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7359A -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 Google Patents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7359A
KR20160057359A KR1020160048385A KR20160048385A KR20160057359A KR 20160057359 A KR20160057359 A KR 20160057359A KR 1020160048385 A KR1020160048385 A KR 1020160048385A KR 20160048385 A KR20160048385 A KR 20160048385A KR 20160057359 A KR20160057359 A KR 201600573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ismic wave
shock
absorb
hole
r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2080B1 (ko
Inventor
김대식
Original Assignee
김대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식 filed Critical 김대식
Priority to KR1020160048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208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7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7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20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20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1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 F16L3/2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with special provision allowing movement of the pipe allowing movement in transverse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파를 빠르게 흡수하여 지진파로부터 배관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주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와;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지진파흡수수단(106)과;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와; 상기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지진파흡수수단(110)과; 상기 제1지진파흡수수단(106)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수직챤넬(112)과; 상기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수직챤넬(114)과; 상기 제1수직챤넬(112)과 제2수직챤넬(114) 사이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평챤넬(116)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진용 배관지지가대{PIPE SUPPORTING FRAME FOR EARTHQUAKE-PROOF CONSTRUCTION}
본 발명은 배관지지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파를 빠르게 흡수하여 지진파로부터 배관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주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래식 배관 시공법은 일반 형강류인 "ㄱ"형, "ㄷ"형, "I"형, "H"형 등의 형강류를 작업 현장에서 산소절단 또는 스피드 커터(Speed Cutter) 등으로 절단하여 용접한 뒤 이를 배관 지지대로 사용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법은 기존의 형강류를 현장에 반입하여 녹막이 도장을 실시하는 것으로 해서 완성단계인 보온공사까지 다단계의 공정을 거쳐야만 함으로써 작업자가 현장에서 배관지지가대를 조립 시 작업시간의 증대와 조립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용접에 의한 시공법은 환경오염은 물론 전기 감전사고의 염려가 있고, 시공 공정이 많아 작업기피 현상과 함께 화재발생의 우려가 있으며, 공기지연과 현장의 자재소모 및 공구류의 낭비가 심하고, 원가상승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프레임을 연결하여 천정면에 고정하는 배관지지가대가 안출되어 있다.
이러한 배관지지가대의 일예로서, 특허등록 제10-0780079호에 일체형 천정 배관 가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단이 인서트 플레이트 및 브래킷에 의해 건축물의 천정에 결속되는 찬넬과, 상기 찬넬 상에 배관지지를 위해 설치되는 클램프 슈로 이루어진 천정형 배관 가대로써, 상기 찬넬은 배관이 지지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쪽으로부터 일체로 상향 절곡되어 천정에 결속되는 수직부로 구성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특허등록 제10-0807826호에 천정형 배관 가대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상단이 인서트 플레이트 및 브래킷에 의해 건축물의 천정에 결속되는 한 쌍의 수직찬넬과, 상기 수직찬넬의 하단에 이음구에 의해 조립되는 수평찬넬과, 상기 수평찬넬 상에 배관지지를 위해 설치되는 클램프 슈로 이루어진 천정형 배관 가대로써, 상기 수직찬넬 및 수평찬넬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엠보싱부를 형성하고; 상기 이음구는 상기 수평찬넬을 지지하는 수평요소와 상기 수직찬넬을 지지하는 수직요소를 ㄱ자 형태로 용접하여 구성하되, 수평요소와 수직요소의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엠보싱부를 형성함과 함께 상기 수직요소에 상기 수직찬넬의 개구부에 인입되어 개구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구비하며 상기 브래킷의 일부 또는 전면에 오목 또는 볼록한 엠보싱부가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조립하여 설치함에 따른 작업효율성은 기대할 수 있는 반면에, 천정면에 설치되는 인서트 플레이트와 수직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브라켓이 서로 볼트와 너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각각의 구성요소들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성 저하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천정면에 매설된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에 연결브라켓을 작업자가 볼트와 너트로 조립하여 설치하는 과정에서 높게 설치된 인서트 플레이트에 의해 작업시간이 지연되고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들의 경우 수평프레임을 지지하기 위해 2개의 수직프레임이 서로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연결브라켓에 의해 인서트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지지되는 바, 종래 연결브라켓의 경우에 결합되는 수직프레임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어 작업여건에 따라 2개의 수직프레임의 간격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천정면에 설치된 인서트 플레이트의 위치를 가변시켜 재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질적으로 천정면을 형성하기 위해 타설되는 콘크리트 내부에 상부측이 매설된 인서트 플레이트를 재설치하기 어렵기 때문에, 천정면에 매설된 인서트 플레이트는 그대로 두고, 새로운 인서트 플레이트를 앙카볼트등으로 천정면에 설치하는 또다른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작업시간의 지연과 함께 작업효율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배관지지가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9년 11월 20일자 출원번호 제20-2009-0015060호(발명의 명칭 : 개량 배관지지가대)가 출원되어 있으며, 청구범위는 "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11)에 매설되는 인서트 플레이트(10)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0)의 하부측에 위치되는 연결브라켓(20)과, 상기 연결브라켓(20)의 내측에 상부가 인입되어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되어 연결되는 2개의 수직프레임(30)(30)과, 상기 2개의 수직프레임(30)(30)의 하부 양측에 양측단이 각각 연결되어 볼트(B)와 너트(N)에 의해 체결되는 수평프레임(40)으로 구성되는 배관지지가대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20)은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0)의 하면에 상부가 밀착되어 용접작업에 의해 형성되는 용착부(21)에 의해 용착되어 상기 인서트 플레이트(10)와 일체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부가 내측으로 인입되어 체결될 때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2개의 체결면(22)(23)이 형성되며, 상기 2개의 체결면(22)(23)에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결합공(31)에 대응되는 체결공(24)(25)이 각각 통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 배관지지가대. " 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개량 배관지지가대는 지진파를 빠르게 흡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배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파를 빠르게 흡수하여 지진파로부터 배관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주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와;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지진파흡수수단(106)과;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와;
상기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지진파흡수수단(110)과;
상기 제1지진파흡수수단(106)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수직챤넬(112)과;
상기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수직챤넬(114)과;
상기 제1수직챤넬(112)과 제2수직챤넬(114) 사이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평챤넬(116)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는 지진파를 빠르게 흡수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진파로부터 배관의 충격을 최소화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지진파흡수수단을 확대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지진파흡수수단의 요부 분해도,
도 6은 도 5의 수직연결수단을 확대한 도면,
도 7은 도 5의 수직연결수단의 분해도,
도 8은 도 3의 하부지지수단을 확대한 도면,
도 9는 도 3의 하부지지수단의 분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도 11의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지진파흡수수단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지진파흡수수단의 요부 분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수직연결수단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5의 수직연결수단의 분해도이며, 도 8은 도 3의 하부지지수단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3의 하부지지수단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100)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와;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지진파흡수수단(106)과;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와;
상기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지진파흡수수단(110)과;
상기 제1지진파흡수수단(106)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수직챤넬(112)과;
상기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수직챤넬(114)과;
상기 제1수직챤넬(112)과 제2수직챤넬(114) 사이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평챤넬(11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지진파흡수수단(106, 110)은,
상기 인서트플레이트(104, 108)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상부지지수단(118)과;
상기 상부지지수단(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위치되되, 상기 수직챤넬(112, 114)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지지수단(120)과;
상기 상부지지수단(118)과 하부지지수단(12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지지수단(120)을 통해 수직챤넬(112, 114)의 상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직연결수단(1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지지수단(118)은,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용홈(124)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홈(124)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도넛형 상부링판(126)과;
상기 수용홈(124)의 관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볼트(128)와;
상기 도넛형 상부링판(126)에 나사 결합 되어 수용홈(124)에 수용된 결합볼트(128)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이탈방지판(130)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지지수단(120)은,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돌기부(132)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132)에 관통공을 구비하되, 결합볼트(128)에 나사 결합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과;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의 저면에 나사 결합 됨과 동시에 결합볼트(128)에 나사 결합 되되,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연결수단(122)은,
도넛형 상부링판(126)의 관통공과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의 관통공 사이에 위치되되,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의 수직통(138)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의 관(140)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재질의 관(14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와셔(142)와;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와셔(142)의 상면에 위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여 좌,우 흔들림을 감쇄하는 제1베어링(144)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베어링(144)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2와셔(146)와;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2와셔(146)의 상면에 위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여 좌,우 흔들림을 감쇄하는 제2베어링(148)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2베어링(148)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3와셔(150)와;
상기 제3와셔(150)와 제2베어링(148)과 제2와셔(146)와 제1베어링(144)과 제1와셔(142)와 탄성재질의 관(140) 및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을 통해 수직챤넬(112, 114)의 상부에 나사 결합 되어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을 고정시켜 주는 수직볼트(152)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부지지수단(120)은,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과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 사이에 위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154)와;
상기 스프링(154)의 상면에 위치되어 위치되는 고무부재(156)와;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 스프링(154), 고무부재(156) 및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통해 너트(158)에 결합 되어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에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결합시켜 주는 볼트(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100)의 조립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조립과정은 조립자에 따라 얼마든지 설치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먼저, 제1인서트플레이트(104)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에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상부지지수단(118)과 하부지지수단(120) 및 수직연결수단(122)을 포함한 제1지진파흡수수단(106)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로부터 제2인서트플레이트(108)를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에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상부지지수단(118)과 하부지지수단(120) 및 수직연결수단(122)을 포함한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을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지진파흡수수단(106, 110)의 조립과정을 좀 더 살펴보면,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도넛형 하부핑판(136)의 상면에, 내부 중앙에 관통공, 돌기부(132) 및 상기 돌기부(132)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과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 사이에 스프링(15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스프링(154)의 상면에 고무부재(156)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볼트(160)와 너트(158)를 이용하여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에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의 관통공에,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탄성재질의 관(140), 제1와셔(142), 제1베어링(144), 제2와셔(146), 제2베어링(148), 제3와셔(15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수직볼트(152)를 위치시킨 후, 상기 수직볼트(152)를 제3와셔(150)와 제2베어링(148)과 제2와셔(146)와 제1베어링(144)과 제1와셔(142)와 탄성재질의 관(140) 및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을 통해 수직챤넬(112, 114)의 상부에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상측에, 내부 중앙에 관통공, 수용홈(124) 및 상기 수용홈(124)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도넛형 상부링판(126)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124)의 관통공에 결합볼트(128)를 수용시킴과 동시에 상기 결합볼트(128)를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에 나사 결합한다.
그리고, 이탈방지판(130)을 수용홈(124)의 상측에 위치시킨 후, 상기 이탈방지판(130)을 도넛형 상부링판(126)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제1지진파흡수수단(106) 및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의 조립이 완료되면,
제1수직챤넬(112)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지진파흡수수단(106)에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수직챤넬(112)을 설치한다.
그리고, 제2수직챤넬(114)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에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수직챤넬(114)을 설치한다.
그리고, 수평챤넬(116)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수직챤넬(112)과 제2수직챤넬(114) 사이에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평챤넬(116)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와 제2인서트플레이트(108)를 천정에 매립시킨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챤넬(116)에 배관고정부(200)를 설치한 후, 상기 배관고정부(200)에 배관(202)을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배관고정부(200)에 배관(202)이 설치된 후, 지진파에 의해 구조물에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와 제1수직챤넬(112) 사이에 설치된 제1지진파흡수수단(106)이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지진파의 충격을 분산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와 제2수직챤넬(114) 사이에 설치된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이 진동을 흡수함과 동시에 지진파의 충격을 분산시켜 준다.
여기서, 상기 지진파흡수수단(106, 110)의 동작을 좀 더 살펴 보면,
먼저, 도넛형 상부링판(126),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 및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은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함과 동시에 지진파의 충격을 분산시켠 준다.
그리고, 상기 도넛형 상부링판(126)과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 사이에 위치된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은 상,하부로 움직이면서 지진파의 충격을 빠르게 흡수한다.
도 11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용 배관지지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수평챤넬(116)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104 : 제1인서트플레이트
106 : 제1지진파흡수수단
108 : 제2인서트플레이트
110 : 제2지진파흡수수단
112 : 제1수직챤넬
114 : 제2수직챤넬
116 : 수평챤넬
118 : 상부지지수단
120 : 하부지지수단
122 : 수직연결수단

Claims (6)

  1.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와;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지진파흡수수단(106)과;
    상기 제1인서트플레이트(104)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콘크리트 타설에 의해 형성된 천정면에 매설되는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와;
    상기 제2인서트플레이트(108)에 연결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지진파흡수수단(110)과;
    상기 제1지진파흡수수단(106)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수직챤넬(112)과;
    상기 제2지진파흡수수단(110)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수직챤넬(114)과;
    상기 제1수직챤넬(112)과 제2수직챤넬(114) 사이에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평챤넬(11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파흡수수단(106, 110)은,
    상기 인서트플레이트(104, 108)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상부지지수단(118)과;
    상기 상부지지수단(118)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위치되되, 상기 수직챤넬(112, 114)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지지수단(120)과;
    상기 상부지지수단(118)과 하부지지수단(120)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하부지지수단(120)을 통해 수직챤넬(112, 114)의 상부에 나사 결합 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수직연결수단(122)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지지수단(118)은,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수용홈(124)을 구비하되, 상기 수용홈(124)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도넛형 상부링판(126)과;
    상기 수용홈(124)의 관통공에 착탈 가능하게 수용되는 결합볼트(128)와;
    상기 도넛형 상부링판(126)에 나사 결합 되어 수용홈(124)에 수용된 결합볼트(128)의 이탈을 방지해 주는 이탈방지판(130)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수단(120)은,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돌기부(132)을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132)에 관통공을 구비하되, 결합볼트(128)에 나사 결합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과;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의 저면에 나사 결합 됨과 동시에 결합볼트(128)에 나사 결합 되되,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연결수단(122)은,
    도넛형 상부링판(126)의 관통공과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의 관통공 사이에 위치되되,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의 수직통(138)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내부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여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탄성재질의 관(140)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탄성재질의 관(140)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1와셔(142)와;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와셔(142)의 상면에 위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여 좌,우 흔들림을 감쇄하는 제1베어링(144)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1베어링(144)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2와셔(146)와;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2와셔(146)의 상면에 위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여 좌,우 흔들림을 감쇄하는 제2베어링(148)과;
    상기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의 내부에 위치되되, 상기 제2베어링(148)의 상면에 위치되는 제3와셔(150)와;
    상기 제3와셔(150)와 제2베어링(148)과 제2와셔(146)와 제1베어링(144)과 제1와셔(142)와 탄성재질의 관(140) 및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을 통해 수직챤넬(112, 114)의 상부에 나사 결합 되어 탄성재질의 수직통(138)을 고정시켜 주는 수직볼트(152)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6. 제 2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수단(120)은,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과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 사이에 위치되어 지진파의 충격을 흡수하는 스프링(154)과;
    상기 스프링(154)의 상면에 위치되어 위치되는 고무부재(156)와;
    상기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 스프링(154), 고무부재(156) 및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통해 너트(158)에 결합 되어 제1도넛형 하부링판(134)에 제2도넛형 하부링판(136)을 결합시켜 주는 볼트(160)를 더 포함한다.
KR1020160048385A 2016-04-20 2016-04-20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KR1018720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85A KR101872080B1 (ko) 2016-04-20 2016-04-20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385A KR101872080B1 (ko) 2016-04-20 2016-04-20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7359A true KR20160057359A (ko) 2016-05-23
KR101872080B1 KR101872080B1 (ko) 2018-07-31

Family

ID=5610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385A KR101872080B1 (ko) 2016-04-20 2016-04-20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208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75U (ko) * 2016-09-13 2016-10-04 김대식 경사진 천장에 설치가 용이한 배관용 내진장치
KR101840864B1 (ko) * 2017-12-29 2018-03-21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건축구조물 전기배관 안전장치
KR20180113387A (ko) 2017-04-06 2018-10-16 기언관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KR20190021917A (ko) 2017-08-24 2019-03-0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배관 연결 지지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658A (ko) * 2010-07-21 2010-08-1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형 조립식 배관지지가대
KR20150000444A (ko) * 2014-10-06 2015-01-02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 및 방진 흡수용 배관지지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8658A (ko) * 2010-07-21 2010-08-10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형 조립식 배관지지가대
KR20150000444A (ko) * 2014-10-06 2015-01-02 성화시스템챤넬(주) 내진 및 방진 흡수용 배관지지가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3375U (ko) * 2016-09-13 2016-10-04 김대식 경사진 천장에 설치가 용이한 배관용 내진장치
KR20180113387A (ko) 2017-04-06 2018-10-16 기언관 건물용 내진형 배관지지대
KR20190021917A (ko) 2017-08-24 2019-03-06 한국안전기술주식회사 배관 연결 지지장치
KR101840864B1 (ko) * 2017-12-29 2018-03-21 주식회사 신원기술단 건축구조물 전기배관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2080B1 (ko) 2018-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080B1 (ko) 내진용 배관지지가대
KR101721362B1 (ko) 내진용 체인 챤넬시스템
KR200388694Y1 (ko) 충격흡수용 배관지지가대
KR101622648B1 (ko) 내진 및 방진 흡수용 배관지지가대
KR101759163B1 (ko) 내진 특성을 가지는 케이블 트레이 구조체
KR20100088658A (ko) 내진형 조립식 배관지지가대
KR101898209B1 (ko) 관 연결 고정장치
KR101839835B1 (ko) 내진 발전기
KR20160000677U (ko) 진동흡수고무를 구비한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JP6714447B2 (ja) 接合構造、及び接合金具
KR20110004645A (ko) 내진용 배관 행거
KR20080002087U (ko) 내진용 배관지지장치
KR20150004164U (ko) 내진용 스프링 행거
KR101809826B1 (ko) 복합형 완충시스템
JP2006308243A (ja) 空気調和機用室外機の壁面置台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用室外機の据付方法
KR200486262Y1 (ko) 내진용 챤넬장치
JP2008169946A (ja) 防振架台
KR101481338B1 (ko) 차량의 접지 장치
KR101785946B1 (ko) 내진용 수배전반, 전동기제어반의 지지 구조
KR20160000689U (ko) 내진용 파이프 클램프장치
CN109707044B (zh) 钢结构房屋用抗振型连接结构
KR101684686B1 (ko) 건축설비 내진 및 면진용 가대
KR20140093204A (ko) 트레이수단을 구비한 배관지지가대
KR20190098410A (ko) 방진가대용 스토퍼
KR102143582B1 (ko) 내진보강 금속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