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381A -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 Google Patents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381A
KR20180114381A KR1020170046025A KR20170046025A KR20180114381A KR 20180114381 A KR20180114381 A KR 20180114381A KR 1020170046025 A KR1020170046025 A KR 1020170046025A KR 20170046025 A KR20170046025 A KR 20170046025A KR 20180114381 A KR20180114381 A KR 201801143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image
shooting training
gu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8257B1 (ko
Inventor
정자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46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257B1/ko
Priority to PCT/KR2017/012760 priority patent/WO2018190484A1/ko
Publication of KR2018011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41A33/02Light- or radiation-emitting guns ; Light- or radiation-sensitive guns; Cartridges carrying light emitting sources, e.g. la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61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 F41G3/2622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 F41G3/2655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using a light emitting device for simulating the firing of a gun or the trajectory of a projectile in which the light beam is sent from the weapon to the targ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 F41G3/28Small-scal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JTARGETS; TARGET RANGES; BULLET CATCHERS
    • F41J5/00Target indicating systems; Target-hit or score detecting systems
    • F41J5/14Apparatus for signalling hits or scores to the shooter, e.g. manually operated, or for communication between target and shooter; Apparatus for recording hits or sco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스크린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모의 총기;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이미지를 인식하는 카메라 장치; 영상 사격 훈련 환경을 설정하는 통제관 단말; 상기 영상 사격 훈련 환경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을 구성하고, 상기 모의 총기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격 훈련장 내에서 상기 레이저의 탄착점을 산출하고, 상기 탄착점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훈련자 단말;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사격 훈련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IMAGE SHOOTING SIMULATION SYSTEM}
본 발명은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겟을 포함하는 영상에 레이저를 발사하여 사격 훈련을 수행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영상 사격 시스템은, 훈련자의 전면에 설치된 스크린에 프로젝터를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훈련자는 영상에 나타나는 표적을 향해 사격을 수행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314,179호(2013.09.26. 등록)는 영상 사격 훈련 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과, 스크린에 영상을 영사하는 프로젝터와, 스크린을 향해 레이저를 발사하는 총기와, 영상에 입사하는 레이저의 모의탄착지점을 촬영하는 영상촬영부와, 모의탄착지점에 기초하여 영상에 표현되는 표적에 대한 명중결과를 연산하는 처리부를 포함하며, 레이저에 의한 모의 탄착지점에 기초하여 탄도궤적을 고려한 사거리별 실제 탄착지점을 연산하여 실제 환경과 동일한 사격 훈련의 성과를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영상 사격 훈련 장치는 중력만을 고려한 탄환의 탄도궤적을 이용하여 실제탄착지점을 산출할 뿐, 사용자의 자세에 기인한 탄도궤적의 변화를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아, 실제 사격 환경에서의 사격 결과와 다른 모의 사격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14,179호(2013.09.26. 등록)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실제 사격 환경과 동일한 사격 훈련 성과를 제공할 수 있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스크린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모의 총기;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이미지를 인식하는 카메라 장치; 영상 사격 훈련 환경을 설정하는 통제관 단말; 상기 영상 사격 훈련 환경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을 구성하고, 상기 모의 총기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격 훈련장 내에서 상기 레이저의 탄착점을 산출하고, 상기 탄착점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훈련자 단말;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사격 훈련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모의 총기는, 총기 본체; 상기 총기 본체의 방아쇠의 동작에 따라 격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격발 모듈; 상기 레이저를 생성하고, 상기 총기 본체의 총구 방향으로 상기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 상기 격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총기 본체에 반동을 발생시키는 반동 모듈; 상기 총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 사격 훈련장 내 상기 모의 총기의 위치와 상기 시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 및 상기 모의 총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상기 모의 총기가 위치하는 지점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호 다른 높이에 센싱 신호들을 발사하여 상기 모의 총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 장치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훈련자 단말은 상기 모의 총기의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의 상기 탄착점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을 산출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훈련자 단말은 상기 모의 총기의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탄환의 발사 방향을 결정하고, 탄환의 발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탄환의 발사 속도를 요소 속도들로 분리하며,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탄착 보정값을 산출 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1
(단, X1은 상기 모의 총기와 타겟 간의 거리이며, Cy는 제2 축 방향으로의 제2 보정값이고, Cy0는 제2 축 방향으로의 제2 초기 오차이며, Cz는 제3 축 방향으로의 제3 보정값을 나타내고, Cz0는 제3 축 방향으로의 제3 초기 오차임).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훈련자 단말은 사격 훈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사격 훈련 결과는 상기 레이저의 상기 탄착점과, 상기 실제 탄착점과, 상기 모의 총기의 상기 기울기와, 격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레이저의 이동 경로를 포함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상기 모의 총기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의 일부를 반사하는 보조 스크린을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제1 레이저 이미지와 상기 보조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제2 레이저 이미지를 각각 인식하되, 상기 제1 레이저 이미지와 상기 제2 레이저 이미지는 상기 레이저 이미지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훈련자 단말은 상기 제1 레이저 이미지와 상기 제2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탄착점을 산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반동 모듈, 스위칭 모듈 및 센서 모듈을 구비하는 모의 총기와, 사용자의 자세를 인식하는 자세 인식 장치를 포함하고, 반동 모듈을 통해 격발시 반동을 발생시키고, 스위칭 모듈 및 센서 모듈을 이용하여 가상 공간 내 캐릭터의 위치 이동 또는 화면의 전환을 수행하고, 사용자의 자세(또는, 시선)의 변화에 대응하는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보다 실제와 같은 사격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모의 총기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함으로써, 실제와 같은 사격 훈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은, 사용자와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는 보조 스크린을 포함하고, 스크린에 형성된 제1 레이저 이미지와 보조 스크린에 형성된 제2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모의 총기의 총구 방향(또는, 탄환의 탄도)를 산출함으로써, 보다 실제와 같은 사격 훈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모의 총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3d는 도 3a의 모의 총기에 의해 제어되는 사격 훈련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b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동작 인식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훈련자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훈련자 단말에서 탄착점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7은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서 출력하는 사격 훈련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영상 사격 훈련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내는 배치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통제관 단말(110), 훈련자 단말(120), 표시 장치(130), 스크린(140), 모의 총기(150) 및 카메라 장치(16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제관 단말(110), 훈련자 단말(120), 표시 장치(130), 모의 총기(150) 및 카메라 장치(160)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유무선 네트워크는 유선 인터넷, 무선 이동통신, WiFi, 지그비(Zigbee), 블루부트(Bluetooth) 등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형성되는 네트워크일 수 있다.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통제관 단말(110)을 통해 사격 훈련 환경(예를 들어, 사격 시나리오 등)을 설정하고, 훈련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사격 훈련 환경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 공간을 생성하며, 모의 총기를 기준으로 가상 사격 훈련 공간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130)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격 훈련 영상을 스크린(140) 상에 표시하며, 모의 총기(150)에서 발사되어 스크린(140) 상에 포인팅되는 레이저 이미지를 카메라(160)를 통해 인식하며, 모의 총기(150)의 상태 정보(예를 들어, 위치 정보, 자세/기울기 정보)와 레이지 이미지에 기초하여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산출된 탄착점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을 생성 및 표시하고, 사격 훈련 결과를 생성/저장/표시할 수 있다.
통제관 단말(110)은 통제관으로부터 통제 신호를 수신하고, 통제 신호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제관 단말(110)은 사격 모드(예를 들어, 영점 사격 모드, 기록 사격 모드, 대공 사격 모드, 분대 전투(시가전) 모드 등), 총기 유형(예를 들어, 소총, 권총 등), 실탄 수(예를 들어, 5발, 10발 등), 발사 모드(예를 들어, 단발 모드, 연발 모드 등) 등과 같은 사격 훈련 환경(또는 훈련 시나리오)를 작성/편집/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제관 단말(110)은 사격 훈련이 수행되는 장소(예를 들어, 훈련장, 시가지), 계절(예를 들어, 여름, 겨울), 시간대(예를 들어, 주간, 야간), 기상 상황(예를 들어, 눈, 비, 안개 등), 타겟 수(예를 들어, 사격 모드가 시가전인 경우, 적군의 인원수) 등과 같은 사격 훈련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통제관 단말(110)은 설정된 사격 훈련 환경 설정 정보를 훈련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통제관 단말(110)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격 훈련에 참가한 사용자(USER)의 사용자 정보를 로딩하고, 사격 훈련 종료시 생성되는 사격 훈련 결과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통제관 단말(120)은 컴퓨터 장치, 서버 등으로 구현되고, 마우스, 키보드, 터치스크린 등과 같은 입력 유닛, 스피커, 모니터, 프린터 등과 같은 출력 유닛,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처리하고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유닛(CPU),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훈련자 단말(120)은 통제관 단말(110)로부터 제공된 사격 훈련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또는, 가상 공간)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자 단말(120)은 사격 모드에 기초하여 사격 모드 데이터를 로딩하고, 장소, 계절, 시간대, 기상 상황 등과 같은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사격 모드 데이터를 편집할 수 있다.
훈련자 단말(120)은 사용자(USER)(또는, 모의 총기(150))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시선 방향은 사용자(USER)에 대응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 내에 위치하는 캐릭터의 시선 방향일 수 있다. 후술하여 설명하겠지만, 훈련자 단말(120)은 동작 인식 장치(17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USER)의 자세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USER)의 자세가 선 자세(standing position)인 경우, 높이 170cm 인 캐릭터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USER)의 자세가 앉은 자세인 경우, 높이 100cm인 캐릭터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실제 사격 환경에서 사용자(USER)의 자세에 따라 사용자(USER)에게 인식되는 전경(타겟의 위치), 탄환의 탄도(탄환의 궤도로서, 예를 들어, 탄환의 발사 지점의 높이, 경로 등) 등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훈련자 단말(120)(또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사용자(USER)의 자세에 따라 사격 훈련 영상(또는, 사격 훈련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변화시킴으로서, 사용자(USER)에게 보다 실제와 같은 사격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훈련자 단말(120)은 후술하는 카메라 장치(160)를 통해 획득한 레이저 이미지와 모의 총기(150)로부터 획득한 모의 총기(150)의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탄도 및/또는 탄착점(예를 들어, 가상 사격 훈련장 내에서 레이저의 탄도 및/또는 탄착 지점)을 산출하고, 탄도 및/또는 탄착점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 데이터(예를 들어, 격발 영상, 피격 영상 등을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와 사격 훈련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모의 총기(150)의 상태 정보는 모의 총기(150)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3차원 공간 상에서의 좌표), 격발 신호, 자세 정보(예를 들어, 기울기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탄착점을 산출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130)는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영상을 스크린(1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30)는 빛을 이용하여 영상을 스크린(140)에 비추는 빔 프로젝터이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140)의 전면(또는, 사용자(USER)와 스크린(14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장치(130)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표시 장치(130)는 CRT/LCD/LED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어 스크린(140)과 일체로 배치되거나, 두부 장착 표시 장치(HMD)로 구현되어 사용자(USER)에게 착용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서 스크린(140)은 평면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스크린(140)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스크린(140)은 반구형이거나, "ㄷ"자의 형상(예를 들어, 사용자(USER)의 정면 및 좌/우측면에 배치됨)일 수 있다.
모의 총기(150)는 레이저를 생성하여 발사하며, 방아쇠의 격발을 감지하여 격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의 총기(150)는 일반 총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방아쇠, 총신, 총대 등)을 포함하고, 이외에 레이저를 생성하는 레이저 모듈, 격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모의 총기(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카메라 장치(160)는 모의 총기(150)에서 발사된 레이저에 의해 스크린(140) 상에 형성된(또는, 포인팅된) 레이저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레이저 이미지 또는 레이저 이미지의 좌표 정보(예를 들어, 스크린(140) 상에서의 레이저 이미지의 좌표 정보)를 훈련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훈련자 단말(120)은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탄도 및/또는 탄착점의 좌표값을 산출하고, 기 설정된 타켓의 좌표값과 탄착점의 좌표값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결과 점수를 산출하며, 타겟(또는, 탄도 상에 위치한 객체)의 이미지를 보정하여 탄착 영상이 포함된 탄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표시 장치(130)는 탄착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을 스크린(140)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동작 인식 장치(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장치(170)는 모의 총기(150)를 소지한 사용자(USER)(또는, 영상 사격 훈련을 수행 중인 사용자)의 동작(예를 들어, 자세)을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인식 장치(170)는 카메라로 구현되고, 스크린(140)의 상측에 배치되어 사용자(USER)를 촬상하며, 촬상된 사용자 영상을 분석하여 사용자(USER)의 동작을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인식 장치(170)는 사용자(USER)의 제1 측방(예를 들어, 스크린(140)을 바라보는 사용자(USER)를 기준으로 우측 방향)에 상호 다른 높이에 설치되어, 적외선, 초음파 등의 센싱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기들과, 제2 측방(예를 들어, 사용자(USER)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에 송신기들에 대응하여 설치되는 적외선 수신기들을 포함하고, 수신기들에서 수신되는 센싱 신호의 강도에 기초하여 사용자(USER)의 자세(예를 들어, 서기, 앉기, 엎드리기 등과 같은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훈련자 단말(120)은 인식된 사용자(USER)의 자세(또는, 사용자 자세 정보)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영상을 생성/보정하고,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동작 인식 장치(170)에 대해서는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통제 장치(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제 장치(180)는 모의 총기(15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제장치(180)는 모의 총기(150) 등에 전원을 공급/분배하며, 모의 총기(150), 동작 인식 장치(170) 등으로부터 신호를 수신하여 통제관 단말(110)(또는, 훈련자 단말(12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제 장치(180)는 유/무선으로 모의 총기(150)에 연결되어 레이저 발생 및 반동 효과 발생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며, 모의 총기(150)의 격발에 의한 격발 신호(또는, 모의 총기(150)의 발사 여부)를 훈련자 단말(120) 및 통제관 단말(110)에 전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통제관 단말(110)을 통해 사격 훈련 환경(또는, 훈련 시나리오)을 설정하고, 훈련자 단말(120)을 이용하여 설정된 사격 훈련 환경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을 구축하며, 모의 총기(150)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에 대한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130)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사격 훈련 영상을 스크린(140) 상에 표시하며, 모의 총기(150)에서 발사된 레이저에 의해 스크린(140) 상에 형성되는 레이저 이미지를 카메라 장치(160)를 통해 인식하고, 인식된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탄도 또는 탄착점을 산출하며, 훈련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사용자(USER)의 자세를 인식하고, 사용자(USER)의 자세에 대응하는 사격 훈련 영상을 표시하며, 사용자(USER)의 자세에 기초하여 탄착점을 보정함으로써, 보다 실제와 같은 사격 훈련 환경을 사용자(USER)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모의 총기(150), 카메라 장치(160), 동작 인식 장치(170), 훈련자 단말(120)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모의 총기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모의 총기(150)는 총기 본체(310), 격발 모듈(320), 레이저 모듈(330), 반동 모듈(340), 스위치 모듈(350)을 포함할 수 있다.
총기 본체(310)는 실제 총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예를 들어, 총신, 총대, 방아쇠, 가늠쇠, 가늠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총기 본체(310)는 실탄 사격이 가능한 실제 총기이거나, 이와 같은 형상, 중량 등을 가지는 모형 총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 본체(310)는 K-2 소총으로, 알루미늄 합금(ABS) 재질, 무게 3.26 Kg 등의 특성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총기 본체(310)는 권총 또는 공용 화기(M-60) 일 수 있다.
격발 모듈(320)은 방아쇠(trigger)의 동작(또는 후방 이동)에 따라 격발 신호를 발생시키며, 총기 본체(210)의 내부에 삽입되거나 총기 본체(31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발 모듈(320)의 본체는 방아쇠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격발 모듈(320)의 연장부는 격발 모듈(320)의 본체로부터 돌출되어 방아쇠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방아쇠가 당겨짐에 따라 격발 모듈(320)의 연장부가 이동하되, 연장부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격발 모듈(320)의 스위칭 동작(예를 들어, 격발 모듈(210) 내 스위치의 턴온 동작)에 의해 격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격발 신호는 반동 모듈(340), 훈련자 단말(120), 카메라 장치(160) 등에 유무선 방식(예를 들어, BLE 등)으로 직/간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격발 모듈(320)은 조정간(select lever)과 연동되어, 안전, 단발, 연발 등의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 모드에서 방아쇠가 당겨진 경우, 격발 모듈(320)은 격발 신호를 생성하지 아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발 모드에서 방아쇠가 당겨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 격발 모듈(320)은 방아쇠가 원복되기 전까지 특정 주기를 가지고 반복적으로 격발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레이저 모듈(330)은 레이저를 생성하고, 총기 본체(310)의 총구 방향(즉, 모의 총기(150)의 총구가 지시하는 방향으로, 모의 총기(150)에서 탄환이 발사되는 방향)으로 레이저를 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모듈(330)은 일반적인 레이저 표적지시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구현되고, 비가시 적외선(invisible infrared ray) 레이저를 생성 및 발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의 최대 파장은 850nm이고, 출력은 10mW이며, 집중 레이저 빔의 지름(예를 들어, 레이저 모듈(23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의 지름)은 0.1mm 이하 일 수 있다.
레이저 모듈(330)은 총기 본체(21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모듈(330)은 총기 본체(310)의 총신(barrel)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모듈(330)에 의해 발사되는 레이저의 방향은 실제 탄환이 발사되는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레이저 모듈(330)은 총기 본체(310)의 총신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레이저 모듈(330)에 의해 발사되는 레이저의 방향은 사용자(USER)의 시선축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반동 모듈(340)은 모의 총기(150)에 반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즉, 반동 모듈(340)은 모의 총기(150)의 격발시 반동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동 모듈(340)은 전자식 솔레노이드 방식을 이용하여 반동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반동 모듈(340)은 격발 모듈(320)에서 생성된 격발 신호에 응답하여 솔레노이드(즉, 원형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며, 반동 모듈(340) 내 강자성체의 탄자가 솔레노이드에 의해 생성된 자성에 이동하면서 반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반동 모듈(340)은 총기 본체(310)에 탈부착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반동 모듈(240)은 탄창 형태로 구현되며, 탄창과 동일한 방식으로 총기 본체(310)에 삽입되고, 금속(예를 들어, 듀랄류민 합금, SPCC, SUM18 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스위치 모듈(350)은 가상 공간(즉, 가상 사격 훈련장으로, 예를 들어, 시가전이 수행되는 가상의 사격 훈련 장소) 내에서 사용자(USER)에 대응하는 캐릭터(또는, 모의 총기(150)의 위치와 캐릭터의 시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350)은 이동 스위치(351)와 시선 전환 스위치(35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스위치(351)는 훈련자 단말(120)에서 생성되는 가상 공간 내 캐릭터를 이동시키는 이동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즉, 가상 공간 내 캐릭터는 이동 스위치(351)의 동작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스위치(351)는 조이스틱으로 구현되고, 총기 본체(210)의 총열 덮개의 좌측(또는 우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USER)는 총열 덮개를 잡은 왼손(또는, 오른손)의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이동 스위치(351)를 조작할 수 있다. 일반적인 조이스틱과 유사하게, 이동 스위치(351)의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전/후/좌/우 방향으로의 이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훈련자 단말(120)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이동 신호를 수신하고, 이동 신호에 응답하여 가상 공간 내 캐릭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시선 전환 스위치(352)는 가상 공간 내 캐릭터의 시선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선 전환 스위치(352)는 버튼(button) 방식으로 동작하고, 총기 본체(210)의 총열 덮개의 우측(또는, 좌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USER)는 총열 덮개를 잡은 왼손(또는, 오른손)의 검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시선 전환 스위치(352)를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스위치(352-1)는 캐릭터의 시선을 캐릭터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제1 시선 전환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스위치(352-2)는 캐릭터의 시선을 캐릭터를 기준으로 정면으로 이동시키는 제2 시선 전환 신호를 생성하며, 제3 스위치(352-3)은 캐릭터의 시선을 캐릭터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키는 제3 시선 전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훈련자 단말(120)은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시선 전환 신호들을 수신하고, 시선 전환 신호들에 응답하여 캐릭터의 시선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표시 장치(130)를 통해 사격 훈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위치 모듈(350)은 시가전 모드 등과 같이 캐릭터의 이동이 필요한 훈련 시나리오에서 사용되며, 영점 사격 모드, 기록 사격 모드 등과 같이 캐릭터의 이동이 불필요한 훈련 시나리오에서는 통제관 단말(120)의 설정에 의해 스위치 모듈(350)의 동작이 제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 모듈(350)은 이동 속도 전환 스위치(미도시)(또는, 가속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 속도 전환 스위치는 캐릭터의 이동 속도를 가속/감속시키며, 예를 들어, 캐릭터의 걷기 동작과 뛰기 동작을 전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속도 전환 스위치는 버튼 방식으로 동작하고, 총기 본체(310)의 방아쇠의 위측에 부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USER)는 총기 본체(310)의 손잡이를 잡는 오른손(또는 왼손)의 엄지 손가락 등을 이용하여 이동 속도 전환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스위치 모듈(350)은 하나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스위치(351)와 시선 전환 스위치(352)는 총기 본체(310)의 총렬을 덮는 형태(예를 들어, 도 2c의 총렬 덮개 위측을 감싸는 형태)로 구현되며, 스위치 본체 내에 구비된 하나의 통신 모듈을 통해 이동 신호와 시선 전환 신호들을 훈련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모의 총기(150)는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다축 센서(예를 들어, 9축 센서)를 포함하고, 다축 센서를 이용하여 총기 상태(또는, 사용자의 자세)를 파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축 센서는 스위치 모듈(350)과 일체로 구현되어, 총기 본체(310)의 총렬과 평행하게 총렬의 상부에 배치되고, 가속도계, 각속도계, 지자기계 등을 이용하여 총구의 방향과, 총기 본체(310)의 기울임(예를 들어, 전/후 방향(또는, 상/하 방향) 뿐만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의 기울임)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 모듈을 통해 측정된 총구의 방향, 총기 본체의 기울임은 사용자의 시선 전환(예를 들어, 총기 방향이 특정 거리 또는 특정 각도 이상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캐릭터의 시선을 좌측으로 이동), 후술하는 탄착점의 산출 및 보정 등에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센서 모듈은 스위치 모듈(35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센서 모듈이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 모듈은,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레이저 모듈(330)에 포함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의 총기(150)는 레이저 모듈(330)을 통해 레이저를 발사하고, 격발 모듈(320)을 통해 발생되는 격발 신호에 기초하여 반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격발 모듈(210), 레이저 모듈(330) 등은 총기 본체(210)에 탈부착 가능한 형태로 구현되어, 실제 총기를 이용한 사격 훈련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모의 총기(150)는 스위치 모듈(250), 센서 모듈을 포함하여 가상 공간 내에서 캐릭터의 동작(이동, 시선 전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d는 도 3a의 모의 총기에 의해 제어되는 사격 훈련 영상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d를 참조하면,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모의 총기(100)에서 발사된 레이저 및 모의 총기(100)의 이동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스크린(140) 상에 표시되는 사격 훈련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스크린(140)은 제1 영역(A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A1) 내에서 레이저 이미지가 위치하거나 제1 영역(A1) 내에서 레이저 이미지가 이동하는 경우,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레이저 이미지의 위치/이동과 무관하게 사격 훈련 영상을 변화시키지 않을 수 있다.
레이저 이미지가 제1 영역(A1)을 벗어나는 경우,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저 이미지가 스크린(140)의 중심에서 제1 지점(P1)으로 이동한 경우,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사격 훈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즉, 사격 훈련 영상이 좌측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슬라이딩 속도는 레이저 이미지가 제1 영역(A1)을 벗어난 거리(예를 들어, 제1 거리(L1)), 레이저 이미지의 이동에 대응하여 모의 총기(150)의 회전 속도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모의 총기(150)에 포함된 스위치 모듈(350) 뿐만 아니라, 모의 총기(150)에서 발사된 레이저에 의해 형성된 레이저 이미지, 모의 총기(150)의 이동 속도 등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SER)는 스위치 모듈(350) 뿐만 아니라 다양한 직관적인 방식을 통해 사격 훈련 영상을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카메라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동작 인식 장치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카메라 장치(160)는 스크린(140) 상에 표시되는 테스트 영상(예를 들어, 격자 형태의 무늬를 포함하는 영상)에 기초하여 좌표계를 설정(및 보정)하고, 좌표계에 기초하여 모의 총기(15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에 의해 스크린(140) 상에 형성된 레이저 이미지의 좌표값을 산출 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동작 인식 장치(170)는 사용자(USER)를 기준으로 특정 방향(예를 들어, 사용자(USER)를 기준으로 좌/우측 방향)에 상호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인식 장치(170)는 사용자(USER)(또는, 모의 총기(150))가 위치한 바닥면으로부터 제1 높이(H1)(예를 들어, 높이 20cm)에 위치한 제1 센서(411), 바닥면으로부터 제2 높이(H2)(예를 들어, 높이 80cm)에 위치한 제2 센서(421), 바닥면으로부터 제3 높이(H3)(예를 들어, 높이 150cm)에 위치한 제3 센서(431)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내지 제3 센서들(411, 421, 431)은 바닥면에서 수직하는 제3 방향(Z3)의 동일한 축 상에 위치하고, 제1 내지 제3 센서들(411, 421, 431)은 사용자(USER)를 향하여(예를 들어, 제2 방향(D2)으로) 바닥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특정 각도를 가지고 센싱 신호(예를 들어, 초음파, 적외선 등)를 송신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 인식 장치(170)는 사용자(USER) 제1 높이(H1)에 위치한 제1 수신 센서(412), 제2 높이(H2)에 위치한 제2 수신 센서(422), 제3 높이(H3)에 위치한 제3 수신 센서(432)를 더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센서들(411, 421, 431)로부터 송신된 센싱 신호들을 각각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제3 센서들(411, 421, 431)은 40Hz의 동작 주파수를 가지고, 0.02 내지 4 m 거리 범위에서 15도 각도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객체(또는, 사용자(USER))를 0.3cm의 정확도를 가지고 인식할 수 있다.
사용자(USER)가 선 자세(standing position)을 취하는 경우, 제1 내지 제3 센서들(411, 421, 431)은 사용자(USER)에 의해 반사된(또는, 투과된, 차단된) 특정 크기의 센싱 신호(예를 들어,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동작 인식 장치(170)는 사용자(USER)의 선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유사하게, 사용자(USER)가 엎드린 자세을 취하는 경우, 제1 센서(411)만이 사용자(USER)로부터 반사된 특정 크기의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동작 인식 장치(170)는 사용자(USER)의 엎드린 자세를 인식할 수 있다.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동작 인식 장치(170)를 통해 사용자(USER)의 자세를 인식하고, 사용자(USER)의 자세에 대응하는 사격 훈련 영상을 생성/표시하며, 사용자(USER)에 대한 사격 통제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엎드려쏴(伏射)와 같은 기록 사격 모드에서 사용자(USER)가 앉은 자세 또는 선 자세를 취하는 경우,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사용자(USER)의 자세에 기초하여 모의 총기(150)의 격발을 제한시킬 수 있다. 또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사용자(USER)의 자세에 기초하여 후술하는 탄착점을 보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 포함된 훈련자 단말의 일 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훈련자 단말(120)은 제1 처리 장치(510) 및 제2 처리 장치(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처리 장치(510)는 통제관 단말(110)로부터 제공되는 사격 훈련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을 구성하고, 사용자(USER)(또는, 가상 사격 훈련장 내 캐릭터)를 기준으로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모의 총기(15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의 탄착점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처리 장치(510)는 시나리오 편집부(511), 영상 처리부(512) 및 탄착 처리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시나리오 편집부(511)는 사격 훈련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 시나리오를 편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나리오 편집부(511)는 사격 모드, 실탄 수, 총기 종류, 발사 모드, 사로 정보 등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530)에 포함된 시나리오 DB로부터 해당 시나리오를 로딩/편집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513)는 영상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시나리오에 대응하는 가상 사격 훈련장 데이터를 로딩하고, 데이터베이스(530)에 포함된 3D 모델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총기 모델 등을 로딩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을 구성하고, 사용자(USER)(또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영상 처리부(510)는 3D 엔진(예를 들어, 3D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영상 처리부(513)는 동작 인식 센서(17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자세(예를 들어, 선 자세 등)에 기초하여 캐릭터의 시점(예를 들어, 시선의 높이)를 결정하고, 해당 시점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탄착 보정부(512)는 스크린(140) 상에 포인팅된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착 보정부(512)는 중력, 공기 저항 등을 고려하여 설정된 탄도 방정식을 이용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실제 탄착점을 산출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제1 처리 장치(510)는 훈련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훈련 분석부는 실제 탄착점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결과를 생성할 있다. 예를 들어, 훈련 분석부는 실제 탄착점의 위치 정보(예를 들어, 좌표 정보)와 타겟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명중 여부를 판단하거나 사격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훈련 분석부는 레이저의 탄착점과, 실제 탄착점과, 모의 총기(150)의 자세 정보(예를 들어,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사격 훈련 결과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130)를 통해 사용자(USER)에게 사격 훈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사격 훈련 결과는 도 7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훈련 분석부는 격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시간(time period) 동안 레이저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고, 사격 훈련 결과와 함께 레이저의 이동 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시점(예를 들어, 0초)에 통제관 단말(120)로부터 사격 개시 신호가 송신되고, 제2 시점(예를 들어, 10초)에 통제관 단말(120)로부터 사격 중지 신호가 송신된 경우, 제1 시점과 제2 시점 사이의 제1 구간 동안 카메라 장치(160)는 스크린(140) 상에 포인팅된 레이저 이미지를 주기적(예를 들어, 1/60초 간격)으로 센싱할 수 있다. 이 경우, 훈련 분석부는 센싱된 레이저 이미지들과 센싱된 시점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이동 경로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레이저의 이동 경로 데이터는 영상 처리부(512)와 표시 장치(130)를 통해 시각적으로 출력될 수 있고, 사용자(USER)는 격발 전, 격발 시점 등에서 레이저의 이동(즉, 사격 자세의 흔들림)을 인식할 수 있다.
제2 처리 장치(520)는 표시 장치(130), 모의 총기(150) 및 카메라 장치(16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처리 장치(520)는 카메라 제어부(521), 통신부(522), 이미지 보정부(523), 이미지 캡처부(524) 및 제어부(525)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제어부(521)는 카메라 장치(160)의 동작을 제어하고, 카메라 장치(160)로부터 제공된 레이저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제어부(521)는 모의 총기(150)에서 생성된 격발 신호에 기초하여 카메라 장치(160)로 하여금 레이저 이미지를 촬상(또는, 센싱)하도록 제어하고, 촬상된 레이저 이미지로부터 레이저 이미지의 좌표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a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카메라 제어부(521)는 스크린(140) 상에 표시되는 테스트 영상과 카메라 장치(160)를 통해 센싱된 영상에 기초하여 변환 좌표계(예를 들어, 스크린(140) 상의 좌표를 가상 공간 상의 좌표로 변환하기 위한 좌표계를 설정(및 보정)하고, 변환 좌표계에 기초하여 레이저 이미지의 좌표값을 산출 할 수 있다.
통신부(522)는 통제관 단말(110), 제1 처리 장치(510) 등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제관 단말(110)로부터 사격 통제 신호(예를 들어, 사격 개시 신호, 사격 중지 신호 등)을 수신하고, 레이저 이미지의 좌표값을 제1 처리 장치(51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미지 보정부(523)는 스크린(140) 상에 출력되는 사격 훈련 영상의 왜곡 여부를 판단하고, 제1 처리 장치(510)로 하여금 사격 훈련 영상을 보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미지 캡처부(524)는 특정 신호(예를 들어, 격발 신호)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영상을 캡처 하고, 제어부(525)는 카메라 제어부(521), 통신부(522), 이미지 보정부(523) 및 이미지 캡처부(524)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베이스(530)는 사용자 데이터베이스, 사격 데이터베이스, 예약 데이터베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데이터베이스는 사격 훈련에 참가하는 사용자(USER)의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군번, 이름 등)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USER)는 정규군, 예비군 등일 수 있다. 사격 데이터베이스는 제1 처리 장치(510)로부터 통제관 단말(110)을 통해 제공되는 사격 훈련 결과를 저장할 수 있다. 사격 훈련 결과는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여 저장되거나, 사격 일정 등에 대응하여 저장될 수 있다. 예약 DB는 사격 훈련 일정, 참가 인원, 참가 대상자 등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훈련자 단말(120)은 통제관 단말(110)로부터 제공된 사격 훈련 환경 설정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또는, 가상 공간)을 구성하고, 사용자(USER)(또는, 캐릭터)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카메라 장치(160)를 통해 획득한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1 처리 장치(510) 및 제2 처리 장치(520)는 훈련자 단말(120)을 영상 처리 기능과 제어 기능을 중심으로 예시적으로 구분한 것으로, 제1 처리 장치(510) 및 제2 처리 장치(520)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처리 장치(520)는 탄착 보정부(5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훈련자 단말에서 탄착점을 보정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1 축(X)는 모의 총기(150)로부터 스크린(140)까지의 제1 방향(또는, 가상 공간 내 캐릭터의 시선 방향)을 나타내고, 제2 축(Y)은 제1 축(X)에 수직하는 수평 방향을 나타내며, 제3 축(Z)은 제1 축(X)과 제2 축(Y)에 수직하는 수직 방향을 나타낸다.
기준 지점(B0)는 조준선 또는 사용자(USER)의 시선축의 시작 지점이며, 모의 총기(150)의 조준경과 가늠쇠를 통과하는 선과 교차할 수 있다. 발사 지점(S0)는 탄환이 발사되는 시작 지점을 나타내고, 총구의 연장선과 시선축간의 이격 거리(또는, 이들간의 최단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 모듈(330)이 총구에 삽입되는 경우, 시선축과 총구의 연장선은 일치하고, 발사 지점(S0)은 기준 지점(B0)과 일치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레이저 모듈(230)이 총구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발사 지점(S0)은 기준 지점(B0)을 기준으로 특정값(z0)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곡선(G1)은 모의 총기(150)에서 발사되는 레이저의 탄도를 나타내며, 모의 총기(150)의 조준선(또는, 사용자(USER)의 시선축)과 일치할 수 있다. 제1 곡선(G1)은 실질적으로 제1 축(X)에 평행할 수 있다. 제1 탄착점(P1)은 표적에 대한 레이저의 탄착점(또는 조준점)으로, 실제 탄착점(즉, 실제 탄환이 탄착되는 지점)을 산출하는데 기준이 될 수 있다.
한편, 제2 곡선(G2)은 사용자(USER)의 자세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즉, 모의 총기(150)가 기울어지지 않고, 시선축에 평행한 것으로 가정한 경우) 모의 총기(150)에서 발사된 탄환의 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모의 총기(150)에서 탄환이 발사되는 것으로 가정하는 경우, 탄환의 이동 궤적을 나타내며, 제2 곡선(G2)은 중력, 공기 저항 등(특히, 중력)에 의해 포물선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
제3 곡선(G3)은 사용자(USER)의 자세를 고려한 경우(즉, 모의 총기(150)의 자세 또는 기울기를 고려한 경우) 모의 총기(150)에서 발사된 탄환의 탄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3 곡선(G3)은 제2 곡선(G2)과 유사하게 포물선 형태로 나타나나, 사용자(USER)의 자세에 의해 발사 지점(S0)이 달라지므로, 제3 곡선(G3)의 경로는 제2 곡선(G2)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훈련자 단말(120)은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또는,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먼저, 훈련자 단말(120)은 스크린(140) 상에 포인팅된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인 제1 탄착점(P1)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160)는 스크린(140) 상에 포인팅된 레이저 이미지의 제1 좌표를 인식하고, 훈련자 단말(120)은 레이저 이미지의 제1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내 제2 지점을 결정하며, 모의 총기(150)가 위치한 제1 지점과 제2 지점을 연결하는 제1 탄도(즉, 제1 곡선(G1)에 대응하는 직선)를 산출하며, 제1 탄도 상에 위치하는 객체와 제1 탄도가 만나는 지점(즉,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훈련자 단말(120)은 레이저 이미지의 제1 좌표에 기초하여 가상 공간 내 제2 지점을 결정하며,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지점을 통과하는 제1 탄도를 산출하며, 제1 탄도 상에 위치하는 객체와 제1 탄도가 만나는 지점(즉,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훈련자 단말(120)은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와 초기 탈출각에 기초하여 탄환의 발사 방향을 결정하고, 탄환의 발사 방향에 기초하여 탄환의 발사 속도를 요소 속도들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초기 탈출각은 실제 탄환의 탄도가 총기로부터 50m 이격된 거리에서 조준선(또는, 시선축)과 일치되도록, 탄환의 발사 방향이 시선 방향(예를 들어, 레이저 발사 방향)과 형성하는 예각일 수 있다. 초기 탈출각과 발사 속도는 총기의 종류(예를 들어, 소총, 권총, 공용 화기 등)별로 기 설정될 수 있다. 요소 속도들은 제1 내지 제3 축들에 평행하는 벡터 성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자 단말(120)은 탄환의 발사 방향을 도 6a에 도시된 좌표계 상에서 제1 내지 제3 축들(X, Y, Z)에 대한 요소 각들(element angles)(Θ1, Θ2)로 구분하고, 요소 각들에 기초하여 탄환의 발사 속도(V1)를 제1 속도(Vx1), 제2 속도(Vx2) 및 제3 속도(Vx3)로 분리할 수 있다.
이후, 훈련자 단말(120)은 탄도 방정식을 이용하여 탄착 보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훈련자 단말(120)은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제1 속도(Vx1)에 기초하여 탄환의 이동 시간(T1)을 산출하며, 탄환의 이동 시간(T1)에 기초하여 탄착 보정값(Cy, Cz)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pat00002
여기서, X1은 가상 공간 내에서 모의 총기(150)(또는, 캐릭터)와 타겟 간의 거리이며, Cy는 제2 축(Y) 방향으로의 제2 보정값을 나타내고, Cy0는 제2 축(Y) 방향으로의 제2 초기 오차이며, Cz는 제3 축(Z) 방향으로의 제3 보정값을 나타내고, Cz0는 제3 축(Z) 방향으로의 제3 초기 오차일 수 있다. 제2 초기 오차(Cy0)는 발사 지점(S0)의 제2 축(Y) 방향으로의 제2 성분(Y0)이며, 제3 초기 오차(Cz0)는 기준 출발 지점(S0)의 제3 축(Z) 방향으로의 제3 성분(Z0)일 수 있다.
이후, 훈련자 단말(120)은 탄착 보정값(Cy, Cz)에 기초하여 제1 탄착점(P1)(즉,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하여 제2 탄착점(P2)(즉, 실제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탄착점(P2)은 (X1, Y1-Cy, Z1-Cz)로 표현될 수 있다.
산출된 제1 탄착점(P1)과 제2 탄착점(P2)은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 정보와 함께 사격 결과 정보에 포함되고, 사격 결과 정보는 통제관 단말(110), 훈련자 단말(120) 등을 통해 사용자(USER)에게 제공될 수 있다.
즉,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실제 탄환의 탄도(또는, 탄도 방정식)을 이용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즉, 제1 탄착점(P1))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즉, 제2 탄착점(P2))을 산출/표시 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사용자(USER)로 하여금 사격 자세의 정확도를 시각적으로 인식하도록 하여 사격 자세의 교정을 유도함으로써, 사용자(USER)의 사격 실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훈련자 단말(120)은 탄환의 발사 방향을 구성하는 요소 각에 대한 탄착 보정값을 포함하는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룩업 테이블(621)은 도 6a에 도시된 제1 요소각(Θ1)에 대한 제2 보정값(Cy)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각(Θ1)이 제1 각 구간(A1)(예를 들어, 0 내지 1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거리 구간(L1)(예를 들어, 0 내지 10m)에서 제2 보정값(Cy)는 C11 (예를 들어, 1cm)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요소각(Θ1)이 제2 각 구간(A2)(예를 들어, 1도 내지 2도) 사이에 위치하는 경우, 제2 거리 구간(L2)(예를 들어, 10 내지 20m)에서 제2 보정값(Cy)는 C22(예를 들어, 2cm) 일 수 있다. 제2 보정값(Cy)은 총기의 종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제2 룩업 테이블(622)은 도 6a에 도시된 제2 요소각(Θ2)에 대한 제3 보정값(Cz)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룩업 테이블(622)은 제1 룩업 테이블(62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이 경우, 훈련자 단말(120)은 보다 빠르게 레이저의 탄착점(즉, 제1 탄착점(P1))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즉, 제2 탄착점(P2))을 산출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훈련자 단말(120)(또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훈련자 단말(120)은 레이지의 탄착점과 실제 탄착점과 사용자의 자세 정보(또는,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 정보)를 포함하는 사격 훈련 결과를 사용자(USER)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USER)의 사격 자세의 교정을 유도하고, 보다 정확한 사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참고로, 일반적인 탄도 방정식은 사용자의 자세가 정확한 것을 전제하고(예를 들어, 모의 총기(150)가 바닥면에서 수직하게 위치하는 것을 전제하고), 중력과 공기 저항 등에 의한 영향력을 고려하여 탄도(예를 들어, 포물선 형태의 탄도)를 도출한다. 그러나, 실제 사격시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총기는 바닥면과 수직하지 않을 수 있고, 실제 탄환은 조준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좌/우측으로 발사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자세에 기인한 탄착점 보정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실제와 같은 사격 훈련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서 출력하는 사격 훈련 결과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지점(P1)은 격발 신호가 발생한 시점에서 센싱된 레이저의 탄착점을 나타내고, 제2 지점(P2)은 레이저의 탄착점을 보정하여 생성된 실제 탄착점을 나타낼 수 있다. 기울기 벡터(G)는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를 나타내며, 원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울기 벡터(G)의 방향은 모의 총기(150)의 기울어진 방향을 나타내며, 기울기 벡터(G)의 크기는 모의 총기(150)의 기울어진 정도(크기)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USER)는 레이저의 탄착점인 제1 지점(P1)에 비해 좌측에 위치하는 제2 지점(P2)과 기울기 벡터(G)에 기초하여 사격 자세의 문제점(예를 들어, 모의 총기(150)를 좌측으로 기울이는 문제점)을 인지할 수 있다.
경로(R)는 사격 개시 신호가 발생한 시점부터 사격 종료 신호가 발생한 시점까지의 시간 동안 레이저 탄착점의 이동 경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로(R)는 사격 개시 시점부터 타겟으로 중심 방향을 향해 이동하다가 격발 시점에 타겟의 상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사용자(USER)는 격발 시점에 모의 총기(150)의 총구가 들리는 문제점을 인지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스크린(140) 이외에 보조 스크린(1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140)은 모의 총기(150)(또는, 사용자(USER))를 기준으로 제1 방향(D1)으로 제1 거리(L1)만큼 이격되어 위치하고, 보조 스크린(141)은 모의 총기(150)를 기준으로 제2 거리(L2)만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L2)는 제1 거리(L1)보다 짧을 수 있다.
스크린(140)은 광(가시광선, 적외선)을 반사하는 재질로 구성되어, 표시 장치(13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보조 스크린(141)은 적외선 필터(예를 들어, 적외선만 반사하는 필터)로 구현되어, 가시 광선을 투과시키고, 모의 총기(150)로부터 발사된 레이저의 일부를 반사시킬 수 있다.
모의 총기(150)로부터 레이저가 발사되는 경우, 레이저의 일부가 보조 스크린(141) 상에 반사(또는, 포인팅)되어 제2 레이저 이미지(LI2)를 형성하고, 레이저의 나머지는 스크린(140) 상에 포인팅되어 제1 레이저 이미지(LI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 장치(160)는 제1 및 제2 레이저 이미지들(LI1, LI2)를 각각 인지하고, 훈련자 단말(120)은 제1 및 제2 레이저 이미지들(LI1, LI2)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장치(160)는 모의 총기(15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제2 거리 이내에 위치하는 제2 서브 카메라 장치(162)와, 모의 총기(150)로부터 제1 방향(D1)으로 제1 거리 내지 제2 거리 사이의 범위에 위치하는 제1 서브 카메라 장치(161)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서브 카메라 장치들(161, 162)를 이용하여 제1 및 제2 레이저 이미지들(LI1, LI2)를 각각 센싱 할 수 있다. 이 경우, 훈련자 단말(120)은 제1 및 제2 레이저 이미지들(LI1, LI2) 각각의 좌표에 기초하여 레이저의 진행 방향 또는 모의 총기(150)의 총구 방향을 산출할 수 있으며, 총구 방향에 기초하여 보다 정확한 탄착점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총구 방향(또는, 레이저 진행 방향)에 기초하여 탄착점을 보정하는 구성은 6a를 참조하여 설명한 탄착점 보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반복하지 않기로 한다.
즉,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를 센싱하기 위한 별도의 센싱 모듈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레이저 이미지들(LI1, LI2)을 통과하는 직선 상에 모의 총기(150)가 위치함에 따라, 모의 총기(150)의 위치(예를 들어, 높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은 보다 정확하게 측정된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 및/또는 모의 총기(150)의 위치에 기초하여 탄착점 보정을 보다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영상 사격 훈련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9의 방법은 도 1의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1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도 9의 방법은 영상 사격 훈련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S910).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의 방법은 통제관 단말(110)을 통해 사격 모드 등의 영상 사격 훈련 환경을 설정할 수 있다.
도 9의 방법은 훈련자 단말(120)을 통해 영상 사격 훈련 환경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을 구성하고(S920), 모의 총기(150)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930). 또한, 도 9의 방법은 표시 장치(130)을 통해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스크린(140) 상에 사격 훈련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S940).
이후, 통제관을 통해 사격 훈련이 개시되고, 사용자(USER)의 사격 동작(또는, 트리거 동작)에 따라 모의 총기(150)는 레이저를 생성/발사하며, 레이저에 의해 스크린(140)에 레이저 이미지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방법은 카메라 장치(160)를 통해 스크린(140) 상의 레이저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S950).
도 9의 방법은, 모의 총기(150)에서 생성된 격발 신호가 생성된 경우(즉, 격발 신호가 생성된 시점)에 인식된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 내에서 레이저의 탄착점을 산출하고(S960), 탄착점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970).
도 6a,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도 9의 방법은 훈련자 단말(120)을 통해 모의 총기(150)의 기울기와 초기 탈출각(즉, 모의 총기(150)를 기준으로 탄환의 발사 각도)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 내에서 탄환의 발사 방향을 결정하고, 탄환의 발사 방향, 탄환의 속도, 탄도 방정식 등을 이용하여 실제 탄착점(즉, 실제 탄환이 탄착될 것으로 예측되는 지점)을 산출할 수 있다. 이후, 도 9의 방법은 훈련자 단말(120)을 통해 탄착 지점에 대해 탄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표시 장치(130)를 통해 탄착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격 훈련이 종료된 경우, 도 9의 방법은 훈련자 단말(120)을 통해 탄착점 등에 기초하여 사격 훈련 결과를 생성하고, 표시 장치(130)를 통해 사격 훈련 결과를 표시하며, 통제관 단말(120)을 통해 사격 훈련 결과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크린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가상 사격 훈련 시스템 및 사격 훈련 방법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110: 통제관 단말
120: 훈련자 단말 130: 표시 장치
140: 스크린 141: 보조 스크린
150: 모의 총기 160: 카메라 장치
170: 동작 인식 장치 171: 제1 서브 동작 인식 장치
172: 제2 서브 동작 인식 장치 180: 통제 장치
310: 총기 본체 320: 격발 모듈
330: 레이저 모듈 340: 반동 모듈
350: 스위치 모듈 351: 이동 스위치
352: 시선 전환 스위치 352-1: 제1 스위치
352-2: 제2 스위치 352-3: 제3 스위치
411, 421, 431: 제1 내지 제3 센서들
412, 422, 432: 제1 내지 제3 수신 센서들
510: 제1 처리 장치 511: 시나리오 편집부
512: 영상 처리부 513: 탄착 보정부
520: 제2 처리 장치 521: 카메라 제어부
522: 통신부 523: 이미지 보정부
524: 이미지 캡쳐부 525: 제어부
530: 데이터베이스 621: 제1 룩업 테이블
622: 제2 룩업 테이블

Claims (7)

  1. 스크린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모의 총기;
    상기 스크린 상에 상기 레이저에 의해 형성되는 레이저 이미지를 인식하는 카메라 장치;
    영상 사격 훈련 환경을 설정하는 통제관 단말;
    상기 영상 사격 훈련 환경에 기초하여 가상 사격 훈련장을 구성하고, 상기 모의 총기를 기준으로 시선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가상 사격 훈련장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며, 상기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사격 훈련장 내에서 상기 레이저의 탄착점을 산출하고, 상기 탄착점에 기초하여 탄착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훈련자 단말; 및
    상기 영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스크린 상에 사격 훈련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총기는,
    총기 본체;
    상기 총기 본체의 방아쇠의 동작에 따라 격발 신호를 발생시키는 격발 모듈;
    상기 레이저를 생성하고, 상기 총기 본체의 총구 방향으로 상기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모듈;
    상기 격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총기 본체에 반동을 발생시키는 반동 모듈;
    상기 총기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상 사격 훈련장 내 상기 모의 총기의 위치와 상기 시선 방향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스위치 모듈; 및
    상기 모의 총기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센서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총기가 위치하는 지점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호 다른 높이에 센싱 신호들을 발사하여 상기 모의 총기의 위치를 인식하는 동작 인식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 단말은 상기 모의 총기의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상기 레이저의 상기 탄착점을 보정하여 실제 탄착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 단말은 상기 모의 총기의 상기 기울기에 기초하여 탄환의 발사 방향을 결정하고, 탄환의 발사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탄환의 발사 속도를 요소 속도들로 분리하며, 아래의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탄착 보정값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수학식 1]
    Figure pat00003

    (단, X1은 상기 모의 총기와 타겟 간의 거리이며, Cy는 제2 축 방향으로의 제2 보정값이고, Cy0는 제2 축 방향으로의 제2 초기 오차이며, Cz는 제3 축 방향으로의 제3 보정값을 나타내고, Cz0는 제3 축 방향으로의 제3 초기 오차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훈련자 단말은 사격 훈련 결과를 생성하되,
    상기 사격 훈련 결과는 상기 레이저의 상기 탄착점과, 상기 실제 탄착점과, 상기 모의 총기의 상기 기울기와, 격발 시점을 포함하는 제1 시간 동안 상기 레이저의 이동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의 총기와 상기 스크린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레이저의 일부를 반사하는 보조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제1 레이저 이미지와 상기 보조 스크린 상에 형성되는 제2 레이저 이미지를 각각 인식하되, 상기 제1 레이저 이미지와 상기 제2 레이저 이미지는 상기 레이저 이미지에 포함되고,
    상기 훈련자 단말은 상기 제1 레이저 이미지와 상기 제2 레이저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탄착점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KR1020170046025A 2017-04-10 2017-04-10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KR101938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25A KR101938257B1 (ko) 2017-04-10 2017-04-10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PCT/KR2017/012760 WO2018190484A1 (ko) 2017-04-10 2017-11-10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6025A KR101938257B1 (ko) 2017-04-10 2017-04-10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381A true KR20180114381A (ko) 2018-10-18
KR101938257B1 KR101938257B1 (ko) 2019-04-11

Family

ID=63793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025A KR101938257B1 (ko) 2017-04-10 2017-04-10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8257B1 (ko)
WO (1) WO2018190484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9679A (zh) * 2019-12-31 2020-05-19 广东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射击训练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75798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가상 저격훈련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75919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군경 가상훈련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0632B1 (ko) * 2023-03-24 2024-02-28 (주)뉴작 Xr컨트롤러가 부착된 실총기를 이용한 확장현실(xr) 기반의 초실감 전투 훈련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74517A (zh) * 2019-06-12 2019-09-24 中国地质大学(武汉) 一种基于高速工业相机的射击辅助训练房
CN111589099A (zh) * 2020-04-02 2020-08-2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激光感应系统及激光感应方法
CN111664741B (zh) * 2020-06-08 2023-01-06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种作战学院 一种用于射击训练的智能靶标系统的交互方法
CN111664742B (zh) * 2020-06-08 2023-01-06 中国人民解放军陆军特种作战学院 一种基于空气成像的智能靶标系统
CN114413681A (zh) * 2022-02-09 2022-04-29 翟晓峰 一种磁电步枪打靶系统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19A (ko) * 2009-11-20 2011-05-26 이지프로젝터서비스(주)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4633A (ko) * 2010-05-11 2011-11-17 옥철식 사격 게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81890A (ko) * 2012-01-10 2013-07-18 (주) 알디텍 매트형 이동 인식장치를 구비한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장치
KR101314179B1 (ko) 2011-07-08 2013-10-0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영상 사격 훈련 장치
KR20140081427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사격 명중률 향상을 위한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70045339A1 (en) * 2015-08-11 2017-02-16 Xing Zhao Laser Electronic Target System Using Non-Overlapping and Crossing Rectangular Laser Screen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0703B1 (ko) * 2014-06-30 2016-04-08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가상 사격 시뮬레이션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56019A (ko) * 2009-11-20 2011-05-26 이지프로젝터서비스(주)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10124633A (ko) * 2010-05-11 2011-11-17 옥철식 사격 게임 지원 시스템 및 방법
KR101314179B1 (ko) 2011-07-08 2013-10-02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영상 사격 훈련 장치
KR20130081890A (ko) * 2012-01-10 2013-07-18 (주) 알디텍 매트형 이동 인식장치를 구비한 스크린 사격 시뮬레이션 장치
KR20140081427A (ko) * 2012-12-21 2014-07-01 주식회사 도담시스템스 사격 명중률 향상을 위한 훈련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20170045339A1 (en) * 2015-08-11 2017-02-16 Xing Zhao Laser Electronic Target System Using Non-Overlapping and Crossing Rectangular Laser Screen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179679A (zh) * 2019-12-31 2020-05-19 广东虚拟现实科技有限公司 射击训练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KR20220075798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가상 저격훈련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20220075919A (ko) *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제이콥시스템 군경 가상훈련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2640632B1 (ko) * 2023-03-24 2024-02-28 (주)뉴작 Xr컨트롤러가 부착된 실총기를 이용한 확장현실(xr) 기반의 초실감 전투 훈련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0484A1 (ko) 2018-10-18
KR101938257B1 (ko) 2019-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257B1 (ko) 영상 사격 훈련 시스템
US11506468B2 (en) Universal firearm marksmanship system
US1168077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raining and safety for firearm use
US102342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10584940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JP4027436B2 (ja) 射手を仮想空間に取り込むミサイル発射シミュレータ
US102742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US1003093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CN100542645C (zh) 图像生成装置和图像显示方法
US1101590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rksmanship training
KR101366444B1 (ko) 실시간 상호 연동 가능한 가상 사격 시스템
US20200370867A1 (en) Firearm Marksmanship System with Chamber Insert
KR101921249B1 (ko) 실탄사격 시뮬레이션 게임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653735B1 (ko) 모의수류탄, 모의크레모어 및 이벤트 컨트롤용 키패드부를 이용한 모의전투훈련 시스템
US202201786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hooting simulation and training
KR20140112117A (ko) 무선 실내 사격 시뮬레이션 시스템
KR101706170B1 (ko) 서바이벌 스마트 활쏘기 게임 시스템
KR100581008B1 (ko) 모의 사격 무기체계 평가 시뮬레이터
KR102587927B1 (ko) 사격분석방법 및 그 장치
KR20210096981A (ko) 모션 트래킹이 가능한 체감형 홀로그램 영상사격장치
KR20180043131A (ko) 사격 게임 시스템
KR20180131109A (ko) 게임 컨트롤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