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436A - 커피 로스팅장치 - Google Patents

커피 로스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436A
KR20180114436A KR1020170046200A KR20170046200A KR20180114436A KR 20180114436 A KR20180114436 A KR 20180114436A KR 1020170046200 A KR1020170046200 A KR 1020170046200A KR 20170046200 A KR20170046200 A KR 20170046200A KR 20180114436 A KR20180114436 A KR 20180114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ry member
rotary
rotation
roasting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430B1 (ko
Inventor
황병선
이태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래금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래금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래금속
Priority to KR1020170046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43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4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4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0Rotary roast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2/00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 A23N12/08Machines for cleaning, blanching, drying or roasting fruits or vegetables, e.g. coffee, cocoa, nuts for drying or roasting
    • A23N12/12Auxiliary devices for roasting machines
    • A23N12/125Accessories or detai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pparatuses For Bulk Treatment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pparatuses For Preparing Fe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로스팅대상으로써 커피원두를 가열하여 로스팅하는 로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알갱이 형상의 로스팅대상을 수용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200)와;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0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300)와; 상기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수용되는 로스팅대상을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부(400)와; 상기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30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Description

커피 로스팅장치 {Device for roasting coffee}
본 발명은 로스팅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로스팅대상으로써 커피원두를 가열하여 로스팅하는 로스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피원두는 그 자체로는 아무런 맛도 향도 없지만 이 원두를 고온에서 가열해서 볶으면 즉, 로스팅(roasting)하면 원두의 세포 조직이 파괴되면서 여러 가지 성분들(지방성분, 당분, 유기산, 카페인 등)이 활성화되면서 맛과 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커피액을 추출하기 위해서는 수확된 커피원두에서 불량 원두를 선별하는 핸드픽(hand pick), 선별된 커피원두를 볶는 로스팅(roasting), 로스팅 된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 분말을 형성하는 그라인딩(grinding), 커피 분말에 뜨거운 물을 가해서 커피액을 추출하는 브루잉(brewing)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커피의 맛과 향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작업은, 커피원두가 얼마나 잘 로스팅되었는지 여부에 달려 있다.
이러한 이유로 커피원두를 잘 로스팅하기 위한 장치들이 다수 제안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대한민국공개특허번호 제10-2012-0053640호에서 커피원두를 로스팅하기 위해 직화 방식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로스팅 과정에서 커피원두가 직화에 많이 노출되며 내부가 익기 전에 외부가 먼저 타는 현상이 발생 될 수 있고, 이는 곧 로스팅 과정에서 커피원두의 불량을 야기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때, 로스팅 과정에서 야기된 불량 원두를 선별 제거하지 않고 다음 과정으로 넘기게 되면 커피의 맛과 향이 저하되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불량 원두를 선별 및 제거하는 과정이 추가되어야 하므로 원두의 로스팅 과정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원두의 세포 조직이 파괴되며 여러 가지 성분들 특히 지방성분이 활성됨에 따라 로스팅장치의 사용 후 커피가 담기는 그릴의 세척과정을 필요로 하는데, 종래의 로스팅장치는 커피 가열의 효율을 위하여 그릴과 히터가 인접하도록 설치되어 세척과정에서 물이 유입될 위험이 있고, 이는 로스팅장치의 불량을 초래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로스팅대상인 커피원두가 담기는 회전부재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사용 후 세척 등이 용이한 로스팅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알갱이 형상의 로스팅대상을 수용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200)와;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0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300)와; 상기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수용되는 로스팅대상을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부(400)와; 상기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30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은, 상기 회전부재(200) 및 상기 가열부(400)를 포함하는 설치공간(S)을 복개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200)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지지브라켓(110)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1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하측에 상기 회전부재(200)에서 가열된 로스팅대상이 담기는 원두수용부(1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로스팅대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며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의하여 복개되는 단부개구(230)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측면방향에서 본 형상이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270°이상의 각도를 가지는 호형상일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수용공간(S)으로의 로스팅대상의 투입 및 로스팅 완료된 로스팅대상의 배출을 위하여 측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측면개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로스팅대상을 상기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 상태로 로스팅을 수행하거나,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로스팅대상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단부결합부(500)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26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240)이 복수개 형성되는 매쉬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가열부(400)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400)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히팅부재(4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재(410)는, 측면방향에서 본 단면이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기 히팅부재(410)의 회전방향으로 90°이하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부결합부(500)는, 상기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재(510)와; 상기 본체부재(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30)와; 상기 본체부재(5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00)를 고정하는 회전부재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510)는, 상기 회전부재(200)와 상기 본체부재(5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20)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고정수단(2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고정수단(250)과 결합되는 회전부재결합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재(5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200)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재(510)에 관통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151)와; 상기 본체부재(510)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151)를 상기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3)가 설치되는 고정부재작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측에 상기 로스팅대상의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체를 가열 및 제거하기 위한 가스가열제거부(43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원두 등 로스팅대상을 수용하여 회전되면서 가열하는 회전부재가 본체로부터 탈착가능하도록 설치되어 회전부재의 세척의 편의성을 극대화 하며 위생관리의 효율을 극대화 하는 이점이 있다.
뿐만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원두 등 로스팅대상을 수용하여 회전되면서 가열하는 회전부재가 본체로부터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로스팅장치의 지속적인 사용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부재의 불량 발생시 교체가 편리하게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회전부재의 회전 방향에 따라서 커피원두를 수용공간 내에 수용된 상태로 로스팅을 수행하거나, 수용공간으로부터 커피원두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여 커피의 수용 및 배출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회전부재의 적어도 일부에 커피원두의 투입 및 로스팅 후 커피원두의 배출을 위하여 측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측면개구가 형성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시 커피콩의 외부유출을 방지하며, 회전부재의 내부에서 가열되는 커피콩이 용이하게 섞이도록 하여 가해지는 열이 골고루 퍼지도록 함으로써 효율을 극대화시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로스팅장치의 결합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로스팅장치를 정면에서 보여주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로스팅장치의 회전부재와 단부결합부의 결합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로스팅장치에 설치되는 회전부재고정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로스팅장치에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재고정부의 작동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부재의 회전에 따른 로스팅대상의 로스팅 과정을 보여주는 측면도들이다.
도 9는, 도 8a 및 도 8b에서 로스팅이 완료된 로스팅대상을 배출하는 회전부재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갱이 형상의 로스팅대상을 수용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200)와;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300)와;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200)에 수용되는 로스팅대상을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부(400)와;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알갱이 형상의 로스팅대상은, 알갱이 형상을 가지며 균일한 가열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서 원두 등 다양한 대상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은, 로스팅대상으로서 알갱이 형상을 가지며 균일한 가열을 필요로 하는 대상으로서 커피원두가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00)는, 알갱이 형상의 로스팅대상을 수용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00)는, 후술하는 단부결합부(500)에 대하여 회전구동부(30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단부결합부(5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로스팅대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며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단부결합부(500)에 의하여 복개되는 단부개구(230)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단부개구(230)는, 단부결합부(500)에 의하여 복개되어 로스팅대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단부개구(230)는, 로스팅대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는 회전부재(200)의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부개구(230)는, 측면방향에서 본 형상이 회전부재(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270°이상의 각도를 가지는 호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00)는, 수용공간(S)으로의 로스팅대상의 투입 및 로스팅 완료된 로스팅대상의 배출을 위하여 측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측면개구(2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개구(210)는, 수용공간(S)으로의 로스팅대상의 투입 및 로스팅 완료된 로스팅대상의 배출을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측면개구(210)는, 회전부재(200)의 측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개구(210)는, 회전부재(200)의 측면 방향에서 본 형상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어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단부개구(230)의 개구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00)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로스팅대상을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 상태로 로스팅을 수행하거나, 수용공간(S)으로부터 로스팅대상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220)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로스팅대상을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 상태로 로스팅을 수행하거나, 수용공간(S)으로부터 로스팅대상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걸림부(220)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220)는, 회전부재(200)의 측면에서 본 형상이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단부개구(230)의 양단 중 적어도 하나의 단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00)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240)이 복수개 형성되는 매쉬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00)는, 후술하는 단부결합부(500)의 결합을 위하여 양단에 회전부재고정수단(25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고정수단(250)은, 회전부재(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하여 후술하는 단부결합부(500)에 고정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고정수단(250)은, 단부결합부(50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단부결합부(500)와 결합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부재고정수단(250)은, 단부개구(2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측면고정부재(251)와; 측면고정부재(251)에 돌출형성되어 단부결합부(500)에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측면고정돌기(2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고정부재(251)는, 단부개구(230), 걸림부(220) 및 걸림부(220)에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면고정부재(251)는, 측면에서 본 형상이 단부개구(230), 일단이 단부개구(230)의 일단에 결합되는 걸림부(220), 걸림부(220)의 타단으로부터 단부개구(230)의 타단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면고정부재(251)는, 후술하는 고정부재(151)와 체결하기 위한 체결홀(28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고정돌기(252)는, 측면고정부재(251)에 돌출형성되어 단부결합부(500)에 고정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한편, 상기 측면고정부재(25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결합부(500)에 의하여 복개되는 단부개구(230)의 적어도 일부를 복개하여 측면개구(210)에 로스팅대상를 투입시 수용공간(S)의 로스팅대상 수용범위를 확장시키는 보조커버부재(27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부재(270)는, 측면개구(210)에 투입된 로스팅대상의 수용범위를 확장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00)는, 단부결합부(500)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260)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본체(1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0)는, 회전부재(200)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부재(200)를 지지하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100)는, 후술하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를 각각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회전부재(200) 및 가열부(400)를 포함하는 설치공간을 복개함과 아울러 회전부재(200)의 분리를 위하여 지지브라켓(110)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은, 후술하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와 결합하여, 회전부재(200)가 단부결합부(50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은, 회전부재(200)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부재(200) 및 후술하는 가열부(400)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부재들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브라켓(110)은, 단부결합부(500)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도록 힌지결합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110)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의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함께 설치공간을 형성하는 공간형성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형성부재(160)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함께 설치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함께 설치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커버부(120)는, 회전부재(200) 및 가열부(400)를 포함하는 설치공간을 복개함과 아울러 회전부재(200)의 분리를 위하여 지지브라켓(110)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조로써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커버부(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힌지결합되며, 회전에 의하여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 및 공간형성부재(160)와 함께 설치공간을 복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120)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가열되는 원두를 관찰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부재로 형성되는 유리창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리창부(121)는,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가열되는 원두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면 다양한 재질로 형성 가능하다.
한편, 상기 본체(100)는, 회전부재(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0)의 가열을 마친 커피원두가 담기기 위한 원두수용부(13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원두수용부(130)는, 회전부재(200)의 하측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0)의 가열을 마친 커피원두가 담기는 구성으로써, 가열을 마친 원두가 담길 수 있는 구조이면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원두수용부(130)는, 설치방식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원두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원두수용부(130)는, 양측면에 각각 외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재(131)가 형성되어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재(131)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에 형성되어 원두수용부(130)를 가이드하는 수용부가이드부(111)에 의하여 가이드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가이드부(111)는, 돌출부재(131)를 가이드하여 원두수용부(130)를 가이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두수용부(130)를 가이드할 수 있으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원두수용부(130)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과 힌지결합되며, 회전에 의하여 원두수용부(130) 내부에 담기는 가열을 마친 원두를 배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원두수용부(130)의 하측에는, 회전에 의하여 배출된 원두를 수용하는 별도의 용기가 설치되어 배출된 원두를 담을 수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300)는,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0)를 회전구동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구동부(300)는,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지지브라켓(110)을 사이에 두고 후술하는 단부결합부(500)와 결합하여 회전부재(200)를 회전구동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상기 가열부(400)는,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200)에 수용되는 로스팅대상를 가열하는 구성으로써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열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열부(400)는, 회전부재(200)의 회전중심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관부재(420)와, 관부재(4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의하여 발열하는 하나 이상의 히팅부재(410)를 포함하며; 관부재(420)의 내부에는 봉입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상기 히팅부재(410)는, 전기인가에 의하여 열을 발생하는 부재로써, 나선구조, 원기둥형 막대구조 등 관부재(420) 내부에 설치되어 전원인가에 의하여 발열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떠한 구조든 가능하다.
이때, 상기 봉입가스로는, 할로겐계 가스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부재(420)의 재질은, 열전도성이 높은 금속재질의 사용이 바람직하며, SUS, 구리,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부(400)는, 로스팅대상를 가열하며 발생되는 파괴된 원두의 세포 조직이나, 지방성분들로부터 가열부(400)가 오염되거나 파손 및 스파크에 의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재(미도시)가 추가로 포함 가능하다.
한편, 상기 가열부(400)는, 회전부재(20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별도로 또는 부가하여 하나 이상의 히팅부재(410)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히팅부재(410)는, 측면방향에서 본 단면이 회전부재(2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히팅부재(410)의 회전방향으로 90°이하,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팅부재(410)는, 원두 등 로스팅대상을 복사, 대류 등에 의하여 가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할로겐히터 등이 로스팅대상을 가열할 수 있는 히터이면 어떠한 히터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가열부(400)는, 회전부재(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로스팅대상의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체를 가열 및 제거하기 위한 가스가열제거부(43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스가열제거부(430)는, 회전부재(200)의 상측에 설치되어 로스팅대상의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체를 가열 및 제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가스가열제거부(430)는, 회전부재(200)의 방향으로 원적외선을 조사하는 원적외선히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부결합부(500)는,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구성으로써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단부결합부(500)는,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재(510)와; 본체부재(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30)와; 본체부재(510)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0)를 고정하는 회전부재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재(510)는,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회전부재(200)의 측면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본체부재(510)는, 단부개구(23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회전구동부(300) 및 가열부(400) 각각의 결합을 위한 관통공(5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540)은, 회전구동부(300) 및 가열부(400) 각각의 결합위치에 하나 이상의 베어링(B)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재(510)는, 회전부재(200)가 설치되는 일측에 본체부재(5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52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520)는, 회전부재(200)와 상기 본체부재(510)의 결합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520)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설치되는 회전부재고정수단(250)과 결합되는 체결부(56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60)는, 회전부재고정수단(25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회전부재고정수단(250)과 결합되어 회전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형태 및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체결부(560)는, 측면고정부재(251)에 돌출형성되어 가이드부(520)를 따라 이동되는 측면고정돌기(252)와 결합되는 홈 일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530)는, 회전부재(20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써, 회전부재(200)의 양단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는 구조 및 형태이면 다양한 구조 및 형태가 가능하다.
상기 회전부재고정부(150)는, 본체부재(510)에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부재(200)를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본체부재(510)에 관통되어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151)와; 본체부재(510)에 결합되며, 내부에 고정부재(151)를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3)가 설치되는 고정부재작동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151)는, 본체부재(510)에 관통되어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15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510)에 관통설치되며, 일측에 본체부재(510)로부터 회전부재(200)의 회전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방향으로 이탈, 즉 원심력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돌기부(15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51)는, 체결홀(280)에 삽입되어 회전부재(2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고정돌기부(155)는, 본체부재(510)로부터 회전부재(200)의 회전의 회전축에 대한 반경방향으로 이탈, 즉 원심력에 의하여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재작동부(152)는,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부재(2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51)의 작동을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작동부(152)는, 체결부(160)에 의하여 본체부재(51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작동부(152)는, 본체부재(510)에 결합되며, 고정부재(151)를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153)는, 고정부재작동부(152)에 설치되어 고정부재(151)를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가압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작동부(152)는, 작동완료된 회전부재(200)의 탈착을 위하여 고정부재(151)가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의 반대로 작동될 필요가 있는바,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의 반대로 작동시키기 위한 고정부재조절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조절부(154)는, 고정부재(151)가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의 반대로 작동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조절부(154)는, 고정돌기부(155)와 걸림되는 고정부재걸림부(156)와; 고정부재조절부(154)의 외부로 돌출되는 고정부재작동부(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조절부(154)는, 외부로 노출되는 고정부재작동부(157)의 회전부재(200) 가압방향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고정부재가이드홈(158)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걸림부(156)는, 고정부재(151)와 결합되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걸림부(156)는, 고정부재(151)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돌기부(155)와 걸림되도록 내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 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작동부(157)는, 고정부재작동부(152)의 외부로 돌출형성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가이드홈(158)은, 고정부재작동부(157)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고정부재작동부(152)에 형성되면 다양한 형태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정부재조절부(154)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고정부재(151)와 체결되기 위한 고정부재걸림부(156)와, 사용자에 의하여 작동되는 고정부재작동부(157)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조절부(154)의 타측에는, 고정부재조절부(154)를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3)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조절부(154)는, 내부에는 고정부재(151)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보조탄성부재(159)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고정부(150)는, 단부결합부(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회전부재고정부(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재(510)의 상측에 연장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돌출되는 고리부재(570)일 수 있다.
상기 고리부재(570)는, 본체부재(510)에 형성되어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부재(200)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구조로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고리부재(570)는, 본체부재(510)의 상측에 연장형성되며, 적어도 일부가 회전부재(200)의 설치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부재(570)가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 및 설치 반대방향으로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본체부재(510)는 복원력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부재(200)가 본체부재(510)로부터 분리될 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측으로 분리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부재(510)에 대한 회전부재(200)의 회전상태는, 작동 후 임의로 결정되는 바, 회전부재(200)가 본체부재(510)로부터 상측으로부터 분리되기 위해서는 커버부(120)의 개방 후 회전부재(200)가 본체부재(510)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는 위치에 회전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로스팅장치는, 회전부재(200)가 본체부재(510)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20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회전제어수단을 추가로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회전부재(200)가 본체부재(510)로부터 상측으로 분리될 수 있도록 회전부재(20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로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본체부재(510) 및 회전부재(200)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된 제1센서 및 지지브라켓(110)에 설치되어 제1센서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부재(200)의 회전위치를 제어하는 제2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제1센서 및 제2센서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회전부재(200)의 회전위치를 감지하여 본체부재(510)로부터 회전부재(200)를 상측으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위치로 회전부재(200)를 회전시킨다.
즉,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회전부재(200)를 도 4와 같은 상태로 회전시키도로 한다.
한편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다른 예로서 회전부재(200) 및 본체부재(510) 중 적어도 하나의 회전을 저지함으로써 회전부재(200)의 회전위치가 도 4와 같은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회전제어수단은, 지지브라켓(110)에 설치되어 회전부재(200)의 분리신호(사용자의 버튼 조작 등)에 이하여 회전부재(200)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재(미도시)와, 회전부재(200) 및 본체부재(51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돌출부재에 걸림되어 회전부재(200)의 회전이 저지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제어수단의 추가 없이, 사용자는, 본체부재(510)로부터 회전부재(200)를 상측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회전부재(200)를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본체 200: 회전부
300: 가열부 400: 구동부
500: 단부결합부

Claims (18)

  1. 알갱이 형상의 로스팅대상을 수용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되는 회전부재(200)와;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00)를 회전구동하는 회전구동부(300)와;
    상기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수용되는 로스팅대상을 가열하는 하나 이상의 가열부(400)와;
    상기 회전구동부(300)에 의하여 회전되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되는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대하여 상기 회전구동부(300)의 회전축과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한 쌍의 단부결합부(500) 각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에 지지되며,
    상기 한 쌍의 지지브라켓(110)은, 상기 회전부재(200) 및 상기 가열부(400)를 포함하는 설치공간(S)을 복개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부재(200)의 분리를 위하여 상기 지지브라켓(110)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부(12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하측에 상기 회전부재(200)에서 가열된 로스팅대상이 담기는 원두수용부(1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로스팅대상이 수용되는 수용공간(S)을 형성하며 양단 중 적어도 일단이 개방됨과 아울러 상기 단부결합부(500)에 의하여 복개되는 단부개구(230)가 형성되는 원통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측면방향에서 본 형상이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270°이상의 각도를 가지는 호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수용공간(S)으로의 로스팅대상의 투입 및 로스팅 완료된 로스팅대상의 배출을 위하여 측면 적어도 일부가 개구되는 측면개구(2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회전방향에 따라서 로스팅대상을 상기 수용공간(S) 내에 수용된 상태로 로스팅을 수행하거나, 상기 수용공간(S)으로부터 로스팅대상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22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기 단부결합부(500)로부터 탈착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손잡이부(260)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내측과 외측을 관통하는 관통공(240)이 복수개 형성되는 매쉬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400)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수용공간(S)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탈착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열부(400)는,
    상기 회전부재(200)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회전부재(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히팅부재(410)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히팅부재(410)는,
    측면방향에서 본 단면이 상기 회전부재(200)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수직 하방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로부터 상기 히팅부재(410)의 회전방향으로 90°이하의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부결합부(500)는,
    상기 회전부재(200)와 함께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부재(510)와;
    상기 본체부재(5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지지부재(530)와;
    상기 본체부재(510)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재(200)를 고정하는 회전부재고정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510)는,
    상기 회전부재(200)와 상기 본체부재(510)의 결합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5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520)는,
    상기 회전부재(200)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고정수단(250)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고정수단(250)과 결합되는 회전부재결합부(56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재(510)의 상측에 설치되어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회전부재(200)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고정부(150)는,
    상기 본체부재(510)에 관통되어 상기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돌출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고정부재(151)와;
    상기 본체부재(510)에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고정부재(151)를 상기 회전부재(200)의 설치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153)가 설치되는 고정부재작동부(15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200)는,
    상측에 상기 로스팅대상의 가열에 의하여 발생되는 기체를 가열 및 제거하기 위한 가스가열제거부(4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스팅장치.
KR1020170046200A 2017-04-10 2017-04-10 커피 로스팅장치 KR101974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00A KR101974430B1 (ko) 2017-04-10 2017-04-10 커피 로스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200A KR101974430B1 (ko) 2017-04-10 2017-04-10 커피 로스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436A true KR20180114436A (ko) 2018-10-18
KR101974430B1 KR101974430B1 (ko) 2019-05-02

Family

ID=64132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200A KR101974430B1 (ko) 2017-04-10 2017-04-10 커피 로스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4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1321B1 (ko) 2019-07-24 2021-07-26 김대호 커피 로스팅 장치용 히터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커피 로스팅 장치
KR20240065736A (ko) 2022-11-07 2024-05-14 김대호 커피 히팅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97B1 (ko) * 2008-10-06 2011-05-25 송유진 커피볶음기
KR101342548B1 (ko) * 2012-09-03 2013-12-26 박재관 곡물 볶음장치
KR20140136690A (ko) * 2013-05-21 2014-12-01 김수일 커피 로스터
KR101489389B1 (ko) * 2014-11-28 2015-02-04 한성수 커피 로스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6997B1 (ko) * 2008-10-06 2011-05-25 송유진 커피볶음기
KR101342548B1 (ko) * 2012-09-03 2013-12-26 박재관 곡물 볶음장치
KR20140136690A (ko) * 2013-05-21 2014-12-01 김수일 커피 로스터
KR101489389B1 (ko) * 2014-11-28 2015-02-04 한성수 커피 로스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430B1 (ko) 2019-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4430B1 (ko) 커피 로스팅장치
EP2934252B1 (fr) Appareil electromenager de preparation culinaire comportant un recipient de travail et un dispositif de chauffage du contenu du recipient de travail
JP6258939B2 (ja) ドラム式調理器
US5590584A (en) Barbecue
US3848522A (en) Rotisserie spit mounting means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EP0432615A1 (fr) Appareil de pétrissage et de cuisson
EP3141167A1 (en) Multi-purpose heating device
US3009410A (en) Broiler for shish kebab
US8505444B2 (en) Marshmallow roaster
KR200467579Y1 (ko) 다용도 로스팅기
KR102077991B1 (ko) 커피 로스팅 장치
KR20150092938A (ko) 통닭 구이기
KR101489389B1 (ko) 커피 로스팅 장치
KR20150106556A (ko) 커피원두 로스팅 장치
TW201345469A (zh) 調理裝置
US1604058A (en) Arrangement for roasting, grinding, and cooking coffee or the like
KR101370030B1 (ko) 회전식 구이장치
KR101802827B1 (ko) 훈연 구이장치
KR100878783B1 (ko) 전기 숯불 구이기
KR101618604B1 (ko) 바베큐 장치
KR101445983B1 (ko) 커피원두 볶음장치
KR101676262B1 (ko) 커피 원두의 로스팅 장치
KR101525863B1 (ko) 수동식 커피원두 로스팅 장치
JP5339589B2 (ja) 焙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