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01377A -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 Google Patents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01377A
KR20240001377A KR1020220077943A KR20220077943A KR20240001377A KR 20240001377 A KR20240001377 A KR 20240001377A KR 1020220077943 A KR1020220077943 A KR 1020220077943A KR 20220077943 A KR20220077943 A KR 20220077943A KR 20240001377 A KR20240001377 A KR 202400013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branch
main
present
multiple bran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메디언스
Priority to KR102022007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01377A/ko
Publication of KR202400013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0137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76Sutures with protrusions, e.g. bar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61B2017/0619Sutures thermoplastic, e.g. for bonding, welding, fusing or cutting the suture by melting i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술용 절개부를 봉합하거나 또는 리프팅 시술할 때 사용되는 봉합사로서, 메인 봉합사의 일측에 부착된 복수의 분지 봉합사를 포함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 Suture threads with multi ends }
본 발명은 메인 봉합사의 일단에 구비되는 분지 봉합사를 포함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메인 봉합사의 일측에 복수의 분지 봉합사를 접착 또는 융착하여 부착한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에 관한 것이다.
봉합사(suture thread)는 외상으로 다친 상처나 수술 등으로 손상된 인체 부위를 꿰매는 실을 의미하며, 초기에는 양, 돼지, 말의 창자나 힘줄 등의 장기 추출물로 만든 장선(catgut)이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낮은 강도로 인하여 사용이 부적합하고, 또한 조직 거부 반응과 동물 유래 질병 발생의 염려로 인해 그 사용이 점차 감소되었다.
이후 합성 고분자 물질인 나일론이나 실크 등의 대체 물질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들 소재의 인체 내 비분해성과 비생체 적합성으로 인해 시술 후 일정 시간 경과 후 추가 수술에 의해 제거해야 하는 불편이 있어 사용이 제한되었다.
이로 인해 1970년대 이후 수용성 조건 하에서 장시간 노출 시 분해되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고 있는 합성 고분자 봉합사의 개발과 활용에 대한 연구가 꾸준하게 이루어져 초기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이하 PGA)에서 최근에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이하 PDO) 고분자 등이 봉합사 소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봉합사 관련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58888호에는 코브라 모양의 바브가 봉합사의 종축방향 또는 표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스트레스가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므로 인장강도의 감소를 극소화시켜 기존의 고강도를 유지할 수 있는 정착 봉합각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98201호에는 탄성계수(Young's modulus)가 서로 다른 폴리머를 복합 방사시켜 제조되는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로서, 탄성 계수가 큰 폴리머로 탄성계수가 작은 폴리머를 감싸는 형태로 제조되어 매듭 안정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고, 적합한 매듭 강력을 갖는 봉합사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종래의 봉합사는 하나의 실로 구성되어 시술 부위가 큰 경우에는 여러 가닥의 봉합사가 필요하고, 이에 따라 시술 부위의 여러 부분을 절개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술부위의 흉터 발생이 많아서, 시술 후 시술 부위가 미관상 좋지 않은 결과가 나타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용 절개부를 봉합하거나 또는 리프팅 시술할 때 사용되는 봉합사로서, 메인 봉합사의 일측에 부착된 복수의 분지 봉합사를 포함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는, 메인 봉합사와, 상기 메인 봉합사의 일단에 구비도는 복수의 분지 봉합사;를 포함하고, 상기 분지 봉합사는 메인 봉합사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또는 용융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분지 봉합사를 메인 봉합사에 접착하는 경우에 접착제는 Cyanoacrylate, Octyl 2- cyanoacrylate, N-Butyl 2-cyanoacrylat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메인 봉합사와 분지 봉합사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나일론 6(Nylon 6), 나일론 66(Nylon 66),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및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상기 메인 봉합사와 분지 봉합사의 표면에는 미늘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는 한 가닥의 메인 봉합사에 다수 개의 분기 봉합사가 분기 연결되어 있어
리프팅 시술시 여러 포인트를 잡아줌으로써 시술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가 외과 수술에서 절개 조직이나 매듭이 필요한 부위의 매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매듭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저항이 보다 강한 봉합사를 제공할 수 있고, 신체조직이 신속하게 회복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모노 필라멘트들이 합사(a) 또는 블레이딩(b)된 봉합사의 모식도이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00)의 모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노 필라멘트들이 합사(a) 또는 블레이딩(b)된 봉합사(100)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외상으로 다친 상처나 수술 등으로 손상된 인체 부위를 꿰매거나 또는 신체의 늘어지거나 주름진 피부를 당겨서 펴주는 리프팅 시술을 위한 실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봉합사(10)와 상기 상기 메인 봉합사(10)의 일단에 구비되는 분지 봉합사(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메인 봉합사(10)와, 상기 메인 봉합사(10)로부터 분리된 복수 개의 분지 봉합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외과 수술에서 절개 조직이나 매듭이 필요한 부위의 매듭을 형성하는 경우 또는 리프팅 시술시 매듭을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봉합이 필요한 지점이 여러 군데인 경우 본 발명은 하나의 봉합사(100)를 이용하여 매듭이 필요한 부위에 분지 봉합사(20)를 위치시킨 다음 바늘을 이용하여 봉합을 함으로써 손쉬운 시술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리프팅 시술에 활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메인 봉합사(10)의 일측에 복수 개의 분지 봉합사(20)가 마치 가지를 치듯이 분기되어 있어 하나의 봉합사 시술로 최대한 넓은 범위의 리프팅이 가능해지게 된다.
더하여, 메인 봉합사(10)의 길이방향과 일직선을 이루지 않고 어긋난 분지 봉합사(20)가 위치한 지점에서 동시에 피부를 당겨주게 되기 때문에 리프팅 부작용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를 구성하는 메인 봉합사(10) 및 분지 봉합사(20)는 비분해성 실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인체 내에서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자연적으로 분해가 되는 생체 흡수성 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체 흡수성 소재로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봉합사(10) 및 분지 봉합사(20)는 비흡수성 소재 즉, 나일론 6(Nylon 6), 나일론 66(Nylon 66),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메인 봉합사(10) 및 분지 봉합사(20)로 구성될 수 있고, 특히 상기 분지 봉합사(20)는 메인 봉합사(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또는 용융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메인 봉합사(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분지 봉합사(20)를 접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를 제조하기 위하여 분지 봉합사(20)를 메인 봉합사(10)의 일측에 접착시 사용되는 접착제는 의료기기용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의료기기용 접착제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기기(instrument), 장치(apparatus, contrivance), 도구(implement), 기계, 인체에 주입하는 물질(implant), 시험관내 시약 등에 치료 또는 진단을 위해 사용되는 것들에 적용이 가능한 접착제를 가리킨다.
상기와 같은 의료기기용 접착제는 2-octyl cyanoacrylate 또는 n-butyl cyanoacrylate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제 즉, 2-octyl cyanoacrylate 또는 n-Butyl cyanoacrylate는 가정용품, 자동차, 건설 등 용도의 순간 접착제로 개발되었고 1960년대에 상처 봉합용 접착제로 개발이 시작되었다. 액상의 상기 접착제 단분자는 반응성이 매우 높고 상온에서 촉매나 부가적인 열 또는 압력 없이 수 초 내로 고분자화된다.
상기 접착제의 강도는 알킬사슬의 길이에 의해 결정이 되는데 n-butyl cyanoacrylate와 같이 짧은 길이를 가지는 단분자들이 2-octyl cyanoacrylate 등과 같은 긴 단분자들보다 더 강하게 고분자화되고, 반면에 긴 단분자들은 더 유연하고 절단 강도가 더 뛰어난 고분자를 형성한다.
상기 접착제를 이용하여 분지 봉합사(20)를 메인 봉합사(10)의 일측에 적절하게 부착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봉합사(10)와, 상기 메인 봉합사(10)의 일단에 구비되는 분지 봉합사(20)를 포함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의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는 열가소성 특징을 갖는 합성수지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열가소성(thermoplastic)은 열을 가했을 때 녹고, 온도를 충분히 낮추면 고체 상태로 되돌아가는 특성을 가리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나일론 6(Nylon 6), 나일론 66(Nylon 66),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디옥사논은 융점이 110 ℃인 열가소성 수지를 가리키고, 폴리락틱산은 융점 170 내지 180 ℃인 열가소성 수지이며,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은 융점이 60 ℃이며,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는 175 내지 180 ℃의 융점을 갖고,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은 224 내지 230 ℃의 융점을 갖는 생분해성 열가소성 수지를 가리킨다.
또한 나일론 6(Nylon 6)는 268.8 ℃의 융점을 갖고, 나일론 66(Nylon 66)는 264 ℃의 융점을 갖으며, 폴리에스테르(polyester)는 260 ℃의 융점을 갖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은 160 ℃의 융점을 갖고, 폴리에틸렌(polyethylene)은 110 ℃의 융점을 갖는다.
상기 수지들은 열가소성 수지로서 가열하면 용융되어 접착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즉 상기 분지 봉합사(20)와 메인 봉합사(10)의 일측을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부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봉합사(10)와, 상기 메인 봉합사(10)의 일단에 구비되는 분지 봉합사(20)를 포함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는 동일한 재질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소재로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의 표면에는 도 1과 같이 미늘(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메인 봉합사(10) 및 분지 봉합사(20)에 각각 미늘(30)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인 봉합사(10) 또는 분기 봉합사(20)의 표면에만 미늘(3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미늘(30)이 형성된 봉합사의 제조방법은, 상기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미늘(30)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가 가능하고, 상기 미늘(30)의 형성 단계는 통상의 미늘 가공(barbing) 공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미늘(30)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의 단방향 이동성을 제공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미늘(30)이 형성된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시술후 상기 미늘(30)에 의하여 삽입된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미늘(30)은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봉합사의 표면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늘(30)은 삼각뿔, 삼각뿔대, 삼각기둥, 사각뿔, 사각뿔대, 각기둥, 원뿔, 원뿔대,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미늘(30)은 봉합사 몸체의 일측 또는 양측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직선형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봉합사 몸체의 외주면 상에 길이 방향을 따라 봉합사 몸체를 감싸는 나선형 배열로 배치된 구조로 형성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미늘(3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봉합사 몸체의 표면을 일부분 절개하여 절개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봉합사의 외측면에 미늘(30)이 형성됨으로써, 체내에 삽입된 봉합사가 거상한 역방향으로 다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고 거상된 조직의 고정을 유지하며, 딤플링(dimpling) 또는 봉합사의 체내이동(migration) 등의 부작용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미늘(30)을 형성함에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미늘(30)을 형성할 수 있는 금형에 봉합사 수지를 사출 성형하거나 압축 성형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돌기 형성이 필요한 봉합사의 일부분에 열압착을 가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돌기형 미늘(30)은 금형의 형상 또는 가공 방법에 따라서 삼각뿔, 삼각뿔대, 삼각기둥, 사각뿔, 사각뿔대, 각기둥, 원뿔, 원뿔대,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이러한 상기 미늘(3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함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의 표면에 돌출형의 돌기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봉합사 몸체의 표면을 일부분 절개하여 절개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미늘(30)을 형성함에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미늘(30)을 형성할 수 있는 금형에 봉합사 수지를 사출 성형하거나 압축 성형하여 제조가 가능하다. 또한, 돌기 형성이 필요한 봉합사의 일부분에 열압착을 가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돌기형 미늘(30)은 금형의 형상 또는 가공 방법에 따라서 삼각뿔, 삼각뿔대, 삼각기둥, 사각뿔, 사각뿔대, 각기둥, 원뿔, 원뿔대, 원기둥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함이 가능하다.
한편,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는 제조 과정에서 일체화되어 제조될 수도 있으며, 별개의 봉합사를 접착하거나 용융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런데, 제조 과정에서 일체화되어 제조하는 경우 그 공정이 매우 복잡해질 수 있으며, 매듭으로 묶어 제조하는 경우 매듭 부위의 두께가 원치 않게 두꺼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별도의 봉합사를 융착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거나 초음파 등을 이용하여 접합하여 제조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는 모노 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모노 필라멘트는 표면이 매끄러워 봉합사에 의한 조직 손상이 적을 뿐만 아니라, 멀티필라멘트에서 보이는 실간 공극이 없어서 모세관 현상등에 의한 세균 감염이 적다. 그러나, 모노필라멘트 봉합사는 단일 가닥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멀티필라멘트 봉합사에 비해 유연성이 떨어지고, 매듭 체결이 어려우며, 매듭 안정성이 좋지 않아 체결한 매듭이 다시 풀리기 쉬운 단점이 있다.
상기 멀티필라멘트는 상기 모노 필라멘트의 복수 개를 합사(合絲) 또는 블레이딩(braiding) 공정을 거쳐 제조될 수 있다.
즉, 도 2의 (a)는 8가닥의 모노 필라멘트들이 합사된 멀티 필라멘트로 제조된 봉합사의 모식도이며, (b)는 3가닥의 모노 필라멘트들이 블레이딩된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로 제조된 리프팅용 봉합사(50)의 모식도이다. 즉, 상기와 같이 제조된 모노 필라멘트는 합사기를 이용하여 합사한다. 상기 합사기는 두 가닥 이상의 원사를 합사시키는 장치를 가리킨다. 이 때 합사시 꼬임(twist)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블레이딩은 모노 필라멘트를 서로 교차하여 제작되는 제품의 긴 쪽 방향으로 섬유가 경사져 배향하고, 끝부분에서 되접어 꺽어 절단됨이 없이 연속된 상태로 제조하는 공정을 의미한다. 상기 블레이딩은 편조기를 이용하여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모노 필라멘트를 합사 또는 블레이딩항 제조된 멀티 필라멘트는 인장력이 커서, 시술후 외력에 의해 시술 부위가 잘 벌어지지 않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합사 및 블레이딩 공정은 본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와 관련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생분해성 다성분계 멀티 필라멘트는 모노 필라멘트 2 내지 24가닥을 합사 또는 블레이딩하여 굵기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3가닥 이하의 모노 필라멘트가 합사 또는 블레이딩 되는 경우에는 봉합사의 인장 강도가 약하고, 시술후 강도 유지율이 급격히 저하되어 시술 부위가 벌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24가닥 이상을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는 경우에는 봉합사의 굵기가 커서 시술시 출혈과 통증을 유발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봉합사는 시술 부위의 조직 두께 또는 피부의 상태에 따라 상기 리프팅용 봉합사의 굵기를 변화하여 시술하여야 한다, 즉, 눈 밑 및 이마 등의 얇은 피부에 시술할 때에는 ?湛? 실을 사용하고, 안면 및 볼 등 피부가 두꺼운 시술 부위에는 굵은 실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시술 부위에 따라 리프팅용 봉합사의 굵기를 결정하고, 합사 또는 블레이딩되는 모노 필라멘의 수를 증감하여 합사 또는 블레이딩함으로서 봉합사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는, 한 가닥의 메인 봉합사(10)에 다수 개의 분기 봉합사가 분기 연결되어 있어 리프팅 시술시 여러 포인트를 잡아줌으로써 시술 만족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봉합사가 외과 수술에서 절개 조직이나 매듭이 필요한 부위의 매듭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상기 매듭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주는 역할을 하고, 이에 따라 저항이 보다 강한 봉합사를 제공할 수 있고, 신체조직이 신속하게 회복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험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험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메인 봉합사
20 : 분지 봉합사
30 : 미늘
100 : 봉합사

Claims (5)

  1. 봉합사(100)로서,
    메인 봉합사(10)와,
    상기 메인 봉합사(10)의 일단에 구비되는 분지 봉합사(20);를 포함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지 봉합사(20)는 메인 봉합사(10)에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되거나 또는 용융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는 폴리디옥사논(polydioxanone),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하이드록시부티레이트(polyhydroxybutyrate)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나일론 6(Nylon 6), 나일론 66(Nylon 66),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합사(10)와 분지 봉합사(20)의 표면에는 미늘(3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 봉합사(10) 및 분지 봉합사(20)는 모노 필라멘트 또는 멀티 필라멘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100).

KR1020220077943A 2022-06-27 2022-06-27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KR2024000137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43A KR20240001377A (ko) 2022-06-27 2022-06-27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7943A KR20240001377A (ko) 2022-06-27 2022-06-27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01377A true KR20240001377A (ko) 2024-01-03

Family

ID=89539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7943A KR20240001377A (ko) 2022-06-27 2022-06-27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0137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230B2 (en) Suture thread
RU2724438C2 (ru) Локально реверсивные шовные нити с зазубринами
EP0991359B2 (en) Chirurgischer Faden und chirurgische Nadel/Faden-Kombination
US7087060B2 (en) Methods for obtaining hemostasis of percutaneous wounds
US5074874A (en) Suture devices particularly useful in endoscopic surgery
US4981149A (en) Method for suturing with a bioabsorbable needle
US6478809B1 (en) Suture and method of use
US20080281357A1 (en) Looped tissue-grasping device
WO2007133103A1 (fr) Matériau de suture chirurgicale et procédé d'utilisation associé
KR101432497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101621759B1 (ko) 절곡형 미늘 봉합사
JP7114770B2 (ja) 縫合糸
KR101719256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JP7467464B2 (ja) 固定部材、アセンブリ、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20174380A1 (en) Apparatus for the Joining of Tissue Having Integral Penetrating End
RU2400162C2 (ru) Хирургический шовный материал и способ его применения
KR101432500B1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KR20240001377A (ko) 다중 분지를 갖는 봉합사
KR20180114846A (ko) 고착형 미늘 봉합사 및 그 제조방법
US20220257237A1 (en) Medical su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230171775A (ko) 의료용 봉합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