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387A -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 Google Patents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387A
KR20180113387A KR1020170044879A KR20170044879A KR20180113387A KR 20180113387 A KR20180113387 A KR 20180113387A KR 1020170044879 A KR1020170044879 A KR 1020170044879A KR 20170044879 A KR20170044879 A KR 20170044879A KR 20180113387 A KR20180113387 A KR 20180113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olt
pipe
nut
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1469B1 (ko
Inventor
기언관
Original Assignee
기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언관 filed Critical 기언관
Priority to KR102017004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46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3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each spring being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0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divided, i.e. with two or more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with two members engaging the pipe, cable or tubing, both being made of thin band material completely surrounding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구조물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결합부; 상측 끝단이 상기 매립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천장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로 제공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측 부위에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배관을 파지하는 파지행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함과 더불어 내진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또한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정확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pipe support stand}
본 발명은 배관지지대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함과 더불어 내진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또한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정확한 고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지지대는 각종 기계설비 배관(예컨대, 소방시설용 배관, 급수나 급탕용 배관, 에어컨 배관 등)을 벽이나 천장 등에 부착시키거나 매달아 고정 또는 지지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이와 같은 배관지지대 중 천장부착형 배관지지대는 통상 건물의 천장을 이루는 천장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로 제공되면서 각종 배관을 부분적으로 파지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히, 최근 건축기계설비공사에는 내진 설계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진 등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지진으로 인한 진동이 기계설비 배관으로의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1622648호, 공개특허 제10-2016-0024890호, 공개특허 제10-2016-0057359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087호 등에 게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내진 구조의 배관지지대를 제공함으로써 지진 등의 각종 진동이 발생된다 하더라도 안정적인 배관 지지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지지대는 통상 천장 구조물을 완공한 이후에 해당 천장 구조물의 저면에 별도의 결합구조물을 볼팅 체결한 다음 상기 배관지지대를 상기 결합구조물에 결합하도록 이루어짐을 고려할 때 상기 결합구조물을 상기 천장의 정확한 위치에 볼팅 체결하는 작업이 무척 어려웠으며, 이로써 배관지지대의 설치를 위해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물론, 등록특허 제10-0941154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결합구조물을 천장 구조물의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천장 구조물 내에 매립하여 설치되도록 한 후 이 결합구조물에 배관지지대의 상측 끝단을 삽입 결합하는 방식도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구조는 천장 구조물의 형성을 위한 거푸집 내의 특정 위치에 상기 결합구조물을 고정한 상태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야 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결합구조물이 정확한 위치로 유지되도록 고정하는 작업이 극히 어려워서 상기 천장 구조물 내에 매립된 결합구조물에 배관지지대가 정확한 수직 방향으로 결합되지 못하였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배관지지대는 배관을 파지하는 행거가 진동의 흡수를 위해 제공되는 부위와는 별개의 부위에 제공되도록 이루어짐에 따라 각 배관지지대들의 행거 위치가 정확한 수평 방향을 이루도록 일치시키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622648호 공개특허 제10-2016-0024890호 공개특허 제10-2016-0057359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08-0002087호 등록특허 제10-0941154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함과 더불어 내진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또한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정확한 고정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에 따르면 천장 구조물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결합부; 상측 끝단이 상기 매립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천장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로 제공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측 부위에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배관을 파지하는 파지행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매립결합부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하우징과, 상기 너트하우징의 상면을 폐쇄하는 폐쇄플레이트와, 상기 폐쇄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천장 구조물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위치 고정용 와이어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너트하우징에는 하단이 링 형상의 고리로 형성된 아이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끝단은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아이볼트의 고리에 걸려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측 부위는 둘레면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볼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행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조작너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기 상부조작너트의 하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조작너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기 상부조작너트와 하부조작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와 각 조작너트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코일형의 탄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행거는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각 조작너트 사이에서 각 탄력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되는 관통설치단과, 상기 관통설치단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저부측 둘레를 받쳐주는 받침볼트와, 일단은 상기 관통설치단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볼트에 받쳐진 배관의 상부측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받침볼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배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는 배관이 안착 설치되는 파지행거부를 이루는 행거가 그 상하에 위치된 두 탄력스프링에 의해 상하 위치의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배관지지대의 행거 높이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각 행거의 받침볼트에 안착되는 배관의 하중에 의해 각 행거의 높낮이는 대략 유사한 높이를 가지면서 배관을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진 등에 의해 건물에 진동이 전달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진동은 행거의 상하에 위치된 두 탄력스프링이 흡수를 함에 따라 배관이 휘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게 된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는 매립결합부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천장 구조물 내에 매립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모든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매립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매립결합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에 대한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B”부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 중 행거를 이루는 배관덮개에 대한 각각의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매립결합부를 천장 구조물에 매립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서로 다른 방향에서 본 상태도
도 9는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에 대한 설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확대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지지부재에 대한 설치 상태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상태도
이하, 본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설치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매립결합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에 대한 설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 1의 “B”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이하, “배관지지대”라 함)는 크게 매립결합부(100)와, 지지부재(200) 및 파지행거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를 통해 내진설계가 이루어진 배관지지대를 제공할 수 있으면서 배관(10)의 높낮이 조절이 안정적이면서도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매립결합부(100)는 천장 구조물(20)에 매립 설치되면서 지지부재(200)가 매달린 상태로 설치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매립결합부(100)는 너트하우징(110)과, 폐쇄플레이트(120)와, 고리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너트하우징(110)은 매립결합부(100)의 몸체 부위를 이루는 구성으로써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원통형의 구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폐쇄플레이트(120)는 천장 구조물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콘크리트가 상기 너트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면을 통해 너트하우징(110) 내로 유입됨을 차단하도록 제공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너트하우징(110)의 개방된 상면을 덮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130)는 천장 구조물(20)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위치 고정용 와이어(30)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부위로써, 상기 폐쇄플레이트(120)의 상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리부재(130)는 첨부된 도 2와 같이 양 끝단이 폐쇄플레이트(120)의 상면에 밀착된 반원(혹은, 반트랙형이나 반타원형)형의 고리로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를 위치 고정용 와이어(30)가 관통되도록 구성하거나 혹은, 첨부된 도 3과 같이 일단이 상기 폐쇄플레이트(12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고리로 형성됨으로써 미리 설치되어 있는 위치 고정용 와이어(30)에 걸 수 있도록 구성할 수가 있다.
특히, 상기 매립결합부(100)의 고리부재(130)에는 구속볼트(131)가 관통되면서 상기 고리부재(130) 내의 위치 고정용 와이어(30)를 구속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콘크리트의 타설시 해당 매립결합부(100)가 위치 고정용 와이어(30)에 설치된 상태로 유지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된 후 상기 각 매립결합부(100)가 모두 정확한 위치에 매립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부재(200)는 상기 매립결합부(100)와 후술될 파지행거부(300)를 서로 연결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지지부재(200)는 그의 상측 끝단이 상기 매립결합부(100)를 이루는 너트하우징(110) 내로 수용되면서 나사 결합되어 천장 구조물(20)에 매달린 상태로 제공됨과 더불어 하단측 부위는 그의 둘레면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장형 볼트 구조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지행거부(300)는 배관(10)을 파지하면서 지지하도록 제공되는 부위이다.
이와 같은 파지행거부(300)는 상기 지지부재(200)의 하단측 부위에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200)로부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배관(10)을 파지하도록 이루어지며, 상부조작너트(310)와, 하부조작너트(320)와, 행거(330) 및 탄력스프링(341,3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조작너트(310)는 상기 지지부재(200)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이고, 상기 하부조작너트(320)는 상기 지지부재(200)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기 상부조작너트(310)의 하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너트이다.
또한, 상기 행거(330)는 상기 지지부재(200)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기 상부조작너트(310)와 하부조작너트(320)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상기 지지부재(200)가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각 조작너트(310,320) 사이에서 각 탄력스프링(341,342)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되는 관통설치단(331)과, 상기 관통설치단(331)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배관(10)의 저부측 둘레를 받쳐주는 받침볼트(332)와, 일단은 상기 관통설치단(331)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00)가 관통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받침볼트(332)에 받쳐진 배관(10)의 상부측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받침볼트(332)의 끝단에 결합되는 배관덮개(3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설치단(331)은 상기 지지부재(200)가 자유로이 통과할 수 있을 정도의 내경을 갖는 파이프 형상의 부시(bush)로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배관덮개(333)는 첨부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측 부위가 상부로 볼록한 구조의 판형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면서 양측으로 지지부재(200)가 통과되는 제1통과공(333a) 및 받침볼트(332)의 끝단이 통과되는 제2통과공(333b)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물론, 상기 제2통과공(333b)은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배관덮개(333)의 끝단에 이르기까지 절개된 구조의 구멍으로 형성됨이 받침볼트(332) 끝단과의 결합에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한 절개 구조의 제2통과공(333b)으로 인해 단순히 배관덮개(333)를 수평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손쉽게 받침볼트(332)에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탄력스프링(341,342)은 상기 행거(330)와 각 조작너트(310,320)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200)로부터 행거(330)로 전달되는 진동을 완충시켜 이 행거(330)에 파지되는 배관(10)으로의 진동 전달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상기한 탄력스프링(341,342)은 행거(330)와 두 조작너트(310,320)들 사이에 제공됨에 따라 어느 한 배관지지대를 이루는 행거(330)의 높이가 여타 배관지지대를 이루는 행거(330)의 높이와 정확히 일치되지 않더라도 상기 탄력스프링(341,342)의 탄성에 의해 상기 행거(330)의 상하 위치 보상이 이루어지면서 배관(10)을 최대한 수평 상태로 이루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관지지대의 설치 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천장 구조물(20)의 시공시 해당 천장 구조물(20)에 매립결합부(100)를 매설한다.
이는, 천장 구조물(20)을 성형하기 위해 만들어진 거푸집(도시는 생략됨) 내에 배관(1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위치 고정용 와이어(30)를 설치하고, 이 위치 고정용 와이어(30)에 준비된 복수의 매립결합부(100)의 고리부재(130)를 걸어서 연결하며, 계속해서 구속볼트(131)를 이용하여 상기 고리부재(130)가 상기 위치 고정용 와이어(30)에 고정되도록 한 다음 매립결합부(100)의 너트하우징(110) 저면을 폐쇄캡(140)으로 폐쇄한 상태에서 상기 거푸집 내로 콘트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수행되며, 이로써 천장 구조물(20)에는 복수의 매립결합부(100)가 모두 동일한 높이를 이루면서 인서트된 상태로 매설될 수 있게 된다. 이는 첨부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전술된 바와 같이 천장 구조물(20)에 매립결합부(100)가 매설된 상태에서 복수의 지지부재(200)를 각각 준비한다.
이와 같이 준비되는 각 지지부재(200)에는 파지행거부(300)가 미리 설치된 상태로 제공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200)에의 파지행거부(300) 설치는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지지부재(200)의 하단측 부위에 상부조작너트(310)와 어느 한 탄력스프링(341) 및 행거(330)의 관통설치단(331)을 순차적으로 결합한 다음 다른 한 탄력스프링(342) 및 하부조작너트(320)를 순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파지행거부(300)의 설치가 완료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 지지부재(200)에 파지행거부(300)를 미리 설치하는 과정에서 상기 파지행거부(300)를 이루는 행거(330)는 해당 지지부재(200)의 설치 위치에 따른 배관(10)의 높낮이를 고려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조절되어 제공될 수도 있고, 각 행거(330) 모두가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조절되어 제공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준비된 각 지지부재(200)(파지행거부가 설치된 지지부재)는 천장 구조물(20)에 매립된 각 매립결합부(100)에 순차적으로 결합한다. 물론, 이러한 지지부재(200)의 결합시 상기 너트하우징(110)의 저면을 폐쇄하는 폐쇄캡(140)은 제거한다.
이후, 각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300)를 이루는 행거(330)의 받침볼트(332)에 배관(10)의 각 부위를 순차적으로 얹은 다음 배관덮개(333)의 제2통과공(333b)을 상기 받침볼트(332)에 결합하여 배관(10)을 덮도록 한 다음 고정너트(334)로 고정시킨다.
계속해서, 상부조작너트(310) 혹은, 하부조작너트(320)의 조작을 통해 해당 부위의 배관(10)에 대한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배관(10)의 설치가 완료된다. 즉, 상기 배관(10)이 얹히는 받침볼트(332)는 천장 구조물(20)의 형상(구배나 단턱 등)에 따른 해당 배관지지대의 매립결합부(100) 위치에 따라 미세하게 차이가 발생되지만 전술된 각 조작너트(310,320)의 조작을 통해 배관(10)이 안정적으로 설치된 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상부조작너트(310) 및 하부조작너트(320)의 조작에 의해 상기 각 조작너트(310,320)와 행거(330) 사이에 위치된 두 탄력스프링(341,342)의 압축 강도(탄성 강도)에 대한 조절이 함께 이루어진다.
결국, 전술된 각 과정의 반복을 통해 배관(10)의 설치가 완료되며, 이때 상기 배관(10)이 안착 설치되는 각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300)를 이루는 행거(330)는 그 상하에 위치된 두 탄력스프링(341,342)에 의해 상하 위치의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배관지지대의 행거(330) 높이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각 행거(330)의 받침볼트(332)에 안착되는 배관(10)의 하중에 의해 각 행거(330)의 높낮이는 대략 유사한 높이를 이루면서 배관(10)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로만 실시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지지부재(200)의 경우 전술된 실시예에서는 1자형의 장형 볼트로 이루어짐을 그 예로 제시하고 있으나, 첨부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하우징(110)에는 하단이 링 형상의 고리로 형성된 아이볼트(11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200)의 상측 끝단은 라운드지게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아이볼트(111)의 고리에 걸려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형성된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한 지지부재(200)의 구조는 상기 지지부재(200)가 그의 끝단인 상기 아이볼트(111)와의 연결 부위를 회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기울어지도록 설치하여 첨부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간의 사이를 따라 설치되는 배관(10)을 양측에서 교차하면서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렇듯, 본 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는 전술된 실시예의 구조뿐 아니라 여타의 다양한 구조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는 배관(10)이 안착 설치되는 파지행거부(300)를 이루는 행거(330)가 그 상하에 위치된 두 탄력스프링(341,342)에 의해 상하 위치의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모든 배관지지대의 행거(330) 높이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다 하더라도 각 행거(330)의 받침볼트(332)에 안착되는 배관(10)의 하중에 의해 각 행거(330)의 높낮이는 대략 유사한 높이를 가지면서 배관(10)을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진 등에 의해 건물에 진동이 전달된다 하더라도 이러한 진동은 행거(330)의 상하에 위치된 두 탄력스프링(341,342)이 흡수를 함에 따라 배관(10)이 휘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은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는 매립결합부(100)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천장 구조물(20) 내에 매립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위치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모든 배관지지대의 파지행거부(300)에 대한 위치를 정확히 일치시키기가 용이하다.
10. 배관 20. 천장 구조물
30. 위치 고정용 와이어 100. 매립결합부
110. 너트하우징 111. 아이볼트
120. 폐쇄플레이트 130. 고리부재
131. 구속볼트 140. 폐쇄캡
200. 지지부재 300. 파지행거부
310. 상부조작너트 320. 하부조작너트
330. 행거 331. 관통설치단
332. 받침볼트 333. 배관덮개
333a. 제1통과공 333b. 제2통과공
334. 고정너트 341,342. 탄력스프링

Claims (5)

  1. 천장 구조물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결합부;
    상측 끝단이 상기 매립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천장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로 제공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측 부위에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배관을 파지하는 파지행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립결합부는
    내주면에 나사홈이 형성된 너트하우징과,
    상기 너트하우징의 상면을 폐쇄하는 폐쇄플레이트와,
    상기 폐쇄플레이트의 상면에 설치되면서 천장 구조물의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의 타설시 위치 고정용 와이어에 걸리도록 이루어진 고리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하우징에는 하단이 링 형상의 고리로 형성된 아이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상측 끝단은 절곡 형성되면서 상기 아이볼트의 고리에 걸려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하단측 부위의 둘레면이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장형 볼트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파지행거부는
    상기 지지부재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조작너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기 상부조작너트의 하측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하부조작너트와,
    상기 지지부재의 볼트 구조로 이루어진 하단측 부위 중 상기 상부조작너트와 하부조작너트 사이에 설치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와 각 조작너트들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코일형의 탄력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됨과 더불어 상기 각 조작너트 사이에서 각 탄력스프링에 의한 탄성력을 제공받도록 설치되는 관통설치단과,
    상기 관통설치단의 둘레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배관의 저부측 둘레를 받쳐주는 받침볼트와,
    일단은 상기 관통설치단의 상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지지부재가 관통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받침볼트에 받쳐진 배관의 상부측 둘레를 감싸면서 상기 받침볼트의 끝단에 결합되는 배관덮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KR1020170044879A 2017-04-06 2017-04-06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KR1019514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879A KR101951469B1 (ko) 2017-04-06 2017-04-06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879A KR101951469B1 (ko) 2017-04-06 2017-04-06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87A true KR20180113387A (ko) 2018-10-16
KR101951469B1 KR101951469B1 (ko) 2019-02-22

Family

ID=64132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879A KR101951469B1 (ko) 2017-04-06 2017-04-06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46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8820B1 (ko) 2019-02-23 2019-08-08 김현동 파이프 지지 장치
KR101997050B1 (ko) 2019-02-13 2019-10-01 송우정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102043735B1 (ko) 2019-05-09 2019-11-12 최상용 다기능 배관 지지 구조
KR102102359B1 (ko) 2019-12-16 2020-04-20 황용호 배관 지지 구조
KR20200144281A (ko) 2019-06-18 2020-12-29 비전파워텍(주) 전기 공사용 배관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1042B1 (ko) 2020-03-18 2021-01-11 대남이엔지 (주)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KR102384903B1 (ko) * 2020-07-01 2022-04-11 판테크내진 주식회사 제진기능을 갖는 배관 파이프용 행거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3420A (ja) * 1988-01-29 1989-08-03 Sanwa Tekki Corp 制振装置
KR100737995B1 (ko) * 2006-10-16 2007-07-12 박남영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080002087U (ko) 2008-06-04 2008-06-24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장치
KR100941154B1 (ko) 2007-08-06 2010-02-10 김성환 건축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지지장치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KR20160024890A (ko) 2016-02-15 2016-03-07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고정장치
KR101622648B1 (ko) 2014-10-06 2016-05-2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 및 방진 흡수용 배관지지가대
KR20160057359A (ko) 2016-04-20 2016-05-23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93420A (ja) * 1988-01-29 1989-08-03 Sanwa Tekki Corp 制振装置
KR100737995B1 (ko) * 2006-10-16 2007-07-12 박남영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100941154B1 (ko) 2007-08-06 2010-02-10 김성환 건축용 인서트 및 이를 이용한 배관 지지장치
KR20080002087U (ko) 2008-06-04 2008-06-24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장치
KR101531411B1 (ko) * 2014-08-07 2015-06-24 이인열 행거형 방진장치
KR101622648B1 (ko) 2014-10-06 2016-05-2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 및 방진 흡수용 배관지지가대
KR20160024890A (ko) 2016-02-15 2016-03-07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고정장치
KR20160057359A (ko) 2016-04-20 2016-05-23 김대식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7050B1 (ko) 2019-02-13 2019-10-01 송우정 개량형 배관지지구조
KR102008820B1 (ko) 2019-02-23 2019-08-08 김현동 파이프 지지 장치
KR102043735B1 (ko) 2019-05-09 2019-11-12 최상용 다기능 배관 지지 구조
KR20200144281A (ko) 2019-06-18 2020-12-29 비전파워텍(주) 전기 공사용 배관 지지 장치
KR102102359B1 (ko) 2019-12-16 2020-04-20 황용호 배관 지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1469B1 (ko) 2019-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469B1 (ko)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KR101712803B1 (ko) 내진기능을 갖는 천장용 행거장치
KR101870213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지지 행거
KR101804494B1 (ko) 방진수단이 구비된 배관용 행거
KR101709057B1 (ko) 배관 지지 행거
CN109630759B (zh) 具有三维减振功能的夹持型管道支架
KR101732043B1 (ko) 내진용 헹거
KR20160024890A (ko)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고정장치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CN112944046A (zh) 机电安装用抗震支吊架体系及其施工方法
CN112177415A (zh) 一种环形多方向布置的tmd系统
KR101781433B1 (ko) 천정 설비용 면진 연결구
KR101870212B1 (ko) 내진 및 방진용 배관 홀더
KR101942180B1 (ko) 내진용 파이프행거
CN108221669B (zh) 一种内置式缆索减振装置
KR102008820B1 (ko) 파이프 지지 장치
KR20130001712A (ko) 배관 거치대
JP2015025280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362437B1 (ko) 내진 케이블 트레이용 행거 연결장치
JP2016196756A (ja) 天井落下防止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2523942B1 (ko) 풀림방지 기능과 높낮이 조절부가 있는 풀림방지 건축행거
CN213088969U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抗震支吊架
KR20180015698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시설물 고정 장치
KR101910729B1 (ko) 배관 고정 장치
RU180950U1 (ru) Опора подвесная с сигнализатором нагрузки для участков подземной прокладк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