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65981B1 -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65981B1
KR102565981B1 KR1020220089460A KR20220089460A KR102565981B1 KR 102565981 B1 KR102565981 B1 KR 102565981B1 KR 1020220089460 A KR1020220089460 A KR 1020220089460A KR 20220089460 A KR20220089460 A KR 20220089460A KR 102565981 B1 KR102565981 B1 KR 102565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redding
unit
printed matter
camera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9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동호
Original Assignee
하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동호 filed Critical 하동호
Priority to KR1020220089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5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5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007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doc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5/00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crushing or disintegra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7Server based end-user applications
    • H04N21/274Storing end-user multimedia data in response to end-user request, e.g. network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유가증권의 스캐닝 정보와 스캐닝된 유가증권의 파쇄 전후 영상 정보를 병합하여 출력함으로써, 유가증권의 파쇄에 따른 증거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SHREDDER WITH SCAN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본 발명은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가증권의 스캐닝 정보와 스캐닝된 유가증권의 파쇄 전후 영상 정보를 병합하여 출력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세단기는 기업이나 은행 등에서 생산되는 문서 등을 잘게 절단하여 보안성을 높이고, 또 절단된 폐문서칩을 골판지 박스 등의 생산에 재활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기기를 말한다.
최근에는 문서생산량의 증대에 비례하여 문서보안의 관심이 높아져 문서세단기를 활용하는 기업이나 은행 등이 많아졌다.
도1은 일반적인 문서 세단기를 나타낸 예시도로서, 도1을 참조하면, 상단에 문서투입구(11)가 형성되고, 전방 하단에 도어가 형성된 박스형상의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상단에 다수개의 절단칼날(21)이 한 쌍의 커터축(22)에 고정되어 구동모터(24)에 의해 상호 교차회전되면서 문서투입구(11)를 통해 인입되는 폐문서를 잘게 절단하는 절단장치(20)와, 상기 절단장치(20)의 하단에 형성되고 절단장치(20)에 의해 절단된 폐문서칩(31)이 쌓일 수 있도록 한 폐문서함(30)이 형성된다.
한편, 최근들어 일정한 금전이나 화물 등의 유가물에 대해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표시된 유가증권, 예를 들어 상품권의 유통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유가증권은 고유의 일련번호와 액면가액이 표기되고, 주로 종이 또는 박막의 합성수지 등을 이용한 인쇄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유가증권은 유통 후 금융기관 또는 유통사와 같은 발행기관에서 회수하여 파쇄를 통한 폐기가 이루어진다.
그러나, 회수된 유가증권은 폐기하는 과정에서 파쇄를 대행하는 용역업체나 발행기관의 관리부실로 인해 불법 유통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회수된 유가증권은 단순히 세단기를 이용한 파쇄를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폐기를 위해 개별 유가증권마다 인쇄된 일련번호를 스캔하여 정리하는 작업이 요구되고, 회수된 유가증권의 계수 작업을 수행해야만 하여 사후 처리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스캔 및 계수 작업이 완료된 유가증권은 별도 장소에 보관한 후, 금융감독기관의 배석하에 파쇄가 이루어져 보관을 위한 별도 공간이 요구되고 금융기관 담당자의 배석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64162호(발명의 명칭:카메라가 형성된 보안 문서 세단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가증권의 스캐닝 정보와 스캐닝된 유가증권의 파쇄 전후 영상 정보를 병합하여 출력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로서, 인쇄물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캔이 완료되면 인쇄물을 세절(細切)하되, 제1 카메라가 상기 스캔 완료된 인쇄물을 세절부에서 세절하기 전에 촬영하며, 상기 세절부와 제1 카메라의 동작과 연동하여 제2 카메라가 상기 세절부에서 세절된 인쇄물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촬영한 데이터를 상기 스캔 데이터와 병합하며, 상기 병합된 데이터를 발행사 서버 및 금융기관 서버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세절 장치는 분리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세절 장치는 인쇄물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캔이 완료되면 인쇄물을 세절하되, 제1 카메라가 상기 스캔 완료된 인쇄물을 세절부에서 세절하기 전에 촬영하며, 상기 세절부와 제1 카메라의 동작과 연동하여 제2 카메라가 상기 세절부에서 세절된 인쇄물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촬영한 데이터를 상기 스캔 데이터와 병합하여 저장하는 세절 단말기; 및 상기 병합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쇄물과 연동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발행사 서버 및 금융기관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상기 병합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세절 단말기는 인쇄물이 입력되는 입력부; 상기 인쇄물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 상기 스캔된 인쇄물을 세절하는 세절부; 상기 스캔된 인쇄물을 세절하기 전에 촬영하는 제1 카메라; 상기 세절부에서 세절된 인쇄물을 촬영하되, 상기 세절부 및 제1 카메라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카메라; 상기 스캔 데이터, 상기 제1 카메라에서 촬영된 세절하기 전의 스캔된 인쇄물의 이미지 데이터, 상기 제2 카메라에서 촬영된 세절 후의 스캔된 인쇄물의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병합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데이터 통신부;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세절 단말기는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서로 결합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잠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잠금부는 발행사 서버 또는 금융기관 서버로부터 임의의 승인된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는 인쇄물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계수하는 계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은 유가증권일 수 있고, 상기 스캔 데이터는 유가증권의 고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 방법으로서, a) 세절 단말기가 장치 점검을 수행하여 점검 결과, 정상동작함에 따라 인쇄물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세절 단말기가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캔 완료된 인쇄물을 세절부로 이동하는 단계; c) 상기 세절 단말기가 세절부를 통해 인쇄물을 세절하되, 제1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완료된 인쇄물을 세절부에서 세절하기 전에 촬영하고, 제2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세절부에서 세절된 인쇄물을 촬영하는 단계; d) 상기 세절 단말기 제1 카메라 및 제2 카메라가 촬영한 데이터를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와 병합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e) 관리자 단말기가 상기 d) 단계에서 저장된 병합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쇄물과 연동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발행사 서버 및 금융기관 서버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병합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a) 단계의 점검 결과, 잠금 해제 신호가 발생하면 세절 단말기는 잠금부의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절 단말기는 분리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a) 단계의 점검 결과, 오류 발생 신호가 발생하면 세절 단말기는 오류 발생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류 발생 알람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 따른 인쇄물은 유가증권일 수 있고, 상기 스캔 데이터는 유가증권의 고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인쇄물의 스캐닝 정보와 스캐닝된 유가증권의 파쇄 전후 영상 정보를 병합하여 출력함으로써, 유가증권의 파쇄에 따른 증거 자료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회수된 유가증권의 폐기과정에서 각 유가증권마다 인쇄된 일련번호의 스캔과 유가증권의 계수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사후 처리 시간과 비용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캔 및 계수 작업이 완료된 유가증권의 파쇄과정을 촬영한 증거자료를 금융감독기관으로 전송함으로써, 처리시간의 단축과 유가증권 파쇄 업무를 간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문서 세단기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세단 단말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세단 단말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5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
도7은 도6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장치 점검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
도9는 도8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세절 단말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와 직접적 관련이 없는 구성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흩뜨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생략하였음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 또는 단어는 발명자가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적절한 용어의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3은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세단 단말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4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세단 단말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5는 도2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를 이용한 네트워크 연결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2 내지 도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는 인쇄물(400)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캔이 완료되면 인쇄물(400)을 세절(細切)하되,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에 대하여 세절하기 전과 후의 쵤영 이미지를 스캔 데이터와 병합하여 발행사 서버(300) 및 금융기관 서버(300a)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세절 단말기(100)와, 관리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세절 단말기(100)는 인쇄물(400)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세절 단말기(100)는 스캔이 완료되면 인쇄물(400)을 세절하되,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을 세절하기 전에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절 단말기(100)는 세절된 인쇄물(400)을 촬영하고, 세절되기 전에 촬영한 데이터와, 세절된 후 촬영한 데이터와, 스캔 데이터를 병합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세절 단말기(100)는 분리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세절 단말기(100)의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는 입력부(110)와, 스캐너(120)와, 세절부(130)와, 제1 카메라(140)와, 제2 카메라(150)와, 제어부(160)와, 데이터 통신부(170)와, 디스플레이부(180)와, 잠금부(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01)는 세절 단말기(100)의 상부에 설치되고, 입력부(110)와, 스캐너(120)와, 제1 카메라(140)와, 제2 카메라(150)와, 제어부(160)와, 데이터 통신부(170)와, 디스플레이부(180)가 배치될 수 있다.
입력부(110)는 인쇄물(400)이 입력되는 구성으로서, 입력된 인쇄물(400)이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세절부(130)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부(111)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인쇄물(400)이 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가이드부(111) 상에 복수의 롤러부(112)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10)는 인쇄물(400)을 순차적으로 입력받고, 입력된 인쇄물(400)을 계수할 수도 있다.
스캐너(12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인쇄물(40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성으로서, 가이드부(111)의 경로 상에 설치되어 인쇄물(400)을 스캔할 수 있다.
여기서, 인쇄물(400)은 화폐, 상품증권, 어음, 수표, 주식, 채권 등의 유가증권일 수 있고, 스캐너(120)를 통해 스캔되는 데이터는 유가증권의 고유번호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인쇄물(400)을 유가증권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임의의 데이터를 포함한 문서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스캐너(120)는 인쇄물(400)의 양면을 모두 스캔 할 수 있도록 서로 대향하여 복수의 스캐너가 설치될 수 있다.
세절부(130)는 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하며 스캐너(120)에서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을 세절하는 구성으로서, 공지의 세절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40)는 세절부(130)에 형성된 문서 유입구측에 설치되고, 스캔된 인쇄물(400)가 세절부(130)에서 세절하기 전에 그 인쇄물(400)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인쇄물(400)이 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하여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과정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50)는 세절부(130)에 형성된 문서 배출구측에 설치되고, 스캔된 인쇄물(400)이 세절부(130)에서 세절된 분쇄물을 촬영하는 구성으로서, 인쇄물(400)이 세절부(130)에서 수용함(131)으로 배출되는 과정을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50)는 세절부(130)에서 세절된 인쇄물(400)을 촬영하되, 세절부(130) 및 제1 카메라(140)의 동작과 연동하여 함께 동작함으로써, 인쇄물(400)이 세절부(130)에 투입되어 세절 후 배출되는 과정을 제1 카메라(140)의 촬영 정보와 함께 모두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60)는 세절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입력부(110)가 인쇄물(400)의 입력을 감지하면, 입력된 인쇄물(400)의 계수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입력된 인쇄물(400)이 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하도록 롤러부(112)의 동작을 제어하고, 스캐너(120)의 동작을 제어하여 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하는 인쇄물(400)의 스캔을 통한 스캔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생성된 스캔 데이터는 메모리(미도시)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인쇄물(400)의 스캔이 완료되면, 인쇄물(400)을 계속 이동시켜 세절부(130)로 이동되도록 제어하고, 제1 카메라(140)의 동작을 제어하여 인쇄물(400)이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과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인쇄물(400)의 객체를 인식함으로써, 실제로 인쇄물(400)이 세절부(130)에 인입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1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에서 인쇄물(400)의 객체 이미지만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세절부(130)와 제1 카메라(140)의 동작이 온(ON)되면, 제2 카메라(150)도 함께 온되도록 제어하여 인쇄물(400)이 세절부(130)에서 분쇄되어 출력되는 과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60)는 생성된 스캔 데이터와, 제1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세절하기 전 및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스캔된 인쇄물(400)의 영상 데이터와, 제2 카메라(150)에서 촬영된 세절 후의 배출되는 스캔된 인쇄물(400)의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병합하여 임의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순차적으로 입력되는 인쇄물(400)에 대하여 스캐너(120)를 통해 획득한 스캔 데이터와, 제1 카메라(140)를 통해 획득한 인쇄물(400)의 객체 이미지와, 제2 카메라(150)를 통해 획득한 세절 후 분쇄 이미지를 병합하여 하나의 파일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입력부(110)에서 스캔된 인쇄물(400)의 개수와, 인식된 인쇄물 객체를 카운트한 개수를 비교하여 세절과정이 정확하게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세절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오류 발생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세절 단말기(100)의 점검을 수행하기 위해,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를 분리할 경우,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가 고정된 상태에서 분리될 있도록 잠금부(190)로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잠금 해제 신호는 발행사 서버(300) 또는 금융기관 서버(300a)로부터 임의의 승인된 잠금 해제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세절 단말기(10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잠금부(190)로 잠금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부(170)는 제어부(16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인쇄물(400) 별로 하나의 파일로 생성된 인쇄물(400)의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통신부(170)는 세절 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오류 발생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통신부(170)는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제어 신호, 예를 들어 잠금부(190)의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160)로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0)는 세절 단말기(100) 및 제어부(16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구성으로서, LCD, LED 등의 디스플레이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잠금부(190)는 분리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의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가 서로 결합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잠금부(190)는 발행사 서버(300) 또는 금융기관 서버(300a)로부터 임의의 승인된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해제되어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잠금부(190)는 발행사 서버(300) 또는 금융기관 서버(300a)로부터 승인된 임의의 잠금 해제 신호에 대응하여 잠금 해제됨으로써, 세절 단말기(100)의 보안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관리자 단말기(200)는 세절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인쇄물(400)에 대한 파일의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쇄물(400)과 연동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200)는 추출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발행사 및 금융사 정보에 대응하는 발행사 서버(300) 및 금융기관 서버(300a)로 접속하여 생성된 파일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금융기관 서버(300a)는 금융전산망에 접속된 은행사의 서버시스템이거나 또는 금융감독원의 보안 서버시스템일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7은 도6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장치 점검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2 내지 도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방법은 우선, 세절 단말기(100)가 장치 점검을 수행하고, 점검 결과 세절 단말기(100)가 정상동작함에 따라 인쇄물(40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S100)할 수 있다.
그러나, S100 단계의 점검 결과, 발행사 서버(300) 또는 금융기관 서버(300a)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가 수신된 것으로 판단(S110)되면, 세절 단말기(100)는 잠금부(190)의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S111)하여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S100 단계의 점검 결과, 오류 발생 신호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S120)되면, 세절 단말기(100)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오류 발생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류 발생 알람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S130)한다.
계속해서, 세절 단말기(100)는 S100 단계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의 개수를 카운트하고 생성된 스캔 데이터는 저장하며,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을 세절부(130)로 이동(S200)되도록 한다.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이 세절부(130)로 이동하는 동안 세절 단말기(100)는 세절부(130)를 통해 인쇄물(400)을 세절하되, 제1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이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과정과 세절부(130)에서 세절하기 전을 촬영하고, 제2 카메라(150)를 이용하여 세절부(130)에서 세절되어 배출되는 인쇄물(400)을 촬영(S300, S400)하여 각각 영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S300 단계에서 세절 단말기(100)는 이미지 프로세싱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제1 카메라(140)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인쇄물(400)의 객체를 인식함으로써, 실제로 인쇄물(400)이 세절부(130)에 인입되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세절 단말기(100)는 인쇄물(400)의 세절이 종료되면, 제1 카메라(140) 및 제2 카메라(150)가 촬영한 데이터와 S100 단계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병합하여 해당 인쇄물(400)의 세절 관련 정보로 이루어진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파일을 저장(S600)한다.
즉, S600 단계에서, 세절 단말기(100)는 생성된 S100 단계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와, S300 단계에서 제1 카메라(140)가 촬영한 인쇄물(400)의 객체 이미지 데이터와, 제2 카메라(150)가 촬영한 인쇄물(400)의 분쇄 이미지 데이터를 병합하여 하나의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세절 단말기(100)는 인쇄물(400)의 스캔, 세절, 해당 인쇄물(400)의 병합을 통한 파일의 생성이 완료되었는지 판단(S700)하고, 종료된 것으로 판단되지 않으면, 해당 과정을 카운트(S710)한 다음 인쇄물(400)의 스캔, 세절, 해당 인쇄물(400)의 병합을 통한 파일의 생성이 완료될 때까지 S100 단계 내지 S600 단계를 반복 수행할 수 있다.
또한, S710 단계에서 카운트된 횟수는 입력부(110)에서 스캔된 인쇄물(400)의 개수와 비교하여 입력된 인쇄물(400)과 세절된 인쇄물의 개수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인쇄물(400)의 세절이 정확하게 수행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S700 단계에서, 인쇄물(400)의 스캔, 세절, 해당 인쇄물(400)의 병합을 통한 파일의 생성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세절 단말기(100)는 생성된 파일을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200)는 세절 단말기(100)에서 생성된 인쇄물(400)에 대한 파일의 스캔 데이터를 분석하여 인쇄물(400)과 연동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에 대응하는 발행사 서버(300) 및 금융기관 서버(300a)로 접속하여 생성된 파일을 전송(S800)한다.
(제2 실시 예)
다음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를 설명한다.
우선,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9는 도8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세절 단말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절 장치는 우선, 세절 단말기(100a)의 입력부(110a) 구성에서 제1 실시 예에 따른 세절 단말기(100)의 구성과 차이점이 있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10a)는 인쇄물(400)이 이동하는 가이드부(111)와, 인쇄물(400)이 가이드부(111)를 따라 일정한 속도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캡스턴을 구비한 핀치롤러(112a)와, 인쇄물(400)을 계수하는 센서부(112b)와, 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한 인쇄물(400)이 적재부(114)로 이동되도록 회전하는 스택휠(113)과, 스택휠(113)에서 배출되는 인쇄물(400)이 세절부(130)로 인입되도록 안내하는 적재부(1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10a)는 공지의 계수기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입력부(110a)는 가이드부(111)를 따라 이동하는 경로에 스캐너(120)가 설치되어 인쇄물(400)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스캔 기능을 포함한 계수기로 구성될 수도 있어서, 인쇄물(400)의 계수와 스캔을 함께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절 단말기(100a)는 입력부(110a)를 통해 계수한 인쇄물(400)의 계수 값과 각 인쇄물(400)의 스캔 데이터를 리스트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절 단말기(100a)는 제어부를 통해 적재부(114)에서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인쇄물(400)의 영상 데이터와 세절부(130)에서 분쇄되어 배출되는 인쇄물(400)의 영상 데이터를 인쇄물(400)의 계수 값과 각 인쇄물(400)의 스캔 데이터 리스트를 병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즉,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절 단말기(100a)는 입력부(110a)를 통해 고속으로 계수되어 입력되는 인쇄물(400)로 인해 세절부(130)로 입력되는 인쇄물(400)의 속도와 세절부(130)에서 인쇄물(400)이 분쇄되는 속도의 차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영상 데이터에서 각 인쇄물(400)에 대응하는 객체를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 예에 따른 세절 단말기(100a)는 입력되는 다수의 인쇄물(400)에 대하여 계수한 값과, 각 인쇄물(400)의 스캔 데이터를 리스트로 구성하고, 제1 카메라(140)가 인쇄물(400)이 세절부(130)로 인입되는 시점부터 촬영한 인쇄물(400)의 영상 데이터와, 제2 카메라(150)가 세절부(130)에서 인쇄물(400)의 분쇄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병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인쇄물의 스캐닝 정보와 스캐닝된 유가증권의 파쇄 전후 영상 정보를 병합하여 출력함으로써, 유가증권의 파쇄에 따른 증거 자료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회수된 유가증권의 폐기과정에서 각 유가증권마다 인쇄된 일련번호의 스캔과 유가증권의 계수를 신속하게 처리하여 사후 처리 시간과 비용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스캔 및 계수 작업이 완료된 유가증권의 파쇄과정을 촬영한 증거자료를 금융감독기관으로 전송함으로써, 처리시간의 단축과 유가증권 파쇄 업무를 간소화 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00, 100a : 세절 단말기 101 : 제1 몸체부
102 : 제2 몸체부 110, 100a : 입력부
111 : 가이드부 112 : 롤러부
112a : 핀치롤러 112b : 센서부
113 : 스택휠 114 : 적재부
120 : 스캐너 120a : 보조 스캐너
130 : 세절부 131 : 수용함
140 : 제1 카메라 150 : 제2 카메라
160 : 제어부 170 : 데이터 통신부
180 : 디스플레이부 190 : 잠금부
200 : 관리자 단말기 300 : 발행사 서버
300a : 금융기관 서버 400 : 인쇄물

Claims (14)

  1. 인쇄물(400)의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고, 스캔이 완료되면 인쇄물(400)을 세절하되, 제1 카메라(140)가 상기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을 세절부(130)에서 세절하기 전에 촬영하며, 상기 세절부(130) 및 제1 카메라(140)의 동작과 연동하여 제2 카메라(150)가 상기 세절부(130)에서 세절된 인쇄물(400)을 촬영하고, 상기 제1 카메라(140) 및 제2 카메라(150)가 촬영한 데이터를 상기 스캔 데이터와 병합하여 저장하는 세절 단말기(100, 100a); 및
    상기 병합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쇄물(400)과 연동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발행사 서버(300) 및 금융기관 서버(300a) 중 어느 하나에 접속하여 상기 병합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관리자 단말기(200);를 포함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 장치는 분리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 단말기(100, 100a)는 인쇄물(400)이 입력되는 입력부(110, 110a);
    상기 인쇄물(40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스캐너(120);
    상기 스캔된 인쇄물(400)을 세절하는 세절부(130);
    상기 스캔된 인쇄물(400)을 세절하기 전에 촬영하는 제1 카메라(140);
    상기 세절부(130)에서 세절된 인쇄물(400)을 촬영하되, 상기 세절부(130) 및 제1 카메라(140)의 동작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카메라(150);
    상기 스캔 데이터, 상기 제1 카메라(140)에서 촬영된 세절하기 전의 스캔된 인쇄물(400)의 이미지 데이터, 상기 제2 카메라(150)에서 촬영된 세절 후의 스캔된 인쇄물(400)의 이미지 데이터를 하나로 병합한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160);
    상기 병합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송신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200)로부터 수신되는 임의의 제어 신호를 상기 제어부(160)로 출력하는 데이터 통신부(170); 및
    상기 제어부(16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 단말기(100, 100a)는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가 서로 결합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잠금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190)는 발행사 서버(300) 또는 금융기관 서버(300a)로부터 임의의 승인된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110a)는 인쇄물(400)을 순차적으로 입력받아 계수하는 계수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400)은 유가증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는 유가증권의 고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10. a) 세절 단말기(100, 100a)가 장치 점검을 수행하여 점검 결과, 정상동작함에 따라 인쇄물(400)을 스캔하여 스캔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세절 단말기(100, 100a)가 생성된 스캔 데이터를 저장하고,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을 세절부(130)로 이동하는 단계;
    c) 상기 세절 단말기(100, 100a)가 세절부(130)를 통해 인쇄물(400)을 세절하되, 제1 카메라(140)를 이용하여 상기 스캔 완료된 인쇄물(400)을 세절부(130)에서 세절하기 전에 촬영하고, 제2 카메라(150)를 이용하여 상기 세절부(130)에서 세절된 인쇄물(400)을 촬영하는 단계;
    d) 상기 세절 단말기(100, 100a)가 제1 카메라(140) 및 제2 카메라(150)가 촬영한 데이터를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스캔 데이터와 병합하여 저장하는 단계; 및
    e) 관리자 단말기(200)가 상기 d) 단계에서 저장된 병합 데이터를 기반으로 인쇄물(400)과 연동된 발행사 또는 금융사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대응하는 발행사 서버(300) 및 금융기관 서버(300a)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병합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점검 결과, 잠금 해제 신호가 발생하면 세절 단말기(100, 100a)는 잠금부(190)의 잠금 해제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세절 단말기(100, 100a)는 분리 또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1 몸체부(101)와 제2 몸체부(1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점검 결과, 오류 발생 신호가 발생하면 세절 단말기(100, 100a)는 오류 발생 알람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오류 발생 알람 신호를 관리자 단말기(200)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물(400)은 유가증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캔 데이터는 유가증권의 고유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220089460A 2022-07-20 2022-07-20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56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460A KR102565981B1 (ko) 2022-07-20 2022-07-20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9460A KR102565981B1 (ko) 2022-07-20 2022-07-20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5981B1 true KR102565981B1 (ko) 2023-08-10

Family

ID=87560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9460A KR102565981B1 (ko) 2022-07-20 2022-07-20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59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934A (ko) * 2004-03-31 2006-12-22 오리엔토 솟키 콤퓨타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파괴장치, 기록매체 파괴 시스템, 전자기기관리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9078270A (ja) * 2008-11-21 2009-04-16 Matsui Mfg Co 粉砕機
KR101864162B1 (ko) 2017-07-10 2018-06-04 (주)대진코스탈 카메라가 형성된 보안 문서세단기
CN110430940A (zh) * 2017-04-19 2019-11-08 哇呜软件股份有限公司 具备文件管理装置的文件粉碎装置
KR102175722B1 (ko) * 2020-06-09 2020-11-06 주식회사 케이씨티 파쇄기를 구비하는 유가증권 스캐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934A (ko) * 2004-03-31 2006-12-22 오리엔토 솟키 콤퓨타 가부시키가이샤 기록매체 파괴장치, 기록매체 파괴 시스템, 전자기기관리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JP2009078270A (ja) * 2008-11-21 2009-04-16 Matsui Mfg Co 粉砕機
CN110430940A (zh) * 2017-04-19 2019-11-08 哇呜软件股份有限公司 具备文件管理装置的文件粉碎装置
KR101864162B1 (ko) 2017-07-10 2018-06-04 (주)대진코스탈 카메라가 형성된 보안 문서세단기
KR102175722B1 (ko) * 2020-06-09 2020-11-06 주식회사 케이씨티 파쇄기를 구비하는 유가증권 스캐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84028B2 (ja)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システム、紙幣情報管理サーバ、紙幣情報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紙幣処理方法
US20200184781A1 (en) Automated teller machine with escrow
US8542904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aging currency bills and financial docum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655046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aging currency bills and financial docum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8162125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aging currency bills and financial docum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7591414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US8538123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imaging currency bills and financial document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5539112B2 (ja) 有価媒体処理装置および有価媒体処理システム
CN110014754B (zh) 一种打印鉴伪批量盖章一体机及处理方法
KR102383115B1 (ko) Ai를 활용한 투명페트병 자동 선별 기술 및 탄소배출 저감 산출방식의 수집장치
KR20120018268A (ko) 지폐 거래 처리 장치
US20150339874A1 (en) Paper sheets processing system and a paper sheets processing apparatus
US10854030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handling a transport container for valuable objects
KR102565981B1 (ko) 스캔 기능을 갖는 세절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WO2008136442A1 (ja) 廃紙の破砕回収再生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用いるシュレッダ装置並びに通信装置
US7588182B2 (en) Automated banking machine
US20200384478A1 (en) Paper shredding device with paper management device
US8267238B2 (en) Banknote depositing machine and banknote depositing method
KR101873042B1 (ko) 문서 파쇄 장치
JP2014220001A (ja) 紙幣処理装置
KR101899119B1 (ko) 문서관리장치를 구비하는 문서파쇄장치
JP4582468B2 (ja) 用紙管理システム、用紙管理装置及び用紙管理方法
KR100265372B1 (ko) 은행창구형이미지시스템
WO2019227127A1 (en) Payment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EP4345780A1 (en) Valuable medium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