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5830A - 자동 위치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위치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5830A
KR20180115830A KR1020170047885A KR20170047885A KR20180115830A KR 20180115830 A KR20180115830 A KR 20180115830A KR 1020170047885 A KR1020170047885 A KR 1020170047885A KR 20170047885 A KR20170047885 A KR 20170047885A KR 20180115830 A KR20180115830 A KR 201801158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loading plate
moving bar
linearly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7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방규
Original Assignee
이방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방규 filed Critical 이방규
Priority to KR1020170047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5830A/ko
Publication of KR20180115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8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08Machines
    • B41F15/12Machine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for drying prin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16Printing tables
    • B41F15/18Supports for workpie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5/00Screen printers
    • B41F15/14Details
    • B41F15/34Screens, Frames; Holders therefor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조절 장치는,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는 인쇄 대상물이 로딩되는 로딩 플레이트와,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는 프린팅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는 자동 제어에 의해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가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위치 조절 장치{Screen Printer}
자동 위치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로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자동 제어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인쇄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기판 또는 인쇄회로기판의 패턴 인쇄용으로서 실크 스크린 프린터와 같은 스크린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스크린 프린터의 한 종류로서, 소위 표면 투막 프린터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 프린터는 원하는 패턴의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 상에 구리, 몰리망간 저항, 글라스 등의 페이스트를 도포시키고 스크레이퍼를 왕복 이동시키면 구멍을 통하여 페이스트가 통과되어 인쇄 대상물인 기판에 원한이 패턴이 인쇄될 수 있다.
부연하면, 스크린 프린터 및 그 제어 방법 등에 있어서는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10-2007-0005170호 등에 개시되어 있기 때문에 구성 등에 대해서는 파악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스크린 프린터에 있어서는, 신뢰성 있는 인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인쇄 대상물이 로딩되는 작업 테이블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해야 하는데, 작업 테이블의 위치 조절이 작업자의 경험에 따라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작업 테이블이 일측으로 치우치거나 기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인쇄를 하는 경우 신뢰성 있는 인쇄를 수행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로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자동 제어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인쇄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위치 조절 장치는,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는 인쇄 대상물이 로딩되는 로딩 플레이트와,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는 프린팅 테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는 자동 제어에 의해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가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로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자동 제어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인쇄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로딩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이동 바아; 및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 바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장착 프레임은,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서 상방으로 기립 배치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기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에는 상기 기립부재의 형성 방향의 가로 방향을 갖는 상기 이동 바아의 양단부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이동 바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이동 바아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이동 바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2 구동모터의 구동 속도 또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동 바아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모터에는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선형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선형 이동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선형 이동 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의 일측에는 볼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볼 베어링을 지나도록 상기 이동 바아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선형 이동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바아로 전달되어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바아가 제1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제2 구동모터는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의 위치에 맞게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장착되되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장착 방향과는 가로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2 구동모터에는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선형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선형 이동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기립부재의 관통홀 내에서 베어링에 의해 상기 이동 바아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 시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선형 이동이 상기 이동 바아에 전달되어 상기 이동 바아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이 다른 경우, 상기 이동 바아의 일측은 상기 제2 방향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바아의 타측은 상기 제2 방향의 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 바아는 상기 볼 베어링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동 바아에 고정된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회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측에 따르면, 상기 스크린의 인쇄 패턴에 따라 상기 로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위치 조절부의 위치 조절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 플레이트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자동 제어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인쇄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프린팅 테이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팅 테이블에서 로딩 플레이트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제1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른 이동 바아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제2 구동 모터의 작동에 따른 이동 바아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적용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룬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중 스크린 프린터로 적용하여 설명할 것이다. 다만, 자동 위치 조절 장치가 스크린 프린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프린팅 테이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린팅 테이블에서 로딩 플레이트(110)를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 주요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는 프린팅 테이블에 대해서만 도시하였지만,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프린터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스크린 프린터는, 인쇄 패턴이 형성된 구멍이 형성된 스크린(미도시)과, 스크린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이동 가능한 본 실시예의 프린팅 테이블(100)과, 스크린 상에 도포된 페이스트를 왕복 이동시키는 스크레이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프린팅 테이블(100)에 안착되는 기판(미도시)에 스크린으로부터 인쇄용 페이스트를 통과시켜 원하는 패턴으로 인쇄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신뢰성 있는 인쇄 공정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판이 안착되는 프린팅 테이블(100)의 위치를 인쇄 패턴에 맞게 정확하게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의 스크린 프린터는 자동 제어에 의해 정확한 위치 조절이 가능한 프린팅 테이블(100)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테이블(100)은, 인쇄 대상물, 예를 들면 기판이 로딩되는 로딩 플레이트(110)와, 수평 방향(로딩 플레이트(110)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로딩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로딩 플레이트(110)는 그 상면에 인쇄 대상물인 기판이 로딩되는 부분으로서, 전체적으로 사각 플레이트 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로딩 플레이트(110)에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그 중앙 영역에 복수 개의 흡입공(1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흡입공(111)은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력 제공부(미도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기판을 로딩 플레이트(110)의 상면에 놓은 후 흡입력을 제공함으로써 로딩 플레이트(110)에 대한 기판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위치 조절부(120)는 로딩 플레이트(110)에 로딩된 기판을 전술한 스크린의 인쇄 패턴에 정확하게 일치되도록 인쇄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여러 구성들의 장착 틀을 형성하는 장착 프레임(130)과, 장착 프레임(130)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으로 로딩 플레이트(110)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부재(115, 도 1 및 도 4 참조)가 결합되는 이동 바아(170)와, 장착 프레임(130) 상에 장착되며 이동 바아(170)를 이동시킴으로써 로딩 플레이트(110)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방향은 도 2 기준으로 x축 방향을 가리키고, 제2 방향은 제1 방향의 수직 방향인 y축 방향을 가리킨다. 그리고 수평 방향으로 회전된다는 것은, 이동 바아(170)의 가상의 중심을 토대로 xy 평면에서 회전되는 것을 의미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구동부(140)의 구동 원리를 설명하면서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의 장착 프레임(130)은, 바닥에 배치되되 전술한 스크린의 하부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131)와, 바닥 플레이트(131)에 상방으로 기립 배치되는 한 쌍의 기립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구동부(140)를 이루는 구동모터(150, 160)들과, 구동모터(150, 160)들에 연동되어 전술한 이동 바아(170)를 이동시키는 구성들이 장착 프레임(13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기립부재(135)는 후술하겠지만, 구동부(140)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가 장착되는 것이면서, 아울러 이동 바아(170)가 관통 배치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한 쌍의 기립부재(135)는 상호 나란하도록 바닥 플레이트(131)에서 이격 배치되고, 이동 바아(170)는 기립부재(135)의 수직 방향을 향하도록 한 쌍의 기립부재(135)에 각각 형성된 관통홀(135h)에 관통되어 배치되는데, 이 때 관통홀(135h)은 이동 바아(170)의 직경에 비해 크고 긴 길이를 가짐으로써 이동 바아(170)는 관통홀(135h) 내에서 이동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로딩 플레이트(110)의 바닥면에서 이격되게 배치되는 연결부재(115)가 이동 바아(170)의 단부에 고정되게 결합되며, 따라서 이동 바아(170)가 이동하는 대로 로딩 플레이트(110) 역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이동 바아(170)는, 전술한 것처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거나 또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데, 이는 구동부(140)의 구동에 의해서 가능하다.
본 실시예의 구동부(14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방향으로 이동 바아(170)를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바아(170)에 연결된 로딩 플레이트(11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150)와, 이동 바아(170)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 바아(170)를 이동시킴으로써 로딩 플레이트(110)를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프린팅 테이블(100)에는, 구동부(140)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로딩 플레이트(110)의 위치 조절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구동부(140)에 대한 제어부의 자동 제어에 의해 로딩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자세히 후술하겠지만,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는 제어부에 의해 각각 개별 제어됨으로써 이동 바아(170)를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한편으로는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도 있다.
구동부(140)의 각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제1 구동모터(150)에는 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샤프트에는 회전 운동을 선형 이동을 변환시키는 선형 이동부재(151)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제1 구동모터(150)를 구동시키는 경우 선형 이동부재(151)의 선형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동모터(150)에 연결되는 선형 이동부재(151) 및 이동 바아(170)의 사이에는 선형 이동부재(151)의 선형 이동을 이동 바아(170)에 전달하는 전달부재(153)가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제1 구동모터(150)의 구동에 따른 이동 바아(170)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인데, 이에 도시된 것처럼, 선형 이동부재(151)가 제1 방향의 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경우, 전달부재(153) 전체가 제1 방향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이동 바아(170) 역시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동 바아(170)에 고정되게 결합된 로딩 플레이트(110) 역시 제1 방향의 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이동 바아(170)가 만나는 전달부재(153)의 일측(153a)은 디귿자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그 내에는 볼 베어링(173)과 같은 베어링이 그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되고 볼 베어링(173)에 이동 바아(170)가 관통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 구조에 의해서, 제1 구동모터(150)의 구동에 따른 이동 바아(170)의 제1 방향으로의 선형 이동이 가능하지만, 아울러, 제2 구동모터(160)들의 구동에 따른 이동 바아(170)의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역시 가능해지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의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는, 전술한 것처럼, 한 쌍의 기립부재(135)에 장착되는데,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2 구동모터(160)의 장착 방향은 제1 구동모터(150)의 장착 방향과 수직 방향을 가짐으로써 기본적으로 이동 바아(170)를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는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제2 구동모터(160)의 샤프트는 기립부재(135) 내에 배치되고, 그 내에서 샤프트는 선형 이동부재(161)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선형 이동부재(161)는 베어링(175)에 의해서 이동 바아(170)의 단부와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제2 구동모터(160)의 구동 시, 샤프트의 회전 운동이 선형 이동부재(161)의 선형 이동으로 변환되고, 선형 이동부재(161)가 이동 바아(170)와의 연결 부분을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킴으로써 이동 바아(170)와 고정되게 연결된 로딩 플레이트(110)가 제2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것처럼, 제2 구동모터(160)는 한 쌍 마련되며, 이격되게 배치되는 각각의 기립부재(135)에 장착되는 구성을 갖는다. 즉, 하나의 제2 구동모터(160)는 이동 바아(170)의 일단부 영역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제2 구동모터(160)는 이동 바아(170)의 타단부 영역에 연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들이 같은 방향 및 동일한 속도로 구동하는 경우, 이동 바아(170)의 일단부 및 타단부는 같은 속도 및 같은 방향으로 선형 이동함으로써 이동 바아(170)가 전체적으로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가령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들의 구동 방향 및 속도가 다른 경우 이동 바아(17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받는 힘과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이동 바아(170)가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전술한 것처럼, 이동 바아(170)는 전달부재(153)의 일측(153a)에 배치되는 볼 베어링(173)에 관통되는 구성을 갖는데, 여기서 볼 베어링(173)이 전달부재(153)의 일측(153a) 내에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2 구동모터(160)들의 구동에 따른 이동 바아(170)의 수평 방향으로의 회전 동작 역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도 4에서 제2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른 이동 바아의 이동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가 다른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경우 이동 바아(17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 중 하나의 제2 구동모터(160)의 선형 이동부재(161)가 제2 방향의 정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경우, 그에 연결된 이동 바아(170)의 일단부는 제2 방향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반면에, 다른 하나의 제2 구동모터(160)의 선형 이동부재(161)가 제2 방향의 역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경우, 그에 연결된 이동 바아(170)의 타단부는 제2 방향의 역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바아(170)는 도 6 기준으로 전체적으로 경사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것이며, 이를 통해 로딩 플레이트(110) 역시 수평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한 쌍의 제2 구동모터(160)의 구동에 따라 선형 이동이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제2 구동모터(160)들의 구동 속도에 따라서 선형 이동하는 정도가 달라지기 때문에 제어부는 구동 방향 또는 구동 속도 등에 기초하여 로딩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로딩 플레이트(110) 상에 배치되는 기판 상에 인쇄 패턴을 형성하기 전에 로딩 플레이트(110)의 위치를 자동 제어에 의해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 인쇄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프린팅 테이블
110 : 로딩 플레이트
120 : 위치 조절부
130 : 장착 프레임
131 : 바닥 플레이트
135 : 기립부재
140 : 구동부
150 : 제1 구동모터
160 : 제2 구동모터
170 : 이동 바아

Claims (9)

  1. 인쇄를 위한 패턴이 형성된 스크린; 및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면에는 인쇄 대상물이 로딩되는 로딩 플레이트와,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 조절부를 구비하는 프린팅 테이블;
    을 포함하며,
    상기 위치 조절부는 자동 제어에 의해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1 방향의 가로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위치를 조절하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부에 상기 로딩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장착 프레임;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배치되며,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하단부에 구비된 연결부재가 결합되는 이동 바아;
    상기 장착 프레임 상에 장착되며, 상기 이동 바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방향 또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프레임은,
    바닥에 배치되는 바닥 플레이트; 및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서 상방으로 기립 배치되되 상호 나란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기립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에는 상기 기립부재의 형성 방향의 가로 방향을 갖는 상기 이동 바아의 양단부가 관통 배치되는 관통홀이 구비되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이동 바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상기 제1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는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이동 바아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제2 방향으로 상기 이동 바아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제2 방향으로 선형 이동시키거나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한 쌍의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구동모터의 구동 속도 또는 방향을 선택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상기 이동 바아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딩 플레이트를 회전시키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터에는 상기 제1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선형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선형 이동부재가 결합되며,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선형 이동 시 상기 제1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전달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전달부재의 일측에는 볼 베어링이 장착되고 상기 볼 베어링을 지나도록 상기 이동 바아가 장착됨으로써,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선형 이동이 상기 전달부재에 의해 상기 이동 바아로 전달되어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 바아가 제1 방향으로 선형 이동하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 구동모터는 상기 한 쌍의 기립부재의 위치에 맞게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장착되되 상기 제1 구동모터의 장착 방향과는 가로 방향으로 장착되며,
    상기 제2 구동모터에는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선형 이동으로 변환시키는 선형 이동부재가 결합되되, 상기 선형 이동부재는 상기 기립부재의 관통홀 내에서 베어링에 의해 상기 이동 바아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 시 상기 선형 이동부재의 선형 이동이 상기 이동 바아에 전달되어 상기 이동 바아는 상기 제2 방향으로 힘을 받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터 및 상기 제2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이 다른 경우, 상기 이동 바아의 일측은 상기 제2 방향의 정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 바아의 타측은 상기 제2 방향의 역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이동 바아는 상기 볼 베어링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이동 바아에 고정된 상기 로딩 플레이트의 회전이 이루어지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인쇄 패턴에 따라 상기 로딩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위치 조절부의 위치 조절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위치 조절 장치.
KR1020170047885A 2017-04-13 2017-04-13 자동 위치 조절 장치 KR2018011583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85A KR20180115830A (ko) 2017-04-13 2017-04-13 자동 위치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7885A KR20180115830A (ko) 2017-04-13 2017-04-13 자동 위치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830A true KR20180115830A (ko) 2018-10-24

Family

ID=64132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7885A KR20180115830A (ko) 2017-04-13 2017-04-13 자동 위치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583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6371A (zh) * 2020-05-08 2020-08-11 牛秀苹 一种印刷辅助处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16371A (zh) * 2020-05-08 2020-08-11 牛秀苹 一种印刷辅助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2304B1 (en) Workpiece carrier and workpiec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JP2002185117A (ja) 粘性流体転写装置及び転写方法、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実装方法、並びに半導体装置
CN110814381A (zh) 一种家具板材多角度钻孔装置
JP5542759B2 (ja) 部品実装装置
KR20180115830A (ko) 자동 위치 조절 장치
JP6169708B2 (ja) 製造作業機
KR200463702Y1 (ko) 스크린 프린터의 스퀴지장치
JP465780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CN103770449B (zh) 丝网印刷机及丝网印刷方法
JP2014220406A (ja) 被作業体保持具
WO2016135871A1 (ja) 部品実装機及び部品実装方法
JP7198984B2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5662839B2 (ja) 電子部品実装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方法
JPH0350438B2 (ko)
JP4545230B1 (ja) パターン形成装置
KR20170097471A (ko) 기판 정렬 유닛 및 상기 기판 정렬 유닛을 포함하는 스크린 프린터
CN107889443B (zh) 部件安装装置以及部件安装方法
JP6913718B2 (ja) 電子部品装着システム、および基板生産方法
JPH11291446A (ja) スクリーン印刷装置
JP6564077B2 (ja) 電子部品装着システム、および基板生産方法
JP7080344B2 (ja) ユニット管理装置およびユニット管理方法
KR101091916B1 (ko) 부품 실장기용 헤드 어셈블리
KR20160010897A (ko) 회전 시스템을 가지는 스퀴지 장치
JP2017098435A (ja) 電子部品装着機
JP2005119812A (ja) 部品整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