖는 정원 타워를 제공하도록 적층될 수 있는 모듈식 배럴 및 튜브부의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다양한 부분이 분해되어 보다 효율적인 패키징, 선적, 보관 및 소매 진열을 위해 시스템의 체적을 크게 줄이는 소형 적층체 내에 함께 내재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 선택 가능한 높이의 타워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고 베이스 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으로서, 타워는 타워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양을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내부와, 제1 내부로부터 이를 통한 식물의 재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 선택 가능한 높이의 퇴비 튜브 조립체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고 베이스 위에서 타워의 제1 내부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로서, 퇴비 튜브 조립체는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퇴비 재료를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내부와, 제2 내부로부터의 이를 통한 벌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2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 퇴비 튜브 조립체를 타워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워에 대하여 퇴비 튜브 조립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복수의 유지 지주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이 제공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거 가능 서랍을 포함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의 바닥 아래에서 베이스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타워를 베이스와 연결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바닥 링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닥 링은 퇴비 튜브 조립체를 베이스와 연결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베이스와 연결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를 덮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 선택 가능한 높이의 타워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며 베이스 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으로서, 타워는 타워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양을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내부와, 제1 내부로부터 이를 통한 식물의 재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 선택 가능한 높이의 퇴비 튜브 조립체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며 베이스 위에서 타워의 제1 내부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로서, 퇴비 튜브 조립체는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퇴비 재료를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내부와, 제2 내부로부터의 이를 통한 벌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2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 퇴비 튜브 조립체를 타워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타워에 대하여 퇴비 튜브 조립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복수의 유지 지주를 포함하고,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가 제공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거 가능 서랍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의 바닥 아래에서 베이스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타워를 베이스와 연결하는 바닥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퇴비 튜브 조립체를 베이스와 연결하는 바닥 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베이스와 연결되며 베이스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레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를 덮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택 가능한 높이의 타워에 맞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을 제거 가능하게 조립하고 베이스 위에 타워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타워는 타워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양을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내부와, 제1 내부로부터 이를 통한 식물의 재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 외면을 포함하는, 단계;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를 선택 가능한 높이의 퇴비 튜브 조립체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하고 베이스의 위에서 타워의 제1 내부 내에 퇴비 튜브 조립체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퇴비 튜브 조립체는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퇴비 재료를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내부와, 제2 내부로부터의 이를 통한 벌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2 외면을 포함하는, 단계; 및 퇴비 튜브 조립체를 타워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퇴비 튜브 조립체를 복수의 유지 지주로 타워에 대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타워 및 베이스와 접속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바닥 링으로 타워를 베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퇴비 튜브 조립체 및 베이스와 접속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바닥 링으로 퇴비 튜브 조립체를 베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제1 내부를 토양으로 실질적으로 충전하는 단계; 퇴비 재료를 제2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벌레를 제2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제1 개구를 통하여 복수의 식물을 토양에 식재하는 단계; 및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에 물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베이스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 다시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베이스로부터 스크린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퇴비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이 퇴비 튜브 조립체의 바닥을 통하여 퇴비 튜브 조립체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요약은 예시적인 것일 뿐이며, 포괄적이거나 한정적인 것으로 여겨지지 않는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른 양태, 목적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 개시 및 첨부된 청구범위를 검토하는 것에 의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정원 용기 및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예시적인 정원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정원 용기 단면도의 사시도이고, 도 3b은 그 일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정원 타워의 저면도이다.
도 5는 퇴비 튜브 캡 없이 도시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정원 타워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정원 타워 베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예시적인 정원 타워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베이스 서랍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베이스 필터 스크린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바닥 링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예시적인 바닥 링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예시적인 바닥 링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위치 탐지기를 갖는 예시적인 상부 링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예시적인 상부 링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예시적인 상부 링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3의 예시적인 상부 링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예시적인 상부 링의 저면도이다.
도 18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중앙 튜브부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예시적인 중앙 튜브부의 평면도이다.
도 20은 도 18의 예시적인 중앙 튜브부의 저면도이다.
도 21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중앙 튜브 캡의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예시적인 중앙 튜브 캡의 측면도이다.
도 23은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유지 지주의 측면도이다.
이제 발명자에 의해 고려된 임의의 최선의 실시예를 포함하는 일부 구체적인 예시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참조한다.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의 예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다.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인 실시예와 함께 설명되지만, 이는 본 발명을 설명되거나 도시된 실시예에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 변형물 및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후술하는 설명에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상세가 제시된다.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들 특징 또는 구체적인 상세 중 일부 또는 모두 없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본 발명의 양태를 불명료하게 하지 않기 위해 당업자에게 잘 알려진 부품 및 절차는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명확화를 위해 다양한 기법 및 기구가 때로는 단수 형태로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일부 실시예는 기법 또는 다수의 부품, 기구, 등의 다수의 반복을 포함할 수 있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본원에 도시되고 설명된 방법의 다양한 단계는 반드시 제시된 순서로 수행되거나 특정 실시예에서 모두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방법의 일부 구현예는 도시되거나 설명된 단계에 비하여 많거나 적은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원에 설명된 예시적인 기법 및 기구는 때로는 둘 이상의 항목 또는 실체 간의 연결, 관계 또는 통신을 설명할 것이다. 다양한 다른 실체 또는 과정이 임의의 2개의 실체 사이에 존재하거나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체 간의 연결 또는 관계가 반드시 직접적이고 방해 없는 연결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결과적으로, 달리 언급되지 않는다면, 제시된 연결은 반드시 직접적이고 방해 없는 연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제 동일한 요소를 동일한 부호로 나타낸 도면을 상세하게 참조하면, 모듈식 내측 동심 천공 원통형 퇴비 튜브 조립체(80)를 갖는 모듈식 수직 외측 원통형 배럴 조립체(10)를 포함하는 정원 타워(1) 형태의 예시적인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및 시스템이 도시된다. 도 1 내지 도 5 참조. 모듈식 배럴 조립체(10)는, 베이스(20)와, 베이스에 안착된 바닥 링(40)과, 바닥 링(40)에 적층된 하나 이상의 상부 링(60)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부 링(60)은 별도의 바닥 링(40) 없이 베이스(20)에 직접 안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위치될 수 있다.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는 복수의 튜브부(90)(도 18) 및 특정 실시예에서 캡(110)(도 21)을 포함할 수 있다. 모듈식 배럴 조립체(10)는 바닥(11) 및 상부(12)를 가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반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모듈식 배럴 조립체(10)의 종축은 바닥(11)의 중심으로부터 상부(12)의 중심으로 연장된다. 모듈식 배럴 조립체(10)는 링(40, 60)에 의해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13)을 가질 수 있다. 모듈식 배럴 조립체 상부(12), 바닥(11) 및 측벽(13)은 그 내부에 배럴 조립체 내부(14)를 형성한다.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는 배럴 조립체 내부(14) 내에 동심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는 튜브부(90)(도 18)로부터 형성되는 원통형 측벽(82)이 개방 상부(83)로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개방 바닥(81)을 가질 수 있고, 퇴비 튜브(80)는 예를 들면 전반적으로 원통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이며, 퇴비 튜브(80)의 종축은 퇴비 튜브 조립체의 바닥(81)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수직이다. 퇴비 튜브 조립체 상부(83), 바닥(81) 및 측벽(82)은 퇴비 튜브 조립체 내부(84)(도 3a)를 형성한다. 그런 다음, 퇴비 튜브 조립체 상부(83)는, 예를 들어, 파리를 막기 위한 제거 가능 캡(110) 등에 의해 씌워질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모듈식 배럴 조립체(10)는 베이스(20)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바닥 링(40)을 포함할 수 있어, 바닥 링(40)과, 바닥 링(40)에 적층되는 하나 이상의 상부 링(60)과, 이와 연결되는 퇴비 튜브 조립체(80)(종합적으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원 용기(1)의 상부(300))는 모두, 화살표(310)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20)에 대하여 그 종축을 중심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또한, 화살표(310)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정원 용기(1)가 코너에 위치될 때, 그 완전한 둘레에 접근하도록 사용자가 정원 용기(1)의 상부(300)를 회전시키도록 한다. 도 3a, 도 6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링(40)은 바닥 링(40)에 형성된 상부 홈(220)과 회전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면서 베이스(20)에 형성된 하부 홈(200)과 회전 또는 슬라이드 가능하게 접촉하는 복수의 볼 베어링(210) 또는 다른 회전 가능 또는 슬라이드 가능 부재에 의해 베이스(20)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6 및 도 10은 각각 하부 홈(200) 및 상부 홈(220)에 위치된 몇몇의 볼 베어링(210)만을 도시하지만, 정원 용기(1)가 조립될 때, 상부 및 하부 홈(200, 220) 사이의 전체 공간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볼 베어링(210) 또는 다른 회전 가능 또는 슬라이드 가능 부재로 채워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에 주의한다.
보다 상세하게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배럴 조립체 베이스(20)는 하나 이상의 측벽(23)이 베이스 상부(22)로 수직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바닥(21)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20)는 예를 들면 전반적으로 원통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이고, 베이스(20)의 종축은 베이스(20)의 바닥(21)에 대하여 전반적으로 수직이고, 베이스 조립체 바닥(21), 상부(22) 및 측벽(23)은 그 내부에 베이스 내부(24)를 형성한다. 베이스 측벽(23)은 그 내부에 복수의, 예를 들어, 3개 또는 4개의, 바람직하게는 등간격으로 이격된 수직 노치(26)가 형성된 외면(25)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노치(26)는 배럴 조립체 발(15)을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상부(22)는 베이스 내부(24) 내의 캐비티(28) 내로 개방된 개구(33)를 갖는 융기된 중앙 환형부(27)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 상부 중앙 환형부(27)는 퇴비 튜브 조립체 바닥(81)을 수용할 수 있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상부(22)는 또한 상방 연장 둘레 플랜지(29)를 가질 수 있다. 배럴 측벽(13)의 바닥은 베이스 상부 둘레 플랜지(29) 위에 끼워지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위치될 수 있다. 베이스 측벽(23)은 베이스 내부 캐비티(31) 내로 연장되는 반경 방향 개구(30)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20)는 베이스 측벽 반경 방향 개구(30)를 통하여 베이스 내부 캐비티(31) 내로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상부 개방 서랍(32)(도 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0)는 서랍(32) 위에서 반경 방향 개구(30)를 통하여 베이스 내부 캐비티(31) 내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 가능한 스크린 요소(34)(도 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2에서 가장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바닥 링(40)은 모듈식 배럴 조립체(10)의 최하 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모듈식 배럴 조립체(10)를 베이스(20)와 접속시킬 수 있다. 바닥 링(40)은 바닥(41), 개방 상부(42) 및 바닥(41)으로부터 상부(42)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43)을 갖는 예를 들면 전반적으로 원통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닥(41), 상부(42) 및 측벽(43)은 그 내부에 베이스 링 내부(44)를 형성한다. 바닥 링 측벽(43)은 바닥 링 측벽의 상부 에지(46)를 따라 복수의 전반적으로 원주 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45)를 가질 수 있다. 각 돌출부(45)는 립(lip)(4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바닥 링 바닥(41)은 복수의 천공(48), 중앙 환형 채널(52) 및 환형 채널(52)에 의해 형성되는 중앙 개구(49)를 가질 수 있다. 중앙 개구(49)는 하방 연장 원통형 슬리브(50)를 가질 수 있다. 바닥 링 슬리브(50)는 베이스 상부 중앙 환형부(27)와 계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위치될 수 있다. 바닥 링 내부(44)는 예를 들면 바닥 링 바닥(41)으로부터 바닥 링 측벽(43)을 따라 바닥 링 상부(42)로 연장되는 중공형 계합 실린더(51)를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제1 계합 부재(51)를 가질 수 있다. 제1 계합 부재(51)는 각각 측벽(43)에 인접하게 바닥 링 측벽 돌출부(4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에서 가장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상부 링(60)은 모듈식 배럴 조립체(10)의 실질적인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부 링(60)의 개수는 정원 타워(1)의 전체 높이를 결정하도록 달라질 수 있다. 제1 상부 링(60)은 바닥 링(40)(또는 베이스(20))에 안착될 수 있고, 각 후속하는 상부 링(60)은 이전에 설치된 상부 링(60)에 안착될 수 있다. 각 상부 링(60)은 바닥(61), 개방 상부(62) 및 바닥(61)으로부터 상부(62)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63)을 갖는 예를 들면 전반적으로 원통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바닥(61), 상부(62) 및 측벽(63)은 그 내부에 상부 링 내부(64)를 형성한다. 각 상부 링 측벽(63)은 상부 링 측벽(63)의 상부 에지(66)를 따라 복수의 전반적으로 원주 방향 외측 연장 돌출부(65)를 가질 수 있다. 각 돌출부(65)는 립(67)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각 상부 링 바닥(61)은 그 내부에 형성되는 중앙 환형 개구(68)를 가질 수 있다. 개구(68)의 직경은 실질적으로 상부 링(60) 자체의 직경의 75% 이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대략 75% 이상일 수 있다.
각 상부 링 내부(64)는 예를 들면 상부 링 바닥(61)으로부터 상부 링 측벽(63)을 따라 상부 링 상부(62)로 연장되는 중공형 계합 실린더(71)를 포함할 수 있는 복수의 제2 계합 부재(71)를 가질 수 있다. 제2 계합 부재(71)는 각각 측벽(63)에 인접하게 상부 링 측벽 돌출부(6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각 상부 링 바닥(61)은 또한 하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계합 요소(72)를 가질 수 있다. 각 계합 요소(72)는, 예를 들면, 돌출부(65) 아래의 바닥(61) 및 측벽(63) 사이에서 접합점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각 상부 링 바닥(61)은 또한 계합 요소(72)로부터 반경 방향 라인 상에 바닥 중앙 개구(68)의 둘레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작은 개구(73)와 같은 복수의 유지 요소(73)를 가질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0으로부터 가장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는 복수의 튜브부(90) 및 캡(110)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튜브부(90)의 개수는 바닥 링(40) 및 상부 링(60)의 조합된 개수에 대응할 수 있다. 각 튜브부(90)는 개방 바닥(91), 개방 상부(92) 및 바닥(91)으로부터 상부(92)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93)을 갖는 예를 들면 전반적으로 원통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닥(91), 상부(92) 및 측벽(93)은 그 내부에 튜브부 중공형 내부(94)를 형성한다. 각 튜브부 측벽(93)은 그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개구(95)를 가질 수 있다. 각 튜브부 측벽(93)은 그 내부에 형성된 바닥 측벽부(97)를 가질 수 있으며, 바닥 측벽부(97)는 메인 측벽(93)에 비하여 큰 직경을 갖는다. 바닥 측벽부(97)의 보다 큰 직경은 인접한 튜브부(90)의 튜브부 측벽(93)의 상부 에지(96)를 수용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갖고 위치되는 환형 채널(98)을 형성할 수 있다.
각 튜브부 바닥(91)에서, 튜브부 바닥 측벽부(97)는 반경 방향 외측 돌출 링 플랜지(100)에서 종결할 수 있다. 각 링 플랜지(100)는 상면(101) 및 바닥면(102)을 가질 수 있다. 각 링 플랜지는 또한 상부 및 바닥면을 통하여 연장되는 복수의 등간격으로 이격된 개구(103)를 가질 수 있다.
최저 튜브부(90)는 바닥 링(40)에 위치될 수 있으며, 최저 튜브부 링 플랜지(100)는 바닥 링 중앙 환형 채널(52) 내에 안착되고, 튜브부 바닥 측벽부 환형 채널(98)은 바닥 링 중앙 환형 채널(52) 및 중앙 개구(49)를 형성하는 바닥 링 중앙 환형 채널 가장 안쪽 반경 방향 릿지(ridge)(53) 위에 끼워질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각 정원 타워(1)는 퇴비 튜브 조립체 캡(110)을 구비할 수 있다. 캡(110)은 개방 바닥(111), 폐쇄 상부(112) 및 바닥(111)으로부터 상부(112)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측벽(113)을 갖는 예를 들면 전반적으로 원통형 형상(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바닥(111), 상부(112) 및 측벽(113)은 그 내부에 캡 중공형 내부(114)를 형성한다. 환형 채널(115)은 캡 바닥(111)에 인접하게 캡 측벽(113)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통공(116)이 캡 상부(112) 가까이에서 채널(115) 위의 측벽(113)에 형성될 수 있다. 캡(110)은 최상 튜브부(90) 내에 삽입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위치될 수 있으며, 캡 측벽 바닥(111)은 튜브부 상부(92)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다. 캡 측벽 채널(115)은 튜브부 내부(94)와 계합할 수 있다. 캡 측벽(113)의 나머지는 튜브부 상부(92)에 안착할 수 있다.
도 5 및 도 23을 참조하면, 2개의 단부(6, 7)를 갖는 선형 유지 지주(5)가 도시되며, 각 단부는 파지 가능 요소(8), 예를 들어, 대략 90도 하방 요소(8)에서 종결한다. 각 지주는 상부 링 유지 개구(73)에 삽입되는 일단(6 또는 7) 및 대응하는 튜브부 링 플랜지 개구(103)에 삽입되는 타단(7 또는 6)을 갖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위치될 수 있다. 이렇게 대응하는 개구(73, 103)에 삽입된 복수의 지주(5)는 정원 타워(1)에 대해 횡방향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고,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를 모듈식 배럴 조립체(10) 내에서 동심으로 보유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적인 유지 지주(5)가 도 5 및 도 23에 도시되지만, 복수의 유지 지주(5)가 퇴비 튜브 조립체(80)를 정원 타워(1)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퇴비 튜브 조립체(80)를 모듈식 수직 외측 원통형 모듈식 배럴 조립체(10)와 연결하는 것에 의해 퇴비 튜브 조립체(80)를 타워(1)에 대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면, 유지 지주(5)는 임의의 적합한 기하학적 구조 또는 기계적 특성을 갖는 임의의 적합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 실시예(미도시)에서, 유지 지주(5)는 복수의 집-타이(zip-tie), 와이어 또는 예를 들어, 휠의 스포크와 같이, 상부 링 유지 개구(73) 및 대응하는 튜브부 링 플랜지 개구(103) 사이에 부착될 수 있고 반경 방향 장력을 가할 수 있는 다른 유연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된 부품 또는 단편 중 임의의 것에 대해, 예를 들면, 임의의 적합한 중합체 또는 금속, 또는 테라코타, 세라믹, 콘크리트 또는 목재와 같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원에 개시된 임의의 구조는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해 제조될 수 있고, 고체 또는 중공형일 수 있다. 볼 베어링(210)은 스틸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재료일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40, 60), 베이스(20) 및 튜브부(90)에 대해 전반적으로 둥근 원통형 외측 프로파일을 갖지만, 대안적으로, 이들 부품 중 임의의 것 또는 모두가 (도 5와 같은 상부 평면도에서 볼 때) 정사각형, 직사각형, 팔각형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외측 프로파일과 같은 임의의 다른 적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사용 시, 정원 타워(1) 형태의 예시적인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및 시스템은, 베이스(20)를 제공하고, 특히 베이스(20)와 접속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바닥 링(40)을 선택적으로 포함하는 임의의 적합한 개수의 링(60)을 수직으로 적층하는 것에 의해, 다수의 상이한 높이 중 임의의 높이로 모듈식으로 조립될 수 있다. 각 링(40 또는 60)이 적층되고 계합 부재(71) 및 본원에 설명된 요소(72)와 같은 부착 수단으로 함께 제거 가능하게 고정됨에 따라,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가 또한 튜브부(90)를 적층하고 함께 제거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단계적으로 조립되며,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가 마찬가지로 링(60) 내에서 동심으로 베이스(20) 또는 바닥 링(40)에 적층된다. 각 링(40 또는 60)이 함께 적층되고 각 튜브부(90)가 그 내부에 함께 적층됨에 따라, 각 튜브부(90)는 각 튜브부(90)의 둘레 주위로 등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는 복수의 연결 지주(5)에 의해 수직 대응 링(40 또는 60)과 반경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추가적인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레그(15)가 베이스(20)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게 설치될 수 있다. 베이스 서랍(32)이 베이스(20)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스크린 요소(34)가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의 바닥 및 베이스 서랍(32) 사이에서 베이스(20)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캡(110)이 최상 튜브부(90)에 제거 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할 수 있듯이, 상술한 단계 모두는, 예를 들면, 도구 없이 손으로, 모듈식 시스템(1)을 반복적으로 조립 및 분해하기 위해 반대로 수행될 수 있고 반복될 수 있다.
분해 시,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및 시스템(1)의 다양한 부품은 최대 밀도 및 최소 체적을 위해 내재 방식으로 수직으로 적층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링(60) 및 튜브부(90)는 동일한 부품 내에 적층하기 위해 그 수직 축을 따라 테이퍼진 얇은 외벽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해된 단편 각각의 바닥은, 플라스틱 음료 컵의 적층체와 같이, 다른 이와 같은 분해된 단편의 상부 개구 내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위치될 수 있다. 이는 효율적 저장, 선적 및 소매 진열을 위한 소형 패키징을 용이하게 한다.
일단 조립되면,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는 채소 및 과일 부스러기와 같은 퇴비 재료로 채워질 수 있다. 한 컵의 벌레가 또한 추가될 수 있다. 배럴 측벽(13) 및 퇴비 튜브 조립체(80) 사이의 배럴 내부(14)는 배양토와 같은 육성 배지로 채워질 수 있다. 개시(starter) 식물이 링 돌출부(45, 65)의 각각의 내부에 추가될 수 있다. 물이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 및 모듈식 배럴 조립체(10)로 추가될 수 있다. 퇴비 튜브 측벽 개구(95)는 벌레가 퇴비 튜브(80) 및 배양토 사이로 이동하도록 한다. 벌레는 퇴비 재료를 먹어 뒤에 벌레 똥(영양분이 풍부한 배설물)을 남긴다. 사용되지 않은 물은 퇴비 벌레 똥을 통과하면서, "벌레 차(worm tea)"로 되고, 스크린 요소(34)를 통하여 베이스 서랍(32)내로 배수되어 생명 영양분을 수집한다. 벌레 차를 수용하는 베이스 서랍(32)은 그런 다음 개방되거나 제거될 수 있고, 벌레 차는 그런 다음 정상적인 물 공급 사이클로 이를 추가하는 것에 의해 모듈식 배럴 조립체(10)로 다시 유입될 수 있어, 식물용 유기 비료를 제공한다.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80)가 가득 채워지면, 사용자는 퇴비 튜브 조립체 바닥(81)에서 스크린 요소(34)를 제거하고, 회수될 수 있고 이러한 또는 다른 식재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는 원하는 양을 퇴비 튜브 바닥으로부터 서랍(32) 내로 강제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 퇴비의 일부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단지 응용의 예시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고안될 수 있다.

Claims (20)

  1. 베이스;
    선택 가능한 높이의 타워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으로서, 상기 타워는 상기 타워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양을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내부와, 상기 제1 내부로부터 이를 통한 식물의 재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
    선택 가능한 높이의 퇴비 튜브 조립체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 위에서 상기 타워의 상기 제1 내부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로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는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퇴비 재료를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내부와, 상기 제2 내부로부터의 이를 통한 벌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2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상기 타워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타워에 대하여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복수의 유지 지주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거 가능 서랍을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의 바닥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요소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를 상기 베이스와 연결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바닥 링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와 연결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상기 바닥 링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를 덮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8. 베이스;
    선택 가능한 높이의 타워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 위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으로서, 상기 타워는 상기 타워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양을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내부와, 상기 제1 내부로부터 이를 통한 식물의 재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
    선택 가능한 높이의 퇴비 튜브 조립체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되며 상기 베이스 위에서 상기 타워의 상기 제1 내부 내에 장착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로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는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퇴비 재료를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내부와, 상기 제2 내부로부터의 이를 통한 벌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2 외면을 포함하는,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상기 타워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타워에 대하여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복수의 유지 지주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수용하고, 저장하고, 이에 대한 접속을 제공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거 가능 서랍을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식 퇴비 튜브 조립체의 바닥 아래에서 상기 베이스 내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린 요소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를 상기 베이스와 연결하는 바닥 링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와 연결하는 상기 바닥 링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와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를 덮는 캡을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15. 선택 가능한 높이의 타워에 맞는 복수의 적층 가능 링을 제거 가능하게 조립하고 베이스 위에 상기 타워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타워는 상기 타워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토양을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내부와, 상기 제1 내부로부터 이를 통한 식물의 재배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1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1 외면을 포함하는, 단계;
    복수의 적층 가능 튜브부를 선택 가능한 높이의 퇴비 튜브 조립체로 제거 가능하게 조립하고 상기 베이스의 위에서 상기 타워의 상기 제1 내부 내에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장착하는 단계로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는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상부로부터 유입되는 퇴비 재료를 보유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내부와, 상기 제2 내부로부터의 이를 통한 벌레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제2 개구를 내부에 형성하는 제2 외면을 포함하는, 단계; 및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상기 타워와 제거 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복수의 유지 지주로 상기 타워에 대하여 견고하게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타워 및 상기 베이스와 접속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바닥 링으로 상기 타워를 상기 베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 및 상기 베이스와 접속하도록 크기 및 형상을 가지며 위치되는 바닥 링으로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상기 베이스와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부를 토양으로 실질적으로 충전하는 단계;
    퇴비 재료를 상기 제2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벌레를 상기 제2 내부에 위치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개구를 통하여 복수의 식물을 토양에 식재하는 단계; 및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에 물을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부터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상기 베이스로부터 제거하는 단계; 및
    토양 또는 퇴비 재료 또는 이 둘 모두로 다시 영양분이 풍부한 배수를 추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로부터 스크린 요소를 제거하는 단계; 및
    퇴비 재료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의 바닥을 통하여 상기 퇴비 튜브 조립체를 빠져나가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을 사용하는 방법.
KR1020177003981A 2014-07-15 2015-07-09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KR201700312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4741P 2014-07-15 2014-07-15
US62/024,741 2014-07-15
PCT/US2015/039628 WO2016010795A1 (en) 2014-07-15 2015-07-09 Modular compositing gard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1207A true KR20170031207A (ko) 2017-03-20

Family

ID=55078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3981A KR20170031207A (ko) 2014-07-15 2015-07-09 모듈식 퇴비화 정원 용기, 시스템,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3) US10506766B2 (ko)
EP (1) EP3169148B1 (ko)
JP (1) JP6556233B2 (ko)
KR (1) KR20170031207A (ko)
CN (1) CN106659127B (ko)
AU (1) AU2015290027B2 (ko)
CA (1) CA2955290C (ko)
DK (1) DK3169148T3 (ko)
ES (1) ES2836425T3 (ko)
IL (1) IL249770B (ko)
PL (1) PL3169148T3 (ko)
PT (1) PT3169148T (ko)
SG (1) SG11201704882PA (ko)
WO (1) WO20160107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37A (ko) * 2017-04-24 2018-11-01 최정심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42084B2 (en) 2014-02-20 2020-11-24 Affinor Growers Inc. Vertical growing tower for automated horticulture and agriculture
US10506766B2 (en) * 2014-07-15 2019-12-17 Colin Cudmore Modular composting gard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DE102015004112B3 (de) * 2015-03-31 2016-05-12 Manticore IT GmbH Säulenelement für eine Vorrichtung zum vertikalen Anbau von Pflanzen
SG10201508138PA (en) * 2015-09-30 2017-04-27 Aerospring Gardens Pte Ltd Aeroponic column
MA40728A (fr) * 2015-10-20 2017-06-13 Tower Garden Llc Appareil amélioré de culture hydroponique de plantes
EP3262925B1 (de) * 2016-06-27 2020-09-02 Schrämmli Landschaftsarchitektur GmbH Pflanzsäule
USD922250S1 (en) * 2016-07-01 2021-06-15 Green Roof Outfitters, LLC Green roof module
FR3054405B1 (fr) * 2016-08-01 2019-01-25 Thomas Colin Dispositif de culture compostage pour la valorisation des dechets organiques et la culture de plantes
CN106069309A (zh) * 2016-08-16 2016-11-09 杭州果攸生态环境科技有限公司 立体堆肥花盆
FR3061712B1 (fr) * 2017-01-11 2020-04-24 Sebastien Moreau Dispositif modulaire permettant de composter de maniere continue des dechets biodegradables.
WO2018132645A1 (en) * 2017-01-13 2018-07-19 Medal Technologies, LLC Compost bin
USD897890S1 (en) * 2017-10-25 2020-10-06 IGWorks, Inc. Aeroponics planter
SE541315C2 (en) * 2017-10-31 2019-06-25 Garcia Gil Maria Rosario Vertical growing system and use of such system for plant growing
FR3079385B1 (fr) * 2018-03-27 2020-08-07 Home Potager Dispositif de culture hors-sol a structure verticale et contenant pour plante
FR3079998B1 (fr) * 2018-04-17 2020-03-20 Pierre-Emmanuel Salmon Dispositif de recyclage de dechets organiques combinant compostage et culture de plantes
CA3110081A1 (en) * 2018-08-20 2020-02-27 Heliponix, Llc Rotary aeroponic apparatus and method
FR3087436A1 (fr) * 2018-10-23 2020-04-24 Alexander GUILBERT Dispositif pour traiter et recycler naturellement les dechets domestiques biodegradables en cultivant des plantes
CA186505S (en) * 2019-03-06 2020-07-08 Cobotix Mfg Inc Agricultural and horticultural growing tower
WO2021077172A1 (en) * 2019-10-25 2021-04-29 Mohong Xu A soil barrier biosphere composter
US11672215B2 (en) 2020-01-12 2023-06-13 Sentient Design, Inc. Aeroponic plant growing system
CA3107018A1 (en) * 2020-01-24 2021-07-24 Stem Cultivation, Inc. Cultivation vessel and assembly
CN112772207B (zh) * 2020-06-08 2022-04-12 井冈山农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生态农场农作物滴灌栽培装置
US11980145B2 (en) * 2020-11-17 2024-05-14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Drive assembly for rotating a grow tower in an indoor garden center
CN113728854B (zh) * 2021-09-06 2022-04-19 国家林业和草原局调查规划设计院 一种可伸缩的立体育苗装置
CN114073205B (zh) * 2021-11-17 2023-01-10 华东交通大学 零耗能零排放高效层叠式堆肥种植一体化家用装置
GB2620497A (en) * 2023-06-28 2024-01-10 Habitat Aquatics Ltd Underwater plant hold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55847B (it) * 1978-02-27 1987-01-28 Schmidt Maria Procedimento per la coltivazione a ciclo continuo di vegetali ed impianto verticale che realizza detto procedimento
US4756120A (en) * 1984-10-22 1988-07-12 Arledge James M Gravity feed hydroponic system
US5426922A (en) 1992-04-20 1995-06-27 Ideas In Motion, Inc. Bottle bagging apparatus
US5428922A (en) * 1994-01-24 1995-07-04 Johnson; Hugh A. Multi-tier garden planter with sectional tubs
US5438797A (en) * 1994-04-25 1995-08-08 Lendel; George Vertical planter
US5555676A (en) * 1994-11-03 1996-09-17 A.C.T., Inc. Vertical planter apparatus and method
KR100316370B1 (ko) * 1999-09-13 2001-12-22 변복구 작물의 공중채묘용 육묘장치
US6612073B1 (en) * 2001-11-09 2003-09-02 Gregory S. Powell Intensive plant growing stacking container system
US7043877B1 (en) * 2002-11-15 2006-05-16 Daugs, Ammon Stackable planter
US7055282B2 (en) * 2004-08-11 2006-06-06 Mb3, L.L.C. Hydroponic plant cultivating apparatus
US20080216403A1 (en) * 2007-03-07 2008-09-11 John Schmidt Stackable plant growing tower system
US7998728B2 (en) * 2009-04-27 2011-08-16 Ralph Rhoads Multiple tray vermicomposter with thermal siphon airflow
US9474214B2 (en) * 2011-09-08 2016-10-25 Colin Cudmore Composting garden container
US9521811B2 (en) * 2013-11-08 2016-12-20 Jack Steve Peterson Plant tower
CN106572639B (zh) * 2014-06-13 2020-05-12 格拉纳达自由时间股份有限公司 模块化容器和模块化灌溉系统
US10506766B2 (en) * 2014-07-15 2019-12-17 Colin Cudmore Modular composting gard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004186B2 (en) * 2014-10-08 2018-06-26 Jonas M Daugirdas Hydroponic planting tower with horizontal grow platform
DE102015004112B3 (de) * 2015-03-31 2016-05-12 Manticore IT GmbH Säulenelement für eine Vorrichtung zum vertikalen Anbau von Pflanzen
MA40728A (fr) * 2015-10-20 2017-06-13 Tower Garden Llc Appareil amélioré de culture hydroponique de plant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9037A (ko) * 2017-04-24 2018-11-01 최정심 모듈형 식물재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49770A0 (en) 2017-02-28
AU2015290027B2 (en) 2019-04-11
US20200068811A1 (en) 2020-03-05
CA2955290A1 (en) 2016-01-21
CN106659127A (zh) 2017-05-10
JP6556233B2 (ja) 2019-08-07
EP3169148B1 (en) 2020-09-09
JP2017529095A (ja) 2017-10-05
PT3169148T (pt) 2020-12-07
US9918436B2 (en) 2018-03-20
AU2015290027A1 (en) 2017-01-12
CA2955290C (en) 2022-11-29
IL249770B (en) 2019-06-30
US20170258015A1 (en) 2017-09-14
US20180220593A1 (en) 2018-08-09
CN106659127B (zh) 2020-11-10
PL3169148T3 (pl) 2021-06-28
US10506766B2 (en) 2019-12-17
ES2836425T3 (es) 2021-06-25
EP3169148A1 (en) 2017-05-24
WO2016010795A1 (en) 2016-01-21
SG11201704882PA (en) 2017-07-28
EP3169148A4 (en) 2018-03-07
DK3169148T3 (da) 2020-12-14
US10645883B2 (en) 2020-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5883B2 (en) Modular composting garden container, system, and method of use
US10264735B2 (en) Composting garden container
US5438797A (en) Vertical planter
JP2017529095A5 (ko)
US9468154B2 (en) Tower planter growth arrangement and method
JP2017538405A (ja) 垂直な水耕栽培タワー・アレイ固定システム
JP7193561B2 (ja) 水耕栽培ユニット
JP2008048640A (ja) 植物育成袋及びこの袋を懸架する支持スタンド並びにこの袋及び支持スタンドからなる植物育成装置
US20210092909A1 (en)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US9253949B2 (en) Plant cultivating pot
US20110289837A1 (en) Inverted Planter With Support
Rathinakumari et al. Vertical garden: Sky is the limit
KR200466148Y1 (ko) 채소 재배용 용기
KR100747515B1 (ko) 원예다농재배용 다단조립식 화분
JP3168954U (ja) 立体型植栽器
GB2406256A (en) Garden Planter
AU2011202756A1 (en) A Plant Growing Container and Methods of Use
AU2011202755A1 (en) Plant Growth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