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927A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80113927A KR20180113927A KR1020180038994A KR20180038994A KR20180113927A KR 20180113927 A KR20180113927 A KR 20180113927A KR 1020180038994 A KR1020180038994 A KR 1020180038994A KR 20180038994 A KR20180038994 A KR 20180038994A KR 20180113927 A KR20180113927 A KR 201801139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connector
- longitudinal direction
- metal fitting
- engageab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58—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 e.g. pivoting, camming or translating parallel to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과제] 단자의 접촉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해결 수단] 리셉터클 커넥터(10)에는 슬라이더(30) 및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이 제공된다. 슬라이더(30)는 슬라이더(30)가 플러그 커넥터(60)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플러그 커넥터(6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더(30)가 플러그 커넥터(60)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분리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후크(43)를 갖고, 슬라이더(30)는 후크(43)와 결합하는 제1 결합가능 부분(33)을 갖는다.
[해결 수단] 리셉터클 커넥터(10)에는 슬라이더(30) 및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이 제공된다. 슬라이더(30)는 슬라이더(30)가 플러그 커넥터(60)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플러그 커넥터(60)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더(30)가 플러그 커넥터(60)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분리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후크(43)를 갖고, 슬라이더(30)는 후크(43)와 결합하는 제1 결합가능 부분(33)을 갖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로를 향하는 2개의 회로 기판들을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가 사용된다(예를 들어, 아래의 특허 문헌 1 내지 4 참조).
2개의 회로 기판들은 하나의 회로 기판에 부착된 커넥터와 다른 회로 기판에 부착된 커넥터를 상호 정합시킴으로써 연결된다. 전자 디바이스의 소형화 및 박형화와 관련하여,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의 높이의 감소가 진행되고 있다.
[종래 기술 문헌]
[특허 문헌]
[특허 문헌 1] JP2015-60764A
커넥터의 높이가 감소됨에 따라, 2개의 커넥터들의 단자들 사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2개의 커넥터들의 단자들의 접촉 안정성은 더 중요한 사안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높이가 감소됨에 따라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는 경우에도 단자의 접촉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커넥터 조립체의 일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방향(short direction)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1 벽 부분들, 2개의 제1 벽 부분들의 단부 부분들에 위치되고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2 벽 부분들, 및 제1 벽 부분들 및 제2 벽 부분들의 내부 측에 형성된 리세스형 부분을 갖는 제1 하우징이 제공되고,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제1 하우징에 의해 보유된 복수의 제1 단자들을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복수의 제1 단자들에 연결하기 위한 복수의 제2 단자들, 및 복수의 제2 단자들을 보유하는 제2 하우징을 갖고, 제1 하우징의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측에 정합되는 제2 커넥터를 갖는다. 제1 커넥터는 2개의 제2 벽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제2 벽 부분에 부착된 제1 금속 피팅(fitting)을 포함한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더가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측에 정합된 제2 커넥터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제2 커넥터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더가 제2 커넥터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분리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제1 금속 피팅은 결합 부분을 갖고, 슬라이더는 결합 부분이 결합되는 제1 결합가능 부분을 갖는다. 결합 부분 및 제1 결합가능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슬라이더의 이동은 결합 부분과 제1 결합가능 부분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한되고,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활주는 전술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허용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커넥터의 일례는,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1 벽 부분들, 2개의 제1 벽 부분들의 단부 부분들에 위치되고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2 벽 부분들, 및 제1 벽 부분들 및 제2 벽 부분들의 내부 측에 형성된 리세스형 부분을 갖는 하우징; 종방향으로 정렬되고 하우징에 의해 보유되는 복수의 단자들; 2개의 제2 벽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제2 벽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금속 피팅을 갖는다. 슬라이더는 슬라이더가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측에 정합된 정합 커넥터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정합 커넥터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슬라이더가 정합 커넥터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분리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금속 피팅은 결합 부분을 갖고, 슬라이더는 결합 부분이 결합되는 제1 결합가능 부분을 갖는다. 결합 부분 및 제1 결합가능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슬라이더의 이동은 결합 부분과 제1 결합가능 부분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한되고,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활주는 전술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허용된다.
도 1a는 제1 커넥터(리셉터클 커넥터)의 상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커넥터의 하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제1 커넥터의 상부 표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d는 제1 커넥터의 측부 표면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e는 제1 커넥터의 하부 표면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a는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상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제2 커넥터의 하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2 커넥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상호 분리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커넥터 조립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커넥터 조립체의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커넥터 조립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선 VIb - V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선 VIb - V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커넥터 조립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선 VIIb - VI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선 VIIb - VI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제1 커넥터의 하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c는 제1 커넥터의 상부 표면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d는 제1 커넥터의 측부 표면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e는 제1 커넥터의 하부 표면을 도시하는 저면도이다.
도 2a는 제2 커넥터(플러그 커넥터)의 상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b는 제2 커넥터의 하부 표면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a는 제1 커넥터가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제2 커넥터의 분해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커넥터와 제2 커넥터가 상호 분리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a는 커넥터 조립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커넥터 조립체의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a는 커넥터 조립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의 선 VIb - V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c는 도 6a의 선 VIb - V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a는 커넥터 조립체가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의 선 VIIb - VI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해제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c는 도 7a의 선 VIIb - VIIb를 따르는 커넥터의 잠금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서 제안되는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가 아래에서 설명된다.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는 복수의 전기 와이어들 또는 회로 기판들이 연결되는 커넥터, 및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회로 기판은, 예를 들어, 전자 장비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인쇄 배선 기판(인쇄 회로 기판), 가요성 평탄 케이블(가요성 플랫 케이블), 가요성 인쇄 배선 기판(가요성 인쇄 회로) 등이지만, 임의의 유형의 회로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추가로, 전기 와이어는 단일 코어 전기 와이어 또는 동축 전기 와이어와 같은 임의의 유형의 전기 와이어일 수 있다. 복수의 전기 와이어들이 일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하나의 회로 기판에 연결된 커넥터 및 다른 회로 기판에 연결된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커넥터 조립체의 일례로서 설명된다. 2개의 커넥터들을 정합시킴으로써, 2개의 회로 기판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하기 설명에서, 도 1a의 Z1 및 Z2가 나타내는 방향은 상향 및 하향으로 지칭되고, 도 1a의 Y1 - Y2가 나타내는 방향은 "종방향"으로 지칭되고, 도 1a의 X1 - X2가 나타내는 방향은 "단방향"으로 지칭된다. 이들 방향은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넥터들, 그의 부재들, 및 부분들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 및 상대적인 작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즉, 이들 방향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라, 상대적인 것이다. 그러므로, 이들 방향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사용할 때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의 배향을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방향들은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의 배향의 변경에 따라서 변경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2a 및 도 3b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제2 커넥터(60)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서, 제2 커넥터(60)는 제1 커넥터(10)와 정합되는 면이 상부 측에 있는 배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하기 설명에서, 제2 커넥터(60)와 제1 커넥터(10)가 서로 정합된 상태에서, 제2 커넥터(60)는 제1 커넥터(10)에 정합되는 면이 하부 측에 있는 배향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도 2a 또는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되는 제2 커넥터(60)의 각각의 부분들의 위치 관계, 및 커넥터들(10, 60)의 정합된 상태에서 설명되는 제2 커넥터(60)의 각각의 부분들의 위치 관계는 수직 방향으로 역전되어 있다.
[제1 커넥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조립체(1)는 제1 커넥터로서 리셉터클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로서 플러그 커넥터(60)를 포함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장착된 회로 기판(미도시)을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단자(61)(도 2a 참조)에 연결하기 위한 제1 단자(11)를 갖는다. 추가로,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제1 단자(11)를 보유하는 제1 하우징(20)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종방향으로 정렬된 다수의 제1 단자들(11)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제1 하우징(20)을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금속 피팅으로서 제1 고정 금속 피팅(40), 및 제1 하우징(20) 상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된 슬라이더(30)를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하우징(20)은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 측들에 위치된 2개의 제2 벽 부분들(22)을 갖는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슬라이더(30) 및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2개의 제2 벽 부분들(22)의 각각에 장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본 예와 달리, 슬라이더(30) 및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제2 벽 부분들(22) 중 단지 하나의 벽 부분에 장착될 수 있다.
각각의 제1 단자(11)는, 예를 들어, 금속 판을 펀칭(punching) 및 벤딩(bending)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다. 제1 단자(11)는 회로 기판에 연결된 기판 연결 부분(11a)(도 1b 참조), 제1 하우징(20)과 결합되는 고정 부분(11b)(도 1c 및 도 1d 참조), 및 탄성 변형가능하고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단자(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분(11c)을 포함한다. 연결 부분(11c)은 상향으로 개방된 실질적으로 U자인 형상을 갖고,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단자(61)가 그의 내측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고정 부분(11b)이 제1 하우징(20)과 결합된다"는 어구는 고정 부분(11b)이 제1 하우징(20)의 일부에 의해 걸려서 위치가 제1 하우징(20)에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1 하우징(20)은 합성 수지와 같은 절연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인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1 하우징(20)은 바닥 벽의 하부 표면(20a)(도 1b) 및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한 쌍의 제1 벽 부분들(21)(도 1a에 도시됨)을 갖는다. 추가로, 제1 하우징(20)은 제1 벽 부분(21)의 양 단부 부분들에 각각 위치되고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한 쌍의 제2 벽 부분들(22)(도 3a 참조)을 포함한다. 제2 벽 부분들(22)은 2개의 제1 벽 부분들(21)의 단부 부분들에 연결되고, 제1 벽 부분들(21)의 하부 단부들은 하부 표면(20a)에 연결된다. 제1 하우징(20)은 플러그 커넥터(60)가 내부에 정합되는 리세스형 부분(E1)을 하부 표면(20a), 2개의 제1 벽 부분들(21), 및 2개의 제2 벽 부분들(22) 내측에 갖는다. 제1 하우징(20)은 하부 표면(20a)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되고 리세스(E1)의 중심에서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중심 돌출부(23)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1 단자들(11)은 제1 벽 부분(21)에 의해 보유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복수의 제1 단자들(11)은 하나의 제1 벽 부분(21)과 중심 돌출부(23) 사이에, 그리고 다른 제1 벽 부분(21)과 중심 돌출부(23) 사이에 배열된다. 종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홈들이 제1 벽 부분(21)의 내부 벽 면 및 중심 돌출부(23)의 측벽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자(11)의 연결 부분(11c)은 제1 벽 부분(21)에 형성된 홈 내에 그리고 중심 돌출부(23)의 홈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단자(11)의 기판 연결 부분(11a)은 제1 벽 부분(21) 아래에 위치되고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외부로 연장된다(도 1b 참조). 제1 단자(11)의 고정 부분(11b)은 기판 연결 부분(11a)으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되고, 그의 상부 단부(11d)는 연결 부분(11c)에 연결된다(도 1a 참조). 고정 부분(11b)은 제1 벽 부분(21)에 의해 보유된다.
제1 하우징(20)의 형상 및 제1 단자(11)의 형상은 본 발명의 커넥터 조립체(1)의 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20)이 중심 돌출부(23)를 갖지 않는다면, 제1 단자(11)는 제1 벽 부분(21)에 의해 보유될 수 있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예를 들어, 금속 판으로부터 펀칭 및 벤딩을 수행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에 장착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상측 판 부분(41), 및 상측 판 부분(41)의 에지로부터 커넥터의 단방향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장된 결합 메커니즘 부분으로서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을 포함한다. 더욱이,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은 슬라이더(30)와 탄성 접촉하는 후크(결합 부분)(43), 및 제1 하우징(20)과 결합하는 결합 부분(4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 부분(42)이 제1 하우징(20)과 결합된다"는 어구는 결합 부분(42)의 일부가 제1 하우징(20)에 의해 걸리고 결합 부분(42)이 제1 하우징(20)에 부착된 상태(다시 말하면, 고정된 상태)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추가로,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은 회로 기판에 연결된 고정 부분들(42d, 42e)(도 1b 참조), 및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단자(61) 또는 제3 단자(62)와 전기 접촉 상태에 있는 단자 부분(45a)을 갖는다.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이 고정 부분들(42d, 42e)을 포함하는 경우에, 리셉터클 커넥터(10)는 회로 기판에 단단히 부착될 수 있다. 추가로,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이 단자 부분(45a)을 포함하는 경우, 제1 고정 금속 피팅(40) 및 플러그 커넥터(60)의 단자들(61, 62)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커넥터의 크기 및 구성요소들의 개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슬라이더]
슬라이더(30)는 금속 판을 펀칭 및 벤딩함으로써 형성된 부재이다. 슬라이더(30)는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에 부착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된 평판 부분(31) 및 조작자가 슬라이더(30)를 삽입 및 제거하기 위한 조작 부분(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후크(43)와 결합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평판 부분(31)의 양 단부 에지들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측방향으로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평판 부분(31)의 양 단부 에지들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도 6c 참조). 제1 결합가능 부분(33) 및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예를 들어, 평판 부분(31)의 하나의 측부 에지에 대해 종방향으로 배치되고, 탠덤(tandem)으로 배치될 수 있다. 평판 부분(31)에는 잠금 부분(35)이 그의 팁(tip)에서 제2 커넥터(60)를 잠그기 위하여 제공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의 평판 부분(31)은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의 상부 표면에 반대편인 하부 표면, 및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상측 판 부분(41)의 하부 표면에 반대편이도록 배치될 수 있는 상부 표면을 갖는다. 슬라이더(30)는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활주가능하게 배치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슬라이더(30)는 판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더(30)는 평판 부분(31)을 갖는다. 평판 부분(31)은 두께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높이 방향(Z1 - Z2 방향)이도록 배치된다. 슬라이더(30)의 형상 때문에, 잠금 부분(35)의 폭은 증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제2 커넥터인 플러그 커넥터(60)의 이동을 더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커넥터의 종방향을 따르는 중심선(C1)(도 5a 참조)을 중심으로 하는 제2 커넥터(60)의 이동이 억제될 수 있다. 이러한 사양에서, 판형 슬라이더는 평판 부분(31)의 폭(W1)(도 6c 참조)이 두께(H1)(도 7b 참조)보다 더 큰 슬라이더를 지칭한다.
슬라이더(30)는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에 의해 지지되고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30)는 잠금 위치(도 7c 참조)와 잠금 해제 위치(도 7b 참조) 사이에서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슬라이더(30)는 제2 벽 부분(22)의 상부 측 상에 배치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벽 부분(22)은 그의 상부 표면 상에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안내 벽 부분들(22a)을 갖는다. 안내 벽 부분(22a)은 단부 부분에 단방향으로 배치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종방향으로 연장된다. 슬라이더(30)는 2개의 안내 벽 부분들(22a) 사이에 배치된다. 슬라이더(30)의 에지가 안내 벽 부분(22a)과 접촉할 수 있거나 안내 벽 부분(22a)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하우징(20)의 리세스(E1) 내측에 정합되는 플러그 커넥터(60)를 잠근다. 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더(30)가 플러그 커넥터(60)를 잠근다"는 어구는 슬라이더(30)의 일부가 플러그 커넥터(60)의 일부 위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플러그 커넥터(60)가 플러그 커넥터(60)의 일부에 대해 연결해제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더(30)의 일부가 위치된다. 슬라이더(30)는 플러그 커넥터(60)와 접촉할 수 있거나 플러그 커넥터(60)와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슬라이더(30)는 팁(종방향으로 내부로 향하는 단부)에서 잠금 부분(35)을 갖는다(본 명세서에서, "종방향으로 내부로 향하는 방향"은,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중심(C2)을 향하는 방향이다). 플러그 커넥터(60)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의 단부 부분에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을 갖는다.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부분(35)은 제2 고정 금속 피팅(80)과 결합하여 플러그 커넥터(60)를 잠근다. 즉, 잠금 부분(35)은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60)의 분리를 제한한다. "잠금 부분(35)이 제2 고정 금속 피팅(80)과 결합된다"는 어구는 잠금 부분(35)이 고정 금속 피팅(80)의 일부 위에 위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면, 잠금 부분(35)은 플러그 커넥터(60)가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의 일부에 대해 연결해제되는 방향으로 위치된다. 잠금 부분(35)은 제2 고정 금속 피팅(80)과 접촉할 수 있거나 제2 고정 금속 피팅(80)과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60)의 예에서,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은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외향으로 돌출된 판 형상의 오버행(overhang) 부분(81a)(도 2b 참조)을 갖는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 부분(35)은 오버행 부분(81a) 위에 위치되고, 플러그 커넥터(60)의 상향 이동(플러그 커넥터(60)의 결합해제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어된다. 잠금 부분(35)과 플러그 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은 오버행 부분(81a)을 사용하는 경우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플러그 커넥터(60)의 하우징(70)은 돌출 부분 또는 잠금 부분(35)이 정합되는 리세스형 부분을 가질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제1 하우징(20)의 리세스(E1) 내측에 배치되는 플러그 커넥터(60)로부터 분리된다. 커넥터 조립체(1)의 예에서, 잠금 부분(35)은 오버행 부분(81a) 위의 공간(S1)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로 후퇴된다. 결과적으로, 플러그 커넥터(60)는 잠금해제된다. 즉, 잠금 부분(35)은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의 플러그 커넥터(60)의 분리를 허용한다.
[제1 결합 부분 및 후크]
전술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제1 결합가능 부분(33)을 가질 수 있다. 더욱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후크(43)를 가질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43)는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결합하고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의 슬라이더(30)의 이동을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크(43)가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결합한다"는 것은 후크(43)의 일부가 제1 결합가능 부분(33)에 대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종방향으로 외향으로 위치되고, 슬라이더(30)가 종방향으로 외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크(43)의 일부가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슬라이더(30)가 중심을 향하여 종방향으로 가장 깊이 삽입되는 경우, 후크(43)가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반드시 접촉하지는 않는다. 후크(43)는 탄성 변형가능하고, 슬라이더(30)는 후크(43)의 탄성 변형에 의해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러한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해, 슬라이더(30)를 잠금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60)의 이동은 억제되고,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후크(43)로 슬라이더(30)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부주의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슬라이더(30)의 에지(31a)에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평판 부분(31)은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에지들(31a)을 갖고,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2개의 에지들(31a)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에지(31a)로부터 측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부분일 수 있다. 더욱이, 볼록 부분의 에지는 측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된 경사 부분 및 측방향으로 내향으로 연장된 경사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3)는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더(30) 외측에 위치될 수 있고 평판 부분(31)의 에지(31a)를 향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커넥터의 단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후크들(43)을 포함한다. 슬라이더(30)는 2개의 후크들(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2개의 후크들(43)은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슬라이더(30)를 개재할 수 있다. 각각의 후크(43)는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탄성 변형가능하다. 더 구체적으로, 후크들(43)은 베이스 부분(43b) 및 베이스 부분(43b)으로부터 연장된 판 스프링형 연장 부분(43c)을 갖는다. 연장 부분(43c)은 베이스 부분(43b)으로부터 슬라이더(30)의 에지(31a)를 향하여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연장 부분(43c)은 베이스 부분(43b)으로부터 슬라이더(30)의 에지(31a)를 향하여 그리고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내부 측을 향하여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후크(43)는 베이스 부분(43b)을 중심으로 연장 부분(43c)이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가능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연장 부분(43c)의 단부 부분)은 슬라이더(30)의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접촉하고, 슬라이더(30)의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의 활주를 규제한다. 더 구체적으로,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종방향으로 연장 부분(43c) 내측에 위치된다.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은 제1 결합가능 부분(33)의 종방향으로의 외부 에지(33a)와 접촉한다.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이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접촉하기 때문에,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의 슬라이더(30)의 활주는 효율적으로 제한될 수 있다.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이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반드시 접촉할 필요는 없다. 슬라이더(30)가 잠금해제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고자 하는 경우,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은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접촉할 수 있다.
후크(43)가 탄성 변형되고 연장 부분(43c)이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이동하는 경우,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의 슬라이더(30)의 활주가 허용된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이 접촉하는 제1 결합가능 부분(33)의 에지(33a)는 경사져 있을 수 있다. 특히, 에지(33a)는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내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외향 및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슬라이더(30)를 잠금해제 위치를 향하여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은 에지(33a)를 따라서 이동하고, 후크(43)는 자연적으로 탄성 변형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은 종방향으로 슬라이더(30)의 제1 결합가능 부분(33) 내측에 위치되고,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연장 부분(43c)과 접촉하게 된다. 후크(43)가 탄성 변형되고 후크(43)의 연장 부분(43c)이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외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슬라이더(30)는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활주하는 것이 허용된다. 슬라이더(30)를 잠금 위치를 향하여 미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연장 부분(43c)은 제1 결합가능 부분(33)에 의해 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밀리고, 후크(43)의 탄성 변형이 일어난다. 제1 결합가능 부분(33)의 에지(33b)(종방향으로 중심(C2)에 있는 에지)가 또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후크(43)의 연장 부분(43c)은 제1 결합가능 부분(33)의 에지(33b)와 접촉할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2개의 연장 부분들(43c)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슬라이더(30)의 덜컹거림이 억제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후크(43)의 연장 부분(43c)은 베이스 부분(43b)으로부터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내부를 향하여 대각선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후크(43)에 의해, 잠금해제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은 잠금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더(30)를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힘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슬라이더(30)의 서로 반대편인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후크들(43)을 갖는다. 그러므로, 예를 들어, 커넥터의 측방향으로의 슬라이더(30)의 위치는 후크들(43)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제1 하우징(20)에 고정된 결합 부분(42)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분(42)은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의 측부 표면(커넥터의 측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는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후크(43)의 베이스 부분(43b)은 결합 부분(42)에 연결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결합 부분(42)은 제2 벽 부분(22)의 측부 표면을 따라서 배치된 벽 형상을 갖는다. 후크(43)의 베이스 부분(43b)은 결합 부분(42)의 단부 부분(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외부 측 상의 단부 부분)에 연결될 수 있다. 후크(43)는 베이스 부분(43b)에서 벤딩될 수 있고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내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 부분(43b)과 결합 부분(42) 사이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결합 부분(42)은 후크(43)가 수용하는 힘으로 인한 베이스 부분(43b)의 위치의 이동을 억제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3a 및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42a)가 결합 부분(42)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제2 벽 부분(22)은 리세스(42a) 내로 정합되는 돌출 부분(22d)을 가질 수 있다. 클로(claw)가 리세스(42a)의 내부 에지에 형성되고, 이러한 클로는 돌출 부분(22d)에 의해 걸릴 수 있다. 결합 부분(42)과 제2 벽 부분(22) 사이의 고정 구조는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금속 피팅 부분(40S)은 회로 기판에 연결된 고정 부분들(42d, 42e)을 가질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부분(42)의 하부 에지는 고정 부분들(42d, 42e)로서 기능할 수 있다. 고정 부분들(42d, 42e)은 제1 하우징(20)의 하부 표면(20a) 아래에 위치된다. 결합 부분(42)은 리세스(42a)의 서로 반대편인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고정 부분들(42d, 42e)을 갖는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베이스 부분(43b)의 위치가 후크(43)에 인가된 힘으로 인해 이동하는 것을 더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제1 결합가능 부분(33) 및 후크(43)의 구조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후크(43)는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상측 판 부분(41)에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슬라이더(30)의 평판 부분(31)으로부터 상향으로 돌출된 볼록 부분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후크(43)의 단부 부분(43a)과 접촉할 필요가 없다. 예를 들어, 후크(43)는 연장 부분(43c)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더 내향으로 그리고 측방향으로 더 외향으로 연장된 연장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추가로, 제1 결합가능 부분(33)은 연장 부분과 접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베이스 부분(43b)은 연장 부분(43c)보다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내부 측으로 더 멀리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연장 부분(43c)은 베이스 부분(43b)으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그리고 슬라이더(30)의 에지(31a)를 향하여 대각선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결합가능 부분 및 후크]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제2 결합가능 부분(34)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3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43)는 제2 결합가능 부분(34)과 결합하고, 슬라이더(30)의 잠금해제 위치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는 슬라이더(30)의 추가 이동을 제어한다. 즉,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슬라이더(30)가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연결해제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명세서에서, "후크(43)가 제2 결합가능 부분(34)과 결합된다"는 것은 후크(43)의 일부가 제2 결합가능 부분(34)에 대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종방향으로 외부 측에 위치되고, 슬라이더(30)가 종방향으로 외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크(43)의 일부가 제2 결합가능 부분(34)과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슬라이더(30)가 종방향으로 최외부 위치에 위치된 경우, 후크(43)가 제2 결합가능 부분(34)과 접촉할 필요는 없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제1 결합가능 부분(33)과 유사하게,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슬라이더(30)의 에지(31a)(평판 부분(31))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2개의 에지들(31a)의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측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부분일 수 있다. 볼록 부분은 측방향으로 외향으로 연장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종방향으로 제1 결합가능 부분(33) 내측에 위치된다. 다시 말하면, 제2 결합가능 부분(34)은 제1 결합가능 부분(33)보다 슬라이더(30)의 원위 단부에서 잠금 부분(35)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슬라이더(3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은 제2 결합가능 부분(34)과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 슬라이더(3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후크(43)의 연장 부분(43c)은 종방향으로 제2 결합가능 부분(34) 외측에 위치된다. 후크(43)의 단부 부분(43a)은 제2 결합가능 부분(34)의 에지(34a)(종방향으로의 외부 에지)와 접촉한다.
제2 결합가능 부분(34)의 돌출 부분의 돌출 양(측방향으로의 길이)은 제1 결합가능 부분(33)의 돌출 부분의 돌출 양보다 더 클 수 있다. 그에 의해, 제2 결합가능 부분(34)과 후크(43) 사이의 결합을 더 신뢰성 있게 유지할 수 있다.
추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결합가능 부분(34)의 위치에서의 슬라이더(30)의 폭(W2)은 제1 결합가능 부분(33)의 위치에서의 슬라이더(30)의 폭(W1)보다 더 클 수 있다. 제2 결합가능 부분(34)의 위치에서의 슬라이더(30)의 폭(W2)은 슬라이더(30)의 잠금 부분(35)의 폭(W5)보다 더 클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상측 판 부분(41)은 슬라이더(30) 위에 위치된다.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동안 플러그 커넥터(60)를 상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경우, 슬라이더(30)는 또한 위로 당겨질 수 있고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상측 판 부분(41)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결합가능 부분(34)의 폭(W2)을 증가시킴으로써 슬라이더(30)가 상측 판 부분(41)과 접촉하는 경우 상측 판 부분(41)의 벤딩을 억제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더(30)의 상향 이동은 상측 판 부분(41)에 의해 더 신뢰성 있게 억제될 수 있고, 슬라이더(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로부터 연결해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슬라이더(30)와 플러그 커넥터(60) 사이의 결합은 더 신뢰성 있게 유지될 수 있다.
[잠금되는 부분 및 잠금 구멍]
추가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잠금되는 부분(36)을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3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되는 부분(36)은 제1 하우징(20)과 접촉한다. 잠금되는 부분(36)은 슬라이더(30)가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외부를 향하여 외향으로 더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다시 말하면, 제2 결합가능 부분(34)과 유사하게, 잠금되는 부분(36)은 또한 슬라이더(30)가 커넥터(10)로부터 연결해제되는 것을 제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되는 부분(36)은 평판 부분(31)에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평판 부분(31)의 일부(슬라이더(30)의 예에서, 평판 부분(31)의 중심 부분)가 하향으로 벤딩되고, 그의 일부가 잠금되는 부분(36)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상향으로 개방된 잠금 구멍(22b)이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에 형성될 수 있다. 잠금되는 부분(36)은 잠금 구멍(22b) 내에 놓이고 슬라이더(30)가 활주함에 따라 잠금 구멍(22b) 내에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슬라이더(30)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경우, 잠금되는 부분(36)은 잠금 구멍(22b)의 내부 표면(종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된 표면)과 접촉하고 종방향으로의 슬라이더(30)의 이동을 제한한다.
잠금되는 부분(36)의 위치 및 형상은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잠금되는 부분(36)은 평판 부분(31)의 에지(31a)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벽 부분(22)에는 잠금되는 부분(36)에 대응하는 위치에 잠금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잠금되는 부분(36)은 평판 부분(31)에 형성된 구멍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구멍 내로 정합되는 볼록 부분이 제2 벽 부분(22)의 상부 표면 측 상의 잠금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슬라이더(30)는 잠금되는 부분(36)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조작 부분]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0)는 조작 부분(32)을 가질 수 있다. 조작 부분(32)은 평판 부분(31)의 단부 부분(종방향으로의 외부 단부 부분)에 형성된다. 조작 부분(32)은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도 7b 참조)에 대해 종방향으로 외측에 위치된다. 결과적으로, 조작자는 조작 부분(32)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슬라이더(30)를 활주시킬 수 있다. 조작 부분(32)은 하향 연장 부분(32a)(도 3a 참조)을 가질 수 있다(이하, 이러한 부분(32a)은 "지지 부분"으로 지칭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분(32a)은 제2 벽 부분(22) 상에 배치된 평판 부분(31)보다 더 낮게 위치될 수 있다. 조작 부분(32)의 이러한 형상에 의해, 조작 부분(32)을 아래로 밀기 위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지지 부분(32a)은 리셉터클 커넥터(10)가 장착된 회로 기판과 접촉하고, 조작 부분(32)은 지지될 수 있다. 지지 부분(32a)의 하부 단부(32b)는 제1 하우징(20)의 하부 표면(20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본 예와 달리, 지지 부분(32a)의 하부 단부(32b)의 위치는 제1 하우징(20)의 하부 표면(20a)보다 더 높을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조작 부분(32)은 평판 부분(31)에 대해 상향으로 벤딩된다. 조작 부분(32)은 커넥터의 측방향으로의 조작 부분(32)의 양 단부 부분들에 지지 부분들(32a)을 갖는다. 조작 부분(32)의 형상은 슬라이더(30)의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조작 부분(32)은 평판 부분(31)에 대해 하향으로 벤딩될 수 있고 전술된 지지 부분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작 부분(32)은 슬라이더(30)의 측방향으로의 평판 부분(31)의 외부 단부에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조작 부분(32)이 지지 부분(32a)을 반드시 갖지는 않는다.
[제1 고정 금속 피팅]
전술된 바와 같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2개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들(40S)을 가질 수 있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들(40S)은 슬라이더(30)를 개재하면서 횡방향으로 상호 반대편인 측부들 상에 놓인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2개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들(40S)을 연결하는 부분을 가질 수 있다. 그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위한 부분들의 개수는 감소될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전술된 상측 판 부분(41)을 갖는다. 상측 판 부분(41)은 2개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들(40S) 사이에 놓이고, 2개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들을 연결한다. 특히, 각각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은 결합 부분(42)을 가질 수 있다. 상측 판 부분(41)은 2개의 결합 부분들(42)의 상부 에지들 사이에 위치될 수 있고, 2개의 결합 부분들(42)을 연결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판 부분(41)은 슬라이더(30)의 상부 측 상에 놓일 수 있다. 슬라이더(30)는 제1 하우징(20)의 제2 벽 부분(22)의 상부 표면과 상측 판 부분(41)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예를 들어, 슬라이더(30)를 제2 벽 부분(22) 내에 삽입하기 위하여 관통 구멍이 형성된 구조와 비교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조가 단순화될 수 있고 단축될 수 있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벽 부분(22)의 상부 표면과 상측 판 부분(41)의 하부 표면 사이의 간극(gap)은 슬라이더(30)의 두께에 실질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슬라이더(30)의 이동은 상측 판 부분(41)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슬라이더(30)의 상향 또는 하향으로의 기울기는 억제될 수 있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구성은,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0)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2개의 금속 피팅 측부 부분들(40S)이 상측 판 부분(41)을 통과함으로써 연결될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경우에,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슬라이더(30)를 개재하면서 서로 반대편인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제1 고정 금속 피팅들(40)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후크(43) 및 하나의 결합 부분(42)이 제1 고정 금속 피팅들(40)의 각각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제1 고정 금속 피팅들(40)의 각각의 상측 판 부분(41)은 슬라이더(30)의 상부 측의 단지 일 부분만을 덮을 수 있거나,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과는 상이한 형태를 갖는 상측 판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측 판 부분(41)은 단지 슬라이더(30)의 에지(31a) 또는 결합가능 부분들(33, 34)의 상부 측 상에 놓이고, 반드시 슬라이더(30)의 중심 부분의 상부 측 상에 놓이지는 않는다.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은 단자 부분(45a), 안내 부분(45b), 및 보유된 부분(45c)을 가질 수 있다. 도 1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 피팅 측부 부분(40S)은 또한 아암 부분(45d)을 가질 수 있다. 아암 부분(45d)은 제1 벽 부분(21)의 외부를 따라서 배치되고, 결합 부분(42)으로부터 종방향으로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아암 부분(45d)은 횡방향으로 커넥터의 외부로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가능할 수 있다. 단자 부분(45a), 안내 부분(45b), 및 보유된 부분(45c) 모두는 아암 부분(45d)으로부터 횡방향으로 내부를 향하여 연장되고, 방향은 제1 하우징(20)의 리세스형 부분(E1)의 내부를 향하여 위치된다("횡방향으로 내부를 향하는" 방향은 횡방향으로 중심선(C1)을 향하는 방향을 지칭한다).
단자 부분(45a)은 아암 부분(45d)으로부터 제1 벽 부분(21)의 내부로 연장되고, 하부 측으로 만곡된다. 2개의 커넥터들(10, 60)이 상호잠금 상태에 있는 경우, 단자 부분(45a)은 플러그 커넥터(60)의 단자(62)에 연결된다(도 3b 참조). 단자 부분(45a)은 탄성 변형가능하고, 탄성력에 의해 단자(62)에 연결된다.
안내 부분(45b)은 아암 부분(45d)으로부터 하향 경사 방향으로 제1 벽 부분(21)의 내부로 연장된다. 2개의 커넥터들(10, 60)이 서로 정합되는 공정에서, 안내 부분(45b)은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고정 금속 피팅(80)(아래에서 설명됨)에 대응하고, 플러그 커넥터(60)를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적합한 위치로 안내한다.
보유된 부분(45c)은 아암 부분(45d)으로부터 제1 벽 부분(21)의 내부로 연장된다. 보유된 부분(45c)은 제1 벽 부분(21)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오목 부분(21c)(도 3a 참조)과 정합하고, 오목 부분(21c)에 고정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를 위한 예에서, 단자 부분(45a), 안내 부분(45b), 및 보유된 부분(45c)은 아암 부분(45d)의 전방 단부로부터 순서대로 배열된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구성은,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0)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이 아암 부분(45d), 단자 부분(45a), 안내 부분(45b), 또는 보유된 부분(45c)의 모두 또는 하나의 부분을 반드시 갖는 것은 아니다.
[제2 커넥터]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60)는 회로 기판(W)(도 4 참조)과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1 단자(11)를 연결하는 제2 단자(61), 및 제2 단자(61)를 보유하는 제2 하우징(70)을 갖는다. 추가로, 플러그 커넥터(60)는 또한 제2 하우징(70)을 회로 기판에 고정하는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을 가질 수 있다.
제2 단자들(61)의 각각은, 예를 들어, 금속 판으로부터 펀칭하는 공정 및 벤딩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자(61)는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기판 연결 부분(61a), 및 제2 하우징(70)에 결합되고 제1 단자(11)의 대략 U자 형상인 연결 부분(11c)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 부분(61b)을 갖는다. "연결 부분(61b)이 제2 하우징(70)에 결합된다"는 어구는 연결 부분(61b)이 제2 하우징(70)에 부착된다(제2 하우징(70)에 고정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플러그 커넥터(60)가 접지 단자로서 사용되는 제3 단자(62)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3 단자(62)는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탄성 변형가능 단자 부분(45a)에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70)은 합성 수지 등과 같은 절연 재료로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대략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제2 하우징(70)은 바닥 벽의 하부 표면(70a)(도 2b 참조)을 향하여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한 쌍의 제1 벽 부분들(71)을 갖는다. 추가로, 제2 하우징들(70)은 제1 벽 부분(71)의 양 단부 부분들 상에 놓이고,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한 쌍의 제2 벽 부분들(72)을 갖는다. 제2 하우징(70)은 바닥 벽의 하부 표면(70a) 상에 그리고 제1 벽 부분(71) 및 제2 벽 부분(72)의 내부에 오목 부분(E2)을 갖는다. 도 7b 및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70)은 커넥터들(10, 60)이 서로 정합된 경우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오목 부분(E1)의 내부와 정합한다. 그렇게 하는 경우, 제1 하우징(20)의 중심 돌출부(23)가 제2 하우징(70)의 오목 부분(E2)의 내부에 정합된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60)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제2 단자들(61)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단자들(61)이 2개의 제1 벽 부분들(71)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단자(61)의 연결 부분(61b)은 연결 부분(61b)의 하부 부분을 향하여 개방된 대략 U자인 형상을 갖고, 제1 벽 부분(71)은 내측에 놓이고, 제2 단자(61)는 제1 벽 부분(71)에 고정된다. 커넥터들(10, 60)이 서로 정합된 경우, 연결 부분(61b)은 제1 단자(11)의 연결 부분(11c)의 내부에 정합되고, 둘 모두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 단자(61)의 기판 연결 부분(61a)은 연결 부분(61b)의 하부 단부로부터 커넥터의 횡방향으로 외부로 연장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60)는 제3 단자(62)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제2 단자들(61)에 관련하여, 제3 단자(62)는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벽 부분(71)에 고정될 수 있다(도 2a 참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단자(62)는 하향으로 개방된 대략 U자 형상인 연결 부분(62a)을 가질 수 있다. 제1 벽 부분(71)은 연결 부분(62b)의 내부에 정합되고, 제3 단자(62)는 제1 벽 부분(71)에 고정된다. 커넥터들(10, 60)이 서로 정합된 경우, 연결 부분(62b)은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단자 부분(45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3 단자(62)의 기판 연결 부분(62a)은 연결 부분(62b)의 하부 단부로부터 커넥터의 횡방향으로 외부로 연장된다. 제2 단자(61) 및 제3 단자(62)가 본 발명에서와 같이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추가로, 제2 단자(61) 및 제3 단자(62)는 제1 벽 부분(71)의 외부로부터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제1 벽 부분(71)을 형성할 때 제1 벽 부분(7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벽 부분(71)에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60)는 제2 하우징(70)의 제2 벽 부분(72)에 장착된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60)의 예에서, 제2 고정 금속 피팅들(80)은 2개의 제2 벽 부분들(72)의 각각에 부착된다.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은, 예를 들어, 금속 판으로부터 펀칭하는 공정 및 벤딩하는 공정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다. 도 2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금속 피팅들(80)은 제2 벽 부분(72)의 상부 측 상에 배치된 상측 판 부분(81)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은 상측 판 부분(81)의 에지 부분으로부터 커넥터의 횡방향으로 하향으로 연장된 벽 부분(82)을 가질 수 있다.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은 커넥터의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벽 부분들(82)을 가질 수 있고, 제2 벽 부분(72)이 2개의 벽 부분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벽 부분(82)의 하부 에지는 플러그 커넥터(60)가 장착된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고정 부분(82a)으로서 기능한다.
추가로,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은 상측 판 부분(81)의 가장자리(종방향으로 내측의 가장자리)로부터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하향으로 연장된 결합 부분(83)을 가질 수 있다. 결합 부분(83)은 제2 벽 부분(82)에 결합되고,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을 제2 하우징(70)에 고정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결합 부분(83)이 제2 벽 부분(82)에 결합된다"는 것은 결합 부분(83)이 제2 하우징(70)의 일부에 걸리고 그러한 위치가 제2 하우징(70)에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다. 플러그 커넥터(60)의 예에서의 제2 고정 금속 피팅(80)에 관하여, 2개의 결합 부분들(83)에 대응하는 2개의 오목 부분들(72a)은 커넥터의 횡방향으로 분리되어 배치된 2개의 결합 부분들(83)을 갖는 제2 하우징(70)의 제2 벽 부분(72)에 형성된다. 결합 부분(83)은 오목 부분(72a)과 정합되고, 제2 벽 부분(72)에 결합된다. 특히, 2개의 결합 부분들(83)의 내부에 탭(83a)(도 3b 참조)이 형성되고, 탭(83a)은 오목 부분(72a)의 내부 표면에 걸린다. 제2 고정 금속 피팅(80)과 제2 하우징(70)의 고정 구조는 플러그 커넥터(60)의 예로 제한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은 상측 판 부분(81) 상에 오버행 부분(81a)을 가질 수 있다. 오버행 부분(81a)은 제2 벽 부분(72)의 외부 표면(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외부를 향하는 표면)보다 외부로 더 멀리 연장되고, 차양(eave) 형상이다. 그러므로, 플러그 커넥터(60)는 오버행 부분(81a)의 하부 부분 내에 공간(S1)을 갖는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들(10, 60)이 서로 정합되어 있는 동안 슬라이더(30)가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슬라이더(30)의 단부 부분(잠금 부분(35))은 공간(S1) 내에 배치되고, 오버행 부분(81a)은 잠금 부분(35)의 하부 측에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잠금 부분(35)은 플러그 커넥터(60)에 결합된다.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행 부분(81a)은 커넥터들(10, 60)이 서로 정합된 경우에 상향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그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60)는 리셉터클 커넥터에 적합한 위치로 안내될 수 있고, 오버행 부분(81a)의 단부 부분과 슬라이더(30) 사이의 거리가 감소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2개의 커넥터들(10, 60)이 서로 정합된 경우, 2개의 커넥터들(10, 60)의 상대 위치의 변화, 또는 다시 말해서, 플러그 커넥터(60)의 덜컹거림이 더 효율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조작 방법]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60)를 서로 피팅하기 위한 이동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가 회로 기판에 장착된 경우, 제1 단자(11)의 기판 연결 부분(11a)과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고정 부분들(42d, 42e)은 솔더(solder) 등에 의해 회로 기판의 연결 패드에 연결된다. 추가로, 플러그 커넥터(60)가 회로 기판(W)에 장착된 경우, 제2 단자(61)의 기판 연결 부분(61a), 제3 단자(62)의 기판 연결 부분(62a), 및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의 고정 부분(82a)은 솔더 등에 의해 회로 기판의 연결 패드 등에 장착된다.
조작자는 손가락 또는 공구를 사용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슬라이더(30)의 조작 부분(32)을 뽑아 당겨서, 슬라이더(30)를 잠금해제 위치에 놓는다(도 6b 및 도 7b 참조). 그에 의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후크(43)가 슬라이더(30)의 제2 결합가능 부분(34)에 결합되어, 종방향으로 외부로의 슬라이더(30)의 추가 이동이 제어된다. 조작자는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상부 표면인 정합 표면이 플러그 커넥터(60)의 상부 표면인 정합 표면을 향하게 한다. 그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1 벽 부분(21)과 중심 돌출부(23) 사이에 형성된 홈이 플러그 커넥터(60)의 제1 벽 부분(71)을 향한다. 조작자는 이러한 상태에 있는 동안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60)를 정합시킨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제1 단자(11)가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단자(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조작자는 슬라이더(30)의 조작 부분(32)을 손가락 또는 공구를 사용하여 종방향으로 내부로 가압한다. 다시 말하면, 조작자는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후크(43)를 슬라이더(30)의 제1 결합가능 부분(33)에 결합시키기 위하여 후크(43)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슬라이더(30)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의 상측 판 부분(81)의 오버행 부분(81a)이 슬라이더(30)의 잠금 부분(35)의 하부 측에 놓인다. 다시 말하면, 잠금 부분(35)은 오버행 부분(81a)의 상부 측 상의 공간(S1) 내에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60)는 잠금 위치로 변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60)가 충격, 조작자에 의한 오작동, 등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현상으로 인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추가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60)를 분리하는 경우, 조작자는 슬라이더(30)의 조작 부분(32)을 종방향으로 외부로 당긴다. 다시 말하면, 조작자는 후크(43)의 탄성력에 저항하면서 슬라이더(30)를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렇게 하는 경우에,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의 후크(43)는 슬라이더(30)의 제2 결합가능 부분(34)에 결합된다. 추가로, 슬라이더(30)의 잠금 부분(35)은 더 이상 플러그 커넥터(60)의 제2 고정 금속 피팅(80)의 오버행 부분(81a)을 향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잠금 부분(35)은 오버행 부분(81a)의 상부 측 상의 공간(S1)으로부터 커넥터의 종방향으로 외부로 당겨진다. 결과적으로,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60)의 잠금이 해제되고, 리셉터클 커넥터(10)와 플러그 커넥터(60)는 분리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0)는 제2 벽 부분(22)에 의해 지지되고,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제2 벽 부분(22)에 부착된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을 갖는다. 슬라이더(30)는, 슬라이더(30)가 오목 부분(E1)의 내부에 정합된 플러그 커넥터(60)를 잠그는 잠금 위치(도 6c 및 도 7c)와 슬라이더(30)가 플러그 커넥터(60)로부터 종방향으로 외부로 분리되고 플러그 커넥터(60)의 잠금이 해제된 잠금 해제 위치(도 6b 및 도 7b)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다.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후크(43)를 갖고, 슬라이더(30)는 후크(43)와 결합하는 제1 결합가능 부분(33)을 갖는다. 후크(43)는 탄성 변형가능하다. 슬라이더(30)는 후크(43)와 제1 결합가능 부분(33) 사이의 결합에 의해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의 이동을 제어하고,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의 활주는 후크(43)의 탄성 변형에 의해 허용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0)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10)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60)의 이동은 억제될 수 있고, 전기적 연결의 안정성은 슬라이더(30)를 잠금 위치에 놓음으로써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조작자가 후크(43)로 슬라이더(30)를 잠금 위치로부터 잠금해제 위치로 부주의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된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는 전술된 커넥터들(10, 60)의 예로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를 가질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커넥터들(10, 60)에서의 제1 및 제2 고정 금속 피팅들(40, 80)은 회로 기판 상에 고정 부분들(42d, 42e, 82a)을 가질 수 있거나, 고정 부분들(42d, 42e, 82e)을 갖지 않을 수 있다. 그에 의해, 단지 제1 및 제2 단자들(11, 61)의 기판 연결 부분들(11a, 61a)만이 솔더 등에 의해 회로 기판의 연결 패드에 연결될 수 있다.
추가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제1 고정 금속 피팅(40)은 슬라이더(30)의 결합가능 부분들(33, 34)과 결합하는 결합 부분으로서 후크(43)를 갖는다. 그러나, 결합 부분이 후크 형상일 필요는 없다. 다시 말하면, 결합 부분이 베이스 부분(43b)에서 만곡부를 가질 필요는 없다.
다른 예로서, 탄성 변형가능 결합 부분이 슬라이더(30)에 형성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제1 고정 금속 피팅(40)에 형성된 결합 부분은 탄성 변형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탄성 변형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예에서, 슬라이더(30)가 사이에 제공된 2개의 후크들(결합 부분들)(43)은 상측 판 부분(41)을 통과함으로써 상호 연결된다. 그러나, 2개의 후크들(43)은 상측 판 부분(41)과는 상이한 부분을 통과함으로써 상호 연결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후크들(43)을 가짐으로써, 또는 다시 말해서, 제1 고정 금속 피팅들(40) 중 하나에 2개의 후크들(43)을 제공함으로써 부분들의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0)의 슬라이더(30)의 개수는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예로 제한되지 않고, 적합한 변형예를 제공함으로써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안출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요지를 유지하는 변형예들이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된다. 도면에서 예시된 부분들의 폭, 두께, 및 형상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고 본 발명의 해석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면부호]
1 커넥터 조립체, 10 리셉터클 커넥터(제1 커넥터), 11 제1 단자, 11A 기판 연결 부분, 11b 고정 부분, 11c 연결 부분, 11d 상부 단부, 20 제1 하우징, 20a 하부 표면, 21 제1 벽 부분, 21c 리세스형 부분, 22 제2 벽 부분, 22a 안내 벽 부분, 22b 잠금 구멍, 22d, 돌출 부분, 23 중심 돌출부, 30 슬라이더, 31 평판 부분, 31a 에지, 32 조작 부분, 32a 지지 부분, 32b 하부 단부, 33 제1 결합가능 부분, 33a, 33b, 34 제2 결합가능 부분, 34a 에지, 35 잠금 부분, 36 잠금되는 부분, 40 제1 고정 금속 피팅, 40S 금속 피팅 측부 부분, 41 상측 판 부분, 42, 결합 부분, 42a 리세스형 부분, 42d, 42e 고정 부분, 43 후크, 43a 단부 부분, 43b 베이스 부분, 43c 신장 부분, 45a 단자 부분, 45b 안내 부분, 45c 보유된 부분, 45d 아암 부분, 60 플러그 커넥터(제2 커넥터), 61 제2 단자, 61a 기판 연결 부분, 61b 연결 부분, 62 제3 단자, 62a 기판 연결 부분, 62b 연결 부분, 70 제2 하우징, 70a 하부 표면, 72a 리세스형 부분, 80 제2 고정 금속 피팅, 81 상측 판 부분, 81a 오버행 부분, 82 벽 부분, 82a 고정 부분, 83, 결합 부분, 83a 클로, E1 리세스형 부분, E2 리세스형 부분, S1 공간.
Claims (9)
- 커넥터 조립체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방향(short direction)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1 벽 부분들, 상기 2개의 제1 벽 부분들의 단부 부분들에 위치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2 벽 부분들, 및 상기 제1 벽 부분들 및 제2 벽 부분들의 내부 측에 형성된 리세스형 부분을 갖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1 벽 부분들에 보유된 제1 단자를 포함하는 제1 커넥터; 및
상기 제1 단자에 연결하기 위한 제2 단자, 및 상기 제2 단자를 보유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측에 정합되는 제2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넥터는 상기 2개의 제2 벽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벽 부분에 부착된 제1 금속 피팅(fitting)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측에 정합된 상기 제2 커넥터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제2 커넥터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2 커넥터로부터 상기 종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분리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고,
상기 제1 금속 피팅은 결합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결합 부분이 결합되는 제1 결합가능 부분을 갖고,
상기 결합 부분 및 제1 결합가능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은 상기 결합 부분과 상기 제1 결합가능 부분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활주는 상기 전술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허용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에 대해 상기 단방향으로 외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1 결합가능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의 에지에 형성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방향으로 상호 반대편인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결합 부분들이 상기 결합 부분으로서 제공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2개의 결합 부분들 사이에 배치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분은, 상기 내부 측을 향하여 상기 종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분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상기 종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신장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잠금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신장 부분의 단부 부분이 상기 제1 결합가능 부분과 접촉하고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규제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분은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결합 부분은 베이스 부분 및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신장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금속 피팅은 회로 기판에 부착된 고정 부분을 하부 에지에 갖는 벽 부분을 갖고,
상기 결합 부분의 베이스 부분은 상기 벽 부분에 연결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결합 부분이 결합되는 제2 결합가능 부분을 추가로 갖고,
상기 제2 결합가능 부분은, 상기 결합 부분과 제2 결합가능 부분 사이의 결합으로 인해,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부터 상기 종방향으로 상기 외부 측으로 더 멀어지는 상기 슬라이더의 활주를 규제하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제2 벽 부분의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금속 피팅은 상기 단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더를 개재하고 상호 반대편인 측부들에 위치된 2개의 결합 메커니즘 부분들을 갖고,
상기 제1 금속 피팅은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 측에 위치되고, 상기 2개의 결합 메커니즘 부분들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결합 메커니즘 부분들을 연결하는 상측 판 부분을 갖는, 커넥터 조립체.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금속 피팅은 상기 제2 커넥터를 상기 제1 하우징의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측으로 안내하는 안내 부분, 상기 제2 커넥터의 단자에 연결되는 단자 부분, 및 상기 제1 하우징의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표면에 고정되는 보유되는 부분 중 적어도 하나를 갖는 부재인, 커넥터 조립체.
- 커넥터로서,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단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1 벽 부분들, 상기 2개의 제1 벽 부분들의 단부 부분들에 위치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인 2개의 제2 벽 부분들, 및 상기 제1 벽 부분들 및 제2 벽 부분들의 내부 측에 형성된 리세스형 부분을 갖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해 보유된 단자;
상기 2개의 제2 벽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종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벽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부착된 금속 피팅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리세스형 부분의 내부 측에 정합된 정합 커넥터를 잠그는 잠금 위치와 상기 정합 커넥터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정합 커넥터로부터 상기 종방향으로 외부 측으로 분리되는 잠금 해제 위치 사이에서 활주할 수 있고,
상기 금속 피팅은 결합 부분을 갖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결합 부분이 결합되는 제1 결합가능 부분을 갖고,
상기 결합 부분 및 제1 결합가능 부분 중 적어도 하나는 탄성 변형될 수 있고,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상기 잠금 해제 위치로의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은 상기 결합 부분과 상기 제1 결합가능 부분 사이의 결합에 의해 제한되고, 상기 잠금 위치와 잠금 해제 위치 사이의 활주는 상기 전술된 부분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허용되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762482775P | 2017-04-07 | 2017-04-07 | |
US62/482,775 | 2017-04-07 | ||
JPJP-P-2017-125303 | 2017-06-27 | ||
JP2017125303A JP6846996B2 (ja) | 2017-04-07 | 2017-06-27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3927A true KR20180113927A (ko) | 2018-10-17 |
KR101975703B1 KR101975703B1 (ko) | 2019-05-07 |
Family
ID=63711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8994A KR101975703B1 (ko) | 2017-04-07 | 2018-04-04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170849B2 (ko) |
KR (1) | KR101975703B1 (ko) |
CN (1) | CN10871168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2299B1 (ko) * | 2018-06-27 | 2023-04-17 | 가부시키가이샤 무라타 세이사쿠쇼 | 전기 커넥터 세트 |
JP6859998B2 (ja) | 2018-12-28 | 2021-04-14 | I−Pex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18141A (ja) * | 2011-12-05 | 2013-06-13 | Hirose Electric Co Ltd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KR20140020189A (ko) * | 2012-08-08 | 2014-02-1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전기 커넥터 |
KR20140086821A (ko) * | 2012-12-28 | 2014-07-08 |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배선 기판 연결 장치 |
KR20140125300A (ko) * | 2013-04-18 | 2014-10-2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JP2015060764A (ja) * | 2013-09-19 | 2015-03-30 | 第一精工株式会社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425025A (en) * | 1966-10-19 | 1969-01-28 | Hewlett Packard Co | Dual plug-in module |
US4969830A (en) * | 1989-06-12 | 1990-11-13 | Grid Systems Corporation | Connection between portable computer components |
JPH03266380A (ja) | 1990-03-15 | 1991-11-27 | Nec Corp | スタッキングコネクタ |
US6645005B2 (en) * | 2001-11-29 | 2003-11-11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with latching metal ears |
JP2004055306A (ja) * | 2002-07-18 | 2004-02-19 | Yamaichi Electronics Co Ltd | 基板接続用コネクタ |
JP3949064B2 (ja) * | 2003-02-06 | 2007-07-2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TW558094U (en) * | 2003-02-26 | 2003-10-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
US6994581B2 (en) * | 2003-08-26 | 2006-02-07 | Mitac International Corp. | Back cartridge coupling structure |
KR100697110B1 (ko) * | 2003-09-16 | 2007-03-22 | 박성기 | 컨넥터 |
US7104830B1 (en) * | 2005-08-12 | 2006-09-12 | Jose Diaz | Electrical connections having pullout prevention feature |
JP5498883B2 (ja) * | 2010-04-27 | 2014-05-21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US8292635B2 (en) * | 2011-03-12 | 2012-10-23 |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
CN102738609A (zh) * | 2011-04-06 | 2012-10-17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电子元件固定装置 |
TW201308043A (zh) * | 2011-08-05 | 2013-02-16 | Hon Hai Prec Ind Co Ltd | 電源固定裝置 |
JP5935040B2 (ja) * | 2011-08-31 | 2016-06-1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
TWM450855U (zh) * | 2012-03-29 | 2013-04-11 | Advanced Connectek Inc | 板對板連接器組件 |
JP5685216B2 (ja) * | 2012-03-29 | 2015-03-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JP6156641B2 (ja) * | 2013-09-03 | 2017-07-05 | 第一精工株式会社 | 相互係合コネクタ装置 |
JP5716933B2 (ja) * | 2013-10-04 | 2015-05-13 | 第一精工株式会社 | 配線基板連結装置 |
JP6268913B2 (ja) | 2013-10-23 | 2018-01-31 | 第一精工株式会社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
US9740249B2 (en) * | 2014-01-30 | 2017-08-22 |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 Mounting device |
CN204315827U (zh) * | 2014-11-28 | 2015-05-0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卡缘连接器及其锁卡装置 |
CN106356656A (zh) * | 2015-07-17 | 2017-01-25 | 连展科技(深圳)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组件及其插座连接器与插头连接器 |
-
2018
- 2018-03-22 US US15/933,056 patent/US10170849B2/en active Active
- 2018-04-04 KR KR1020180038994A patent/KR1019757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04-04 CN CN201810300556.0A patent/CN10871168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118141A (ja) * | 2011-12-05 | 2013-06-13 | Hirose Electric Co Ltd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KR20140020189A (ko) * | 2012-08-08 | 2014-02-1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전기 커넥터 |
KR20140086821A (ko) * | 2012-12-28 | 2014-07-08 |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 배선 기판 연결 장치 |
KR20140125300A (ko) * | 2013-04-18 | 2014-10-28 |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및 전기 커넥터 조립체 |
JP2015060764A (ja) * | 2013-09-19 | 2015-03-30 | 第一精工株式会社 |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170849B2 (en) | 2019-01-01 |
CN108711686B (zh) | 2020-01-03 |
US20180294586A1 (en) | 2018-10-11 |
KR101975703B1 (ko) | 2019-05-07 |
CN108711686A (zh) | 2018-10-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893464B2 (en) | Connector with sliding member | |
CN108346934B (zh) | 连接器 | |
US10014620B2 (en) | Downsizing of a connector having a connector position assurance function | |
EP2337163B1 (en) | Connector, electronic apparatus, method for removing connector | |
US9240654B2 (en) | Circuit-terminal connecting device | |
US9318836B2 (en) | Electric connector | |
US9620874B2 (en) | Circuit board connecting device and releasing tool | |
CN103765699A (zh) | 插头件以及使用了该插头件的连接器 | |
CN109616829B (zh) | 连接器 | |
WO2012095934A1 (en) | Terminal locking structure in connector housing | |
US7811105B1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with an actuator to release th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from an electrical connector | |
US9331428B2 (en) | Connector mateable with mating connector and having lock structure including lock member and operation member which is operable to move lock member | |
KR101975703B1 (ko)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
US20240170881A1 (en) | High density electrical connectors | |
KR20140020189A (ko) | 전기 커넥터 | |
TWI673914B (zh) | 連接器以及連接器組件 | |
JP2011228269A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CN113906637A (zh) | 插头壳体以及插头连接器 | |
CN111525353B (zh) | 电连接器 | |
CN111148386B (zh) | 电气组件和方法 | |
JP6029248B2 (ja) | 電気コネクタ、その組立体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 |
CN115699474A (zh) | 连接器、连接器组件以及保持件 | |
CN115803974A (zh) | 线缆端子及连接器 | |
JP5842677B2 (ja) | コネクタ装置 | |
US20240235117A9 (en) | First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with unlocking sli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