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500A -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 Google Patents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500A
KR20180117500A KR1020170050689A KR20170050689A KR20180117500A KR 20180117500 A KR20180117500 A KR 20180117500A KR 1020170050689 A KR1020170050689 A KR 1020170050689A KR 20170050689 A KR20170050689 A KR 20170050689A KR 20180117500 A KR20180117500 A KR 201801175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shredding
information
authentication
shre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6624B1 (ko
Inventor
배종상
윤태규
백승찬
Original Assignee
(주)와우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우소프트 filed Critical (주)와우소프트
Priority to KR10201700506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624B1/ko
Priority to JP2020506697A priority patent/JP2020517452A/ja
Priority to CN201880018246.8A priority patent/CN110430940A/zh
Priority to PCT/KR2018/004388 priority patent/WO2018194328A2/ko
Priority to US16/605,742 priority patent/US20200384478A1/en
Publication of KR201801175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5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83Feed means us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91Feed chut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8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 G06K7/0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 G06K7/0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means detecting the change of an electrostatic or magnetic field, e.g. by detecting change of capacitance between electrodes using inductive or magnetic sensors flux-sensitive, e.g. magnetic, detect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23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reader and the record carrier being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reader and record carrier appearance, e.g. in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devices where the NFC device may function as an RFID reader or as an RFID ta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009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 G06K7/10366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sensing by radiation using wavelengths larger than 0.1 mm, e.g. radio-waves or microwaves the interrogation device being adapted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xi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120) 상부에 형성되는 급지대(121)와; 상기 케이스(120) 내에서 상기 급지대(121) 하부에 배치되어 투입된 문서를 세절하는 파쇄부(12)와; 상기 파쇄부(12)에서 절단된 폐문서 조각을 수납하는 수거함(125)을 구비하는 문서세단기(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문서세단기(10)가 문서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에 위치하고, 상기 문서세단기(10)에 네트워킹되어 문서를 관리하는 서버(2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20)는 문서세단기(10)로부터 파쇄요청문서의 문서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도록 되어 폐기문서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PAPER SHREDDING DEVICE WITH PAPER MANAGEMENT DEVICE}
본 발명은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문서파쇄장치에 문서파쇄 요청자를 인증하는 수단과 파쇄되는 문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문서파쇄장치와 네트워킹되는 문서관리장치에는 생성된 문서정보를 저장하여 상기 문서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문서 정보와 비교 판단하여 파쇄요청문서의 파쇄여부를 결정하여 파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폐기되는 문서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고, 또한, 폐기대상문서가 정상적으로 폐기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관리할 수 있게 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안을 필요로 하는 문서가 공식적인 허락이나 절차를 거치지 않고 외부로 누출됨으로써 다양한 보안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보안이 필요한 문서는 회사나 공공기관 등의 중요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재산 피해나 전략 노출과 같이 영업 및 사업상의 손실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회사나 공공기관은 조직원이 외부로 파쇄하는 문서에 대한 보안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며, 조직원에 대한 보안 교육을 증대시키고 있지만, 조직원에 대한 보안 교육만으로는 비정상적으로 문서가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문서를 파쇄하기 위한 일반적인 방법은 문서파쇄장치를 이용하여 문서를 파쇄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문서파쇄장치가 보급되었다.
일반적인 문서파쇄장치는 문서를 투입하면 즉시 파쇄가 이루어지게 되는 형태이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문서를 인식하고 선별할 수 있는 수단이 마련되지 아니하여 일단 문서가 투입되면, 즉시 세단 및 파쇄가 진행되는 것이다.
이러한 문서파쇄장치는 폐기되는 문서의 데이터, 또는 관련 정보, 예를들면 문자파쇄자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없어서, 폐기대상문서가 정상적으로 폐기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관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업무규정에 따라 일정기간 동안 보관된 대량의 문서는 폐기문서로 지정되어 폐기되어야 하는데, 폐기대상문서가 폐기되지 않고 보관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보관되고 있는 문서들을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관리상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폐기문서는 외주업체에 폐기처리가 의뢰되며, 외주업체는 폐기 처리되는 문서를 기록한 다음 폐기처리를 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문서가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할 여지가 있고,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정상적인 폐기가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정상적인 허가없이 문서가 파쇄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부주의로 인하여 문서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문서 세단기가 보급되었다.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 제10-1656073호 "문서 세단기의 보안 강화 장치"는 조도센서로 인증을 위한 신호를 생성하도록 설치되는 인증수단과, 설정된 조건에서 대상물이 커터를 바이패스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파쇄장치 및 상기 인증수단의 입력에 대응하여 파쇄장치에 대한 출력을 단속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서 세단기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인증수단은 사용자 영상 획득용 카메라와 신분증 독출용 카드리더를 더 구비하여 복수의 입력으로 인증을 처리하고, 상기 파쇄장치는 대상물의 내용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스캐너와, 대상물의 이송경로를 전환하도록 설치되는 파쇄대를 구비하면서, 바이패스 경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파쇄대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슈트와, 상기 슈트의 하단에 설치되어 바이패스된 대상물을 저장하는 보관함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부는 터치 스크린으로 입력된 키워드를 스캐너의 데이터와 대비하여 일치하는 경우 대상물의 바이패스를 유도하는 파쇄대를 구비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서 세단기의 보안 강화 장치는 얼굴인식 또는 사원증의 RFID 정보를 인식하여, 소속 사원임이 인증된 다음 일괄적인 문서 폐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단지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문서 세단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문서 세단기는 페기된 문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파쇄된 이후에 문서 내용을 확인해야할 필요가 있거나, 고의, 또는 부주의로 파쇄된 문서를 복구할 수 없다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파쇄되는 문서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없기 때문에 폐기대상문서가 폐기되지 않고 보관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없고, 폐기대상문서가 정상적으로 폐기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없어서 보안문서의 관리에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 제10-1656073호 (2016. 09. 02.) 대한민국 특허 제10-0923064호 (2009. 10. 15.)
본 발명의 목적은 문서파쇄 요청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증수단과, 파쇄되는 문서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폐기대상문서가 폐기되지 않고 보관되고 있는지의 여부 및 폐기대상문서가 정상적으로 폐기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문서의 관리와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문서파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서파쇄 요청자의 신분을 확인할 수 있는 인증수단 과 파쇄되는 문서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가 구비되면서, 상기 문서파쇄장치와 네트워킹되어 파쇄대상문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가 구비되어 문서의 관리와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문서파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폐기 요청된 문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의 이미지 정보가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보존기간이 경과되어 폐기문 문서의 내용을 재확인할 수 있고, 또한, 부주의로 인하여 폐기된 문서를 복구할 수 있게 되어 문서 관리상의 편의를 제공하면서 문서의 관리와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문서파쇄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목적 및 그 기술적 과제는 앞서 기재한 기술적 과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특징은 케이스 상부에 형성되는 급지대와; 상기 케이스 내에서 상기 급지대 하부에 배치되어 투입된 문서를 세절하는 파쇄부와; 상기 파쇄부에서 절단된 폐문서 조각을 수납하는 수거함을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문서파쇄장치가 문서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에 위치하고, 상기 문서파쇄장치에 네트워킹되어 문서를 관리하는 서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문서파쇄장치는 문서 파쇄 요청자를 인증하는 인증수단과; 상기 파쇄부를 경유하며 절단되는 문서의 파쇄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인증수단에서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급지대를 통하여 파쇄요청 문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수단과; 상기 인증수단에서 얻어진 상기 문서파쇄 요청자에 대한 인증 정보와,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얻어진 파쇄요청문서의 이미지를 상기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수단 및;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으로부터 상기 파쇄부로 문서를 이송시키는 가이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서버는 별도로 구성되는 프린팅 시스템과, 상기 문서파쇄장치와 네트워킹되는 통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프린팅 시스템에서 인쇄되어 생성된 보안문서의 문서식별수단에 관한 정보와, 상기 문서파쇄장치의 인증수단을 통하여 수행된 문서파쇄 요청자의 사원정보, 상기 문서파쇄장치의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생성되어 수신된 파쇄요청 문서 이미지와 문서정보, 디스플레이부에서 입력되는 비보안 문서의 문서정보 및 파쇄요청문서의 파쇄결과가 저장되는 문서파쇄 관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급지대에 놓여져서 파쇄되는 문서는 문서식별수단을 구비하는 문서와 구비하지 아니하는 모든 문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문서식별수단은 일반문서와 보안문서를 구별 및 식별하기 위한 것으로,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 코드(bar code)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서식별수단은 이후에 설명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관리장치에 의하여 인식되며, 문서관리장치는 문서식별수단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읽어낼 수 있다.
문서식별수단으로부터 읽어내는 정보는 앞서 설명된 문서 식별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상기 정보는 문서 작성자에 대한 정보, 문서의 버전정보, 문서의 생성 일시, 문서의 폐기 일시 등을 더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인증수단은 문서파쇄 요청자의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즉, 지문인식기, 홍채 인식기, IC 카드 리더기,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RFID 리더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채택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서명을 디지털화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이나 사용자 정보, 예를 들면, 사원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 중에서 어느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지는 인증수단을 더 구비하게 되면, 문서파쇄 요청자의 신원을 파악하여 신분이 인증된 상태에서만이 장치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한된 사용자에 한정되도록 문서의 파쇄작업을 수행토록 함으로써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은 스캐너, 또는 디지털 카메라로 구성되어 파쇄요청문서의 문서식별수단을 독출하면서, 문서의 이미지를 생성하며, 독출된 문서식별데이터 및 생성된 문서 이미지를 상기 통신수단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 전송하며, 문서인식수단이 없는 비보안문서에 대해서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 되는 신호를 출력t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비보안문서, 또는 문서식별수단이 없는 문서에 대한 문서정보 입력을 안내하는 과정을 표시하며, 상기 문서정보 입력 및 제어부에 대한 제어명령 수행 입력이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수단은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는 파쇄요청문서를 안내하기 위하여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 슈트와, 상기 가이드 슈트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를 구동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져서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배출되는 문서를 파쇄부로 안내한다.
상기 가이드 슈트는 이미지 생성수단의 배출구에 위치하는 입구측이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배출되는 문서를 원활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이송부, 상기 제1 경사이송부와 연속되는 만곡부, 그리고 상기 만곡부로부터 연속되어 파쇄부의 입구측에 도달하는 제2 경사이송부로 이루어져서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배출되는 파쇄요청문서를 파쇄부에 공급한다.
상기 문서파쇄장치 및 서버에 구비되는 통신수단은 인터넷(internet) 또는, 인트라넷(intranet)과 같은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하기 위한 통신모듈로서, 미리 정해진 프로토콜에 따라 상기 문서파쇄장치와 서버 사이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게되며, 바람직하게 근거리 통신망을 구성하는 이더넷(ethernet)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서버에 구비되는 상기 문서파쇄 관리부는 보안문서를 관리하기 위하여 보안문서가 프린터에서 인쇄되는 즉시, 해당 보안문서의 문서식별수단에 의하여 저장수단에 저장시킬 수 있게 되는 구성을 별도로 구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문서파쇄장치에 문서파쇄 요청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인증수단이 구비되어, 신원이 확인된 문서파쇄 요청자에 의하여 급지대에 투입된 파쇄대상문서에 대하여 파쇄 작업이 진행된다.
따라서, 제한된 사용자에 한정되도록 문서의 파쇄작업을 수행토록 하며, 문서 파쇄 요청자의 데이터가 서버에 실시간으로 저장됨으로써, 향상된 보안 기능을 제공한다.
문서파쇄 요청자가 인증됨에 따라, 파쇄대상문서가 급지대를 통하여 이미지 생성수단을 경유한 다음 파쇄부에서 문서의 파쇄작업이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문서 이미지, 또는 문서인식수단으로부터 독출된 보안문서 데이터는 원격지의 서버에 구비된 문서파쇄 관리부의 저장수단에 저장됨과 동시에, 상기 저장수단에 미리 저장된 보안문서 정보와 비교된다.
여기서 문서인식수단이 구비되지 아니한 일반문서의 경우, 문서파쇄 요청자는 문서파쇄장치에 구비되는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입력수단을 이용하여 파쇄대상문서의 간략정보를 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파쇄대상문서에 대한 간략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의 안내는 상기 터치패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간략정보는 문서번호, 문서생성일자, 관련부서 및 담당자 등과 같은 정보와 파쇄요청문서의 문서이미지이며, 이러한 정보는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에 의하여 생성된 문서이미지를 포함한다.
입력수단에 의한 문서파쇄 요청자의 입력이 완료되어 서버에 저장되면, 파쇄요청 문서에 대한 파쇄작업이 개시되고, 파쇄결과가 서버에 저장된다.
파쇄요청 문서에 대한 파쇄작업은 상기 가이드 수단의 롤러가 구동하여 파쇄요청문서가 파쇄부로 공급되도록 하며, 파쇄부는 공급된 파쇄요청문서를 파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지 생성수단에서 생성된 파쇄요청문서 정보가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보존 기간이 경과된 문서의 폐기 여부 등의 문서 관리를 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파쇄되어서는 아니되는 문서, 즉, 보존기간이 지나지 아니한 문서, 또는 실수로 파쇄 폐기된 문서가 다시 필요한 경우에는 서버를 통하여 확인한 다음 파쇄시 저장된 문서 이미지를 이용하여 다시 인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문서파쇄장치는 문서파쇄 요청자의 인증수단 및 파쇄되는 문서를 확인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가 구비되면서, 상기 문서파쇄장치와 네트워킹되어 파쇄대상문서를 관리하고,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서버가 구비되어 문서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프린팅 시스템에서 인쇄된 문서의 정보 및 폐기요청문서의 파쇄여부가 저장됨으로써, 폐기대상문서가 폐기되지 않고 보관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고, 폐기대상문서가 정상적으로 폐기처리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폐기되는 문서의 관리를 강화할 수 있게 되는 효가가 있다.
그리고, 폐기 요청된 문서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의 이미지 정보가 서버에 저장됨으로써, 보존기간이 경과되어 폐기문 문서의 내용을 재확인할 수 있고, 또한, 부주의로 인하여 폐기된 문서를 복구할 수 있게 되어 문서 관리상의 편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효과는 아래에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파쇄장치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파쇄장치의 시스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파쇄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파쇄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의 확대도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 기재된 설명과 도면에 도시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게 됨은 물론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문서파쇄장치의 시스템 구성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는 문서파쇄장치의 시스템 블록도를 나타내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문서세단기(10)와, 상기 문서세단기(10)에 네트워킹되어 문서를 관리하는 서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문서세단기(10)는 제어통신부(11)와 파쇄부(12)로 구성된다.
상기 제어통신부(11)는 인증수단(110), 디스플레이부(111), 이미지 생성수단(112), 제어부(113) 및 통신수단(114)으로 구성된다.
상기 인증수단(100)은 문서파쇄 요청자의 인증정보가 입력되는 것으로, 지문인식기, 홍채 인식기, IC 카드 리더기,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RFID 리더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채택되며, 또한, 사용자의 서명을 디지털화할 수 있는 터치 패드나 사용자 정보, 예를 들면, 사원번호 등을 입력할 수 있는 키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인증수단(100)에 의해 이루어지는 문서파쇄 요청자의 인증정보는 상기제어부(113)와 통신수단(113)을 통해 상기 서버(20)에 전송되어 파쇄요청 이력이 저장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0)는 상기 인증수단(100)의 인증상태,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생성된 문서의 이미지와 비보안문서, 또는 문서식별수단이 없는 문서에 대한 문서정보 입력을 안내하는 과정을 표시하며, 바람직하게 정보 입력이 가능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은 스캐너, 또는 디지털 카메라로 구성되어, 상기인증수단(110)에서 사용자 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보안문서의 문서인식수단을 독출하며, 파쇄요청되는 문서의 이미지를 생성하여, 상기 문서인식수단으로부터 독출된보안문서 정보와 생성된 문서 이미지를 상기 통신수단(113)을 통해 상기 서버(20)로 전송한다.
상기 문서인식수단은, 예를 들면,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코드(bar code)로 이루어지며, 문서 작성자, 문서 생성 일시, 문서 보존기간과 같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13)는 인증수단(100)에서 취득된 문서파쇄 요청자 정보와,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취득된 문서 정보 및 문서파쇄요청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서정보를 서버(20)로 송출할 수 있는 신호로 변환하여 통신수단(114)으로 송신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버(20)로부터 송신되는 파쇄명령에 따라 파쇄부(12)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수단(114)은 상기 서버(20)와 근거리 통신망을 수행할 수 있는 이더넷(ethernet) 통신모듈에 의해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넷(internet) 또는, 인트라넷(intranet)과 같은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되어 상기 서버(20)를 상기 문서세단기(10)와 네트워킹되게 한다.
이러한 통신수단(114)은 상기 인증수단(110)에서 인증된 문서파쇄 요청자의 인증정보,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취득되는 보안문서정보 및 일반문서 이미지를 상기 서버(20)에 전송하여, 상기 서버(20)에서 파쇄문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파쇄작업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토록 하며, 또한, 서버(20)로부터 문서파쇄작업을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서버(20)는 문서세단기(10)에 네트워킹되어 문서를 관리한다.
상기 서버(20)는 통신수단(200), 제어부(210) 및 문서파쇄 관리부(220)로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수단(200)은 상기 서버(20)와 근거리 통신망을 수행할 수 있는 이더넷(ethernet) 통신모듈로 구성되어 프로토콜에 따라 인터넷(internet) 또는, 인트라넷(intranet)과 같은 네트워킹 시스템에 접속되며, 상기 서버(20)를 상기 문서세단기(10)와 네트워킹되게 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문서 파쇄 요청자에 의하여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얻어진 문서정보와, 상기 문서파쇄 관리부(220)에 저장된 문서정보와의 일치 여부를 비교판단한다.
그 결과, 상기 문서정보가 일치되었을 때 파쇄요청문서의 파쇄 과정을 문서세단기(10)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1)에 표시되도록 한다.
상기 문서파쇄 관리부(220)는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여 프린팅 시스템에 의해 인쇄된 보안문서의 정보, 즉, 문서식별수단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며, 또한, 상기 문서세단기(10)의 인증수단(110)을 통하여 수행된 문서파쇄 요청자의 사원정보 및 상기 문서세단기(10)의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생성되어 수신된 파쇄요청 문서 이미지 및 상기 이미지와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상기 인증수단(110)에서의 인증 결과, 파쇄요청문서에 대한 문서세단기(10)의 파쇄 결과가 저장되어, 폐기대상문서의 폐기여부 등과 같은 문서관리가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세단기(10)의 외관을 나타낸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서세단기(10)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문서세단기(10)는 케이스(120), 급지대(121), 가이드 수단(123), 파쇄부(12) 및 수거함(125)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20)는 프레임(F)을 기초로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F)은 전후의 사방에 수직으로 입설되는 수직프레임(V1, V2)과 상기 수직프레임(V1, V2) 사이에 수평상의 고정되는 제1 수평프레임(H1), 제2 수평프레임(H2) 및 하부프레임(H3)으로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패널(P1)에는 급지대(121), 인증수단(110), 이미지 생성수단(112), 및 제어부(113)가 형성되며, 측면에는 상부 도어(D1)와 하부도어(D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도어(D1)가 개방되는 내부에는 상기 제1 수평프레임(V1)과 제2 수평프레임(V2) 상에,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 가이드 수단(123) 및 파쇄부(12)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도어(D2)가 개방되는 내부에는 하부프레임(H3)상에 수거함(12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지대(121)는 케이스(120) 후방에 설치되며, 주지된 급지장치, 예를 들면, 상기 케이스(120)에 절첩가능하고, 적층된 다수의 문서에서 최하단에 위치한 낱장의 문서를 인출하는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급지장치는 공지된 구성에 관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하게 실시될 수 있는 부분에 관한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급지대(121)에 놓여져서 파쇄되는 문서는 문서식별수단을 구비하는 문서와 문서식별수단을 구비하지 아니하는 모든 문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가이드 수단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가이드 수단(123)은 한 쌍의 가이드 슈트(1231, 1232), 한 쌍의 상부 이송롤러(1233, 1234), 하부 이송롤러(1235, 1236) 및 구동장치(1237)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가이드 슈트(1231, 1232)는 대략 1장의 문서가 통과할 수 있는 간격을 두고 이미지 생성수단(112)과 파쇄부(12) 사이에 배치되어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는 파쇄요청문서를 안내하기 위하여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
그리고, 이미지 생성수단(112)의 배출구에 위치하는 입구측이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는 문서를 원활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약10~15ㅀ의 경사각도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1 경사이송부(1239)의 일측에는 한 쌍의 가이드 슈트(1231, 1232)가 동일 중심상의 원주면으로 벤딩(bending)되는 만곡부(1238)가 형성되고, 상기 만곡부(1238)로부터 연속되어 파쇄부(12)의 입구측에 도달하는 제2 경사이송부(1240)가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상부 이송롤러(1233, 1234)는 가이드 슈트(1231, 1232)의 제1 경사 이송부(1239)에 설치되고, 하부 이송롤러(1235, 1236)는 제2 경사이송부(1240)에 설치된다.
상기 상부 이송롤러(1233, 1234)와 하부 이송롤러(1235, 1236)는 상기 가이드 슈트(1231, 1232)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구동장치(1237)의 동력으로 구동되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슈트(1231, 1232)에 안내되는 파쇄요청문서를 파쇄부(12)로 안내한다.
상기 구동장치(1237)는 모터(1241)와 벨트전동기구(1242)로 구성된다.
상기 모터(1241)는 감속수단을 구비하며, 감속수단에 의해 감속된 동력이 벨트전동기구(1242)에 의해 상부 이송롤러(1233, 1234)와 하부 이송롤러(1235, 1236)를 동시에 구동시킨다.
상기 벨트전동기구(1242)는 상부 이송롤러(1233)의 고정축(1243)에 고정되는 상부 풀리(1245)와, 상기 하부 이송롤러(1235)의 고정축(1246)에 고정되는 하부 풀리(1247)와, 상기 상부 풀리(1246)와 상기 하부 풀리(1247)에 설치되는 전동벨트(1248)로 이루어진다.
모터(1241)의 구동축은 하부 풀리(1247)의 고정축(1246)으로 된다.
따라서, 고정축(1246)에 고정되는 하부 풀리(1247)와 전동벨트(1248)로 연결된 상부 풀리(1245)가 모터(1241)의 동력에 의해 동시에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쇄부(124)는 다양하고 일반적인 형태의 문서 파쇄 구조가 적용된다. 이러한 문서 파쇄 구조 또한,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하게 실시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수거함(125)는 상기 파쇄부(124)의 하부에 설치되어, 파쇄부(7)에서 파쇄된 문서 부스러기를 수납하며, 케이스(120)에 형성되는 하부도어(107)에 의해 반입 및 반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작동되는 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문서세단기(10)에서 문서파쇄 요청자의 신원을 파악하는 인증수단(110)에 의해 취득된 파쇄요청자의 정보가 제어부(113)와 통신수단(114, 200)을 통해 서버(20)에서 신원이 인증되면, 제어부(113)의 구동신호에 의해 급지대(121)에 놓여진 파쇄대상문서가 이미지 생성수단(112)을 경유한 다음, 가이드 수단(123)에 안내되어 파쇄부(12)로 배출된다.
상기에서 이미지 생성수단(112)을 경유하는 파쇄요청문서는 문서인식수단으로부터 문서정보가 독취되고, 스캐닝된 문서의 이미지가 제어부(113)와 통신수단(114, 200)을 통해 서버(20)에 송신되어 문서파쇄 관리부(220)에 저장되고, 제어부(210)를 통해 문서세단기(10)에 파쇄신호를 송신하여 파쇄요청문서의 파쇄를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파쇄대상문서가 보안문서가 아닌 일반문서일 경우 문서정보, 예를 들면, 문서작성일자, 문서번호 관련부서 등과 같은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부(111)에 디스플레이 된다.
따라서, 문서파쇄 요청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11)의 터치패드를 이용하여 일반문서의 정보를 입력하며, 입력된 정보는 서버(20)에 저장되고, 제어부(210)를 통해 문서세단기(10)에 파쇄신호를 송신하여 파쇄요청문서의 파쇄를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는 파쇄요청문서는 가이드 슈트(1231, 1232)에 안내되며, 구동장치(1237)에 의해 파쇄부(12)로 공급된다.
상기 서버(20)로부터의 파쇄신호는 문서세단기(10)의 제어부(113)를 통해 상기 구동장치(1237)와 파쇄부(12)를 구동시킨다.
상기 파쇄부(124)에 도달한 파쇄대상문서는 세단 및 파쇄되고, 그 파쇄물이 수거함(125)에 보관된다.
그리고, 파쇄대상문서의 파쇄 정보는 통신수단(114)을 통해 서버(20)로 전송되어 문서파쇄 관리부(220)에 저장된다.
상기한 실시 예에 따르면, 문서세단기에서 파쇄 페기된 문서의 정보 및 이미지가 서버에 저장되어, 파쇄 폐기된 문서의 열람이 가능하며, 프린팅 시스템에 의해 다시 출력할 수도 있게 됨으로써 정상적으로 폐기되거나, 고의 또는 부주의로 파쇄 폐기된 문서를 복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관련된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된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아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한 실시 예가 있을 수 있다.
10: 문서세단기
11: 제어통신부
110: 인증수단 111: 디스플레이부
112: 이미지 생성수단 113: 제어부
114: 통신수단
12: 파쇄부
120: 케이스 121: 급지대
123: 가이드 수단 124: 파쇄부
125: 수거함
20 : 서버
200 : 통신수단 210 : 제어부
220 : 문서파쇄 관리부
1231, 1232: 가이드 슈트 1233, 1234: 상부 이송롤러
1235, 1236: 하부 이송롤러 1237: 구동장치
1238: 만곡부 1239: 제1 경사이송부
1240: 제2 경사이송부 1241: 모터
1242: 벨트전동기구 1243: 고정축
1245: 상부풀리 1246: 고정축
1247: 하부풀리 1248: 전동벨트
F : 프레임
H1 : 제1 수평프레임 H2 : 제2 수평프레임
H3 : 하부프레임
P1 : 상부패널 P2 : 전면패널
D1 : 상부도어 D2 : 하부도어
V1, V2 : 수직프레임

Claims (9)

  1. 케이스(120) 상부에 형성되는 급지대(121)와;
    상기 케이스(120) 내에서 상기 급지대(121) 하부에 배치되어 투입된 문서를 세절하는 파쇄부(12)와;
    상기 파쇄부(12)에서 절단된 폐문서 조각을 수납하는 수거함(125)을 구비하는 문서세단기(10)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문서세단기(10)가 문서를 관리하기 위한 단말에 위치하고,
    상기 문서세단기(10)에 네트워킹되어 문서를 관리하는 서버(20)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20)는 문서세단기(10)로부터 파쇄요청문서의 문서정보와 이미지 정보를 저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세단기(10)는,
    문서 파쇄 요청자를 인증하는 인증수단(110)과;
    상기 파쇄부(12)를 경유하며 절단되는 문서의 파쇄과정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11)와;
    상기 인증수단(110)에서 인증이 완료되고, 상기 급지대(121)를 통하여 파쇄요청 문서의 이미지를 생성하는 이미지 생성수단(112)과;
    상기 인증수단(110)에서 얻어진 상기 문서파쇄 요청자에 대한 인증 정보와,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얻어진 파쇄요청문서의 이미지를 상기 서버(20)에 전송하는 통신수단(114) 및;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22)으로부터 상기 파쇄부(12)로 문서를 이송시키는 가이드 수단(1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20)는,
    상기 문서세단기(10)와 네트워킹되는 통신수단(114)을 구비하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생성된 보안문서의 문서식별수단에 관한 정보와, 상기 문서세단기(10)의 인증수단(110)을 통하여 수행된 문서파쇄 요청자의 사원정보 및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생성되어 수신된 파쇄요청문서의 이미지 및 문서정보와, 상기 문서세단기(10)에 의한 파쇄요청문서의 파쇄결과가 저장되는 문서파쇄 관리부(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123)은,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는 파쇄요청문서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슈트(1231, 1232)와,
    상기 가이드 슈트1231, 1232)에 적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이송롤러(1233, 1234)(1235, 1236) 및;
    상기 한 쌍의 이송롤러(1233, 1234)를 구동하는 구동장치(1237)로 이루어져서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는 문서를 파쇄부(124)로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슈트(1231, 1332)는,
    이미지 생성수단(112)의 배출구에 위치하는 입구측이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배출되는 문서를 원활하게 수납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이송부(1239);
    상기 제1 경사이송부(1239)와 연속되는 만곡부(1238);
    상기 만곡부(1238)로부터 연속되어 파쇄부(124)의 입구측에 도달하는 제2 경사이송부(124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수단(110)은,
    지문 인식기, 홍채 인식기, IC 카드 리더기, 마그네틱 카드 리더기, RFID 리더기 중에서 어느 하나가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식별수단은,
    QR 코드(quick response code) 또는, 바 코드(bar code)로 이루어지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파쇄 관리부(220)는, 문서식별수단과 연관되어 문서의 생성 일시, 문서의 생성자에 대한 정보, 문서파쇄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의 인증정보, 문서의 보안 등급 정보가 저장수단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11)는,
    상기 이미지 생성수단(112)에서 생성되는 비보안문서, 또는 문서식별수단이 없는 문서에 대한 문서정보 입력을 안내하는 과정을 표시하며, 상기 문서정보 입력을 위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KR1020170050689A 2017-04-19 2017-04-19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KR101976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89A KR101976624B1 (ko) 2017-04-19 2017-04-19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JP2020506697A JP2020517452A (ja) 2017-04-19 2018-04-16 文書管理装置を備える文書破砕装置
CN201880018246.8A CN110430940A (zh) 2017-04-19 2018-04-16 具备文件管理装置的文件粉碎装置
PCT/KR2018/004388 WO2018194328A2 (ko) 2017-04-19 2018-04-16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US16/605,742 US20200384478A1 (en) 2017-04-19 2018-04-16 Paper shredding device with paper management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89A KR101976624B1 (ko) 2017-04-19 2017-04-19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500A true KR20180117500A (ko) 2018-10-29
KR101976624B1 KR101976624B1 (ko) 2019-08-28

Family

ID=638559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689A KR101976624B1 (ko) 2017-04-19 2017-04-19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00384478A1 (ko)
JP (1) JP2020517452A (ko)
KR (1) KR101976624B1 (ko)
CN (1) CN110430940A (ko)
WO (1) WO20181943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886B1 (ko) * 2020-11-19 2023-05-17 주식회사 더코더 파쇄 출력물 정보 기록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파쇄기 및 이의 실행 방법
KR102565981B1 (ko) * 2022-07-20 2023-08-10 하동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565A (ko) * 2007-09-10 2009-03-13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문서세단기의 자동급지장치
KR100923064B1 (ko) 2008-05-31 2009-10-22 (주)대진코스탈 사용자와 폐문서를 식별하는 장치가 부착된 문서세단기
KR20090132439A (ko) * 2008-06-21 2009-12-30 (주)대진코스탈 스캐너가 형성된 문서세단기
JP2016063476A (ja) * 2014-09-19 2016-04-25 株式会社リコー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サーバ、および文書管理方法
KR101656073B1 (ko) 2015-04-28 2016-09-09 (주)이륜오피스 문서세단기의 보안강화 장치
KR101657496B1 (ko) * 2015-10-08 2016-09-19 (주)와우소프트 전자문서 및 출력문서의 파기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3473B2 (ja) * 2001-08-29 2010-06-02 株式会社リコー シュレッダー、機密書類管理システム、および機密書類管理方法
KR100699600B1 (ko) * 2005-02-17 2007-03-23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문서 세단기
JP2006224029A (ja) * 2005-02-18 2006-08-31 Dainippon Printing Co Ltd シュレッダー装置およびシュレッダーシステム
US7665679B2 (en) * 2005-10-12 2010-02-23 Fuji Xerox Co., Ltd. Document management system and document destruction apparatus
JP4089742B2 (ja) * 2006-10-13 2008-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管理システムおよび文書廃棄装置
US8358427B2 (en) * 2007-02-15 2013-01-22 Kabushiki Kaisha Toshiba Confidential documents management system
JP2009011942A (ja) * 2007-07-05 2009-01-22 Shinji Aoyagi スキャナー付シュレッダ及びスキャナー付シュレッダによる機密書類管理システム
CN205392640U (zh) * 2016-02-22 2016-07-27 温州智宇翱华商务服务有限公司 一种智能废纸回收系统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565A (ko) * 2007-09-10 2009-03-13 로얄소브린 주식회사 문서세단기의 자동급지장치
KR100923064B1 (ko) 2008-05-31 2009-10-22 (주)대진코스탈 사용자와 폐문서를 식별하는 장치가 부착된 문서세단기
KR20090132439A (ko) * 2008-06-21 2009-12-30 (주)대진코스탈 스캐너가 형성된 문서세단기
JP2016063476A (ja) * 2014-09-19 2016-04-25 株式会社リコー 文書管理システム、文書管理サーバ、および文書管理方法
KR101656073B1 (ko) 2015-04-28 2016-09-09 (주)이륜오피스 문서세단기의 보안강화 장치
KR101657496B1 (ko) * 2015-10-08 2016-09-19 (주)와우소프트 전자문서 및 출력문서의 파기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4328A3 (ko) 2019-01-03
JP2020517452A (ja) 2020-06-18
WO2018194328A2 (ko) 2018-10-25
WO2018194328A9 (ko) 2019-02-21
US20200384478A1 (en) 2020-12-10
CN110430940A (zh) 2019-11-08
KR101976624B1 (ko) 2019-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20122B2 (ja) 文書廃棄装置、文書管理システム及び文書廃棄制御プログラム
US7753294B2 (en) Discarding apparatus, discarding system and discarding method
CA2869515C (en) Airport security check system and method therefor
US84138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banking transactions
EP1814299A2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document disposal management system, document management method, and document disposal management method
KR100923064B1 (ko) 사용자와 폐문서를 식별하는 장치가 부착된 문서세단기
US8276733B2 (en) Sheet processing system,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MXPA02008737A (es) Auditoria contable para billetes.
KR101976624B1 (ko)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US7734370B2 (en) Disposal processing system and disposal processing apparatus
KR101873043B1 (ko) 문서 세단기의 급지 롤러 장치
KR101899119B1 (ko)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US20070177219A1 (en) Disposal apparatus, disposal system, and disposal method
US20150039329A1 (en) Method for triggering an action of a device authorized by a paper document
KR101873042B1 (ko) 문서 파쇄 장치
CN107657714B (zh) 一种支票防伪识别系统
KR101873044B1 (ko) 문서 세단기의 급지 가이드 장치
JP5869037B2 (ja) 券媒体処理装置及び券媒体処理方法
JP2011192209A (ja) 券媒体処理装置及び券媒体処理方法
JP4853687B2 (ja) 廃棄処理システム
JP2005216226A (ja) クレジットカード処理制御方法、プログラム、クレジットカード処理装置、pos端末およびposシステム
KR102565981B1 (ko)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7143241B2 (ja) 書類処理装置、書類処理システムおよび書類処理方法
GB2521153A (en) Media destruction system and method
RU280946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одажи товар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