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757A - 봉합사 매듭 형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봉합사 매듭 형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757A
KR20180112757A KR1020187014374A KR20187014374A KR20180112757A KR 20180112757 A KR20180112757 A KR 20180112757A KR 1020187014374 A KR1020187014374 A KR 1020187014374A KR 20187014374 A KR20187014374 A KR 20187014374A KR 20180112757 A KR20180112757 A KR 20180112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knot
glass
elongate body
rail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4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춘 치아 주안
유 시 웽
슈 링 쳉
Original Assignee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메데온 바이오디자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112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75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57Implements for plugging an opening in the wall of a hollow or tubular organ, e.g. for sealing a vessel puncture or closing a cardiac septal defec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7Suture clamps, clips or locks, e.g. for replacing suture knots;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clamps, clips or lo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5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using sutures having a slip kn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2017/04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for tensioning su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매듭은 길이 방향 축을 구비하는 세장형 바디와 홀더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사용하여 봉합사 재료에서 형성될 수 있다. 봉합사 재료의 레일 부분은 세장형 바디 상에서 제1 그라스퍼로 고정되고, 봉합사 재료의 비레일 부분은 홀더 상에서 제2 그라스퍼로 고정된다. 복수의 나선형 권선은 비레일 부분으로 생성될 수 있다.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으로 세장형 바디로부터 홀더를 분리하면 매듭이 완성된다. 홀더는 매듭-형성 패턴으로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쌀 수 있다.

Description

봉합사 매듭 형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그 내용이 그 전체에 있어서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되는 2015년 10월 23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2/245,841호 및 2016년 5월 6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 62/332,701호에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봉합사 재료에서 매듭을 형성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디바이스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경피적 수술(percutaneous surgery)과 관련된 천공 또는 개구를 폐쇄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매듭을 묶기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기술은, 수술후 통증을 감소시키고, 입원 기간 및 장애 기간을 단축하고, 병원 및 환자 모두를 위해 비용을 낮추는 이점을 제공하는 종래의 "개방형" 외과 수술에 대한 최소 침입성 대안으로서, 점점 증가하는 수의 다양한 처치가 경피적으로 수행되도록 개발되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처치는 처치를 수행하는데 사용하기 위해 환자의 피부를 통해 도입되는 하나 이상의 세장형 도구를 이용한다. 예를 들어, 환자의 혈관계에 대한 접근은 적절한 동맥 또는 정맥에 개구를 생성하는 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그러나, 경피적 처치 동안 사용되는 도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개구는 10 mm 이상과 같이 비교적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대응하여, 수술 후 치유 과정 동안 주변 조직을 위한 회복을 시도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지지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봉합사로 경피적 처치를 수행하도록 형성된 개구를 폐쇄하는 것은 회복 시간을 단축하거나,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하거나 또는 다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스테이플과 클립의 사용을 포함하는 상처를 폐쇄하기 위한 다른 방법이 개발되었을지라도, 봉합은 이러한 대안들 이상의 장점을 제공하는 유익한 기술로 남아있다. 봉합사 재료에서의 매듭을 묶는 것이 전형적으로, 특히 체내 매듭(intracorporeal knot)들에 대해 높은 수준의 수술 기술을 요구하기 때문에, 내시경 상황 또는 봉합사가 환자의 인체 내에 배치되는 다른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의 필요성이 존재한다. 특히, 매듭을 형성하고 배치하는 속도 및 신뢰성을 증가시키는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존재한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 및 방법은 이들 및 다른 요구를 만족시킨다.
본 발명은 길이 방향 축 및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1 그라스퍼(first grasper)를 구비하는 세장형 바디(elongated body), 및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그라스퍼를 가지는 홀더를 가지며,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분리 가능하게 상기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으로 움직일 때 해제되는, 봉합사 재료에서의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세장형 바디는 봉합사 재료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원위 단부에 있는 가이드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그라스퍼의 원위로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그라스퍼의 근위로 상기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제2 그라스퍼를 운반하는 탭은 상기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과 정렬되는 돌출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돌출 부분은 상기 홀더가 상기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로부터 근위로 연장된다.
하나의 양태에서, 회전 드럼은 세장형 바디 위에서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은 제3 그라스퍼를 가질 수 있으며, 드럼의 회전은 액튜에이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홀더는 한쪽 단부에서 제2 그라스퍼에 의해 매듭-형성 패턴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쌀 수 있다. 회전 드럼은 홀더가 드럼 주위를 감싸도록 세장형 바디 위에서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드럼은 제2 그라스퍼에 대향하는 홀더의 단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분리 가능한 탭을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오거나이저(organizer)는 매듭-형성 패턴에서 홀더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오거나이저는 세장형 바디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홀더의 랩(wrap)들 중 적어도 일부에 걸쳐서 원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회전 드럼은 액튜에이터에 결합된 세장형 바디 위에서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텐셔너(tensioner)는 홀더의 일부 주위에서 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탭은 제2 그라스퍼와 대향하는 홀더의 단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탭은 제2 그라스퍼를 통해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그라스퍼(projecting grasper)를 가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트래퍼(trapper)는 분리될 때 트래퍼가 봉합사 재료를 고정하도록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트래퍼는 또한 분리될 때 제2 그라스퍼를 봉합사 재료에 고정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매듭 모듈을 가질 수 있어서, 각각의 매듭 모듈은 매듭-형성 패턴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싸는 홀더를 구비하는 세장형 바디를 가진다.
본 발명은 또한 봉합사 재료에서 매듭을 형성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길이 방향 축을 가진 세장형 바디 및 홀더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장형 바디 상에 제1 그라스퍼로 상기 봉합사 재료의 레일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홀더 상에서 제2 그라스퍼로 상기 봉합사 재료의 비레일 부분(non-rail portion)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비레일 부분으로 복수의 나선형 권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매듭을 완성하도록 상기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로부터 상기 홀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하나의 양태에서, 복수의 나선형 권선은 상기 레일 부분 위에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복수의 나선형 권선은 생성되고, 그런 다음 상기 레일 부분 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세장형 바디는 회전 드럼 내에서 동축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나선형 권선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홀더는 한쪽 단부에서 제2 그라스퍼에 의해 매듭-형성 패턴으로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쌀 수 있으며, 복수의 나선형 권선을 생성하는 단계는 비레일 부분을 매듭-형성 패턴으로 당기도록 상기 홀더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액튜에이터는 레일 부분 위에서 생성된 복수의 나선형 권선을 위치시키도록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텐셔너는 홀더의 일부 주위에서 고리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홀더를 인출하는 단계는 탭이 제2 그라스퍼와 대향하는 홀더의 단부에 부착되도록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탭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디바이스에 결합된 트래퍼는 분리될 때 비레일 부분을 고정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상기 디바이스는 복수의 매듭 모듈을 가질 수 있어서, 각각의 매듭 모듈은 매듭-형성 패턴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싸는 홀더를 구비하는 세장형 바디를 가진다. 대응하여, 상기 방법은 각각의 매듭 모듈을 구비하는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도면 전반에 걸쳐 동일한 부분 또는 요소를 대체로 지칭한다:
도 1은 세장형 바디의 구멍에 그라스퍼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세장형 바디의 주변 상에 그라스퍼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3 내지 도 5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로 매듭을 형성하는 일련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 내지 도 5에 따라서 형성된 매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와이어 루프 홀더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8은 세장형 바디의 원위 단부에 가이드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9 내지 도 11은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로 다른 매듭을 형성하는 일련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9 내지 도 11에 따라서 형성된 매듭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도 12에서는 2회 도시).
도 13은 홀더 상에 분리 가능한 탭을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4는 그립(grip)을 구비하는 홀더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5는 와이어 후크(wire hook)를 구비하는 홀더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6은 종동 회전 드럼(driven rotating drum)을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7은 매듭-형성 패턴으로 감싸는 홀더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8은 텐셔너를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19는 홀더의 단부를 고정하는 분리 가능한 탭을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0은 탭이 분리된 도 19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21 내지 도 24는 통로를 가지는 트래퍼를 구비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5 내지 도 28은 클립을 가지는 트래퍼를 구비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9 내지 도 31은 스프링을 가지는 트래퍼를 구비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2는 슬라이딩 액튜에이터에 결합된 회전 드럼을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33은 액투에이터가 원위 위치에 있는 도 32의 실시예의 개략도.
도 34는 복수의 매듭 모듈을 가지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실시예의 개략도.
처음에, 본 발명은 특정하게 예시된 재료, 양식, 루틴, 방법 또는 구조가 변경될 수 있음에 따라서 이러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므로, 비록 본 명세서에 기술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많은 옵션이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바람직한 재료 및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단지 제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에 설명되는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설명으로서 의도되고,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단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나타내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용된 "예시적인"이라는 용어는 "예시, 예 또는 예시로서의 역할을 하는 것"을 의미하며, 반드시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 이상의 바람직하거나 유익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는 목적을 위한 특정 세부 사항을 포함한다. 명세서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이러한 특정 세부 사항없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일부 예들에서, 널리 공지된 구조들 및 디바이스들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신규성을 모호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블록도 형태로 도시된다.
오직 편의성 및 명료성의 목적을 위하여, 상부, 저부, 좌측, 우측, 위로, 아래로, 위에서, 위로, 아래로, 밑에서, 후방, 뒤 및 전방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첨부된 도면에 대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 및 이와 유사한 방향성 용어는 임의의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대체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의 양태들은 내시경 처치의 상황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관심 위치에 따라 처치를 위한 용어들이 달라질 수 있다. 예시로서, 내시경술(endoscopy)은 소화관의 시각화를 지칭할 수 있으며, 대장 내시경 검사는 결장의 시각화를 지칭할 수 있으며, 관절경 검사는 관절의 시각화를 지칭할 수 있고, 복강경 검사는 복부 내에서 해부학의 시각화를 지칭할 수 있으며, 흉강경 검사는 가슴 부위의 해부학을 지칭할 수 있으며, 요도 검사는 요로의 시각화를 지칭할 수 있으며,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호흡 기관의 시각화를 지칭할 수 있으며, 다른 용어는 처치가 수행되는 위치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이 환자의 신체의 내부 내에서 봉합 매듭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의의 처치와 관련하여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끝으로, 본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는 내용이 명확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으면 복수 대상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한 실시예에 따른 매듭 형성 디바이스(10)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10)는 제1 그라스퍼(16)를 지지하는 바디 내로 통합되는 구멍(14)을 가지는 세장형 바디(12)를 포함한다. 홀더(18)는 세장형 바디(1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그라스퍼(20)를 포함한다. 그라스퍼(16 및 20)들은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그라스퍼(16)는 봉합사 재료의 지름보다 큰 치수로부터 더 작은 치수로 좁아지는 테이퍼 슬롯(22)을 가지는 상대적으로 얇은 금속 시트로 구성될 수 있어서, 좁혀진 치수로의 봉합사의 움직임은 마찰 결합된다. 대응하여, 봉합사는 더 큰 치수를 가지는 슬롯(22)의 영역으로 복귀되는 것에 의해 해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그라스퍼(20)는 또한 테이퍼 슬롯(24)을 가지는 금속 시트로 형성될 수 있다. 그라스퍼(16 및 20)들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는 적절한 마찰을 제공하는 플라스틱, 고무 또는 다른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립, 클램프 또는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임의의 다른 메커니즘일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바디(12)는 일반적으로 선(L-L)으로 표시된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세장형 바디(12)는 다음에 기술되는 바와 같은 다른 구성이 이용될 수 있을지라도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근위 단부로부터 원위 단부로 테이퍼진다. 임의의 해제 가능한 연결이 이용될 수 있을지라도, 홀더(18)는 세장형 바디(12)의 적어도 일부와 마찰 결합하는 오목부(26)를 가지는 것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세장형 바디(12)에 결합될 수 있다. 대응하여, 홀더(18)는 예를 들어 직각 운동 또는 다른 적절한 각도와 같은, 세장형 바디(12)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으로의 움직임에 의해 세장형 바디(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제1 그라스퍼(16)가 구멍이 아닌, 세장형 바디(12)의 주변에 위치되는 유사한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이와 같이, 제1 그라스퍼(16)는 개구를 통해 봉합사를 먼저 꿰어질(thread) 필요없이 봉합사를 포획할 수 있다.
사용시에, 매듭 형성 디바이스(10)는 매듭을 생성하여 봉합사 재료에 배치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전형적으로, 봉합사 재료는 바늘 등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지지되도록 추구되는 조직을 통과한다. 대응하여, 매듭이 형성되는 봉합사 재료는 "레일" 부분 및 "비레일"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매듭은 레일 부분 주위에 비레일 부분의 여러 개의 나선형 타래(helical turn)들을 감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매듭은 루프들이 봉합되는 조직에 접할 때까지 레일 단부를 따라서 비레일 부분의 루프들을 슬라이딩시키는 것에 의해 조여지고 배치된다. 비레일 부분의 루프를 레일 단부를 따라 슬라이딩시킴으로써 봉합되는 조직에 접할 때까지 조여지고 위치된다. 봉합사 재료를 당기는 것에 의해, 루프들은 레일 부분을 중심으로 수축되고, 마찰에 의해 적소에서 홀딩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은 도 3 내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3으로부터 시작하여, 봉합사의 레일 부분(30)은 세장형 바디(12)의 제1 그라스퍼(16)에 의해 포획된다. 비레일 부분(32)는 조직(34)을 통과한 봉합사의 다른쪽 단부를 나타낸다. 레일 부분(30)이 윤곽으로 도시되고 비레일 단부가 구별을 돕도록 실선으로서 도시되었을지라도, 두 부분 모두 동일한 봉합의 일부임을 이해해야 한다. 매듭 형성 디바이스(10)의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 그라스퍼(16)는 세장형 바디(12)를 따라서 홀더(18)에 비교적 근접하여 위치된다. 이와 같이, 레일 부분(30)은 제1 그라스퍼(16)에 의해 보유되기 전에 홀더(18)를 피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레일 부분(32)은 세장형 바디(12) 및 레일 부분(30)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싸서 제1 루프(36)를 형성한다. 랩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8)에 근접하여 형성된다. 이용된 타래의 수는 본 출원에 의해 보장될 수 있지만, 매듭이 배치되고 조여질 때 필요한 마찰을 생성하는데 충분한 수이어야 한다. 단지 예로서, 그리고 제한없이, 5개의 랩이 만들어질 수 있다. 나선형 랩에 이어서, 비레일 부분(32)은 제2 그라스퍼(20)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홀더(18) 아래 및 레일 부분(30) 위를 지나간다. 매듭의 형성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8)를 분리하여 세장형 바디(12)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홀더를 움직이는 것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비레일 부분(32)이 제2 그라스퍼(2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은 레일 부분(30) 아래 및 비레일 부분(32)의 자유 부분 위에서 비선형 부분(32)을 당겨서, 제2 루프(38)를 형성하도록 레일 부분(30) 주위에 반 매듭(half-hitch)을 생성한다. 결과적인 매듭은 원위 방향으로 세장형 바디(12)로부터 슬라이딩될 수 있고, 세장형 바디(12)는 루프들과 나선형 타래들을 적소에 남기도록 근위 방향으로 후퇴되거나, 또는 이러한 운동들의 조합은 매듭 형성 디바이스(10)로부터 매듭을 해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에 따라서 형성된 매듭은 도 6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대응하여, 나선형 타래들, 제1 루프(36) 및 제2 루프(38)는 그런 다음 환자 내의 필요한 위치에 있는 조직에 대해 매듭을 배치하고 조이도록 레일 부분(30)을 따라서 밀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매듭 형성 디바이스(40)이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장형 바디(42)는 제1 그라스퍼(46)를 구비한 구멍(44)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에서, 홀더(58)는 와이어 또는 다른 유사한 재료로 형성된 루프로서 구성될 수 있다. 홀더(58)는 클립(50)에 의해 세장형 바디(42)에 결합된다. 홀더(58)의 루프의 한쪽 단부는 제2 그라스퍼(52)를 형성한다. 제2 그라스퍼(52)가 상기된 실시예와 같이 견고하게 봉합사와 결합될 수 없을지라도, 제2 그라스퍼(52)는, 특히 봉합사 재료의 자유 단부가 홀딩되거나 다른 방식으로 유지되면, 세장형 바디(42) 주위에 형성된 랩들 및 루프들을 통해 봉합사 재료를 당기도록 여전히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40)의 사용은 상기된 기술을 따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매듭 형성 디바이스(60)는 도 8에 도시된 대안적인 실시예이다. 또한, 세장형 바디(62)는 제1 그라스퍼(66)를 구비하는 구멍(64)을 가질 수 있다. 여기에서, 세장형 바디(62)는 제1 그라스퍼(66)을 구비하는 근위 단부, 및 제2 그라스퍼(70)를 구비하는 분리 가능한 홀더(68)가 결합될 수 있는 박형 실린더로서 구성되는 원위 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홀더(68)는 제1 그라스퍼(66)에 대해 먼 원통형 부분 위에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세장형 바디(62)는 또한 원위 단부에 있는 가이드(72)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레일 부분과 같은 봉합사 재료는 가이드(72)를 통하여 꿰어질 수 있거나 또는 그렇지 않으면 포획될 수 있다. 가이드(72)는 세장형 바디(72)의 단부에 있는 포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포트는 봉합사 재료를 위한 비교적 직선의 진행 경로를 제공하도록 측벽에 있는 포트와 연통한다. 채널, 슬롯, 그루브 등과 같은 실질적으로 동등한 기능을 달성하도록 다른 구조가 가이드(72)를 위해 채택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가이드(72) 및 제1 그라스퍼(66)에서의 봉합사의 보유는 봉합사의 레일 단부가 세장형 바디(62)의 길이 방향 축과 정렬되어 유지되는 것을 함께 도와, 비레일 부분의 나선형 감쌈을 용이하게 한다.
매듭 형성 디바이스(60)의 사용은 매듭 형성 디바이스(10, 40)들에 대해 상기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동일한 구성의 매듭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형성된 루프들 및 매듭의 랩들이 세장형 바디(62)로부터 멀리 슬라이딩되었으면, 매듭은 세장형 바디(62) 위에서 뒤로 밀리는 것에 저항하도록 약간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상태 하에서, 세장형 바디(62)는 매듭을 필요한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돕도록 조직을 향해 매듭을 밀어내도록 지금 사용될 수 있다. 가이드(72)는 또한 레일 부분이 인장될 때 저항하는 것에 의해 매듭을 더욱 단단히 매는 것을 돕도록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차례로 임의의 느슨해진 봉합사 재료를 제거하는 것을 돕는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세장형 바디의 제1 그라스퍼와 분리 가능한 홀더의 제2 그라스퍼 사이의 관계에서의 구성을 변경하는 것은 상이한 매듭들의 형성을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 내지 도 11은 제1 그라스퍼(86)를 구비하는 구멍(84)을 가지는 세장형 바디(82)를 다시 포함할 수 있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2 그라스퍼(90)를 구비하는 분리 가능한 홀더(88)는 제1 그라스퍼(86)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세장형 바디(82)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은 세장형 바디(82)의 제1 그라스퍼(86)로 봉합사의 레일 부분(30)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레일 부분(32)은 홀더(88)를 지나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세장형 바디(82)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싼다. 랩들은 홀더(88)의 근위 측에 형성되고, 임의의 적절한 수의 타래들이 상기된 바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나선형 랩 다음에, 비레일 부분(32)은 그런 다음 홀더(88) 아래,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그라스퍼(90)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조직(34)으로부터 나선형 랩으로 연장되는 비레일 부분(32)의 부분을 지나친다. 매듭의 형성은 홀더(88)를 분리하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장형 바디(12)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멀리 움직이는 것에 의해 완성될 수 있다. 비레일 부분(32)이 제2 그라스퍼(90)에 의해 고정되기 때문에, 이러한 것은 비레일 부분(32)이 조직으로부터 연장되는 비레일 부분(32)의 부분 아래의 비레일 부분(32)을 당기겨, 자기 루프(self-loop)(92)를 형성하도록 반 매듭을 형성한다. 세장형 바디(82)를 따라서 원위 방향으로의 결과적인 매듭의 상대적인 움직임은 제1 그라스퍼(86)에 의해 유지되는 레일 부분(30) 위에서 나선형 랩들을 슬라이딩시킨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들에 따라서 형성된 매듭은 도 1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된 절차와 유사하게, 나선형 타래들 및 자기 루프(92)는 그런 다음 레일 부분(30)을 따라 밀려서, 환자 내의 필요한 위치에서 조직에 대해 매듭을 위치시키고 조인다. 이러한 단계들은 본 명세서의 다른 매듭 형성 디바이스 구성에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매듭을 묶도록 사용될 수 있는 또 다른 실시예는 도 13에 도시된 매듭 형성 디바이스(100)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100)는 그라스퍼(106)를 구비하는 구멍(104)을 가지는 세장형 바디(102)를 특징으로 한다. 이 실시예에서, 분리 가능한 홀더(108)는 제2 그라스퍼(112)를 운반하는 별개로 분리 가능한 탭(110)을 가진다. 가이드(114)는 상기된 바와 같이 세장형 바디(102)의 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제1 그라스퍼(106)가 제2 그라스퍼(112)에 근접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1 그라스퍼(106)는 필요하면 제2 그라스퍼(112)에 대하여 멀리 있을 수 있다. 명료성을 위하여, 이러한 도면은 단지 비레일 부분(32)만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비레일 부분(32)은 세장형 바디(102)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싸고, 이전에 환자의 조직으로부터 연장된 비레일 부분(32)의 부분을 지나치고, 그런 다음 탭(110)의 제2 그라스퍼(112)에 의해 고정된다.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조직으로부터 연장되는 비레일 부분(32)의 부분 아래에서 탭(110)을 인출하는 것은 도 11에 대해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자기 루프를 형성하도록 반 매듭을 생성한다. 홀더(108)는 그런 다음 세장형 바디(102)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형성된 매듭은 상기된 기술 중 임의의 기술을 사용하여 배치되고 조여질 수 있다. 나선형 랩들이 레일 부분 주위에 형성되도록 도 12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매듭이 제1 그라스퍼(106)에서 봉합사의 레일 부분을 먼저 고정하는 것에 의해 또는 원위에 위치된 제2 그라스퍼(112)(매듭 형성 디바이스(100)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나선형 랩들 및 자기 루프가 먼저 생성되고 그런 다음 레일 부분 위에서 슬라이딩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도 13의 실시예의 구성이 제2 그라스퍼(112)에 비교적 근접하여 제1 그라스퍼(106)를 위치시키기 때문에, 제1 그라스퍼(106)에서 유지된 레일 부분에 대한 비레일 부분의 적절한 조작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매듭의 형성을 허용한다.
다양한 변형이 분리 가능한 탭을 가져야만 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서 홀더의 구성에 대해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4는 제1 그라스퍼(126)를 구비하는 구멍(124)을 가지는 세장형 바디(122)를 포함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12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홀더(128)는 스냅 끼워맞춤 부착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세장형 바디(12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홀더(128)는 제2 그라스퍼(130) 및 돌출 그립(132)을 가진다. 가이드(134)는 상기된 바와 같이 세장형 바디(122)의 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이러한 도면은 명료성을 위해 오직 비레일 부분(32)만을 도시한다. 비레일 부분(32)은 세장형 바디(122)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싸고, 제2 그라스퍼(130)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비레일 부분(32)의 부분을 지나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것은 그립(132)이 비레일 부분(32)의 가닥들 사이에서 나선형 권선을 근접하여 지나도록 연장되는 것을 허용한다. 결과적으로, 홀더(128)를 분리하는 것은 반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된 바와 같이 자기 루프를 형성하도록 조직으로부터 연장되는 비레일 부분(32) 아래에서 비레일 부분(32)의 고정 단부를 당긴다.
다른 예로서, 도 15는 제1 그라스퍼(146)를 구비하는 구멍(144)을 가지는 세장형 바디(142)를 포함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140)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홀더(148)는 인장 와이어로서 구성되고, 제2 그라스퍼(150)는 후크 단부에 의해 형성된다. 홀더(148)는 클립(152)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세장형 바디(14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홀더(148)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더(58)와 유사한 와이어 루프로 형성되는 것과 같은 다른 구성을 가질 수 있지만, 세장형 바디(142)의 길이 방향 축과 대체로 정렬되도록 배향될 수 있다. 가이드(154)는 상기된 바와 같이 세장형 바디(142)의 원위 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다시 한번, 이러한 도면은 명료성을 위해 비레일 부분(32)만을 도시한다. 비레일 부분(32)은 세장형 바디(142) 주위를 나선형으로 감싸고, 제2 그라스퍼(150)에 의해 고정되기 전에 환자의 조직으로부터 연장되는 비선형 부분(32)을 지나칠 수 있다. 차례로, 이러한 것은 비레일 부분(32)의 가닥들 사이에서 나선형 권선을 근접하여 지나 연장하도록 제2 그라스퍼(150)와 대향하는 홀더(148)의 단부이다. 결과적으로, 홀더(148)는 분리되고, 반 매듭을 형성하고 상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자기 루프를 형성하도록 조직으로부터 연장되는 비레일 부분(32) 아래의 비레일 부분(32)의 고정 단부를 당기도록 사용될 수 있다.
여전히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매듭 형성 디바이스들은 봉합사 재료의 비레일 부분의 나선형 랩들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메커니즘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매듭 형성 디바이스(160)에 대한 하나의 적절한 실시예가 도 16에 도시된다. 이전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세장형 바디(162)는 제1 그라스퍼(166)를 가지는 구멍(164)을 가질 수 있다. 세장형 바디(162)는 제1 그라스퍼(166)를 구비하는 근위 부분, 및 제2 그라스퍼(170)를 구비하는 분리 가능한 홀더(168)가 결합될 수 있는 박형 실린더로서 구성되는 원위 부분을 가진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홀더(168)는 제1 그라스퍼(166)로부터 멀리 있는 원통형 부분 위에 스냅 끼워맞춤되도록 구성될 수 있지만, 임의의 해제 가능한 부착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세장형 바디(162)는 또한 원위 단부에 있는 가이드(172)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회전 드럼(174)은 홀더(168)에 근접하여 위치된 세장형 바디(162)의 원통형 부분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재료의 레일 부분(30)은 제1 그라스퍼(166)에 의해 유지되기 전에 가이드(172)를 통해, 홀더(168) 위에서 드럼(174)을 통해 꿰어질 수 있다. 대응하여, 비레일 부분(32)(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의 단부는 드럼(174) 상에서 그라스퍼(176)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드럼(174)은 매듭을 형성할 때 비레일 부분(32)의 나선형 랩의 수에 대응하는 수만큼 세장형 바디(162)의 원통형 부분 상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프링 구동 또는 전기 모터 구동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구동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세장형 바디(162)는 또한 드럼(174)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액튜에이터(178)를 가질 수 있다. 액튜에이터(178)는 작동이 세장형 바디(162)의 원통형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드럼(174)의 필요한 수의 회전을 유발하도록 보장되는 바와 같이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결합된다. 그러므로, 비레일 부분(32)의 단부는 그라스퍼(176)에 포획될 수 있고, 액튜에이터(178)는 비레일 부분(32)의 나선형 랩들의 형성을 유발하도록 드럼(174)을 회전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따라서, 도 6 및 1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한 매듭이 비레일 부분(32)의 이러한 구동 나선형 권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도 12에 도시된 구성을 가지는 매듭을 형성할 때, 비레일 부분(32)의 나선형 권선 및 자기 루프가 레일 부분(30) 위에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형성 후 레일 부분(30) 위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음에 따라서, 레일 부분(30)은 드럼(174)을 통해 꿰어지거나 또는 궤어질 수 없다.
매듭 형성 디바이스(180)에 대하여, 봉합사 재료의 비레일 부분에서 나선형 권선들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이러한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도 17에 도시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184)를 가지는 세장형 바디(182)를 포함한다. 제1 그라스퍼(184)는 레일 부분(30)(명료성을 위해 이 도면에서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봉합사 재료를 수용하고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치수화된 상기된 실시예들과 유사한 테이퍼 슬롯(186)을 포함할 수 있다. 매듭 형성 디바이스(180)는 세장형 바디(18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 홀더(188)를 또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188)는 적절하게 가단성(malleable) 와이어 재료의 2배 길이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형상 기억 재료(예를 들어, 니켈 티타늄 합금), 중합체 등을 포함하는 적절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이어가 다시 2중으로 되는 지점에서, 결과적인 루프는 상기된 바와 같이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사용될 수 있는 제2 그라스퍼(190)을 형성한다. 홀더(188)는 비레일 부분(32)(명료성을 위해 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봉합사 재료로 대체될 때 매듭을 형성하는 필요한 패턴으로 세장형 바디(182)의 원주 주위에 감겨지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패턴은 도 6에 도시된 특성을 가지는 매듭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홀더(188)는 상대적으로 원위 위치에서 반 매듭(192)을 생성하도록 사용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일련의 나선형 코일(194)들은 원위 방향에 근접하여 만들어 질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2 그라스퍼(190)를 구비한 홀더(188)의 단부는 패턴을 완성하도록 반 매듭(192)에 의해 생성된 루프(196) 아래에 공급된다. 인식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이한 패턴들은 상이한 특성을 가지는 매듭을 형성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나선형 권선의 수는 결과적인 매듭에 의해 발생되는 마찰의 양을 필요에 따라 재단하도록 조정될 수 있다.
사용시에, 레일 부분(30)의 단부는 그라스퍼(184)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비레일 부분(32)의 단부는 제2 그라스퍼(19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대응하여, 제2 그라스퍼(190)와 대향하는 홀더(188)의 단부를 당기는 것은 홀더(188)가 세장형 바디(182)로부터 해제되도록 하여, 홀더(188)의 권선 패턴의 자취를 따라가는 경로 상에서 비레일 부분(32)을 인발한다. 홀더(188)가 세장형 바디(182)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게 반경 방향으로 당겨지고 완전히 결합 해제될 때, 레일 부분(32)은 홀더(188)의 패턴을 대체하고 도 6과 관련하여 상기된 나선형 랩 및 루프를 형성할 것이다. 그러므로, 나선형 랩들은 세장형 바디(182)로부터 멀리 레일 부분(30) 위에서 슬라이딩될 수 있다. 매듭은 그런 다음 배치되고 조여질 수 있다.
도 17의 일반적인 설계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변형으로 개선될 수 있다. 예시를 돕기 위해, 매듭 형성 디바이스(200)의 형태를 하는 다른 실시예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또한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204)를 가지는 세장형 바디(202)를 포함한다. 제1 그라스퍼(204)는 상기된 바와 같은 테이퍼 슬롯(20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듭 형성 디바이스(200)는 세장형 바디(20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188)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홀더(208)를 또한 특징으로 한다. 제2 그라스퍼(210)는 비레일 부분(32)(명료성을 위해 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홀더(208)의 한쪽 단부에 위치된다. 홀더(208)는 세장형 바디(202) 위에 동축으로 배치된 회전 드럼(212) 주위에 감겨지는 것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홀더(208)는 봉합사 재료로 대체될 때 매듭을 형성하는 필요한 패턴으로 감겨질 수 있다. 분리 가능한 탭(216)은 드럼(212)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제2 그라스퍼(210)와 대향하는 홀더(208)의 단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그라스퍼(2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매듭 형성 디바이스(200)는 홀더(208)에 인접하여 배치된 오거나이저(218)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오거나이저는 회전 드럼(212)에 인접한 위치에서 세장형 바디(202)에 부착되고, 홀더(208)의 랩들을 수용하도록드럼(212)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원위 방향으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얽힘으로부터 이러한 것들을 보호한다. 오거나이저(218)는 분리 가능할 수 있거나, 또는 세장형 바디(202)에 일체로 또는 영구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매듭 형성 디바이스(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08)의 일부 주위에 고리 모양을 만드는 2중 스트링 또는 다른 유사한 요소일 수 있는 텐셔너(220)를 포함할 수 있다. 잉여 재료는 스풀(224)과 같이 세장형 바디(202)의 핸들(222)의 일부 내에 저장될 수 있고, 개구(226)를 통해 꿰어질 수 있다. 텐셔너(220)는 봉합사가 홀더(208)에 의해 지시된 패턴으로 당겨진 후에 매듭에 근위로 배향된 저항을 부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정도의 저항은 핸들(222) 내에 위치된 포스트(228)들 주위에 텐셔너(220)의 가닥들을 마찰식으로 권선하는 것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포스트(228)들의 개수 및 권선의 패턴은 보증된 바와 같이 조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스풀(224)은 회전에 저항하고 필요한 장력을 제공하도록 클러치 또는 다른 유사한 메커니즘을 구비할 수 있다.
매듭 형성 디바이스(200)의 사용은 일반적으로 상기된 기술을 따른다. 레일 부분(30)은 제1 그라스퍼(204)에 의해 유지될 수 있고, 비레일 부분(32)은 제2 그라스퍼(210)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탭(214)은 그런 다음 드럼(212)으로부터 분리되어 세장형 바디(202)로부터 자유롭게 홀더(208)를 당기도록 사용될 수 있다. 드럼(212)은 홀더(208)의 해제 및 비레일 부분(32)의 결과적인 권선을 용이하게 하도록 이러한 작동 동안 회전한다. 상기된 바와 같이, 오거나이저(218)는 작동 동안 홀더(208)를 그 필요한 구성으로 유지한다. 텐셔너(220)는 비레일 부분(32)이 매듭 패턴으로 당겨져 레일 부분(30) 위에서 원위로 슬라이딩된 후에 그 적절한 배향으로 비선형 부분(32)의 나선형 권선 및 루프를 유지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장력은 그런 다음 필요한 위치로 형성된 매듭을 당기도록 근위 방향으로 세장형 바디(202)를 인출하는 것과 같이 레일 부분(30)에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기술은 레일 부분에 걸쳐서 비레일 부분의 나선형 랩들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230)는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234)를 가지는 세장형 바디(232)를 가질 수 있다. 세장형 바디(2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23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홀더(238)는 상기된 바와 같이 바람직한 매듭-형성 패턴으로 세장형 바디(232)의 원주 주위에 감겨진 2배의 길이의 와이어로서 세장형 바디(2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그라스퍼(240)와 대향하는 홀더(238)의 단부는 스냅 클립(244)에 의해 매듭 형성 디바이스(2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탭(242)에 고정될 수 있다. 탭(242)은 또한 홀더(238)의 루프에 의해 형성된 그라스퍼(240)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 그라스퍼(245)를 또한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230)는 또한 상기된 형태와 유사한 형태를 제공하는 오거나이저(246)를 포함한다. 액튜에이터(248)는 세장형 바디(23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액튜에이터(248)가 그 근위 위치에 있는 것으로, 홀더(238)는 상기된 본 발명의 기술에 따라서 봉합사 재료를 매듭-형성 패턴으로 인발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하나의 양태에서, 비레일 부분(32)의 단부는 상기된 바와 같이 제2 그라스퍼(240)를 통해 연장되는 그라스퍼(245)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대응하여, 탭(242)을 분리하는 것은 홀더(238)가 인출될 때 매듭 패턴 내로 유지되어 당겨질 수 있도록 제2 그라스퍼(240)를 통해 비레일 부분(32)을 자동적으로 당긴다. 탭(242)이 분리되어 세장형 바디(232)로부터 멀리 당겨지면, 액튜에이터(248)는 비레일 부분(32)에 형성된 나선형 랩 및 루프를 밀어내도록 원위 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비레일 부분(32)의 나선형 랩들이 레일 부분(30) 위에서 밀린 것을 도시하는 도 20에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248)는 비레일 부분(32)의 나선형 랩드을 결합하기 위하여 세장형 바디(232)의 길이 방향 축에 대체로 직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푸셔(250)를 가질 수 있다.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푸셔(250)(제공되면)와 함께 액튜에이터(248)의 이러한 구성은 수동으로 세장형 바디(232)로부터 랩들을 밀어낼 필요성을 감소시키거나 또는 제거하여, 보다 자동화된 절차를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탭(242)은 분리될 때까지 액튜에이터(248)의 작동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매듭 형성 디바이스(230)는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고 작동될 수 있는 텐셔너(252)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구조체들은 홀더와 봉합사 재료의 비레일 부분의 단부 사이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1 내지 도 24는, 상기된 바와 같이 배듭 형성패턴으로 권선될 때,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264) 및 홀더(268)(명료성을 위해 도 21 및 도 22에서 도시되지 않음)들을 수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266)을 가지는 세장형 바디(262)를 특징으로 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26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유사하게, 액튜에이터(272)는 세장형 바디(262)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탭(274)은 또한 클립(278)에 의해 하우징(27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탭(274)은 상기된 바와 같이 드럼(266) 주위에 권선될 때 홀더(268)의 제2 그라스퍼(282)를 통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된 그라스퍼(28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분리 가능한 요소인 트래퍼(284)는 도 22에 보다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된 탭(274)과 세장형 바디(262) 사이에서 동축으로 액튜에이터(272) 상으로 클립핑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다른 실시예에서, 이러한 구성 요소들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들은 주어진 구성에 따라 매듭 형성 디바이스의 다른 구성 요소들에 해제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튜에이터(272)가 이용되지 않으면, 트래퍼(284)는 임의의 적절한 구조로 클립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트래퍼(284)는 테이퍼 통로(286)를 포함하며, 홀더(268)는 이 통로를 통해 시작 구성으로 꿰어진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274)은 분리되고, 필요한 패턴으로 드럼(266) 주위에서 봉합사의 비레일 부분(32)을 인발하도록 세장형 바디(262)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당겨졌다. 또한, 레일 부분(30)의 단부는 세장형 바디(262)의 제1 그라스퍼(264)에 의해 해제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도시되어 있다. 통로(286)의 치수는 홀더(268)의 자유 진행만을 허용하지만, 세장형 바디(262)로부터 거리에 따라 테이퍼진다. 대응하여, 통로(286)의 출력은 비레일 부분(32)이 유지될 때 제2 그라스퍼(282)의 진행을 방지하도록 충분히 감소된 치수를 가진다. 이러한 양태를 더욱 명확하게 예시하도록, 도 23의 영역(A)의 추가 상세가 도 24에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된 제2 그라스퍼(282) 및 비레일 부분(32)은 통로(286)의 출력에 끼이며(jam), 그 결합을 유지한다. 특히 홀더(268)의 진행이 이러한 지점을 지나서 제한되기 때문에, 세장형 바디(262)로부터 멀어지는 탭(274)의 추가의 운동은 매듭 형성 디바이스(260)로부터 트래퍼(284)를 분리할 것이다. 특히, 분리된 후에도, 탭(274)은 홀더(268) 및 트래퍼(284)를 통해 비레일 부분(3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장력은 장력을 중력에 추가하도록 수동으로 또는 탭을 해제하는 것에 의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장력은 비레일 부분(32)에 전달되고, 배치되고 조여질 때까지 매듭 패턴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을 또한 도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294)를 가지는 세장형 바디(292), 및 매듭-형성 패턴으로 드럼(296) 주위에 감겨지도록 상기된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구성된 홀더(298)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296)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290)의 부분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25 내지 도 28에 대해 예시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또한 유사하게, 액튜에이터(302)는 세장형 바디(292)를 따라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서, 탭(304)은 클립(310)에 의해 하우징(308)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는 트래퍼(30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탭(304)은 또한 드럼(296) 주위에 권선될 때 홀더(298)의 제2 그라스퍼(316)를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되는 상기된 바와 같은 돌출 그라스퍼(296)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트래퍼(306)는 도 27의 영역(A)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28의 추가 상세에 도시된 바와 같이 봉합사 재료를 결합하고 유지하도록 구성된 클립(314)을 포함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클립(314)은 상부 도면에서 도시된 개방 구성과 하부 도면에서 도시된 폐쇄 구성 사이에서 전이할 수 있다. 홀더(298)의 제2 그라스퍼(316)는 클립(314)에 있는 구멍(318)을 통해 비레일 부분(32)과 같은 봉합사 재료를 당기도록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308)으로부터 트래퍼(306)를 분리하는 것은 클립(314)이 폐쇄 구성을 취하도록 하고, 봉합사를 고정하도록 봉합사를 클램핑한다. 대응하여, 트래퍼(306)가 비레일 부분(32)의 단부에 연결되어 있어서, 장력은 배치되고 조여질 때까지 매듭 패턴을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수동으로 또는 중력을 통해 인가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는 매듭 형성 디바이스(320)의 부분 상세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29 내지 도 31에 대해 도시되고,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294), 및 매듭-형성 패턴으로 드럼(296) 주위에 감겨진 제2 그라스퍼(330)를 구비하는 홀더(328)를 수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326)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오거나이저는 매듭 형성 작업 동안 적절하게 배향된 나선형 권선들을 유지하도록 이용될 수 있다. 탭(334)은 클립(338)에 의해 하우징(336)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된 것들과 유사한 다른 특성들을 가질 수 있다. 트래퍼(340)는 스프링(344)에 의해 포스트(342)에 의해 액튜에이터(33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래퍼(340)가 액튜에이터(332)에 부착될 때, 스프링(344)은 포스트(342)와 결합하는 아암(346)을 가질 수 있으며, 스프링(344)이 아암(346)을 아래를 향해 편향시킬지라도, 포스트(342)는 상승된 구성으로 아암(346)을 유지한다. 또한, 트래퍼(340)는 홀더(328)가 관통하여 꿰어질 수 있는 한 쌍의 정렬된 구멍(348)과, 홀더(328)의 하나의 가닥이 관통하여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궤어질 수 있는 대향 구멍(350)을 가진다. 대응하여, 홀더(328)가 비레일 부분(32)과 같은 봉합사 재료를 매듭-형성 패턴 내로 인출된 후에, 제2 그라스퍼(330)는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350)에서 트래퍼(340)를 결합할 것이다. 비레일 부분(32)이 그라스퍼(330)를 통해 고리 모양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매듭 패턴을 성형한 후에, 홀더(328)는 정렬된 구멍(348)을 통해 봉합사를 당겼다. 제2 그라스퍼(330)가 결합 구멍(350)을 가진 후에, 세장형 바디(322)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홀더(328)의 추가의 운동은 포스트(342)로부터 트래퍼(340)를 당긴다. 결과적으로, 스프링(344)의 편향력은 아암(346)이 하강 구성을 취하도록 하여, 정렬된 구멍(348)을 통해 당겨진 비레일 부분(32)을 클램핑하고, 탭(334) 및 트래퍼(340)를 홀더를 통해 비레일 부분(32)의 단부에 고정한다. 그러므로, 상기된 바와 같이, 장력은 배치되고 조여질 때까지 적절하게 배향된 매듭 패턴을 유지하는 것을 돕도록 수동으로 또는 중력을 통해 인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가 매듭 형성 디바이스(360)를 도시하는 도 32 및 도 33에 대하여 예시된다. 다른 유사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364)를 가지는 세장형 바디(3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366)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홀더(368)는 상기된 바와 같이 필요한 매듭-형성 패턴으로 회전 드럼(370) 주위에 감겨진 2배의 길이의 와이어로서 세장형 바디(362)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된 바와 같이, 회전 드럼(370)은 매듭-형성 패턴으로 홀더(368)의 권선을 용이하게 할 수 있거나, 매듭-형성 패턴을 추적하도록 봉합사 재료를 당기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거나, 또는 양자를 모두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탭(372)은 클립(374)을 하우징(376)에 스냅핑하는 것과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36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탭(372)은 또한 홀더(368)의 루프에 의해 형성된 제2 그라스퍼(380)을 통해 연장되도록 구성된 돌출 그라스퍼(378)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360)는 홀더(368)에 인접하여 배치된 오거나이저를 또한 포함한다. 드럼(370)이 액튜에이터(382)에 결합될 수 있어서, 액튜에이터(382)의 작동은 원위 방향으로 세장형 바디(362) 위에서 동축으로 드럼(370)을 슬라이딩시킨다. 대응하여, 이러한 실시예는 레일 부분에 걸쳐 봉합사 재료의 비레일 부분의 나선형 랩들의 이송을 용이하게 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튜에이터(382)가 근위 위치에 있을 때, 드럼(370)은 제1 그라스퍼(364)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액튜에이터(382)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위치에 있을 때, 드럼(370)은 제1 그라스퍼(364) 위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그러므로, 드럼(370) 상에 형성된 나선형 권선들 및 루프들은 스내그(snag)들 또는 중단없이 제1 그라스퍼(364)에서 보유된 봉합사의 레일 부분 상으로 매끄럽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또한 상기된 바와 같이, 탭(372)은 매듭 형성 디바이스(360)에 부착될 때 액튜에이터(382)의 작동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튜에이터(382)는 클립(374)이 하우징(376)에 부착될 때 원위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 방지되는 플레이트(386)를 가질 수 있다. 탭(372)이 분리될 때, 플레이트(386)는 클립(374)에 의해 점유된 공간 내로 원위 방향으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기술은 다중 봉합 매듭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데 적합할 수 있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듭 형성 디바이스(390)는 핸들(394)로부터 돌출하는 복수의 매듭 모듈(392)을 가질 수 있으며, 각각의 매듭 모듈은 상기된 기술에 따라서 봉합사 재료의 매듭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매듭 모듈(392)들의 일부 구성 요소는 핸들(394)에 영구적으로 부착되거나 이와 일체형일 수 있거나, 또는 매듭 모듈(392)들은 필요에 따라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여기에서, 2개의 매듭 모듈(392)이 이용되지만, 다른 실시예에서 3개, 4개 또는 그 이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수가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매듭 모듈(392)은 봉합사 재료에서 매듭을 형성하도록 본 개시 내용 내에서 설명된 임의의 구성 요소들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시로서 그리고 제한없이, 이러한 실시예의 각각의 매듭 모듈(392)은 원위 단부에 위치된 제1 그라스퍼(398)를 가지는 세장형 바디(396)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모듈(392)은 또한 봉합사 재료로 대체될 때 매듭을 형성하는 필요한 패턴으로 세장형 바디(396) 주위에 감겨지는 것에 의해 고정된 것과 같은 홀더(400)를 가진다. 분리 가능한 탭(402)은 핸들(394)에 또는 세장형 바디(396)와 같은 매듭 모듈(392)의 구성 요소에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탭(402)은 제2 그라스퍼(406)와 대향하는 홀더(400)의 단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한 그라스퍼(404)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탭(402)은 이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상기된 기능을 제공하는 오거나이저(408)를 또한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 매듭 모듈(392)들이 대향하는 배향으로 핸들(394)에 부착되기 때문에, 오직 하나의 그라스퍼(404) 및 하나의 오거나이저(408)만이 보일 수 있다. 사용 동안, 매듭은 모듈(392)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런 다음 핸들(394)이 180°회전되어서, 다른 모듈(392)은 동일한 배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양 매듭 모듈(392)들은 X자 형상 폐쇄 패턴과 같이 2개의 매듭을 묶도록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된 임의의 구성 요소는 필요에 따라 통합되어, 텐셔너, 회전 드럼, 트래퍼 또는 다른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여기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속하는 당업자는 본 발명의 원리가 적절한 변경으로 다른 적용으로 용이하게 확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29)

  1. 봉합사 재료에서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길이 방향 축, 및 상기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1 그라스퍼를 가지는 세장형 바디; 및
    상기 봉합사 재료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제2 그라스퍼를 가지는 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으로 움직일 때 해제하는,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봉합사 재료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기 세장형 바디의 원위 단부에 있는 가이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그라스퍼로부터 먼쪽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제1 그라스퍼에 근접하여 상기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탭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탭은 상기 제2 그라스퍼를 운반하는,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홀더가 상기 세장형 바디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위치로부터 근위로 연장되는 상기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과 정렬되는 돌출 부분을 가지는,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바디 위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 드럼을 추가로 포하하는,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제3 그라스퍼를 포함하며, 상기 드럼의 회전은 액튜에이터에 의해 제어되는, 디바이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한쪽 단부에서 상기 제2 그라스퍼에 의해 매듭-형성 패턴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싸는,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바디 위에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 드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드럼 주위를 감싸는,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기 제2 그라스퍼와 대향하는 상기 홀더의 단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분리 가능한 탭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바디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상기 홀더의 랩들의 적어도 일부 위에서 원위로 연장되는 오거나이저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바디 위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는 회전 드럼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드럼은 상기 액튜에이터에 결합되는, 디바이스.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부 주위에서 고리로 만들어지는 텐셔너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라스퍼와 대향하는 상기 홀더의 단부를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상기 매듭 형성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탭을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탭은 상기 제2 그라스퍼를 통하여 원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 그라스퍼를 추가로 포함하는, 디바이스.
  17.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래퍼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트래퍼는 분리될 때 상기 봉합사 재료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는, 디바이스.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퍼는 분리될 때 상기 봉합사 재료에 상기 제2 그라스퍼를 고정하도록 또한 구성되는, 디바이스.
  19. 제9항에 있어서, 복수의 매듭 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며, 각각의 매듭 모듈은 매듭-형성 패턴으로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싸는 홀더를 구비한 상기 세장형 바디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0. 봉합사 재료에 매듭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길이 방향 축을 가진 세장형 바디 및 홀더를 가지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세장형 바디 상에 제1 그라스퍼로 상기 봉합사 재료의 레일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홀더 상에서 제2 그라스퍼로 상기 봉합사 재료의 비레일 부분을 해제 가능하게 고정하는 단계;
    상기 비레일 부분으로 복수의 나선형 권선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매듭을 완성하도록 상기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멀어지는 운동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로부터 상기 홀더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선형 권선은 상기 레일 부분 위에 생성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나선형 권선은 상기 레일 부분 위에서 생성되고 그런 다음 원위로 슬라이딩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바디는 회전 드럼 내에서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나선형 권선은 상기 드럼의 회전을 구동하는 것에 의해 생성되는, 방법.
  24.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한쪽 단부에서 상기 제2 그라스퍼에 의해 매듭-형성 패턴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싸며, 상기 복수의 나선형 권선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비레일 부분을 상기 매듭-형성 패턴으로 당기도록 상기 홀더를 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 부분 위에 생성된 복수의 나선형 권선을 위치시키도록 상기 세장형 바디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원위로 액튜에이터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일부 주위에 텐셔너를 고리 모양으로 만드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7.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를 인출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로부터 탭을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탭은 상기 제2 그라스퍼에 대향하는 상기 홀더의 단부에 부착되는,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트래퍼를 제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트래퍼는 분리될 때 상기 비레일 부분을 고정하는,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복수의 매듭 모듈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각각의 매듭 모듈은 매듭-형성 패턴으로 상기 세장형 바디 주위를 감싸는 홀더를 구비하는 세장형 바디를 포함하며, 각각의 매듭 모듈을 구비하는 매듭을 형성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14374A 2015-10-23 2016-10-20 봉합사 매듭 형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75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45841P 2015-10-23 2015-10-23
US62/245,841 2015-10-23
US201662332701P 2016-05-06 2016-05-06
US62/332,701 2016-05-06
PCT/US2016/057857 WO2017070312A1 (en) 2015-10-23 2016-10-20 System and method for suture knot formi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757A true KR20180112757A (ko) 2018-10-12

Family

ID=5855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4374A KR20180112757A (ko) 2015-10-23 2016-10-20 봉합사 매듭 형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10959720B2 (ko)
EP (1) EP3405119B1 (ko)
JP (1) JP6891185B2 (ko)
KR (1) KR20180112757A (ko)
CN (1) CN109069143B (ko)
AU (1) AU2016340897B2 (ko)
CA (1) CA3002756C (ko)
ES (1) ES2876355T3 (ko)
IL (1) IL258820B2 (ko)
MX (1) MX2018004928A (ko)
RU (1) RU2745134C2 (ko)
TW (1) TWI738676B (ko)
WO (1) WO20170703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22230B2 (en) 2015-12-31 2020-07-28 Smart Sutures, Llc Curled suture device apparatus and method
CN110809436A (zh) * 2017-08-17 2020-02-18 智慧缝合线责任有限公司 卷曲缝合装置设备及方法
EP3727161A4 (en) * 2017-12-18 2021-09-08 Terumo Medical Corporation NODE DEPLOYMENT DEVICE
WO2021158922A1 (en) * 2020-02-07 2021-08-12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Intracorporeal suture tying
CN112842576B (zh) * 2021-02-04 2022-04-26 首都医科大学附属北京口腔医院 一种牙科弹力线打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6230A (en) * 1992-11-04 1994-08-09 Charles S. Taylor Endoscopic suture tying method
CN2158688Y (zh) * 1993-06-04 1994-03-16 雷佰敏 深部外科结结扎杆
JP2006000676A (ja) * 1994-04-14 2006-01-05 Olympus Corp 縫合用糸装着用糸保持具
JP3798838B2 (ja) * 1995-01-20 2006-07-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結紮装置
US5993467A (en) 1996-11-27 1999-11-30 Yoon; Inbae Suturing instrument with rotatably mounted spreadable needle holder
RU2144326C1 (ru) * 1999-01-19 2000-01-20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нейрохирургии им.акад.Н.Н.Бурденко РАМН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направления и формирования узлов шовного материала в узкой и глубокой ране и способ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US6171317B1 (en) * 1999-09-14 2001-01-09 Perclose, Inc. Knot tying device and method
AU2001277062A1 (en) * 2000-07-20 2002-02-05 Matsushita Mobile Communications Development Corporation, U.S. Unique characterization of answering machine messages for cell phones
JPWO2002094106A1 (ja) * 2001-05-23 2004-09-02 有限会社さくらメディカル 外科手術用結紮方法とその装置
US7122039B2 (en) * 2002-05-01 2006-10-17 Boston Scientific Scimed, Inc. Tying knots
GB2406523B (en) * 2002-07-03 2006-05-31 Ganendra Coomer Bose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formation of knots
US20070038229A1 (en) 2005-08-12 2007-02-15 Towertech Research Group Flexible endoscopic knot tying apparatus
WO2009046443A1 (en) * 2007-10-04 2009-04-09 Arrows Design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a knot for surgical suturing
EP2098171A1 (en) * 2008-03-04 2009-09-09 Arthrex, Inc. Knot pusher and suture cutter instrument
US8357161B2 (en) * 2009-10-30 2013-01-22 Covidien Lp Coaxial drive
TWM438891U (en) * 2012-02-08 2012-10-11 Fang-Chao Du New tubule assisted knot-tying device
US20140236188A1 (en) * 2013-02-15 2014-08-21 Abbott Cardiovascular Systems, Inc. Introducer sheath with knot pusher and suture trimmer
JP6563819B2 (ja) * 2013-03-15 2019-08-21 アンカー オーソペディックス エックスティ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nchor Orthopedics Xt Inc. 縫合糸を装填するためのカートリッジ、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
US9297430B2 (en) 2013-07-02 2016-03-29 Goodrich Corporation Wrap spring park brak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US10405853B2 (en) * 2015-10-02 2019-09-10 Ceterix Orthpaedics, Inc. Knot tying access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258820B (en) 2022-10-01
EP3405119A4 (en) 2019-07-03
US10959720B2 (en) 2021-03-30
RU2018118577A (ru) 2019-11-25
CN109069143B (zh) 2021-08-17
RU2018118577A3 (ko) 2020-02-18
IL258820B2 (en) 2023-02-01
EP3405119A1 (en) 2018-11-28
IL258820A (en) 2018-06-28
JP6891185B2 (ja) 2021-06-23
RU2745134C2 (ru) 2021-03-22
ES2876355T3 (es) 2021-11-12
EP3405119B1 (en) 2021-05-26
CN109069143A (zh) 2018-12-21
US20170112492A1 (en) 2017-04-27
CA3002756A1 (en) 2017-04-27
WO2017070312A1 (en) 2017-04-27
BR112018007983A2 (pt) 2019-02-05
JP2018534106A (ja) 2018-11-22
TW201726065A (zh) 2017-08-01
AU2016340897B2 (en) 2021-06-24
MX2018004928A (es) 2018-11-09
CA3002756C (en) 2023-11-21
AU2016340897A1 (en) 2018-05-10
TWI738676B (zh) 202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05412B2 (en) Pre-tied surgical knots for use with suture passers
KR20180112757A (ko) 봉합사 매듭 형성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3380552B2 (ja) 内視鏡による縫合システム
JP5894930B2 (ja) 組織を縫合するための医療器具及び方法
JP5192081B2 (ja) 軟組織の経皮的な修復のためのシステム
US11918203B2 (en) Automatically reloading suture passer devices that prevent entanglement
US11903577B2 (en) Knot tying accessory
JP2003509101A (ja) ノット結節装置および方法
JPH0833635A (ja) 縫合器具
US11419600B2 (en) Handle mechanism, delivery system and operation method
WO2009046443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creating a knot for surgical suturing
BR112018007983B1 (pt) Dispositivo para formação de nó de sutura
WO2022047653A1 (zh) 手柄机构、输送系统以及操作方法
JP3669012B2 (ja) 結び目形成結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