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1042B1 -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 Google Patents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1042B1
KR102201042B1 KR1020200033272A KR20200033272A KR102201042B1 KR 102201042 B1 KR102201042 B1 KR 102201042B1 KR 1020200033272 A KR1020200033272 A KR 1020200033272A KR 20200033272 A KR20200033272 A KR 20200033272A KR 102201042 B1 KR102201042 B1 KR 102201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fine
fine adjustment
bolt
micr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희남
길현상
Original Assignee
대남이엔지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남이엔지 (주) filed Critical 대남이엔지 (주)
Priority to KR1020200033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10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1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1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the transverse movement being converted to a rotational mov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37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and consisting of a flexible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 F16L3/205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 F16L3/205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having supporting springs the axis of each spring being parallel with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of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구조물 천장에 매입되는 앵커소켓부(10);와 상기 앵커소켓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지주부(20);, 상기 고정지주부의 일측에서 고정지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고정집게부(30); 및 상기 고정집게부(30)에 연결 구비되는 미세조절부;와 미세조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미세이동부;, 상기 미세이동부와 밀착 구비되어 미세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 상기 미세이동부 하단에 구비되어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고정집게부(30) 및 미세조절부를 활용한 배관지지서포트 행거 구성을 통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배관의 설치 및 보수, 철거 등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사기간 단축으로 인건비를 포함한 시공비 절감 등 경제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Apparatus for holding ceiling structure}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Ceiling)이나 벽체에 설치하여 건물에 필요한 설비의 각종 배관(P)을 공중에 안정적으로 거치하고, 배관을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배관 지지용 행거 서포트장치(Hanger support)에 관한 것이며, 이를 작업 시 탈착 및 조정이 용이한 구조로 구비하여 작업의 간편성을 확보하고, 이를 통해 시공기간 단축 및 경제성 확보의 효과를 도모하고, 또한, 지진이나, 외부 충격을 통해 배관(P)에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 완충하고, 감쇠할 수 있는 구조로 개선하여, 지진이나, 진동으로부터 설비 배관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배관 지지용 행거 서포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배관 지지 행거는 배관을 천장에 대해 지지하는 배관 지지행거로서, 상기 천장에 지지되고,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행거 몸체; 상기 행거 몸체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의 일측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 및 상기 베이스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배관의 타측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부재는 상기 행거 몸체의 연장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특허발명 002는 자동 결합형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천장이나 벽체에 설치하여 건물에 필요한 설비의 각종 배관을 공중에 매달아 거치할 때 배관을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공중 고소작업대에서 별도의 공구 사용없이 힘들이지 않고 체결할 수 있고 설치시에 행거 본체에 고정하려는 배관을 거치하면 자동으로 행거 본체가 결합 조립될 수 있는 자동 결합형 배관용 파이프 행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등에 고정 설치된 전산볼트와 나사결합되는 너트를 포함하는 지지브래킷과 연결부를 중심으로 벌어지고 합쳐져 배관을 감싸는 원형을 이루는 한 쌍의 반원밴드와 상기 지지브래킷과 한 쌍의 반원밴드를 결합하는 체결부재로 이루어진 행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반원밴드 중 일측의 반원밴드의 끝단에 타측의 반원밴드와 합쳐져 원형을 이룰때는 중첩되어 겹쳐지고 배관을 넣기 위해 개방시에는 내부로 상향 돌출되는 닫힘유도편을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한 쌍의 반원밴드와 지지브래킷을 원터치 고정핀에 의해 체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결합형 배관용 파이프 행거를 제공한다.
특허발명 003은 천장에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파이프가 장착되는 고정밴드 사이에 원터치로 조립이 가능한 결속유닛 및 체결소켓을 개재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보다 간단한 구성으로 생산 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있으며, 신속한 배관작업으로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배관용 행거 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건물의 천장에 장착되는 앵커볼트에 체결되어 각종 파이프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배관용 행거 클램프에 있어서, 천장에 한쪽 끝단이 매설 고정되는 앵커볼트와, 상기 앵커볼트에 끼워져 고정되도록 얇은 강판에 의해 절곡 성형된 상, 하판 내에 끼움공이 형성되어 있는 결속유닛과, 상기 결속유닛의 한쪽 측판에 형성된 고정공 내로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체결소켓과, 상기 체결소켓이 끼워지는 브라켓의 관통공 외측에 판스프링이 장착되어 체결소켓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파이프를 결속하기 위한 고정밴드로 이루어져 있다.
특허발명 004는 천장 구조물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결합부; 상측 끝단이 상기 매립결합부에 결합되면서 천장 구조물에 매달린 상태로 제공되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의 하단측 부위에 탄력적으로 상하 유동되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지지부재로부터 상하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배관을 파지하는 파지행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배관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함과 더불어 내진 구조를 이루도록 하며, 또한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정확한 고정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KR 10-1709057 B1 (등록일자 2017년02월16일) KR 10-1708779 B1 (등록일자 2017년02월15일) KR 10-0926329 B1 (등록일자 2009년11월04일) KR 10-1951469 B1 (등록일자 2019년02월18일)
일반적으로 아파트 및 빌딩 등 사람의 주거, 생산등의 활동을 위한 건축물에는 상하수도 시설, 전기시설 등의 설비구조물이 구비되게 된다. 이러한 설비구조물은 사람의 동선 및 공간활용에 제약되지 않게 천장(Ceiling)에 인접하게 설치하게 되는데, 천장에 설비구조물을 설치하는 공정 및 작업환경이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실 예로 천장에 설치되는 설비구조물은 통상 천장 구조물을 완공한 이후 해당 천장 구조물의 저면에 별도의 결합구조물을 사전 천장 구조물에 매입시킨 엥커에 결합을 통해 체결한 다음 설비구조물을 결합하는 공정으로 진행되는데, 설비구조물을 결합구조물에 거치시키는 작업 및 높이 조절을 통해 연속되는 배관(P)의 레벨을 조정해야하는 작업들은 오로지 작업자의 숙련도에 의해서 결정되어, 소요되는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예측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한 공사기간의 증가, 인건비의 증가는 결국 시공비용의 증가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 현실이다.
종래의 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P)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구조물 천장에 매입되는 앵커소켓부;와 상기 앵커소켓부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지주부;, 상기 고정지주부의 일측에서 고정지주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고정집게부; 및 상기 고정집게부에 연결 구비되는 미세조절부;와 미세조절부에 삽입되는 것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미세이동부;, 상기 미세이동부와 밀착 구비되어 미세이동부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60);, 상기 미세이동부 하단에 구비되어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상기 고정집게부는 두 개의 결속부재(301);가 결합되어 폐합되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결속부재(301)의 일측은 경첩의 형태로 핀결합;되고, 상기 결속부재(301)의 타측은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두 개의 결속부재(301)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을 통해 고정지주부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상기 고정집게부에 연결 구비되는 상기 미세조절부는 고정집게부로부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상기 미세조절부에는 관통삽입홀(401); 및 상기 관통삽입홀에 인접하여 연장된 형태로 볼트삽입홈;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삽입홀;에는 등간격으로 타공홀(501);이 구비된 미세이동부;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볼트삽입홈;에는 상기 볼트부;가 삽입되되, 상기 볼트부의 나사산이 미세이동부의 타공홀(501)에 일부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볼트부의 회전을 통해 미세이동부의 이동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상기 밴드부는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되, 배관과 밴드부 사이에 진동감쇠를 위한 고무패드(70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상기 밴드부;와 미세이동부; 사이에는 배관진동을 수용하고 제어하기 위한 댐퍼부(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퍼부의 동작은 스프링;과 실리콘 퍼티(Silicone putty);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고정집게부 및 미세조절부를 활용한 배관지지서포트 행거 구성을 통해 작업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작업이 가능하여, 배관의 설치 및 보수, 철거 등 작업시간을 현저히 줄일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사기간 단축으로 인건비를 포함한 시공비 절감 등 경제성이 탁월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 단면도.
도 3 및 4는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의 댐퍼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행거서포트가 장착된 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에 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구조물 천장에 매입되는 앵커소켓부(10);와 상기 앵커소켓부(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지주부(20);, 상기 고정지주부(20)의 일측에서 고정지주부(20)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고정집게부(30); 및 상기 고정집게부(30)에 연결 구비되는 미세조절부(40);와 미세조절부(40)에 삽입되는 것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미세이동부(50);, 상기 미세이동부(50)와 밀착 구비되어 미세이동부(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60);, 상기 미세이동부(50) 하단에 구비되어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밴드부(7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1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P) 지지 행거 서포트(1)에 관한 것으로, 서포트 장치 구성에 있어서, 배관지지행거 서포트 구성은 구조물 천장에 타공을 퉁해 선 매입된 앵커소켓부(10)가 구비된다. 상기 앵커소켓부(10)는 통상의 볼트연결을 위한 앵커소켓구성으로 상기 앵커소켓부(10)에는 나사결합되는 고정지주부(20)가 삽입되게 된다. 상기 고정지주부(20)는 통상의 전산볼트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정지주부(20)는 천장 앵커소켓부(10)에 체결되어 통상 바닥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형태로 구비되며, 배관의 배치방향을 고려하여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된다. 상기 고정지주부(20)에는 배관지지를 위한 구조체로서 고정집게부(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고정집게부(30)는 최종적으로 고정지주부(20)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어 배관하중을 고정지주부(20)로 안정적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집게부(30)에는 고정집게부(30)에 연결되는 형태로 미세조절부(40)가 구비된다. 미세조절부(40)는 고정집게부(30)를 대략적인 고정지주부(20)의 일정 위치에 결속한 후 미세한 높이 조절을 위해 구비되고, 이를 위해 미세조절부(40)에는 실제 이동을 통해 높낮이 이동되는 미세이동부(50)와 미세이동부(50)의 높낮이 위치를 조절하는 볼트부(60)가 미세이동부(50)에 밀착되어 구비되고, 상기 미세이동부(50)의 하단에 위치하여 배관(P)을 직접 지지하는 링형상의 밴드부(70)가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부(30)는 두 개의 결속부재(301);가 결합되어 폐합되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결속부재(301)의 일측은 경첩의 형태로 핀결합;되고, 상기 결속부재(301)의 타측은 체결부재(302);가 구비되어 두 개의 결속부재(301)가 상기 체결부재(302)의 결합을 통해 고정지주부(20)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2는 고정집게부(30)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부(30)는 고정지주부(20)와의 결합을 통해 최종적으로 배관하중을 안정적으로 천장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능과 동시에 작업자의 숙련도에 구애받지 않고, 손쉽게 체결 및 탈거가 가능하도록 통상의 너트결합구성이 아닌 집게 형상의 고정집게부(30)를 활용하여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집게부(30)는 두 개 이상의 결속부재(301)를 활용하여 최종적으로 고정지주부(20)를 감싸는 형태(폐합)로 결속이 돠도록 구비하고, 이를 위해 결속부재(301)의 일측은 경첩(핀 결합)형태로 결합이 되어 손쉽게 벌어지거나, 오므려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결속부재(301)가 3개 이상으로 결합되는 경우 결속부재(301)는 통상의 링크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속부재(301)에는 결속부재(301)간 결합을 위해 체결부재(302)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부재(302)는 통상의 볼트/너트 결합일 수 있고, 클립형 또는 클램프형 일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302)를 통해 결속부재(301)를 폐합하게 되고, 결속부재(301) 폐합을 통해 고정지지부를 지지하게 된다. 고정지지부와의 결합력은 체결부재(302)의 체결정도에 따라서 손쉽게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부(30) 내면 형상은 고정지주부(20)의 외면 형상에 대응되게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3은 고정집게부(30)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부(30) 및 상기 고정지주부(20)간 체결력 향상을 위해 고정지주부(20) 즉, 전산볼트 외면의 나사산 형상에 대응되게 고정집게부(30) 내면의 형상을 한정 할 수 있다. 이로써 상호 결합되는 단면적 증가 및 돌기/홈 결합으로 전단저항이 확보되는 것으로 체결력이 향상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2)는 고정지주부(20)와의 결합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토크렌치(torque wrench)를 활용하여 일정 토크(torque) 이상값을 확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4는 체결부재(302)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2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302)는 체결 시 토크값 확인을 위해 토크렌치를 활용할 수 있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부(30)에 연결 구비되는 상기 미세조절부(40)는 고정집게부(3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1은 미세조절부(40)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부(30)에는 상기 미세조절부(40)가 구비되는데, 상기 미세조절부(40)는 고정집게부(30)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미세조절부(40)의 회전각도조절이 가능하여 지지되는 배관의 경사, 절곡등 형상에 구애받지 않고 미세조절부(40)에 결합되는 구조물을 연결할 수 있다. 미세조절부(40)가 고정집게부(30)에 회전이 가능하게 연결되기 위해 고정집게부(30)와 리벳결합 또는 볼트/너트결합 등 1포인트 결합을 통해 가능하고, 회전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두 부재 사이에 베어링 또는 테프론(Tefron)마찰재 등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부(40)에는 관통삽입홀(401); 및 상기 관통삽입홀(401)에 인접하여 연장된 형태로 볼트삽입홈(402);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삽입홀(401);에는 등간격으로 타공홀(501);이 구비된 미세이동부(50);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볼트삽입홈(402);에는 상기 볼트부(60);가 삽입되되, 상기 볼트부(60)의 나사산이 미세이동부(50)의 타공홀(501)에 일부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볼트부(60)의 회전을 통해 미세이동부(50)의 이동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2는 미세조절부(40)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미세조절부(40)는 고정집게부(30)를 대략적인 고정지주부(20) 일정 위치에 결속한 후 미세한 높이 조절을 위해 구비되고, 이를 위해 미세조절부(40)에는 실제 이동을 통해 높낮이 이동되는 미세이동부(50)와 미세이동부(50)의 높낮이 위치를 직접조절하는 볼트부(60)가 미세이동부(50)에 밀착되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미세조절부(40)에 관통삽입홀(401) 및 볼트삽입홈(402)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삽입홀(401)에는 관통삽입홀(401)의 길이방향 등간격으로 타공홀(501)이 형성된 미세이동부(50)가 삽입 형성되고, 상기 관통삽입홀(401)에 인접하여 연장된 형태로 구비된 볼트삽입홈(402)에는 돌출된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부(60)가 삽입 형성되어, 미세이동부(50)의 타공홀(501)에 볼트부(60)의 나사산이 일부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상호 거동에 간섭되게 되는 것이고, 결과적으로 볼트의 회전을 통해 미세이동부(50)의 이동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70)는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되, 배관(P)과 밴드부(70) 사이에 진동감쇠를 위한 고무패드(70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상기 고무패드(701)는 고감쇠 고무(high damping rubber)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3-1, 3-2는 밴드부(70)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70)는 배관의 단면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배관과 상기 밴드부(70) 사이에는 상시 풍하중 등에 의한 견물 진동 시 배관(P)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진동을 저감시키기 위해 고무패드(701)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고무패드(701)는 진동감쇠능력 향상을 위해 고감쇠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70);와 미세이동부(50); 사이에는 배관진동을 수용하고 제어하기 위한 댐퍼부(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퍼부(80)의 동작은 스프링(802);과 실리콘 퍼티(803)(Silicone putty);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1은 댐퍼부(80)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70)와 미세이동부(50) 사이에는 배관진동을 수용하고, 제어하기 위한 댐퍼부(80)가 더 포함된다. 상기 댐퍼부(80)에는 스프링(802);구성이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스프링(802)은 압축 및 인장의 형상으로 진동을 제어하는데 효과적이지만, 자칫 진동주기가 일치할 경우 진폭이 증가하여 오히려 배관 지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제어하기 위해 스프링(802)이 내재된 공간에 실리콘 퍼티(803)를 적용하여 진동의 주기에 따른 배관 진동 저항이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시 장주기의 풍하중 등의 외력에 의한 진동은 스프링(802)에 의해 제어되도록 하고, 지진등 단주기의 외력에 의한 배관진동은 실리콘 퍼티(803)의 속도의존성에 따른 강성으로 저항하도록 하여 장주기 및 단주기 진동 모두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하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80)는 스프링(802)과 실리콘 퍼티(803)를 인입하는 함체부(801); 및 함체부(801) 상단에는 미세이동부(50)와의 고정을 위한 상단체결홀;과 함체부(801) 하단에는 밴드부(70)와의 고정을 위한 하단체결홀;이 구비되고, 함체부(801) 내에는 스프링(802)과 실리콘 퍼티(803)가 상호 결합된 형태로 구비된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2는 댐퍼부(80)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80)는 스프링(802) 및 실리콘 퍼티(803)를 수용하는 함체부(801)가 구비되고, 함체부(801) 상, 하단에는 각각 미세이동부(50) 및 밴드부(70)외의 고정을 위한 상단체결홀 및 하단체결홀이 구비되게 된다. 상기 함체부(801)는 내부의 스프링(802) 및 실리콘 퍼티(803)를 압축 또는 인장하는 형태로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퍼티(803)는 속도의존성(dependency on velocity);을 갖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4-3은 실리콘 퍼티(803)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댐퍼부(80)의 거동에 있어서 장주기의 진동에서는 실리콘 퍼티(803)가 스프링(802)보다 약한 강성을 발현하여 스프링(802)이 진동을 제어하고, 단주기의 진동에서는 실리콘 퍼티(803)가 스프링(802)보다 강한 강성을 발현하여 진동을 제어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 상기 실리콘 퍼티(803)는 낮은속도 및 느린충격에서는 변형을 수용하고, 높은 속도 및 빠른충격에서는 변형에 저항하는 성질을 포함하고 있어, 장주기의 진동에서는 변형되고, 지진과 같은 순간적인 단주기의 진동에서는 변형에 저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에 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801)의 상단체결홀 및/또는 하단체결홀은 볼형상의 구면체결부재;를 결합하는 것으로 배관 지지 서포트 구조의 전방향 회전변위를 수용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5-1은 구면체결부재에 관한 것으로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함체부(801)의 상단체결홀 및/또는 하단체결홀에는 배관지지 서포트 구성의 회전을 수용하기 위해 볼(ball) 또는 반구(hemisphere) 형상의 구면체결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한다.
1 : 행거 서포트
10 : 앵커소켓부
20 : 고정지주부
30 : 고정집게부
301 : 결속부재 302 : 체결부재
40 : 미세조절부
401 : 관통삽입홀 402 : 볼트삽입홈
50 : 미세이동부
501 : 타공홀
60 : 볼트부
70 : 밴드부
701 : 고무패드
80 : 댐퍼부
801 : 스프링 802 : 실리콘 퍼티
P : 배관
C : 천장

Claims (6)

  1.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1)구성에 있어서,
    구조물 천장에 매입되는 앵커소켓부(10);
    상기 앵커소켓부(10)에 나사결합되는 고정지주부(20);
    상기 고정지주부(20)의 일측에서 고정지주부(20)를 감싸는 형태로 결속되는 고정집게부(30);
    상기 고정집게부(30)에 연결 구비되는 미세조절부(40);
    미세조절부(40)에 삽입되는 것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한 미세이동부(50);
    상기 미세이동부(50)와 밀착 구비되어 미세이동부(50)의 높이를 조절하는 볼트부(60);
    상기 미세이동부(50) 하단에 구비되어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는 밴드부(70);
    상기 고정집게부(30)는 두 개의 결속부재(301)가 결합되어 폐합되는 형태로 구비되되, 상기 결속부재(301)의 일측은 경첩의 형태로 핀결합되고, 상기 결속부재(301)의 타측은 체결부재가 구비되어 두 개의 결속부재(301)가 상기 체결부재의 결합을 통해 고정지주부(20)를 가압 고정하는 것;
    상기 미세조절부(40)에는 관통삽입홀(401) 및 상기 관통삽입홀(401)에 인접하여 연장된 형태로 볼트삽입홈(402)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삽입홀(401)에는 등간격으로 타공홀(501)이 구비된 미세이동부(50)가 관통 삽입되고, 상기 볼트삽입홈(402)에는 상기 볼트부(60)가 삽입되되, 상기 볼트부(60)의 나사산이 미세이동부(50)의 타공홀(501)에 일부 삽입 형성되는 것으로 볼트부(60)의 회전을 통해 미세이동부(50)의 이동높이를 미세하게 조절하는 것;을 포함하는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집게부(30)에 연결 구비되는 상기 미세조절부(40)는 고정집게부(30)로부터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70)는 배관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되되, 배관과 밴드부(70) 사이에 진동감쇠를 위한 고무패드(70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70);와 미세이동부(50); 사이에는 배관진동을 수용하고 제어하기 위한 댐퍼부(8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댐퍼부(80)의 동작은 스프링(802);과 실리콘 퍼티(803)(Silicone putty);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하는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KR1020200033272A 2020-03-18 2020-03-18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KR102201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72A KR102201042B1 (ko) 2020-03-18 2020-03-18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72A KR102201042B1 (ko) 2020-03-18 2020-03-18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1042B1 true KR102201042B1 (ko) 2021-01-11

Family

ID=7412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272A KR102201042B1 (ko) 2020-03-18 2020-03-18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10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833A (ko) 2021-12-02 2023-06-09 김창기 길이 및 그립 크기의 가변형 배관 지지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546A (ko) * 1998-04-20 1998-11-25 남효갑 파이프행거
KR200310163Y1 (ko) * 2003-01-14 2003-04-16 주식회사 중앙Cmi 높이 조절수단을 파이프 고정장치
KR100926329B1 (ko) 2007-03-19 2009-11-12 구성회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20110007865U (ko) * 2010-02-02 2011-08-10 박재복 호스 밴드
KR20140050438A (ko) * 2012-10-19 2014-04-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배관 지지용 행거
KR101708779B1 (ko) 2015-07-30 2017-02-21 임성법 자동 결합형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709057B1 (ko) 2016-09-08 2017-02-22 김계식 배관 지지 행거
KR20180113692A (ko) * 2017-04-07 2018-10-17 기언관 내진용 파이프행거
KR101951469B1 (ko) 2017-04-06 2019-02-22 기언관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1546A (ko) * 1998-04-20 1998-11-25 남효갑 파이프행거
KR200310163Y1 (ko) * 2003-01-14 2003-04-16 주식회사 중앙Cmi 높이 조절수단을 파이프 고정장치
KR100926329B1 (ko) 2007-03-19 2009-11-12 구성회 배관용 행거 클램프
KR20110007865U (ko) * 2010-02-02 2011-08-10 박재복 호스 밴드
KR20140050438A (ko) * 2012-10-19 2014-04-29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배관 지지용 행거
KR101708779B1 (ko) 2015-07-30 2017-02-21 임성법 자동 결합형 배관용 파이프 행거
KR101709057B1 (ko) 2016-09-08 2017-02-22 김계식 배관 지지 행거
KR101951469B1 (ko) 2017-04-06 2019-02-22 기언관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KR20180113692A (ko) * 2017-04-07 2018-10-17 기언관 내진용 파이프행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833A (ko) 2021-12-02 2023-06-09 김창기 길이 및 그립 크기의 가변형 배관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60162A (en) Seismic brake
KR101804494B1 (ko) 방진수단이 구비된 배관용 행거
WO2005061819A1 (en) Safety device for a fall restraint
CN209146508U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抗震支吊架
EP2302144A3 (en) Frictional damper for damping movement of structures
KR102201042B1 (ko) 탈착 및 미세조정이 용이한 배관 지지 행거 서포트
US20080202846A1 (en) Device and method for dampening sound transmission and vibration
CN108548012A (zh) 一种新型单杆万向抗震支吊架
JP2012127438A (ja) 吊下げ式防振具
CN110541509A (zh) 一种幕墙板安装角度可调的幕墙及角度调节方法
KR101781433B1 (ko) 천정 설비용 면진 연결구
KR101866864B1 (ko) 소방용 배관의 내진 클램핑장치
JP5027490B2 (ja) 耐震天井構造、天井制震装置及び天井制震装置の取付方法
KR101826481B1 (ko) 실외기용 방진 구조물 설치 방법
KR102454872B1 (ko) 스프링을 이용한 내진용 외장재 고정장치
CN209654740U (zh) 隔震层管道万向滑轮支座
CN113324146A (zh) 一种便于安装的工业机器人用底座
KR101964662B1 (ko) 부스덕트용 내진장치
JP3363742B2 (ja) 免震構造建築物の配管保持構造
KR200352084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천정재 행거
KR102422314B1 (ko) 건축 설비용 행거의 내진 장치
CN219011646U (zh) 一种用于幕墙安装的支撑定位装置
CN216279783U (zh) 一种机电工程使用的快速抗震支吊架
CN218625772U (zh) 一种抗震支架
JP2003336683A (ja) 制振装置における制振体の固有振動数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