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521A -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521A
KR20180114521A KR1020180090933A KR20180090933A KR20180114521A KR 20180114521 A KR20180114521 A KR 20180114521A KR 1020180090933 A KR1020180090933 A KR 1020180090933A KR 20180090933 A KR20180090933 A KR 20180090933A KR 20180114521 A KR20180114521 A KR 20180114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udio signals
output
distortion
output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7849B1 (ko
Inventor
박승민
박준서
곽남훈
Original Assignee
한국산업은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산업은행 filed Critical 한국산업은행
Priority to KR102018009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84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5Transducers incorporated in visual displaying devices, e.g. televisions, computer displays, lap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들; 및 상기 스피커들 중 일부에 상응하는 원격 스피커들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을 전달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포함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APPARATUS FOR INDOOR SOUND PLAYBACK USING SOUND TRANSMISSION PIPE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사운드를 재생하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영화관에서 영화를 상영할 때, 영화의 몰입도를 높여서 실감나는 영화 상영을 위하여 측면 스크린에도 영상을 상영하고 있다. 측면에 영상을 상영하여 시각적인 측면에서 입체감을 살리고 공간감을 높여주고 있다. 또한, 청각적인 측면에서도 입체감을 살리기 위하여 3차원 음향 혹은 3차원 사운드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은 전방에 15개 채널, 측면 서라운드에 6개 채널, 후방 서라운드에 3개 채널, 천장에 6개 채널, 전방 및 후방 우퍼 0.2개 채널을 포함하여 총 30.2채널로 구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전방에 5x3 의 어레이 형태로 스피커들을 배치하여 스크린에 표시되는 객체와 연동한 사운드를 출력함으로써 영화를 관람하는 관객들이 객체와 연동된 실감나는 사운드를 느낄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실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은 전면에 스크린(210)이 설치되어 있고, 전면 채널 및 측면 서라운드 채널들을 포함한다. 이때, 측면 서라운드 채널들을 구성하는 스피커들(221, 222, 223, 231, 232 및 233)은 일정 부피를 차지하게 되어 측벽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소리의 실감도를 높이기 위해 스크린 상의 객체에서 직접 소리가 출력되는 것처럼 구현하기 위하여 스크린 후방에 스피커가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영화관의 측면 스크린에 영상을 상영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측면에 돌출된 스피커들로 인해 스크린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이 많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적은 공간을 사용하여 스크린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스크린 뒤에는 공간이 부족하여 스피커를 배치할 공간을 마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더욱 넓어지는 영상 상영 기술에 발맞추어 높은 몰입감을 제공하는 음향 기술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스크린 뒤의 좁은 공간에도 불구하고 스크린 후면에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1568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실내 공간에서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하여 사운드들을 출력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면서 왜곡되는 것을 고려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사전 왜곡하여 왜곡을 상쇄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된 출력 사운드들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을 보완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들; 및 상기 스피커들 중 일부에 상응하는 원격 스피커들에 연결되어 상기 원격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을 전달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포함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생성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을 수행하고,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들은 다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측면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은 실내 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된 사운드들을 입력받아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피드백 마이크들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전 왜곡을 수행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보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전 왜곡은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딜레이(delay)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딜레이 조절 정보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상기 출력 사운드의 딜레이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레벨(level)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 중 일부에 상응하는 원격 스피커들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을 상기 원격 스피커들에 연결된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오디오 신호들은 다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측면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은 실내 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은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된 사운드들을 입력받아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 왜곡을 수행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이용하여 보완 왜곡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전 왜곡은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딜레이(delay)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딜레이 조절 정보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상기 출력 사운드의 딜레이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레벨(level)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실내 공간에서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하여 사운드들을 출력함으로써, 스피커가 설치될 수 없을 정도로 좁은 공간에서도 사운드들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면서 왜곡되는 것을 고려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사전 왜곡하여 왜곡을 상쇄함으로써, 원래 출력하고자 하였던 사운드들을 감상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된 출력 사운드들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을 보완함으로써, 사전 왜곡의 정확성과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실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전 왜곡하는 단계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와 사운드 전달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왜곡되지 않은 출력 비디오 신호와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딜레이를 조절한 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벨을 조절한 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퀄라이저를 조절한 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는 프로세서(310),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n) 및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는 피드백 마이크들(340_1 내지 340_m)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프로세서(310)는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소스 데이터는 출력하고자 하는 동영상이나 음원에 대한 소스 데이터이며,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히, 소스 데이터가 동영상에 대한 소스 데이터인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는 영화,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의 오디오와 비디오가 함께 포함된 미디어에 상응하는 소스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10)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및 레벨(level) 조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실내 공간에서 왜곡되지 않은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들은 다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측면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전 왜곡은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포함할 수 있고,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를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310)는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청취하는 소리들과 출력 비디오가 서로 싱크(sync)가 맞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딜레이 조절 정보는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딜레이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이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n)에서 출력된 출력 사운드들이 바로 청취자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고, 일부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하여 전달되어 실내 공간에 도달하기 때문에 딜레이의 조절이 필요하다. 소리가 전달되는 속력은 무한이 아닌 약 340m/s이며,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과하면서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인체의 귀는 미세한 시간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기에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딜레이를 조절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동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사운드가 전달되는데 가장 오래 걸리는 곳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이므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딜레이를 기준으로 하여 딜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딜레이가 t초 인 경우에는,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해 전달되지 않는 출력 사운드들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과 출력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조절 정보를 t초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각각에 상응하는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t초 이내의 딜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해 전달되면서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이퀄라이저의 조절이 필요하다. 사운드가 전달되는 관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등에 따라서 주파수 대역 별로 왜곡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를 조절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도달하였을 때 소스 데이터에 상응하는 사운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해 전달되면서 크기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레벨의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 앞에 스크린이 배치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전달된 출력 사운드들이 스크린으로 인해 크기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따라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레벨을 조절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도달하였을 때 기 설정된 레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실시되는 공간이 극장인 경우에는, 전면에 스크린이 위치하는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레벨을 조절하여 실내 공간에 도달하는 사운드들이 약 85dB가 되도록 하고, 전면에 스크린이 위치하지 않는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레벨을 조절하여 실내 공간에 도달하는 사운드들이 약 83dB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운드 전달관들의 말단의 전면에 스크린이 위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는 사운드들이 약 85dB가 되도록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310)는 피드백 마이크들(340_1 내지 340_m)에서 생성된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보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전 왜곡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비교하여 차이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차이 오디오 신호들을 이용하여 딜레이, 이퀄라이저 및 레벨 등의 추가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수행된 사전 왜곡이 불완전한 경우에 있어서도, 보완 왜곡을 수행하여 사전 왜곡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다.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n)은 프로세서(310)에서 생성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여 출력 사운드들을 생성한다.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들 각각은 정해진 채널에 상응하는 스피커들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때,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n) 중 일부에 상응하는 원격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m)은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과 상호 연결된다.
이때,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n) 중 일부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스피커들일 수 있다.
이때,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n) 중 일부는 복수 열의 방사형으로 배열된 스피커들일 수 있다.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은 원격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m)에 연결되어 원격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m)에서 출력된 출력 사운드들을 실내 공간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은 길이나 크기, 모양, 재질 등에 제한이 없다. 또한,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은 길이, 크기, 모양 및 재질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은 실내 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은 벽 또는 기둥과 같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에 상응하는 원격 스피커들(320_1 내지 320_m)과 실내 공간이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피드백 마이크들(340_1 내지 340_m)은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을 통해 전달된 출력 사운드들을 입력받아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통해서 실내 공간에서 청취하게 되는 사운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은 프로세서(310)에서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보완 왜곡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마이크들(340_1 내지 340_m) 각각은 사운드 전달관들(330_1 내지 330_m) 각각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을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은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한다(S401).
여기서, 소스 데이터는 출력하고자 하는 동영상이나 음원에 대한 소스 데이터이며, 오디오 데이터를 포함한다. 특히, 소스 데이터가 동영상에 대한 소스 데이터인 경우에는 비디오 데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데이터는 영화, 다큐멘터리, 드라마 등의 오디오와 비디오가 함께 포함된 미디어에 상응하는 소스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오디오 신호들은 다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측면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은 각각의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을 수행한다(S403).
이때,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생성하고,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각각의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딜레이(delay) 조절 정보,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 및 레벨(level) 조절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해 전달되더라도 실내 공간에서 왜곡되지 않은 소리를 청취할 수 있다.
이때, 사전 왜곡은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포함할 수 있고,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출력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를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에서 청취하는 소리들과 출력 비디오가 서로 싱크(sync)가 맞도록 출력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마이크들(도 3의 340_1 내지 340_m 참조)에서 생성된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이용하여 사전 왜곡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해 보완 왜곡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사전 왜곡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상응하는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비교하여 차이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고, 차이 오디오 신호들을 이용하여 딜레이, 이퀄라이저 및 레벨 등의 추가 조절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수행된 사전 왜곡이 불완전한 경우에 있어서도, 보완 왜곡을 수행하여 사전 왜곡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제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은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n)을 이용하여 출력한다(S405).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들 각각은 정해진 채널에 상응하는 스피커들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때,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n) 중 일부에 상응하는 원격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m 참조)은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과 상호 연결된다.
이때,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n 참조) 중 일부는 순차적으로 배열된 스피커들일 수 있다.
이때,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n 참조) 중 일부는 복수 열의 방사형으로 배열된 스피커들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은 원격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m 참조)에 연결된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해 원격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m 참조)에서 출력된 출력 사운드들을 실내 공간으로 전달한다(S407).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은 길이나 크기, 모양, 재질 등에 제한이 없다. 또한, 각각의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은 길이, 크기, 모양 및 재질 등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은 실내 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은 벽 또는 기둥과 같은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에 상응하는 원격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m 참조)과 실내 공간이 서로 공간적으로 분리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마이크들(도 3의 340_1 내지 340_m 참조)을 이용하여,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해 전달된 출력 사운드들을 입력받아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통해서 실내 공간에서 청취하게 되는 사운드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은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보완 왜곡을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피드백 마이크들(도 3의 340_1 내지 340_m 참조) 각각은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 각각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사전 왜곡하는 단계(S403)의 일 예를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에 도시된 사전 왜곡하는 단계(S403)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생성한다(S501).
여기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사전 왜곡하는 단계(S403)는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딜레이를 조절할 수 있다(S503).
이때,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딜레이 조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딜레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딜레이 조절 정보는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딜레이를 기준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이 스피커들(도 3의 320_1 내지 320_n 참조)에서 출력된 출력 사운드들이 바로 청취자가 위치하는 실내 공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고, 일부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하여 전달되어 실내 공간에 도달하기 때문에 딜레이의 조절이 필요하다. 소리가 전달되는 속력은 무한이 아닌 약 340m/s이며,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과하면서 일정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인체의 귀는 미세한 시간의 차이를 구분할 수 있기에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딜레이를 조절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동시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사운드가 전달되는데 가장 오래 걸리는 곳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이므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딜레이를 기준으로 하여 딜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딜레이가 t초 인 경우에는,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해 전달되지 않는 출력 사운드들에 상응하는 출력 오디오 신호들과 출력 비디오 신호의 딜레이 조절 정보를 t초로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나머지 출력 오디오 신호들은 각각에 상응하는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의 길이 정보를 이용하여 t초 이내의 딜레이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사전 왜곡하는 단계(S403)는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이퀄라이저를 조절할 수 있다(S505).
이는,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해 전달되면서 왜곡될 수 있기 때문에 이퀄라이저의 조절이 필요하다. 사운드가 전달되는 관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등에 따라서 주파수 대역 별로 왜곡되는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이퀄라이저를 조절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도달하였을 때 소스 데이터에 상응하는 사운드가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사전 왜곡하는 단계(S403)는 사전 왜곡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에 대한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S507).
이는,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해 전달되면서 크기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레벨의 조절이 필요하다. 또한,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 앞에 스크린이 배치되는 것과 같은 경우에는, 전달된 출력 사운드들이 스크린으로 인해 크기가 작아질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 따라서,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레벨을 조절하여,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들(도 3의 330_1 내지 330_m 참조)을 통과하여 실내 공간으로 도달하였을 때 기 설정된 레벨이 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본 발명이 실시되는 공간이 극장인 경우에는, 전면에 스크린이 위치하는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레벨을 조절하여 실내 공간에 도달하는 사운드들이 약 85dB가 되도록 하고, 전면에 스크린이 위치하지 않는 스피커들의 경우에는 레벨을 조절하여 실내 공간에 도달하는 사운드들이 약 83dB가 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사운드 전달관들의 말단의 전면에 스크린이 위치한 경우에 있어서도,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실내 공간으로 전달되는 사운드들이 약 85dB가 되도록 레벨을 조절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501, S503, S505 및 S507)에 있어서, 딜레이를 조절하는 단계(S503)와 이퀄라이저를 조절하는 단계(S505)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501, S503, S505 및 S507)에 있어서, 이퀄라이저를 조절하는 단계(S505)와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S507)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501, S503, S505 및 S507)에 있어서, 딜레이를 조절하는 단계(S503), 이퀄라이저를 조절하는 단계(S505) 및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S507)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501, S503, S505 및 S507)에 있어서, 이퀄라이저를 조절하는 단계(S505)가 먼저 수행되고, 딜레이를 조절하는 단계(S503) 가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501, S503, S505 및 S507)에 있어서,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S507)가 먼저 수행되고, 딜레이를 조절하는 단계(S503)가 수행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단계들(S501, S503, S505 및 S507)에 있어서, 레벨을 조절하는 단계(S507)가 먼저 수행되고, 이퀄라이저를 조절하는 단계(S505)가 수행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와 사운드 전달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출력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620)는 스피커(620)에서 출력된 출력 사운드를 전달하기 위한 사운드 전달관(630)과 서로 연결되어있다.
이때, 스피커(620)와 사운드 전달관(630)은 서로 1:1로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사운드 전달관(630)은 내부가 비어있는 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재질이나 크기, 모양, 길이의 제한이 없다.
또한, 사운드 전달관(630)과 스피커(620)는 여러 개 존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 고채널 사운드 시스템은 전면에 스크린(710)이 설치되어 있고, 전면 채널 및 측면 서라운드 채널들을 포함한다.
다만, 전면 스크린(7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에 포함되는 구성은 아니다.
이때, 측면 서라운드 채널들을 구성하는 스피커들(721a, 722a, 723a, 731a, 732a 및 733a)은 실내 공간의 측벽에 돌출되어 있지 않고, 벽 속이나 천장 위와 같은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특히, 측면 서라운드 채널들을 구성하는 스피커들(721a, 722a, 723a, 731a, 732a 및 733a)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측면 서라운드 채널들을 구성하는 스피커들(721a, 722a, 723a, 731a, 732a 및 733a)은 각각 사운드 전달관들(721b, 722b, 723b, 731b, 732b 및 733b)과 연결되어, 출력 사운드들을 실내 공간으로 전달한다.
사운드 전달관들(721b, 722b, 723b, 731b, 732b 및 733b)을 통해 출력 사운드들을 실내 공간으로 전달함에 따라, 종래의 스피커들(도 2의 221, 222, 223, 231, 232 및 233 참조)과 같이 실내 공간의 측벽에 돌출되지 않고 적은 공간만을 차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피커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하는 공간에 비해 적은 공간만을 사용하여 사운드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사전 왜곡되지 않은 출력 비디오 신호와 출력 오디오 신호들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출력 비디오 신호(8a)와 출력 오디오 신호들(8b_1 내지 8b_6)은 동일한 시간에 출력이 시작되며, 동일한 시간에 출력이 종료된다. 그리고, 각각의 출력 오디오 신호들(8b_1 내지 8b_6)은 서로 동일하다.
여기서, 도 8에 있어서, 출력 오디오 신호1(8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8b_2)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사운드 전달관을 통하지 않고 바로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3(8b_3) 및 출력 오디오 신호4(8b_4)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서로 동일한 제1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여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5(8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8b_6)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서로 동일한 제2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된다고 가정한다. 그리고, 제1 사운드 전달관들이 제2 사운드 전달관들보다 길이가 더 짧다고 가정한다.
도 2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사운드 시스템을 이용할 경우, 스피커가 실내 공간에 위치하여 도 8에 도시된 출력 비디오 신호(8a) 및 출력 오디오 신호들(8b_1 내지 8b_6)은 전부 동시에 잘 출력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출력 사운드들을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하여 전달할 경우에는, 서로 싱크가 맞지 않거나 소리가 왜곡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딜레이를 조절한 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딜레이만 조절하였기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9b_1 내지 9b_6)의 파형에는 변화가 없으며, 도 8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8b_1 내지 8b_6)의 파형과 동일하다.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5(9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9b_6)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길이가 가장 긴 제2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므로, 출력 사운드들이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t2로 가장 길다.
따라서, 출력 오디오 신호5(9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9b_6)은 딜레이가 조절되지 않고, 기존과 동일하게 t0에 출력이 시작된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3(9b_3) 및 출력 오디오 신호4(9b_4)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길이가 제2 사운드 전달관들보다 짧은 제1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므로, 출력 사운드들이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t2보다 짧은 (t2-t1)이다. 여기서, t2는 t1보다 크다. 즉, 출력 오디오 신호3(9b_3) 및 출력 오디오 신호4(9b_4)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출력 오디오 신호5(9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9b_6)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과 비교하여 t1만큼 빨리 전달된다.
따라서, 출력 오디오 신호3(9b_3) 및 출력 오디오 신호4(9b_4)는 딜레이가 t1만큼 조절되어, t1에 출력이 시작된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1(9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9b_2)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지 않고 바로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되므로, 출력 사운드들이 전달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없다. 즉, 출력 오디오 신호1(9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9b_2)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출력 오디오 신호5(9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9b_6)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과 비교하여 t2만큼 빨리 출력된다.
따라서, 출력 오디오 신호1(9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9b_2)는 딜레이가 t2만큼 조절되어, t2에 출력이 시작된다.
마찬가지로, 출력 비디오 신호(9b)는 출력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없으므로, 출력 오디오 신호5(9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9b_6)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과 비교하여 t2만큼 빨리 출력된다.
따라서, 출력 비디오 신호(9b)는 딜레이가 t2만큼 조절되어, t2에 출력이 시작된다.
이에 따라,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출력 사운드들을 전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싱크가 맞지 않는 상황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벨을 조절한 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레벨만 조절하였기 때문에, 도 10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10b_1 내지 10b_6)의 파형은 도 9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9b_1 내지 9b_6)의 파형과 비교하여 진폭의 차이만 존재한다.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5(10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10b_6)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서로 동일한 제2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므로 동일하게 레벨을 조절한다.
이때, 조절되는 레벨의 양은 제2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운드 전달관들의 전면에 스크린과 같은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3(10b_3) 및 출력 오디오 신호4(10b_4)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서로 동일한 제1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므로 동일하게 레벨을 조절한다.
이때, 조절되는 레벨의 양은 제1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사운드 전달관들의 전면에 스크린과 같은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1(10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10b_2)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지 않고 바로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되므로, 레벨을 조절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1(10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10b_2)는 도 9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1(9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9b_2)와 동일하다.
다만, 출력 사운드들이 사운드 전달관을 통하지 않고 바로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되는 출력 오디오 신호1(10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10b_2)에 대해서도, 상응하는 스피커 전면에 스크린과 같은 물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를 감안하여 레벨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출력 사운드들을 전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출력 사운드들의 크기가 작아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퀄라이저를 조절한 결과의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예시에 대해서 이퀄라이저를 조절하였기 때문에, 도 11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11b_1 내지 11b_6)의 파형은 도 10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들(10b_1 내지 10b_6)의 파형과 비교하여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출력 오디오 신호5(11b_5) 및 출력 오디오 신호6(11b_6)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서로 동일한 제2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므로 동일하게 이퀼라이저를 조절한다.
이때, 이퀄라이저가 조절되는 정도는 제2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3(11b_3) 및 출력 오디오 신호4(11b_4)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서로 동일한 제1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되므로 동일하게 이퀼라이저를 조절한다.
이때, 이퀼라이저가 조절되는 정도는 제1 사운드 전달관들에 상응하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출력 오디오 신호1(11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11b_2)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들은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하지 않고 바로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되므로, 이퀼라이저를 조절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1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1(11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11b_2)는 도 10에 도시된 출력 오디오 신호1(10b_1) 및 출력 오디오 신호2(10b_2)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출력 사운드들을 전달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출력 사운드들이 왜곡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310: 프로세서
320_1 내지 320_n: 스피커들
330_1 내지 330_m: 사운드 전달관들
340_1 내지 340_m: 피드백 마이크들

Claims (16)

  1.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프로세서;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스피커들; 및
    상기 스피커들 중 일부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가 상기 스피커들 중 일부와 떨어진 원격지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 사운드를 전달하는 사운드 전달관들
    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들은
    다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측면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은
    실내 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된 사운드들을 입력 받아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피드백 마이크들을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전 왜곡은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딜레이(delay)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조절 정보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상기 출력 사운드의 딜레이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레벨(level)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9. 소스 데이터로부터 하나 이상의 채널의 오디오 신호들을 추출하고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 파라미터에 기반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일부에 상응하는 사전 왜곡을 수행하는 단계;
    스피커들을 이용하여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을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스피커들 중 일부에 상응하는 출력 사운드가 상기 스피커들 중 일부와 떨어진 원격지에서 출력되도록, 상기 출력 사운드를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관 파라미터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의 재질, 길이,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신호들은
    다채널 오디오 신호들 중 측면 오디오 신호들을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은
    실내 공간의 좌측 및 우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은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을 통해 전달된 사운드들을 입력 받아 피드백 오디오 신호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전 왜곡은
    출력 비디오 신호에 대한 왜곡을 포함하고,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비디오 신호 또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딜레이(delay)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조절 정보는
    상기 사운드 전달관들 중에서 가장 길이가 긴 사운드 전달관에 상응하는 상기 출력 사운드의 딜레이를 기준으로 생성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이퀄라이저(equalizer)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사전 왜곡 파라미터는
    상기 출력 오디오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상응하는 레벨(level) 조절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사운드 전달관들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방법.
KR1020180090933A 2018-08-03 2018-08-03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7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33A KR102027849B1 (ko) 2018-08-03 2018-08-03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0933A KR102027849B1 (ko) 2018-08-03 2018-08-03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13A Division KR101887591B1 (ko) 2017-04-10 2017-04-10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521A true KR20180114521A (ko) 2018-10-18
KR102027849B1 KR102027849B1 (ko) 2019-10-02

Family

ID=64133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0933A KR102027849B1 (ko) 2018-08-03 2018-08-03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84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045A (ko) * 2002-09-12 2004-03-20 (주)시큐어베이스 볼테라 급수를 이용한 비선형 라우드 스피커의 적응형전치 보상기 설계
JP2007221484A (ja) * 2006-02-16 2007-08-30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KR101115687B1 (ko) 2005-11-22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음량 보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정보 재생기
KR20160128015A (ko) * 2015-04-28 2016-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4045A (ko) * 2002-09-12 2004-03-20 (주)시큐어베이스 볼테라 급수를 이용한 비선형 라우드 스피커의 적응형전치 보상기 설계
KR101115687B1 (ko) 2005-11-22 2012-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오디오음량 보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오디오정보 재생기
JP2007221484A (ja) * 2006-02-16 2007-08-30 Sony Corp スピーカ装置
KR20160128015A (ko) * 2015-04-28 2016-11-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오디오 재생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7849B1 (ko)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64165B1 (en)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able sound regions in a media room
US5910990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equalization of personal multi-channel audio system
US71237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optimization of three-dimensional audio
US8638959B1 (en) Reduced acoustic signature loudspeaker (RSL)
CN103053180B (zh) 用于声音再现的系统和方法
CN101129088B (zh) 具有增强的立体声图像的便携式设备
KR20060041736A (ko) 음향 재생 장치 및 음향 재생 방법
JP2002369283A (ja) イヤホーン
KR20170009650A (ko) 오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JP5363567B2 (ja) 音響再生装置
US6990210B2 (en) System for headphone-like rear channel speaker and the method of the same
KR101887591B1 (ko)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US10440495B2 (en) Virtual localization of sound
CN101444110B (zh) 时间相位调整的音频输出的双平面扬声器系统
KR20180114521A (ko) 사운드 전달관을 이용한 실내 사운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
CN102970640B (zh) 扬声器装置
US7050596B2 (en) System and headphone-like rear channel speaker and the method of the same
US20210409866A1 (en) Loudspeaker System with Overhead Sound Image Generating (e.g., ATMOS™) Elevation Modul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 Signal Cancellation
US6983054B2 (en) Means for compensating rear sound effect
JP2003164000A (ja) スピーカ装置
TW519849B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rear channel speaker of quasi-head wearing type earphone
WO2022172641A1 (ja) 再生システム、表示装置、及び再生装置
KR200319770Y1 (ko) 다채널 헤드폰 시스템
CN1263346C (zh) 一种提供类头戴式耳机后声道扬声器的系统与方法
JP2010157954A (ja) オーディオ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