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919A -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919A
KR20180115919A KR1020170048403A KR20170048403A KR20180115919A KR 20180115919 A KR20180115919 A KR 20180115919A KR 1020170048403 A KR1020170048403 A KR 1020170048403A KR 20170048403 A KR20170048403 A KR 20170048403A KR 20180115919 A KR20180115919 A KR 20180115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gum
abutment
gum penetration
dental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171B1 (ko
Inventor
남윤
박세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테코자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테코자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테코자임
Priority to KR1020170048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617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5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5Connecting devices for joining an upper structure with an implant member, e.g. spac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13Apparatus adapted for a specific treatment
    • A61N5/062Photodynamic therapy, i.e. excitation of an ag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5/0601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 A61N5/0603Apparatus for use inside the body for treatment of body cavities
    • A61N2005/0606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06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 A61N2005/063Radiation therapy using light comprising light transmitting means, e.g. optical fib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ath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잇몸 관통부; 상기 잇몸 관통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광촉매층; 및 상기 잇몸 관통부 아래로 연장되어 있고, 치조골에 고정되는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인공치근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층은 상기 잇몸 관통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전자기파와 반응하여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DENTAL IMPLANT AND ABUTMENT}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implant)는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구조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할 수 있도록 하는 인공 구조물을 의미한다. 즉,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실된 치근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재질로 만든 인공치근을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구조물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크게 인공치근(fixture), 어버트먼트(abutment), 및 인공치관(crown)으로 구성된다. 인공치근은 치아의 뿌리역할을 하는 부위로,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고정되고, 어버트먼트는 인공치관과 인공치근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인공치근 위에 체결되어 있으며, 인공치관은 임플란트의 상부보철로 자연치아에서 치아의 머리부분에 해당한다.
이러한 임플란트와 잇몸 사이에는 음식물 잔사 등 유기물과 세균이 축적되어 임플란트 주위의 잇몸에서 염증 반증이 일어나고, 이로 인해 임플란트를 둘러싸고 있는 뼈 조직인 치조골 조직이 녹아내려 임플란트를 발거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종래에는 이러한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을 제거하기 위하여 스케일링, 항생제 복용, 구강세정제, 및 칫솔질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스케일링, 칫솔질을 이용하는 방법은 잇몸 아래 오염 물질을 제거하지 못하고, 항생제와 구강세정제를 이용하는 방법은 세균들이 살아남기 위해 스스로 만드는 생체막(biofilm)에 의해 무력화되어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을 완벽하게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다.
최근에는 치과용 임플란트 표면에 항균성 코팅층을 포함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잇몸에 식립 후에도 임플란트 주변 부위의 세균감염을 예방하는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치과용 임플란트는 어버트먼트 표면에 항균성 코팅층을 표면처리함으로써 가시광선에 의한 광촉매를 유도하여 염증을 예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광촉매 반응을 자가적으로 조절할 수 없어 세균 감염을 예방하는데 한계가 있다.
KR 10-2014-0143295 A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임플란트와 잇몸 사이에 존재하는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을 임플란트 사용자가 자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를 제공하자고 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잇몸 관통부; 상기 잇몸 관통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광촉매층; 및 상기 잇몸 관통부 아래로 연장되어 있고, 치조골에 고정되는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인공치근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층은 상기 잇몸 관통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전자기파와 반응하여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광촉매층은 이산화티타늄(TiO2), 금속 이온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O2), 금속 물질 및 반도체물질이 접합된 이산화티타늄(TiO2), 텅스텐옥사이드(WO3), 금속 이온이 도핑된 텅스텐옥사이드(WO3), 금속 물질 및 반도체물질이 접합된 텅스텐옥사이드(WO3), 페롭스카이트형 복합금속산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이온은 크롬(Cr), 질소(N), 바나튬(V), 망간(Mn), 철(Fe), 니켈(Ni), 구리(Cu), 코발트(Co), 니오븀(Nb), 몰리브덴(Mo), 텅스텐(W), 루테늄(Ru), 백금(Pt), 은(Ag), 지르코늄(Zr),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물질은 백금(Pt), 은(Ag),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도체 물질은 물질은 산화철(Fe2O3), 산화그래핀(GO), 나노다이아몬드(nano-diamond), 환원된 산화 그래핀 (r-G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 관통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 관통부 위로 연장되면서, 치아 모형의 인공치관이 고정되는 인공치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 관통부 및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 관통부 및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잇몸 관통부의 외벽은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내부는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기 잇몸 관통부까지 뚫려져 있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에는 광섬유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잇몸 관통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공치근 연결부는, 상기 잇몸 관통부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몸통부, 상기 연결 몸통부 중심에서 아래로 향하면서 상기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스크류부 및 상기 연결 몸통부 중심에서 위로 향하면서 위로 볼록한 형태의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기파는 100 나노미터 내지 400 나노미터 파장의 자외선,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의 가시광선, 800 나노미터 내지 3000 나노미터 파장의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조골에 고정되어 있는 인공치근, 상기 인공치근과 연결되어 있는 어버트먼트; 및 치아 모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와 연결되는 인공치관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잇몸 관통부; 상기 잇몸 관통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광촉매층; 상기 잇몸 관통부 위로 연장되면서, 상기 인공치관이 고정되는 인공치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자기파가 상기 잇몸 관통부 및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광촉매층에 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공치관은,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와,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 및 상기 덮개부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치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덮개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 외에도,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치과를 가지 않더라도 치과용 임플란트 사용자가 자가적으로 어버트먼트(abutment)와 잇몸 사이에 존재하는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을 제거함으로써, 임플란트주위염(peri-implantitis)을 감소시켜 임플란트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 사용자가 원하시는 시기에 전자기파의 방출 시간 및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치과를 방문하지 않아도 용이하게 임플란트를 관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주변의 연한 잇몸(non-keratinized gingiva)을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으로 바꿈으로써, 임플란트의 수명을 늘리고, 저작 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이 밖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 들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새롭게 파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잇몸과 접촉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Ⅳ'선에 의한 단면도이다.
도 5는 광촉매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잇몸과 접촉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잇몸과 접촉하고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되어 있는 치태 감소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주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 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 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 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잇몸과 접촉하고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0)는 어버트먼트(100), 인공치근(200), 및 인공치관(300)을 포함한다.
어버트먼트(100)는 치아의 몸통 부위에 해당하며 인공치근(200)과 인공치관(300)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인공치근(200)은 치아의 뿌리역할을 하는 부위로 치조골(500)에 고정되어 있고, 인공치관(300)은 치아의 머리부분에 해당하는 부위로 어버트먼트(100)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는 잇몸 관통부(110), 광촉매층(120), 인공치근 연결부(130), 및 인공치관 고정부(150)를 포함한다.
잇몸 관통부(110)는 어버트먼트(100)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위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기파(10)를 통과시킬 수 있으며, 잇몸(600)과 접촉되어 위치된다.
일 실시예로, 잇몸 관통부(110)는 전자기파(10)를 통과시킬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잇몸 관통부(110)를 이루는 투명 물질을 상기 예로 설명하여 한정하였으나, 상기 예 외에도 당업계에서 인체에 무해하면서 투명한 물질로 사용되는 것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잇몸 관통부(110)는 전자기파(10)를 통과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때 잇몸 관통부(110)의 외벽은 인체에 무해하면서 전자기파(10)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형성된다.
광촉매층(120)은 잇몸 관통부(100)의 외주면에 광촉매 물질로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광촉매층(120)은 이산화티타늄(TiO2), 금속 이온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O2), 금속 물질 및 반도체물질이 접합된 이산화티타늄(TiO2), 텅스텐옥사이드(WO3), 금속 이온이 도핑된 텅스텐옥사이드(WO3), 금속 물질 및 반도체물질이 접합된 텅스텐옥사이드(WO3), 페롭스카이트형 복합금속산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광촉매 물질은 나노입자의 형태로 코팅될 수 있다.
여기서 금속 이온은 크롬(Cr), 질소(N), 바나튬(V), 망간(Mn), 철(Fe), 니켈(Ni), 구리(Cu), 코발트(Co), 니오븀(Nb), 몰리브덴(Mo), 텅스텐(W), 루테늄(Ru), 백금(Pt), 은(Ag), 지르코늄(Zr) 및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금속 물질은 백금(Pt), 은(Ag),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반도체 물질은 산화철(Fe2O3), 산화 그래핀(GO), 나노다이아몬드(nano-diamond), 환원된 산화 그래핀 (r-G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인공치근 연결부(130)는 어버트먼트(100)의 일측으로, 인공치근(200)과 연결되는 부위이다.
보다 상세하게, 인공치근 연결부(130)는 잇몸 관통부(100) 아래로 연장되어 있는 연결 몸통부(131), 인공치근(200)과 결합되도록 연결 몸통부(131) 중심에서 아래로 향하면서 볼록한 형태의 스크류부(135), 및 연결 몸통부(131) 중심에서 위로 항하면서 위로 볼록한 형태의 기둥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인공치근 연결부(130)는 스크류 방식으로 스크류부(135)가 인공치근(200)과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스크류 없이 홈(well)이 형성된 인공치근(200)과 홈의 직경에 대응하는 스크류부(135)를 냉간압접(Cold welding)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공치근(200)과 어버트먼트(100)의 인공치근 연결부(130)를 더욱 축소할 수 있으므로 스크류 방식의 연결방법 보다 더 많은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기둥부(133)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기파(10)를 광촉매층(120) 반사시킬 수 있도록 연결 몸통부(131) 중심에서 위로 볼록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기둥부(133)의 형상을 끝이 뽀족한 오각형 형태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모서리가 각을 이루는 오각형만 포함되는 것은 아니고, 둥근 형상 등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인공치근 연결부(130)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기파(10)를 광촉매층(120)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불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생체에 안전하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하며 전자기파(10)를 반사시킬 수 있는 티타늄 금속 또는 티타늄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생체에 안정하면서 전자기파(10)를 반사시킬 수 있는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인공치관 고정부(150)는 어버트먼트(100)의 타측으로 인공치관(300)과 결합되는 부위이다.
인공치관 고정부(150)는 잇몸 관통부(100) 위로 연장되면서, 치아 모형의 인공치관(300)이 고정되는 부위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기파(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인공치관 고정부(150)는 앞에서 설명한 잇몸 관통부(110)와 동일한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잇몸 관통부(110)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인공치관 고정부(150)는 잇몸 관통부(110)와 분리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잇몸 관통부(110)와 다른 투명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인공치관(300)은 덮개부(310)와 치아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덮개부(310)는 인공치관 고정부(150)의 상부에 위치하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기파(10)가 통과될 수 있도록 투명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인공치관 고정부(150)는 앞에서 설명한 잇몸 관통부(110)와 동일한 투명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치아부(320)는 일반적인 의치의 재료로 형성되되, 내부지지용 금속과 외측의 도자기(Porcealin)로 구비되거나, 인공치관(300)이 요구되는 강도에 따라 금, 은과 같은 금속 만으로도 형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자기 만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인공치근(200)은 치조골(500)에 삽입되는 삽입부(220) 및 연결 몸통부(131)와 중첩되는 중첩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220)는 스크류 방식으로 스크류부(135)와 결합될 수 있다. 중첩부(210)는 연결 몸통부(131)가 중첩부(210)의 내부와 중첩되어야 하므로 내부는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도면에 도시된 것과 달리, 인공치근(200)의 중첩부(210)는 실시예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의 -Ⅳ 선에 의한 단면도이고, 도 5는 광촉매 반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000)가 어버트먼트(100)와 잇몸 사이에 존재하는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을 제거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 사용자 또는 치과 의사는 전자기파(10)를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모듈인 광원장치(400)를 인공치관(300)의 덮개부(310) 위로 올려 놓고 전자기파(10)를 어버트먼트(100)로 발산한다.
이때, 광원장치(400)는 전자기파(10)를 발산할 수 있으면 특별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광원장치(400)에서 발산하는 전자기파(10)는 100 나노미터 내지 400 나노미터 파장의 자외선,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의 가시광선, 800 나노미터 내지 3000 나노미터 파장의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광원장치(400)에서 방출된 전자기파(10)는 인공치관(300)의 덥개부(310), 어버트먼트(100)의 인공치관 고정부(150), 및 어버트먼트(100)의 잇몸 관통부(110)를 통과하여 광촉매층(120)에 전달된다.
광원장치(400)는 치과용 임플란트 사용자 또는 치과 의사가 전자기파의 방출 시간 및 회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광원장치(400)로부터 방출된 전자기파(10)가 광촉매층(120)에 도달하면 광촉매 반응에 의해 잇몸(600)과 어버트먼트(100)의 잇몸 관통부(110) 사이에 존재하는 세균 군락, 세균태, 치태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연치는 잇몸의 상피와 치아가 연결되는 부위인 치아치은결합부(dentogingival junction)가 존재하는데 상기 치아치은결합부에서 세균 군락과 음식물 잔사로 인하여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이 형성되고 치주염과 같은 염증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어버트먼트(100)와 잇몸(600) 사이에서도 자연치와 동일하게 세균 군락과 음식물 잔사로 인하여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잇몸(600)과 임플란트(1000) 간의 실링(sealing)이 제거되고 세균이 침투되어 염증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과정이 번복되어 임플란트가 고정된 골조직이 소실됨으로써 임플란트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 및 치과용 임플란트(1000)는 잇몸 관통부(110)의 외주면에 광촉매층(120)을 포함하고, 광원장치(40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10)가 광촉매층(120)에 도달하여 광촉매 반응에 의해 어버트먼트(100)와 잇몸(600) 사이의 세균태, 치대, 치구 및 치석을 제거함으로써, 임플란트주위염(peri-implantitis)을 감소시켜 임플란트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는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의 원인이 되는 유기화합물(30)과 접촉될 수 있다.
이때, 광원장치(40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10)는 인공치관(300)의 덥개부(310), 어버트먼트(100)의 인공치관 고정부(150), 및 어버트먼트(100)의 잇몸 관통부(110)를 통과하여 광촉매층(120)에 도달된다. 이러한 광촉매층(120)은 전자기파(10)와 반응하여 광촉매 반응을 일으킨다.
도 5를 참조하면, 광촉매층(120)이 전자기파(10)를 받으면 전자(e-) 및 수소이온(H+)을 생성해서 대기 중의 산소(O2) 및 물(H2O)과 반응하여 다량의 활성산소종(ROS)((superoxide(O2 -), OH radical(-OH))를 생성하게 된다.
이때, 광촉매층(120)에서 생긴 활성산소종은 산소이온(O2 -)과 과산화수소(-OH)를 포함하고 있으며, 짝지어지지 않은 전자 때문에 반응성이 매우 높아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의 원인이 되는 유기화합물(30)를 빠르게 분해하여 인체에 무해한 물(H2O)과 이산화탄소(CO2)로 변환시킴으로써 임플란트 소실의 원인이 되는 임플란트주위염(peri-implantitis)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는 어버트먼트(100) 및 치과용 임플란트(1000)는 치과를 가지 않더라도 임플란트 사용자가 자가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임플란트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임플란트 위에 광원장치(400)를 올려놓고 원하는 시기에 전자기파(10) 방출 시간 및 횟수를 조절함으로써, 치과를 가지 않더라도 자가적으로 임플란트(1000)와 잇몸(600) 사이에 존재하는 세균태, 치태, 치구 및 치석의 원인이 되는 유기화합물(30)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 및 치과용 임플란트(1000)는 어버트먼트(100) 주변의 연한 잇몸(non-keratinized gingiva)을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으로 바꿀 수 있다.
일반적으로 치아 주변의 잇몸은 안쪽에 위치하는 연한 잇몸(non-keratinized gingiva)과, 연한 잇몸(non-keratinized gingiva)의 바깥층에 위치하면서 치아와의 경계부위를 단단하게 만들어 치아를 보호하는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으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치아 주변에는 섬유질이 풍부한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이 존재함으로써 칫솔질 시 잇몸의 손상 및 통증을 방지할 수 있고, 음식 섭취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잇몸병이 심하거나 치아를 빼고 일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의 양이 줄어들게 된다.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의 양이 줄어든 상태에서 임플란트(1000)를 식립하는 경우 저작시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임플란트(1000)의 수명도 짧아질 수 있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 및 치과용 임플란트(1000)는 광촉매 반응에 의해 활성산소종(ROS)((superoxide(O2 -), OH radical(OH·))을 생성하고, 상기 활성산소종(ROS)은 어버트먼트(100) 주변의 연한 잇몸(non-keratinized gingiva)을 섬유화(fibrosis) 시켜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으로 바꿀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 및 치과용 임플란트(1000)는 어버트먼트(100) 주변의 연한 잇몸(non-keratinized gingiva)을 단단한 잇몸(keratinized gingiva)으로 바꿈으로써, 임플란트의 수명을 늘리고, 저작 시 불편함을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잇몸과 접촉하고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로서, 인공치관 고정부(150), 잇몸 관통부(110)가 일부 변경되고, 광섬유(160)가 삽입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100)는 어버트먼트(100), 인공치근(200), 및 인공치관(3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는 잇몸 관통부(110), 광촉매층(120), 인공치근 연결부(130), 인공치관 고정부(150), 및 광섬유(160)를 포함한다.
인공치관 고정부(150)의 내부는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150)의 상면에서 잇몸 관통부(110)까지 뚫려져 있는 홀(H)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홀(H)는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인공치관 고정부(150)는 불투명 물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생체에 안전하고 생체 적합성이 우수한 티타늄 금속 또는 티타늄 합금이 이용될 수 있다.
광섬유(160)는 홀(H)을 통하여 잇몸 관통부(110)까지 삽입된다.
치과용 임플란트 사용자 또는 치과 의사는 전자기파(10)를 발산하는 발광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모듈인 광원장치(400)를 인공치관(300)의 덮개부(310) 위로 올려 놓고 전자기파(10)를 어버트먼트(100)로 발산한다.
광원장치(400)에서 방출된 전자기파(10)는 인공치관(300)의 덥개부(310), 광섬유(160) 및 어버트먼트(100)의 잇몸 관통부(110)를 통과하여 광촉매층(120)에 전달된다.
광원장치(400)로부터 방출된 전자기파(10)가 광촉매층(120)에 도달하면 광촉매 반응에 의해 잇몸(600)과 어버트먼트(100)의 잇몸 관통부(110) 사이에 존재하는 세균 군락, 세균태, 치태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 및 치과용 임플란트(1100)는 광섬유(160) 및 잇몸 관통부(110)의 외주면에 광촉매층(120)을 포함하고, 광원장치(40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10)가 광촉매층(120)에 도달하여 광촉매 반응에 의해 어버트먼트(100)와 잇몸(600) 사이의 세균태, 치대, 치구 및 치석을 제거함으로써, 임플란트주위염(peri-implantitis)을 감소시켜 임플란트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은 잇몸과 접촉하고 있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단면도로서, 인공치관(300) 및 어버트먼트(100)의 인공치관 고정부(150)가 생략된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와 동일하다.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구성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힐링 어버트먼트로 이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과정은 치아가 빠진 치조골(500)에 인공치근(200)을 매식하고, 이때 인공치근(200)이 치조골에 고정되는 기간이 필요하다. 상기 일정 기간 동안에는 인공치근(200)에 힐링 어버트먼트(1200)를 결합하게 된다. 일정 기간이 소요된 후 힐링 어버트먼트(1200)를 제거하고 다시 인공치관을 결합할 수 있는 어버트먼트를 다시 인공치근(200)에 결합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는 인공치근(200)이 치조골(500)에 고정되는 기간 동안에 이용될 수 있는 힐링 어버트먼트이다.
인공치근(200)이 치조골(500)에 고정되는 기간은 보통 3 개월 내지 6 개월 정도 소요되는데, 이 기간 동안에도 잇몸과 어버트먼트 사이에 세균태, 치대, 치구 및 치석이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200)는 어버트먼트(100)과 인공치근(20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는 잇몸 관통부(115), 광촉매층(120), 및 인공치근 연결부(130)를 포함한다.
잇몸 관통부(115)는 어버트먼트(100)의 몸통에 해당하는 부위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전자기파(10)를 통과시킬 수 있는 투명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잇몸(600)과 접촉되어 위치된다. 또한, 잇몸 관통부(110)의 높이는 잇몸(600) 보다는 다소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광원장치(400)로부터 방출된 전자기파(10)가 광촉매층(120)에 도달하면 광촉매 반응에 의해 잇몸(600)과 어버트먼트(100)의 잇몸 관통부(115) 사이에 존재하는 세균 군락, 세균태, 치태 등을 제거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버트먼트(100) 및 치과용 임플란트(1200)는 인공치근(200)이 치조골(500)에 고정되는 기간 동안에 사용되며, 이때 광섬유(160) 및 잇몸 관통부(110)의 외주면에 광촉매층(120)을 포함하고, 광원장치(400)로부터 방출되는 전자기파(10)가 광촉매층(120)에 도달하여 광촉매 반응에 의해 어버트먼트(100)와 잇몸(600) 사이의 세균태, 치대, 치구 및 치석을 제거함으로써, 임플란트주위염(peri-implantitis)을 감소시켜 임플란트의 수명을 반영구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되어 있는 치태 감소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 주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생존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이고, B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잇몸 관통부는 광촉매층이 포함되어 있고,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잇몸 관통부는 광촉매층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 즉, 광촉매층은 이산화티타늄(TiO2)이 나노입자의 형태로 코팅되어 있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0.6mg/mL의 단백을 농축을 가진 인공 타액을 110?L/min의 속도로 치과용 임플란트의 잇몸 관통부에 흘려 주었고, 광도가 25 mW/cm2 이고 파장이 382nm 인 자외선(UV light)을 매 30분 마다 3분간 조사하였다.
실험실 내의 결과(in vitro study)는 어쿠스틱 센서가 부착된 수동진동자저울(acoustic sensors in a quartz-crystal microbalance; QCM)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잇몸 관통부에 광촉매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B)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태 부착량이 감소하지 않는데 반하여, 잇몸 관통부에 광촉매층이 코팅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A)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태 부착량이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잇몸과 임플란트 사이의 치태 부착량을 측정하여 광촉매 반응에 의한 치태 부착량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도 13을 참조하면, 치과용 임플란트의 잇몸 관통부에 광도가 2.0 mW/cm2 이고 파장이 352nm 인 자외선(UV light)을 지속적으로 조사하고, 시간에 따른 박테리아 수를 측정하였다.
잇몸 관통부에 광촉매층이 코팅되어 있지 않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B)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 주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는 크게 변화가 없는데 반하여, 잇몸 관통부에 광촉매층이 코팅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A)는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 주위에 존재하는 박테리아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잇몸과 임플란트 사이의 박테리아를 측정하여 광촉매 반응에 의한 박테리아의 감소 효과를 확인하였다.
1000: 치과용 임플란트 100: 어버트먼트
110: 잇몸 관통부 120: 광촉매층
130: 인공치근 연결부 131: 연결 몸통부
133: 기둥부 135: 스크류부
150: 인공치관 고정부 200: 인공치근
300: 인공치관 400: 광원장치
500: 치조골 600: 잇몸

Claims (13)

  1. 잇몸 관통부;
    상기 잇몸 관통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광촉매층; 및
    상기 잇몸 관통부 아래로 연장되어 있고, 치조골에 고정되는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인공치근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촉매층은 상기 잇몸 관통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유입되는 전자기파와 반응하여 광촉매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2. 제1항에서,
    상기 광촉매층은 이산화티타늄(TiO2), 금속 이온이 도핑된 이산화티타늄(TiO2), 금속 물질 및 반도체물질이 접합된 이산화티타늄(TiO2), 텅스텐옥사이드(WO3), 금속 이온이 도핑된 텅스텐옥사이드(WO3), 금속 물질 및 반도체물질이 접합된 텅스텐옥사이드(WO3), 페롭스카이트형 복합금속산화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3. 제2항에서,
    상기 금속 이온은 크롬(Cr), 질소(N), 바나튬(V), 망간(Mn), 철(Fe), 니켈(Ni), 구리(Cu), 코발트(Co), 니오븀(Nb), 몰리브덴(Mo), 텅스텐(W), 루테늄(Ru), 백금(Pt), 은(Ag), 지르코늄(Zr),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금속 물질은 백금(Pt), 은(Ag), 금(Au)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도체 물질은 물질은 산화철(Fe2O3), 산화그래핀(GO), 나노다이아몬드(nano-diamond), 환원된 산화 그래핀 (r-G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4. 제1항에서,
    상기 잇몸 관통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5. 제1항에서,
    상기 잇몸 관통부 위로 연장되면서, 치아 모형의 인공치관이 고정되는 인공치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6. 제5항에서,
    상기 잇몸 관통부 및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7. 제5항에서,
    상기 잇몸 관통부 및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는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잇몸 관통부의 외벽은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진 어버트먼트.
  8. 제5항에서,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내부는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상면에서 상기 잇몸 관통부까지 뚫려져 있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에는 광섬유가 삽입되어 있는 어버트먼트.
  9. 제8항에서,
    상기 잇몸 관통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어버트먼트.
  10. 제1항에서,
    상기 인공치근 연결부는,
    상기 잇몸 관통부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 몸통부,
    상기 연결 몸통부 중심에서 아래로 향하면서 상기 인공치근과 결합되는 스크류부 및
    상기 연결 몸통부 중심에서 위로 향하면서 위로 볼록한 형태의 기둥부를 포함하는 어버트먼트.
  11. 제1항에서,
    상기 전자기파는 100 나노미터 내지 400 나노미터 파장의 자외선, 400 나노미터 내지 800 나노미터 파장의 가시광선, 800 나노미터 내지 3000 나노미터 파장의 적외선 중 어느 하나인 어버트먼트.
  12. 치조골에 고정되어 있는 인공치근, 상기 인공치근과 연결되어 있는 어버트먼트; 및 치아 모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어버트먼트와 연결되는 인공치관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있어서,
    상기 어버트먼트는,
    잇몸 관통부;
    상기 잇몸 관통부의 외면에 위치하는 광촉매층;
    상기 잇몸 관통부 위로 연장되면서, 상기 인공치관이 고정되는 인공치관 고정부를 포함하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전자기파가 상기 잇몸 관통부 및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내부를 통과하여 상기 광촉매층에 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인공치관은,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덮개부와,
    상기 인공치관 고정부 및 상기 덮개부의 둘레를 감싸고 있는 치아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13. 제12항에서,
    상기 덮개부는 전자기파가 통과될 수 있는 투명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명 물질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 sulfon),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olyether ether ketone),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유리(glass), 석영(quartz), 및 PMMA(polymethylmethacrylate), 세라믹(ceramic), 투명 알루미나, 지르코니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는 치과용 임플란트.
KR1020170048403A 2017-04-14 2017-04-14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KR101916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03A KR101916171B1 (ko) 2017-04-14 2017-04-14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8403A KR101916171B1 (ko) 2017-04-14 2017-04-14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919A true KR20180115919A (ko) 2018-10-24
KR101916171B1 KR101916171B1 (ko) 2018-11-07

Family

ID=64132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403A KR101916171B1 (ko) 2017-04-14 2017-04-14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61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27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티엘플랜트덴탈랩 어버트먼트 가공용 환봉 및 이를 이용한 어버트먼트 가공방법
WO2024012961A1 (en) * 2022-07-12 2024-01-18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Disinfection system for patient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17408B2 (en) 2019-10-23 2022-12-06 Imam Abdulrahman Bin Faisal University Method for treating denture stomatitis using denture base material containing nanodiamond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3200B4 (de) 2005-03-16 2014-05-28 Peter A. Ehrl Zweiteiliges Zahnimplantat aus Keramik
JP2007098054A (ja) 2005-10-07 2007-04-19 Rihei Kamatani 歯科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インプラ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
JP2008080102A (ja) 2006-08-29 2008-04-10 Nagasaki Univ インプラント
KR100775579B1 (ko) 2006-09-22 2007-11-09 김백기 지르코니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9127A (ko) * 2020-12-04 2022-06-13 주식회사 티엘플랜트덴탈랩 어버트먼트 가공용 환봉 및 이를 이용한 어버트먼트 가공방법
WO2024012961A1 (en) * 2022-07-12 2024-01-18 Danmarks Tekniske Universitet Disinfection system for pati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6171B1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etzel et al. Attempts to obtain re‐osseointegration following experimental peri‐implantitis in dogs
Zarone et al. Prosthetic treatment of maxillary lateral incisor agenesis with osseointegrated implants: a 24–39‐month prospective clinical study
KR10191617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KR10173418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및 어버트먼트
Mazor et al. Sinus augmentation for single-tooth replacement in the posterior maxilla: a 3-year follow-up clinical report.
JP2007098054A (ja) 歯科インプラント及び歯科インプラント用アバットメント
KR20090048078A (ko) 치과용 임플란트장치
CN108309478B (zh) 一种发光口腔植入体
Balshi et al. Treatment of osseous defects using vicryl mesh (polyglactin 910) and the Brånemark implant: a case report
KR101237103B1 (ko) 항균 코팅된 치과용 보철
WO2014007123A1 (ja) 殺菌機能を備えたインプラント用キャップ
JP2008006164A (ja) 酸化膜の形成方法
Pawar et al. A Comparative Radiographic Evaluation of Crestal Bone Loss around Dental Implants by Varying the Abutment Diameters
CA2310818A1 (en) Dental treatment methods
Deporter et al. A possible “rescue” procedure for dental implants with a textured surface geometry: a case report
Salman et al. To develop dental prostheses and improve the addition of polymers (Atridox, Fort Collins) in dental procedures.
Shabalina et al. Dental orthopedic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problems related to type 2 diabetes. literature review
JP2013146469A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のフィクスチャー表面性状
JP2742593B2 (ja) 歯科インプラント部材
Stević et al. History of Implantology from the Aspect of Osseointegration and Mucointegration
JPH0531157A (ja) 殺菌機能性歯科用口腔内用機材
KR100646832B1 (ko) 치과용 항균 보철물
Hoffmann et al.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 case series
KR200357410Y1 (ko) 치과용 항균 보철물
JP3178956U (ja) カラー部に殺菌機能を備えた歯科用インプラ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