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700A -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 Google Patents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700A
KR20180113700A KR1020170045093A KR20170045093A KR20180113700A KR 20180113700 A KR20180113700 A KR 20180113700A KR 1020170045093 A KR1020170045093 A KR 1020170045093A KR 20170045093 A KR20170045093 A KR 20170045093A KR 20180113700 A KR20180113700 A KR 20180113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imal
road
wild
vehicle
pr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9720B1 (ko
Inventor
지명호
Original Assignee
씨엘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엘디자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엘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5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972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9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9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0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 A01M29/1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visual means, e.g. scarecrows, moving elements, specific shapes, patterns or the like using light sources, e.g. lasers or flashin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29/00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 A01M29/16Scaring or repelling devices, e.g. bird-scaring apparatus using sound w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88Free-standing bodi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Bird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가 매립되거나 지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야생동물의 출현을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경고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진입되는 차량이나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퇴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A road sign to prevent road kill of wildlife and method to prevent road kill}
본 발명은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에서 고속 주행하는 차량에 야생동물이 부딪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드킬은 노루, 고라니, 곰, 황조롱이 등의 야생동물들이 먹이를 구하거나 이동을 위해 도로에 갑자기 뛰어들어 횡단하다 차량에 치어 죽는 것을 말한다.
이때 야생동물이 돌발적으로 도로로 뛰어들기 때문에 운전자는 야생동물을 피하기 위해 핸들을 꺾거나 급정거를 하면서 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른 차선 또는 후방에서 주행 중인 차량과 부딪혀 2차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빈번히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0737501호는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100)의 지주(110) 양측으로 펜스망이 횡설토록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에 있어서,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100)에 설치되는 양측 지주(110)의 상측으로 2개의 U-볼트(120)(120')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U-볼트(120)의 사이에는 하측으로 상부 펜스망(130)이 설치되어 그 상단부가 다수의 고리부(140)로서 계지되는 가로봉(150)의 단부가 내삽되고, 상기 지주(110)에 체결되는 U-볼트(120)의 후방에는 가로봉(150) 단부를 개재하여 결합편(160)이 각각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결합너트(161)로서 결합 고정토록 되며, 상기 가로봉(150)에 계지되는 상부 펜스망(130) 하측에는 지지봉(170)이 횡설되어 연설되며, 상기 지지봉(170)은 그 하측으로 고리부(180)를 개재하여 하부 펜스망(190)이 연설되어, 상기 지지봉(170) 자체 중량에 의해 하부 펜스망(190)의 횡방향 지지력을 확보하면서 힌지부 역할을 수행하며, 상기 지지봉(170)을 개재하여 회전반경이 작은 상태로 하부 펜스망(190)을 180도 회전시켜 들어 올려 양측 지주(110)에 지지 고정시킬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경우 상부펜스망과 하부펜스망을 지지봉으로 연결하고 상부펜스망은 가로봉을 이용하여 지주에 고정하는 구조로서 제초시 하부펜스망을 들어 올려 개방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 있으나 레일과 하부펜스망 사이에 지주가 위치하는 구조로서 지주의 외경 약 140mm 정도의 틈새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며, 그 정도의 틈새는 로드킬 빈도가 높은 족제비, 청솔모, 너구리, 삵, 산토끼, 다람쥐 등 대부분의 소동물이 그대로 통과하는 폭으로서 차단효과에 한계가 있다.
또한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면적이 넓어지므로 비용이 증가되면서 시공시간이 길어지며 펜스망으로 인해 도로 주위의 미관이 미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공개번호 제10-0737501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자가발전을 통해 전력 수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생동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하는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고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확인하고 속력을 감속시켜 야생동물과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은 하부가 매립되거나 지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야생동물의 출현을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경고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진입되는 차량이나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퇴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야생동물 출몰 구간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로의 진입방향을 향해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차량감지센서와, 상기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 중인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로를 등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물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상기 퇴치부는 상기 야생동물을 향해 설정된 간격으로 반복되어 섬광을 발생시키는 섬광발생기와, 상기 야생동물의 기피 음역대인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을 방지하는 초음파발생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상기 경고부는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문자 및 그림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야생동물 출현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판과,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청각적으로 경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된 라디오 주파수 또는 내비게이션의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상기 야생동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야생동물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경고부 및 상기 퇴치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은 야생동물 출몰구간의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 중인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단계와, 상기 동물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야생동물이 상기 도로를 향해 접근하지 못하도록 섬광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퇴치하는 동물퇴치단계와, 상기 야생동물이 감지된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단계와, 상기 차량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차량에게 시각 및 청각으로 경고하여 서행시킴으로써 로드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단계와, 상기 동물퇴치단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야생동물을 추적하여 상기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을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동물추적단계와, 상기 동물추적단계에서 감지된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서 벗어난 것 을 상기 차량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의하면 도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자가발전을 통해 전력 수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의하면 야생동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하는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고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의하면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확인하고 속력을 감속시켜 야생동물과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을 도로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기능 및 그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도로에서 고속 주행하는 차량에 야생동물이 부딪히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의 외부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10)은 하부가 매립되거나 지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프레임(100)과,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며 야생동물의 출현을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경고부(400)와, 프레임(100)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200)와,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진입되는 차량이나 야생동물을 감지는 감지부(300)와, 프레임(100)의 후면에 형성되며 감지부(300)를 통해 감지된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퇴치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프레임(100)의 하부면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지면과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 별도의 거치 장치나 고정 장치 없이도 지면에 세워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거나 지면에 매립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지면에서 상부 방향으로 수직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돌출된 부위에 발전부(200), 감지부(300), 경고부(400), 퇴치부(500), 제어부(600), 통신부(700)가 각각 배치되어 설치된다.
발전부(200)는 프레임(100)의 최상단에 결합되어 있으며 태양광모듈(210)과 배터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태양광모듈(210)을 태양광이 비치는 낮 시간 동안 태양광선을 전기에너지로 변환시켜 배터리(220)를 충전시키게 된다.
이때 태양광모듈(210)의 발전량을 높이기 위해 발전부(200)에는 태양광모듈(210) 하부에 위치하여 태양광모듈(210)을 회전시키는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구동장치(도시되지 않음)는 전동모터(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태양광모듈(210)을 태양이 이동하는 방향을 따라 회전시켜 발전효율을 높일 수도 있게 된다.
또한 경고부(400)는 프레임(100)의 정면에 문자 및 그림이 형성되어 있어 야생동물 출현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판(410)과,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청각적으로 경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된 라디오 주파수 또는 내비게이션의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장치(4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경고부(400)는 프레임(1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야생동물이 출현하는 구역임임을 알리거나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것을 운전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하며, 이를 통해 차량이 서행되도록 함으로써 로드킬 감소 및 2차 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것이다.
경고부(400)에 형성된 경고판(410)은 수직으로 돌출된 프레임(100)의 상부 전면에 결합되어 있으며, 경고판(410)에는 야생동물 그림과 함께 주의 문구가 기재되어 있어 낮에 운전자가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로교통법에 표기된 경고 표지 규격에 맞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고판(410)의 경우 반사판이 형성되어 있어 야간에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에서 조사되는 빛이 반사되어 식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고판(410)에 형성된 야생동물 그림과 주의 문구에는 각각 LED가 형성되어 있어 야간에 원거리에서도 점등된 LED를 통해 야생동물 주의 구간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경고부(400)에 형성된 신호전송장치(420)는 운전자에게 경고 방송을 송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차량 내부의 라디오 또는 내비게이션을 통해 전방에 야생동물이 출몰한 것을 알려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신호전송장치(420)는 라디오 주파수를 송출하여 주위에 주행 중인 차량의 라디오를 통해 야생동물에 대한 경고방송을 송출하거나 지상파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주파수를 통해 야생동물 출몰 정보를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TPEG, Transport Protocol Expert Group)로 전송하여 내비게이션에서 야생동물의 위치나 존재 여부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즉, 라디오 주파수를 통해 운전자는 야생동물이 주행 중인 도로 주변에 존재한다는 것을 청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거나 내비게이션에 출력된 경고음성과 지도에 표기된 야생동물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므로 구간을 주의하며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지부(300)는 야생동물 출몰 구간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로의 진입방향을 향해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차량감지센서(310)와,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 중인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로를 등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물감지센서(3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감지부(300)는 수직으로 돌출된 프레임(10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분산되어 배치되며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을 감지하거나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차량감지센서(310)는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레이저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차량이 도로에 설치된 표지판(10) 방향으로 진입하는 경우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차량감지센서(310)는 인접한 차선에 존재하는 차량을 감지하여 경고부(400)를 통해 운전자가 야생동물의 출몰 여부를 인식할 수 있게 되며, 차량의 감지 유무에 따라 경고부(400)를 동작시키지 않게 되므로 전력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차량감지센서(310)는 야생동물 출몰 지역의 시작구간과 끝구간의 도로에 매립된 상태로 배치시켜 구간 내에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하여 경고부(400)의 작동유무를 결정할 수도 있게 된다.
동물감지센서(320)는 높이가 서로 다른 복수 개의 적외선 센서를 프레임(100)이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되고 야생동물의 체온과 움직임을 통해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동물감지센서(320)는 적외선 센서 이외에 열을 감지하는 센서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초음파 센서, 근접 센서를 포함하여 도로에 설치된 표지판(10)을 향해 야생동물이 접근하는지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또한 퇴치부(500)는 야생동물을 향해 설정된 간격으로 반복되어 섬광을 발생시키는 섬광발생기(510)와, 야생동물의 기피 음역대인 초음파를 발생시켜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을 방지하는 초음파발생기(52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퇴치부(500)는 야생동물이 도로 주위로 접근할 때 야생동물을 향해 섬광을 발생시키고, 이와 동시에 야생동물의 기피 음역대인 초음파를 송출함으로써 야생동물의 도로 출입을 방지하게 된다.
섬광발생기(510)는 수직으로 돌출된 프레임(100)에 형성되고 도로를 등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감지부(300)에 의해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야생동물을 향해 섬광이 발생되도록 하여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게 된다.
이때 섬광발생기(510) 양측면에 가림막을 설치하여 섬광이 발생될 때 도로 방향으로 빛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써 운전자가 주행 중 섬광에 의한 일시적인 시력 상실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발생기(520)는 섬광발생기(510)와 마찬가지로 도로를 등지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초음파를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초음파는 특정 야생동물이 아닌 여러 종의 동물을 고려하여 12~15Khz의 제1구간, 20~30Khz의 제2구간, 30~40Khz의 제3구간에 해당되는 초음파가 발생되게 된다.
즉, 제1구간, 제2구간, 제3구간의 주파수를 1hz, 0.1~2sec 단위로 랜덤하게 송출함으로써 야생동물이 초음파에 적응되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초음파발생기(520)는 20hz 미만의 초저주파를 송출하여 먼 거리에 떨어진 야생동물이 초저주파를 감지해 도로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또한 초음파발생기(520) 외에 스피커를 프레임(100)에 형성시켜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호랑이 울음소리를 출력하여 야생동물이 도로로 접근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600)는 발전부(200), 감지부(300), 경고부(400), 퇴치부(500), 통신부(700)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 차량 또는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설정된 프로그래밍대로 경고부(400)와 퇴치부(500)를 동작시키고, 발전부(200)의 전력량에 따라 퇴치부(500), 감지부(300), 경고부(400)가 반복 동작되는 시간을 달리함으로써 전력 소모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600)는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통신부(700)를 이용하여 도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표지판(10)과 서로 통신하여 각각의 표지판(10)에서 감지된 차량 정보 또는 야생동물 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때 통신부(700)는 블루투스, 와이파이를 이용하여 무선통신을 할 수 있으며, 유선통신망을 각각의 표지판(10)에 연결시켜 통신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10)을 도로에 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10)의 감지부(300)는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야생동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야생동물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경고부(400) 및 퇴치부(500)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로에 설치되는 각각의 표지판(10)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어 도로를 따라 설치되어 있으며, 이때 이격되는 간격은 도 2의 통신부(700)가 서로 통신할 수 있는 거리 또는 각각의 동물감지센서(320)가 감지하는 범위가 서로 중첩되는 범위까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차량감지센서(310)는 도로에 진입하는 차량의 전면을 향하도록 프레임(100)에 형성되도록 구성해야 하고, 동물감지센서(320)는 차량에서 발생하는 열에 의해 오작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도로를 등지고 외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고판(410)의 경우 운전자가 경고판(410)을 인지할 수 있도록 차량의 전면을 향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각각의 표지판(10)은 각각 태양광모듈(210)이 형성되어 있어 자가발전을 통해 모두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의 통신부(700)를 통해 각각의 표지판(10)에서 감지된 데이터를 공유함으로써 차량의 이동 방향이나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 2의 경고부(400)는 차량이 감지된 상태에서만 라디오 또는 내비게이션으로 야생동물 출몰 경보를 보내게 되며, 차량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도 2의 경고부(400)는 동작되지 않고 도 2의 퇴치부(500)만 동작하여 야생동물이 도로로 접근하지 않도록 방지하게 된다.
또한 도 2의 제어부(600)는 어느 하나의 표지판(10)에서 감지된 야생동물과 가까운 방향의 도 2의 퇴치부(500)를 동작시켜 야생동물을 쫓아내고 야생동물이 도망갈 때 감지되는 위치에 인접한 표지판(10)에 형성된 도 2의 퇴치부(500)가 순차적으로 동작되어 야생동물이 도로를 향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야생동물은 도 2의 퇴치부(500)에 의해 도망가면서 도로 방향에서 지속적인 섬광과 초음파가 발생되므로 도로의 반대방향으로 도망갈 수 있게 된다.
이때 차량이 도로에 존재하는 경우 야생동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려주거나 감지되었던 야생동물이 도로 주위를 벗어난 것을 알려주어 사용자가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은 야생동물 출몰구간의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 중인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단계(S10)와, 동물감지단계(S10)에서 감지된 야생동물이 도로를 향해 접근하지 못하도록 섬광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퇴치하는 동물퇴치단계(S20)와, 야생동물이 감지된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단계(S30)와, 차량감지단계(S30)에서 감지된 차량에게 시각 및 청각으로 경고하여 서행시킴으로써 로드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단계(S40)와, 동물퇴치단계(S20)에 의해 이동되는 야생동물을 추적하여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을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동물추적단계(S50)와, 동물추적단계(S50)에서 감지된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서 벗어난 것을 차량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알림단계(S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물감지단계(S10)는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표지판 주변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의 체온과 움직임을 감지함으로써 야생동물이 주위에 존재하는지 확인하는 단계이다.
이때 적외선 센서 이외에 초음파 센서나 근접 센서를 통해 표지판으로 접근하는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도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표지판 중 어느 하나의 표지판에서 감지되는 경우 무선통신을 통해 감지된 야생동물의 위치정보를 다른 표지판과 공유할 수 있게 된다.
동물퇴치단계(S20)는 고휘도의 LED로 구성된 섬광발생기를 반복적으로 점등 및 소등시켜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방지함과 동시에 야생동물만 인식할 수 있는 초음파를 송출하여 야생동물이 위협을 느껴 도로 주변으로 오지 못하도록 하는 단계이다.
이때 야생동물이 위협을 느끼게 할 수 있도록 호랑이와 같은 포식동물의 울음소리를 출력하거나 원거리까지 신호가 전달되는 20hz 미만의 초저주파를 송출하여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서 벗어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차량감지단계(S30)는 동물감지단계(S10)에서 동물이 감지되었을 때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이 있는지 감지하는 단계로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여 표지판을 향해 이동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초음파 센서 외에 적외선 센서, 레이저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을 감지할 수도 있으며 야생동물 출몰 구간의 도로 시작과 끝에 센서를 매립시킨 후 차량의 존재유무를 확인할 수도 있게 된다.
경고단계(S40)는 야생동물이 도로 주위에 존재하고 차량이 감지된 상태인 경우 운전자에게 주변에 야생동물이 있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라디오 주파수를 송출하여 주위의 주행 중인 차량의 라디오로 야생동물에 대한 경고방송을 송출하거나 DMB 주파수를 통해 야생동물 출몰 정보를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로 전송하여 내비게이션에서 야생동물의 위치나 존재 여부를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표지판에 형성된 경고판에 형성된 LED를 통해 그림이나 문자로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차량이 감지한 표지판에서만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전력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동물추적단계(S50)는 동물퇴치단계(S20)에 의해 이동되는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하여 야생동물이 도로를 완전히 벗어날 때까지 동물퇴치단계(S20), 차량감지단계(S30), 경고단계(S40)를 반복하는 단계이다.
이때 각각의 표지판에 형성된 동물감지센서는 인접한 표지판에 형성된 동물감지센서와 감지범위가 중첩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물의 이동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야생동물이 최초로 감지된 이후 완전히 도로 주변에서 벗어날 때까지 동물퇴치단계(S20), 차량감지단계(S30), 경고단계(S40)를 반복하여 동물퇴치와 함께 운전자가 서행하도록 유도함으로써 로드킬 및 2차 사고를 방지하게 된다.
알림단계(S60)는 야생동물의 위치를 차량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단계로 도로 주변에 감지된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서 완전히 벗어나 감지가 안 되는 경우 라디오 주파수 또는 네비게이션의 DMB 주파수를 통해 차량의 라디오 또는 네비게이션으로 알림방송이 출력되도록 한다.
즉, 야생동물로 인해 서행 중이던 차량에게 정상 속도로 이동하도록 권유함으로써 도로가 정체되지 않고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의하면 도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며 자가발전을 통해 전력 수급이 어려운 지역에서 별도의 배선 작업 없이 간편하게 설치가 가능하며, 야생동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하는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방지하고 야생동물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고,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 존재하는 경우 주행 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원거리에서 확인하고 속력을 감속시켜 야생동물과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표지판 100 : 프레임
200 : 발전부 210 : 태양광모듈
220 : 배터리 300 : 감지부
310 : 차량감지센서 320 : 동물감지센서
400 : 경고부 410 : 경고판
420 : 신호전송장치 500 : 퇴치부
510 : 섬광발생기 520 : 초음파발생기
600 : 제어부 700 : 통신부
S10 : 동물감지단계 S20 : 동물퇴치단계
S30 : 차량감지단계 S40 : 경고단계
S50 : 동물추적단계 S60 : 알림단계

Claims (6)

  1. 하부가 매립되거나 지면에 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부로 수직하게 돌출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며 야생동물의 출현을 알려주도록 형성되는 경고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상기 프레임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형성되어 진입되는 차량이나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프레임의 후면에 형성되며 상기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상기 야생동물이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퇴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야생동물 출몰 구간에 진입하는 차량을 감지할 수 있도록 도로의 진입방향을 향해 바라보도록 배치되는 차량감지센서와;
    상기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 중인 상기 야생동물을 감지할 수 있도록 상기 도로를 등지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동물감지센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퇴치부는
    상기 야생동물을 향해 설정된 간격으로 반복되어 섬광을 발생시키는 섬광발생기와;
    상기 야생동물의 기피 음역대인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야생동물의 도로 진입을 방지하는 초음파발생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고부는
    상기 프레임의 정면에 문자 및 그림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야생동물 출현을 시각적으로 경고하는 경고판과;
    차량 내부의 운전자가 청각적으로 경고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된 라디오 주파수 또는 내비게이션의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신호를 전송하는 신호전송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야생동물이 감지되면 상기 야생동물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추적하여 상기 야생동물이 감지되지 않을 때까지 상기 경고부 및 상기 퇴치부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6.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에 있어서,
    야생동물 출몰구간의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이동 중인 야생동물을 감지하는 동물감지단계와;
    상기 동물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야생동물이 상기 도로를 향해 접근하지 못하도록 섬광 및 초음파를 이용하여 퇴치하는 동물퇴치단계와;
    상기 야생동물이 감지된 도로 주변에 존재하거나 주행 중인 자동차를 감지하는 차량감지단계와;
    상기 차량감지단계에서 감지된 상기 차량에게 시각 및 청각으로 경고하여 서행시킴으로써 로드킬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고단계와;
    상기 동물퇴치단계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야생동물을 추적하여 상기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을 벗어나는지 확인하는 동물추적단계와;
    상기 동물추적단계에서 감지된 야생동물이 도로 주변에서 벗어난 것을 상기 차량에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알림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 방법.
KR1020170045093A 2017-04-07 2017-04-07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KR101909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93A KR101909720B1 (ko) 2017-04-07 2017-04-07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093A KR101909720B1 (ko) 2017-04-07 2017-04-07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700A true KR20180113700A (ko) 2018-10-17
KR101909720B1 KR101909720B1 (ko) 2018-10-18

Family

ID=64099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093A KR101909720B1 (ko) 2017-04-07 2017-04-07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97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3298B1 (ko) 2022-12-06 2024-04-01 김요한 로드킬 방지용 야생동물 퇴치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501B1 (ko) 2006-05-02 2007-07-09 주식회사 치산테크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
KR20100084787A (ko) * 2009-01-19 2010-07-28 양찬영 야생동물 침입 퇴치 장치
KR101057631B1 (ko) * 2011-01-12 2011-08-18 신풍디자인그룹 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기 휀스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30085668A (ko) * 2012-01-20 2013-07-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7501B1 (ko) 2006-05-02 2007-07-09 주식회사 치산테크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
KR20100084787A (ko) * 2009-01-19 2010-07-28 양찬영 야생동물 침입 퇴치 장치
KR101057631B1 (ko) * 2011-01-12 2011-08-18 신풍디자인그룹 주식회사 태양전지를 이용한 전기 휀스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30085668A (ko) * 2012-01-20 2013-07-30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드킬 방지용 가드펜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9720B1 (ko) 2018-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2966B1 (ko) 보행자 보호 장치
EP1551224B1 (en) System to avoid the collision of a vehicle with animals
US20150070164A1 (en) Wildlife warning system
US20030071735A1 (en) Wildlife warning system
WO2015108249A1 (ko) 접근 방지를 위한 경보 및 차단시스템
CA2866418A1 (en) A perimeter breach alarm system & a lantern adapted for use in such a system
KR101969782B1 (ko) 도로안전시설물용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장치 및 방법
CN114764975A (zh) 一种隧道内用智能交通用防护栏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543351B1 (ko) 로드킬 방지시스템
KR20170100846A (ko) 모션센서를 이용한 로드킬 방지장치
US8054186B1 (en) Animal repellent apparatus
US7113098B1 (en) Animal accident reductio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KR101909720B1 (ko) 야생동물 로드킬 방지용 표지판
NL1007437C2 (nl) Inrichting en stelsel voor het afgeven van een waarschuwing in reactie op een spookrijder.
KR101552391B1 (ko) 야생 동물의 로드 킬 방지시스템
KR102165730B1 (ko) 지능형 교통안전시스템
EP1329159A1 (en) Sound generating means for freeing the pathway of moving vehicles
JP2009127415A (ja) 警告表示装置を用いた警告表示システム及び警告表示装置
KR102033375B1 (ko) 무선통신 기반의 교통사고 예방경고 시스템
JP2019060088A (ja) 道路鋲及び歩行者保護システム
EP4144614A1 (en) Trespassing deterrence for railways
US20080291050A1 (en) Wildlife alert system
KR20130045782A (ko) 로드킬 방지 시스템
ES2292324B1 (es) Sistema integral para deteccion, aviso y localizacion de vehiculos y otros.
WO2023129593A1 (en) Vehicular incursion alert systems and meth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