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846A -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846A
KR20180114846A KR1020180040421A KR20180040421A KR20180114846A KR 20180114846 A KR20180114846 A KR 20180114846A KR 1020180040421 A KR1020180040421 A KR 1020180040421A KR 20180040421 A KR20180040421 A KR 20180040421A KR 20180114846 A KR20180114846 A KR 201801148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b
suture
suture body
end portion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0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2179B1 (ko
Inventor
유원석
Original Assignee
유원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원석 filed Critical 유원석
Priority to EP18785075.5A priority Critical patent/EP3610800A4/en
Priority to JP2020506693A priority patent/JP2020516436A/ja
Priority to PCT/KR2018/004216 priority patent/WO2018190625A1/ko
Publication of KR2018011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2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21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3/00Modifying the surface
    • D02J3/02Modifying the surface by abrading, scraping, scuffing, cutting, or n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004(bio)absorbable, (bio)resorbable, resorpt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526Methods of manufactu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2045/009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jection moulding of small-sized articles, e.g. microarticles, ultra thin art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미늘과 미늘홈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나선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동시에 작용되는 2축 복합응력에 따라 미늘 봉합사의 고착력을 증대시키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Barbed Su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다양한 의료 환경에서 동물 조직을 연결하거나 고정하기 위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봉합시 동물 조직에 삽입 후 고착력을 극대화하며 봉합사 적용에 따른 유효성 및 안전성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봉합사는 일반적으로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과 같은 재질로 구성된 비흡수성 봉합사와,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락트산과 글리콜산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각각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와 카프로락톤(Caprolactone) 또는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간의 공중합체 또는 폴리다이옥사논(Polydioxanone) 또는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와 같은 재질로 구성된 생흡수성 봉합사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특히, 생흡수성 봉합사는 환자로부터 봉합사를 제거할 필요성이 없으므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다.
여기서 절개된 조직을 꿰매기 위하여 통상의 봉합사를 사용함에는 사용자로부터 적어도 한 개 이상의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사용과정이 요구된다. 그러나 봉합사를 매듭짓기 위한 매듭방법이 매우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으며, 그 방법 또한 매우 복잡하여 사용자인 의사에게 많은 훈련이 요구되고, 나아가 수술 중 봉합사의 매듭을 짓는 그 자체만으로도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심장수술 등과 같은 많은 봉합 및 매듭이 필요한 수술에서 수술시간 및 개복시간의 최소화를 도모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더욱이 매듭은 파손과 미끄러짐 또는 풀림 등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봉합의 파괴가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미용적으로는 외부 흉터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 봉합사의 매듭을 형성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봉합사에 대한 기술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미늘 봉합사(barbed suture)는 그 사상의 개시 이후 많은 발전 과정을 거쳐 상품화되어 있으며, 통상의 매듭이 필요한 봉합사에 있어서 상기 상술한 문제점들을 보완하여 많은 이점을 제공하고 있다. 이들 미늘 봉합사는 본체 길이를 따라 본체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하나 이상의 돌출된 미늘을 형성한 것으로서, 미늘 봉합사는 미늘의 구조와 작용에 의하여 단반향 이동성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즉, 한쪽 방향으로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는 미늘의 구조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속성으로 인하여 미늘 봉합사는 통상적인 봉합사와는 달리 매듭없는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상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지닌 미늘 봉합사의 기본적인 사상과 설계는 1950년대 중반 알카모(J. H. Alcamo)의 미국 특허 3,123,077호에서 개시된다. 해당 종래의 기술은 단방향 이동성(즉, 한 방향으로 조직을 통과할 수 있지만, 반대방향으로 이동을 억제하는)을 갖게 되는 인체 조직을 봉합하기 위한 코드에 대하여 기술하였으며, 이는 미늘 봉합사의 기본적인 속성에 해당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수단으로 몸체에 대해 예각으로 본체로부터 돌출하는 급격한 선단부의 탄성 미늘 및 본체를 갖는 신장된 코드를 기술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는 봉합사의 매듭의 필요성은 제거하였으나 앵커부가 없기 때문에 이동 가능한 일측 방향으로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는 구조이므로 통상의 루프(loop)를 형성하거나 시누소이달(sinusoidal)형태의 봉합을 형성하는 봉합법 자체에 대한 간소화에는 그 한계를 지니고 있는 구조이다.
또한, 미국 특허 5,053,047호에서는 한쪽 끝에 구형의 앵커를 포함한 생분해성 미늘 봉합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는 연속 봉합법과 같은 통상적으로 루프를 형성하거나 시누소이달형태의 봉합을 형성하지 않고도 봉합사의 단순히 삽입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봉합이 이루어 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봉합사의 앵커부에 의한 일측 말단부가 앵커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봉합사 구조를 제공하고 있으나 앵커된 봉합사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어야 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단점은 미관상의 단점을 포함하여 봉합부의 관리 어려움, 봉합부 파손, 출혈, 염증, 감염 등의 부작용 발생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미국 특허 5,374,268호에서는 봉합사의 양측 선단부에 돌출된 미늘들이 서로 마주 볼 수 있도록 양방향 배열로 배치된 생분해성 재질의 앵커부를 포한한 수술도구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또한, 미국특허 제5,931,855호에서는 미늘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서 전체 길이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의 미늘들이 서로 마주 보게끔 형성된 양방향 배열의 미늘 봉합사를 기술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105호(국제공보 WO 2005/096956호로 공개)에서는 미늘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서 중앙 부위는 미늘이 형성되지 않은 클리어부분을 포함하고 나머지 양측에 형성된 미늘들은 클리어존을 향하여 서로 마주 보게끔 형성된 양방향 배열의 미늘 봉합사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미국 특허 5,374,268호, 미국특허 제5,931,855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105호(국제공보 WO 2005/096956호로 공개)와 같은 구조는 각각의 양측 선단부가 각기 환부 다른 지점으로 삽입될 수 있는 구조이며, 이에 따라 통상의 봉합법 또는 단순한 봉합법에 의하여 봉합이 가능하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545105호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술방법에 따라서는 봉합사의 중앙부가 일측 봉합부에서 앵커링 역할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특징은 조직 거상과 같은 성형시술용으로써의 유효한 장점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환부의 봉합시, 봉합사의 구조와 봉합법으로 인한 봉합부 및 추가적 2차 환부가 넓게 발생되고 조직 거상과 같은 성형 수술시에도 각기 다른 2개의 바늘이 조직을 관통하므로 수술에 따른 환부가 추가적으로 넓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미늘 봉합사는 미늘 형성에 있어서, 봉합사의 몸체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만들거나 또는 봉합사의 몸체를 깎아서 형성한 것들이며, 모두 조직을 통해 한 방향으로 삽입된 후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은 억제되는 미늘의 기본적인 설계 및 구조에 충실한 것들이다. 그러나 이들 미늘 봉합사는 미늘 봉합사의 기본 특성으로 인하여 조직에 삽입 후에 여전히 한 방향으로의 미끄러짐 특성은 여전히 보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하여 봉합사의 변위에 따른 돌출(Protrusion)이나 딤플(Dimple)등의 부작용들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대두되었다. 따라서, 보다 이상적인 봉합사로써 조직에 삽입 후 양쪽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는 고착형 봉합사의 요구가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국제공보 WO 2006/061868호에서는 서로 마주보게끔 양방향으로 형성된 미늘 세그먼트들이 배열된 고정형 미늘 봉합사에 대해서 공개되었다. 이는 봉합사의 삽입 이후 봉합사의 양쪽 모든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가지는 고정형 봉합사로서의 성능은 유효할 수 있겠으나, 봉합사를 조직으로 삽입시에 매끄럽게 삽입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서 봉합부의 정확한 봉합 지점에 대한 봉합성능 자체가 문제점을 가진 구조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043179호에는 심선과 심선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권선되어있는 미끄럼 방지용 외선을 포함하여 구성한 수술용 봉합사가 공개되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37481호에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을 따라서 연속적인 나선 돌기를 형성하고 일측 돌기 구간은 외향플랜지 형태인 것을 포함하여 구성한 의료용 봉합사가 공개되었다. 상기 두개의 종래 기술은 봉합사를 조직으로 삽입함에 있어서, 매끄럽게 삽입할 수 있고 또한, 봉합사의 삽입 이후 조직의 재생과정으로 인하여 봉합사에 형성된 나선형 요철 부분으로 섬유 조직이 생장 및 생착하여 들어가므로 조직의 고정 효과를 보다 단단히 제공할 수 있는 구조이다. 그러나 섬유 조직의 생장 및 생착에 따른 고정효과를 이루기 전까지, 즉 봉합사의 조직 삽입 직후에는 조밀한 조직을 물리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날카롭게 형성된 미늘등의 고정부 요소가 부재함에 따라서 의도한 목적인 조직 고정효과 자체가 미비할 수 있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술한 종래 기존의 미늘 봉합사를 포함한 돌기가 형성된 봉합사들은 봉합사의 고정력이 특별히 요구되는 안면부 거상술(擧上術)과 같은 조직 거상술상에 적용함에 있어서, 조직을 거상하기에 적합한 미늘의 부재로 인하여 거상효과가 미비하거나 또는, 조직의 거상이 가능한 미늘이 존재하여 조직 거상이 가능하더라도 거상된 위치에서의 봉합사와 거상된 조직 및 주변 조직간의 결합이 약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서 중력과 근육의 움직임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삽입한 봉합사 자체가 거상한 방향의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고 거상한 조직이 초기의 위치로 다시 내려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는 기존의 미늘 봉합사, 즉 단방향으로는 수월한 이동성을 가진 봉합사들이 가지는 원론적인 문제점일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을 보완하기 위하여 삽입부의 봉합사 말단부 또는 봉합사의 어느 일부를 조직과 묶어서 앵커링하는 등의 보다 복잡한 방법의 수술을 행하고 있는 실정이며, 이로 인한 흉터 발생, 염증, 감염등의 부작용 위험이 증가됨은 자명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부작용에 대한 미늘 봉합사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으로서, 봉합사의 몸체를 기준으로 360° 모든 방향으로 미늘을 구성하려는 발명과 노력들이 시도되어 왔는데, 이는 미늘에 의한 고정력을 강하게 하고, 미늘 봉합사에 가해지는 하중을 골고루 분배하기 위함이며, 이로 인하여 봉합사의 고정력 강화는 물론이고 하중을 균일하게 분배할 수 있음에 내구성이 향상되고, 더불어 특정 부위만의 미늘 파손에 따른 딤플 부작용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몸체를 기준으로 360°모든 방향으로 미늘을 구성한 상기의 미늘 봉합사는 이러한 긍정적인 효과와 더불어 부정적인 문제점들이 대두된다. 즉, 몸체를 기준으로 360°에 걸친 전방위적 미늘 파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봉합사 강도를 유지시켜 주는 봉합사 몸체의 외경이 지나치게 작아지게 되므로 극도의 물성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상과 같은 종래 모든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등록특허 10-1172829에는 봉합사 외주면에 나선형의 미늘을 형성한 미늘 봉합사가 개발된 바 있으며, 본 출원인이 2016. 5. 17. 출원한 고착형 미늘 봉합사에 봉합사 외주면에 나선형의 미늘을 형성한 미늘 봉합사가 출원된 바 있으나,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나선형의 미늘 봉합사는 종래의 미늘 봉합사와 같이 반대 방향의 외력에 의해 봉합사가 미끄러지거나 나선형 방향의 외력에 의해 조직으로부터 미끄럼짐 이탈될 문제점이 있었다.
미국특허 3,123,077호 미국특허 5,053,047호 미국특허 5,931,855호 한국등록특허 10-0545105호(국제공보 WO 2005/096956) 미국특허 5,374,268호 국제특허공보 WO 2006/061868호 한국등록특허 10-1043179호 한국등록특허 10-1237481호 한국등록특허 10-117282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미늘과 미늘홈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도록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나선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동시에 작용되는 2축 복합응력에 따라 미늘 봉합사의 고착력을 증대시키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미늘과 미늘홈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나선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동시에 작용되는 2축 복합응력에 따라 미늘 봉합사의 고착력을 증대시키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를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한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의 나선각은 3~8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때, 그 간격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직경의 3배 이내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와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일정 두께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쐐기형 돌기미늘, 직각삼각형 돌기미늘. 쐐기원추형 돌기미늘, 직각원추형 돌기미늘, 매듭형 돌기미늘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돌기미늘이 형성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된 봉합사 몸체의 형상을 가지는 금형 캐비티에 봉합사 재질의 액상수지를 주입하여 일정 길이의 봉합사를 사출성형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블레이드 절삭기 또는 레이저 절삭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하여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형성하되,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회전시키면서 압착성형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나선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동시에 작용되는 2축 복합응력이 작용하여 고착력을 증대시키므로 사용상 매듭이 불필요하고 봉합시 조직 및 주변 조직과 봉합사 간의 고정력을 극대화하여 빠르고 강하게 고착될 수 있는 효과를 얻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은 봉합사의 삽입부위 또는 봉합부위에 대한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인장방향의 외력에 의해서도 봉합 주변조직으로 비틀림 모멘트를 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는 봉합사의 삽입부위 또는 봉합부위의 움직임 등에 대해서도 강한 고착효과로 봉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은 봉합사와 봉합된 조직 및 주변조직 간의 강한 고착력으로 인하여 봉합부위의 파열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추고, 보다 안전성이 우수한 봉합성능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은 봉합사 미늘의 찢어짐과 같은 이유로 발생되는 봉합사 몸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사용 후의 봉합사 내구력 유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은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상업적으로 효용성이 우수한 봉합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나선형 구조의 미늘 봉합사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 구조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 구조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2방향 응력작용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평면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실물제품도
도 8은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쐐기형 돌기미늘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직각삼각형 돌기미늘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쐐기원추형 돌기미늘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직각원추형 돌기미늘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매듭형 돌기미늘 구성도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미늘과 미늘홈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나선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동시에 작용되는 2축 복합응력에 따라 미늘 봉합사의 고착력을 증대시키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를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한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의 나선각은 3~8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때, 그 간격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직경의 3배 이내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와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일정 두께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쐐기형 돌기미늘, 직각삼각형 돌기미늘. 쐐기원추형 돌기미늘, 직각원추형 돌기미늘, 매듭형 돌기미늘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돌기미늘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된 봉합사 몸체의 형상을 가지는 금형 캐비티에 봉합사 재질의 액상수지를 주입하여 일정 길이의 봉합사를 사출성형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블레이드 절삭기 또는 레이저 절삭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하여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형성하되,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회전시키면서 압착성형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제조방법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와, 미늘홈(30)과, 미늘(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미늘홈(30)과, 미늘(20)은 각각 대응 부합되어 형성된 일측끝단부(21, 31) 및 타측선단부(22, 32)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피부, 근육, 힘줄, 내부기관, 골조직, 신경, 혈관 등과 같은 동물 조직의 다양한 손상부위 및 외과수술에 따른 절개 부위를 연결 또는 봉합하기에 적절한 유연성 및 강도를 갖추며, 형상이 변형 또는 절선되지 않을 정도의 강성과 함께 생체적합성을 모두 갖춘 재질로 형성한다.
.예컨대, 상기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재질은 가장 바람직하게는 일정 시간이 지나면 조직 내로 흡수되는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이며, 락트산(L-lactide) 중합체, 글리콜산(Glycolide) 중합체, 카프로락톤(Caprolactone) 중합체, 트리메틸렌 카보네이트(Trimethylene carbonate) 중합체, 다이옥사논(Dioxanone) 중합체, 키토산(Chitosan) 및 그의 유도체들이 단독 또는 이들 간의 공중합체나 블렌딩 재질들이 모두 사용될 수 있으며, 비흡수성 재질로는 실크(Silk), 면(Cotton), 나일론(Nylon), 대필론(Dafilon), 폴리에스터(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스테인리스금속(Stainless steel)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생흡수성 고분자 재질이 보다 적합한 이유는 비흡수성 재질과 다르게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사용에 있어서, 미늘홈(30)과, 미늘(20)이 미세한 조각으로 찢어지거나 분리되어 체내 존재하더라도 모두 부작용없이 흡수될 수 있기 때문이며, 이는 비흡수성 재질의 경우 상기의 미세 봉합사 조각들이 체내에서 지속적으로 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을 유발시키는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우려도 있기 때문이다.
상기 봉합사 몸체(10)는 원형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선단에는 봉합부위에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외과용 바늘(도면에 미도시)을 연결결합하게 되고, 이때 일반적으로 바늘에 형성된 고리나 걸림턱을 활용한 묶음(Binding), 본딩재(Bonding agent)를 이용한 접합, 바늘의 말단에 형성된 튜브(Tube)를 이용한 압착(Compression), 스웨이징(swaging), 포밍(Forming) 또는 래핑(wrapping)등의 부착 방법 및 원리는 당업자들이라면 쉽게 이해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특히,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도 2] 내지 [도 7]를 참조하면,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 상에 일측끝단부(31) 및 타측선단부(32)를 가지는 미늘홈(30)이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일측끝단부(31) 및 타측선단부(32)를 가지는 미늘홈(30)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21) 및 타측선단부(22)를 가지는 미늘(20)이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축방향으로 상기 미늘홈(30)의 간격에 따라 형성되어 상기 일측끝단부(31) 및 타측선단부(32)를 가지는 미늘홈(30)에 작용하는 나선경사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일측끝단부(21) 및 타측선단부(22)를 가지는 미늘(20)에 작용하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고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적 기술구성으로 한다.
즉,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한국등록특허 10-1172829 에 개시된 봉합사 외주면에 나선형태로 형성된 미늘과 절개홈 모두 미늘 봉합사 몸체의 동축방향으로 향하거나, 나선형 경사각으로 배향되어 형성되어 있으므로, 봉합사 종축 또는 나선방향으로 발생되는 일방의 하중에 대하여 견디지 못하고 미늘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도 5]를 참조하면, 미늘홈(30)은 나선경사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에 대응하도록 나선경사방향으로 배향되고, 미늘(20)은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에 대응하도록 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므로 봉합사 종축으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하여 2방향의 응력으로 저항력이 발생하여 고착력을 증대시키게 된다.
이러한 작용 원리는 상기 미늘홈(30) 및 미늘(20)이 형성된 봉합사를 체내 삽입하면, 일반적으로 적어도 수일에서 1개월 이내에 생체반응 및 재생작용에 의하여 생체 조직이 상기 미늘홈(30) 내부로 재생되어 생착되어 봉합사와 주변 조직간 나선형의 강력한 고정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미늘홈(30)에 의한 봉합사와 봉합 주변 조직간의 나선형 구조의 고정은 인장방향으로 봉합사의 미끄러짐 또는 이동에 대해서 물리적 마찰력을 높이는 구조이며, 봉합사가 삽입된 부위 또는 봉합된 부위의 움직임 등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인장방향의 외력에 의해서도 봉합 주변 조직으로 비틀림모멘트를 가하는 구조인 것이다.
통상적으로 생체 조직 내에 삽입된 세장형 물체(일례로 바늘이나 봉합사 같은 물체)의 회전은 인장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킨다는 것은 "grasp" 현상 등에 대한 여러 연구들(Helene M. Langevin, David L. Churchill, Junru Wu, Gary J. Badger, Jason A. Yandow, James R. Fox, and Martin H. Krag, Evidence of Connective Tissue Involvement in Acupuncture, The FASEB Journal, Published online April 10, 2002.)에서도 널리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미늘(20)이 축방향으로 배향됨에 따라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외력에 대하여는 미늘이 축방향에 대한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직각으로 작용하여 최대 저항모멘트가 작용하여 축방향 미끄러짐에 저항력이 극대화된다.
이데 따라,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상기 미늘홈(30)에 의한 나선형 저항력 및 미늘(20)에 의한 축 저항력이 동시에 2방향으로 작용하여 고착력이 극대화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원리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통상의 미늘 봉합사들이 가지는 단점인 시간 경과에 따른 삽입 방향 쪽으로 봉합사의 미끄러짐이나 이동 현상이 없이 견고한 고착력을 해당 시술부위에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고착 특성은 봉합된 부위의 파열 등과 같은 심각한 부작용의 가능성을 낮추고, 보다 안전한 봉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삽입된 봉합사가 거상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거상 조직의 고정을 유지하게 함으로 조직 거상술과 같은 시술에서 더욱 요구되는 유용한 성능이다.
한편, 상기 미늘홈(30) 및 미늘(20)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 몸체(10)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21)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31)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20)의 타측선단부(22)는 상기 미늘홈(30)의 타측선단부(32)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된다.
또한,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미늘(20)과 미늘홈(30)은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20)의 타측선단부(22)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30)의 타측선단부(32)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20)의 타측선단부(22)에 대하여 나선각(a)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된다.
이때,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한 나선각(a)은 3~8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고착력 극대화에 바람직한데, 3도 미만이면 나선각 경사방향 외력에 대한 응력이 미흡하고, 80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미늘 및 미늘홈이 과다하게 형성됨에 따라 봉합사 몸체가 손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때, 그 간격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직경의 3배 이내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3배 이상일 경우에는 미늘 및 미늘홈의 간격이 너무 길고 미늘 및 미늘홈의 수가 적게 되어 고착력이 약화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와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일정 두께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데, 즉,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22)는 일정 두께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늘홈(30)은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외면을 감싸며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서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되, 상기 미늘홈(30)은 상기 봉합사 몸체(10)의 전체 외경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일정한 깊이와 길이로 형성되며, 그 타측선단부(32)는 일정 두께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된 봉합사 몸체의 형상을 가지는 금형 캐비티에 봉합사 재질의 액상수지를 주입하여 일정 길이의 봉합사를 사출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블레이드 절삭기 또는 레이저 절삭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하여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형성하되,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여기서, 미늘홈(30)이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미늘(20)이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으로 보다 확실히 형성되기 위하여는 열처리과정이 더 수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미늘(20)이 비틀리지 않고 축방향으로 배향되기 위하여는 비틀림 최소화되도록 하는 열처리과정을 거쳐 상기 미늘이 축방향으로 완전 배향될 수 있다.
즉, 열처리과정은 고분자의 녹는점 이하 유리전이온도 부근의 온도 조건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일정 시간 열처리하여 원하는 형상으로 변형시키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유리전이온도 부근에서 고분자 분자사슬의 재배열이 가능하며, 동시에 물리적 힘을 가하여 고분자의 배향이 가능함을 이용한 방법이다. 또한, 유사한 열처리 방식으로 고분자를 유리전이온도 이상의 고온에서 원하는 형상으로 일정 시간 열처리한 후 냉각하여 성형하는 방법으로 이는 고분자의 재결정화를 이용한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열처리를 통하여 상기 미늘홈(30)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미늘(20)은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으로 배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회전시키면서 압착성형하여 별도의의 열처리과정없이 제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미늘과 미늘홈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나선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동시에 작용되는 2축 복합응력에 따라 미늘 봉합사의 고착력을 증대시키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에는 상기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쐐기형 돌기미늘, 직각삼각형 돌기미늘. 쐐기원추형 돌기미늘, 직각원추형 돌기미늘, 매듭형 돌기미늘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돌기미늘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쐐기형 돌기미늘(40),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직각삼각형 돌기미늘(40).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쐐기원추형 돌기미늘(40),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직각원추형 돌기미늘(40),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매듭형 돌기미늘(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미늘들은 본 발명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미늘이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에 대응하도록 축방향으로 배향되어 있으므로 봉합사 종축으로 발생되는 하중에 대하여 2방향의 응력으로 저항력이 발생하여 고착력을 증대시키게 되는 효과에 더하여, 상기 돌기미늘들에 의한 고착력이 더욱 배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돌기미늘들은 사출성형, 압착성형, 접합성형 또는 매듭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봉합사 몸체 20 : 미늘
30 : 미늘홈 21, 31 : 일측끝단부
22, 32 : 타측선단부
40 : 돌기미늘 50 : 매듭형 돌기미늘

Claims (9)

  1.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미늘과 미늘홈이 형성된 미늘 봉합사에 있어서,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어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축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과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가해지는 나선방향의 외력에 대한 응력이 동시에 작용되는 2축 복합응력에 따라 미늘 봉합사의 고착력을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한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의 나선각은 3~80도 범위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과 미늘홈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때, 그 간격은 상기 봉합사 몸체의 직경의 3배 이내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와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일정 두께로 각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늘과 미늘의 길이방향 간격 사이에는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쐐기형 돌기미늘, 직각삼각형 돌기미늘. 쐐기원추형 돌기미늘, 직각원추형 돌기미늘, 매듭형 돌기미늘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2 이상의 돌기미늘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착형 미늘 봉합사
  6.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형성된 봉합사 몸체의 형상을 가지는 금형 캐비티에 봉합사 재질의 액상수지를 주입하여 일정 길이의 봉합사를 사출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7.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블레이드 절삭기 또는 레이저 절삭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을 일정한 간격으로 절개하여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형성하되,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형성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8.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축 회전시켜 꼬임을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9. 봉합사 몸체 외주면에 압착성형기를 사용하여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과 상기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홈에 부합한 형태의 일측끝단부와 타측선단부를 가지는 미늘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면서 동시에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 접하는 상기 미늘의 일측끝단부 및 상기 미늘홈의 일측끝단부는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동일 위치에서 봉합사 몸체와 일체로 접합되고,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에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이격되도록 압착성형한 후, 상기 미늘과 미늘홈이 봉합사 몸체의 나선형의 경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도록 하되,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봉합사 몸체의 축방향을 향하여 정렬되고, 상기 미늘홈의 타측선단부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미늘의 타측선단부에 대하여 나선각을 가지면서 상기 봉합사 몸체의 나선방향을 향하여 정렬되도록 봉합사 몸체를 회전시키면서 압착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고착형 미늘 봉합사의 제조방법
KR1020180040421A 2017-04-11 2018-04-06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KR102092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8785075.5A EP3610800A4 (en) 2017-04-11 2018-04-10 ADHESIVE ARDILLON SUTURE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JP2020506693A JP2020516436A (ja) 2017-04-11 2018-04-10 固着型かかり縫合糸及びその製造方法
PCT/KR2018/004216 WO2018190625A1 (ko) 2017-04-11 2018-04-10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552 2017-04-11
KR20170046552 2017-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846A true KR20180114846A (ko) 2018-10-19
KR102092179B1 KR102092179B1 (ko) 2020-03-23

Family

ID=64101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0421A KR102092179B1 (ko) 2017-04-11 2018-04-06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610800A4 (ko)
JP (1) JP2020516436A (ko)
KR (1) KR102092179B1 (ko)
WO (1) WO20181906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404B1 (ko) * 2020-04-10 2021-09-30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KR20230117826A (ko) *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차메디텍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봉합사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077A (en) 1964-03-03 Surgical suture
US5053047A (en) 1989-05-16 1991-10-01 Inbae Yoon Suture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endoscopic surgery and methods of suturing
US5374268A (en) 1991-05-13 1994-12-2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torn tissue
US5931855A (en) 1997-05-21 1999-08-03 Frank Hoffma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KR20050094394A (ko) * 2002-09-30 2005-09-27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미늘 봉합사에 대한 미늘 모형들
KR100545105B1 (ko) 2004-04-07 2006-01-24 츠 리앙 우플스 우 수술용 실
WO2006061868A1 (en) 2004-12-06 2006-06-15 Promoitalia International Srl Surgical thread for plastic, dermatolog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and for surgical sutures
US20090043336A1 (en) * 2007-08-06 2009-02-12 Jie Jenny Yuan Barbed suture with non-symmetric barbs
KR101043179B1 (ko) 2009-09-17 2011-06-20 유원식 수술용 봉합사
KR101172829B1 (ko) 2002-09-30 2012-08-10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외과용 바늘과 병용하는 미늘 봉합사
KR101237481B1 (ko) 2012-08-30 2013-02-26 백우인 나선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KR20160113647A (ko) * 2014-01-27 2016-09-30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비대칭 리테이너를 갖는 자가-유지형 봉합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6956A1 (en) 2004-04-07 2005-10-20 Tze Liang Woffles Wu Surgical thread
KR101600567B1 (ko) * 2014-04-18 2016-03-07 (주)리젠바이오참 피하 조직 및 혈관 손상 방지를 위한 매선 주입봉
KR101631107B1 (ko) * 2014-06-20 2016-06-16 김도아 생체용 실을 삽입하기 위한 도구
KR101621759B1 (ko) * 2014-08-13 2016-05-17 유원석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20160109249A (ko) * 2015-03-10 2016-09-21 윤인모 수술용 실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23077A (en) 1964-03-03 Surgical suture
US5053047A (en) 1989-05-16 1991-10-01 Inbae Yoon Suture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endoscopic surgery and methods of suturing
US5374268A (en) 1991-05-13 1994-12-2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torn tissue
US5931855A (en) 1997-05-21 1999-08-03 Frank Hoffman Surgical methods using one-way suture
KR20050094394A (ko) * 2002-09-30 2005-09-27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미늘 봉합사에 대한 미늘 모형들
KR101172829B1 (ko) 2002-09-30 2012-08-10 퀼 메디컬, 인코포레이티드 외과용 바늘과 병용하는 미늘 봉합사
KR100545105B1 (ko) 2004-04-07 2006-01-24 츠 리앙 우플스 우 수술용 실
WO2006061868A1 (en) 2004-12-06 2006-06-15 Promoitalia International Srl Surgical thread for plastic, dermatolog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and for surgical sutures
US20090043336A1 (en) * 2007-08-06 2009-02-12 Jie Jenny Yuan Barbed suture with non-symmetric barbs
KR101043179B1 (ko) 2009-09-17 2011-06-20 유원식 수술용 봉합사
KR101237481B1 (ko) 2012-08-30 2013-02-26 백우인 나선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KR20160113647A (ko) * 2014-01-27 2016-09-30 에디컨인코포레이티드 비대칭 리테이너를 갖는 자가-유지형 봉합 기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7404B1 (ko) * 2020-04-10 2021-09-30 21세기메디칼 주식회사 수술용 및 안면 거상술용 봉합사
KR20230117826A (ko) * 2022-02-03 2023-08-10 주식회사 차메디텍 봉합사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봉합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516436A (ja) 2020-06-11
KR102092179B1 (ko) 2020-03-23
EP3610800A4 (en) 2020-12-23
WO2018190625A1 (ko) 2018-10-18
EP3610800A1 (en) 2020-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100C2 (ru) Конфигурации заусениц для шовных нитей с заусеницами
KR101432497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AU2007237207B2 (en) Knotless wound closure device
JP5570046B2 (ja) 係留デバイス
KR101719256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US20110282386A1 (en) Continuous-filament thread having a plurality of barbs and a barbed suture
US20080281357A1 (en) Looped tissue-grasping device
US20180360453A1 (en) Mesh suture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KR101432500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20180114846A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US9220492B2 (en) Wound closure device
KR20180123273A (ko) 봉합고정앵커 및 리프팅고정앵커 겸용 고정앵커후크 및 바늘을 구비한 봉합사
KR102109138B1 (ko) 메쉬 봉합사에 대한 니들의 간접 부착
KR200491577Y1 (ko) 니들이 구비된 양 방향성 미늘 봉합사
CN210582548U (zh) 手术缝合线
US9107660B2 (en) Wound closure device
KR20230171775A (ko) 의료용 봉합사
KR20240001377A (ko)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Mehler Sutures and needles: the dangers of" knot" know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